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116B1 - 중계장치, 단말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장치, 단말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116B1
KR100692116B1 KR20060012584A KR20060012584A KR100692116B1 KR 100692116 B1 KR100692116 B1 KR 100692116B1 KR 20060012584 A KR20060012584 A KR 20060012584A KR 20060012584 A KR20060012584 A KR 20060012584A KR 100692116 B1 KR100692116 B1 KR 100692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address
relay
sender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1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0622A (ko
Inventor
요시타카 우치다
노리히로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60090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04L61/4511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using domain name system [D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DNS(105)에 조회 가능한 중계장치(103)는 송신원 단말로부터의 송신처 단말 어드레스의 취득 요구를 DNS(105)에 전송하고,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와 송신처 단말에 대응하는 송신처 라벨을 취득하는 조회부(103A)와, 일의적인 중계용 라벨을 생성하는 라벨 생성부(103B)와, 생성된 중계용 라벨을, 상기 취득된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라벨 기억부(103C)와, 중계용 라벨 및 자장치의 프라이빗 어드레스를 송신원 단말에 송신하는 라벨 송신부(103D)와, 중계용 라벨을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 중계용 라벨에 대응하는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을, 패킷의 송신처 또는 중계처에 관한 어드레스 및 라벨로서 결정하는 결정부(103E)를 구비하였다.
DNS, NAT 방식, NAPT 방식, IP 매스커레이드 방식

Description

중계장치, 단말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제어 방법{Router,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2는 통신 제어방법의 기본 부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라벨의 등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라벨의 취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 1 중계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 2 중계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통신 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통신 시스템 103: 중계장치
104: 단말장치 302: 중계장치
본 발명은 이름 해결 시스템에 조회 가능하게 된 중계장치, 단말장치, 중계장치와 단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 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프라이빗 IP 어드레스를 「프라이빗 어드레스」,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글로벌 어드레스」라고 부른다.
우선, 중계장치(이하 「라우터」라고 한다)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과 어드레스 변환방식에 관해서 설명한다. 라우터를 통함으로써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과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의 중계를 한다. 또한, 라우터에서는 NAT 방식, NAPT 방식, IP 매스커레이드(masquerade) 방식에 의한 어드레스 변환(즉, 글로벌 어드레스와 프라이빗 어드레스간의 변환)이 행하여지고 있고,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에 있어서의 패킷은 송신원, 송신처 어드레스가 글로벌 어드레스가 아니면 이용할 수 없고, 프라이빗 어드레스는 라우터에 의한 프라이빗 네트워크 내에 이용 범위를 한정하여 버린다.
라우터에서는 패킷의 송신처에 따라서 다음에 전송하는 라우터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테이블에 보유하고 있고, 프라이빗 네트워크에 있는 단말장치로부터 글로벌 네트워크에 있는 단말장치로 통신할 때는 라우터에 보내져 온 패킷의 송신원 어드레스를 라우터가 가지는 글로벌 어드레스로 변환하고, 테이블을 참조하여 경로 선택을 하는 전송하는 라우터를 결정한다.
또한, 어드레스의 변환에는 이하의 어드레스 변환방식이 있다.
NAT 방식은 송신원의 프라이빗 어드레스를 그 라우터가 가지는 글로벌 어드레스로 변환하여 글로벌 네트워크에 보내는 것이다. 또한, 프라이빗 어드레스와 라우터가 가지는 글로벌 어드레스를 대응시킨 정보를 테이블에 보유하고, 글로벌 네트워크의 단말장치로부터 프라이빗 네트워크 내의 단말장치에 보내져 온 패킷에 대하여 송신처 헤더의 글로벌 어드레스를 프라이빗 어드레스로 바꾸어 단말장치에 송신하고 있다. 이 방식의 경우, 글로벌 네트워크에 동시 접속하는 단말 합계수와 동일한 수의 글로벌 어드레스를 라우터가 보유해야만 한다.
NAPT 방식은 상기 NAT 방식에 포트 번호도 동적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부가한 것이다. 변환에 포트 번호를 이용하기 위해서, 프라이빗 네트워크 내에 복수의 단말이 존재하더라도 라우터가 가지는 하나의 글로벌 어드레스로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프라이빗 네트워크 내의 단말과 포트 번호를 대응시킨 테이블을 보유한다. 단, 특정한 포트 번호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 등에서는 이용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IP 매스커레이드 방식은 Linux에서 사용된 용어이며 NAPT와 기능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이들의 방식을 구별하지 않고서 광의적으로 NAT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라벨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으로서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가 있다(일본국의 공개특허공보 2005-12352호 참조). 이하에 간단하게 설명한다.
통상의 라우터는 경로 선택에 패킷의 송신처 어드레스를 사용하지만, MPLS에서는 어드레스 대신에 라벨을 사용한다. MPLS 기능을 가진 라우터(LSR: Label Switching Router)에 의해서 구성된 네트워크의 단점(端点)에 있는 라우터(LER: Label Edge Router)에 패킷이 도달하면 그 패킷에 라벨을 부가하여 다음의 LSR에 전송한다. 또한, 패킷을 받아들인 LSR은 패킷의 라벨로부터 경로 선택을 하여 전 송한다. LSR로 구성된 네트워크 외의 네트워크에 패킷을 전송할 때는 LER이 패킷을 제거하여 전송한다.
