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144B1 - 광주사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광주사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94144B1 KR100694144B1 KR1020050065672A KR20050065672A KR100694144B1 KR 100694144 B1 KR100694144 B1 KR 100694144B1 KR 1020050065672 A KR1020050065672 A KR 1020050065672A KR 20050065672 A KR20050065672 A KR 20050065672A KR 100694144 B1 KR100694144 B1 KR 1006941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mirror
- polygon mirror
- blocking member
- light sou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4—Details of the optical system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polygonal mirr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광주사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광주사기는 광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광원, 그 외표면에 다수의 반사경을 구비한 것으로, 회전 구동되면서 광원에서 입사된 광빔을 주사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폴리건미러 및 폴리건미러의 작동 여부에 따라 폴리건미러의 입사 광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도록 차단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를 스윙 동작하는 광차단부재를 구비하되, 광차단부재는 폴리건미러의 동작시 생성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개방위치로 스윙되고, 폴리건미러의 정지시 복원력에 의해 차단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광주사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레이저 빔 차단구조를 구비하여 유지 보수작업시 작업자의 신체 손상이 방지되면서도 추가적인 제조비용 및 소요되는 장착 공간이 최소화된다.
Description
도 1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6350호에 개시된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광차단부재를 서로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도 4의 Ⅵ-Ⅵ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광차단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기에서 채용되는 광차단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기에서 채용되는 광차단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상형성장치 110 : 현상 유니트
130 : 전사롤러 140 : 정착기
200 : 광주사기 210 : 광원유니트
221 : 폴리건미러 225 : 회로기판
230 : 광차단부재 231 : 결합부
233,333,433 : 기동부 235,335,435 : 차폐부
240 : 주사광학렌즈 280 : 커버부재
331,431 : 힌지축 381, 481 : 힌지브라켓
본 발명은 광주사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레이저 빔 차단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유지 보수작업시 작업자의 신체 손상이 방지되는 광주사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주사기(Laser scanning unit; LSU)는 레이저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바코드 리더, 팩시밀리 등의 기기에 채용되는 것으로, 빔편향기에 의한 주주사와, 감광드럼의 회전에 의한 부주사를 통하여 피노광면에 잠상(latent image)을 형성한다.
도 1에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6350호에 개시된 화상형성장치의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화상형성장치(50)에는 인쇄용지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유니트(10) 및 상기 현상 유니트(10)에 대해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기(Laser Scanning Unit,20)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광주사기(20) 및 현상 유니트(10)의 경계부를 형성하는 레이저 빔 차단장치(30)는 광주사기(20)의 투과 개구(20`)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작동된다. 레이저 빔 차단장치(30)는 광주사기(20)의 투과 개구(20`)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으로 광주사기(20) 측에 승하강하도록 마련된 돌출레버(25), 상기 돌출레버(25)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경사 슬라이더(21), 상기 돌출레버(25)와 접촉하면서 돌출레버(25)를 작동하도록 현상 유니트(10) 측에 마련된 작동부(15)를 포함한다. 현상 유니트(10)가 장착됨에 따라, 그 상측의 작동부(15)는 경사 슬라이더(21)를 따라 돌출레버(25)를 밀어내면서 돌출레버(25)에 결합된 차단판(23)이 광주사기(20)의 투과 개구(20`)를 개방하도록 한다. 돌출레버(25)를 지지하고 있던 현상 유니트(10)가 제거되면 돌출레버(25)는 그 자중에 의해 경사 슬라이더(21)를 따라 하측으로 하강하면서 돌출레버(25)에 결합된 차단판(23)이 LSU(20)의 투과 개구(20`)를 차단하며, 이에 따라, 현상 유니트(10)의 제거 또는 장착시 광주사기(20)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의 외부 유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개시된 종래기술에 의하면, 광주사기(20)의 차단판(23)을 승하강 구동하기 위해, 현상 유니트(10)에 작동부(15)가 마련되어야 하며, 또한, 현상 유니트(10)가 제거되는 경우에만 투과 개구(20`)가 차단되는 구조이므로, 현상 유니트(1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레이저 빔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 및 그 밖의 다른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이저 빔의 차단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컴팩트화에 적합한 광주사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 유니트의 탈 장착과 무관하게, 광주사기의 정지시 레이저 빔이 차단되는 광주사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광주사기는,
