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910B1 -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회로 - Google Patents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910B1
KR100454910B1 KR10-2002-0038359A KR20020038359A KR100454910B1 KR 100454910 B1 KR100454910 B1 KR 100454910B1 KR 20020038359 A KR20020038359 A KR 20020038359A KR 100454910 B1 KR100454910 B1 KR 100454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sm
dcs
signal
switching
transmiss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3609A (ko
Inventor
윤종남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38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910B1/ko
Publication of KR20040003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9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GSM 송수신계의 신호와 DCS 송수신계의 신호를 손실이 발생됨이 없이 용이하게 송수신하고, 분리하며, 스위칭한다.
다이플렉서를 사용하여 GSM 송신신호 및 DCS 송신신호를 안테나에 전달하고 그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GSM 수신신호 및 DCS 수신신호를 분리하며, 제 1 스위칭전압 입력부가 제 1 스위칭 전압을 입력받을 경우에 GSM 송신신호 검출부가 GSM 송신신호를 검출하고 검출한 GSM 송신신호를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가 다이플렉서로 전달하며, 제 1 스위칭 전압을 입력받지 않을 경우에 다이플렉서에서 분리된 GSM 수신신호를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가 분리 출력하며, 또한 제 2 스위칭전압 입력부가 제 2 스위칭 전압을 입력받을 경우에 DCS 송신신호 검출부가 DCS 송신신호를 검출하고 검출한 DCS 송신신호를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가 다이플렉서로 전달하며, 제 2 스위칭전압 입력부가 제 2 스위칭 전압을 입력받지 않을 경우에 다이플렉서에서 분리된 DCS 수신신호를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가 분리 출력한다.

Description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회로{Circuit for switching dual band radio frequency}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서로 상이한 두 주파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생활 형태의 변화 및 경제 성장 등으로 통신 문화의 형태가 급속도로 변화되고,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고속의 정보전달에 대한 요구로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지하, 공중, 해상 및 산악 지역 등에서도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일상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통신 매체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하는 가입자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들 가입자를 모두 수용하기 위한 새로운 통신방식과 새로운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새로운 통신 시스템을 만들고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가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 특성의 하나인 이동성을 추구하는 여러 가지의 통신방식을 만족하고, 여러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사용하여 통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여러 해 전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PCS 사업자들이 셀룰러 사업자들에 비해 협소할 수 밖에 없는 자신들의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를 위하여 기존 사업자들과의 로밍을 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네트워크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듀얼 모드, 듀얼 밴드 혹은 트리플 밴드 단말기인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달라스에서 열린 'PCS 97'에서 일본 소니사가 1997년 가을에 출시할 것이라고 밝힌 멀티 단말기는 이러한 시장을 겨냥한 것으로서 앞으로도 이와 관련된 개발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이며, 현재 유럽에서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DCS(Digital Communication System)의 멀티밴드/멀티모드 및 단일밴드의 수요의 비가 90 : 10 이상으로 되었다.
도 1은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 회로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안테나(100)에 제 1 스위칭부(110) 및 제 2 스위칭부(120)를 구비하여 GSM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와, DCS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를 각기 분리하였다.
상기 제 1 스위칭부(110) 및 제 2 스위칭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가 콘덴서(C1),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2)를 순차적으로 통해 안테나(100)에 접속되고, 상기 콘덴서(C1) 및 다이오드(D1)의 접속점과 접지의 사이에 λ/4 전송선로(200) 및 콘덴서(C3)가 직렬 접속되며, 그 λ/4 전송선로(200) 및 콘덴서(C3)의 접속점에 제 1 스위칭 전압(VC1)이 인가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2)의 접속점이 λ/4 전송선로(210) 및 콘덴서(C4)를 통해 수신신호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λ/4 전송선로(210) 및 콘덴서(C4)의 접속점과 접지의 사이에 다이오드(D2) 및 콘덴서(C5)가 접속되며, 다이오드(D2) 및 콘덴서(C5)의 접속점에, 제 2 스위칭 전압(VC2)이 저항(R1)을 통해 인가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위칭회로는 소정의 신호를 송신할 경우에 제 1스위칭 전압(VC1)이 약 2.5∼5.5V의 고전위로 인가되고, 제 2 스위칭 전압(VC2)은 0V인 저전위로 인가된다.
