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804B1 - 안테나 스위칭 모듈 - Google Patents

안테나 스위칭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804B1
KR100691804B1 KR1020040109253A KR20040109253A KR100691804B1 KR 100691804 B1 KR100691804 B1 KR 100691804B1 KR 1020040109253 A KR1020040109253 A KR 1020040109253A KR 20040109253 A KR20040109253 A KR 20040109253A KR 100691804 B1 KR100691804 B1 KR 100691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pass
pass filter
filter
gsm
d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0681A (ko
Inventor
이우성
유찬세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09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804B1/ko
Publication of KR20060070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5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diplexing or multiplexing filter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안테나 스위칭 모듈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고, 제조 공정을 용이하게 한다.
GSM 신호와 DCS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스위칭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칭 수단이 럼프드 구조의 필터를 사용하고, 럼프드 구조의 필터는 하나의 코일과 코일의 양단과 접지의 사이에 각기 접속되는 2개의 콘덴서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 및 2개의 콘덴서는 유전체 기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라인에 의한 삽입손실을 감소시키고, 임피던스 매칭특성을 원활하게 조절하며, 간단한 구조로 재현성 및 균일성 등을 확보한다.
안테나 스위칭 모듈, 바이어스 전압, 스위칭 전압, 듀얼밴드,

Description

안테나 스위칭 모듈{Antenna switching module}
도 1은 일반적인 안테나 스위칭 모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2는 일반적인 안테나 스위칭 모듈에서 스위칭 수단의 등가회로도.
도 3은 종래의 RF 초크 라인의 주파수 대역별 길이를 보인 도표.
도 4는 종래의 RF 초크 라인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RF 초크 라인을 보인 확대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RF 초크 라인의 선폭에 따른 유전체 기판의 두께를 보인 도표.
도 7은 본 발명의 안테나 스위칭 모듈에서 스위칭 수단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안테나 스위칭 모듈에서 스위칭 수단의 필터를 유전체 기판에 형성한 구성을 예로 들어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는 GSM 신호에 대하여 종래의 RF 초크 라인과 본 발명의 럼프드 구조의 필터의 임피던스 매칭특성을 측정한 그래프.
도 10은 종래의 RF 초크 라인과 본 발명의 럼프드 구조의 필터의 RF 블로킹 특성을 측정한 그래프.
도 11은 종래의 RF 초크 라인과 본 발명의 럼프드 구조의 필터를 적용한 안 테나 스위칭 모듈의 수신특성을 측정하여 보인 그래프.
도 12는 종래의 RF 초크 라인과 본 발명의 럼프드 구조의 필터를 적용한 안테나 스위칭 모듈의 송신특성을 측정하여 보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00 : 안테나 710 : GSM 신호 송수신부
711, 713, 723 : 제 1 내지 제 3 저역통과필터
715, 725 : 제 1 및 제 2 스위칭 수단 715a, 725a : 필터
720 : DCS 신호 송수신부 721 : 고역통과필터
C11∼C16 : 접지 콘덴서 L11, L12 : 코일
D11∼D14 : 다이오드 GSMTX : GSM 신호 입력단자
GSMRX : GSM 신호 출력단자 DCSTX : DCS 신호 입력단자
DCSRX : DCS 신호 출력단자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서로 상이한 두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스위칭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럼프드(lumped) 구조의 필터를 사용하여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고, 제조공정이 용이한 안테나 스위칭 모듈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생활 형태의 변화 및 경제 성장 등으로 통신 문화의 형태가 급속도로 변화되고,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고속의 정보전달에 대한 요구로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지하, 공중, 해상 및 산악 지역 등에서도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일상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통신 매체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하는 가입자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들 가입자를 모두 수용하기 위한 새로운 통신방식과 새로운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새로운 통신 시스템을 만들고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가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 특성의 하나인 이동성을 추구하는 여러 가지의 통신방식을 만족하고, 여러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사용하여 통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PCS 사업자들이 셀룰러 사업자들에 비해 협소할 수 밖에 없는 자신들의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를 위하여 기존 사업자들과의 로밍을 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즉,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및 DCS(Digital Communication System)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듀얼모드/듀얼밴드 단말기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도 1은 멀티밴드/멀티모드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안테나 스위칭 모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안테나이고, 부호 110은 상기 안테나(100)를 통해 GSM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GSM 신호 송수신부이며, 부호 120은 상기 안테나(100)를 통해 DCS 신호를 송수신하는 DCS 신호 송수신부이다.
