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411B1 - 연속작업이 가능한 널링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작업이 가능한 널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411B1
KR100693411B1 KR1020060093218A KR20060093218A KR100693411B1 KR 100693411 B1 KR100693411 B1 KR 100693411B1 KR 1020060093218 A KR1020060093218 A KR 1020060093218A KR 20060093218 A KR20060093218 A KR 20060093218A KR 100693411 B1 KR100693411 B1 KR 100693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knurling
chuck
ro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만
Original Assignee
(주)삼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진테크 filed Critical (주)삼진테크
Priority to KR1020060093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2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 B21D19/04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shaped a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4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8Lubricating, e.g. lubricating tool and workpiece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작업이 가능한 널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재의 연속적인 공급은 물론, 상기 소재의 지그에 의한 고정 및 지그로부터의 분리과정이 다수개의 실린더 작동과 공기분사기구를 통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정의 완전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소재를 가공하는 널링공구가 공기 및 오일을 자가 분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가공 중 발생되는 칩이 실시간 제거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실시간 윤활이 가능함에 따라 공정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연속작업이 가능한 널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널링, 소재, 척, 오일, 칩, 실린더, 윤활

Description

연속작업이 가능한 널링장치 {Knurling Apparatus for Consecutive Proce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널링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널링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널링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널링장치에서 널링공구에 의한 소재의 가공 및 가공 전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널링장치의 널링공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널링장치의 널링공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널링장치의 널링공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소재 10: 메인바디
10a: 가공실 11: 회전체
13: 공기분사기구 14: 공구대
15: 척
19: 가이드판 20: 호퍼
25: 이송관 27: 승하강편
30: 제1수평이송실린더 31: 로드
35: 제2수평이송실린더 36: 로드
40: 수직이송기구 41: 수직이송실린더
42: 로드 43: 가이드봉
45: 안착판 50: 몸체
51: 제1분사로 51a: 입구
52: 제2분사로 52a: 입구
52b: 협소구간 53: 출구
55: 오일저장홈 57: 드레인밸브
60: 널링공구 61: 절곡부
62: 슬릿 63: 고정바
65: 가공롤러 67: 고정홀
67a: 고정볼트 100: 널링장치
본 발명은 연속작업이 가능한 널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재의 연속적인 공급은 물론, 상기 소재의 지그에 의한 고정 및 지그로부터의 분리과정이 다수개의 실린더 작동과 공기분사기구를 통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정의 완전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소재를 가공하는 널링공구가 공기 및 오일을 자가 분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가공 중 발생되는 칩이 실시간 제거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실시간 윤활이 가능함에 따라 공정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연속작업이 가능한 널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링(Knurling)이란 소재의 외주면에 기어 이와 유사한 요철을 형성하는 가공을 말한다.
이와 같은 널링작업은 통상 선반과 같은 공작기계에서 수행되는데, 예로서, 소재를 선반의 척에 고정시킨 후, 상기 소재가 회전된 상태에서 널링공구로 상기 소재의 외주면에 요철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널링공구는 소재의 표면에 접촉되는 롤러를 구비하는데, 상기 롤러의 표면에는 일정 피치(Pitch)의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요철의 돌출된 부위가 소재의 표면을 압입함에 따라 상기 소재의 표면에 상기 롤러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런데, 기존의 널링장치에서는 그 구성의 한계성에 기인하여 작업시 가공전 소재의 고정과 가공된 소재의 이탈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져야만 했는데, 이는 공정 자동화에 반하는 것으로 불연속적인 작업등 불편함을 야기시켰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기존에는 소재의 널링 가공시 필연적으로 생성되는 다량의 칩이 실시간적으로 제거되지 못하였고,(필요시 작업 정지 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제거됨) 소재와 공구간의 윤활과 냉각을 위한 윤활유가 정확한 지점에 실시간 공급되지 못하여 이 또한 연속적인 작업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으며, 이에 더하여, 공구의 마모와 가공도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재의 연속적인 공급은 물론, 상기 소재의 지그에 의한 고정 및 지그로부터의 분리과정이 다수개의 실린더 작동과 공기분사기구를 통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정의 완전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는 널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재를 가공하는 널링공구가 공기 및 오일을 자가 분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가공 중 발생되는 칩이 실시간 제거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실시간 윤활이 가능함에 따라 가공과정에서 윤활 및 칩 제거 공정이 