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837B1 -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837B1
KR100690837B1 KR1020050087894A KR20050087894A KR100690837B1 KR 100690837 B1 KR100690837 B1 KR 100690837B1 KR 1020050087894 A KR1020050087894 A KR 1020050087894A KR 20050087894 A KR20050087894 A KR 20050087894A KR 100690837 B1 KR100690837 B1 KR 100690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haft
camera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amera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희용
성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7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837B1/ko
Priority to CNA2006101520102A priority patent/CN1937644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회전시 샤프트의 카메라 하우징과의 마찰 저항을 줄임으로써 원활한 카메라 동작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유닛은, 카메라 하우징과; 카메라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 본체의 양단에 장착되는 샤프트; 및 샤프트와 카메라 하우징 사이에 장착되어 카메라 본체의 회전시 마찰을 저감하는 마찰 저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카메라 본체의 회전 저항력이 감소되어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을 제어하는 경우 동력의 손실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정밀한 회전동작시 신뢰성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단말기, 휴대폰, 카메라, 마찰, 회전제어

Description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CAMERA UNIT AND MOBILE TERMINAL EQUIPPED THEREWITH}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회전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카메라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 단말기 120: 제1바디
130: 제2바디 200: 카메라 유닛
210: 카메라 하우징 220: 카메라 본체
222: 제1샤프트 223: 제2샤프트
230: 구동모터 251,252: 마찰 저감부재
260: FPCB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회전시 샤프트의 카메라 하우징과의 마찰 저항을 줄임으로써 원활한 카메라 동작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나 피디에이(PDA)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통신 기능이나 정보 처리 기능 외에도 카메라를 장착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높이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에 대하여 카메라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단말기 바디를 피사체를 향하여 돌리지 않고도 카메라만을 회전시킴으로써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회전 가능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종래의 예를 첨부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0)는, 키 버튼이 다수 집합되어 있는 제1키패드(21)가 설치된 제1바디(20)와, 제1바디(20)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며 제1바디(2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30)로 구성된다.
제2바디(30)는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2)와, 하부에 설치되어 제1바디(20)에 대하여 열지 않고도 단말기의 외부에서 입력할 수 있도록 키 버튼이 다 수 집합되어 있는 제2키패드(31) 및, 상부에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게 설치되는 카메라 유닛(40)을 구비한다.
카메라 유닛(40)은,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바디(30)에 고정되는 카메라 하우징(41)과, 카메라 하우징(4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 본체(42)로 구성된다.
카메라 본체(42)의 양단에는 카메라 본체(42)가 카메라 하우징(41)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샤프트(46)(47)가 장착되며, 이들중 하나의 샤프트(46)에는 카메라 본체(42)의 회전시 카메라 하우징(41)이나 기타 부품에 간섭을 주지 않고 카메라 본체(42)와 단말기 내의 기판(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48)가 감겨 있다.
카메라 본체(42)의 양단에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직접 카메라 본체(4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작놉(44)이 제2바디(3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조작놉(44)을 잡고 돌리면 이와 연결되어 있는 카메라 본체(42)가 카메라 하우징(41)에 대하여 회전됨으로써, 카메라 렌즈(43)의 피사체에 대한 지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 유닛(40)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카메라 본체(42)의 회전 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스토퍼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샤프트(46)(47)가 카메라 하우징(41)의 보스(41a)와 직접 마찰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그 마찰력에 의하여 카메라 본체(42)의 정지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회전시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놉(44)의 회전 촉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 마찰저항 때문에 카메라 본체(42)를 다른 구동장치에 의하여 구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동력이 많이 소요되고 회전 제어에 대한 신뢰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본체를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시키는 경우, 샤프트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회전 제어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하우징과; 카메라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 본체의 양단에 장착되는 샤프트; 및 샤프트와 카메라 하우징 사이에 장착되어 카메라 본체의 회전시 마찰을 저감하는 마찰 저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메라 유닛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샤프트는, FPCB가 감겨지는 제1샤프트와; 카메라 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제2샤프트로 구성되는 카메라 유닛을 제공한다.
이 경우, 제1샤프트는 제2샤프트에 비해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FPCB가 큰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마찰 저감부재는 윤활 성분이 함유된 링 (ring)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그 내주면이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장착되는 베어링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제1바디와; 제1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바디 및; 제1바디와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 유닛으로 구성되고, 카메라 유닛은, 제1바디와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카메라 하우징과; 카메라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 본체의 양단에 장착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와 카메라 하우징 사이에 장착되어 카메라 본체의 회전시 마찰을 저감하는 마찰 저감부재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휴대 단말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입력을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키버튼이 집합된 제1키패드(122)가 설치된 제1바디(120)와, 제1바디(120)에 대하여 슬라이드되며 제1바디(12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130)로 구성된다.
제2바디(130)에는 단말기의 외부에서 입력을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한 제2키패드(132)와, 시각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133) 및, 상부에는 피사체에 대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유닛(200)이 설치된다.
카메라 유닛(20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바디(130)에 고정되는 카메라 하우징(210)과 카메라 하우징(2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빛을 수광할 수 있게 카메라 렌즈(221)가 구비된 카메라 본체(220)로 구성된다.
카메라 본체(220)의 양단에는 카메라 하우징(21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제1샤프트(222)와 제2샤프트(223)가 구비된다.
제1샤프트(222)에는 일부가 연장되어 그 연장된 부분에 카메라 본체(220)와 단말기 내에 설치된 기판(도시되지 않음)을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카메라 본체(220)의 회전시 다른 부품에 간섭을 주지 않고 스스로 구부러지며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FPCB(260)가 감긴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1샤프트(222)는 카메라 본체(220)의 회전시 FPCB(260)가 감겨 크게 변형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제2샤프트(223)보다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제2샤프트(223)의 단부에는 카메라 본체(22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카메라 본체(22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23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샤프트(222) 및 제2샤프트(223)의 카메라 하우징(210)과의 사이에는 제1샤프트(220) 및 제2샤프트(223)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각각 마찰 저감부재(251)(252)가 설치된다.
이 마찰 저감부재(251)(252)는 각각 외주면이 카메라 하우징(210)의 내경에 형성된 안착홈(212)에 끼워져 고정되며 그 내주면은 제1,제2샤프트(222)(223)와 접촉하며 제1,제2샤프트(222)(223)가 미끄러질 수 있게 형성된다. 다만, 이와 달리 상기 마찰 저감부재(251)(252)의 외주면은 카메라 하우징(210)의 내주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그 내주면은 상기 제1,제2샤프트(222)(223)의 외주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마찰 저감부재(251)(252)는 오일이 함유된 링(ring) 타입의 조성물-예를 들어, POM(Poly Oxy Methyle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타 윤활 성분을 함유하며 내구성이 있는 플라스틱도 사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단말기를 도 4의 형태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하우징(210)의 제1샤프트(222) 및 제2샤프트(223)와 접하는 부분에 각각 베어링(253)(254)이 장착된 것이다.
즉, 카메라 하우징(210)의 내주면에는 안착홈(213)이 형성되어, 그 내주면에 베어링(253)(254)의 외주면이 장착되고, 베어링(253)(254)의 내주면에는 각각 제1샤프트(222)와 제2샤프트(223)가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카메라 본체(22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모터(230)의 작동시 제1샤프트(222) 및 제2샤프트(223)가 카메라 하우징(210)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타의 구성이나 작용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샤프트와 카메라 하우징 사이에 장착되어 카메라 본체의 회전시 마찰을 저감하는 마찰 저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므로 카메라 본체의 회전 저항력이 감소되어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을 제어하는 경우 동력의 손실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정밀한 회전동작의 요구시 신뢰성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0)

