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230B1 -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 Google Patents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230B1
KR100693230B1 KR20040114228A KR20040114228A KR100693230B1 KR 100693230 B1 KR100693230 B1 KR 100693230B1 KR 20040114228 A KR20040114228 A KR 20040114228A KR 20040114228 A KR20040114228 A KR 20040114228A KR 100693230 B1 KR100693230 B1 KR 100693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part
arrangement
seedling
sli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114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5443A (ko
Inventor
변형진
Original Assignee
변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형진 filed Critical 변형진
Priority to KR20040114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230B1/ko
Publication of KR2006007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는, 측벽들에 가로 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을 형성하고, 상호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서 슬라이딩 안내를 받는 슬라이더들을 구비한 제 1 베이스부와; 상기 슬라이더들이 교차하여 이루는 각 영역들에 대응하여 일정 비율로 축소한 간격으로 배열한 홀들을 구비하며, 상부에 가이드핀을 갖는 제 2 베이스부와; 상기 제 1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간격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베이스부의 각 영역과 이에 일대일 대응하는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각 홀을 각각 연결하는 유도관과;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가이드핀에 의해 정렬되며,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각 홀에 대하여 대응하는 배열홀들의 개수와 크기 및 배치가 차별되는 것으로 시리즈를 이루는 복수개의 배열판; 및 상기 배열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장착하고, 그 저면과 측벽의 지지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 위치됨에 따라 상기 배열판상에 형성한 배열홀들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받침판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A seeding machine and seed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취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 1 베이스부의 구성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유도관의 하단 부위와 이에 대응하는 슬라이더들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배열판과 받침판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a 및 5b는 도 1의 Ⅴ-Ⅴ선을 기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씨앗의 파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종묘판 12: 격실
20: 제 1 베이스부 22a:가이드레일
22b:슬라이더 22c: 덮개부
24: 수납함 24a: 가이드블록
24b: 리프트 26: 흙 공급부
26a: 트레이 26b: 호퍼
26c: 구동부 26d: 분배부
26e: 래크 26f: 피니언
26g: 바퀴 28a: 단턱
28b: 스토퍼 30: 제 2 베이스부
32: 홀 34: 가이드 핀
40: 지지대 50: 유도관
52: 걸림부 60: 배열판
62: 배열홀 64: 정렬홀
66: 받침판 66a: 가이드 홈
66b: 슬라이드 홈 68: 슬라이드 바
A: 정렬 마크 B: 식별 마크
본 발명은 종묘 씨앗을 파종하기 위한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하는 파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종하고자 하는 씨앗의 종류에 따른 파종방법을 개선시켜, 손쉬운 씨앗 파종을 유도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하는 파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소(배추, 오이, 수박, 참외) 등의 작물을 경작하는 방법은 작물의 씨앗을 종묘판에 파종시킨 후 일정 크기의 묘종으로 성장시켜 논이나 밭에 이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한편, 파종에 사용되는 종묘판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구획된 종이컵 크기의 격실을 복수 개수로 형성하고 있다. 이를 이용한 파종은 각 격실에 일정량의 흙을 투입하고, 그 위로 씨앗을 떨어트린 후 그 위로 복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술한 격실의 체적은 작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며, 이로부터 일정크기의 종료판에 대한 격실의 수 또한 48구, 128구, 162구, 180구, 200구 등으로 다양하다.
한편, 씨앗의 파종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경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굽은 자세로 작업하는 작업자의 피로가 높아 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묘판에 씨앗을 투여하는 과정에서 종묘판의 격실에 2~3개의 씨앗이 투여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따른 여분의 씨앗을 추려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개의 홀이 배열된 틀에 씨앗을 정렬시켜 종묘판에 투여하는 파종기가 발명된 바 있으나, 종래의 파종기는 종자 및 종묘판의 격실 수에 따른 종류에 대응하여 호환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를 갖는다.
