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240B1 -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 - Google Patents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240B1
KR100691240B1 KR1020040109289A KR20040109289A KR100691240B1 KR 100691240 B1 KR100691240 B1 KR 100691240B1 KR 1020040109289 A KR1020040109289 A KR 1020040109289A KR 20040109289 A KR20040109289 A KR 20040109289A KR 100691240 B1 KR100691240 B1 KR 100691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teel pipe
reinforcing
pipe pile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0713A (ko
Inventor
유연정
Original Assignee
유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연정 filed Critical 유연정
Priority to KR1020040109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240B1/ko
Publication of KR20060070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은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철근 결합공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되며, 강관파일의 상단부에 저면이 접촉된 상태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보강부재; 상기 보강부재의 중공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 각 상기 철근 결합공에 결합되고, 띠 철근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다수개의 철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물에 의하면, 보강부재가 강관파일의 상단부에 직접 용접되어 결합되므로 보다 향상된 인장력과 강성도를 얻을 수 있고, 결합구조가 단순하게 된다. 그리고, 보강부재의 저면에 끼움부를 형성하는 연결구 또는 결합부재를 형성하게 되므로 보강부재를 강관파일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강부재가 강관파일의 상단부에 얹어진 상태로 용접되거나, 보강부재가 분할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강관파일에 적용될 수 있는 실용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강관파일, 두부, 보강

Description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HEAD REINFORCE STRUCTURE OF A STEEL PIPE PILE FOR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을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을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을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 예에 따른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을 도시한 결합상태 평단 면도.
도 9는 종래기술에 의한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강관파일 12 : 상단부
20 : 보강부재 22 : 중공부
24 : 철근 결합공 26 : 삽입홈
26A : 안착부 30 : 커버부재
40 : 띠 철근 50 : 철근
60 : 연결구 62 : 수평단
64 : 끼움부 66 : 결합단
70 : 결합볼트 80 : 결합부재
90 : 보강판재
본 발명은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보강부재와, 이 보강부재를 강관파일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및 상기 보강부재에 결합되는 철근으로 이루어져 구조가 단순하고 설치가 용이한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교량 등 각종 건축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기초공사로서 연약지반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강관파일을 지반에 매설하는 강관파일 지정이 있다. 이것은 지반에 강관파일들을 매설하고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부 구조물을 강관파일들 위에 구축하여 그 하중을 지지하게 함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시공을 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반에 매설된 강관파일의 두부에 보강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위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강관파일의 두부보강 시공을 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부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물은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 뿐만 아니라 시공의 안전성과도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방법은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파일(1)의 머리부 내측에 링 형상의 보강부재(2)가 삽입 설치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이와 같은 보강부재(2)와 강관파일(1)의 상부는 차단판(3)으로 폐쇄되며, 다수개의 보강철근(4) 각 하단부가 상기 보강부재(2)에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두부 보강 구조는 보강부재(2)의 외경과 강관파일(1)의 내경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보강부재(2)의 설치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들면, 보강부재(2)의 외경이 강관파일(1)의 내경보다 클 경우에는 보강부재(2)의 설치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보강부재(2)의 외경이 강관파일(1)의 내경부다 작을 경우에는 보강부재(2)의 외주면과 강관파일(1)의 내주면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그 인장력이나 기계적 강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크기의 강관파일에 적용될 수 있는 두부 보강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결합구조가 단순하여 보강부재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두부 보강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장력이나 기계적 강성도가 향상될 수 있는 두부 보강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철근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며, 결합수단에 의해 강관파일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 상기 보강부재의 중공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 및 각 상기 철근 결합공에 결합되고, 띠 철근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다수개의 철근으로 구성되어 강관파일의 두부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보강부재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내측과 외측 사이에 안착부를 형성하는 삽입홈;
수평단의 양측에서 직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그 사이에 끼움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결합단을 구비한 연결구;
상기 강관파일의 상단부 내/외측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각 상기 결합단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보강판재; 및
상기 결합부재과 보강판재 및 강관파일을 관통하여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강관파일의 상단부에 상기 보강부재를 얹은 상태에서 상기 끼움부에 안착부와 강관파일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연결구를 삽입홈에 끼우고, 상기 상단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단과 상단부에 외측 사이에 하나의 보강판재를 설치하고, 상기 상단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결합단과 상단부 내측 사이에 다른 하나의 보강판재를 설치하여 결합볼트가 이들을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철근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며, 결합수단에 의해 강관파일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 각 상기 보강부재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 및 각 상기 철근 결합공에 결합되고, 띠 철근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다수개의 철근로 이루어져 강관파일의 두부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보강부재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내측과 외측 사이에 안착부를 형성하는 삽입홈;
