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449B1 - 전자기유도방식의 액정토출펌프 - Google Patents

전자기유도방식의 액정토출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449B1
KR100696449B1 KR1020050125314A KR20050125314A KR100696449B1 KR 100696449 B1 KR100696449 B1 KR 100696449B1 KR 1020050125314 A KR1020050125314 A KR 1020050125314A KR 20050125314 A KR20050125314 A KR 20050125314A KR 100696449 B1 KR100696449 B1 KR 100696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iston
flow path
discharge pump
solenoid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125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02F1/13415Drop filling proc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적하방식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액정적하장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액정에 토출압력을 가하는 액정토출펌프(200)에 있어서, 상기 액정적하장치 내부의 유로(250)에 일정공간으로 형성된 챔버(251)내에서 상하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액정유입구(211)와 액정유출구(212)를 구비한 액정유로(213)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관통되게 형성된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된 솔레노이드코일(241, 242) 및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에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상기 몸체(210)가 상승 및 하강되면 상기 몸체(210)의 액정유로(213)를 통해 유입 및 유출되는 액정의 유압에 의해 상기 액정유로(212)를 개폐하는 피스톤(220)으로 구성되어 전기적인 제어가 용이한 전자석을 이용하여 액정의 토출량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고, 고점성액정의 적하와 미소량의 정량토출량을 제어하기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액정표시소자, 솔레노이드, 펌프

Description

전자기유도방식의 액정토출펌프{Liquid Crystal Dispensing Pump Using Electromagnetic Inducement Method}
도 1과 도2는 종래기술에 있어 액정적하장치에 채용된 액정토출펌프의 대표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토출펌프의 분해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액정적하장치내의 유로에 일정공간으로 형성된 챔버내로 삽입되어 장착된 액정토출펌프의 단면도와 평면도.
도 5a와 도 5b는 몸체의 액정유입구와 액정유출구의 바람직한 형상에 대한 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토출펌프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몸체 211 : 액정유입구
212 : 액정유출구 213 : 액정유로
220 : 피스톤 221: 가이드홀
230 : 가이드부재 241 : 상부 솔레노이드코일
242 : 하부 솔레노이드코일 250 : 유로
251 : 챔버 252 : 유로유입구
253 : 유로유출구
본 발명은 액정토출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적하방식(Liquid Crystal Dropping Method)에 의한 액정표시소자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액정적하장치 내부에 구비되어 전자기유도방식으로 구동되는 소자에 의해 유로상의 액정에 압력을 가하여 기판상에 정확한 양의 액정을 토출시키는 액정토출펌프(20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로 대표되는 액정표시소자의 개략적인 구조와 작동방식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박막트렌지스터(Thin Film Transistor;TFT)와 같은 구동소자가 형성된 하부기판과, 컬러필터(Color Filter)층이 형성된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의 합착으로 이루어진 패널 사이에 광학적인 이방성결정으로 이루어져 전계나 자계에 의해 복굴절성을 갖는 액정이 주입되어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한 적층구조를 갖고, 상기 구동소자에 의해 액정분자를 구동하여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한편 상기 패널에 액정층을 형성시키는 방식에 있어 기존에는 진공장치내에 삽입된 패널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액정을 주입하는 진공주입방식(혹은 액정딥핑(Dipping)주입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액정주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폐기되는 액정이 많아 제조공정과 비용면에서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었다.