상술한 종래 방식에 있어서는, 글로벌 어드레스와 같은 공유 어드레스가 아닌 프라이빗 어드레스는 동일 공간 내에 고유한 것이기 때문에, 공유 어드레스 공간 내의 단말장치는 프라이빗 어드레스를 이용한 통신에 제한이 있고, 또한, 공유 어드레스 공간을 통한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의 단말간에서의 통신을 이용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걸친 패킷 통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중계장치, 단말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는 이름 해결 시스템에 조회 가능하게 된 중계장치로서, 어떤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원 단말로부터의, 상기 어드레스 공간과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에 관한 취득 요구를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와 상기 송신처 단말에 대응하는 송신처 라벨을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으로부터 취득하는 조회부와, 일의적인 중계용 라벨을 생성하는 라벨 생성부와, 상기 라벨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중계용 라벨을, 상기 조회부에 의해 취득된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라벨 기억부와, 상기 중계용 라벨 및 자장치의 어드레스를 상기 송신원 단말에 송신하는 라벨 송신부와, 상기 라 벨 송신부에 의해 송신된 중계용 라벨을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송신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라벨 기억부에 의해 상기 중계용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된 상기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을, 상기 패킷의 송신처 또는 중계처에 관한 어드레스 및 라벨로서 결정하는 결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계장치는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송신처 또는 중계처의 어드레스 및 라벨을 송신처의 정보로서, 상기 중계용 라벨 및 자장치의 어드레스를 송신원의 정보로서 사용함으로써, 상기 수신한 패킷을 송신처 또는 중계처로 전송하는 패킷 전송부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단말장치와, 이름 해결 시스템에 조회 가능하게 된 중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장치는 어떤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원 단말로서, 상기 어드레스 공간과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에 관한 취득 요구를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 앞으로 송신하는 취득 요구 송신부와, 상기 취득 요구 송신부에 의해 송신된 취득 요구로의 회답으로서,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중계용 라벨 및 상기 중계장치의 어드레스를 수신한 경우, 상기 중계용 라벨을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중계장치의 어드레스앞으로 송신하는 패킷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계장치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상기 취득 요구를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와 상기 송신처 단말에 대응하는 송신처 라벨을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으로부터 취득하는 조회부와, 일의적인 중계용 라벨을 생성하는 라벨 생성부와, 상기 라벨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중계용 라벨을, 상기 조회부 에 의해 취득된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라벨 기억부와, 상기 중계용 라벨 및 자장치의 어드레스를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라벨 송신부와, 상기 라벨 송신부에 의해 송신된 중계용 라벨을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라벨 기억부에 의해 상기 중계용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된 상기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을, 상기 패킷의 송신처 또는 중계처에 관한 어드레스 및 라벨로서 결정하는 결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중계장치는 어떤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원 단말로부터, 상기 어드레스 공간과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에 관한 취득 요구를 받으면, 조회부는 상기 취득 요구를 이름 해결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와 상기 송신처 단말에 대응하는 송신처 라벨을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으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라벨 생성부는 일의적인 중계용 라벨을 생성하고, 라벨 기억부는 생성된 중계용 라벨을, 조회부에 의해 취득된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한다. 그와 동시에, 라벨 송신부는 중계용 라벨 및 자장치의 어드레스를 송신원 단말에 송신한다. 이 응답으로서, 상기 중계용 라벨을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 결정부는 상기 중계용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된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을, 상기 패킷의 송신처 또는 중계처에 관한 어드레스 및 라벨로서 결정한다.
이와 같이,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걸친 통신을 하는 경우라도, 라벨을 사용함으로써 어드레스 변환의 부하를 회피하고,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걸친 패킷 통신 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NAT 방식, NAPT 방식, IP 매스커레이드 방식 등에 의한 어드레스 변환을 하는 통신 뿐만 아니라, 1개의 라벨을 복수의 어드레스에 관련시킴으로써 멀티캐스트(multicast) 통신에 적용 가능하고, 또한, 본 발명은 IPv4-IPv6 네트워크간 통신이나, 단말장치가 이동하는 것을 전제로 한 유동성 통신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계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방법 및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2의 플로차트와 같이 기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방법은 이름 해결 시스템에 조회 가능하게 된 중계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방법으로서, 어떤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원 단말로부터의, 상기 어드레스 공간과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에 관한 취득 요구를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와 상기 송신처 단말에 대응하는 송신처 라벨을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으로부터 취득하는 조회스텝(도 2의 S1)과, 일의적인 중계용 라벨을 생성하는 라벨 생성스텝(S2)과, 상기 라벨 생성스텝에서 생성된 중계용 라벨을, 상기 조회스텝에서 취득된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라벨 기억스텝(S3)과, 상기 중계용 라벨 및 자장치의 어드레스를 상기 송신원 단말에 송신하는 라벨 송신스텝(S4)과, 상기 라벨 송신스텝에서 송신된 중계용 라벨을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송신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라벨 기억스텝에서 상기 중계용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한 상기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을, 상기 패킷의 송신처 또는 중계처에 관한 어드레스 및 라벨로서 결정하는 결정스텝(S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방법은, 단말장치와, 이름 해결 시스템에 조회 가능하게 된 중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장치가, 어떤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원 단말로서, 상기 어드레스 공간과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에 관한 취득 요구를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처로 송신하는 취득 요구 송신스텝(도 2의 T1)과, 상기 중계장치가, 상기 취득 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와 상기 송신처 단말에 대응하는 송신처 라벨을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으로부터 취득하는 조회스텝(S1)과, 상기 중계장치가, 일의적인 중계용 라벨을 생성하는 라벨 생성스텝(S2)과, 상기 중계장치가, 상기 라벨 생성스텝에서 생성한 중계용 라벨을, 상기 조회스텝에서 