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416B1 -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416B1
KR100677416B1 KR1020040110665A KR20040110665A KR100677416B1 KR 100677416 B1 KR100677416 B1 KR 100677416B1 KR 1020040110665 A KR1020040110665 A KR 1020040110665A KR 20040110665 A KR20040110665 A KR 20040110665A KR 100677416 B1 KR100677416 B1 KR 100677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terminal body
terminal
rack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1695A (ko
Inventor
유시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0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416B1/ko
Priority to CNB2005100850331A priority patent/CN100486124C/zh
Publication of KR20060071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카메라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피니언과; 그 일면이 상기 피니언과 맞물려지며 상기 단말기 바디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랙; 및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랙을 이동시키는 조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단말기를 들고 있는 한손으로도 카메라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편리하게 카메라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단말기, 휴대폰, 카메라, 각도조절, 랙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MOBILE TERMINAL WITH ROTATABLE CAMERA}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카메라 회전이 가능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로서,
도 2는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카메라 회전기구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로서, 요철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랙이 가이드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로서,
도 5는 조작놉이 단말기본체의 측면케이스에 형성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카메라 회전기구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카메라 회전기구 131: 카메라
140: 조작놉 150: 랙
170: 피니언 180: 가이드 부재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를 들고 있는 한 손으로도 카메라의 단말기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단말기나 피디에이(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를 탑재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높이고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1)는, 정면케이스(12)에 주키입력부(11)가 설치되며 배면에 배터리(18)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단말기본체(10)와, 이 단말기본체(10)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시창(21)이 설치된 폴더(20)로 구성된다.
상기 폴더(20)가 단말기본체(10)에 대하여 절첩가능하도록 단말기본체(10)에는 단말기본체측 힌지부(13)(14)가 각각 양쪽으로 구비되고, 이 단말기본체측 힌지부(13)(14) 사이에는 폴더측 힌지부(23)가 개재되어 단말기본체측 힌지부(13)(14)와 함께 힌지축(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결합된다.
특히, 이 힌지부(13)(14)(23)들은 일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되어 그 빈 공간에 카메라장치(30)가 구비되며, 이 카메라장치(30)는 렌즈(32)의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카메라하우징(31)이 내측으로 치우쳐 형성된 단말기본체측 힌지부(13)에 대략 힌지축과 평행한 축선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하우징(31)의 외측 단부에는 조작손잡이(33)를 구비하여, 사용자는 이 조작손잡이(33)를 잡고 돌리며 렌즈(32)의 단말기본체(10)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카메라장치(30)의 각도조절방식은, 휴대용 단말기(1)를 들고 있는 손과 다른 손으로 조작손잡이(33)를 잡고 돌려야 하는 것이므로, 양 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하우징(31)와 단말기본체측 힌지부(13)간의 결합부위에는 가공상의 공차가 존재하므로, 카메라하우징(31)이 단말기본체측 힌지부(13)에 대하여 균일한 회전을 하지 않고 특정 회전 부위에서 마찰이 많이 작용하거나 반대로 흔들리는 등 사용자로 하여금 감성적 불량이 느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를 단말기를 들고 있는 한손으로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카메라와 단말기간의 흔들림이나 마찰에 의한 나쁜 조작느낌을 개선할 수 있는 카메라 회전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카메라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피니언과; 그 일면이 상기 피니언과 맞물려지며 상기 단말기 바디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랙; 및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랙을 이동시키는 조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단말기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힌지부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로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힌지부와 동일한 축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조작수단은 그 일단이 상기 랙에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본체의 정면 또는 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조작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더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랙과의 마찰부위에는 규칙적인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랙에는 상기 요철에 접하는 마찰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은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로서, 도 2는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카메라 회전기구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카메라 회전기구가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것을 보인 것으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100)는 정면케이스(112)에 주키입력부(111)가 설치된 단말기본체(110)와, 단말기본체(110)에 대하여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며 표시창(121)이 구비된 폴더(120)로 구성된다.
폴더(120)가 단말기본체(110)에 대하여 절첩가능하도록 단말기본체(110)에는 폴더(120)와 접하는 부위에 양쪽으로 단말기본체측 힌지부(113)(114)가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이 단말기본체측 힌지부(113)(114)의 사이에는 폴더측 힌지부(123)가 개재되어 단말기본체측 힌지부(113)(114)와 함께 힌지축(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내측으로 치우쳐 형성된 단말기본체측 힌지부(113)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단말기본체(110)에는 축받이부(117)가 형성되어, 단말기본체측 힌지부(113)와 축받이부(117)의 사이에 측면에 렌즈(132)가 설치된 대략 원통형의 카메라(1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단말기본체(110)의 정면케이스(112)에는 가이드공(115)이 단말기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천공되고, 가이드공(115)의 외측에는 카메라(131)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놉(140)이 노출되게 구비되어 가이드공(115)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100)를 잡고 있는 한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조작놉(140)을 단말기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진퇴시켜 카메라(131)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131)를 회전시키기 위한 카메라 회전기구(130)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메라(131)는 축받이부(117)와 단말기본체측 힌지부(113)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양 단부에 축들(134)(135)을 구비하며, 측면에는 렌즈(132)가 구비되어 렌즈(132)를 통하여 내부의 수광소자(도시되지 않음)로 빛이 입사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131)의 일 축(134)에는 피니언(170)이 구비되고, 상기 단말기본체(110)의 내부에는 일면이 이 피니언(170)에 치합되는 랙치형면(160)을 구비하는 랙(150)이 카메라(131)의 회전축과 대략 직각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랙(150)의 직선운동을 카메라(131)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랙(150)을 외부에서 진퇴시킬 수 있도록 상기 랙(150)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공(115)의 외측으로 노출된 조작놉(140)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놉(140)을 손가락으로 잡고 조작놉(140)을 단말기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시켜 카메라(131)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켜 렌즈(132)에 들어오는 피사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랙(150)과 피니언(170)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카메라(131)를 회전시키므로 카메라(131)화 단말기본체측 힌지부(113) 또는 카메라(131)와 축받이부(117)간의 가공상 공차에서 발생하는 흔들림이나 마찰과 같은 접촉불량이 직접 전달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감성적 불량이 저감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 요철(182)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180)에 의하여 랙(150)이 가이드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다만, 여타의 구성요소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랙(150)의 하부에는 랙(150)의 이동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랙(150)이 부드럽게 동작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180)가 더 구비된다.
특히, 가이드 부재(180)의 상기 랙(150)과의 마찰부위에는 가이드측벽(181)에 규칙적인 요철(182)이 가이드 부재(18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랙(150)에는 이 요철(182)에 접하는 마찰돌기(151)가 형성되어, 카메라(131)의 회전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로 하여금 양호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로서, 도 5는 조작놉(240)이 단말기본체(210)의 측면케이스(216)에 구비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카메라 회전기구(230)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놉(240)이 단말기본체(210)의 정면에 설치되지 않고 단말기본체(210)의 측면케이스(216)에 설치된 것을 보인 것이다.
다만, 여타의 구성은 상술한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요소에 대하여는 유사한 번호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5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231), 피니언(270), 이 피니언(270)에 치합되는 랙치형면(260) 및, 가이드 부재(280)는 상술한 바와 유사하나, 조작놉(240)은 단말기본체(210)의 측면(216)에 형성된 가이드공(215)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다.
이에 따라, 폴더(220)를 열지 않고도 카메라(231)를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200)의 외부에서 직접 조작놉(240)을 통하여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 결합되어 카메라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니언과,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면이 상기 피니언에 치합되는 랙 및, 단말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랙을 진퇴시키는 조작놉을 구비함으로써, 단말기를 들고 있는 한손으로도 카메라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편리하게 카메라를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랙과 피니언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카메라를 회전시키므로 카메라와 힌지부 또는 카메라와 축받이부간의 흔들림이나 마찰과 같은 접촉불량이 직접 전달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감성적 불량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5)

