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580B1 -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580B1
KR100693580B1 KR1020040021315A KR20040021315A KR100693580B1 KR 100693580 B1 KR100693580 B1 KR 100693580B1 KR 1020040021315 A KR1020040021315 A KR 1020040021315A KR 20040021315 A KR20040021315 A KR 20040021315A KR 100693580 B1 KR100693580 B1 KR 100693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r
level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electromagnetic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6051A (ko
Inventor
고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21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58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6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47Camshafts
    • F01L1/053Camshafts overhea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47Cam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47Camshafts
    • F01L2001/0471Assembled cam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방사되는 전력(Radiated Power)을 외부의 전력 검파기를 이용하여 검파하고, 그 값에 따라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예측함으로써, 무선통신단말기의 생산 단계에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무선통신단말기를 가려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수단;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요청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의 전력 검파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무선송수신수단의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 신호로부터 상응하는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예측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 등에 이용됨.
무선통신단말기, 전력 검파기, 전자파 흡수율(SAR), SAR 레벨 예측

Description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edicting SAR lev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전력 검파기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무선송수신장치 12 : 연산/제어장치
13 : 코덱(CODEC) 14 : 저장장치
15 : 음성출력장치(스피커) 16 : 표시장치(LCD)
17 : 입력장치(키패드) 18 : 음성입력장치(마이크)
20 : 전력 검파기
본 발명은,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방사되는 전력(Radiated Power)을 외부의 전력 검파기를 이용하여 검파하고, 그 값에 따라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예측함으로써, 무선통신단말기의 생산 단계에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무선통신단말기를 가려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단말기란 이동통신단말기, 개인휴대통신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전자파 잡음(EMI :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은 원하지 않는 전자파 에너지로서, 전파법에서는 10 kHz ~ 3,000 GHz의 무선주파수 범위로 정의하고 있다. 대부분의 전자 기기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전자파 잡음을 발생하며, 발생된 전자(電磁) 에너지는 어떠한 매질의 경로를 통해서든 타 기기에 방해를 주게 된다. 이와 같이 타 기기에 전자파 장애를 끼치는 것을 능동적 장애라 하고, 이에 반하여 대부분의 전자 기기가 외부로부터 침입한 전자파 잡음에 의해 장애를 받는 것을 수동적 장애라 한다.
예를 들면, 컴퓨터에 내장된 클록 펄스 발생기는 수많은 고조파(Harmonics) 성분을 포함하고, 이러한 고조파 성분은 공간으로 방사되거나 전원선을 통해 전도되어 근처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이나 음성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자동차나 비행기가 지나갈 때에도 발생한다.
한편, 전자파 잡음(EMI)은 무선통신 등의 발전으로 인하여 크게 이슈화되고 있는 전자파 흡수율(SAR : Specific Absorption Rate, 이하 "SAR"이라 한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SAR은 무선통신단말기 등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얼마나 흡수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를 말한다. 즉, SAR은 무선통신단말기를 사용할 때 인체 두부에 흡수되는 단위 질량당 전자파 흡수 전력으로서, 측정치가 크면 인체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각국에서는 인체에 대한 SAR이 기준치를 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한국의 SAR 허용기준은 미국과 동일한 1.6 W/㎏이고, 유럽과 일본은 이보다 높은 2.0 W/㎏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부는 전자파의 인체 유해 여부에 대한 관심이 증폭됨에 따라 무선통신단말기의 SAR을 각 제조업체가 자율적으로 표기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각 제조업체들은 무선통신단말기의 제품설명서에 SAR의 의미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 수치 등을 명시하여야 한다. 또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이 입증될 경우 SAR이 단말기 선택의 기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단말기 제조업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종래의 SAR 레벨을 규제하는 방법은 회로를 통과하는 전력(conducted power)의 양을 검출하여 미리 정해놓은 전력 레벨 이하로 전력이 방사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송신 전력이 24dBm일 경우에 SAR 레벨이 1.6mW/g이었다면, 무선통신단말기의 송신 전력이 24dBm 이하가 되도록 생산 과정에서 조정함으로써 SAR 레벨을 규제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송신 전력의 양을 제한하더라도 생산 과정에서 편차가 발생하게 되고, SAR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무선통신단말기가 양산품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양산된 모든 무선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수십분이 소요되는 전수검사를 수행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따라서, SAR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무선통신단말기가 시중에 유통되지 않도록, 생산 과정에서 무선통신단말기의 SAR 레벨을 간편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방사되는 전력(Radiated Power)을 외부의 전력 검파기를 이용하여 검파하고, 그 값에 따라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예측함으로써, 무선통신단말기의 생산 단계에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무선통신단말기를 가려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수단;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요청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의 전력 검파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무선송수신수단의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 