또한 씨앗을 놓기 위하여 종묘판 바닥에 대한 흙의 공급과 복토의 작업이 별도로 진행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와 더불어 종묘판의 각 격실에 공급되는 흙의 양을 일정하게 조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씨앗을 정렬하는 배열판을 종묘판에 대응하는 것으로 선택 적용할 수 있도록 그 호환성을 높이도록 하고, 씨앗을 투여하기 이전의 흙 공급과 씨앗의 투여 및 복토의 작업이 하나의 작업환경에서 순차적으로 모두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토록 하는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하는 파종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는, 상호 대향하는 측벽들에 가로 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을 형성하고, 상호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서 슬라이딩 안내를 받는 슬라이더들을 구비한 제 1 베이스부와; 상호 대향하는 측벽들에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을 형성하고, 상호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서 슬라이딩 안내를 받는 슬라이더들을 격자 형태로 구비하고, 바닥 상부에 종묘판을 위치하도록 하는 제 1 베이스부; 상기 슬라이더들이 교차하여 이루는 각 영역들에 대응하여 일정 비율로 축소한 간격으로 배열한 홀들을 구비하며, 상부에 가이드핀을 갖는 제 2 베이스부; 상기 제 1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간격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베이스부의 각 영역과 이에 일대일 대응하는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각 홀을 각각 연결하는 유도관과;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가이드핀에 삽입되어 정렬되도록 하는 정렬홀(64)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함에 탑재되는 상기 종묘판에 형성된 격실과 상기 종묘판에 투입될 씨앗의 종류에 따라 크기와 개수 및 배치좌표가 구분 형성되는 배열홀들을 구비하는 배열판; 및 상기 배열판을 장착하고, 상기 배열판의 저면과 측벽의 지지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 위치됨에 따라 상기 배열판상에 형성한 배열홀들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종방법은, 위의 구성을 구비하고, 종묘판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더들을 정렬하는 단계와; 종묘판을 탑재하여 정렬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열판과 받침판을 조립한 상태로 씨앗을 배열하여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정렬시켜 씨앗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의 구성과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 및 그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취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유도관의 하단 부위와 이에 대응하는 슬라이더들의 상호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배열판과 받침판의 상호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a 및 5b는 도 1의 Ⅴ-Ⅴ선을 기준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씨앗의 파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묘판(10)의 각 격실(12)에 대응하여 씨앗을 파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베이스부(20), 제 2 베이스부(30), 지지대(40), 유도관(50), 배열판(60) 및 받침판(6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 중 제 1 베이스부(2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측벽(20a, 20b, 20c)들의 조립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측벽(20a, 20b, 20c)들 중 수직한 벽면을 이루는 측벽(20a, 20b)에는 수평방향 즉, 하측에 정렬되어 놓이는 종묘판(10)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레일(22a)을 구비한다. 수직한 벽면을 이루는 측벽(20a, 20b)은 각각 가로 방향 측벽(20a)과 세로 방향 측벽(20b)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가로 방향 측벽(20a)과 세로 방향 측벽(20b)은 각각 한 쌍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22a)에는 슬라이더(22b)가 결합되는데, 가로 방향 측벽(20a)과 세로 방향 측벽(20b)에 각각 가이드레일(22a)과 슬라이더(22b)가 구비되므로 슬라이더(22b)도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전체적으로는 바둑판과 같은 격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들 가이드레일(22a)들은 비록 도면에서 일정 길이를 갖는 홈으로 표현되었으나 상대적으로 측벽(20a, 20b)에서 돌출시킨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가이드레일(22a)들 중 상호 마주보는 가로 방향 측벽(20a)과, 상호 마주보는 세로 방향 측벽(20b)에 형성한 것들은 바닥(20c)을 기준하여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하고, 가로 방향 측벽(20a)과 세로 방향 측벽(20b)에 설치되는 상호간에는 바닥(20c)을 기준하여 상부와 하부에 있도록 배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호 마주보는 가이드레일(22a)들을 동일 위상에 있도록 배치한 것은 이들 사이를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가설되는 슬라이더(22b)들의 슬라이딩 이동이 자유롭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이웃하는 가이드레일(22a)들의 상· 하 배치는 이들에 각각 안내를 받는 슬라이더(22b)들이 상· 하부로 엇갈리도록 함과 동시에 평면상에서 교차하도록 함에 있다.
이렇게 슬라이더(22b)들이 교차하는 중심지점 또는 격자구조로 교차한 중심영역은, 후술하겠으나 그 위치조절에 의해 정렬 위치된 종묘판(10)의 각 격실(12)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중심부위와 수직 대향하거나 또는 각 격실(12)의 가장자리 영역보다 축소된 영역으로 수직 대향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더(22b)들이 교차하는 다른 실시 구성 즉, 평면상에서 슬라이더(22b)들이 각기 다른 가설방향에 의해 교차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실시 구성은, 가이드레일(22a)들의 위상이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어느 한 가설방향의 슬라이더(22b)들은 위로 굽은 형상의 것을 구비하고, 다른 가설방향의 슬라이더(22b)는 수평 또는 아래로 굽은 형상의 것으로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측벽(20a, 20b)들의 배치는 장방형 또는 육각형을 포함한 각종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으나 여기서는 가능한 일반적인 종묘판(10)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대체적으로 장방형 형상의 것을 그 적용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가이드레일(22a)사이에 놓이는 슬라이더(22b)들은 그 설치 개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들 상호간에 교차함에 의한 영역은 정렬 위치된 종묘판(10)의 각 격실(12)들의 배치에 각각 대향하도록 정형화된 매트릭스 형상을 이룬다.