  1.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카메라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피니언과;
    그 일면이 상기 피니언과 맞물려지며 상기 단말기 바디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랙; 및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랙을 직선이동시키는 조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단말기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힌지부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로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힌지부와 동일한 축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그 일단이 상기 랙에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본체의 정면 또는 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조작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랙과의 마찰부위에는 규칙적인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랙에는 상기 요철에 접하는 마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0040110665A 2004-12-22 2004-12-22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77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665A KR100677416B1 (ko) 2004-12-22 2004-12-22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NB2005100850331A CN100486124C (zh) 2004-12-22 2005-07-19 一种具备可旋转相机的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665A KR100677416B1 (ko) 2004-12-22 2004-12-22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695A KR20060071695A (ko) 2006-06-27
KR100677416B1 true KR100677416B1 (ko) 2007-02-02

Family

ID=3680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665A KR100677416B1 (ko) 2004-12-22 2004-12-22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7416B1 (ko)
CN (1) CN100486124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860B1 (ko) * 2005-06-15 2009-06-09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 단말기
CN112032524A (zh) * 2020-07-14 2020-12-04 安徽光谷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监控位置可调的安防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50698A (zh) 2008-12-10 2010-06-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镜头模组及应用该镜头模组的电子装置
CN104618634B (zh) * 2015-02-12 2017-08-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校准摄像头旋转角度的方法
CN109547605B (zh) * 2019-01-28 2020-12-18 安徽中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手机摄像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502A (ko) * 2003-02-03 200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각도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502A (ko) * 2003-02-03 200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각도 조절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860B1 (ko) * 2005-06-15 2009-06-09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 단말기
CN112032524A (zh) * 2020-07-14 2020-12-04 安徽光谷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监控位置可调的安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695A (ko) 2006-06-27
CN1794595A (zh) 2006-06-28
CN100486124C (zh)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6955B2 (en) Automatic camera lens module retracting/extend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JP4405490B2 (ja) 移動通信端末機
US7187957B2 (en) Portable terminal
EP1973312B1 (en) Fol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63202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able camera
US8042231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US20060197863A1 (en) Apparatus for rotating camera lens module for mobile terminal
JP2002281142A (ja) カメラ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
EP3621281B1 (en) Mobile terminal with rotatable camera assembly
JP2006203842A (ja) 傾斜開閉式移動通信端末機
JP2009253232A (ja) 筐体相互の連結ユニット及び携帯端末
JP2008193519A (ja) スライド式携帯端末
KR20100114339A (ko)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KR100593544B1 (ko) 자동 개폐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JP2008128390A (ja)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KR100677416B1 (ko) 회전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2007309381A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JP5489200B2 (ja) 携帯機器
EP1484921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808209B1 (ko) 휴대기기
JP5554682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09200753A (ja) 電子機器
KR100641570B1 (ko) 양방향 촬영이 용이한 카메라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JP4825175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KR100595687B1 (ko) 광학 줌기능 구현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