상기 보강부재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내측의 삽입홈과 외측의 삽입홈에 각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 결합되어 그 사이에 끼움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결합부재;
상기 강관파일의 상단부 내/외측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각 상기 결합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보강판재; 및
상기 결합부재, 보강판재 및 강관파일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강관파일의 상단부에 상기 보강부재를 얹은 상태에서 상기 끼움부에 강관파일의 상단부를 삽입시킨 후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부재와 상단부 외측 사이에 하나의 보강판재를 설치하고, 내측에 위치하는 결합부재와 상단부 내측 사이에 다른 보강판재를 설치하여 결합볼트가 이들을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은 용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 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 예에 따른 강관파일 두부 보강 구조물은 중앙에 중공부(22)가 형성된 원판형의 보강부재(20)와, 상기 중공부(22)를 커버(폐쇄)하도록 보강부재(20)의 상면에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는 커버부재(30)와, 각각의 하단부가 보강부재(20)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철근(5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20)는 다수개의 철근 결합공(24)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는 중공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철근 결합공(24)에는 끝단이 부풀림 처리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철근(50)이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부재(20)는 충분한 두께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보강부재(20)의 내경은 강관파일(10)보다 작고, 외경은 강관파일(1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강부재(20)가 충분한 폭을 구비하여 다양한 크기의 강관파일(10)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30)는 보강부재(20)의 중공부(22)를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얇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용접에 의해 상기 보강부재(20)에 결합된다. 이러한 커버부재(30)는 보강부재(20)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30)는 볼트 또는 나사 등에 의해서도 보강부재(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철근(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끝단이 부풀림 처리되어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철근(50)은 복수개의 띠 철근(4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20)를 강관파일(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은 용접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파일(10)의 상단부(12)에 보강부재(20)를 얹어 보강부재(20)의 저면이 강관파일(10)의 상단부(12)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부재(20)의 저면과 강관파일(10)의 상단부(12)를 용접하여 결합한다.
이어서, 상기 보강부재(20)의 상면에 커버부재(30)를 위치시킨 후에 용접 또는 볼트 등으로 결합시켜 보강부재(20)의 중공부(22)가 폐쇄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재(30)가 보강부재(20)에 결합되면 보강부재(20)의 각 철근 결합공(24)에 철근(50)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철근(50)의 끝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철근 결합공(24)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철근(50)은 철근 결합공(24)에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보강부재(20)에 결합된 각각의 철근(50)은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띠 철근(40)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강관파일(10)의 두부에 보강부재(20)가 용접되어 결합되고, 이 보강부재(20)에 각 철근(50)이 체결되어 결합되므로 강관파일(10)의 두부를 보강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강부재(20)가 강관파일(10)의 상단부(12)에 직접 용접되므로 인장력이 강화되고, 기계적 강성도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2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강 구조물은 보강부재(20)와 강관파일(10)을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이, 상기 보강부재(20)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내측과 외측 사이에 안착부(26A)를 형성하는 삽입홈(26)과, 수평단(62)의 양측에서 직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그 사이에 끼움부(64)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결합단(66)을 구비한 연결구(60)와, 연결구와 강판파일(10)의 상단부(12)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판재(90)로 이루어져 이들이 결합볼트(7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삽입홈(2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20)의 내측과 외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내측과 외측의 삽입홈(26) 사이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안착부(26A)가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홈(2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개가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삽입홈(26)의 수는 최저 8개에서 최대 12개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충분한 인장력을 발휘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6A)의 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파일(10)의 두께(대략 12MM)보다 크게 형성하고, 결합단(66)과 상단부(12) 사이의 공간에는 보강판재(90)를 각각 설치하여 연결구(60)와 보강부재(20) 및 강관파일(10)의 상단부(12)가 보다 긴밀하게 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구(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의 수평단(62) 양측에서 각각 직하방으로 결합단(66)이 연장되어 각 결합단(66) 사이에 끼움부(64)가 형 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연결구(60)의 결합단(66)에는 관통공 또는 나사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부(64)의 폭은 강관파일(10)의 상단부(12)와 한 쌍의 보강판재(9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강판재(90)는 각 결합단(66)과 상단부(12) 사이에 설치되어 각 결합단(66)과 상단부(1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보강부재(20)가 