그러면, 다이오드(D1, D2)에는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어 모두 도통상태로 되고, 입력되는 송신신호는 콘덴서(C1),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2)를 순차적으로 통해 안테나(100)에 인가되어 송신된다. 이 때, 콘덴서(C1) 및 다이오드(D1)의 접속점 위치에서 λ/4 전송선로(200)의 임피던스가 무한대로 되고, 또한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2)의 접속점 위치에서 λ/4 전송선로(210)의 임피던스가 무한대로 되므로 송신신호는 손실됨이 없이 안테나(100)를 통해 송신된다.
그리고 소정의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상기와는 반대로 제 1 스위칭 전압(VC1)이 0V인 저전위로 인가되고, 제 2 스위칭 전압(VC2)이 약 2.5∼5.5V의 고전위로 인가된다.
그러면, 다이오드(D1, D2)는 모두 차단상태로 되고, 안테나(100)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신호는 모두 콘덴서(C2), λ/4 전송선로(210) 및 콘덴서(C4)를 통해 수신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스위칭 회로는 단순히 2개의 스위칭부를 구비하여 GSM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와, DCS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를 스위칭하는 것으로서 GSM 신호와 DCS 신호를 분리하는데 많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GSM 송수신계의 신호와 DCS 송수신계의 신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중대역 스위칭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GSM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와, DCS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를 손실됨이 없이 깨끗하게 스위칭할 수 있는 이중대역 스위칭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이중대역 스위칭 회로는, GSM 및 DCS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안테나와, GSM 송신신호 및 DCS 송신신호를 상기 안테나에 전달함과 아울러 그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GSM 수신신호 및 DCS 수신신호를 분리하는 다이플렉서와, GSM 송신신호를 필터링하여 검출하는 GSM 송신신호 검출부와, 제 1 스위칭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GSM 송신신호 검출부가 상기 GSM 송신신호를 검출하게 하는 제 1 스위칭전압 입력부와, 상기 제 1 스위칭전압 입력부가 제 1 스위칭 전압을 입력받을 경우에는 상기 GSM 송신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GSM 송신신호를 상기 다이플렉서로 전달하고, 상기 제 1 스위칭전압 입력부가 제 1 스위칭 전압을 입력받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다이플렉서에서 분리된 GSM 수신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와, DCS 송신신호를 필터링하여 검출하는 DCS 송신신호 검출부와, 제 2 스위칭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DCS 송신신호 검출부가 상기 DCS 송신신호를 검출하게 하는 제 2 스위칭전압 입력부와, 상기 제 2 스위칭전압 입력부가 제 2 스위칭 전압을 입력받을 경우에는 상기 DCS 송신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DCS 송신신호를 상기 다이플렉서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스위칭전압 입력부가 제 2 스위칭 전압을 입력받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다이플렉서에서 분리된 DCS 수신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GSM 송신신호 검출부 및 DCS 송신신호 검출부는, 저역통과 필터 또는대역통과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이플렉서는, 상기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GSM 송신신호를 상기 안테나에 전달하고 그 안테나로 수신되는 GSM 수신신호를 저역통과 필터링하여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로 입력시키는 저역통과 필터와, 상기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DCS 송신신호를 상기 안테나에 전달하고 그 안테나가 수신하는 DCS 수신신호를 고역통과 필터링하여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로 입력시키는 고역통과 필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스위칭회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위칭부를 보인 상세 회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스위칭회로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스위칭회로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3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보인 회로도이며,
