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502B1 - 차량의 전조등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조등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502B1
KR100693502B1 KR1020050036828A KR20050036828A KR100693502B1 KR 100693502 B1 KR100693502 B1 KR 100693502B1 KR 1020050036828 A KR1020050036828 A KR 1020050036828A KR 20050036828 A KR20050036828 A KR 20050036828A KR 100693502 B1 KR100693502 B1 KR 100693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ehicle
unit
power supply
head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4763A (ko
Inventor
김한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6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502B1/ko
Publication of KR2006011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22Carb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04F2290/04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with a bottom layer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상황 변화에 따라 전조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전조등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고 안전 운전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차량의 전조등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전조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압의 고저에 따라 전원을 승압 또는 강압을 설정하는 스위치부(10),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반전하여 증폭하는 반전 증폭부(20), 스위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원과 비교되는 기준 전원을 발생시키는 기준 전원 발생부(30),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과 상기 기준 전원 발생부(30)에서 발생된 전원을 비교하는 전원비교부(40),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전원 비교부(40)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전원을 승압 또는 강압시키는 전원 공급부(50), 상기 비교부(40)의 비교 결과에 따라 승압된 전원을 전조등으로 공급하는 승압 전원공급부(60), 상기 비교부(40)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강압된 전원을 전조등으로 공급하는 강압 전원공급부(70)로 구성된다.
차량, 전조등

Description

차량의 전조등 전원 공급 장치{A power supplying equipment for vehicle's head light}
도 1은 차량의 전장품들의 배선 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전조등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스위치부 20: 반전 증폭부
30 : 기준 전원 발생부 40 : 전원비교부
50 : 전원 공급부 60 : 승압 전원공급부
70 : 강압 전원공급부
본 발명은 차량의 전조등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주행 상황 변화에 따라 전조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전조등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고 안전 운전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차량의 전조등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기 장치는 엔진 전기장치와 섀시 전기장치로 구분되며, 엔진 전기장치로는 실린더에 압축된 혼합 가스에 전기적으로 불꽃을 일으켜 점화시키기 위한 장치인 점화장치와 엔진을 기동하기 위한 기동장치 그리고 엔진이 정상으로 동작될 때 자동차 전장품에 전류를 공급하고 그 일부를 자동차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장치 등이 있고, 섀시 전기장치로는 보안상 조명장치로서 전조등, 후미등 번호등과 안전장치와 각종의 계기, 경보기 윈드시일드 와이퍼, 방향 지시기 그리고 차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난방 및 냉방 장치 그리고 라디오와 같은 음향기기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장품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로 부터 공급되고, 차량의 배터리는 엔진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재충전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차량의 전장품들의 배선 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엔진 전기장치(12)와 섀시 전기장치(14) 등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전장품들이 구비되어있으며, 배터리(1)에서 출력되는 전원은 각종 전장품들로 공급될 수 있도록 분지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1)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선로의 시작단과 전장품들 사이에는 전장품의 안전에 필요한 퓨우즈(F1, F2...., Fn)가 연결되어 있어 과부하에 의한 과전류의 유입으로 전장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의 전기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엔진의 회전수가 낮은 경우에는 차량의 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부족하여 이를 보충하기 위해 차량의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하게 되며, 이때 전압 강하로 인하여 차량의 전조등의 조도가 저하되었다.