광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광원;
그 외표면에 다수의 반사경을 구비한 것으로, 회전 구동되면서 상기 광원에서 입사된 광빔을 주사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폴리건미러; 및
상기 폴리건미러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폴리건미러의 입사 광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도록 차단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를 스윙 동작하는 광차단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광차단부재는 상기 폴리건미러의 동작시 생성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개방위치로 스윙되고, 상기 폴리건미러의 정지시 복원력에 의해 차단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바람직하게, 상기 광주사기는 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마주보게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커버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때, 상기 광차단부재는 상기 커버부재 내측 면에 결합되어 스윙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차단부재는,
상기 커버부재 내측 면에 부착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 일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폴리건미러에 의해 유도된 공기 흐름을 타고 스윙되는 기동부; 및
상기 기동부의 측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폴리건미러의 입사 광로를 차단하는 차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차단부재는 휨 변형이 가능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와 커버부재 사이에는 접착수단이 개재되어 결합을 매개할 수 있다. 상기 기동부는 판상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주된 면은 상기 폴리건미러를 둘러싸는 외주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폐부는 판상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주된 면은 상기 광원과 폴리건미러를 잇는 광경로와 수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차단부재는 그 자체의 탄성력 및 자중에 의해 차단위치로 복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차단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것으로, 상기 폴리건미러에 의해 유도된 공기 흐름을 타고 스윙되는 기동부; 및
상기 기동부의 측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된 것으로, 상기 폴리건미러의 입사 광로를 차단하는 차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동부는 판상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주된 면은 상기 폴리건미러를 둘러싸는 외주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폐부는 판상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주된 면은 상기 광원과 폴리건미러를 잇는 광경로와 수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 면에는 상기 힌지축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는 상기 기동부의 측단에서 좌 우측의 어느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기동부의 측단에서 좌 우의 양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동부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 상에 광 신호를 주사하여 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기 및 상기 감광드럼 상의 잠상을 인쇄매체 상의 가시화상으로 구현하는 현상 유니트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기는,
광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광원;
그 외표면에 다수의 반사경을 구비한 것으로, 회전 구동되면서 상기 광원에서 입사된 광빔을 주사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폴리건미러; 및
상기 폴리건미러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폴리건미러의 입사 광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도록 차단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를 스윙 동작하는 광차단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광차단부재는 상기 폴리건미러의 동작시 생성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개방위치로 스윙되고, 상기 폴리건미러의 정지시 복원력에 의해 차단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광주사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면서 구성부품들을 수용하는 케이스(101), 상기 케이스(101) 내에 설치되어 인쇄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유니트(110), 상기 현상 유니트(110)에 대해 광 신호(L)를 주사하여 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기(200) 및 인쇄매체 상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광주사기(200)는 현상유니트(110), 보다 상세하게, 현상유니트(110)의 감광드럼(111) 상에 광 신호(L)를 주사하면서, 대전롤러(119)에 의해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111) 상에 소정의 잠상을 형성한다. 상기 현상유니트(110)는, 광주사기(200)에 의해 그 외주면에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111) 및 상기 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드럼(111) 상에 토너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롤러(113)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롤러(113)의 주위에는 토너하우징(117)에 수용된 토너(T)를 상기 현상롤러(113)로 공급하는 공급롤러(115)가 배치된다.