도 6은 도 3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세 구성의 다른 예를 보인 회로도이며,
도 7은 도 3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세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보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안테나 310 : 다이플렉서
320, 350, 500 : 저역통과 필터 330, 360 : 제 1 및 제 2 스위칭전압 입력부
340, 370 : GSM 및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
400, 410 : 대역통과 필터 510 : 고역통과 필터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회로의 일 실시 예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GSM 및 DCS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안테나(300)와, GSM 송신신호 및 DCS 송신신호를 상기 안테나(300)에 전달함과 아울러 그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되는 GSM 수신신호 및 DCS 수신신호를 분리하는 다이플렉서(310)와, GSM 송신신호를 저역통과 필터링하여 검출하는 GSM 송신신호 검출부인 저역통과 필터(320)와, 제 1 스위칭 전압(SV1)을 입력받아 상기 저역통과 필터(320)가 상기 GSM 송신신호를 저역통과 필터링하게 하는 제 1 스위칭전압 입력부(330)와, 상기 제 1 스위칭전압 입력부(330)가 제 1 스위칭 전압(SV1)을 입력받을 경우에 상기 저역통과 필터(320)에서 저역통과 필터링된 GSM 송신신호를 상기 다이플렉서(310)로 전달하여 송신하게 하고 상기 제 1 스위칭전압 입력부(330)가제 1 스위칭 전압(SV1)을 입력받지 않을 경우에 상기 다이플렉서(310)에서 분리된 GSM 수신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40)와, DCS 송신신호를 저역통과 필터링하여 검출하는 DCS 송신신호 검출부인 저역통과 필터(350)와, 제 2 스위칭 전압(SV2)을 입력받아 상기 저역통과 필터(350)가 상기 DCS 송신신호를 대역통과 필터링하게 하는 제 2 스위칭전압 입력부(360)와, 상기 제 2 스위칭전압 입력부(360)가 제 2 스위칭 전압(SV2)을 입력받을 경우에 상기 저역통과 필터(350)에서 대역통과 필터링된 DCS 송신신호를 상기 다이플렉서(310)로 전달하여 송신하게 하고 상기 제 2 스위칭전압 입력부(360)가 제 2 스위칭 전압(SV2)을 입력받지 않을 경우에 상기 다이플렉서(310)에서 분리된 DCS 수신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7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회로는 GSM 송신신호를 송신할 경우에 소정 레벨의 제 1 스위칭 전압(SV1)이 입력되어 제 1 스위칭전압 입력부(330)를 통해 GSM 송신신호 검출부인 저역통과 필터(320)에 인가된다.
그러면, 저역통과 필터(320)가 정상 동작하여 GSM 송신신호를 저역통과 필터링하고, 그 필터링한 GSM 송신신호를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40)로 입력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1 스위칭전압 입력부(330)가 입력한 제 1 스위칭 전압(SV1)이 저역통과 필터(320)를 통해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40)로 입력되는 것으로서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40)는 저역통과 필터(320)로부터 입력되는 GSM 송신신호를 다이플렉서(310)로 출력하여 송신되게 한다.
그리고 GSM 수신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제 1 스위칭 전압(SV1)이 입력되지 않고, 이로 인하여 저역통과 필터(320)가 동작하지 않음은 물론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40)가 수신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되는 GSM 수신신호는 다이플렉서(310)를 통하고,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40)를 통해 분리되어 출력한다.
한편, DCS 송신신호를 송신할 경우에는 소정 레벨의 제 2 스위칭 전압(SV2)이 입력되어 제 2 스위칭전압 입력부(360)를 통해 DCS 송신신호 검출부인 저역통과 필터(350)에 인가된다.
그러면, 저역통과 필터(350)가 정상 동작하여 DCS 송신신호를 대역통과 필터링하고, 그 필터링한 DCS 송신신호를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70)로 입력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2 스위칭전압 입력부(360)가 입력한 제 2 스위칭 전압(SV2)이 저역통과 필터(350)를 통해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70)로 입력되는 것으로서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70)는 저역통과 필터(350)로부터 입력되는 DCS 송신신호를 다이플렉서(310)로 출력하여 송신되게 한다.