취득한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라벨 기억스텝(S3)과, 상기 중계장치가, 상기 중계용 라벨 및 자장치의 어드레스를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라벨 송신스텝(S4)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중계용 라벨 및 상기 중계장치의 어드레스를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중계용 라벨을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중계장치의 어드레스앞으로 송신하는 패킷 송신스텝(T2)과, 상기 중계장치가, 상기 중계용 라벨을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라벨 기억스텝에서 상기 중계용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한 상기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을, 상기 패킷의 송신처 또는 중계처에 관한 어드레스 및 라벨로서 결정하는 결정스텝(S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송신처 단말에서의 응답 패킷의 생성이나 응답 패킷의 전송에 대해서도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는 송신처의 어드레스로서 자장치의 어드레스가 설정되고, 상기 송신처의 어드레스, 송신처 라벨, 송신원의 어드레스 및 송신원 라벨을 패킷 헤더에 포함한 패킷을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경우, 송신처의 어드레스와 송신원의 어드레스를 바꾸고, 송신처 라벨과 송신원 라벨을 바꿈으로써, 응답 패킷을 생성하는 응답 패킷 생성부와, 생성한 응답 패킷을 상기 중계장치로 송신하는 패킷 송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는 송신처의 어드레스, 송신처 라벨, 송신원의 어드레스 및 송신원 라벨을 패킷 헤더에 포함한 응답 패킷을 수신한 경우, 상기 라벨 기억부에 기억된 중계용 라벨 중 상기 송신처 라벨에 일치하는 중계용 라벨에 대응시킨 어드레스 및 라벨을 취득하고, 취득한 어드레스 및 라벨을 송신처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로서 설정하고, 자장치의 어드레스 및 상기 응답 패킷의 상기 송신처 라벨을 송신원의 어드레스 및 송신원 라벨로서 설정함으로써, 상기 응답 패킷의 패킷 헤더를 재기록하는 헤더 재기록부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송신처 단말에서 응답 패킷이 생성되고, 중계장치에 있어서 응답 패킷의 헤더 재기록이 행하여짐으로써, 응답 패킷은 송신원 단말로부터 송신처 단말로 송신되어 온 루트를 역방향으로 통하여, 송신원 단말로 돌려 주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송신원 단말까지 전송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TCP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송신원 단말의 어드레스 공간과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공간의 사이에 1개 이상의 다른 어드레스 공간이 개재하는 경우, 패킷을 중계하는 중계장치에 있어서, 패킷 헤더의 재기록을 행할 필요가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의 중계장치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에서는 송신처의 어드레스, 송신처 라벨, 송신원의 어드레스 및 송신원 라벨을 패킷 헤더에 포함한 패킷을 다른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라벨 생성부는 동적으로 일의의 중계용 라벨을 생성하고, 상기 라벨 기억부는 생성된 중계용 라벨을, 수신한 패킷의 송신원의 어드레스 및 송신원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하고, 상기 헤더 재기록부는 상기 라벨 기억부에 기억된 중계용 라벨 중 상기 수신한 패킷의 송신처 라벨에 일치하는 중계용 라벨에 대응시킨 어드레스 및 라벨을 취득하고, 취득한 어드레스 및 라벨을 송신처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로서 설정하고, 자장치의 어드레스 및 상기 생성한 중계용 라벨을 송신원의 어드레스 및 송신원 라벨로서 설정 함으로써, 상기 수신한 패킷의 패킷 헤더를 재기록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걸친 통신을 하는 경우라도, 라벨을 사용함으로써 어드레스 변환의 부하를 회피하고,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걸친 패킷 통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의 기본 구성을 도 시한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F),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101)과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102)이 중계장치(103)에 의해 접속되고,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101)에는 단말장치(104)가 존재하고,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102)에는 이름 해결 시스템으로서 DNS 서버(105)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단말장치(104)를 송신원 단말로 하였을 때, 송신처 단말은 도 5에 도시하는 송신처 단말(305)과 같이 중계장치(302)와 동일한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 내에 존재하고 있어도 좋고, 도 6에 도시하는 송신처 단말(404)과 같이 중계장치(405)와 다른 어드레스 공간 내에 존재하고, 또한 1개 이상의 중계장치를 경유하는 루트를 지나서 통신하는 것이라도 좋다.
단말장치(104)는 통상의 통신단말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특히,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구성으로서,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에 관한 취득 요구를 DNS 서버(105)앞으로 송신하는 취득 요구 송신부(104A)와, 취득 요구로의 회답으로서 중계장치(103)로부터 중계용 라벨 및 중계장치(103)의 프라이빗 어드레스를 수신한 경우, 상기 중계용 라벨을 포함하는 패킷을 중계장치(103)의 프라이빗 어드레스앞으로 송신하는 패킷 송신부(104B)를 구비하고 있다.
중계장치(103)는 통상의 중계단말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특히,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구성으로서, 조회부(103A), 라벨 생성부(103B), 라벨 기억부(103C), 라벨 송신부(103D), 결정부(103E) 및 패킷 전송부(103F)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조회부(103A)는 단말장치(104)로부터의 취득 요구를 DNS 서버(105)에 전송하고,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와 상기 송신처 단말에 대응하는 송신처 라벨을 DNS 서버(105)로부터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라벨 생성부(103B)는 일의적인 중계용 라벨을 생성하는 기능을 갖고, 라벨 기억부(103C)는 라벨 생성부(103B)에 의해 생성된 중계용 라벨을, 조회부(103A)에 의해 취득된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라벨 송신부(103D)는 중계용 라벨 및 자장치(중계장치(103))의 프라이빗 어드레스를 단말장치(104)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결정부(103E)는 라벨 송신부(103D)에 의해 송신된 중계용 라벨을 포함하는 패킷을 단말장치(104)로부터 수신한 경우, 라벨 기억부(103C)에 의해 상기 중계용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된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을, 상기 패킷의 송신처 또는 중계처에 관한 어드레스 및 라벨로서 결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패킷 전송부(103F)는 결정부(103E)에 의해 결정된 송신처 또는 중계처의 어드레스 및 라벨을 송신처의 정보로서, 중계용 라벨 및 자장치의 글로벌 어드레스를 송신원의 정보로서 사용함으로써, 수신한 패킷을 송신처 또는 중계처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다음에, 송신원 단말의 어드레스 공간과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공간 사이에 1개 이상의 다른 어드레스 공간이 개재하는 바와 같은 통신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 7에 도시한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송신원의 단말장치(104X)가 속하는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101)과 송신처의 단말장치(104Y)가 속하는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106)의 사이에,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102)이 개재하고 있다. 여기에서 단말장치(104X, 104Y)는 도 1의 구성에 더하여, 응답 패킷 생성부(104C)를 구비하고 있다. 응답 패킷 생성부(104C)는 자단말 앞의 패킷(즉, 송신처의 어드레스로서 자장치의 어드레스가 설정되고, 상기 송신처의 어드레스, 송신처 라벨, 송신원의 어드레스 및 송신원 라벨을 패킷 헤더에 포함한 패킷)을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경우, 송신처의 어드레스와 송신원의 어드레스를 바꾸어, 송신처 라벨과 송신원 라벨을 바꿈으로써, 응답 패킷을 생성한다. 그리고, 패킷 송신부(104B)는 생성된 응답 패킷을 상기 중계장치로 반송한다.