한편, 상술한 슬라이더(22b)들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일정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가지며, 폭의 중심 부위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 하로 관통하는 가이드 홀을 갖는 형상의 것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슬라이더(22b)는, 도 1에서와 같이 가이드 홀을 갖는 구성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가이드 홀이 이루는 폭 방향 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각각의 슬라이더(22b)가 한 쌍으로서 간격 조절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양단이 상호 마주보는 가이드레일(22a)에 각각 안내를 받는 고정구(도시 안됨)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마주보는 가이드레일(22a) 사이로 가로지르는 와이어(도시 안됨)로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슬라이더(22b)들의 단부는 대응하는 가이드레일(22a)의 슬라이딩 안내를 받도록 조립된다. 이때 제 1 베이스부(20)의 측벽(20a, 20b)들 중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2b)들의 설치를 위한 장착 홀(h)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장착 홀(h)에는 슬라이더(22b)들의 이탈을 방지토록 나사 결합 또는 끼움결합 등의 통상의 방법이 적용되는 덮개부(22c)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제 1 베이스부(20)의 하부에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묘판(10)을 정렬시켜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함(24)을 더 구비한다. 이러한 수납함(24)에는 탑재되어 놓이는 종묘판(10)을 설정 위치에 있도록 정렬하는 가이드블록(24a)을 구비한다. 이에 더하여 수납함(24)에는 탑재된 종묘판(10)을 정렬 위치에서 승· 하강 이동시키도록 하는 리프트(24b)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 1 베이스부(20)의 측벽(20a, 20b)에는 서로 교차하는 슬라이더(22b)들의 정렬 위치를 지시하는 정렬 마크(A)를 형성한다. 이러한 정렬 마크(A)는 슬라이더(22b)들의 정렬 위치를 지정하여 그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렬 위치에 따른 구별이 용이하게 문자나 기호 형태(일예를 들면, A, B, C, D,…, a, b, c, d,…)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1 베이스부(20)는, 수납함(24)에 탑재된 종묘판(10)과 배치를 이룬 슬라이더(22b)들 사이를 통하여 씨앗을 파종하기 전· 후에 종묘판(10)의 격실(12)에 흙을 공급하는 흙 공급부(26)를 더 구비하며, 상술한 흙 공급부(26)는 트레이(26a), 호퍼(26b) 및 구동부(26c)로 구성된다.
먼저 트레이(26a)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베이스부(20) 측벽의 지지를 받아 일측에서 타측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제 1 베이스부(20)의 측벽(20a, 20b)에는 그 이동방향에 대하여 연장한 형상의 단턱(28a)을 더 구비하고, 트레이(26a)는 단턱(28a)의 지지와 안내를 받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단턱(28a)은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흙 공급부(2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28b)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단턱(28a)을 따라 이동하는 트레이(26a)는 그 이동이 자연스럽도록 바퀴(26g)를 더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호퍼(26b)는, 도 1 또는 도 5a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트레이(26a)에 고정되며, 일정량의 흙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호퍼(26b)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부와 하부는 관통하고, 하부의 출구 크기는 상부의 입구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호퍼(26b)의 출구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며, 그 길이 방향은 트레이(26a)의 이동방향에 수직하도록 형성하고, 길이는 그 형성방향에 대응하는 종묘판(10)의 폭과 작거나 동일한 수준에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호퍼(26b)의 측부 형상은 흙이 출구를 통해 용이하게 투하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호퍼(26b)는 상술한 출구에 트레이(26a)의 이동위치에 대응하여 호퍼(26b) 내에 수용된 흙의 투여량을 조절토록 하는 분배부(26d)를 구비한다. 