KR100696840B1 -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840B1
KR100696840B1 KR1020040107752A KR20040107752A KR100696840B1 KR 100696840 B1 KR100696840 B1 KR 100696840B1 KR 1020040107752 A KR1020040107752 A KR 1020040107752A KR 20040107752 A KR20040107752 A KR 20040107752A KR 100696840 B1 KR100696840 B1 KR 100696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ctor amount
unit
signal vector
binary data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8837A (ko
Inventor
김용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107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840B1/ko
Publication of KR20060068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임의의 단위소자로부터의 신호 벡터량을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 결과 신호 벡터량이 일정시간 동안 변화가 없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신호 벡터량이 일정시간 동안 변화가 없을 경우에 단위소자의 신호 벡터량을 서로 다른 비트를 반복하는 신호 벡터량으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단위소자의 벡터량을 감지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에도 효과적으로 절전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인 처리 방식으로 인해 딜레이 타임 없이 구동할 수 있으므로 고유의 디스플레이 기능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ELE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시스템에 대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과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스플레이 패널부 100/1∼100/N : 단위소자
200/1∼200/N : 벡터량 분석기 300/1∼300/N : 벡터량 발생기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력 소모량을 줄이는데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원의 소비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원을 절전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절전용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절연용 방식에는 크게 하드웨어적인 방식과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방식에는 전류량 자체를 적게 소모하는 물성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물성 부분과, 패널 제작시 구조적, 특히 어레이 캐패시턴스(Array Capacitance)에 관한 구조로 구성하는 패널 부분이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정 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기술과, 전원 전압 및 전원회로의 구동 시점 등을 제어하는 기술이 있다. 특히 여기에는 기 설정된 제어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원을 차단하는 DPMS(Display Power Management System)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절전 기술은 대부분 구조적이고 하드웨어적인 개념이 도입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지 상태일 때로 국한되기 때문에 그 기능이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별도의 절전모드 제어 방식을 추가하여 구현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가가 상승할 수 있다.
게다가, 비교적 간단하게 소프트웨어적으로 절전모드 기술을 채용한 경우에는 장시간 사용시 절전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인 처리 방식 특성상 고유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 딜레이 타임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고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구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각의 화소, 예컨대 RGB에 해당하는 단위소자의 의 신호 벡터량을 분석하고 이를 적절히 제어하여 절전 기능을 구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컬러 디스플레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형성되어 2진 데이터의 신호 벡터량을 발생하는 전류 구동의 다수의 단위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다수의 단위소자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각 단위소자에서 연속하는 전류 소모의 2진 데이터의 신호 벡터량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각각 분석하는 다수의 벡터량 분석 수단과, 상기 다수의 벡터량 분석 수단에 대응하며, 상기 각 벡터량 분석 수단에서 연속하는 전류 소모의 2진 데이터 신호 벡터량이 발생할 때, 대응하는 단위소자가 "0"과 "1" 또는 "1"과 "0"이 교번 반복하는 형태의 2진 데이터 신호 벡터량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벡터량 발생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르면, 컬러 디스플레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형성되어 2진 데이터의 신호 벡터량을 발생하는 전류 구동의 다수의 단위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임의의 단위소자가 연속하는 전류 소모의 2진 데이터의 신호 벡터량을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연속하는 전류 소모의 2진 데이터의 신호 벡터량 발생이 일정시간 동안 지속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연속하는 전류 소모의 2진 데이터의 신호 벡터량 발생이 일정시간 지속될 때, 상기 임의의 단위소자가 "0"과 "1" 또는 "1" 또는 "0"이 교번 반복하는 형태의 2진 데이터 신호 벡터량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시스템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 패널(100) 내의 각각의 단위소자(D1∼DN)(100/1∼100/N), 각각의 단위소자(D1∼DN)(100/1∼100/N)에 대응하는 각각의 벡터량 분석기(200/1∼200/N), 각각의 벡터량 분석기(200/1∼200/N)에 대응하는 각각의 벡터량 발생기(300/1∼300/N)를 포함하며 이루어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소자(D1∼DN)(100/1∼100/N)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내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컬러 표시소자의 경우 R(적색), G(녹색), B(청색)의 세 가지 화소로 구성되는 컬러 필터가 디스플레이 패널(100) 내에 배열된다.
