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851B1 -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851B1
KR100690851B1 KR1020050098845A KR20050098845A KR100690851B1 KR 100690851 B1 KR100690851 B1 KR 100690851B1 KR 1020050098845 A KR1020050098845 A KR 1020050098845A KR 20050098845 A KR20050098845 A KR 20050098845A KR 100690851 B1 KR100690851 B1 KR 100690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holder
buffer member
portable terminal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진동 모드를 구현하는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브레이터의 안정적인 고정력을 확보하고 진동시 바이브레이터가 홀더와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단말기 바디에 고정되는 홀더와; 홀더에 안착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 및 바이브레이터와 홀더의 사이에 장착되는 완충부재로 구성되고, 홀더는 바이브레이터가 측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그 일 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홀더와 완충부재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홀더로부터 개방된 측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이에 의하여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의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동에 의하여 바이브레이터가 홀더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바이브레이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휴대폰, 핸드폰, 단말기, 바이브레이터, 진동, 홀더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 고정장치{HOLDING APPARATUS OF VIBRATOR FOR MOBI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바이브레이터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고정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단말기 바디 120: 바이브레이터
121: 구동모터 123: 편심체
130: 완충부재 132: 걸림돌기
140: 홀더 142: 제1지지벽
143: 제2지지벽 145: 걸림홈부
233: 끼움홈부 246: 끼움돌기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진동 모드를 구현하는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브레이터의 안정적인 고정력을 확보하고 진동시 바이브레이터가 홀더와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나 피디에이(PDA)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는 전화 착신시 또는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여타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시키는 신호를 사용자로 하여금 진동에 의하여 인식할 수 있게 바이브레이터가 장착되기도 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바이브레이터와 이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는, 단말기 바디(10)와, 단말기 바디(10)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20)와, 바이브레이터(2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완충부재(30) 및, 하단부가 단말기 바디(10)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개방되어 바이브레이터(20)와 완충부재(30)의 결합체가 삽입되는 홀더(40)로 구성된다.
바이브레이터(20)는 모터(21)와 모터(21)의 축(22)에 고정된 편심체(23)로 구성되며, 축(22)은 단말기 바디(10)에 대하여 평행한 형태로 배치된다.
홀더(40)는 바이브레이터(20)의 모터(21)가 수용될 수 있게 4개의 측벽으로 구성되어 'ㅁ'자 형태를 이루며, 이중 일 측벽(41)의 중심부에는 바이브레이터(20)의 편심체(23)가 홀더(40)의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바이브레이터(20)와 완충부재(30)의 결합체가 홀더(40)에 삽입될시 모터(21)의 축(22)이 통과하는 통로 홈(42)이 상기 측벽(41)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완충부재(30)의 내측에는 바이브레이터(20)의 모터(21)가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게 수용홀(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바이브레이터(20)와 완충부재(30)의 결합체가 홀더(40)에 삽입되면 바이브레이터(20)의 모터(21)는 완충부재(30)와 완충부재(30)를 지지하는 홀더(40)에 의하여 고정되고, 편심체(23)는 홀더(40)의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편심체(23)가 회전하게 되면, 그 진동은 축(22)을 따라 모터(21)로 전달되고, 모터(21)의 진동은 완충부재(30)와 홀더(40) 및, 단말기 바디(10)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편심체(23)가 진동함에 따라 바이브레이터(20)는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으며, 특히 전후방향으로 진동하는 과정에서 편심체(23)는 홀더(40)의 전단에 배치되는 상기 측벽(41)에 닿아 마찰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도 3참조).
따라서, 소음의 발생과 함께 바이브레이터(20)의 수명도 단축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브레이터의 편심체가 홀더에 닿아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이브레이터가 홀더로부터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단말기 바디에 고정되는 홀더와; 홀더에 안착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 및 바이브레이터와 홀더의 사이에 장착되는 완충부재로 구성되고, 홀더는 바이브레이터가 측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그 일 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홀더와 완충부재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홀더로부터 개방된 측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탈방지부는 홀더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걸림홈부와; 완충부재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걸림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림홈부에는 단말기 바디로부터 돌출되게 끼움돌기가 더 형성되고, 걸림돌기에는 끼움돌기가 삽입될 수 있게 끼움홈부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브레이터는 홀더에 안착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축에 고정되며 홀더의 개방된 면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편심체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는 단말기 바디(110)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단말기 바디(110)에 고정되는 홀더(140), 홀더(140)에 안착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120) 및, 바이브레이터(120)와 홀더(140)의 사이에 장착되는 완충부재(130)로 구성된다.
홀더(140)는 바이브레이터(120)가 측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그 일 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홀더(140)와 완충부재(130) 사이에는 완충부재(130)가 홀더(140)로부터 개방된 측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다.
바이브레이터(120)는 홀더(140)에 안착되는 구동모터(121)와, 구동모터(121)의 축(122)에 고정되며 홀더(140)의 개방된 면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편심체(123)로 구성된다.
홀더(140)는 완충부재(130)를 좌우방향에서 지지하도록 완충부재(130)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고정벽들(142)과, 완충부재(130)를 후방에서 지지하도록 완충부재(13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고정벽(143)으로 구성된다.
완충부재(130)의 이탈을 막기 위한 이탈방지부는 홀더(140)의 제1고정벽들(142)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홈부(145)와, 완충부재(130)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걸림홈부(145)에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132)로 구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걸림홈부는 완충부재(130)에 형성되고 걸림돌기는 제1고정벽(142)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바이브레이터(120)의 전후방향 진동에 대한 충분한 체결력을 확보하고 바이브레이터(120)와 완충부재(130)의 결합체를 홀더(140)에 장착하기 용이하도록, 걸림홈부(145)와 걸림돌기(132)는 편심체(123)의 회전축(rotation axis)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부재(130)는 홀더(140)와 바이브레이터(120)의 표면보다 무르고 탄성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중 미설명 도면부호는 바이브레이터(120)의 구동모터(121)를 수용하기 위하여 완충부재(130)에 형성된 수용홀(131)이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바이브레이터(120)과 완충부재(130)의 결합체가 홀더(140)에 장착되면,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완충부재(130)의 좌우측면은 홀더(140)의 제1지지벽(142)에 의하여 지지되고 후면은 제2지지벽(143)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와 동시에 완충부재(130)의 걸림돌기(132)는 제1지지벽(142)의 걸림홈부(145)에 삽입되어 바이브레이터(120)와 완충부재(130)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막아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홀더(140)의 전방 측면 즉, 편심체(123)가 설치되는 쪽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편심체(123)가 진동에 의하여 요동하더라도 홀더(140)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는, 단말기 바디(210)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단말기 바디(210)에 고정되는 홀더(240)와, 홀더(240)에 안착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220) 및, 바이브레이터(220)와 홀더(240)의 사이에 장착되는 완충부재(230)로 구성된다.
그리고, 홀더(240)는 바이브레이터(220)가 측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그 일 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홀더(240)와 완충부재(230) 사이에는 완충부재(230)가 홀더(240)로부터 개방된 측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다.
이탈방지부는 홀더(240)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걸림홈부(245)와, 완충부재(230)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걸림홈부(245)에 끼움 결합되는 걸림돌기(232)와, 걸림홈부(245)에 단말기 바디(21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돌기(246) 및, 걸림돌기(232)에 끼움돌기(246)가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끼움홈부(233)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끼움돌기(246)와 끼움홈부(233)는 바이브레이터(220)와 완충부재(230)의 결합체를 홀더(240)에 삽입시키기 용이하게 걸림홈부(245)와 걸림돌기(232)에 각각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걸림돌기(232)가 걸림홈부(245)에 끼워지면 이와 동시에 걸림돌기(232)에 형성된 끼움홈부(233)에 끼움돌기(246)가 삽입되어지게 되므로 바이브레이터(220)의 전후방향의 진동에 대하여 더욱 강한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홀더(240)의 전방 측면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편심체(223)가 진동에 의하여 요동하더라도 홀더(240)와 접촉하지 않게 됨은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에 의하면, 홀더는 바이브레이터가 측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그 일 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홀더와 완충부재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홀더로부터 개방된 측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것이므로,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의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동에 의하여 바이브레이터가 홀더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바이브레이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1)