이러한 분배부(26d)는 호퍼(26b) 출구의 길이 방향으로 가설되어 막는 봉 형상으로 측부 둘레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 또는 복수의 격판을 갖는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들 복수 홈 또는 복수의 격판은 트레이(26a)의 이동에 따른 분배부(26d)의 회전에 의해 위상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상부의 흙 일정량을 하부로 투하시키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분배부(26d)의 양단은 트레이(26a)까지 연장되어 후술하는 구동부(26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트레이(26a)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를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전자의 경우는, 후술하는 구동부(26c)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다시 언급하겠으나 연결되는 구동부(26c)의 구동으로 선택적인 회전이 이루어져 호퍼(26d) 내에 수용된 흙을 일정량 범위로 투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즉, 분배부(26d)의 양단이 트레이(26a)의 외측으로 돌출된 경우, 이들 각 양단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26f)을 더 구비하고, 피니언(26f)에 대응하는 단턱(28a)에는 일정 구간에 대하여 래크(26e)를 구비하여 트레이(26a)의 이동에 따라 래크(26e)와 피니언(26f)이 상호 기어 맞물림 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분배부(26d)의 회전 즉, 호퍼(26d) 내에 수용된 흙을 일정량 범위로 투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래크(26e)의 형성구간은 트레이(26a)의 이동 방향에 대한 정렬 위치된 종묘판(10)의 폭 길이와 동일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흙 공급부(26)를 구성하는 구동부(26c)는, 상술한 트레이(26a) 상에 설치되어 별도의 조작부(도시 안됨)의 신호에 따라 트레이(26a)에 구비된 바퀴(26g)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모터(도시 안됨)로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26c)의 다른 구성은, 상술한 단턱(28a)의 양단 부위에 걸쳐 체인과 휠 또는 타이밍벨트(도시 안됨)와 롤러 등을 설치하고, 이들의 일측에 조작부(도시 안됨)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를 연결한 통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트레이(26a) 또는 호퍼(26b)에서 상술한 제 1 베이스부(20) 일측으로 충분한 길이로 돌출시킨 레버(도시 안됨)를 장착하여 수동적으로 밀고 당기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양측으로 로프(도시 안됨)를 연장되게 연결하여 어느 일측 로프를 잡아당기는 형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구동부(26c)가 전동장치에 의해 구동하는 경우, 상술한 분배부(26d)와 기어박스 등으로 제어신호를 받아 선택적인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여 일정 구간에 대하여 분배부(26d)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흙 공급부(26)는 다양한 실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호퍼(26b)를 제 1 베이스부(2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반복 이동시키는 그 회수를 통해 종묘판(10)의 각 격실(12)에 대한 흙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파종기를 구성하는 제 2 베이스부(30)는, 제 1 베이스부(20)의 상측에서 대향하는 판 형상을 이루며, 그 중심 부위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상· 하부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32)을 구비한다.
이때 홀(32)들은 상술한 슬라이더(22b)들이 교차하여 이루는 매트릭스 구조의 최대 영역 개수와 일대일 대응하는 개수 즉, 종묘판(10)의 격실(12)수에 따라 상술한 홀(32)의 개수가 선택될 수 있도록 최대의 개수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 홀(32)들의 간격은 슬라이더(22b)들이 이루는 매트릭스 구조의 각 영역들 간의 간격에 비교하여 축소된 비율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제 2 베이스부(30)의 상부에는 돌출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핀(34)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파종기를 구성하는 지지대(40)는, 제 1 베이스부(20)로부터 제 2 베이스부(30)를 간격 유지되게 하는 구성을 이룬다. 이때 지지대(40)는 제 1 베이스부(20)와 제 2 베이스부(30) 사이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40)의 구성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실시예를 비롯하여 제 1 베이스부(20)와 제 2 베이스부(30)에 대하여 나사 결합, 용접, 끼움결합 등과 같은 다양한 고정 수단으로 변형 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파종기를 구성하는 유도관(50)은, 씨앗의 유동을 안내하는 통로로서, 일측 단부는 제 2 베이스부(30)에 형성된 홀(32)에 고정하고, 타측 단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부(20)의 슬라이더(22b)들이 교차하는 영역 사이를 통과하여 놓이거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2b)들이 이루는 영역 사이에 끼워지는 상태를 이룬다. 이때 유도관(50)의 타측 단부는 그 하측에 정렬되어 놓이는 종묘판(10)의 어느 하나 격실(12) 중심을 향하게 된다. 또한 유도관(50)은 제 2 베이스부(30) 상에 형성된 각 홀(32)들과 일대일 대응토록 동일한 개수로 구비된다.