  1. 카메라 하우징과;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 본체와;
    상기 카메라 본체의 양단에 장착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카메라 하우징 사이에 장착되어 카메라 본체의 회전시 마찰을 저감하는 마찰 저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저감부재는 그 내주면이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장착되는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FPCB가 감겨지는 제1샤프트와;
    상기 카메라 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제2샤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는 상기 제2샤프트에 비해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유닛.
  4. 삭제
  5. 삭제
  6.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 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카메라 하우징과;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 본체와;
    상기 카메라 본체의 양단에 장착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카메라 하우징 사이에 장착되어 카메라 본체의 회전시 마찰을 저감하는 마찰 저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저감부재는 그 내주면이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장착되는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FPCB가 감겨지는 제1샤프트와;
    상기 카메라 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제2샤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는 상기 제2샤프트에 비해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삭제
  10. 삭제
KR1020050087894A 2005-09-21 2005-09-21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690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894A KR100690837B1 (ko) 2005-09-21 2005-09-21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A2006101520102A CN1937644A (zh) 2005-09-21 2006-09-11 相机装置及其便携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894A KR100690837B1 (ko) 2005-09-21 2005-09-21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837B1 true KR100690837B1 (ko) 2007-03-09

Family

ID=37954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894A KR100690837B1 (ko) 2005-09-21 2005-09-21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0837B1 (ko)
CN (1) CN193764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157A (ko) * 2002-05-07 2003-11-13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20040050414A (ko) * 2002-12-10 200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157A (ko) * 2002-05-07 2003-11-13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20040050414A (ko) * 2002-12-10 200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3-0087157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4-00504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37644A (zh)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452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able camera
US7269442B2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provided with turning function-carrying camera
KR100531880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US20100197356A1 (en) Mobile terminal having wide display unit
JP2006203842A (ja) 傾斜開閉式移動通信端末機
KR100524747B1 (ko) 휴대 영상 단말기의 카메라 조립체 구동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60763B1 (ko) 카메라 모듈
KR20050073255A (ko) 자동 개폐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US20090179874A1 (en) Electronic apparatus
JP4241241B2 (ja) ヒンジ構造及び電子機器
KR100690837B1 (ko) 카메라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7035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465293B1 (ko) 이동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구동 장치
KR20080040919A (ko) 휴대전화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
KR20040077291A (ko)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KR100677416B1 (ko)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100059166A (ko)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JP4125192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60035498A (ko)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이에사용되는 회전형 카메라 모듈
KR100616627B1 (ko)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이에사용되는 회전형 카메라 모듈
JP4276569B2 (ja) 携帯端末装置
CN117948339A (zh) 铰链及终端设备
KR10053188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고정장치
KR100700603B1 (ko) 힌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797686B1 (ko) 휴대전화 카메라용 렌즈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