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365B1 - 건축용 창호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창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365B1
KR100696365B1 KR1020070002771A KR20070002771A KR100696365B1 KR 100696365 B1 KR100696365 B1 KR 100696365B1 KR 1020070002771 A KR1020070002771 A KR 1020070002771A KR 20070002771 A KR20070002771 A KR 20070002771A KR 100696365 B1 KR100696365 B1 KR 100696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onnecting shaft
opening
large window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영권
Original Assignee
(주) 신평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평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 신평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7000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both inwards and out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개폐창과 대형창으로 이루어진 창호구조의 대형창 일측면에 선택적으로 이와 접촉을 이루는 다수개의 슬라이드편을 설치함으로써, 기상 악화시 상기 대형창을 지지/보호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차양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창호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공간의 자연채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창문틀의 중앙에 설치된 대형창과 상기 대형창의 양측에 설치되어 개폐동작을 이루는 개폐창으로 이루어진 창호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창 일측면에 등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통공이 형성된 측의 개폐창 일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구획편이 돌출/형성된 한 쌍의 연결축;
상기 연결축에 탄성력을 통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연결축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연결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창에 고정된 스파이럴기어;
상기 각 통공을 통해 한 쌍의 연결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개폐창이 서로 근접할 때 상기 연결축에 감기고 한 쌍의 개폐창이 떨어질 때 연결축에서 풀려 장력을 유지하는 다수개의 와이어 및
상기 대형창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 되며, 내측에 상기 다수개의 와이어가 삽입/연결되는 다수개의 힌지구가 설치되고, 일측면에 상기 대형창과 접촉을 이루는 탄성편이 결합된 다수개의 슬라이드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파이럴기어, 개폐창, 대형창, 슬라이드편

Description

건축용 창호구조{windows and door structure for buildings}
도 1a 및 1b는 종래 창호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창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창호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창호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창호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창호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창문틀 20 : 대형창
30 : 개폐창 110 : 연결축
120 : 스파이럴기어 130 : 와이어
140 : 슬라이드편
본 발명은 창호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개폐창과 대형창으로 이루어진 창호구조의 대형창 일측면에 선택적으로 이와 접촉을 이루는 다수개의 슬라이드편을 설치함으로써, 기상 악화시 상기 대형창을 지지/보호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차양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창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창문은 태양광에 의한 실내 조명 기능과 함께 실외 관망기능 및 풍수의 차단, 방음, 단열 등의 역할을 하는 건축물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이와 같은 창문을 구성하는 창문틀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벽체의 개구부에 고정되고, 상기 창문틀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창문틀에는 창문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창문틀을 개폐하는 창문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창문은 건축물 벽체에 대부분 직사각형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상기 창문틀의 내부에 다수개의 창문이 설치되어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창문에는 내측으로 블라인드 또는 커튼이 설치되어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1b는 종래 창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건축물(10)의 외측 벽체(11)에는 창문틀(12)이 직사각형 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창문틀(12)에는 내부에 유리창과 창틀로 구성된 창문(14)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리창을 통해 실내 채광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유리창이 연결된 창문(14)을 통해 실내 환기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생활공간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창호구조는 전체적인 실내공간에 비해 그 설치공간이 좁기 때문에 거주민이 답답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b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호구조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창문틀(10)의 중앙부에 대형창(20)을 설치한 후, 상기 대형창(20)의 양측에 창문틀(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창문틀(10)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창(30)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대형창(20)을 통해 실내 채광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개폐창(30)을 통해 실내 환기를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창호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대형창은 그 면적이 넓기 때문에 바람에 저항을 많이 받으며, 이에 따라 기상 악화시 강한 바람 및 이와 함께 동반되는 이물질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창호구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한 쌍의 개폐창과 대형창으로 이루어진 창호구조의 대형창 일측면에 선택적으로 이와 접촉을 이루는 다수개의 슬라이드편을 설치함으로써, 기상 악화시 상기 대형창을 지지/보호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차양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창호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공간의 자연채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창문틀의 중앙에 설치된 대형창과 상기 대형창의 양측에 설치되어 개폐동작을 이루는 개폐창으로 이루어진 창호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창 일측면에 등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통공이 형성된 측의 개폐창 일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구획편이 돌출/형성된 한 쌍의 연결축;