상기 GSM 신호 송수신부(110)는, 상기 안테나(100)를 통해 송수신되는 GSM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111)와, GSM 신호 입력단자(GSMTX)로 입력되는 송신할 GSM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여 상기 저역통과필터(111)로 전달하는 저역통과필터(113)와, 상기 저역통과필터(111)를 통해 수신되는 GSM 신호를 GSM 신호 출력단자(GSMRX)로 출력함과 아울러 GSM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상기 GSM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115)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 수단(115)은 GSM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단자(BV1)가 저항(R1)을 통해 접지 콘덴서(C1)에 접속되고, 그 접속점이 다이오드(D1)를 통해, 수신된 GSM 신호를 출력하는 GSM 신호 출력단자(GSMRX)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D1) 및 GSM 신호 출력단자(GSMRX)의 접속점이 RF 초크 라인(115a)을 통해 상기 저역통과필터(111)에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이 다이오드(D2)를 통해 상기 저역통과필터(113)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DCS 신호 송수신부(120)는, 상기 안테나(100)를 통해 송수신되는 DCS 신호를 고역 필터링하는 고역통과필터(121)와, DCS 신호 입력단자(DCSTX)로 입력되는 송신할 DCS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여 상기 고역통과필터(121)로 전달하는 저역통과필터(123)와, 상기 저역통과필터(121)를 통해 수신되는 DCS 신호를 DCS 신호 출력단자(DCSRX)로 출력함과 아울러 DCS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상기 DCS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125)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 수단(125)은 DCS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BV2)가 저항(R2)을 통해 접지 콘덴서(C2)에 접속되고, 그 접속점이 다이오드(D3)를 통해, 수신된 DCS 신호를 출력하는 DCS 신호 출력단자(DCSRX)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D3) 및 DCS 신호 출력단자(DCSRX)의 접속점이 RF 초크 라인(125a)을 통해 상기 저역통과필터(121)에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이 다이오드(D4)를 통해 상기 저역통과필터(123)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안테나 스위칭 모듈은 GSM 신호를 송신할 경우에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BV1)로 고전위가 입력되고, 그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BV1)의 고전위가 저항(R1)을 통하고, 해 콘덴서(C1)에 충전되면서 다이오드(D1), RF 초크 라인(8) 및 다이오드(D2)를 순차적으로 통해 흐르게 되므로 다이오드(D1, D2)가 도통상태로 된다. 이를 등가회로로 도시하면, 도 2와 같다.
그러면, GSM 신호 입력단자(GSMTX)로 입력되는 GSM 신호는 저역통과필터(113)에서 저역 필터링된 후 다이오드(D2)를 통해 저역통과필터(111)에 입력되어 다시 저역 필터링되고, 안테나(100)로 출력되어 송신된다.
여기서, 상기 콘덴서(C1)는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BV1)로 입력되는 직류 바이어스 전압을 안전적으로 공급하면서 모듈의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약 100㎌ 이상의 매우 큰 용량을 가지고, RF 초크 라인(125a)은 송신하는 GSM 신호의 1/4 파장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서 저역통과필터(113)에서 출력되는 송신 GSM 신호는 RF 초크 라인(125a)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GSM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바이어스 전압 입력단자(BV1)로 접지 레벨의 저전위가 입력되고, 다이오드(D1, D2)가 모두 차단상태로 된다. 이 때, 상기 RF 초크 라인(125a)은 약 50Ω의 임피던스를 가지는 것으로서 안테나(100)를 통해 수신되는 GSM 신호가 저역통과필터(111)에서 저역 필터링된 후 RF 초 크 라인(125a)을 통해 GSM 신호 출력단자(GSMRX)로 출력된다.