연결구(60)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강관파일(10)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상기 안착부(26A)의 폭이 상단부(12)의 두께와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면, 인장력이 발생했을 때 좁은 폭의 안착부(26A)가 이를 충분히 감당하지 못하여 인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26A)의 폭을 넓게(상단부(12)의 폭보다 2-3배 더 넓게 형성한 후 각 결합단(66)과 상단부(12) 내/외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보강판재(90)를 설치함으로써 각 결합단(66)과 상단부(12) 사이에 공간(유격)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연결구(60)가 보강부재(20)를 보다 견고하게 강관파일(1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되고, 안착부(26A)가 상단부(12)보다 넓게 형성되어 인장력을 충분히 견디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결구(60)와 보강판재(90)를 이용하여 보강부재(20)를 강관파일(1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연결구(60)의 끼움부(64)에 안착부(26A)와 강관파일(10)의 상단부(12)가 삽입되도록 한다. 즉, 수평단(62)이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연결구(60)를 세운 상태에서 양측의 결합단(66)이 내/외측의 삽입홈(26)을 각각 통과하여 강관파일(10) 상단부(12)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과정으로 수평단(62)의 저면은 안착부(26A)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단부(12)의 내측와 외측에는 결합단(66)이 각각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상단부(12)의 내/외측과 각 결합단(66) 사이의 공간에 보강판재(90)를 각각 끼워 설치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연결구(60)는 유동없이 보강부재(20)와 강관파일(10)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결합단(66)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단부(12)에 형성되는 관통공 및 보강판재(900에 형성된 관통공이 일치되도록 결합단(66)의 관통공과 상단부(12) 측의 관통공 및 보강판재(90)의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결합볼트(70)를 이용하여 결합단(66)과 보강판재(90) 및 상단부(12)를 체결하여 결합하되, 결합볼트(70)를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단(66)과 보강판재(90), 상단부(12) 및 내측에 위치하는 보강판재(90)와 결합단(66)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차례로 관통시킨 후 너트로 체결하여 결합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내측에 위치하는 결합단(66)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결합볼트(70)가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단(66)과 상단부(12)를 통과한 후 내측에 위치하는 결합단(66)의 나사공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수단의 하나인 연결구(60)가 보강부재(20)를 강관파일(10)에 결합시키게 되므로 보강부재(20)를 강관파일(10)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인장력과 강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3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 예에 의한 강 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은 상기 결합수단이 보강부재(20)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내측과 외측 사이에 안착부(26A)를 형성하는 삽입홈(26)과, 상기 보강부재(20)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내측의 삽입홈(26)과 외측의 삽입홈(26)에 각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 결합되어 그 사이에 끼움부(84)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결합부재(80)와, 각 결합부재(80)와 상단부(12)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보강판재(90)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 예 또는 제 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다.
즉, 제 3실시 예에 따른 결합수단은 각각 독립적인 한 쌍의 결합부재(80) 상단이 내측 및 외측의 삽입홈(26)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용접됨으로써 보강부재(20)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끼움부(84)를 형성하면서 보강부재(20)의 저면에 직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80) 사이에 형성된 끼움부(84) 사이로 강관파일(10)의 상단부(12)가 삽입되도록 보강부재(20)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각 결합부재(80)와 상단부(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각 보강판재(90)를 설치한 후 결합볼트(70)로 외측의 결합부재(80)와 보강판재(90), 상단부(12) 및 내측의 보강판재(90)와 결합부재(80)를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보강부재(20)는 강관파일(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의 결합부재(80)와 상단부(12)에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내측의 결합부재(80)에는 나사공을 형성하여 외측의 결합부재(80)와 상단 부(12)를 통과한 결합볼트(70)가 내측의 결합부재(80)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두부 보강 구조물은 결합수단을 구성하는 결합부재(80)가 보강부재(20)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음으로 외관이 미려하고, 결합부재(80)의 상단이 삽입홈(26)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되므로 결합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보강부재(20)의 내측와 외측 일부분을 절개한 후 각각 직하방으로 절곡하여 그 사이에 끼움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4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실시 예에 따른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은 상기 보강부재(20)가 각각 일정한 크기의 원호형으로 각각 분할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 예 내지 제 3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다.(도 7 및 도 8은 제 1실시 예에 따른 보강부재(20)에 제 4실시 예에 의한 보강부재(20)가 적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중앙에 중공부(22)가 형성된 보강부재(20)가 다수개로 분할된 구조를 제외하고는 제 1실시 예 내지 제 3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강부재(20)가 일정한 크기의 원호형으로 분할 형성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강관파일(10)에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커버부재(30)의 형상에 변화가 요구된다. 즉, 각 보강부재(20) 사이를 커버할 수 있도록 돌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은 보강부재가 강관파일의 상단부에 직접 용접되어 결합되므로 보다 향상된 인장력과 강성도를 얻을 수 있고, 결합구조가 단순하게 된다. 그리고, 보강부재의 저면에 끼움부를 형성하는 연결구 또는 결합부재를 형성하게 되므로 보강부재를 강관파일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강부재가 강관파일의 상단부에 얹어진 상태로 용접되거나, 보강부재가 분할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강관파일에 적용될 수 있는 실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각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철근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며, 결합수단에 의해 강관파일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 상기 보강부재의 중공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 및 각 상기 철근 결합공에 결합되고, 띠 철근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다수개의 철근으로 구성되어 강관파일의 두부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보강부재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내측과 외측 사이에 안착부를 형성하는 삽입홈;