또한, 중계장치(103X, 103Y)는 도 1의 구성에 더하여, 헤더 재기록부(103G)를 구비하고 있다. 헤더 재기록부(103G)는 라벨 기억부(103C)에 기억된 중계용 라벨 중, 수신한 응답 패킷의 송신처 라벨에 일치하는 중계용 라벨에 대응시킨 어드레스 및 라벨을 취득하고, 취득한 어드레스 및 라벨을 송신처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로서 설정하고, 자장치의 어드레스 및 응답 패킷의 송신처 라벨을 송신원의 어드레스 및 송신원 라벨로서 설정함으로써, 응답 패킷의 패킷 헤더를 재기록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송신처 단말에서 응답 패킷이 생성되고 중계장치에 있어서 응답 패킷의 헤더 재기록이 행하여짐으로써, 응답 패킷은 송신원 단말로부터 송신처 단말로 송신되어 온 루트를 역방향으로 통하여, 송신원 단말로 돌려주게 된다. 즉,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송신원 단말까지 전송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TCP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도 7과 같은 구성으로 패킷을 단말장치(104X)로부터 단말장치(104Y)로 전송하는 경우, 중계장치(103X, 103Y)가 개재하지만, 중계장치(103Y)는 중계장치(103X)로부터 전송되어 온 패킷의 패킷 헤더를 재기록할 필요가 생긴다. 그래서, 각 중계장치(103)의 라벨 생성부(103B), 라벨 기억부(103C) 및 헤더 재기록부 (103G)는 이하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다른 중계장치로부터 패킷이 전송되어 온 경우, 라벨 생성부(103B)는 동적으로 일의의 중계용 라벨을 생성하고, 라벨 기억부(103C)는 생성된 중계용 라벨을, 수신한 패킷의 송신원의 어드레스 및 송신원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하고, 헤더 재기록부(103G)는 라벨 기억부(103C)에 이미 기억된 중계용 라벨 중 수신 패킷의 송신처 라벨에 일치하는 중계용 라벨에 대응된 어드레스 및 라벨을 취득하고, 취득한 어드레스 및 라벨을 송신처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로서 설정하고, 자장치의 어드레스 및 생성된 중계용 라벨을 송신원의 어드레스 및 송신원 라벨로서 설정함으로써, 수신 패킷의 패킷 헤더를 재기록한다.
[각종 통신형태의 설명]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형태로서, (1)라벨의 등록처리, (2)라벨의 취득처리, (3)인접하는 2개의 어드레스 공간끼리의 통신을 중계장치가 중계하는 제 1 중계형태, (4)복수의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이 사이에 설치된 2개의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끼리의 통신을 복수의 중계장치가 중계하는 제 2 중계형태의 4개에 관해서, 순차로 설명한다.
[(1)라벨의 등록처리]
도 3은 라벨의 등록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도 1과 동일하고, 단말장치(104)의 프라이빗 어드레스를 N1로 하고, 중계장치(103)의 글로벌 어드레스를 N2로 한다.
단말장치(104)는 프라이빗 어드레스 N1, 도메인 및 후술하는 0번 라벨을 포 함한 등록 요구를 중계장치(103)에 송신한다. 또, 「O번 라벨」이란 이후의 중계루트 상에서 중계장치를 통과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라벨을 의미한다.
중계장치(103)는 단말장치(104)로부터의 등록 요구를 접수하면, 라벨(본 예에서는 라벨(10))을 동적으로 생성하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성한 라벨(10)을, 등록 요구로부터 얻어진 프라이빗 어드레스 N1 및 0번 라벨과 대응시켜 테이블에 보유한다. 또한, 중계장치(103)는 DNS(105)에 대하여, 글로벌 어드레스 N2, 도메인 및 생성한 라벨(10)을 포함한 등록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등록 요구를 한다.
[(2)라벨의 취득처리]
도 4는 라벨의 취득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하는 상기 (1)라벨의 등록처리와 동일한 구성으로 한다.
중계장치(103)는 단말장치(104)로부터의 "통신 목표 단말의 도메인을 포함한 취득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취득 요구를 DNS(105)에 전송하고, DNS(105)로부터 글로벌 어드레스와 라벨(본 예에서는 라벨(10))을 취득한다.
다음에, 중계장치(103)는 새로운 라벨(본 예에서는 라벨(20))을 생성하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성한 라벨(20)을, 취득한 글로벌 어드레스 및 라벨(10)과 대응시켜 테이블에 보유한다.
그리고, 중계장치(103)는 중계장치(103)의 프라이빗 어드레스와 생성한 라벨(20)을 단말장치(104)에 송신한다.
[(3)제 1 중계형태]
다음에, 인접하는 2개의 어드레스 공간끼리의 통신을 중계장치가 중계하는 제 1 중계형태에 대하여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2개의 어드레스 공간이 중계장치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상태에서 패킷의 송신원, 송신처의 어드레스, 라벨이 어떻게 천이하는지를 도시하고 있고, 301, 305는 단말장치, 302는 중계장치, 303은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 304는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단말장치(301)는 제 1 중계형태에 있어서의 송신원 단말장치이며, 프라이빗 공간에 속하고, 프라이빗 어드레스 N1-2를 가진다. 단말장치(305)는 제 1 중계형태에 있어서의 송신처 단말장치로서, 글로벌공간에 속하고, 글로벌 어드레스 N2-2를 가진다. 또한, 중계장치(302)는 프라이빗 공간측의 어드레스로서 N1-1을 갖고, 글로벌 공간측의 어드레스로서 N2-1을 가진다.