토너화상이 형성된 감광드럼(111)은 인쇄매체(M)를 사이에 두고 전사롤러 (130)와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되며, 이로써, 감광드럼(111) 상의 토너화상은 감광드럼(111) 및 전사롤러(130)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M)로 전이된다. 도 2에서 도면부호 P는 인쇄매체(M)의 이송경로를 나타낸 것으로, 인쇄매체(M)는 제1 급지대(171) 또는 제2 급지대(173)에 적재되어 있다가 각각의 제1 픽업롤러(151) 또는 제2 픽업롤러(153)에 의해 낱장으로 픽업되어 전사롤러(130) 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제1 픽업롤러(151) 및 전사롤러(130) 사이에는 용지정렬기(155)가 배치되는데, 이 용지정렬기(155)는 인쇄매체(M)의 급지를 담당함과 동시에, 토너화상이 인쇄매체(M) 상의 원하는 영역으로 전사될 수 있도록 인쇄매체(M)를 정렬하는 작업을 한다.
상기 정착기(140)는 서로 밀착되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히트롤러(141) 및 가압롤러(142)를 포함하고, 인쇄매체(M)가 히트롤러(141) 및 가압롤러(142) 사이를 통과하면서 여기에 부착된 토너입자가 소정의 열 및 압력에 의해 열융착되도록 한다. 이렇게 가시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M)는 그 이송경로 상에 쌍을 이루어 배치된 다수의 급지롤러들(160) 사이를 통과하면서 케이스(101)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된 인쇄매체(M)는 배지대(102) 상에 적치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광주사기(200)는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는 하우징(201) 및 커버부재(280)를 포함하고, 이들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G)에 수용되는 광학부품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01)은 감광드럼(111) 상에 광빔을 주사함으로써 라인 형상의 잠상을 형성하는 주사광학계를 수용하고, 이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쉴딩(shielding)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하우징(201)은 수지소재의 사출 성형품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하우징(201)은 대응되게 형성된 커버부재(280)에 의해 그 상단이 폐쇄되고, 이로써, 내부공간(G)은 밀봉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커버부재(280) 내측 면의 소정위치에는 광차단부재(230)가 배치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201)의 일 측에는 일정하게 정형된 광빔을 제공하는 광원유니트(210)가 배치된다. 상기 광원유니트(210)는 렌즈홀더(215)가 안착된 홀더가이드(213) 및 상기 홀더가이드(213) 후방에 결합된 발광 회로기판(111)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가이드(213) 전방에는 어퍼처(aperture,217) 및 실린드리컬 렌즈(219)가 순차로 배치된다. 상기 발광 회로기판(211) 상에는 광빔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발광소자(미도시)가 탑재되는데, 발광소자로서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가 사용될 수 있다.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빔은 홀더가이드(213) 상에 안착된 렌즈홀더(215) 측으로 입사된다. 렌즈홀더(215)는 대략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고, 여기에는 발광소자로부터 방사된 발산광을 평행광 형태로 변환하는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미도시)가 고정된다.