이에 근자에 들어 액정적하장치(Liquid Crystal Dropping Method)를 사용하여 액정을 직접 기판에 적하(Dropping) 및 분배(Dispensing)한 후 패널을 합착하여 합착압력에 의해 적하된 액정을 패널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시킴으로써 액정층을 형성시키는 액정적하방식(Liquid Crystal Dropping Method)에 의한 액정층 형성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정적하방식은 상기한 액정적하장치를 사용하여 직접 기판상에 액정을 적하하기 때문에 액정표시소자의 액정층 형성에 소요되는 시간과 대면적의 액정층 형성에 매우 효율적이며, 또한 필요한 양의 액정만을 직접 기판상에 적하하기 때문에 액정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에는 위에서 언급한 액정적하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이 도 1과 함께 설명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 액정적하장치(120)의 구성을 먼저 살펴보면, 액정이 충진되고 상부에 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액정에 압력을 가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액정용기(124)와, 상기 액정용기(124)의 하부에 장착되며 액정용기(124)의 액정이 배출되는 배출공(146)이 형성된 니들시트(143)와, 상기 액정용기(124)에 상하운동이 가능하 도록 삽입되며, 일단부에는 스프링(128)이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니들(136)시트(134)의 배출공(146)과 접촉하여 상하 운동함에 따라 니들(136)시트(134)의 배출공(146)이 열리고 닫히는 니들(136)과, 상기 니들(136)의 상부에 장착되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기력을 발생하여 상기 니들(136)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코일(130) 및 자성막대(132) 및 상기 액정용기(124) 하부에 장착되어 액정용기(124)의 액정을 적어도 하나의 패널을 포함하는 기판상에 적하하는 노즐(147)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액정적하장치(120)의 작동은 솔레노이드코일코일(130)에 전원이 공급되어 자성막대(132)에 자기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자기력에 의해 상기 자성막대(132)와 일정한 간격(x)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상기 니들(136)이 상기 자성막대(132)에 닿게 되며,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니들(136)의 단부에 설치된 스프링(128)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와 같은 니들(136)의 상하 이동에 의해 니들시트(143)에 형성된 배출공(144)이 열리거나 닫히게 되며, 니들(136)의 상승에 의해 니들시트(143)의 배출공(144)이 오픈되면 액정용기(124)에 공급되는 질소가 액정에 압력을 가하여 노즐(145)로부터 액정(107)이 적하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액정적하장치(120)에 있어서 상기 니들(136)의 단부와 상기 니들시트(143)는 솔레노이드코일코일(130)에 전원이 공급되고 중단됨에 따라 반복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이와 같은 반복적인 접촉에 의해 니들(136)의 단부와 니들시트(143)가 지속적인 충격에 노출되기 때문에 파손될 가능성이 존재하 여, 상기 니들(136)의 단부와 니들시트(143)를 충격에 강한 물질, 예를 들면 초경합금으로 형성하여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아울러 적하되는 액정(107)의 양은 상기 배출공(144)이 오픈되는 시간과 액정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달라지는데, 상기 오픈시간을 결정하는 변수는 니들(136)과 자성막대(132)의 간격(x), 솔레노이드코일코일(130)에 의해 발생하는 자성막대(132)의 자기력 및 니들(136)에 설치된 스프링(128)의 탄성력, 충진되는 질소의 압력 등으로 전기제어방식으로 결정되기 어려운 다수의 변수들이 존재하여 특히, 미소량의 정확한 액정적하량을 토출하기에 많은 어려움을 수반한다.
또한 액정의 점도나 표면장력 등과 같은 물성변화가 있을 시 액정의 정량토출을 위해 상기와 같은 변수들을 모두 재설정하여야 하므로 고점성을 갖는 액정의 효과적인 토출량 제어에 한계가 있다.
한편 도 2에는 전술한 액정적하장치의 또 다른 종래기술인 피에조펌프(150)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피에조펌프(150)는 액정이 지나는 유로(151)상에 위치하며 유입구(155a)와 유출구(155b) 측에 각각 체크밸브(152a, 152b)가 별도로 장착되고, 체적이 가변적으로 변할 수 있는 탄성소재의 챔버(153)가 상기 유로(151)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챔버(153)의 측면에는 전압의 인가에 의해 변형되는 성질을 갖는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 15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피에조펌프(150)의 동작상태는 먼저 선택적으로 인가된 전압이 상기 압전소자(154)에 가해지면 압전소자(154)가 기계적으로 굽힘변형되 고, 이로 인해 액정이 지나는 유로(151)에 구비되는 챔버(153)의 체적이 변화되어 압력변화가 유발됨으로써 액정이 유입 및 유출된다.
그러나 상기 피에조펌프(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의 유입구(155a)와 유출구(155b) 측에 반드시 체크밸브(152a, 152b)가 각각 구비되어야 작동이 가능하고, 장시간 사용시 챔버(153)에 피로가 누적되어 챔버(153) 소재의 탄성이 감소되면 액정의 적하량을 정량적으로 제어하기 어려워 정상적인 작동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액정의 미소량 적하와 이를 위한 정밀제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압전소자를 사용한 상기 피에조펌프(150)의 장치구성이 복잡해지고 그에 따른 고가의 제작비용을 수반한다.