상기 연결축에 탄성력을 통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연결축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연결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창에 고정된 스파이럴기어;
상기 각 통공을 통해 한 쌍의 연결축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개폐창이 서로 근접할 때 상기 연결축에 감기고 한 쌍의 개폐창이 떨어질 때 연결축에서 풀려 장력을 유지하는 다수개의 와이어 및
상기 대형창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다수개의 와이어가 삽입/연결되는 다수개의 힌지구가 설치되고, 일측면에 상기 대형창과 접촉을 이루는 탄성편이 결합된 다수개의 슬라이드편을 포 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편은 상기 대형창을 통해 외부로부터 실내공간이 보이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정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창호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창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창호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창호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창호구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창호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2 내지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용 창호구조는 한 쌍의 연결축(110), 스파이럴기어(120), 다수개의 와이어(130) 및 다수개의 슬라이드편(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대형창(20)의 양측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개폐창(30)의 일측면에 등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통공(22)을 형성되고, 상기 통공(22)이 형성된 측의 내측에 하부에 상기 통공(22)과 연통관계를 갖는 제1 공간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24)의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된 제2 공간부(2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공(22)들은 상기 대형창(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되는 위치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축(110)은 상기 통공(22)이 형성된 측의 개폐창(30) 일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내설된다. 이때, 상기 연결축(110)은 그 외주면에 상기 다수개의 와이어(130) 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다수개의 구획편(112)이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축(110)은 상기 개폐창(30)의 제1 공간부(24)에 삽입/설치되며, 그 하부에는 상기 연결축(11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베어링(미도시)이 삽입/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축(110)에 탄성력을 통해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파이럴기어(120)는 상기 제2 공간부(26)에 삽입/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파이럴기어(120)는 그 일단이 상기 연결축(110)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창(30)의 제2 공간부(26)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와이어(130)는 상기 다수개의 통공(22)들을 통해 한 쌍의 연결축(110) 사이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130)는 상기 스파이럴기어(120)에 의해 개폐창(30)이 서로 근접할 때 상기 연결축(110)에 감기고, 개폐창(30)이 서로 떨어질 때 연결축(110)에서 풀려 장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편(140)은 상기 대형창(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13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편(140)은 그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개구 공(142)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공(142)의 내측에는 관통공(146)을 갖는 힌지구(144)가 삽입/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편(140)은 상기 관통공(146)에 연결된 와이어(130)를 통해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편(140)의 일측면에는 상기 대형창(20)과 접촉을 이루는 탄성편(148)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각 슬라이드편(140)은 상기 대형창(20)을 통해 외부로부터 실내공간이 보이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정도로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건축용 창호구조는
한 쌍의 개폐창과 대형창으로 이루어진 창호구조의 대형창 일측면에 선택적으로 이와 접촉을 이루는 다수개의 슬라이드편을 설치함으로써, 기상 악화시 상기 대형창을 지지/보호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차양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날씨가 화창하여 슬라이드편(140)이 필요없을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드편(140)들을 상기 개폐창(30) 측으로 모두 위치시켜 상기 대형창(20)을 개방한다.
이후, 기상이 악화되어 상기 대형창(20)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상기 슬라이드편(140)들을 와이어(130)를 통해 슬라이딩 이동시켜 대형창(20)의 전면에서 일정한 간격이 되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편(140)의 탄성편(148)은 상기 대형창(20)에 접촉되어 대형창(20)을 지지함과 아울러, 블라인드의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대형창(20)을 통해 외부로부터 실내공간이 보이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130)의 장력은 상기 연결축(110)에 연결된 스파이럴기어(120)를 통해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상기 개폐창(30)을 개방하여 한 쌍의 개폐창(30)이 서로 근접할 경우 상기 연결축(110)은 상기 스파이럴기어(12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와이어(130)를 감는다.