여기서 유도관(50)의 타측 단부 위치를 지정하는 슬라이더(22b)들의 교차 배치됨에 의해 얻어진 영역은, 제 2 베이스부(30) 상에 형성된 각 홀(32)들의 개수보다 작거나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베이스부(30) 상에 형성된 각 홀(32)들과 일대일 대응하는 개수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유도관(50)의 하측 단부에는 걸림부(52)를 더 구비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걸림부(52)는 슬라이더(22b)들이 이루는 영역으로부터 유도관(50)의 타측 단부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거나 이에 더하여 하강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걸림부(52)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2b)들이 교차하는 부위를 기준한 상측과 하측의 유도관(50) 측부에 슬라이더(22b)들이 이루는 교차하는 영역 이상의 직경과 무게를 갖는 링을 연결한 구성 또는 이러한 기능을 하는 통상의 클립을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걸림부(52)의 다른 구성은, 상술한 슬라이더(22b)들이 이루는 교차 영역에 대하여 상· 하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는 관체를 구비하고, 이 관체와 유도관(50)의 타측 단부를 연통하게 연결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걸림부(52)에 의한 유도관(50)의 타측 단부 또는 관체의 하측 단부 위치는, 종묘판(10)의 각 격실(12)에 근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나 흙 공급부(26)가 설치된 구성에 있어서는 호퍼(26b)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는 하강 위치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유도관(50)은 씨앗의 투여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도록 투명재질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또 슬라이더(22b)들의 슬라이딩 이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파종기를 구성하는 배열판(6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베이스부(30)와 면대향하는 판 형상으로 제 2 베이스부(30)의 가이드핀(34)에 대응하는 정렬홀(64)을 구비하며, 가이드핀(34)에 대하여 정렬홀(64)을 끼우도록 함으로써 설정 위치로 정렬되어 놓이게 된다. 또한 배열판(60) 상에는 정렬홀(64)을 기준하여 각각 설정된 좌표를 갖는 복수의 배열홀(62)을 갖는다. 이들 배열홀(62)들은 배열판(60)이 정렬됨에 의해 제 2 베이스부(30) 상에 형성된 홀(32)들에 그 중심이 일치되게 각각 대응하는 관계를 이룬다. 이때 배열판(60)은 종묘판(10)의 종류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시리즈로서 존재한다. 배열판(60) 시리즈는, 씨앗의 종류에 따라 종묘판(10)의 격실(12) 개수와 크기가 다르게 형성됨에 대응하여 배열홀(62)의 크기와 개수 및 배치좌표가 구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배열판(60) 시리즈 각각에는 씨앗의 종류 또는 종묘판(10)의 격실(12) 개수에 대응하여 선택될 수 있도록 구분하는 식별마크(B)를 더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열판(60) 상에 형성한 각 식별마크(B)는 이에 대응하는 각각의 종묘판(10)들에도 구분되게 형성하거나 그 구분이 용이하도록 하는 통상의 라벨을 더 구비토록 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상술한 제 1 베이스부(20)의 측벽(20a, 20b)에는 식별마크(B)에 대응하여 슬라이더(22b)들의 배치 위치를 제한하도록 하는 정렬마크(A)를 더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식별마크(B)와 정렬마크(A)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일예를 들면, 상술한 배열판(60)에 형성된 식별마크(B)가 "Aa"로 표시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정렬마크(A)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일 방향으로 가설되는 슬라이더(22b)들의 배치 위치를 지시하도록 대응하는 측벽(20a)에 소정한 간격 단위로 "A"와 지시선으로 표시하고, 이웃하는 측벽(20b)에는 "a"와 지시선으로 표시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식별마크(B)가 "Bb"로 표시된 경우 어느 일 방향으로 가설되는 각각의 슬라이더(22b)들은 일 측벽(20a)에 표시된 정렬마크(A) "B"와 지시선이 가리키는 각 위치로 정렬시킨다. 