한편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공히 고점성의 미소량 액정을 정량토출함에 있어 제어방식과 조건을 찾아내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유동을 제어하는 변수가 적어 물성이 다양한 여타의 액정소재를 정밀하게 제어하기엔 여러가지 문제점을 동시에 수반한다.
이에 고점성의 액정 토출에 효과적이고 장치구성이 간단하여 저가로 구현가능하며, 용이한 제어방식에 의해 미소량 토출이 가능하고, 유량제어변수가 다양하여 여러 종류의 유체에 대응한 토출조건을 추출하기 용이한 액정토출장치의 개발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의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액정적하장치내에 설치되어 액정이 지나는 유로에 형성되는 액정토출펌프에 있어서, 장치구성이 간단하고 저가로 구현가능한 액정토출펌프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적인 제어가 용이한 전자석을 이용하여 액정의 토출량을 결정할 수 있고, 액정의 유·출입을 단속하는 체크밸브 기능이 통합된 액정토출펌프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점성액정의 적하가 용이하고, 미소량의 정량토출 재연성이 좋으며, 여러 물성을 갖는 액정의 토출량을 제어하기 용이한 액정토출펌프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방식의 액정토출펌프(200)는 액정적하방식에 따라 제조되는 액정표시소자 내부의 액정층을 액정적하에 의해 형성시키는 액정적하장치가 액정이 유·출입되는 유로(250)에 위치하며, 상기 액정적하장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액정에 토출압력을 가하는 액정토출펌프(200)에 있어서, 상기 액정적하장치 내부의 유로(250)에 일정공간으로 형성된 챔버(251)내에서 상하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챔버(251)내로 유입된 액정이 유동될 수 있는 액정유로(213)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관통되게 형성된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된 솔레노이드코일(241, 242) 및 상기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에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상기 몸체 (210)가 상승 및 하강되면 상기 몸체(210)의 액정유로(213)를 통해 유입 및 유출되는 액정의 유압에 의해 상기 액정유로(212)를 개폐하는 피스톤(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210)는 상기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에 형성된 자력에 의해 상하 운동이 가능한 금속성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어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극성을 갖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210) 내부에 장착되어 액정에 유압을 가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220)은 상기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에 형성된 자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피스톤(220)은 가이드홀(221)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221)에 상기 몸체(210) 내부의 액정유출구(212)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재(230)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피스톤(220)이 상기 가이드부재(230)의 상단으로 이동되면 상기 액정유로(213)가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30)의 하단으로 이동되면 상기 액정유로(213)가 폐쇄되어 상기 피스톤(220)이 체크밸브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 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토출펌프(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토출펌프(200)는 액정이 지나는 유로에 형성된 챔버의 상부와 하부에서 액정이 유입 및 유출되는 액정유입구(211)와 액정유출구(212)를 갖는 액정유로(213)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액정유로(213)를 개폐하는 피스톤(220)과 상기 피스톤(220)에 형성된 가이드홀(221)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210)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220)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30)가 상기 피스톤(220)의 하측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230)의 개수나 몸체(210) 및 피스톤(220)과의 결합방식은 도시된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액정유로(213)를 개폐할 수 있도록 피스톤(220)을 가이드할 수 있으면 족한 것이다.
도 4a와 도 4b는 액정적하장치(미도시)내의 유로(250)에 일정공간으로 형성된 챔버(250)내로 삽입되어 장착된 액정토출펌프(200)의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대로 액정토출펌프(200)는 몸체(210)에 피스톤(220)과 가이드부재 (230)가 결합된 상태로 액정이 지나는 유로(250)의 일정부분이 변형되어 형성되나 그 체적은 변하지 않는 챔버(251)내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챔버(2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전자기유도로 형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몸체(210)를 상하운동시키는 상부솔레노이드코일(241) 및 하부솔레노이드코일(24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몸체(210)는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에 전압이 인가되어 전자기유도현상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되면 전자기력에 의해 상측 혹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몸체(210)의 소재가 금속성으로 이루어진다면 상부와 하부솔레노이드코일(241, 242) 중 자기장이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솔레노이드코일(241 또는 242) 측으로 이동할 것이나, 극성을 가진 자성체(磁性體, magnetic substance)로 형성되면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에 유도되는 극성과 상기 자성체의 극성에 따라 척력이나 인력이 작용되므로 상호간 작용하는 힘의 형태에 따라 어느 일측으로 이동될 것이다.