그리고 DCS 수신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제 2 스위칭 전압(SV2)이 입력되지 않고, 이로 인하여 저역통과 필터(350)가 동작하지 않음은 물론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70)가 수신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되는 DCS 수신신호는 다이플렉서(310)를 통하고,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70)를 통해 분리되어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회로의 다른 실시 예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한 일 실시 예에서 GSM 송신신호 검출부를 저역통과 필터(320)(350) 대신에 대역통과 필터(400)(410)를 사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GSM 송신신호 및 DCS 송신신호를 송신할 경우에 대역통과 필터(400)(410)가 각기 GSM 송신신호 및 DCS 송신신호 만을 대역통과 필터링하여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40) 및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70)로 입력시키는 것으로서 잡음이 적고, 보다 깨끗한 GSM 송신신호 및 DCS 송신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보인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이플렉서(310)는, 상기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40)의 출력신호를 상기 안테나(300)에 전달하고 그 안테나로 수신되는 GSM 수신신호를 저역통과 필터링하여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40)로 입력시키는 저역통과 필터(500)와, 상기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70)의 출력신호를 상기 안테나(300)에 전달하고 그 안테나(300)로 수신되는 DCS 수신신호를 고역통과 필터링하여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70)로 입력시키는 고역통과 필터(510)로 구성된다. 상기 저역통과 필터(500)는, 콘덴서(C11)에 접지 콘덴서(C12)가 접속되고, 그 콘덴서(C11, C12)의 접속점과 안테나(300)의 사이에 인덕터 성분의 전송선로(501) 및 콘덴서(C13)가 병렬 접속된다. 상기 고역통과 필터(510)는, 콘덴서(C14)에, 일측이 접지된 인덕터 성분의 전송선로(511)가 접속되고, 그 콘덴서(C14) 및 인덕터 성분의 전송선로(511)의 접속점과 안테나(300)의 사이에, 인덕터 성분의 전송선로(512) 및 콘덴서(C15)가 병렬 접속된다.
상기 저역통과 필터(320)는, GSM 송신신호가 인가되는 콘덴서(C16)에 접지 콘덴서(C17)가 접속되고, 그 콘덴서(C16, C17)의 접속점이, 병렬 접속된 콘덴서(C18) 및 전송선로(520)를 통해 접지 콘덴서(C19)에 접속되며, 상기 전송선로(520)에는 접지 콘덴서(C20)가 접속된다.
상기 제 1 스위칭전압 입력부(330)는, 상기 콘덴서(C16∼C18) 및 전송선로(520)의 접속점과 접지의 사이에 전송선로(530) 및 콘덴서(C21)가 직렬 접속되고, 코일(L11)의 일측단자에 제 1 스위칭 전압(SV1)이 인가되며, 코일(L11)의 타측단자는 저항(R11)을 통해, 상기 전송선로(530) 및 콘덴서(C21)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상기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40)는, 상기 저역통과 필터(320)의 콘덴서(C18, C19) 및 전송선로(520)의 접속점이 핀 다이오드(D11)를 통해, 상기 다이플렉서(310)의 콘덴서(C11)에 접속되고, 핀 다이오드(D11)와 콘덴서(C11)의 접속점이 전송선로(540) 및 핀 다이오드(D12)를 통해 접지에 접속되며, 전송선로(540) 및 핀 다이오드(D12)의 접속점에 콘덴서(C22)가 접속되어 그 콘덴서(C22)를 통해 GSM 수신신호가 분리 출력되게 구성된다.
상기 저역통과 필터(350)는, DCS 송신신호가 인가되는 콘덴서(C23)에 접지 콘덴서(C24)가 접속되고, 그 콘덴서(C23, C24)의 접속점이, 병렬 접속된 콘덴서(C25) 및 전송선로(550)를 통해 접지 콘덴서(C26)에 접속되며, 상기 전송선로(550)에는 접지 콘덴서(C27)가 접속된다.