그리고 다른 방향으로 가설되는 슬라이더(22b)들은 이웃하는 측벽(20b)에 표시된 정렬마크(A) "b"와 지시선이 가리키는 각 위치로 정렬시킨다. 이로써 정렬되어 놓인 종묘판(10) 상측에서 각 슬라이더(22b)들은 정렬마크(A)에 의해 정렬되고, 이로부터 교차하여 이루는 영역은 식별마크(B)에 대응하는 종묘판(10)의 각 격실(12)들과 수직 대응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파종기를 구성하는 받침판(66)은, 상술한 배열판(60)의 그 저면과 측부를 받쳐 지지하는 형상으로 조립되며, 가이드핀(34)에 의해 지지되는 배열판(60)으로부터 슬라이딩 위치 이동이 가능한 판 형상을 이룬다. 또한 받침판(66)의 슬라이딩 이동은 배열판(60)상에 형성한 배열홀(62)들의 하부를 순차적으로 개방하거나 차단한다. 이때 받침판(66)의 측부에는 배열판(60)에 대한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홈 또는 돌기 등의 통상의 가이드 수단을 갖는다. 그리고 받침판(66)은 배열판(60) 시리즈 각각에 대응하여 선택적인 조립될 수 있도록 어느 일 측벽이 분리 개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열판(60)에 대한 받침판(66)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에 있는 일 측벽 즉, 슬라이드 바(68)를 그 측부의 슬라이드 홈(66b)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끼워 결합토록 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인출하는 형식으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받침판(66)에 대하여 복수개의 시리즈를 이루는 각각의 배열판(60)들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배추씨앗의 경우 그 크기는 작고 파종에 필요한 흙의 양 또한 작음에 따라 종묘판(10)의 격실(12) 크기는 다른 것들에 비교하여 현격하게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격실(12)의 개수를 최대라고 할 때 제 1 베이스부(20)의 슬라이더(22b)들이 교차하여 이루는 영역 개수, 이들 영역 내에서 지지되는 유도관(50)들의 개수, 제 2 베이스부(30)에 형성한 홀(32)들의 개수 및 배열판(60)에 형성된 배열홀(62)의 개수들은 모두 동일한 개수로서 일대일 대응하게 된다. 비교예로서 옥수수의 씨앗은 배추씨앗에 비교하여 보다 크며, 파종에 필요한 흙 또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종묘판(10)은 위의 경우에 비교하여 격실(12)이 크기는 확대되고, 격실(12)의 개수는 감소된다. 또한 슬라이더(22b)들이 교차하여 이루는 영역 중 일부는 정렬되어 놓이는 종묘판(10)의 각 격실(12)들과 일대일 대응하도록 배치하고, 나머지 잉여분의 슬라이더(22b)들은 종묘판(10)에 수직 대향하는 위치에서 벗어나 있도록 측벽(20a, 20b)의 가장자리 부위에 밀집된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베이스부(30)에 형성한 홀(32)들의 수는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최대의 개수로 존재하고, 이에 대응하는 배열판(60)은 배열홀(62)의 개수가 종묘판(10)의 격실(12) 개수와 동일한 것으로 하고, 배열홀(62)의 직경 또한 옥수수 씨앗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것으로 선택한다. 이때 배열홀(62)들의 배치좌표는 종묘판(10)의 각 격실(12)들에 대응하는 유도관(50)이 연결된 제 2 베이스부(30) 상의 홀(32)들 배치좌표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를 사용하는 과정은, 그 설명에 앞서서 씨앗의 종류와 파종에 필요한 양으로 준비된 것을 전제로 설명할 것이며, 이에 대하여 도 6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씨앗을 파종하기 위한 종묘판(10)을 필요한 개수로 준비한다(ST102)(ST104). 또한 종묘판과 씨앗에 대응하는 배열판(60)을 준비하고, 이렇게 준비된 배열판(60)을 받침판(66)에 조립한다(ST106)(ST108). 이후 제 1 베이스부(20)의 각 가이드레일(22a)에 가설된 슬라이더(22b)들이 종묘판(10)에 대응하여 정렬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ST110),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슬라이더(22b)를 정렬시키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어느 한 종류의 씨앗을 파종하는데 필요한 세팅 작업을 완성한다(ST112). 이후 대하여 에 대응하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부(20)에서 수납함(24)을 개방하고, 수납함(24) 내부에 씨앗에 대응하여 준비한 복수의 종묘판(10) 중 어느 하나를 일정 위치에 놓이도록 탑재한다(ST114).