개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연속적인 공정이 가능한 널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가공실이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되도록 설치된 회전체에 구성되어 상기 가공실 상에서 소재를 고정함과 동시에 회전시키는 척과, 상기 소재를 회전궤적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소재의 표면을 널링하는 널링공구를 포함한 널링장치에 있어서, 소재가 투입되어 적재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내부를 가로지르되, 그 내측면에 다수의 소재들이 연이어 안착 될 수 있도록 표면의 일부가 개구된 장형의 이송관; 상기 호퍼의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시 상기 호퍼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된 소재를 상부면에 안착시키고, 승강시에는 안착된 소재가 상기 이송관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승하강편; 일측에 돌출된 로드가 연장 또는 수축되도록 왕복구동되며, 상기 로드의 연장시 상기 이송관의 일측단에 근접 안착된 소재를 가압함 에 따라 상기 이송관의 타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소재가 상기 가공실에 위치한 안착판에 안착되도록 하는 제1수평이송실린더; 상기 안착판을 가공실 상에서 승,하강시키기 위해 인출되는 로드의 끝단이 상기 안착판과 결합된 형태로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는 수직이송실린더와, 일측단이 상기 안착판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메인바디에 관통되어 지지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한 수직이송기구; 상기 안착판의 하강시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소재를 일측에 돌출된 로드로 가압하여 상기 소재가 척에 물려 고정되도록 하는 제2수평이송실린더;상기 소재가 척에 물려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소재의 표면을 가압하여 널링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된 공구대에 고정되는 널링공구; 상기 척에 고정된 소재 측으로 공기를 강제 분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에 내설되어 분사된 공기에 의해 널링된 소재가 상기 척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공기분사기구; 상기 척으로부터 이탈된 소재를 저장용기로 안내시키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는 가이드판;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널링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널링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널링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 른 널링장치에서 널링공구에 의한 소재의 가공 및 가공 전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널링장치(100)는 크게 메인바디(10), 공급부, 널링공구(6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바디(10)는 내부에 소재의 널링가공을 위한 일정 체적의 가공실(10a)이 형성된 것인데, 이때, 상기 메인바디(10)에는 회전체(11)가 모터(미도시)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시 상기 회전체(11)의 끝단에는 소재(1)를 물려 잡아 고정시키는 척(15)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소재(1)를 고정함과 동시에 고정된 소재(1)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메인바디(10)의 가공실(10a)로 소재(1)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호퍼(20), 이송관(25), 승하강편(27), 제1수평이송실린더(30), 수직이송기구(40), 제2수평이송실린더(35)를 포함한다.
상기 호퍼(20)는 내부로 최초 소재(1)가 투입되는 것이며, 이때, 소재(1)의 투입은 수작업에 의해, 또는 별도의 투입장치에 의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다만, 투입되는 소재(1)는 가공하고자 하는 일단이 일정하도록 정렬되어야 한다.
상기 이송관(25)은 장형의 관 형상을 취하는 것으로서, 상기 호퍼(20)의 내부를 가로지르며, 일측은 상기 메인바디(10)의 가공실(10a)까지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관(25)은 그 내측면에 다수의 소재(1)들이 연이어 안착될 수 있도록 표면 의 일부가 개구된다. 이 같이 일부가 개구된 상기 이송관(25)은 길이방향의 횡 단면이 부분 원 즉, 호의 형상을 갖게 된다.
상기 승하강편(27)은 상기 호퍼(20)의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강시 상기 호퍼(20)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된 소재(1)를 그 상부면에 안착시키고, 승강시에는 안착된 소재(1)가 상기 이송관(25)으로 투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소재(1)는 상기 승하강편(27)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편(27)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이송관(25)에 부분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편(27)의 상승력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승하강편(27)의 내부로 굴러 떨어지져 투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1수평이송실린더(30)는 일측에 돌출된 로드(31)가 연장 또는 수축되도록 왕복구동되며, 상기 로드(31)의 연장시 상기 이송관(25)의 일측단에 근접 안착된 소재(1)를 가압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로드(31)는 연장시 상기 이송관(25)의 일측에 일정길이(소재를 소재의 길이만큼 밀어낼 수 있는 길이)로 부분 내입된다. 또한, 상기에서 상기 제1수평이송실린더(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이송관(25)의 일측단에 근접하여 안착된 소재(1)가 가압되면, 상기 가공실(10a)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송관(25)의 타측으로부터 다른 소재(1)가 배출되어 상기 가공실(10a)에 위치한 안착판(45)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안착판(45)의 상,하 움직임은 다음의 수직이송기구(40)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 수직이송기구(40)는 수직이송실린더(41)와 가이드봉(4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이송실린더(41)는 상기 안착판(45)을 가공실(10a) 상에서 승,하 강시키기 위해 인출되는 로드(42)의 끝단이 상기 안착판(45)과 결합된 형태로 상기 메인바디(10)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봉(43)은 승,하강되는 안착판(45)을 가이드(안내)하기 위해 그 일측단이 상기 안착판(45)에 접하여 결합되고, 그 타측은 상기 메인바디(10)에 관통되어 지지된다.
