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831B1 - 이동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831B1
KR100690831B1 KR1020050083375A KR20050083375A KR100690831B1 KR 100690831 B1 KR100690831 B1 KR 100690831B1 KR 1020050083375 A KR1020050083375 A KR 1020050083375A KR 20050083375 A KR20050083375 A KR 20050083375A KR 100690831 B1 KR100690831 B1 KR 100690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card
memory
read
w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진섭
남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3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2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memor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 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메모리 카드의 액티브 동안에만 메모리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절감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메모리카드(400)가 카드 슬롯(410)에 장착되는지 검출하는 카드삽입 검출부(420)와, 상기 카드 슬롯(410)에 장착된 메모리카드(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50)와, 상기 카드삽입 검출부(420)가 상기 메모리카드(400)의 삽입 유무를 검출할 때마다 그 검출된 데이터를 레지스터(440)에 저장하고 상기 카드 슬롯(410)에 메모리카드(4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카드(400)의 액티브(리드 또는 라이트) 동작이 확인된 경우에만 상기 메모리카드(4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450)를 제어하는 호스트 모듈(43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MANAGING MEMORY CARD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도1은 일반적인 메모리카드 슬롯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2는 도1의 메모리카드 슬롯에서 메모리카드 삽입 검출을 위한 스위치의 개념도.
도3은 도2의 스위치 회로를 보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카드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모리카드 삽입/제거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모리카드 전원 공급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400 : 메모리카드 410 : 카드 슬롯
420 : 카드삽입 검출부 430 : 호스트 모듈
440 : 레지스터 450 : 전원공급부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 카드 슬롯을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메모리카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기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이하 "휴대폰"이라 칭함)는 카메라, 동영상재생 기능 등이 장착되면서 큰 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여 개발된 것이 메모리 카드이다.
메모리 카드는 기억용량을 확장하거나 통신기능 등을 확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확장 카드(expansion card)로서, 고속, 대용량의 기억용량을 갖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메모리카드의 종류에는 RAM 카드, ROM 카드, EEPROM 카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카드 등이 있다.
상기 플래시메모리는 일종의 비휘발성 기억 장치로서, 전기적 처리에 의해 기억 내용을 소거할 수 있는 점에서는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이 가능한 EEPROM과 유사하지만, EEPROM은 한번에 1바이트씩 소거할 수 있는 데 비해 플래시 메모리는 블록 단위로 소거하는 특징을 갖는다.
현재 휴대폰에는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내장 메모리 이외에도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를 착탈할 수 있는 카드 슬롯(card slot)이 구비되어 있다.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는 크기가 중요한 기준임으로 기존에는 SD, CF, MS 등이 사용되었지만 근래에는 더욱 소형화된 mini SD, RS-MMC, T-플래시메모리(Trans Flash Memory)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T-플래시 메모리는 근래 선호되고 있는 초소형 착탈식 플래시 메모리로서, 크기와 성능은 기존의 착탈식 플래시 메모리와 비슷하지만 착탈이 용이하고, 다른 전자기기와 호환성이 뛰어나며 용량의 업그레이드가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T-플래시메모리는 물리적 구동방식과 카드 슬롯 구조가 SD, Mini SD 카드와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메모리카드의 슬롯 구조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1의 카드 슬롯 구조를 채택한 시스템에서 메모리 카드 삽입 시의 인식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접지전압(Vss) 단자와 동작전원(Vdd) 단자를 점검한다.
(2). CLK(pin 5), CMD(pin 3), DAT0~DAT2(pin 1,7,8)를 점검한다.
(3). CD/DAT3 단자((pin 2)를 점검한다.
그런데, 도1의 카드 슬롯 구조는 카드 삽입 인식률이 낮아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근래에는 도2와 같이 스위치회로를 추가, 구성하여 메모리 삽입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도2의 스위치 회로에 대한 상세회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3(a)는 풀업(pull-up)저항을 이용한 액티브 하이(Active High) 방식의 회로이고, 도3(b)는 풀다운(pull-down)저항을 이용한 액티브 로우(Active Low) 방식의 회로이다.