콜리메이팅 렌즈에 의해 변환된 평행광은 광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된 어퍼처(217)를 통과하면서 주주사 방향으로 장폭을 갖는 빔 형태로 정형되고, 이어서 배치된 실린드리컬 렌즈(219)를 거치면서 부주사 방향으로 수렴되어 후술하는 폴리건미러(221) 상에 집속된다. 여기서, 주주사 방향은 폴리건미러(221)에 의해 광빔이 주사되는 방향으로 감광드럼(111) 상의 주사선 방향에 해당되고, 이에 대해, 부주사 방향은 감광드럼(111)이 회전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광원유니트(210)와 마주보는 하우징(201)의 소정영역에는 폴리건미러(221)가 탑재된 회로기판(225)이 배치된다. 상기 폴리건미러(221)는 그 외측면이 다수의 반사면으로 분할된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며, 구동모터(223)의 로우터 상에 장착되어 고속으로 회전된다. 폴리건미러(221)로 입사된 광빔은 고속 회전되는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면서 주주사 방향을 따라 일정한 속도로 편향된다. 상기 폴리건미러(221)에서 반사되면서 주주사 방향으로 편향된 광빔은, 소위 에프-세타 렌즈(f-θ lens)로도 불리는 주사광학렌즈(240)를 통하여, 주주사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배율로 집속되고, 이에 따라, 입사광은 감광드럼(111) 상에 결상되어서 라인 형상의 잠상(latent image)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주사광학렌즈(240)는 주주사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을 갖는다. 주사광학렌즈(240)를 통해 집속된 광빔은 반사미러(251)에 의해 그 진행 경로가 전환되어 감광드럼(111) 상으로 도광되는데, 하우징(201) 저면에는 대략 장방형의 윈도우(270)가 마련되고, 이 윈도우(270)를 통하여 출사된 광빔은 광주사기(200) 외부의 감광드럼(111) 상으로 주사된다. 한편, 잠상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주사선과 동기시키기 위하여 주사광학렌즈(240) 및 반사미러(251) 사이에는 동기미러(261) 및 상기 동기미러(261)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광센서(263)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하로 배치된 커버부재(280)와 하우징(201)이 상호 결합되면, 접착수단(281)에 의해 커버부재(280) 저면에 부착된 광차단부재(230)는 광원유니트(210) 와 폴리건미러(221) 사이의 광경로(R) 상에 위치된다. 도 4 및 도 5에는 광차단부재를 서로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광차단부재(230)는 커버부재(280) 저면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는데, 폴리건미러(221)의 광경로(R) 상에 배치되어 폴리건미러(221)의 작동 유무에 따라 광경로(R)를 개방 또는 차단하면서 유사시 레이저 빔의 유출을 방지한다. 상기 광차단부재(230)는 절곡된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접착수단(281)에 의해 커버부재(280) 저면에 부착되는 결합부(231), 상기 결합부(231)에서 절곡되어 수직하게 연장된 기동부(233), 상기 기동부(233)의 측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된 차폐부(235)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231)는 점착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281)에 의해 커버부재(280) 내측 면에 부착되고, 상기 기동부(233)는 그 주된 면이 폴리건미러(221)를 둘러싸는 원주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와류 형태의 공기 흐름(W)을 타고 스윙된다. 상기 차폐부(235)는 발광소자(212) 및 폴리건미러(221) 사이의 광경로(R) 상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광경로(R)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광차단부재(230)는, 그 자체의 탄성 변형을 통하여 개방위치 및 차단위치 사이를 스윙할 수 있고 변형시 원상태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광차단부재(230)를 이루는 탄성 소재는 폴리건미러(221)의 작동시 생성되는 공기의 압력이나 기동부(233) 면적 등을 고려하여 구체적으로 선정될 수 있고, 선정을 위한 기준으로 구체적인 탄성 계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는 도 4의 Ⅵ-Ⅵ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광차단부재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광주사기의 구동시, 고속 회전되는 폴리건미러(221) 주위에는 이를 둘러싸는 원주방향으로 공기 흐름(W)이 생성되고, 이러한 공기 흐름(W)은 광차단부재(230)의 기동부(233)를 밀어내면서 광차단부재(230)를 차단위치(A)에서 개방위치(B)로 스윙시킨다. 이때, 광차단부재(230)는 자체의 탄성 변형에 의해 개방위치(B)로 작동되는데, 결합부(231) 및 기동부(233)의 경계를 형성하는 C 지점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스윙 동작될 수 있다. 발광소자(212) 및 폴리건미러(221)를 연결하는 광로(R)가 개방됨에 따라 발광소자(212)에서 출사된 광빔은 회동하는 폴리건미러(221)로 입사되고, 그 반사작용에 의해 감광드럼(111) 상으로 주사되어 라인 형상의 잠상을 형성한다.