상기 제2수평이송실린더(35)는 상기 안착판(45)의 하강시 상기 안착판(45)에 안착된 소재(1)를 가압하여 상기 소재(1)가 척(15)에 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안착판(45)에 안착된 소재(1)의 가압은 상기 제2수평이송실린더(35)의 일측에 돌출되어 인출되는 로드(36)에 의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널링공구(60)의 세부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널링장치의 널링공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널링장치의 널링공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널링장치의 널링공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널링공구(60)는 상기 소재(1)가 척(15)에 물려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소재(1)의 표면을 가압하여 널링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소재(1)가 회전되어 이루는 회전궤적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메인바디(10)에 설치된 공구대(14)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널링공구(60)는 상기 공구대(14)에 고정되며, 상기 공구대(14)에 고정된 측의 반대측에는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진 절곡부(61)가 형성된 몸체(50)와, 상기 절곡부(61)에 형성된 슬릿(62)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상기 절 곡부(61)에 관통되는 고정바(63)와, 상기 슬릿(62)에 부분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바(6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소재(1)의 표면과 접촉되어 상기 소재(1)의 표면을 널링하는 가공롤러(65)와, 상기 절곡부(61)에 고정바(63)가 관통되는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홀(67)을 통해 일단이 상기 고정바(63)와 접촉되어 상기 고정바(63)를 착탈가능하게 가압, 고정시키는 고정볼트(67a)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널링공구(60)의 몸체(50) 내부에는 상기 가공롤러(65) 측으로 기체 및 오일을 분사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되는데, 이를 설명하면,
상기 널링공구(60)의 몸체(50) 내부에는 가공지점에 냉각을 위한 기체를 분출하기 위한 제1분사로(51)와 오일을 분출하기 위한 제2분사로(52)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분사로(51)는 입구(51a)가 외부 기체 공급원(분사하고자 하는 기체를 저장하며, 저장된 기체를 공급하는)과 연결되고, 상기 가공롤러(65) 측으로 출구(5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분사로(52)는 입구(52a)가 외부 기체 공급원(미도시) 또는 오일 공급원(미도시)과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공롤러(65) 측으로 출구(53)가 형성된다.(오일 충진시에는 오일 공급원과 연결되어 오일저장홈에 오일이 저장되도록 하고, 소재의 가공시에는 외부 기체 공급원과 연결되어 상기 기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어 이동되는 공기와 함께 오일이 분출되도록 함)
도면에서는 상기 제1분사로(51)와 제2분사로(52)가 몸체(50)의 일측에서 합쳐져 상호 출구(53)를 공유하고 있음을 예시하나, 상기 제1분사로(51)와 제2분사 로(52)가 각각 별도의 출구(53)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상기 몸체(50) 내부의 제2분사로(52)를 이루는 면에는 상기 제2분사로(52)의 입구(52a)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일시저장시키기 위한 오일저장홈(55)이 형성되는데,
이하의 구조로서 바람직하게 제시된다.