또한, 상기 개폐창(30)을 닫아 한 쌍의 개폐창(30)이 서로 떨어질 경우 상기 연결축(110)은 와이어(130)에 의해 회전하여 스파이럴기어(120)를 감아 스파이럴기어(120)가 탄성력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와이어(130)는 연결축(110)에서 풀려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파이럴기어(120)를 통해 장력을 유지하고 있는 다수개의 와이어(130)에 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다수개의 슬라이드편(140)을 설치함으로써, 대형창(20)을 지지/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개폐창과 대형창으로 이루어진 창호구조의 대형창 일측면에 선택적으로 이와 접촉을 이루는 다수개의 슬라이드편을 설치함으로써, 기상 악화시 상기 대형창을 지지/보호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차양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실내공간의 자연채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창문틀의 중앙에 설치된 대형창과 상기 대형창의 양측에 설치되어 개폐동작을 이루는 개폐창으로 이루어진 창호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창(30) 일측면에 등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통공(22)을 형성하되,
    상기 통공(22)이 형성된 측의 개폐창(30) 일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내설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구획편(112)이 돌출/형성된 한 쌍의 연결축(110);
    상기 연결축(110)에 탄성력을 통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연결축(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연결축(1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창(30)에 고정된 스파이럴기어(120);
    상기 각 통공(22)을 통해 한 쌍의 연결축(110)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개폐창(30)이 서로 근접할 때 상기 연결축(110)에 감기고 한 쌍의 개폐창(30)이 떨어질 때 연결축(110)에서 풀려 장력을 유지하는 다수개의 와이어(130) 및
    상기 대형창(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13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상기 다수개의 와이어(130)가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공(146)을 갖는 다수개의 힌지구(144)가 설치되고, 일측면에 상기 대형창(20)과 접촉을 이루는 탄성편(148)이 결합된 다수개의 슬라이드편(1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창호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편(140)은 상기 대형창(20)을 통해 외부로부터 실내공간이 보이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정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창호구조.
KR1020070002771A 2007-01-10 2007-01-10 건축용 창호구조 KR100696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771A KR100696365B1 (ko) 2007-01-10 2007-01-10 건축용 창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771A KR100696365B1 (ko) 2007-01-10 2007-01-10 건축용 창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365B1 true KR100696365B1 (ko) 2007-03-19

Family

ID=41623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771A KR100696365B1 (ko) 2007-01-10 2007-01-10 건축용 창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365B1 (ko)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25601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09011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11532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1776B2 (en) Solar window construction and methods
US10763778B2 (en) Solar window construction and methods
US11489483B2 (en) Solar window construction and methods
KR101575708B1 (ko) 블라인드 창 및 방충망 창을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KR100813102B1 (ko) 자연 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KR101930341B1 (ko) 천장, 경사면, 곡면 및 외부 차양용 블라인드 장치
KR100938698B1 (ko) 환기창
WO2009084878A2 (en) Double window having horizontal cross-ventilation function
KR100696365B1 (ko) 건축용 창호구조
WO2017151064A1 (en) External blind in a glazed housing
KR101277056B1 (ko) 한옥의 창호 시스템
KR101173175B1 (ko)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
KR101162922B1 (ko) 다기능 창호 조립체
KR20180088031A (ko) 커튼 내장형 창호
CN205000862U (zh) 一种能选择隔音或通风的门
JP2014125846A (ja) 住宅内外の中間領域創出構造
KR20140144889A (ko) 접이식 창틀
CN108625759B (zh) 更换型百叶窗
JP7253783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20130098123A (ko) 바닥 은폐형 이중 안전창
KR200355962Y1 (ko) 상.하 및 좌.우 개폐가 가능한 커튼
KR102049297B1 (ko) 방충망 일체형 차양장치
CN214403219U (zh) 一种合页隐藏式的内开窗
CN108999551A (zh) 一种可伸缩式外接防雨百叶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