개방위치(B)로 스윙된 상태의 광차단부재(230)는 폴리건미러(221)의 작동이 정지됨에 따라 광차단부재(230)의 탄성력 및 자중에 의해 차단위치(A)로 복귀되고, 직립한 자세로 발광소자(212) 및 폴리건미러(221) 사이의 광로를 차단한다. 즉, 폴리건미러(221)의 회전이 정지되면서 그 주위에 생성되었던 공기 흐름(W)이 정지되고, 광차단부재(230)는 그 자체의 탄성력 및 자중의 영향으로 차단위치(A)로 동작되는 것이다. 이렇게 광차단부재(230)가 폴리건미러(221)의 작동 여부에 따라 광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현상 유니트(110)를 장착 또는 탈착하는 경우, 레이저 빔의 노출로 인한 작업자의 신체 손상이 방지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폴리건미러(221)의 정지시 레이저 빔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현상 유니트(110)의 제거시에만 레이저 빔이 차단되던 종래기술에 비해 높은 안전 기준이 적용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비해 빔 차단 구조가 단순화됨으로써, 제조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전체 화상형성장치의 컴팩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광차단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광차단부재(330)는 힌지축(331), 상기 힌지축(331)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기동부(333), 및 상기 기동부(333)의 일 측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된 차폐부(335)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축(331)은 커버부재(28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광차단부재(33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커버부재(280)의 내측 면에는 힌지축(331)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브라켓(381)이 결합되는데, 힌지브라켓(381)에는 나사공(381``)이 형성되고, 미도시된 나사부재가 나사공(381``)을 관통하여 커버부재(280)에 체결된다. 상기 힌지브라켓(381)에는 힌지축(331)의 양단이 삽입되는 관통공(381`)이 형성되고, 상기 광차단부재(330)는 힌지브라켓(381)에 삽입된 힌지축(331)을 피봇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예의 광차단부재는 커버부재에 피봇팅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되므로, 탄성체로 이루어질 필요가 없고 강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차단부재의 작동 중, 탄성 변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폴리건미러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 압력이 다소 낮은 경우에도 광차단부재가 원활히 작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광차단부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광차단부재(430)는 힌지축(431), 상기 힌지축(431)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기동부(433), 상기 기동부(433)의 측단에서 좌우로 수평하게 연장된 차폐부(43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차폐부(435)는 기동부(433)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대칭을 이루어 연장되므로, 좌우로 균형이 맞춰진 광차단부재(430)는 폴리건미러(221)의 작동이 중지되면 자중에 의해 정확하게 직립된 자세로 폴리건미러(221)의 광 경로(R)를 차단한다. 이렇게 광차단부재(430)의 중앙으로 광 경로(R)를 차단하게 됨으로써, 발광소자(212) 및 폴리건미러(221)를 잇는 광 경로(R) 상으로 광차단부재(430)를 정렬시킴에 있어서, 좌우 양측으로 충분한 여유 마진이 확보되고, 광차단부재(430)의 정밀한 얼라인이 요구되지 않게 되어, 얼라인 작업의 편이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광주사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폴리건미러의 작동 여부에 따라 레이저 빔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광차단부재가 설치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현상 유니트를 장착 또는 탈착하는 경우, 레이저 빔의 노출로 인한 작업자의 신체 손상이 방지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폴리건미러의 정지시에 레이저 빔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현상 유니트의 제거시에만 레이저 빔이 차단되던 종래기술에 비해 높은 안전 기준을 만족시키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비해 빔 차단 구조가 단순화됨으로써, 제조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전체 화상형성장치의 컴팩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 다.