신호로부터 상응하는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예측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방법에 있어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을 요청받는 요청 단계; 외부의 전력 검파기로부터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 신호를 전달받는 방사 전력 측정 신호 전달 단계; 상기 전달받은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 신호로부터 상응하는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예측하는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단계; 및 상기 예측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출력시키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장치(11),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를 구동시키고 제어하며, 입력장치(키패드)(17)를 통하여 입력받은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요청 신호에 따라 외부의 전력 검파기(2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무선송수신장치(11의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 신호를 이용하여 상응하는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예측한 후, 출력장치(음성출력장치(스피커)(15), 표시장치(LCD)(16), 발광 다이오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등)를 통하여 출력시키기 위한 연산/제어장치(12), 상기 연산/제어장치(12)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선송수신장치(11)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출력장치(스피커)(15)로 출력하고, 음성입력장치(마이크)(18)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을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연산/제어장치(12)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송수신장치(11)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하기 위한 코덱(CODEC)(13),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파일 시스템(이미지, 캐릭터, 아이콘),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치에 상응하는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등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장치(14), 상기 코덱(CODEC)(13)으로부터 전달받은 음성 및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결과 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장치(스피커)(15), 상기 연산/제어장치(12)의 제어에 따른 화면(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결과 등)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장치(LCD)(16), 버튼을 통해 전화번호, 메뉴선택정보,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요청 신호 등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치(키패드)(17),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코덱(CODEC)(13)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성입력장치(마이크)(18)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외부의 전력 검파기(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방사된 전자파에 대한 SAR 레벨이 가장 높게 측정되는 부분(spot point)(31)에 위치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전력 검파기(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패드, 커플링 캐패시터 및 전력 검파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외부의 전력 검파기(20)는 회로를 통과하는 송신 전력이 아닌, 안테나를 통하여 방사되는 전력(Radiated Power)을 측정하므로, 보다 정확하게 SAR 레벨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산/제어장치(12)는 외부의 전력 검파기(20)로부터 전달받은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C : Analog to Digital Converter)(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치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한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치에 상응하는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저장장치(14)로부터 선택하여 출력장치를 통하여 출력시킨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연산/제어장치(12)가 외부의 전력 검파기(20)로부터 전달받은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C : Analog to Digital Converter)(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치로 변환한 후, 기설정되어 있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변환한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치에 상응하는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예측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하여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무선통신단말기(10)의 연산/제어장치(12)가 입력장치(17)를 통하여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다(201).
그러면, 상기 연산/제어장치(12)는 외부에 연결된 전력 검파기(20)로부터 자신의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 신호를 전달받는다(202). 그리고, 상기 연산/제어장치(12)는 상기 전달받은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 신호로부터 상응하는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예측한 후(203), 출력장치를 통하여 출력시킨다(204).
이 때, 상기 연산/제어장치(12)가 외부의 전력 검파기(20)로부터 전달받은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 신호로부터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예측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 방식을 살펴보면 상기 연산/제어장치(12)가 외부의 전력 검파기(20)로부터 전달받은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C : Analog to Digital Converter)(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치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한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치에 상응하는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저장장치(14)로부터 선택한다.
다른 방식을 살펴보면 상기 연산/제어장치(12)가 외부의 전력 검파기(20)로부터 전달받은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C : Analog to Digital Converter)(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치로 변환한 후, 기설정되어 있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상기 변환한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치에 상응하는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예측한다.