그리고 DCS 신호의 송신 및 수신 동작은 상기한 GSM 신호의 송신 및 수신 동작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러한 종래의 안테나 스위칭 모듈에 있어서, 상기 RF 초크 라인(115a, 125a)은 송신모드일 경우에 GSM 신호와 DCS 신호의 1/4 파장의 길이를 가져야 되는 것으로서 유전율이 8인 기판에 RF 초크 라인(115a, 125a)을 형성할 경우에 각 주파수별로 RF 초크 라인(115a, 125a)의 길이를 계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일반적으로 안테나 스위칭 모듈이 동작하는 주파수 영역은 GSM 신호일 경우에 약 1㎓ 주변이고, DCS 신호는 약 2㎓ 주변으로서 RF 초크 라인(115a, 125a)의 1/4파장의 길이는 GSM 신호에 대해서는 약 26.5㎜이고, DCS 신호에 대해서는 약 13.25mm로 매우 길다.
상기 RF 초크 라인(115a, 125a)의 길이가 길어지면, 라인의 삽입 손실값이 증가하게 되고, 수신 모드에서의 전체 삽입손실이 증가하게 된다. 유전율이 큰 재질의 기판을 사용하여 RF 초크 라인(115a, 125a)을 형성할 경우에 RF 초크 라인(115a, 125a)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나, 유전율이 커지면 유전체 손실도 같이 증가하게 되므로 유전율이 높은 기판을 사용하는 것도 한계점을 갖게 된다. 또한 RF 초크 라인(115a, 125a)을 형성함에 있어서, 20㎜ 이상을 스크린 인쇄법으로 형성해야 되므로 RF 초크 라인(115a, 125a)의 균일성 및 재현성 등의 문제점을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그리고 수신모드에서는 RF 초크 라인(115a, 125a)이 저항값이 약 50Ω으로 되도록 임피던스를 매칭시켜야 된다. 안테나 스위칭 모듈을 제조함에 있어서, 안테나 스위칭 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을 복수의 유전체 기판에 각기 제작한 후 복수의 유전체 기판들을 하나로 접합한다고 가정할 경우에 이를 사시도 및 단면도로 도시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유전체 기판(400) 내에 RF 초크 라인(115a, 125a)이 위치하고, 유전체 기판(400)의 상부 및 하부에 접지패턴(410, 420)이 위치한다.
이러한 경우에 RF 초크 라인(115a, 125a)의 임피던스는 접지패턴(410, 420)들 사이의 간격(B) 및 RF 초크 라인(115a, 125a)의 선폭(W) 그리고 유전체 기판(400)의 유전율에 의해 결정된다. 유전체 기판(400)의 유전율이 8이라고 가정할 경우에 접지패턴(410, 420)들 사이의 간격(B)에 따른 RF 초크 라인(115a, 125a)의 선폭(W)이 도 6에 도표로 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스크린 프린팅에 의한 인쇄방법에서는 100㎛ 이하의 라인을 구현하기가 매우 힘들다. 이를 감안할 경우에 접지패턴(410, 420)들 사이의 간격(B)이 최소한 500㎛ 이상이 되어야 하고, 이로 인하여 안테나 스위칭 모듈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유전율이 낮은 재료의 기판을 사용할 경우에 좀 더 넓은 선폭(W)으로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모드에서의 특성을 구현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RF 초크 라인을 사용하지 않고, 럼프드 구조의 필터를 사용하여 GSM 신호와 DCS 신호를 송신 및 수신을 스위칭하는 안테나 스위칭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고, 제조공정이 용이한 안테나 스위칭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안테나 스위칭 모듈은 RF 초크 라인을 사용하지 않고, 럼프드 구조의 필터를 사용하고, 그 럼프드 구조의 필터는 하나의 코일과 상기 코일의 양단과 접지의 사이에 각기 접속되는 2개의 콘덴서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 및 2개의 콘덴서는 유전체 기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7 내지 도 12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안테나 스위칭 모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안테나 스위칭 모듈에서 스위칭 수단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700은 안테나이고, 부호 710은 상기 안테나(700)를 통해 GSM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GSM 신호 송수신부이며, 부호 720은 상기 안테나(700)를 통해 DCS 신호를 송수신하는 DCS 신호 송수신부이다.