구체적인 경우의 수를 들어 부언하면, 하기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솔레노이드코일(24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N극과 S극이 유도되고, 하부솔레노이드코일(24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S극과 N극이 유도된 후 상기 자성체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S극과 N극으로 자화된다면, 상부솔레노이드코일(241)과 자성체간에는 인력이 작용하고 하부솔레노이드코일(242)과 상기 자성체간에는 척력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자성체로 이루어진 몸체(210)는 상부솔레노이드코일(241)로 이동할 것이다.
한편 상부솔레노이드코일(241)과 하부솔레노이드코일(242)에 유도된 전극의 극성이 위의 경우와 반대가 된다면 상기 몸체(210)는 하부솔레노이드코일(242)로 이동할 것이나, 상기 몸체(210)의 반복적인 상하운동이 목적이므로 위와 아래의 두 가지 경우 모두 액정토출펌프(200)의 구동을 위해 가능한 조합이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을 형성하는 코일의 권선수(捲線數)나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및 몸체(210)가 자성체인 경우 자성체의 종류(강자성체, 반강자성체, 페리자성체)에 따른 자화율(磁化率)이 변수가 되어 상기 몸체(210)의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에 의한 이동속도가 달라질 것이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의 권선수와 자성체의 물성은 그 값이 고정된 변수이고 단지 전압의 크기만이 가변적인 변수가 되므로 전기적인 제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반면 상기 피스톤(220)은 알루미늄과 같은 반자성체이거나 플라스틱이나 세라믹과 같은 비자성체로 이루어져야 상기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의 전자기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몸체(210)의 상하운동에 대해 상대적으로 반대방향의 이동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몸체(210)는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에 유도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 소재로 이루어져야 하는 반면, 몸체(210)내에 구비되는 피스톤(220)은 전자기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소재이면 다양한 소재의 채택이 가능하다.
도 5a와 도 5b는 몸체(210)의 액정유입구(211)와 액정유출구(212)의 바람직 한 형상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액정이 유입되는 액정유입구(211)와 액정이 유출되는 액정유출구(212)가 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연결되어 액정유로(213)를 형성하고, 상기 액정유로(213)는 몸체(2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일정크기의 원주를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평면도를 기준으로 상하좌우대칭의 네 개의 액정유로(2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액정유입구(211)는 유입되는 액정의 유체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중앙부(214a)는 원뿔이나 유선형으로 상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액정유입구(211)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 외에 몸체(210)의 이동속도에 따른 액정의 유동을 분석하여 최적화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반면 액정유출구(212a)의 형상은 상기 액정유입구(211)의 형상과 반대로 액정이 유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급격한 단면적의 변화에 따른 압력저항과 와류로 인한 기포 발생 및 표면박리(Separation)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5b에서와 같이 상기 액정유출구(212a)의 중앙부(212a)가 유선형으로 하향돌출 된 점차확대관의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피스톤(220)의 형상은 상기 액정유출구(212)의 형상에 대응되어 도시된바와 같이 사다리꼴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토출펌프(200)의 동 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일단 몸체(210)가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6a는 상기 액정토출펌프(200)의 액정 유입단계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몸체(210)가 상부 솔레노이드코일(241)에 전압이 인가되어 형성된 자기력에 의해 상승되는 단계를 나타낸다.
일단 몸체(210)가 상승운동하게 되면, 유로(250)의 유로유입구(252)를 거쳐 상기 몸체(210)내의 액정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액정은 액정유로(213)와 액정유출구(212)를 통해 유출되면서, 상기 액정의 동압(Dynamic Pressure)에 의해 비자성체인 상기 피스톤(220)은 상기 가이드부재(230)의 하단으로 이동되어 액정유출구(212)가 개방되고 이후 상기 액정유출구(212)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몸체(210)가 챔버(251)의 상단으로 이동될 때까지 상기 챔버(251)의 하부(251b)에 충진된다.