우선, 중계장치(302)는 DNS로부터 어드레스 N2-2와 0번 라벨(라벨(0))을 취득한 후, 동적으로 일의의 라벨(본 예에서는 라벨(10))을 생성하고, 생성한 라벨(10)을 어드레스 N2-2 및 라벨(0)에 관련시켜 도 5의 변환 테이블(TB1)에 보유한다(도 5의 처리 51). 그리고, 중계장치(302)는 생성한 라벨(10)과 중계장치(302)의 "송신원 단말장치측의 어드레스"인 N1-1을 송신원 단말장치(301)에 송신한다(처리 52).
다음에, 송신원 단말장치(301)는 송신원 어드레스를 자장치의 프라이빗 어드레스 N1-2에, 송신원 라벨을 O번 라벨(라벨(0))에, 송신처 어드레스를 중계장치(302)의 프라이빗 어드레스 N1-1에, 송신처 라벨을, 중계장치(302)로부터 수신한 라벨(10)에, 각각 설정하고, 송신대상의 패킷을 중계장치(302)에 송신한다(처리 53).
다음에 중계장치(302)는 패킷을 수신하면, 변환 테이블(TB1)에 있어서, 송신원 단말장치(301)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송신처 라벨(라벨(10))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N2-2 및 라벨(0)을 취득하고, 패킷 헤더에 있어서의 송신처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N2-2에, 송신처 라벨을 라벨(0)에, 송신원 어드레스를 중계장치(302)의 "송신하는 어드레스 공간측의 어드레스"인 N2-1에, 송신원 라벨을 상기 수신한 패킷의 송신처 라벨(라벨(10))에, 각각 설정한다(즉, 패킷 헤더가 재기록한다; 처리 54). 그리고, 중계장치(302)는 패킷 헤더 재기록 후의 패킷을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304)에 송신한다(처리 55). 송신된 패킷에서는 송신처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N2-2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패킷은 송신처 단말장치(305)에 도달하게 된다.
송신처 단말장치(305F), 상기 패킷을 수신하면, 패킷 헤더에 있어서의 송신처 어드레스「N2-2」와 송신원 어드레스「N2-1」를 바꾸고, 송신처 라벨「라벨(0)」과 송신원 라벨「라벨(10)」을 바꿈으로써 응답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한 응답 패킷을 중계장치(302)에 송신한다(처리 56).
중계장치(302)는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변환 테이블(TB1)에 있어서, 응답 패킷의 송신처 라벨(라벨(10))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N1-2 및 라벨(0)을 취득하고, 패킷 헤더에 있어서의 송신처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N1-2에, 송신처 라벨을 라벨(0)에, 송신원 어드레스를 중계장치(302)의 "송신하는 어드레스 공간측의 어드레스"인 N1-1에, 송신원 라벨을 상기 수신한 패킷의 송신처 라벨(라벨(10))에, 각각 설정한 다(즉, 패킷 헤더가 재기록을 한다; 처리 57). 그리고, 중계장치(302)는 패킷 헤더 재기록 후의 응답 패킷을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303)에 송신한다(처리 58). 송신된 응답 패킷에서는 송신처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N1-2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응답 패킷은 송신원 단말장치(301)에 도달하게 된다.
[(4)제 2 중계형태]
다음에, 복수의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이 사이에 설치된 2개의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끼리의 통신을 복수의 중계장치가 중계하는 제 2 중계형태에 관해서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에는 2개의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의 사이에 복수의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패킷의 송신원, 송신처의 어드레스, 라벨이 어떻게 천이하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송신원 단말장치(401)는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402)에, 송신처 단말장치(404)는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403)에, 각각 속하고, 2개의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402, 40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중계장치(405, 406),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407, 408) 및 종래 방식의 중계장치(409)에 의해서 접속된다. 단말장치(401)는 프라이빗 어드레스 N1-2, 단말장치(404)는 프라이빗 어드레스 N4-2, 중계장치(405)는 프라이빗 어드레스 N1-1과 글로벌 어드레스 N2-1, 중계장치(406)는 프라이빗 어드레스 N4-1와 글로벌 어드레스 N3-1을, 각각 가진다.
우선, 중계장치(405)는 DNS로부터 어드레스 N3-1과 라벨(10)을 취득한 후, 동적으로 일의의 라벨(본 예에서는 라벨(20))을 생성하고, 생성한 라벨(2O)을 어드레스 N3-1 및 라벨(10)에 관련시켜 도 6의 변환 테이블(TB2)에 보유한다(도 6의 처 리 61). 그리고, 중계장치(405)는 생성한 라벨(20)과 중계장치(405)의 "송신원 단말장치측의 어드레스"인 N1-1을 송신원 단말장치(401)에 송신한다(처리 62).
다음에, 송신원 단말장치(401)는 송신원 어드레스를 자장치의 프라이빗 어드레스 N1-2에, 송신원 라벨을 O번 라벨(라벨(0))에, 송신처 어드레스를 중계장치(405)의 프라이빗 어드레스 N1-1에, 송신처 라벨을, 중계장치(405)로부터 수신한 라벨(20)에, 각각 설정하고, 송신 대상의 패킷을 중계장치(405)에 송신한다(처리 63).
다음에 중계장치(405)는 패킷을 수신하면, 변환 테이블(TB2)에 있어서, 송신원 단말장치(401)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송신처 라벨(라벨(20))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N3-1 및 라벨(10)을 취득하고, 패킷 헤더에 있어서의 송신처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N3-1에, 송신처 라벨을 라벨(10)에, 송신원 어드레스를 중계장치(405)의 "송신하는 어드레스 공간측의 어드레스"인 N2-1에, 송신원 라벨을 상기 수신한 패킷의 송신처 라벨(라벨(20))에, 각각 설정한다(즉, 패킷 헤더가 재기록을 한다; 처리 64). 그리고, 중계장치(405)는 패킷 헤더 재기록 후의 패킷을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407)에 송신한다(처리 65). 송신된 패킷은 통상의 중계장치(409)에 의해 수신되고, 통상의 중계장치(409)는 종래 방법으로 패킷을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408)에 전송한다. 전송된 패킷에서는 송신처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N3-1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패킷은 중계장치(406)에 도달하게 된다.