상기 GSM 신호 송수신부(710)는, 상기 안테나(700)를 통해 송수신되는 GSM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는 제 1 저역통과필터(711)와, 송신할 GSM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여 상기 제 1 저역통과필터(711)로 전달하는 제 2 저역통과필터(713)와, 상기 제 1 저역통과필터(711)를 통해 수신되는 GSM 신호를 GSM 신호 출력단자(GSMRX)로 출력함과 아울러 입력단자(BV1)로 입력되는 GSM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상기 GSM 신 호의 송신 및 수신을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칭 수단(71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715)은 GSM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단자(BV1)가 저항(R11)을 통해 접지 콘덴서(C11)에 접속되고, 그 접속점이 다이오드(D11)를 통해, 수신된 GSM 신호를 출력하는 GSM 신호 출력단자(GSMRX)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D11) 및 GSM 신호 출력단자(GSMRX)의 접속점이 럼프드 구조의 필터(715a)를 통해 상기 저역통과필터(711)에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이 다이오드(D2)를 통해 상기 저역통과필터(713)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DCS 신호 송수신부(720)는, 상기 안테나(700)를 통해 송수신되는 DCS 신호를 고역 필터링하는 고역통과필터(721)와, DCS 신호 입력단자(DCSTX)로 입력되는 송신할 DCS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여 상기 고역통과필터(721)로 전달하는 제 3 저역통과필터(723)와, 상기 제 3 저역통과필터(721)를 통해 수신되는 DCS 신호를 DCS 신호 출력단자(DCSRX)로 출력함과 아울러 입력단자(BV2)로 입력되는 DCS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상기 DCS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칭 수단(72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725)은 DCS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단자(BV2)가 저항(R12)을 통해 접지 콘덴서(C14)에 접속되고, 그 접속점이 다이오드(D13)를 통해, 수신된 DCS 신호를 출력하는 DCS 신호 출력단자(DCSRX)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D13) 및 DCS 신호 출력단자(DCSRX)의 접속점이 럼프드 구조의 필터(725a)를 통해 상기 고역통과필터(721)에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이 다이오드(D2)를 통해 상기 제 3 저역통과필터(723)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필터(715a)(725a)들 각각은 하나의 코일(L11)(L12)과, 상기 코일의 양단과 접지의 사이에 접속되는 접지 콘덴서(C12, C13)(C15, C16)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기판(800)들 사이에 럼프드 구조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필터(715a)(725a)는 유전체 기판(800)에 코일(L11)(L12)의 패턴이 형성되고, 코일(L11)(L12)의 패턴의 양 단부에 각기 콘덴서(C12, C13)(C15, C16)의 패턴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안테나 스위칭 모듈은 GSM 신호 송수신부(710)의 입력단자(BV1)에 소정 레벨의 직류 바이어스 전압 즉, 고전위 전압이 입력될 경우에 다이오드(D11, D12)에 순방향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도통상태로 된다.
그러면, GSM 신호 입력단자(GSMTX)로 입력되는 송신할 GSM 신호가 제 2 저역통과필터(713)에서 저역 필터링되고, 다이오드(D12)를 통해 제 1 저역통과필터(711)에서 다시 저역 필터링된 후 안테나(700)에 인가되어 송신된다.