이후 몸체(210)가 상기 챔버(251)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면 상부 솔레노이드코일(241)에 인가된 전압이 해제되고 하부솔레노이드코일(242)에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솔레노이드코일(242)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형성된 자기력은 상기 몸체(210)를 하부로 다시 이동시키고, 이때 챔버(251)의 하부(251b)에 충진된 액정의 정압(Static Pressure)에 의해 상기 피스톤(220)은 상기 가이드부재(230)의 상단으로 이동되어 액정유출구(212)를 폐쇄하게 됨에 따라 상기 몸체(210)의 하부면은 밀폐면으로 전환되어 몸체(210)와 피스톤(220)의 하향운동은 하부(251b)에 충진된 액정에 모멘텀(momentum)을 부여하여 상기 액정을 유로의 유로유출구(253)로 밀어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몸체(210)의 하향운동으로 상기 챔버(251)의 상부공간(251t)은 체적팽창에 따른 상대적인 정압의 감소로 유로유입구(252)를 통해 액정이 유입됨에 따라 챔버(251)내에서는 액정의 유입과 유출이 동시에 진행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220)은 액정의 몸체(210)로의 유입시에는 액정유로(213)를 개방시켜주고 액정의 유출시에는 액정유로(213)를 폐쇄시키는 체크밸브의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유로유입구(252)측이나 유로유출구(253)측에 액정 유입과 유출에 따른 별도의 체크밸브 장착이 불필요하게 된다.
다만, 몸체(210)가 자성체이거나 금속성몸체(210)의 일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진 경우 몸체(21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극성과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에 유도되는 전자기장의 극성에 따라 상호 작용하는 인력과 척력에 의해 몸체(210)의 운동방향이 결정될 것이나, 상기 몸체(210)의 극성과 유도전자기장의 극성 간의 어떠한 조합도 반복적인 상하운동에 의해 액정을 유동시키는 목적에 부합할 것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인해 액정의 토출량은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에 유도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하로 운동되는 상기 몸체(210)의 운동량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의 전자기력은 상기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에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나 권선수에 의해 좌우되므로 전기적 제어가 용이하여 고점성의 액정에도 효과적인 미소량 토출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솔레노이드코일(241, 242)과 몸체(210), 그리고 몸체(210)내에서 상 대운동을 하는 피스톤(220)의 단순구성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인해 제조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기 유도로 구동되는 액정토출펌프는 장치구성이 간단하고 저가로 구현가능한 액정토출펌프의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적인 제어가 용이한 전자석을 이용하여 액정의 토출량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고, 액정의 유입과 유출을 단속하는 체크밸브 기능이 통합된 액정토출펌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점성액정의 적하가 용이하고, 미소량의 정량토출 재연성이 좋으며, 여러 물성을 갖는 액정의 토출량을 제어하기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액정적하방식에 따라 제조되는 액정표시소자 내부의 액정층을 액정적하에 의해 형성시키는 액정적하장치가 액정이 유·출입되는 유로(250)에 위치하며, 상기 액정적하장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액정에 토출압력을 가하는 액정토출펌프(200)에 있어서,
    상기 액정적하장치 내부의 유로(250)에 일정공간으로 형성된 챔버(251)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액정이 유동될 수 있는 액정유로(213)가 관통되게 형성된 몸체(210);
    상기 몸체(210)의 양쪽에 각각 장착된 솔레노이드코일(241, 242); 및
    상기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에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상기 몸체(210)가 이동되면 상기 액정유로(213)를 통해 유입 및 유출되는 액정의 유압에 의해 상기 액정유로(213)를 개폐하는 피스톤(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유도방식의 액정토출펌프(2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210)는 상기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에 형성된 자력에 의해 양쪽으로 이동이 가능한 금속성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유도방식의 액정토출펌프(20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210)는 상기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에 형 성된 자기장에 의해 양쪽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극성을 갖도록 자화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유도방식의 액정토출펌프(200).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20)은 상기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에 형성된 자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유도방식의 액정토출펌프(200).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20)은 가이드홀(221)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221)에 상기 몸체(210) 내부의 액정유출구(212)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재(230)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피스톤(220)이 몸체(210)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액정유로(213)가 개방되고 상기 피스톤이 몸체(210)쪽으로 이동되면 상기 액정유로(213)가 폐쇄되어 상기 피스톤(220)이 체크밸브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유도방식의 액정토출펌프(200).