Claims (25)
- 삭제
- 삭제
- 광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광원;그 외표면에 다수의 반사경을 구비한 것으로, 회전 구동되면서 상기 광원에서 입사된 광빔을 주사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폴리건미러; 및상기 폴리건미러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폴리건미러의 입사 광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도록 차단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를 스윙 동작하는 광차단부재;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상기 하우징과 마주보게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커버부재; 를 구비하되,상기 광차단부재는 상기 폴리건미러의 동작시 생성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개방위치로 스윙되고, 상기 폴리건미러의 정지시 복원력에 의해 차단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커버부재 내측 면에 결합되어 스윙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광차단부재는,상기 커버부재 내측 면에 부착된 결합부;상기 결합부 일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폴리건미러에 의해 유도된 공기 흐름을 타고 스윙되는 기동부; 및상기 기동부의 측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폴리건미러의 입사 광로를 차단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광차단부재는 휨 변형이 가능한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 삭제
- 삭제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차폐부는 판상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주된 면은 상기 광원과 폴리건미러를 잇는 광경로와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광차단부재는 그 자체의 탄성력 및 자중에 의해 차단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광차단부재는,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힌지축;상기 힌지축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것으로, 상기 폴리건미러에 의해 유도된 공기 흐름을 타고 스윙되는 기동부; 및상기 기동부의 측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된 것으로, 상기 폴리건미러의 입사 광로를 차단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차폐부는 판상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주된 면은 상기 광원과 폴리건미러를 잇는 광경로와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커버부재의 내측 면에는 상기 힌지축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브라켓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차폐부는 상기 기동부의 측단에서 좌 우측의 어느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동부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차폐부는 상기 기동부의 측단에서 좌 우의 양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동부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광차단부재는 그 자중에 의해 차단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 삭제
- 감광드럼 상에 광 신호를 주사하여 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기 및 상기 감광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인쇄매체 상의 가시화상으로 구현하는 현상 유니트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상기 광주사기는,광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광원;그 외표면에 다수의 반사경을 구비한 것으로, 회전 구동되면서 상기 광원에서 입사된 광빔을 주사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폴리건미러; 및상기 폴리건미러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폴리건미러의 입사 광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도록 차단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를 스윙 동작하는 광차단부재;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상기 하우징과 마주보게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커버부재; 를 구비하되,상기 광차단부재는 상기 폴리건미러의 동작시 생성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개방위치로 스윙되고, 상기 폴리건미러의 정지시 복원력에 의해 차단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커버부재 내측 면에 결합되어 스윙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광차단부재는,상기 커버부재 내측 면에 부착된 결합부;상기 결합부 일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폴리건미러에 의해 유도된 공기 흐름을 타고 스윙되는 기동부; 및상기 기동부의 측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폴리건미러의 입사 광로를 차단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광차단부재는,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힌지축;상기 힌지축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것으로, 상기 폴리건미러에 의해 유도된 공기 흐름을 타고 스윙되는 기동부; 및상기 기동부의 측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된 것으로, 상기 폴리건미러의 입사 광로를 차단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하우징;광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광원;상기 광원에서 입사된 광을 주사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미러부재; 및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미러부재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상기 광원 및 미러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광차단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광차단부재는,상기 미러부재의 동작에 따라 상기 광의 진행을 차단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광의 진행을 허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광차단부재는,상기 미러부재의 동작으로 생성된 공기 흐름에 따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기.