상기 제 2 스위칭전압 입력부(360)는, 상기 콘덴서(C23∼C25) 및전송선로(550)의 접속점과 접지의 사이에 전송선로(560) 및 콘덴서(C28)가 직렬 접속되고, 코일(L12)의 일측단자에 제 2 스위칭 전압(SV2)이 인가되며, 코일(L12)의 타측단자는 저항(R12)을 통해, 상기 전송선로(560) 및 콘덴서(C28)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상기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70)는, 상기 저역통과 필터(350)의 콘덴서(C25, C26) 및 전송선로(550)의 접속점이 핀 다이오드(D13)를 통해, 상기 다이플렉서(310)의 콘덴서(C14)에 접속되고, 핀 다이오드(D13)와 콘덴서(C14)의 접속점이 전송선로(570) 및 핀 다이오드(D14)를 통해 접지에 접속되며, 전송선로(570) 및 핀 다이오드(D14)의 접속점에 콘덴서(C29)가 접속되어 그 콘덴서(C29)를 통해 DCS 수신신호가 분리 출력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입력되는 GSM 송신신호는 저역통과 필터(320)의 콘덴서(C16)를 통과하고, GSM 송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직류성분은 콘덴서(C16)에 의해 모두 제거된다. 상기 직류성분이 제거된 GSM 송신신호는 전송선로(520)와 콘덴서(C17∼C20)를 통해 고성능으로 저역통과 필터링되어 GSM 송신신호가 검출되고, 그 검출된 GSM 송신신호는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40)로 입력된다.
그리고 제 1 스위칭 전압(SV1)이 제 1 스위칭 전압 입력부(330)의 코일(L11) 및 저항(R11)을 통해 입력되어 전송선로(530) 및 콘덴서(C21)에 인가된다. 이 때, 코일(L11)은, 상기 저역통과 필터(320)로 입력되는 GSM 송신신호인 고주파가 전원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고, 저항(R11)은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핀다이오드(D11, D12)로 과전류가 흘러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 1 스위칭 전압(SV1)이 입력될 경우에 전송선로(530)는 고 임피던스 상태로 되고, 또한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40)의 핀 다이오드(D11, D12)에는 순방향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모두 도통상태로 된다. 그러면, 상기 콘덴서(C16)를 통과한 GSM 송신신호는, 고 임피던스 상태의 전송선로(530)에 의해 손실됨이 없이 전송선로(520)와 콘덴서(C17∼C20)로 입력되어 저역통과 필터링된다. 상기 저역통과 필터링된 GSM 송신신호는 핀 다이오드(D11)를 통해 다이플렉서(310)의 저역통과 필터(500)로 입력된다. 상기 저역통과 필터(500)는 안테나(300) 측의 신호에 대해서는 저역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나,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40)의 신호에 대해서는 전송선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핀 다이오드(D11)를 통과한 GSM 송신신호는 저역통과 필터(500)를 역방향으로 통해 안테나(300)에 전달되어 송신된다. 이 때, 상기 핀 다이오드(D12)가 도통상태로 됨에 따라 전송선로(540)도 고 임피던스 상태로 되므로 핀 다이오드(D11)를 통과한 GSM 송신신호는 전송선로(540)에 의해 손실됨이 없이 모두 저역통과 필터(500)를 통해 안테나(300)로 전달되어 송신된다.
그리고 제 1 스위칭 전압(SV1)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와는 반대로 핀 다이오드(D11, D12)에 역방향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모두 차단상태로 된다.
그러면,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되는 GSM 수신신호가 저역통과 필터(500)에서 저역통과 필터링되어 검출되고, 검출된 GSM 수신신호는 전송선로(540) 및 콘덴서(C22)를 순차적으로 통해 출력된다.
한편, 저역통과 필터(350), 제 2 스위칭전압 입력부(360) 및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70)는 제 2 스위칭 전압(SV2)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저역통과 필터(320), 제 1 스위칭전압 입력부(330) 및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40)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동작은 생략하고, 고역통과 필터(510)는, DCS 송신신호를 송신할 경우에 전송선의 역할을 하여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70)에서 출력되는 DCS 송신신호를 안테나(300)에 전달 및 송신되게 하며, DCS 수신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안테나(300)에 수신된 DCS 수신신호를 고역통과 필터(510)가 고역통과 필터링으로 검출하여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70)로 입력시키게 된다.