중계장치(406)는 패킷을 수신하면, 동적으로 일의의 라벨(본 예에서는 라벨(30))을 생성하고, 생성한 라벨(30)을 수신 패킷의 송신원 어드레스 N2-1 및 송신 원 라벨(라벨(20))에 관련시켜 도 6의 변환 테이블(TB3)에 보유한다(처리 66의 전단). 또한, 중계장치(406)는 송신처 단말장치(404)를 DNS로 등록하였을 때에 작성한 테이블로부터, 등록시의 라벨(10)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즉, 송신처 단말장치(404)의 어드레스}인 어드레스 N4-2를 취득하고, 패킷 헤더에 있어서의 송신처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N4-2에, 송신처 라벨을 라벨(0)에, 송신원 어드레스를 중계장치(406)의 "송신하는 어드레스 공간측의 어드레스"인 N4-1에, 송신원 라벨을 상기 생성한 라벨(라벨(30))에, 각각 설정한다(즉, 패킷 헤더가 재기록을 한다; 처리 66의 후단). 그리고, 중계장치(406)는 패킷 헤더 재기록 후의 패킷을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403)에 송신한다(처리 67).
송신처 단말장치(404)는 상기 패킷을 수신하면, 패킷 헤더에 있어서의 송신처 어드레스「N4-2」와 송신원 어드레스「N4-1」를 바꾸고, 송신처 라벨「라벨(0)」과 송신원 라벨「라벨(30)」을 바꿈으로써 응답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한 응답 패킷을 중계장치(406)에 송신한다(처리 68).
중계장치(406)는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변환 테이블(TB3)에 있어서, 응답 패킷의 송신처 라벨(라벨(30))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N2-1 및 라벨(20)을 취득하고, 패킷 헤더에 있어서의 송신처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N2-1에, 송신처 라벨을 라벨(20)에, 송신원 어드레스를 중계장치(406)의 "송신하는 어드레스 공간측의 어드레스"인 N3-1에, 송신원 라벨을 송신처 단말장치(404)에 관한 DNS 등록시의 라벨(10)에, 각각 설정한다(즉, 패킷 헤더의 재기록을 한다; 처리 69). 그리고, 중계장치(406)는 패킷 헤더 재기록 후의 응답 패킷을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408)에 송신한 다(처리 70). 송신된 응답 패킷은 통상의 중계장치(409)에 의해 수신되고, 통상의 중계장치(409)는 종래 방법으로 응답 패킷을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407)에 전송한다. 전송된 응답 패킷에서는 송신처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N2-1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응답 패킷은 중계장치(405)에 도달하게 된다.
중계장치(405)는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변환 테이블(TB2)에 있어서, 응답 패킷의 송신처 라벨(라벨(20))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N1-2를 취득하고, 패킷 헤더에 있어서의 송신처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N1-2에, 송신처 라벨을 O번 라벨(라벨(0))에, 송신원 어드레스를 중계장치(405)의 "송신하는 어드레스 공간측의 어드레스"인 N1-1에, 송신원 라벨을 상기 수신한 패킷의 송신처 라벨(라벨(20))에, 각각 설정한다(즉, 패킷 헤더의 재기록을 한다; 처리 71). 그리고, 중계장치(405)는 패킷 헤더 재기록 후의 응답 패킷을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402)에 송신한다(처리 72). 송신된 응답 패킷에서는 송신처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N1-2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응답 패킷은 송신원 단말장치(401)에 도달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어드레스 공간끼리의 통신을 중계장치가 중계하는 제 1 중계형태나, 복수의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이 사이에 설치된 2개의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끼리의 통신을 복수의 중계장치가 중계하는 제 2 중계형태와 같은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걸친 통신을 하는 경우라도, 라벨을 사용함으로써 어드레스 변환의 부하를 회피하고,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걸친 패킷 통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어드레스 공간끼리의 통신으로서는, 프라이빗 어드레 스 공간끼리의 통신,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끼리의 통신,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과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 사이의 통신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어드레스 공간을 통한 2개의 어드레스 공간끼리의 통신에 대해서도, 송신원측의 어드레스 공간, 송신처측의 어드레스 공간, 및, 중개하는 복수의 어드레스 공간의 어느 것이나,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이거나,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이라도 좋고,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접하는 2개의 어드레스 공간끼리의 통신을 중계장치가 중계하는 제 1 중계형태나, 복수의 글로벌 어드레스 공간이 사이에 설치된 2개의 프라이빗 어드레스 공간끼리의 통신을 복수의 중계장치가 중계하는 제 2 중계형태와 같은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걸친 통신을 하는 경우라도, 라벨을 사용함으로써 어드레스 변환의 부하를 회피하고,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걸친 패킷 통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Claims (8)

  1. 이름 해결 시스템에 조회 가능하게 된 중계장치로서,
    어떤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원 단말로부터의, 상기 어드레스 공간과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에 관한 취득 요구를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와 상기 송신처 단말에 대응하는 송신처 라벨을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으로부터 취득하는 조회부와,
    일의적인 중계용 라벨을 생성하는 라벨 생성부와,
    상기 라벨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중계용 라벨을, 상기 조회부에 의해 취득된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라벨 기억부와,
    상기 중계용 라벨 및 자장치의 어드레스를 상기 송신원 단말에 송신하는 라벨 송신부와,
    상기 라벨 송신부에 의해 송신된 중계용 라벨을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송신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라벨 기억부에 의해 상기 중계용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된 상기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을, 상기 패킷의 송신처 또는 중계처에 관한 어드레스 및 라벨로서 결정하는 결정부를 구비한, 중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송신처 또는 중계처의 어드레스 및 라벨을 송신처의 정보로서, 상기 중계용 라벨 및 자장치의 어드레스를 송신원의 정보로서 사용 함으로써, 상기 수신한 패킷을 송신처 또는 중계처로 전송하는 패킷 전송부를 더 구비한, 중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송신처의 어드레스, 송신처 라벨, 송신원의 어드레스 및 송신원 라벨을 패킷 헤더에 포함한 응답 패킷을 수신한 경우, 상기 라벨 기억부에 기억된 중계용 라벨 중 상기 송신처 라벨에 일치하는 중계용 라벨에 대응시킨 어드레스 및 라벨을 취득하고, 취득한 어드레스 및 라벨을 송신처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로서 설정하고, 자장치(自裝置)의 어드레스 및 상기 응답 패킷의 상기 송신처 라벨을 송신원의 어드레스 및 송신원 라벨로서 설정함으로써, 상기 응답 패킷의 패킷 헤더를 재기록할 헤더 재기록부를 더 구비한, 중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송신처의 어드레스, 송신처 라벨, 송신원의 어드레스 및 송신원 라벨을 패킷 헤더에 포함한 패킷을 다른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라벨 생성부는, 동적으로 일의의 중계용 라벨을 생성하고,
    상기 라벨 기억부는, 생성된 중계용 라벨을, 수신한 패킷의 송신원의 어드레스 및 송신원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하고,
    상기 헤더 재기록부는, 상기 라벨 기억부에 기억된 중계용 라벨 중 상기 수신한 패킷의 송신처 라벨에 일치하는 중계용 라벨에 대응시킨 어드레스 및 라벨을 취득하고, 취득한 어드레스 및 라벨을 송신처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로서 설정하고, 자장치의 어드레스 및 상기 생성한 중계용 라벨을 송신원의 어드레스 및 송신원 라벨로서 설정함으로써, 상기 수신한 패킷의 패킷 헤더를 재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장치.