이후 수납함(24)을 제 1 베이스부(20)에 장착토록 함으로써 종묘판(10)을 정렬시킨다. 이때 종묘판(10)과 배열판(60)은 특정 씨앗의 파종하기 위하여 선택된 것이며, 작업자는 이들 둘에 대하여 식별마크(B)로서 확인하여 준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베이스부(20)의 각 슬라이더(22b)들 또한 식별마크(B)를 기준으로 각각의 정렬마크(A)에 대응하도록 그 위치를 조절한다. 이로부터 가설 방향이 다른 복수 슬라이더(22b)들이 교차하여 이루는 영역과 이에 지지되는 유도관(50)의 타측 단부는 종묘판(10)의 각 격실(12)의 중심 부위로부터 수직 대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 1 베이스부(20) 외측에 위치한 호퍼(26b)에 흙을 담고, 구동부(26c)를 조작하여 호퍼(26b)를 포함한 트레이(26a)를 제 1 베이스부(20)의 일측에서 상대측 방향으로 적어도 일회 이상 이동시키며 종묘판(20)의 각 격실(12) 내부에 소망하는 수준의 흙을 공급한다(ST116). 이때 분배부(26d)는 호퍼(26b)의 출구가 종묘판(10)에 대향하는 위치에서만 회전함으로써 정렬된 종묘판(10)에 대하여 한정적인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호퍼(26b)의 출구 위치를 감지한 신호에 따라 분배부(26d)에 대한 구동부(26c)의 연결을 단속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는, 단턱(28a) 상에 구비한 래크(26e)에 대하여 분배부(26d)에 구비한 피니언(26f)이 상호 맞물리게 됨으로써 래크(26e)의 길이 즉, 호퍼(26b)의 이동 방향에 대한 종묘판(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구간에서 그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호퍼(26b)의 이동 회수는 종묘판(10)의 각 격실(12)에 대한 흙의 공급량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종묘판(10)에 대한 흙의 공급이 이루어지면, 작업자는 정렬된 종묘판(10)에 대응하는 배열판(60)과 받침판(66)을 조립한 상태로 씨앗이 대응하는 각 배열홀(62)에 배치되게 한다(ST118). 이것을 제 2 베이스부(30)의 상부에서 정렬 위치시킨 후 받침판(66)을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로부터 배열홀(62)에 배치된 각 씨앗들은 개방되는 배열홀(62)의 하측을 통해 대응하는 제 2 베이스부(30)에 형성된 홀(32)과 이에 연결된 유도관(50)을 통해 종묘판(10)의 각 격실(12) 내부로 에 공급되어 진다(ST120). 이러한 관계에서 종묘판(10)과 유도관(50)의 타측 단부 사이가 호퍼(26b)를 포함한 트레이(26a)가 이동할 수 있는 간격을 이룸에 따라 각 격실(12) 중앙에 씨앗이 공급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술한 수납함(24)에는 종묘판(10)을 유도관(50)의 타측 단부에 대향하여 승· 하강 이동을 선택적으로 시행하는 리프트(24a)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정을 통해 각 격실(12) 내부에 씨앗의 공급이 이루어지면, 리프트(24a)는 종묘판(10)을 하강 위치시킨다. 이로부터 종묘판(10)이 설정 위치에 놓이면 흙 공급부(26)는 구동하여 씨앗이 공급된 각 격실(12)의 상부에 대하여 설정된 양의 흙을 공급하게 된다(ST122).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종묘판(10)에 대한 씨앗의 파종이 종료된다. 이후 수납함(24)을 개방하여 새로운 종묘판(10)으로 교체하고(ST124),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반복 진행하는 것으로 한 종류의 씨앗에 대한 파종을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씨앗의 종류에 따라 대응하는 복수의 종묘판들과 이에 대응하는 배열판을 받침판과 조립한 상태로 준비하며, 종묘판의 각 격실에 대응하여 슬라이더들을 정렬시킴으로써 어느 한 종류에 대한 파종의 준비가 이루어지고, 이로부터 흙의 공급과 씨앗의 공급 및 복토까지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이 단순화될 뿐 아니라 제한된 공간 내에서 용이하게 파종을 실시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갖는다.
또한 씨앗의 종류가 다른 것에 대응하여서 작업환경의 변화가 단조로울 뿐 아니라 씨앗과 종묘판의 종류에 대응하여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을 갖는다.

Claims (10)

  1. 상호 대향하는 측벽들에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을 형성하고, 상호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서 슬라이딩 안내를 받는 슬라이더들을 격자 형태로 구비하고, 바닥 상부에 종묘판을 위치하도록 하는 제 1 베이스부;
    상기 슬라이더들이 교차하여 이루는 각 영역들에 대응하여 일정 비율로 축소한 간격으로 배열한 홀들을 구비하며, 상부에 가이드핀을 갖는 제 2 베이스부;
    상기 제 1 베이스부에서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간격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베이스부의 각 영역과 이에 일대일 대응하는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각 홀을 각각 연결하는 유도관과;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가이드핀에 삽입되어 정렬되도록 하는 정렬홀(64)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베이스부의 하부에 구비된 수납함에 탑재되는 상기 종묘판에 형성된 격실과 상기 종묘판에 투입될 씨앗의 종류에 따라 크기와 개수 및 배치좌표가 구분 형성되는 배열홀들을 구비하는 배열판; 및
    상기 배열판을 장착하고, 상기 배열판의 저면과 측벽의 지지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 위치됨에 따라 상기 배열판상에 형성한 배열홀들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부 측벽의 지지를 받아 일측에서 상대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고정되어 일정량의 흙을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트레이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종묘판에 대하여 흙을 공급하는 흙 공급부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파종기.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하부에는 상기 트레이의 이동에 대응하여 그 하부로 투하되는 흙의 양을 일정 양으로 제한하도록 하는 분배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파종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부의 측벽에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그 이동 방향을 따라 단턱을 더 형성하고, 상기 단턱에는 그 길이 방향 중 상기 종묘판에 대응하는 구간에 래크(rack)를 더 구비하며, 상기 트레이는 상기 단턱부를 따라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를 구비토록 하며, 상기 분배부는 봉 형상으로 상기 호퍼의 개방된 하부를 막는 형상으로 놓이고, 측면에 복수의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양측 단부는 상기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파종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묘판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배열판에는 상호 한 쌍으로 탑재 및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식별마크를 더 형성한 것으로 하고, 상기 제 1 베이스부의 측벽에는 상기 식별마크에 따른 상기 슬라이더의 정렬 위치를 제한토록 하는 정렬마크를 더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파종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의 하측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로 빠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는 걸림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파종기.