차량의 주행 도중 경사로를 오르는 경우, 에어컨을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차량의 전기 소모량이 순간적으로 증가하지만 발전기의 전원 공급량은 이에 따르지 못하기 때문에 차량의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이 순간 전조등으로 공급되는 전압이 저하되며 차량의 전조등의 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전조등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이 순간적으로 변화되는 현상이 발생되면 전조등의 밝기 저하에 따른 운전자의 불안감이 발생되고, 전조등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항을 이용하여 이상 고전압을 강압시키는 방법이 있었으나, 저전압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전압을 낮추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배터리는 고하중의 물체이므로 차량의 하중이 증가되어 연료 소모량이 많아지고, 탑재 공간이 부족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차량의 전조등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이 변화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고 전조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차량의 전조 등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전조등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전조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압의 고저에 따라 전원을 승압 또는 강압을 설정하는 스위치부(10),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반전하여 증폭하는 반전 증폭부(20), 스위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원과 비교되는 기준 전원을 발생시키는 기준 전원 발생부(30),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과 상기 기준 전원 발생부(30)에서 발생된 전원을 비교하는 전원비교부(40),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전원 비교부(40)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전원을 승압 또는 강압시키는 전원 공급부(50), 상기 비교부(40)의 비교 결과에 따라 승압된 전원을 전조등으로 공급하는 승압 전원공급부(60), 상기 비교부(40)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강압된 전원을 전조등으로 공급하는 강압 전원공급부(70)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부(10)는 기준 전압에 따라 통전이 개폐되는 제너 다이오드(ZD1)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ZD1)의 동작에 따라 외부 출력 접점이 변화되는 릴레이(RY)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에서 차량의 전조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우선 스위치부(10)로 입력된다. 이때 스위치부(10)를 구성하는 제너 다이오드(ZD1)의 동작에 따라 릴레이(RY)가 OFF 동작하도록 하고, 기준 전압보다 높으면 ON 동작하도록 한다. 즉, 제너 다 이오드(ZD1)를 포함하고 있는 스위치부(10)는 기준 전압(13V)보다 낮은 전압이 입력될 때는 스위치부(10)의 릴레이(RY)를 오프(OFF)동작시켜 b 측으로 전원이 출력되도록 하고, 높은 전압이 입력될 때는 제너 다이오드(ZD1)로 전원이 흘러 스위치부(10)의 릴레이(RY)가 온(ON) 동작되도록 하여 a 측으로 전원이 출력되도록 한다.
릴레이(RY)의 a 또는 b 측으로 전원이 출력되면 이에 따라 승압 전원공급부(60)와 강압 전원공급부(70)를 통해 승압된 전원 또는 강압된 전원이 전조등으로 유입되어 전조등의 밝기가 유지되도록 한다.
승압 전원공급부(60)와 강압 전원공급부(7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이 기준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스위치부(10)의 릴레이(RY)는 OFF 동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b 측으로 전원이 출력된다.
스위치부(10)의 b측으로 출력된 전원은 전조등으로 입력되기 전에 전원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반전 증폭부(20)로 입력된다. 반전 증폭부(20)에서는 입력되는 전원의 위상을 반전시킨 후 증폭하여 출력하고, 출력된 전원은 비교부(40)로 입력된다.
기준 전원 발생부(3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과 비교하기 위한 기준 전원을 발생시켜 출력하고 출력된 전원은 비교부(40)로 입력시킨다.
기준 전원발생부(30)는 일정 주파수의 톱니파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이때 출력되는 톱니파는 공급되는 전원의 기준으로서 작용한다. 즉, 전조등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의 기준은 13V 이고, 최대 1V의 유동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기준 전원발 생부(30)는 13V의 전압을 갖는 전원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교부(40)는 기준 전원 발생부(30)와 발생된 기준 전원과 반전 증폭부(2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제어하도록 한다.