도3(a)의 액티브 하이 방식은 플래시 메모리가 삽입되면 스위치(311)가 동작하여 호스트 모듈(320)에 하이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호스트 모듈(320)이 플래시 메모리의 삽입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도3(b)의 액티브 로우 방식은 플래시 메모리가 삽입되면 스위치(312)가 동작하여 호스트 모듈(320)에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호스트 모듈(320)이 플래시 메모리의 삽입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도1의 카드 슬롯 구조에서 카드 삽입 인식률이 낮아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2의 구조는 카드 삽입 인식률을 높일 수 있지만,
카드 슬롯에 메모리 카드의 삽입 유무에 관계없이 또는 메모리 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메모리 카드의 접속시도를 하지 않는 경우에도 지속적인 전원공급을 함으로써 비효율적인 전력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카드슬롯 방식으로는 메모리 카드의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메모리 카드가 슬롯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라면 지속적으로 전원이 들어감으로써 비효율적인 전력 소모가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3(a)에 도시한 액티브 하이 방식은 T-플래시 메모리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에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카드 슬롯에 삽입된 플래시 메모리의 액티브 동안만 그 플래시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도록 창안한 이동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메모리 카드 착탈이 가능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메모리 카드가 카드 슬롯에 삽입/제거되면 카드삽입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카드삽입 검출부와, 상기 카드삽입 검출신호를 점검하여 메모리 카드의 삽입/제거에 따른 상태정보를 기록하고 메모리 카드의 리드/라이트로 확인되면 상기 메모리 카드가 카드 슬롯에 삽입된 상태에서만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호스트(host)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드삽입 검출부는 메모리 카드가 삽입된 경우 온되어 호스트 모듈로 카드삽입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메모리 카드 착탈이 가능한 이동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카드 슬롯에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검출하는 단계와, 메모리 카드의 삽입/제거에 따른 상태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와, 메모리 카드의 리드(read)/라이트(write)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 카드의 삽입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의 삽입이 확인되면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메모리 카드의 리드/라이트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 카드의 리드/라이트가 완료되면 메모리 카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드 삽입 검출 단계는 메모리 카드의 삽입으로 확인되면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메모리 카드 삽입 상태임을 기록하는 단계와, 메모리 카드의 제거로 확인되면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메모리 카드 제거 상태임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지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 설명들을 기재함은 물론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메모리카드 제어 장치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카드(400)가 작창되는 카드 슬롯(410)과, 상기 메모리카드(400)가 상기 카드 슬롯(410)에 장착되는지 검출하는 카드삽입 검출부(420)와, 상기 카드 슬롯(410)에 장착된 메모리카드(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50)와, 상기 카드 슬롯(410)에 메모리카드(400)의 삽입 유무에 따른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440)와, 상기 카드삽입 검출부(420)가 상기 메모리카드(400)의 삽입 유무를 검출할 때마다 그 검출된 데이터를 상기 레지스터(440)에 저장하고 상기 카드 슬롯(410)에 메모리카드(4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카드(400)의 액티브(리드 또는 라이트) 동작이 확인된 경우에만 상기 메모리카드(4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450)를 제어하는 호스트 모듈(4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카드삽입 검출부(420)는 호스트 모듈(430)로 풀업신호(Vp)를 입력하는 풀업저항(R)과, 카드 슬롯(410) 내부에 장착되어 카드 슬롯(410)에 메모리 카드(400)가 삽입되면 상기 풀업신호(Vp)를 로우(low)로 다운(down)시키는 스위치(SW)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호스트 모듈(430)은 이동단말기의 MSM(Mobile Station Modem)으로 구현하거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도5 및 도6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메모리 카드의 삽입/제거에 따른 동작순서도이고, 도6은 메모리 카드에 대해 전원 공급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모리 카드의 삽입/제거에 따른 동작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기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호스트 모듈(430)은 레지스터(440)의 기록정보를 점검하여 메모리 카드(400)가 카드 슬롯(410)에 삽입된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카드 슬롯(410)의 포트(/detect)를 점검하여 로우신호가 검출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포트(/detect) 레벨이 로우(low)로 다운되면 호스트 모듈(430)은 포트(/detect)를 점검하여 로우신호가 검출되는지 확인한다.
이후, 포트(/detect)의 신호가 로우로 되면 호스트 모듈(430)은 카드 슬롯(410)에 메모리 카드(400)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레지스터(440)에 메모리 카드 삽입 상태 정보를 기록한다.
만일, 포트(/detect) 레벨이 하이(high)로 업(up)되면 호스트 모듈(430)은 카드 슬롯(410)에 삽입되어 있던 메모리 카드(400)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여 레지스터(440)에 메모리 카드 제거 상태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모리 카드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동작을 도7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임의의 동작을 실행하면 호스트 모듈(430)은 해당 동작에 관련하여 메모리 카드(400)의 기록 데이터를 리드(read)할 필요가 있는지 또는 실행 결과에 따른 데이터를 라이트(write)할 필요가 있는지 판단한다.