도 6은 도 3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세 구성의 다른 예를 보인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송선로(520, 550)에 콘덴서(C20, C27)를 구비하지 않고, 저역통과 필터(320) 및 저역통과 필터(37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3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세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보인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340)와 안테나(300)의 사이에 콘덴서(C30)를 접속하고, 그 콘덴서(C30) 및 안테나(300)의 접속점과 접지의 사이에 전송선로(600) 및 콘덴서(C31)를 직렬 연결하여 저역통과 필터(5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안테나를 공유하면서 다이플렉서를 구비하여 GSM 송신신호 및 DCS 송신신호를 안테나에 전달함과 아울러 GSM 수신신호 및 DCS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 및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로 입력시키는 것으로서 GSM 수신신호 및 DCS 수신신호의 분리가 매우 용이하고, 또한 GSM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와, DCS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를 손실됨이 없이 깨끗하게 스위칭할 수 있다.

Claims (3)

  1. GSM 송신신호 및 DCS 송신신호를 안테나에 전달함과 아울러 그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GSM 수신신호 및 DCS 수신신호를 분리하는 다이플렉서와, GSM 송신신호를 검출하는 GSM 송신신호 검출부와, 제 1 스위칭 전압이 입력될 경우에 상기 GSM 송신신호 검출부가 GSM 송신신호를 검출하게 하는 제 1 스위칭전압 입력부와, 상기 GSM 송신신호 검출부가 검출한 GSM 송신신호를 상기 다이플렉서로 전달하고 상기 다이플렉서에서 분리된 GSM 수신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와, DCS 송신신호를 검출하는 DCS 송신신호 검출부와, 제 2 스위칭 전압이 입력될 경우에 상기 DCS 송신신호 검출부가 DCS 송신신호를 검출하게 하는 제 2 스위칭전압 입력부와, 상기 DCS 송신신호 검출부가 검출한 DCS 송신신호를 상기 다이플렉서로 전달하고 상기 다이플렉서에서 분리된 DCS 수신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를 구비한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전압 입력부는; 제 1 및 제 2 스위칭전압 입력단자가 코일(L11)(L12) 및 저항(R11)(R12)을 각기 통해 접지콘덴서(C21)(C28) 및 전송선로(530)(560)의 일측단자에 접속되어 전송선로(530)(560)의 타측단자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되게 구성되고,
    상기 GSM 및 DCS 송신신호 검출부는; GSM 및 DCS 송신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가 콘덴서(C16)(C23)를 각기 통한 후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전압 입력부의 출력단자와 함께 전송선로(520)(550) 및 콘덴서(C17∼C20)(C24∼27)로 이루어진 저역통과필터의 입력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GSM 및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는; 상기 GSM 및 DCS 송신신호 검출부의 저역통과필터의 출력단자가 다이오드(D11)(D13)를 통해 상기 다이플렉서에 접속되고, 그 접속점이 전송선로(540)(570)를 통해 애노드가 접지된 다이오드(D12)(D14)의 캐소드 및 콘덴서(C22)(C29)의 일측단자에 접속되어 콘덴서(C22)(C29)의 타측단자에서 GSM 및 DCS 수신신호가 각기 출력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회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플렉서는;
    상기 GSM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의 입출력단자가 콘덴서(C11)를 통해 접지 콘덴서(C12)에 접속되고, 그 콘덴서(C11, C12)의 접속점과 안테나의 사이에 전송선로(501) 및 콘덴서(C13)가 병렬 접속되며,
    상기 DCS 송신/수신신호 스위칭부의 입출력단자가 콘덴서(C14)를 통해, 일측단자가 접지된 전송선로(511)에 접속되고, 콘덴서(C14) 및 전송선로(511)의 접속점과 안테나의 사이에 전송선로(512) 및 콘덴서(C15)가 병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회로.