즉, 상기 오일저장홈(55)은 상기 제2분사로(52)의 직경이 감소되어 이루어지는 협소구간(52b)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2분사로(52)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가공롤러(65) 측으로 분사될 시 이동되는 공기 중으로 오일이 용이하게 기화되어 혼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분사로(52)의 입구(52a)로부터 유입되어 진행되는(제2분사로 상에서) 공기는 상기 협소구간(52b)에 이르러 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상기 공기의 속도가 빨라짐에 의해 이 구간에서 저기압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오일저장홈(55)에 형성된 오일이 이동되는 공기중으로 보다 용이하게 혼입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50)에는 상기 몸체(50)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오일저장홈(55)에 이르도록 드레인밸브(57)가 관통결합되는데, 상기 드레인밸브(57)는 나사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50)와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은 드레인밸브(57)의 구성에 의하면, 필요시, 상기 오일저장홈(55)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상기 몸체로부터 드레인밸브를 분리하여 오일저장홈의 오일 및 이물질 방출)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널링장치(100)는 또한, 공기분사기구(13)와 가이드판(19)을 구비하는데, 상기 공기분사기구(13)는 척(15)에 고정된 소재(1) 측으로 공기를 강제 분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11)에 내설된다. 상기 공기분사기구(13)는 전기적인 신호로 작동되어 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는 통상의 공기분사장치이면 충분하며, 이 같은 공기분사기구(13)에 관한 기술은 별도의 설명 없이도 당업자가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요지가 희석됨을 기피하여 상기 공기분사기구(13)의 세부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공기분사기구(13)의 구성에 의하면, 분사되는 공기(공기분사기구를 통해)에 의해 널링된 소재(1)가 상기 척(15)으로부터 자동 이탈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같이 이탈된 소재(1)는 메인바디(10)에 설치된 가이드판(19)에 의해 안내되어 저장용기(미도시)에 수집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널링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호퍼(20)의 내부에 정렬, 적재된 소재(1)들 중 하나의 소재(1)가 승하강편(27)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승하강편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편(27)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승하강편(27)의 상부면에 안착된 소재(1)는 이송관(25)의 내부로 투입된다.
이후, 제1수평이송실린더(30)가 작동하여 상기 제1수평이송실린더(30)의 로드(31)가 상기 이송관(25)의 일측단에 근접 안착된 소재(1)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이송관(25)의 타측으로부터 소재(1)가 배출되는데, 이때, 가공실(10a) 내부에 위치한 안착판(45)은 수직이송기구(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이송관(25)과 수평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송관(25)으로부터 배출되는 소재(1)는 상기 안착판(45)에 안착된다.
이 같은 상태에서 다시, 상기 수직이송기구(40)가 구동하여 상기 안착판(45)이 하강하게 되면, (대략 척에 수평한 지점에 위치) 제2수평이송실린더(35)의 로드(36)가 상기 안착판(45)에 안착된 소재(1)를 척(15)에 끼워넣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소재(1)는 척(15)에 물려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소재(1)가 고정된 후, 회전체(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소재(1)가 회전됨과 동시에 널링공구(60)를 고정하는 공구대(14)가 상기 소재(1) 회전궤적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널링공구(60)가 상기 소재(1)의 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소재(1)의 표면이 널링되는 것이다. 이때, 가공과정에서 널링공구(60)의 제1분사로(51)와 제2분사로(52)를 통해 각각 분출되는 기체와 오일(공기 중에 혼입된 상태에서 공기와 함께 분출)은 가공시 발생하는 칩을 실시간 제거하고, 소재(1)를 냉각하며, 상기 소재(1)와 가공롤러(65)가 접하는 부위을 윤활시키게 된다.