이때, 메모리 카드(400)의 리드/라이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호스트 모듈(430)은 레지스터(440)의 기록정보를 점검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400)가 카드 슬롯(410)에 삽입되어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이 동작 과정에서 레지스터(440)의 기록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물론 포트(/detect)를 점검하여 메모리 카드(400)가 실제로 삽입되어있는 상태인지를 이중으로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드 슬롯(410)에 메모리 카드(40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면 호스트 모듈(430)은 전원공급부(450)를 제어하여 상기 카드 슬롯(410)을 통해 상기 메모리 카드(40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이후, 호스트 모듈(430)은 메모리 카드(400)의 리드/라이트를 실행한다.
이후, 메모리 카드(400)의 리드/라이트 동작이 완료되면 호스트 모듈(430)은 전원공급부(450)를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4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만일, 상기 동작에서 메모리 카드(400)의 리드/라이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때 상기 메모리 카드(400)가 카드 슬롯(41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확인되면 호스트 모듈(430)은 표시부(도면 미도시)에 상기 메모리 카드(400)의 제거 상태임을 표시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400)가 상기 카드 슬롯(410)에 삽입되는지 확인한다. 이 경우, 메모리 카드(400)의 삽입 여부는 도6의 동작 순서도와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과 관련된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드 슬롯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 카드를 리드/라이트하는 동안에만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어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메모리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메모리 카드의 삽입 시에 동작하는 스위치에 의해 그 메모리 카드의 삽입/제거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카드삽입 검출부와,
    상기 검출신호를 점검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의 삽입/제거에 따른 상태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의 리드/라이트로 확인되면 상기 메모리 카드가 카드 슬롯에 삽입된 상태에서만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호스트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메모리 카드의 삽입 시에 온되어 검출신호를 로우로 출력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장치.
  4. 이동단말기의 메모리 카드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의 삽입/제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 카드의 리드(read)/라이트(write)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 카드의 리드/라이트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있는 상태로 확인된 경우에만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방법.
  5.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 카드의 삽입 상태에서 그 메모리 카드의 리드/라이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 카드의 리드/라이트로 확인되면 상기 메모리 카드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의 삽입 검출 단계는
    상기 메모리 카드의 삽입/제거에 따른 검출상태를 내부 메모리에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방법.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카드의 리드/라이트로 판단되면 내부 메모리에 기록된 메모리카드의 상태 정보를 확인함과 아울러 메모리카드의 삽입여부를 다시 점검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방법.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의 리드/라이트가 완료되면 상기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방법.
KR1020050083375A 2005-09-07 2005-09-07 이동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90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375A KR100690831B1 (ko) 2005-09-07 2005-09-07 이동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375A KR100690831B1 (ko) 2005-09-07 2005-09-07 이동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831B1 true KR100690831B1 (ko) 2007-03-09

Family

ID=38102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375A KR100690831B1 (ko) 2005-09-07 2005-09-07 이동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8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9490A1 (en) * 2009-11-30 2011-09-28 Funai Electric Co., Ltd. Switching control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83375 - 75611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9490A1 (en) * 2009-11-30 2011-09-28 Funai Electric Co., Ltd. Switching contro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06495A1 (en) Memory card and host device thereof
US6813668B2 (en) Multi-functional electronic card capable of detecting removable cards
US7490198B2 (en) Data storage apparatus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nonvolatile memories in which no data is erased after the data storage apparatus is removed from a host apparatus
JP2006172477A (ja) パワーオフ制御部、それを含むメモリ貯蔵装置及びそれの動作方法
JP4841070B2 (ja) 記憶装置
JP2006079613A (ja) 取り外し可能な電子デバイスとそれの方法
US20010027032A1 (en) Mode-switchable PC card and PC card input/output control device
JP4841069B2 (ja) 記憶装置
KR100690831B1 (ko) 이동단말기의 메모리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TWI328158B (ko)
US20050092846A1 (en) Simulated smartmedia/XD-picture memory card capable of using various kinds on non-volatile memory
JP4803757B2 (ja) 半導体処理装置
KR20050032365A (ko) 플래시메모리카드
JP2002150246A (ja) 携帯可能電子装置
KR100746246B1 (ko) 전원 선택 스위치를 가지는 메모리 카드 및 그것의 동작방법
JP2002042479A (ja) 半導体記憶装置
US20050125612A1 (en) [device capable of indicating access modes of accessible memory card]
CN113342714A (zh) 存储器存储装置与其管理方法
JP2003006591A (ja) 情報表示カード
KR20160052139A (ko)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저장장치의 복구 시스템 및 방법
TWM479459U (zh) 記憶卡轉接裝置之改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