  9. 상기 제 1 항의 구성을 포함하여 구비하고,
    상기 종묘판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더들을 정렬하는 단계와;
    상기 종묘판을 탑재하여 정렬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열판과 상기 받침판을 조립한 상태로 씨앗을 배열하여 상기 제 2 베이스부에 정렬시켜 씨앗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항의 구성을 더 구비하고,
    상기 씨앗을 공급하는 단계 이전과 이후의 과정에서 상기 흙 공급부를 통해 상기 종묘판에 대하여 설정된 양으로 흙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파종 방법.
KR20040114228A 2004-12-28 2004-12-28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KR100693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14228A KR100693230B1 (ko) 2004-12-28 2004-12-28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14228A KR100693230B1 (ko) 2004-12-28 2004-12-28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081U Division KR200380339Y1 (ko) 2004-12-28 2004-12-28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443A KR20060075443A (ko) 2006-07-04
KR100693230B1 true KR100693230B1 (ko) 2007-03-13

Family

ID=3716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114228A KR100693230B1 (ko) 2004-12-28 2004-12-28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765B1 (ko) 2018-07-26 2019-03-15 변무혁 파종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892A (ko) * 1987-09-03 1989-05-17 아오이 죠이치 반도체장치와 그 제조방법
KR890005892Y1 (ko) * 1987-03-20 1989-08-31 최관흡 파종기
KR0135986Y1 (ko) * 1996-10-17 1999-02-01 박노진 파종기
KR200194134Y1 (ko) * 2000-02-08 2000-09-01 최혜정 파종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892Y1 (ko) * 1987-03-20 1989-08-31 최관흡 파종기
KR890005892A (ko) * 1987-09-03 1989-05-17 아오이 죠이치 반도체장치와 그 제조방법
KR0135986Y1 (ko) * 1996-10-17 1999-02-01 박노진 파종기
KR200194134Y1 (ko) * 2000-02-08 2000-09-01 최혜정 파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443A (ko) 200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6940B2 (en) Plant cultivation method, plant cultivation system, and rack
CN106413385A (zh) 水耕栽培系统、水耕栽培方法、植物栽培系统以及植物栽培装置
EP3311642B1 (en) Smart seeder
KR20080091566A (ko) 모종 이식기
JP5319449B2 (ja) 種蒔き装置
KR100693230B1 (ko)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JP6830675B2 (ja) 観賞植物用の鉢集合システム
KR200380339Y1 (ko) 파종기
KR100724810B1 (ko) 반자동 육묘 파종기
KR20140032180A (ko) 식물재배장치
JP2020072728A (ja) 植物栽培方法、植物栽培システム及びラック
JP2717626B2 (ja) 多条連続集合鉢体苗移植機
JPH04267821A (ja) 移植機用苗ポットシート
CN217336410U (zh) 一种用于育种的自动化播种装置
CN207201275U (zh) 基于蔬菜穴盘的点播机
CN214831003U (zh) 一种便于换线的经编机用盘头架
JP3846433B2 (ja) 複数条植の苗植機
KR200276983Y1 (ko) 불특정 파종판용 다용도 파종기
KR20230013649A (ko) 고구마 순 이식줄 제조장치
JPH0771426B2 (ja) 植物栽培装置
JP3797339B2 (ja) 苗植機
KR200407156Y1 (ko) 육묘상자 어셈블리
JP2005052160A (ja) 苗植機
JPH1084717A (ja) 移植機の苗トレイ送り装置
JPH10117518A (ja) 筋播用育苗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