이러한 단위소자(D1∼DN)(100/1∼100/N)는 도시 생략된 전원 공급부와 스위칭 수단 등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3색 가법혼색에 의해 하나의 도트(dot)를 구성하여 컬러가 구현된다.
이때, 이러한 단위소자(D1∼DN)(100/1∼100/N)에서는 각각의 화소단위로 타이밍 신호(Sync)와 같은 주기로 "1"과 "0"으로 이루어진 임의의 연속적인 2진 데이터를 발생하는데, 이러한 연속적인 흐름 데이터를 "신호 벡터량"이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단위소자 D1에 대한 신호 벡터량 V(D1) = 10101010111…이고, 단위소자 D2에 대한 신호 벡터량 V(D2) = 1100101010101…일 수 있다.
한편, 벡터량 분석기(200/1…200/N)는 상술한 각각의 단위소자(D1∼ DN)(100/1∼100/N)에 대해 각각 대응되게 구성되며, 단위소자(D1∼DN)(100/1∼100/N)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벡터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벡터량 발생기(300/1∼300/N)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벡터량 발생기(300/1∼300/N)는 벡터량 분석기(200/1∼200/N)의 분석 결과에 따라 변경된 신호 벡터량을 발생하기 위한 벡터량 발생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연속되는 신호 벡터량이 일정 시간 변화가 없을 경우,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 벡터량이 "1111111111…"일 경우에 신호 벡터량을 "1010101010…"로 변화시킨다. 이러한 벡터량 변화 과정은 하기 도 2의 흐름도를 참조로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단위소자(D1∼DN)(100/1∼100/N)에서는 벡터량 발생기(300/1∼300/N)의 벡터량 발생 신호에 기반한 벡터량을 발생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구동시킨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과정을 첨부한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S200)에서와 같이 단위소자, 예를 들어 D1(100/1)로부터 제 1 벡터량 분석기(200/1)로 신호 벡터량이 인가되면, 제 1 벡터량 분석기(200/1)는 단계(S202)로 진행하여 D1(100/1)의 신호 벡터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 1 벡터량 발생기(300/1)로 제공한다.
제 1 벡터량 발생기(300/1)에서는 단계(S204) 및 단계(S206)에서와 같이, 제 1 벡터량 분석기(200/1)로부터 제공되는 연속된 신호 벡터량이 일정시간 동안 변화가 없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정지영상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이들 신호 벡터량의 연속적인 흐름이 일정하다는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정지영상일 경우 신호 벡터량 V(D1) = 11111111111…이고, 신호 벡터량 V(D2) = 00000000000…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신호 벡터량에서 V(D1) = 111111111111…처럼 "1"이 일정하게 연속하는지를 분석하고 그 변화량이 없을 경우에 정지영상으로 판단하여 벡터량을 V(D1)' = 101010101010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208).
즉, 단위소자 D1(100/1)에 대해서 동일한 시간대에 절반의 전류만을 소모하도록 벡터량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때, V(D2)에 대해서는 000000000000…으로 전류 소모량이 거의 없기 때문에 구태여 벡터량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제 이러한 벡터량의 변화는 한 프레임당 1/60 주기로 깜박임(flickering)이 발생할 수 있지만, PDP와 같은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이와 같은 1/60초는 인간의 시력으로는 거의 느끼기 어려운 주기이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예컨대 단위소자에 대해 R, G, B로 국한하지 않고 YPbPr 신호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단위소자의 벡터량을 감지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에도 효과적으로 절전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인 처리 방식으로 인해 딜레이 타임 없이 구동할 수 있으므로 고유의 디스플레이 기능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Claims (7)

  1. 컬러 디스플레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형성되어 2진 데이터의 신호 벡터량을 발생하는 전류 구동의 다수의 단위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다수의 단위소자에 각각 대응하며, 상기 각 단위소자에서 연속하는 전류 소모의 2진 데이터의 신호 벡터량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각각 분석하는 다수의 벡터량 분석 수단과,
    상기 다수의 벡터량 분석 수단에 대응하며, 상기 각 벡터량 분석 수단에서 연속하는 전류 소모의 2진 데이터 신호 벡터량이 발생할 때, 대응하는 단위소자가 "0"과 "1" 또는 "1"과 "0"이 교번 반복하는 형태의 2진 데이터 신호 벡터량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벡터량 발생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소자는 R, G, B, Y/Pb/Pr 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소로 구성되는 컬러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시스템.