이 때, 필터(715a) 및 콘덴서(C11)는 매우 높은 임피던스를 갖게 되어 상기 다이오드(D12)를 통과한 송신할 GSM 신호는 필터(715a) 및 콘덴서(C11)에 의해 차단되고, GSM 신호 출력단자(GSMRX)로 출력되지 않는다.
그리고 입력단자(BV1)에 접지레벨의 저전위 전압이 입력될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다이오드(D11, D12)가 차단상태로 된다.
그러면, 필터(715a)와 콘덴서(C11)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므로 안테나(700)를 통해 수신되어 제 1 저역통과필터(711)에서 저역 필터링된 GSM 신호는 필터(715a) 를 통해 저역 필터링된 후 GSM 신호 출력단자(GSMRX)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DCS 신호 송수신부(720)는 GSM 신호 송수신부(71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동작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럼프드 구조의 필터(715a, 725a)와 종래의 RF 초크 라인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도 9는 GSM 신호에 대하여 종래의 RF 초크 라인과 본 발명의 럼프드 구조의 필터의 임피던스 매칭특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 9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RF 초크 라인을 사용한 경우에 GSM 신호의 대역 즉, 1㎓의 주변에서 약 -20㏈가 나타나고, 넓은 주파수 영역에서 임피던스가 매칭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럼프드 구조의 필터를 사용한 경우에는 대역이 넓지는 않으나, GSM 신호의 대역에서 약 -40㏈ 이하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종래의 RF 초크 라인보다 본 발명의 럼프드 구조의 필터가 훨씬 더 매칭되었다.
도 10은 종래의 RF 초크 라인과 본 발명의 럼프드 구조의 필터의 RF 블로킹 특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RF 초크 라인과 본 발명의 럼프드 구조의 필터의 RF 블로킹 특성은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짧은 길이를 갖는 구조를 본 발명의 럼프드 구조의 필터를 이용하여 송신모드의 특성을 저하하지 않고, 수신모드 특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송수신 모드 전체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3차원 구조의 시뮬레이터로 특성을 비교하였다.
도 11a 및 도 11b는 종래의 RF 초크 라인 및 본 발명의 럼프드 구조의 필터를 사용한 안테나 스위칭 모듈에서 안테나(700)를 통해 수신되어 GSM 신호 출력단자(GSMRX)로 출력되는 GSM 신호의 삽입손실을 측정하여 보인 그래프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RF 초크 라인을 사용한 안테나 스위칭 모듈의 GSM 신호의 삽입손실은 0.942㎓에서 -0.9411㏈인데 반하여 본 발명의 럼프드 구조의 필터를 사용한 안테나 스위칭 모듈의 GSM 신호의 삽입손실은 0.942㎓에서 -0.502로서 본 발명의 럼프드 구조의 필터를 사용한 안테나 스위칭 모듈의 삽입손실이 종래의 RF 초크 라인을 사용한 안테나 스위칭 모듈의 삽입손실보다 매우 향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종래의 RF 초크 라인 및 본 발명의 럼프드 구조의 필터를 사용한 안테나 스위칭 모듈에서 GSM 신호 입력단자(GSMTX)로 입력되어 안테나(700)를 통해 송신되는 GSM 신호의 삽입손실을 측정하여 보인 그래프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RF 초크 라인을 사용한 안테나 스위칭 모듈의 GSM 신호의 삽입손실은 0.9㎓에서 -0.8886이고, 본 발명의 럼프드 구조의 필터를 사용한 안테나 스위칭 모듈의 GSM 신호의 삽입손실은 0.9㎓에서 -0.91로서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RF 초크 라인을 사용하지 않고, 코일 및 콘덴서로 이루어진 럼프드 구조의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코일을 형성하는 라인의 길이가 짧아 라인에 의한 삽입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고, 코일 및 콘덴서의 임피던스 값을 조절하여 매칭특성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공정면에서 재현성 및 균일성 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2)

  1.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GSM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는 제 1 저역통과필터;
    송신할 GSM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여 상기 제 1 저역통과필터로 전달하는 제 2 저역통과필터;
    상기 제 1 저역통과필터가 출력하는 수신 GSM 신호를 GSM 신호 출력단자로 출력함과 아울러 GSM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상기 GSM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칭 수단;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DCS 신호를 고역 필터링하는 고역통과필터;
    송신할 DCS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여 상기 고역통과필터로 전달하는 제 3 저역통과필터; 및