  5. 송신처의 어드레스로서 자장치의 어드레스가 설정되고, 상기 송신처의 어드레스, 송신처 라벨, 송신원의 어드레스 및 송신원 라벨을 패킷 헤더에 포함한 패킷을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한 경우, 송신처의 어드레스와 송신원의 어드레스를 바꾸고, 송신처 라벨과 송신원 라벨을 바꿈으로써, 응답 패킷을 생성하는 응답 패킷 생성부와,
    생성한 응답 패킷을 상기 중계장치로 송신하는 패킷 송신부를 구비하는, 단말장치.
  6. 단말장치와, 이름 해결 시스템에 조회 가능하게 된 중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장치는,
    어떤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원 단말로서, 상기 어드레스 공간과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에 관한 취득 요구를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앞으로 송신하는 취득 요구 송신부와,
    상기 취득 요구 송신부에 의해 송신된 취득 요구로의 회답으로서,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중계용 라벨 및 상기 중계장치의 어드레스를 수신한 경우, 상기 중계용 라벨을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중계장치의 어드레스앞으로 송신하는 패킷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계장치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상기 취득 요구를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와 상기 송신처 단말에 대응하는 송신처 라벨을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으로부터 취득하는 조회부와,
    일의적인 중계용 라벨을 생성하는 라벨 생성부와,
    상기 라벨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중계용 라벨을, 상기 조회부에 의해 취득된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라벨 기억부와,
    상기 중계용 라벨 및 자장치의 어드레스를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라벨 송신부와,
    상기 라벨 송신부에 의해 송신된 중계용 라벨을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라벨 기억부에 의해 상기 중계용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된 상기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을, 상기 패킷의 송신처 또는 중계처에 관한 어드레스 및 라벨로서 결정하는 결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이름 해결 시스템에 조회 가능하게 된 중계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방법으로서,
    어떤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원 단말로부터의, 상기 어드레스 공간과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에 관한 취득 요구를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와 상기 송신처 단말에 대응하는 송신처 라벨을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으로부터 취득하는 조회스텝과,
    일의적인 중계용 라벨을 생성하는 라벨 생성스텝과,
    상기 라벨 생성스텝에서 생성된 중계용 라벨을, 상기 조회스텝에서 취득된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라벨 기억스텝과,
    상기 중계용 라벨 및 자장치의 어드레스를 상기 송신원 단말에 송신하는 라벨 송신스텝과,
    상기 라벨 송신스텝에서 송신된 중계용 라벨을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송신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라벨 기억스텝에서 상기 중계용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한 상기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을, 상기 패킷의 송신처 또는 중계처에 관한 어드레스 및 라벨로서 결정하는 결정스텝을 갖는, 통신 제어방법.
  8. 단말장치와, 이름 해결 시스템에 조회 가능하게 된 중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장치가, 어떤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원 단말로서, 상기 어드레스 공간과 다른 어드레스 공간에 속하는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에 관한 취득 요구를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 앞으로 송신하는 취득 요구 송신스텝과,
    상기 중계장치가, 상기 취득 요구를 수신하여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에 전송 하고, 상기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와 상기 송신처 단말에 대응하는 송신처 라벨을 상기 이름 해결 시스템으로부터 취득하는 조회스텝과,
    상기 중계장치가, 일의적인 중계용 라벨을 생성하는 라벨 생성스텝과,
    상기 중계장치가, 상기 라벨 생성스텝에서 생성한 중계용 라벨을, 상기 조회스텝에서 취득한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라벨 기억스텝과,
    상기 중계장치가, 상기 중계용 라벨 및 자장치의 어드레스를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라벨 송신스텝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중계용 라벨 및 상기 중계장치의 어드레스를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중계용 라벨을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중계장치의 어드레스앞으로 송신하는 패킷 송신스텝과,
    상기 중계장치가, 상기 중계용 라벨을 포함하는 패킷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라벨 기억스텝에서 상기 중계용 라벨에 대응시켜 기억한 상기 송신처 단말의 어드레스 및 송신처 라벨을, 상기 패킷의 송신처 또는 중계처에 관한 어드레스 및 라벨로서 결정하는 결정스텝을 갖는, 통신 제어방법.