상기 "203" 및 "204" 과정은 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소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단말기 성능 테스트자 또는 생산자는 이와 같이 출력장치에 출력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참조하여, 무선통신단말기가 안전한지(즉, SAR 규제치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방사되는 전력(Radiated Power)을 외부의 전력 검파기를 이용하여 검파하고, 그 값에 따라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예측함으로써, 무선통신단말기의 생산 단계에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무선통신단말기를 가려낼 수 있고, 그에 따라 무선통신단말기의 SAR 레벨을 보다 엄격히 제한하여 소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수단;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요청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의 전력 검파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무선송수신수단의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 신호로부터 상응하는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예측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
    을 포함하는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전력 검파기는,
    상기 무선송수신수단에서 방사된 전자파에 대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이 가장 높게 측정되는 부분(spot point)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검파기 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3.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방법에 있어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 예측을 요청받는 요청 단계;
    외부의 전력 검파기로부터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 신호를 전달받는 방사 전력 측정 신호 전달 단계;
    상기 전달받은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 신호로부터 상응하는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예측하는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단계; 및
    상기 예측한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출력시키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단계는,
    상기 전달받은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ADC : 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이용하여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정치로 변환한 후,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변환한 방사 전력(Radiated Power) 측 정치에 상응하는 전자파 흡수율(SAR) 레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방법.
  5. 삭제
KR1020040021315A 2004-03-29 2004-03-29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93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315A KR100693580B1 (ko) 2004-03-29 2004-03-29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315A KR100693580B1 (ko) 2004-03-29 2004-03-29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051A KR20050096051A (ko) 2005-10-05
KR100693580B1 true KR100693580B1 (ko) 2007-03-14

Family

ID=37276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315A KR100693580B1 (ko) 2004-03-29 2004-03-29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1034B2 (en) 2019-08-13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backing off transmission power based on SA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945A (ko) * 1998-09-07 2000-04-06 윤종용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전자파 세기 측정 방법
KR20030026068A (ko) * 2001-09-24 2003-03-31 오우석 휴대폰 사용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 측정을 위한 휴대용전자파 측정장치
KR20030092962A (ko) * 2002-05-31 200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주파 정류회로를 이용한 전자파 표시장치
KR20050006439A (ko) * 2003-07-08 2005-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측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945A (ko) * 1998-09-07 2000-04-06 윤종용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전자파 세기 측정 방법
KR20030026068A (ko) * 2001-09-24 2003-03-31 오우석 휴대폰 사용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 측정을 위한 휴대용전자파 측정장치
KR20030092962A (ko) * 2002-05-31 200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주파 정류회로를 이용한 전자파 표시장치
KR20050006439A (ko) * 2003-07-08 2005-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측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1034B2 (en) 2019-08-13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backing off transmission power based on SA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051A (ko)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3235B2 (en) Communicating apparatus, noise canceling method and memory product
CN102089989B (zh) 控制射频蜂窝电话信号的发射功率的方法
JP6463306B2 (ja) 高周波輻射の検知及び評価
US95384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power efficiency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20140059492A (ko) 휴대 단말기에서 무선 충전 장치의 위치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CN105191152A (zh) 具有无线功率控制系统的电子设备
CN108810235B (zh) 终端及其控制方法
CN101806641B (zh) 一种实现移动终端过热提示的装置和方法
CN106413070B (zh) 一种功率调整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792291A (zh) 窄带信号检测
CN107171740B (zh) 射频干扰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KR100693580B1 (ko) 전력 검파기를 이용한 전자파 흡수율 레벨 예측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US78983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adio frequency signals
JP5292232B2 (ja) 無線機
CN108711957B (zh) 防止射频指标干扰的控制方法、处理装置及电子设备
KR102417734B1 (ko) 멀티-안테나 모듈의 제어 방법
CN112399012B (zh) 接近传感器设置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00102904A (ko) 전자파 흡수율의 감소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감소 방법
KR20140053467A (ko) 통신기기 수신감도 열화 분석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034350B (zh) 电子装置及其无线模块的功率调整方法
JP446841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診断方法、無線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053160B2 (ja) 無線通信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CN109032482A (zh) 分屏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4252705A (zh) 一种功率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0636595A (zh) 降低功耗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