-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기와, 상기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 유니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상기 광주사기는,하우징;광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광원;상기 광원에서 입사된 광을 주사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미러부재; 및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미러부재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상기 광원 및 미러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광차단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광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광원;상기 광원에서 입사된 광을 주사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미러부재; 및상기 미러부재의 동작으로 생성된 공기압에 따라 상기 광을 차단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광차단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5672A KR100694144B1 (ko) | 2005-07-20 | 2005-07-20 | 광주사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US11/483,660 US20070019265A1 (en) | 2005-07-20 | 2006-07-11 | Laser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CNA2006101214145A CN1900758A (zh) | 2005-07-20 | 2006-07-20 | 激光扫描单元及具有该激光扫描单元的成像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5672A KR100694144B1 (ko) | 2005-07-20 | 2005-07-20 | 광주사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0787A KR20070010787A (ko) | 2007-01-24 |
KR100694144B1 true KR100694144B1 (ko) | 2007-03-12 |
Family
ID=37656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65672A KR100694144B1 (ko) | 2005-07-20 | 2005-07-20 | 광주사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019265A1 (ko) |
KR (1) | KR100694144B1 (ko) |
CN (1) | CN1900758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435129B (zh) * | 2011-06-14 | 2014-04-21 | Ezontek Technologies Co Ltd | 具有遮光件之光纖適配器 |
CN103091789A (zh) * | 2011-10-27 | 2013-05-08 | 东侑光电股份有限公司 | 光纤适配器的防护盖 |
JP5850892B2 (ja) * | 2013-08-30 | 2016-02-03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6400892B2 (ja) * | 2013-09-17 | 2018-10-03 | 三和電気工業株式会社 | Lc形光コネクタの防塵シャッタ内蔵アダプタ |
JP6608225B2 (ja) * | 2015-09-08 | 2019-11-20 | キヤノン株式会社 | 光走査装置 |
JP2017111350A (ja) * | 2015-12-17 | 2017-06-22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光走査装置及び該光走査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CN109313336B (zh) | 2016-09-29 | 2021-03-02 |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 光扫描装置的壳体 |
JP6673278B2 (ja) * | 2017-03-30 | 2020-03-25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 |
JP7151443B2 (ja) * | 2018-12-10 | 2022-10-12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光走査装置及び該光走査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CN116736521B (zh) * | 2023-08-11 | 2023-10-27 | 南通唐人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高功率激光遮断以消除杂散光方法及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9603A (ja) * | 1991-07-17 | 1993-01-29 | Canon Inc | レーザ走査装置 |
JPH06308411A (ja) * | 1993-04-23 | 1994-11-04 | Canon Inc | 光偏向器 |
JP2003295082A (ja) | 2002-03-29 | 2003-10-15 | Canon Inc | レーザ光遮蔽部材及び偏向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04188744A (ja) | 2002-12-10 | 2004-07-08 | Noritsu Koki Co Ltd | 露光装置 |
-
2005
- 2005-07-20 KR KR1020050065672A patent/KR10069414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
- 2006-07-11 US US11/483,660 patent/US2007001926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6-07-20 CN CNA2006101214145A patent/CN1900758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9603A (ja) * | 1991-07-17 | 1993-01-29 | Canon Inc | レーザ走査装置 |
JPH06308411A (ja) * | 1993-04-23 | 1994-11-04 | Canon Inc | 光偏向器 |
JP2003295082A (ja) | 2002-03-29 | 2003-10-15 | Canon Inc | レーザ光遮蔽部材及び偏向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04188744A (ja) | 2002-12-10 | 2004-07-08 | Noritsu Koki Co Ltd | 露光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70019265A1 (en) | 2007-01-25 |
CN1900758A (zh) | 2007-01-24 |
KR20070010787A (ko) | 2007-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94144B1 (ko) | 광주사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
JP6444182B2 (ja) |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4871577B2 (ja) |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4845448B2 (ja) | 光学走査装置 | |
KR101111902B1 (ko) | 광주사창 클리닝셔터를 갖는 광주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 |
EP2365373A1 (en) |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0611979B1 (ko) | 광주사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
US20070030496A1 (en) | Optical beam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20070177000A1 (en) | Laser beam isola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 |
JP2008257040A (ja) | 光学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4667994B2 (ja) | 光偏向走査装置および電子写真装置 | |
US4774531A (en) | Recording apparatus | |
KR100644686B1 (ko) | 광주사기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
US6369875B1 (en) | Slidable assembly including slider pieces with an upper and lower part | |
US20240302767A1 (en) |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ed with it | |
JP6036110B2 (ja) |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4469034B2 (ja) |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写真装置 | |
JP2001133719A (ja) | 走査光学装置 | |
JP7366724B2 (ja) |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7018324B2 (ja) |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KR100406972B1 (ko) | 화상형성장치 | |
JP2005300689A (ja) | 光走査装置又はその光走査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らの光走査方法 | |
JPH09243941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9128486A (ja) |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JP2004069818A (ja) | レーザスキャ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