  6. 유체에 토출압력을 가하는 유체토출펌프(200)에 있어서, 상기 유체적하장치 내부의 유로(250)에 일정공간으로 형성된 챔버(251)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213)가 관통되게 형성된 몸체(210); 상기 몸체(210)의 양쪽에 장착된 솔레노이드코일(241, 242); 및 상기 솔레노이드코일(241, 242)에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상기 몸체(210)가 이동되면 상기 유로(213)를 통해 유입 및 유출되는 유체의 유압에 의해 상기 유로(213)를 개폐하는 피스톤(220)을 포함하여 이 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유도방식의 액정토출펌프(200).
KR1020050125314A 2005-12-19 2005-12-19 전자기유도방식의 액정토출펌프 KR100696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314A KR100696449B1 (ko) 2005-12-19 2005-12-19 전자기유도방식의 액정토출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314A KR100696449B1 (ko) 2005-12-19 2005-12-19 전자기유도방식의 액정토출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449B1 true KR100696449B1 (ko) 2007-03-19

Family

ID=4162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314A KR100696449B1 (ko) 2005-12-19 2005-12-19 전자기유도방식의 액정토출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4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5915A (ja) * 1993-03-12 1994-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充填用吐出装置
JPH08122122A (ja) * 1994-10-24 1996-05-17 Fujikura Rubber Ltd 定量ディスペンサ
JP2003057666A (ja) * 2001-08-10 2003-02-26 Sharp Corp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そ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システム
KR20030067996A (ko) * 2002-02-09 2003-08-1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노즐의 보호가 가능한 액정적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5915A (ja) * 1993-03-12 1994-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充填用吐出装置
JPH08122122A (ja) * 1994-10-24 1996-05-17 Fujikura Rubber Ltd 定量ディスペンサ
JP2003057666A (ja) * 2001-08-10 2003-02-26 Sharp Corp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そ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システム
KR20030067996A (ko) * 2002-02-09 2003-08-1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노즐의 보호가 가능한 액정적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ller et al. Remotely addressable magnetic composite micropumps
US5605317A (e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valve
US20120118410A1 (en) Magnetically controlled valve for flow manipulation in polymer microfluidic devices
CN102256690A (zh) 疏水阀
JP2009543703A (ja) マイクロ流体システム
US20200188912A1 (en) A microfluidic device
US4928125A (en) Liquid drop ejection apparatus using a magnetic fluid
Rahbar et al. Design,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rrayable all-polymer microfluidic valve employing highly magnetic rare-earth composite polymer
US20180023723A1 (en) Electromagnetic actuator
KR100696449B1 (ko) 전자기유도방식의 액정토출펌프
Assadsangabi et al. Planar variable inductor controlled by ferrofluid actuation
EP1679460A1 (en) Valve
Sutanto et al. Design, microfabrication and testing of a CMOS compatible bistable electromagnetic microvalve with latching/unlatching mechanism on a single wafer
US10385893B2 (en) Electropermanent magnet activated microfluidic droplet size modulation
Gaspar et al. Magnetically controlled valve for flow manipulation in polymer microfluidic devices
JP4709212B2 (ja) 双安定小型弁
Assadsangabi et al. Bidirectional actuation of ferrofluid using micropatterned planar coils assisted by bias magnetic fields
US8241019B2 (en) Pump element and pump having such a pump element
Bintoro et al. CMOS compatible bistable electromagnetic microvalve on a single wafer
KR20130041202A (ko) 액적 이동 장치, 액적 이동 방법 및 혈장 분리 장치 그리고 혈장 분리 방법
JP2024507730A (ja) 磁気分離
Zhi et al. A micro pump driven by a thin film permanent magnet
JP2003098050A (ja) 分注機
JP2010068567A (ja) 磁性流体用ポンプ
Moghadam et al. Hydromagnetic micropump and flow controller. Part A: experiments with nickel particles added to the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