즉, 스위치부(10)로 입력되는 전원이 기준 전압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비교부(40)는 강압 전원공급부(70)가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강압 전원공급부(70)의 동작에 의해 저전압의 전원이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로 충전되도록 하여 전조등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안정화시킨다. 이후 전압이 안정화된 전원이 전조등으로 유입되므로 전조등이 발광되는 도중 전조등의 조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스위치부(10)로 입력되는 전원이 기준 전압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비교부(40)는 승압 전원공급부(60)가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승압 전원공급부(60)의 동작에 의해 고전압의 전원이 제 1 및 제 2 콘덴서(C1, C2)로 충전되도록 하여 전조등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안정화시킨다. 이후 전압이 안정화된 전원이 전조등으로 유입되므로 전조등이 발광되는 도중 전조등의 조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상태 변화에 따라 차량의 전조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이 변화되어도 이를 일정 전압으로 안정화시켜 전조등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전조등에 의한 조명 효과를 향상시키며, 전조등의 수명이 지속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전조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압의 고저에 따라 전원을 승압 또는 강압을 설정하는 스위치부(10),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반전하여 증폭하는 반전 증폭부(20), 스위치부(10)에서 출력되는 전원과 비교되는 기준 전원을 발생시키는 기준 전원 발생부(30),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과 상기 기준 전원 발생부(30)에서 발생된 전원을 비교하는 전원비교부(40),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전원 비교부(40)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전원을 승압 또는 강압시키는 전원 공급부(50), 상기 비교부(40)의 비교 결과에 따라 승압된 전원을 전조등으로 공급하는 승압 전원공급부(60), 상기 비교부(40)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강압된 전원을 전조등으로 공급하는 강압 전원공급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조등 전원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10)는 기준 전압에 따라 통전이 개폐되는 제너 다이오드(ZD1)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ZD1)의 동작에 따라 외부 출력 접점이 변화되는 릴레이(RY)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조등 전원 공급 장치.
KR1020050036828A 2005-05-02 2005-05-02 차량의 전조등 전원 공급 장치 KR100693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828A KR100693502B1 (ko) 2005-05-02 2005-05-02 차량의 전조등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828A KR100693502B1 (ko) 2005-05-02 2005-05-02 차량의 전조등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763A KR20060114763A (ko) 2006-11-08
KR100693502B1 true KR100693502B1 (ko) 2007-03-14

Family

ID=3765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828A KR100693502B1 (ko) 2005-05-02 2005-05-02 차량의 전조등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998B1 (ko) 2006-05-22 2007-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조등 제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821A (ko) * 1990-12-26 1992-07-24 이범창 자동차용 전구의 수명연장을 위한 듀티비제어장치
KR19990052011A (ko) * 1997-12-20 1999-07-05 정몽규 헤드 램프 전원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821A (ko) * 1990-12-26 1992-07-24 이범창 자동차용 전구의 수명연장을 위한 듀티비제어장치
KR19990052011A (ko) * 1997-12-20 1999-07-05 정몽규 헤드 램프 전원 공급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20011821
10199900520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763A (ko)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0374B2 (en) Vehicle-mounted load controller, vehicle-mounted headlight device, and vehicle-mounted taillight device
US5142203A (en) Lighting circuit for high-pressure discharge lamp for vehicles
JP4535383B2 (ja) 車両用灯具の点灯制御装置
JP4535385B2 (ja) 車両用灯具の点灯制御装置
JP2006210835A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車室内用照明装置、車両用照明装置
CN103303188A (zh) 控制车辆照明的系统和方法
JP2001138799A (ja) 車輌用照明装置
JP2008126958A (ja) 可変負荷型点灯回路
US20070194725A1 (en) Automobile lighting pulse width modulation duty cycle control with voltage and temperature compensation
JP2013110059A (ja) Led駆動装置、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100693502B1 (ko) 차량의 전조등 전원 공급 장치
JP5551545B2 (ja) 放電灯点灯回路
US5646485A (en) Motor vehicle daytime running light system having buck switch mode converter
JP4601558B2 (ja) 車両用発光装置
Mednik Automotive LED lighting needs special drivers
JP2008131837A (ja) 電源装置
JP5218343B2 (ja) インジケータ点灯装置
KR100789963B1 (ko) 차량용 연료 절감 장치
KR0184545B1 (ko)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전원 공급방법
JP2007253899A (ja) 車両用点灯装置
JP7359689B2 (ja) 光源制御装置
KR20070047476A (ko) 차량의 전조등 제어 장치
JP4345421B2 (ja) 車両用照明装置
RU140519U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лампами дальнего света в режиме дневных ходовых огней
JPH03293934A (ja) 車両搭載用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