    상기 제 3 저역통과필터가 출력하는 수신 DCS 신호를 DCS 신호 출력단자로 출력함과 아울러 DCS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상기 DCS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 수단들 각각은;
    하나의 코일과, 상기 코일의 양단과 접지의 사이에 각기 접속되는 2개의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럼프드 구조의 필터;
    접지 콘덴서;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럼프드 구조의 필터 및 접지 콘덴서를 전기적으로 분리시켜 상기 제 1 저역통과필터 및 고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가 GSM 및 DCS 신호 출력단자로 출력되게 하는 제 1 다이오드; 및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경우에 상기 제 2 및 제 3 저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가 상기 제 1 저역통과필터 및 고역통과필터로 입력되게 하는 제 2 다이오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스위칭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럼프드 구조의 필터는;
    유전체 기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스위칭 모듈.
KR1020040109253A 2004-12-21 2004-12-21 안테나 스위칭 모듈 KR100691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253A KR100691804B1 (ko) 2004-12-21 2004-12-21 안테나 스위칭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253A KR100691804B1 (ko) 2004-12-21 2004-12-21 안테나 스위칭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681A KR20060070681A (ko) 2006-06-26
KR100691804B1 true KR100691804B1 (ko) 2007-03-12

Family

ID=37164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253A KR100691804B1 (ko) 2004-12-21 2004-12-21 안테나 스위칭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8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910B1 (ko) 2002-07-03 2004-11-06 전자부품연구원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910B1 (ko) 2002-07-03 2004-11-06 전자부품연구원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681A (ko) 200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tsuo et al. Dual-mode stepped-impedance ring resonator for bandpass filter applications
KR100303638B1 (ko) 안테나듀플렉서
US8072294B2 (en) Filter having switch function and band pass filter
US6995630B2 (en) High-frequency compound switch module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it
EP0938153B1 (en) Bandpass filter, duplexer, high-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s device
CN101010829A (zh) 天线开关模块
US8421552B2 (en) High-frequency switch
EP1505683B1 (en) High frequency switch module and multi-layer substrate for high frequency switch module
JP5261119B2 (ja) 高周波スイッチ
JPH08316870A (ja) 無線通信送受信装置
JPH08307106A (ja) 共振器構造およびそれよりなる高周波フィルター
US5543758A (en) Asymmetric dual-band combine filter
US7579929B2 (en) Transmission circuit, antenna duplexer, and radio-frequency switch circuit
EP0468757A2 (en) Branching filter
KR100512794B1 (ko) 필터 부품 및 통신기 장치
EP1394893A1 (en) Parallel multistage band-pass filter
KR100393695B1 (ko) 스트립라인필터,그필터를갖는수신기및그필터를동조하는방법
KR20010007226A (ko) 주파수 대역 가변 필터, 듀플렉서 및 통신 기기
US7027778B2 (en) Radio frequency switching apparatus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CN114649670A (zh) 滤波天线和基站
US20080197939A1 (en) Passive microwave (de)multiplexer
KR100691804B1 (ko) 안테나 스위칭 모듈
US6597252B1 (en)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with series and parallel matching capacitors at different ports
US20030231080A1 (en) Dielectric duplexer
JPH1168409A (ja) 遅延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