KR10-2002-0038359A 2002-07-03 2002-07-03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회로 KR100454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359A KR100454910B1 (ko) 2002-07-03 2002-07-03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359A KR100454910B1 (ko) 2002-07-03 2002-07-03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609A KR20040003609A (ko) 2004-01-13
KR100454910B1 true KR100454910B1 (ko) 2004-11-06

Family

ID=3731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359A KR100454910B1 (ko) 2002-07-03 2002-07-03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804B1 (ko) 2004-12-21 2007-03-12 전자부품연구원 안테나 스위칭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750Y1 (ko) * 2006-06-08 2006-11-13 최숙 치아인상채득용 임플란트 트레이
KR20170003412U (ko) 2016-03-23 2017-10-12 이인지 보호커버가 구비된 모자
EP3937387A1 (en) * 2020-07-09 2022-01-12 Nxp B.V. A radio frequency switch circuit, communicaton unit and method theref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1966A (en) * 1997-09-29 2000-07-18 Ericsson, Inc. Dual-band, dual-mode power amplifier
US6188877B1 (en) * 1997-07-03 2001-02-13 Ericsson Inc. Dual-band, dual-mode power amplifier with reduced power loss
KR20010028823A (ko) * 1999-09-27 2001-04-06 윤종용 다중밴드 단말기에서 음성 출력을 위한 스위치 회로
US20010004353A1 (en) * 1999-12-21 2001-06-2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High frequency composite component an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20010056143A (ko) * 1999-12-14 2001-07-04 송문섭 트라이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의 통신 모드 선택 장치및 통신 모드 선택 방법
US6400963B1 (en) * 1998-05-22 2002-06-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rmonic suppression in dual band mobile phon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8877B1 (en) * 1997-07-03 2001-02-13 Ericsson Inc. Dual-band, dual-mode power amplifier with reduced power loss
US6091966A (en) * 1997-09-29 2000-07-18 Ericsson, Inc. Dual-band, dual-mode power amplifier
US6400963B1 (en) * 1998-05-22 2002-06-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rmonic suppression in dual band mobile phones
KR20010028823A (ko) * 1999-09-27 2001-04-06 윤종용 다중밴드 단말기에서 음성 출력을 위한 스위치 회로
KR20010056143A (ko) * 1999-12-14 2001-07-04 송문섭 트라이 모드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의 통신 모드 선택 장치및 통신 모드 선택 방법
US20010004353A1 (en) * 1999-12-21 2001-06-2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High frequency composite component an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804B1 (ko) 2004-12-21 2007-03-12 전자부품연구원 안테나 스위칭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609A (ko)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0510B2 (en) Transmitter/receiver circuit and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CN100379163C (zh) 发送和接收天线开关
US6662021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ulti-band antenna
US200501537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GPS enabled antenna
US20040189526A1 (en) Method facilitating inter-mode handoff
JP2007525857A (ja) 周波数選択性の装置、およびそれの無線マルチバンド装置における通信信号の受信/送信方法
US6510310B1 (en) Dual mode phone architecture utilizing a single transmit-receive switch
JP2005519310A (ja) Gps対応アンテナ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971245B (zh) 射频电路及其控制方法、移动终端
EP0964477A1 (en) Antenna sharing device for dual frequency band
JP2001508614A (ja) 無線通信用信号結合デバイス及びその方法
US20070002984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KR100454910B1 (ko) 이중대역 무선 스위칭회로
US20070049222A1 (en) Front end module
US20050014540A1 (en) Antenna coupling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40185818A1 (en) Radio frequency switching apparatus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JP4320691B2 (ja) 送信・受信切り替え回路
JP2005503710A (ja) 無線通信装置のrf信号スイッチ
KR100635160B1 (ko) 쿼드 밴드 프런트 엔드 모듈
JP4168692B2 (ja) アンテナ切り替え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
JP2004228666A (ja) アンテナ共用器
CN112804039B (zh) 载波聚合射频系统、控制方法及电子设备
JPH11340872A (ja) デュアルバンド対応アンテナ切り替え回路
KR100716796B1 (ko) 트리플렉서
KR100691804B1 (ko) 안테나 스위칭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