KR20060012584A 2005-02-09 2006-02-09 중계장치, 단말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제어 방법 KR100692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33382 2005-02-09
JP2005033382A JP4482465B2 (ja) 2005-02-09 2005-02-09 中継装置、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622A KR20060090622A (ko) 2006-08-14
KR100692116B1 true KR100692116B1 (ko) 2007-03-12

Family

ID=3612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12584A KR100692116B1 (ko) 2005-02-09 2006-02-09 중계장치, 단말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20080B2 (ko)
EP (1) EP1691531B1 (ko)
JP (1) JP4482465B2 (ko)
KR (1) KR100692116B1 (ko)
CN (1) CN100546278C (ko)
AT (1) ATE427619T1 (ko)
DE (1) DE602006005967D1 (ko)
ES (1) ES232261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7270B2 (ja) * 2007-07-12 2013-06-12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複数のネットワーク間の通信システム
CA2714973A1 (en) * 2008-02-12 2009-08-20 Tope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nd accessing resources on private and/or public networks
CN102143509B (zh) 2010-12-16 2014-04-02 华为终端有限公司 Ap管理无线中继器的方法、装置及系统
CN103580985A (zh) * 2012-07-27 2014-02-1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电子邮件的发送方法和装置
CN104038989B (zh) * 2013-03-05 2018-05-18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无线局域网中进行通信的方法、装置和系统
JP6265611B2 (ja) * 2013-03-27 2018-01-24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及び通信方法
CN109561082A (zh) * 2018-11-16 2019-04-02 国网思极网安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区分dns用户的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32016A (en) * 1998-09-24 2003-12-10 Alteon Web Systems Inc Distributed load-balancing internet servers
JP3975045B2 (ja) * 2000-01-24 2007-09-12 パナソニック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及びリモート表示装置
JP4236364B2 (ja) * 2000-04-04 2009-03-11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データ中継装置
JP2002204252A (ja) 2000-12-28 2002-07-19 Oki Electric Ind Co Ltd 重複プライベートアドレス変換システム
JP2003051844A (ja) * 2001-08-08 2003-02-21 Fujitsu Ltd ユーザ通信装置,エッジデバイス,及びパケットの中継方法
JP2003092586A (ja) * 2001-09-18 2003-03-28 Fujitsu Ltd レイヤ2−vpn中継システム
JP2003309595A (ja) * 2002-04-12 2003-10-31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ルーチング装置およびルーチング方法
KR100429900B1 (ko) * 2002-05-07 2004-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v4 주소체계 확장방법 및 확장된 IPv4주소체계를 이용하여 계층적으로 레이블을 스위칭하는방법 및 그 기록매체
US7380002B2 (en) * 2002-06-28 2008-05-27 Microsoft Corporation Bi-directional affinity within a load-balancing multi-node network interface
JP3809950B2 (ja) 2002-07-03 2006-08-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複数ネットワークの接続を実現する名前解決方法及び装置
CN1476205A (zh) * 2002-08-16 2004-02-18 华为技术有限公司 综合接入设备的通信系统和系统中综合接入设备的管理方法
JP3757917B2 (ja) * 2002-08-20 2006-03-22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ケット転送装置、パケット転送方法解決サーバ、dnsサーバ、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7356045B2 (en) * 2002-10-22 2008-04-08 Cisco Technology, Inc. Shared port address translation on a router behaving as NAT & NAT-PT gateway
WO2004093394A1 (ja) * 2003-04-14 2004-10-28 Fujitsu Limited データ中継装置、データ中継方法、データ中継プログラム、サービス選択装置、サービス選択方法、及びサービス選択プログラム
JP4094496B2 (ja) 2003-06-17 2008-06-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ッジル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27619T1 (de) 2009-04-15
KR20060090622A (ko) 2006-08-14
JP2006222671A (ja) 2006-08-24
CN1819552A (zh) 2006-08-16
ES2322612T3 (es) 2009-06-23
EP1691531B1 (en) 2009-04-01
JP4482465B2 (ja) 2010-06-16
EP1691531A1 (en) 2006-08-16
US20060209855A1 (en) 2006-09-21
DE602006005967D1 (de) 2009-05-14
CN100546278C (zh) 2009-09-30
US7720080B2 (en) 201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116B1 (ko) 중계장치, 단말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제어 방법
KR100817552B1 (ko) 맵핑 테이블을 이용한 IPv4/IPv6 단말 또는 응용프로그램간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방법과, 프로토콜 변환장치의 맵핑 테이블 생성 방법
US7574522B2 (en) Communication data relay system
KR100757881B1 (ko) Nat를 이용한 자동 터널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94209B1 (ko) IPv4망과 IPv6망간의 ISATAP 터널링 시스템 및그 방법
EP2087711B1 (en) Methods and node for IP network interfacing
US201300106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ACKETS IN IPv6 NETWORK
KR20100019518A (ko) 노드 식별자와 위치 지시자를 이용한 패킷의 통신방법
JP2007520970A (ja) トンネリングサービス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666987B1 (ko) 이중스택 전환 메커니즘을 이용한 IPv4-IPv6 전환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50177646A1 (en)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US20040125801A1 (en) Intermediary device and forwarding method
US7764686B1 (en) Migration to IPv6 using combination of globally significant and locally significant IPv4 addresses
JP4572938B2 (ja) アドレス変換方法
JP4763733B2 (ja) IPv4−IPv6トランスレータ装置およびダミーアドレス返答方法
CN101103614A (zh) 将地址空间有效扩展至伪多宿主主机
US200801988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clud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terminal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the same
US20030079025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data packet from a first network unit to a second network unit in a data network
CN100579132C (zh) 在具有不同地址范围的网络中的网络单元之间进行数据交换的方法
JP4349413B2 (ja) パケット生成方法およびその機能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並びにパケット生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693050B1 (ko) 네트워크 프로세서를 이용한 헤더 변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254203A (ja) ゲートウェイ装置
JP6417720B2 (ja) 通信装置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とアドレス解決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3900157B2 (ja) トランスレータ
JP2008092607A (ja) トランス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