    수평단의 양측에서 직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그 사이에 끼움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결합단을 구비한 연결구;
    상기 강관파일의 상단부 내/외측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각 상기 결합단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보강판재; 및
    상기 결합부재과 보강판재 및 강관파일을 관통하여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강관파일의 상단부에 상기 보강부재를 얹은 상태에서 상기 끼움부에 안착부와 강관파일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연결구를 삽입홈에 끼우고, 상기 상단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단과 상단부에 외측 사이에 하나의 보강판재를 설치하고, 상기 상단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결합단과 상단부 내측 사이에 다른 하나의 보강판재를 설치하여 결합볼트가 이들을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
  5.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철근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며, 결합수단에 의해 강관파일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 각 상기 보강부재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 및 각 상기 철근 결합공에 결합되고, 띠 철근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다수개의 철근로 이루어져 강관파일의 두부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보강부재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내측과 외측 사이에 안착부를 형성하는 삽입홈;
    상기 보강부재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내측의 삽입홈과 외측의 삽입홈에 각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 결합되어 그 사이에 끼움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결합부재;
    상기 강관파일의 상단부 내/외측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각 상기 결합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보강판재; 및
    상기 결합부재와 보강판재 및 강관파일을 관통하여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강관파일의 상단부에 상기 보강부재를 얹은 상태에서 상기 끼움부에 강관파일의 상단부를 삽입시킨 후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부재와 상단부 외측 사이에 하나의 보강판재를 설치하고, 내측에 위치하는 결합부재와 상단부 내측 사이에 다른 보강판재를 설치하여 결합볼트가 이들을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
KR1020040109289A 2004-12-21 2004-12-21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 KR100691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289A KR100691240B1 (ko) 2004-12-21 2004-12-21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289A KR100691240B1 (ko) 2004-12-21 2004-12-21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713A KR20060070713A (ko) 2006-06-26
KR100691240B1 true KR100691240B1 (ko) 2007-03-12

Family

ID=3716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289A KR100691240B1 (ko) 2004-12-21 2004-12-21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2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95Y1 (ko) * 2008-11-11 2011-05-09 벽산건설 주식회사 파일용 두부 보강캡
KR20190028839A (ko) * 2017-09-11 2019-03-20 반석기초이앤씨(주) 수평하중 저항성능이 향상된 복합마이크로 파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575B1 (ko) * 2022-08-17 2024-03-21 박봉근 전단키를 구비한 phc말뚝 및 이를 이용한 phc말뚝의 두부 보강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264A (ko) * 2001-12-31 2003-07-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플러그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264A (ko) * 2001-12-31 2003-07-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플러그 형성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582640000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95Y1 (ko) * 2008-11-11 2011-05-09 벽산건설 주식회사 파일용 두부 보강캡
KR20190028839A (ko) * 2017-09-11 2019-03-20 반석기초이앤씨(주) 수평하중 저항성능이 향상된 복합마이크로 파일
KR101997342B1 (ko) * 2017-09-11 2019-07-08 반석기초이앤씨(주) 수평하중 저항성능이 향상된 복합마이크로 파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713A (ko) 200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819B1 (ko)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둥의 안정성을 높인 강판프레임 콘크리트 내진보강공법
US8359797B2 (en) Structure constructed using precast membe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346814B1 (ko) 노후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구조물을 위하여 피씨부재를 활용한 리모델링 내진보강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JP4868358B2 (ja) 柱と梁の接合構造
JP3694875B2 (ja) フルpc床板の固着方法
KR100691240B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물
KR100870861B1 (ko) 강관 파일의 콘크리트 속채움식 두부 보강 장치
KR101466683B1 (ko) 노후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구조물을 위하여 피씨부재를 활용한 리모델링 내진보강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JP4285427B2 (ja) 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KR10130450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장치
KR20100004125U (ko)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
JP4660810B2 (ja) 境界梁ダンパー
KR100442704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인장재 보강 방법 및 그구조
JP5143526B2 (ja) 建築物の柱脚構造
JP2977367B2 (ja) ユニット式建物用の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基礎
KR100657228B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 장치
KR100465287B1 (ko) 말뚝지정용 에이치 빔의 두부 보강장치
KR19990078514A (ko) 강관 말뚝용 덮개판
KR100229166B1 (ko) 강관 말뚝용 덮개판
KR102226883B1 (ko) 다양한 슬래브에 설치되는 인서트패널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인서트패널 시공방법
KR200212751Y1 (ko) 조립식 맨홀암거
JP4656460B2 (ja) 建物の補強構造
KR100341443B1 (ko) 조립식 가교 및 그 조립방법
JPH10266164A (ja) 方形ブロックの連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