이 후, 널링된 소재(1)는 공기분사기구(13)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척(15)으로부터 자동 이탈되어 가이드판(19)을 따라 저장용기로 수집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재의 연속적인 공급은 물론, 상기 소재의 지그에 의한 고정 및 지그로부터의 분리과정이 다수개의 실린더 작동과 공기분사기구를 통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정의 완전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재를 가공하는 널링공구가 공기 및 오일을 자가 분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가공 중 발생되는 칩이 실시간 제거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실시간 윤활이 가능함에 따라 가공과정에서 윤활 및 칩 제거 공정이 개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바, 이에 연속적인 공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에 가공실(10a)이 형성된 메인바디(10)와, 상기 메인바디(10)에 회전되도록 설치된 회전체(11)에 구성되어 상기 가공실(10a) 상에서 소재(1)를 고정함과 동시에 회전시키는 척(15)과, 상기 소재(1)를 회전궤적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소재(1)의 표면을 널링하는 널링공구(60)를 포함한 널링장치(100)에 있어서,
    소재(1)가 투입되어 적재되는 호퍼(20);
    상기 호퍼(20)의 내부를 가로지르되, 그 내측면에 다수의 소재(1)들이 연이어 안착 될 수 있도록 표면의 일부가 개구된 장형의 이송관(25);
    상기 호퍼(20)의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시 상기 호퍼(20)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된 소재(1)를 상부면에 안착시키고, 승강시에는 안착된 소재(1)가 상기 이송관(25)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승하강편(27);
    일측에 돌출된 로드(31)가 연장 또는 수축되도록 왕복구동되며, 상기 로드(31)의 연장시 상기 이송관(25)의 일측단에 근접 안착된 소재(1)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이송관(25)의 타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소재(1)가 상기 가공실(10a)에 위치한 안착판(45)에 안착되도록 하는 제1수평이송실린더(30);
    상기 안착판(45)을 가공실(10a) 상에서 승,하강시키기 위해 인출되는 로드(42)의 끝단이 상기 안착판(45)과 결합된 형태로 상기 메인바디(10)에 설치되는 수직이송실린더(41)와, 일측단이 상기 안착판(45)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메인바디(10)에 관통되어 지지되는 가이드봉(43)을 포함한 수직이송기구(40);
    상기 안착판(45)의 하강시 상기 안착판(45)에 안착된 소재(1)를 일측에 돌출된 로드(36)로 가압하여 상기 소재(1)가 척(15)에 물려 고정되도록 하는 제2수평이송실린더(35);
    상기 소재(1)가 척(15)에 물려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소재(1)의 표면을 가압하여 널링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10)에 설치된 공구대(14)에 고정되는 널링공구(60);
    상기 척(15)에 고정된 소재 측으로 공기를 강제 분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11)에 내설되어 분사된 공기에 의해 널링된 소재(1)가 상기 척(15)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공기분사기구(13);
    상기 척(15)으로부터 이탈된 소재(1)를 저장용기로 안내시키도록 상기 메인바디(10)에 설치되는 가이드판(19);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작업이 가능한 널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널링공구(60)는
    상기 소재(1)가 이루는 회전궤적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메인바디(10)에 설치된 공구대(14)에 고정되며, 상기 공구대(14)에 고정된 측의 반대측에는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진 절곡부(61)가 형성된 몸체(50)와;
    상기 몸체(50)의 절곡부(61)에 형성된 슬릿(62)에 부분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절곡부(61)에 관통되는 고정바(6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가공롤러(65)와;
    상기 절곡부(61)에 고정바(63)가 관통되는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홀(67)을 통해 일단이 상기 고정바(63)와 접촉되어 상기 고정바(63)를 착탈가능하게 가압,고정시키는 고정볼트(67a);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작업이 가능한 널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널링공구(60)의 몸체(50) 내부에는
    상기 가공롤러(65) 측으로 기체 및 오일이 분사될 수 있도록 입구(51a)가 외부 기체 공급원과 연결되고 상기 가공롤러(65) 측으로 출구(53)가 형성된 제1분사로(51)와, 입구(52a)가 외부 기체 공급원 또는 오일 공급원과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공롤러(65) 측으로 출구(53)가 형성된 제2분사로(5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몸체(50) 내부의 제2분사로(52)를 이루는 면에는 상기 제2분사로(52)의 입구(52a)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일시저장시키기 위한 오일저장홈(55)이 형성되되,
    상기 오일저장홈(55)은 상기 제2분사로(52)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가공롤러(65) 측으로 분사될 시 이동되는 공기 중으로 오일이 용이하게 기화되어 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분사로(52)의 직경이 감소되어 이루어지는 협소구간(52b)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필요시 상기 오일저장홈(55)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50)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오일저장홈(55)에 이르기까지 나사형 드레인밸브(57)가 관통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작업이 가능한 널링장치.