  5. 컬러 디스플레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 내에 형성되어 2진 데이터의 신호 벡터량을 발생하는 전류 구동의 다수의 단위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임의의 단위소자가 연속하는 전류 소모의 2진 데이터의 신호 벡터량을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연속하는 전류 소모의 2진 데이터의 신호 벡터량 발생이 일정시간 동안 지속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연속하는 전류 소모의 2진 데이터의 신호 벡터량 발생이 일정시간 지속될 때, 상기 임의의 단위소자가 "0"과 "1" 또는 "1" 또는 "0"이 교번 반복하는 형태의 2진 데이터 신호 벡터량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방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소자는 R, G, B, Y/Pb/Pr 화소 중 적어도 하나의 화소로 구성되는 컬러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방법.
KR1020040107752A 2004-12-17 2004-12-17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696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752A KR100696840B1 (ko) 2004-12-17 2004-12-17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752A KR100696840B1 (ko) 2004-12-17 2004-12-17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837A KR20060068837A (ko) 2006-06-21
KR100696840B1 true KR100696840B1 (ko) 2007-03-19

Family

ID=3716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752A KR100696840B1 (ko) 2004-12-17 2004-12-17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84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358A (ko) * 1994-12-31 1996-07-22 김광호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일체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절전방법 및 회로
KR980013337A (ko) * 1996-07-24 1998-04-30 김광호 티브이의 자동켜짐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05936A (ko) * 2000-07-11 2002-01-18 윤종용 영상표시기기의 히터전압 공급회로
KR20030020494A (ko) * 2001-08-29 2003-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09339A (ko) * 2002-07-23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25351A (ko) * 2002-09-19 200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Lcd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358A (ko) * 1994-12-31 1996-07-22 김광호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일체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절전방법 및 회로
KR980013337A (ko) * 1996-07-24 1998-04-30 김광호 티브이의 자동켜짐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05936A (ko) * 2000-07-11 2002-01-18 윤종용 영상표시기기의 히터전압 공급회로
KR20030020494A (ko) * 2001-08-29 2003-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09339A (ko) * 2002-07-23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25351A (ko) * 2002-09-19 200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Lcd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60028358
1019980013337
1020020005936
1020030020494
1020040009339
102004002535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837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7344B2 (en)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EP2404291B1 (en) Multi-pixel addressing method for video display drivers
US7148869B2 (en) Driving circui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relating driving method
US20080198127A1 (en) Display Apparatus
JP2009271499A (ja) バックライト駆動回路及びその駆動方法
CN100595824C (zh) 显示驱动电路
CN112735313B (zh) 显示面板及电子设备
US20040041781A1 (en) Color image display
JPH06332397A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96840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위소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5047123A (zh) 显示驱动方法、显示驱动装置和显示装置
CN113223444A (zh) 一种单像素led驱动芯片及led显示屏
JP2000131666A (ja) 液晶表示装置
JP4820501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6267653A (ja) 液晶駆動装置
KR20100071845A (ko) 액정표시장치
JP3940215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
US7768804B2 (en) Inver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frequency of inverter
JP3128826B2 (ja) 画像表示装置
KR100509593B1 (ko) 플라즈마 표시패널의 구동방법
KR100429735B1 (ko) 액정 표시장치의 잔상 개선 시스템
JPH11184436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576969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96172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747492B1 (ko)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