  1. 단말기 바디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단말기 바디에 고정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안착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 및
    상기 바이브레이터와 홀더의 사이에 장착되는 완충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측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그 일 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홀더와 완충부재 사이에는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홀더로부터 상기 개방된 측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홀더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걸림홈부와;
    상기 완충부재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부에는 상기 단말기 바디로부터 돌출되게 끼움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될 수 있게 끼움홈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와 끼움홈부는 상기 걸림홈부와 걸림돌기에 각각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완충부재를 좌우방향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완충부재의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고정벽들과, 상기 완충부재를 후방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완충부재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고정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고정벽들에 개구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홈부와;
    상기 완충부재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부에는 상기 단말기 바디로부터 돌출되게 끼움돌기가 더 형성되 고,
    상기 걸림돌기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될 수 있게 끼움홈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와 끼움홈부는 상기 걸림홈부와 걸림돌기에 각각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
  9.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상기 홀더에 안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고정되며 상기 홀더의 개방된 면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편심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부와 걸림돌기는 상기 편심체의 회전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의 고정장치.
KR1020050098845A 2005-10-19 2005-10-19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 고정장치 KR100690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845A KR100690851B1 (ko) 2005-10-19 2005-10-19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845A KR100690851B1 (ko) 2005-10-19 2005-10-19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851B1 true KR100690851B1 (ko) 2007-03-09

Family

ID=3810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845A KR100690851B1 (ko) 2005-10-19 2005-10-19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8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514A (ko) * 2000-12-26 2002-07-04 송문섭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514A (ko) * 2000-12-26 2002-07-04 송문섭 이동통신 단말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20052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8004B1 (ko) 왕복식 전기면도기
KR20130006243U (ko) 떨림 및 소음방지기능을 구비한 전동 칫솔
KR10148635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690851B1 (ko) 휴대 단말기의 바이브레이터 고정장치
JP3966222B2 (ja) スピーカ用筐体及びスピーカ装置
TWI721174B (zh) 美容器
JP5206281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6779930B2 (ja) マグネットキャッチ
JP2014121283A (ja) 携帯型作業機
WO2018056006A1 (ja)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KR20160059770A (ko) 이륜차용 휴대폰 거치대
JP2008232390A (ja) エンジンマウント
JP4472097B2 (ja) 直流モータのブラシ防振構造
KR20180076494A (ko) 차량 러기지 커버의 소음방지 기구
KR100737476B1 (ko) 차량용 캡의 잠금장치
JP3084133U (ja) 記録装置
KR101875817B1 (ko) 진동형 리니어 액츄에이터 시스템 이발기
JP2006230662A (ja) 電気かみそり
JPS5913961Y2 (ja) 往復動電気かみそり
JP2001260751A (ja) 鏡面角度調整装置
JPH07186735A (ja) エンジン懸架装置
JP2019199204A (ja) 携帯型端末の保持構造
JP2008138844A (ja) 長尺部材の保持具
JP2006230514A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JP2017028473A (ja) 円筒体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