KR1020060093218A 2006-09-26 2006-09-26 연속작업이 가능한 널링장치 KR100693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218A KR100693411B1 (ko) 2006-09-26 2006-09-26 연속작업이 가능한 널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218A KR100693411B1 (ko) 2006-09-26 2006-09-26 연속작업이 가능한 널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411B1 true KR100693411B1 (ko) 2007-03-12

Family

ID=38103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218A KR100693411B1 (ko) 2006-09-26 2006-09-26 연속작업이 가능한 널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4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443B1 (ko) * 2009-09-22 2012-03-21 자스트 주식회사 Cnc선반용 소재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KR101508640B1 (ko) 2013-08-09 2015-04-06 린노알미늄 주식회사 널링공구대 이동형 소재 자동 널링 가공장치
CN107952836A (zh) * 2017-11-23 2018-04-24 东莞市铁生辉制罐有限公司 一种自动折弯机
KR20180076767A (ko) * 2016-12-28 2018-07-06 정광일 호차휠의 레일홈 가공기
CN112893662A (zh) * 2021-01-12 2021-06-04 上海控博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轴胀成型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3115A (en) 1978-06-14 1979-12-25 Seikosha Kk Knurling tool
JPS58157505U (ja) 1982-04-19 1983-10-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ロ−レツトホルダ−
JPH08294832A (ja) * 1995-04-25 1996-11-12 Shinko Zoki Kk カムシャフト組立機
KR200229062Y1 (ko) 2000-12-30 2001-07-19 부국산업주식회사 플라스틱 튜브벤딩장치
JP2001287103A (ja) * 2000-04-06 2001-10-16 Seiko Epson Corp 切削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3115A (en) 1978-06-14 1979-12-25 Seikosha Kk Knurling tool
JPS58157505U (ja) 1982-04-19 1983-10-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ロ−レツトホルダ−
JPH08294832A (ja) * 1995-04-25 1996-11-12 Shinko Zoki Kk カムシャフト組立機
JP2001287103A (ja) * 2000-04-06 2001-10-16 Seiko Epson Corp 切削加工装置
KR200229062Y1 (ko) 2000-12-30 2001-07-19 부국산업주식회사 플라스틱 튜브벤딩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443B1 (ko) * 2009-09-22 2012-03-21 자스트 주식회사 Cnc선반용 소재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KR101508640B1 (ko) 2013-08-09 2015-04-06 린노알미늄 주식회사 널링공구대 이동형 소재 자동 널링 가공장치
KR20180076767A (ko) * 2016-12-28 2018-07-06 정광일 호차휠의 레일홈 가공기
KR101907018B1 (ko) 2016-12-28 2018-10-11 정광일 호차휠의 레일홈 가공기
CN107952836A (zh) * 2017-11-23 2018-04-24 东莞市铁生辉制罐有限公司 一种自动折弯机
CN107952836B (zh) * 2017-11-23 2024-05-17 东莞市铁生辉制罐有限公司 一种自动折弯机
CN112893662A (zh) * 2021-01-12 2021-06-04 上海控博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轴胀成型装置
CN112893662B (zh) * 2021-01-12 2023-01-17 上海控博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轴胀成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411B1 (ko) 연속작업이 가능한 널링장치
CN101346205B (zh) 用于限制钻孔操作期间前进的装置
KR101662419B1 (ko) 세공 방전 가공 장치
KR101536602B1 (ko) 소재 자동 공급 및 배출장치
KR20020011460A (ko) 가공물 디버링 장치
KR102022899B1 (ko) 부품 회전형 자동 세척장치
US4034632A (en) Pneumatically operated rod workpiece feed mechanism for turning machines
CN111890103B (zh) 一种具有导料道的数控机床
KR100758199B1 (ko) 연속작업이 가능한 널링장치
KR100798332B1 (ko) 공작기계용 널링공구
CN105312531B (zh) 压铸设备
JP2016147325A (ja) 転造タッピング方法並びに装置並びにこれに用いる転造タップ
CN115255243A (zh) 一种高精度自动锻压件加工装置
CN108971550A (zh) 一种柱头钻孔装置
KR101340498B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싱귤레이션장치의 불량품 제거장치
CN217254831U (zh) 一种扳手加工用自动上料装置
CN110253324B (zh) 一种缸筒自动化加工生产线
KR100555333B1 (ko) 차량용 브레이크의 캘리퍼 피스톤 전자동 전용 가공기
JP2005262440A (ja) 収縮チャック内において工具を熱的に締付けまたは緩めるための装置
CN111230563B (zh) 一种钻孔装置
CN115971518A (zh) 一种集上料和下料于一体的零件连续生产装置及方法
DE202011106597U1 (de) 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Verzahnungs- oder Profilschleifmaschine
KR101910771B1 (ko) 공작물 고정용 척
JP3633158B2 (ja) 管の内面塗油装置
CN208773086U (zh) 一种柱头三孔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