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015B1 - 개방형 박막 전지 - Google Patents

개방형 박막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015B1
KR100690015B1 KR1020040090807A KR20040090807A KR100690015B1 KR 100690015 B1 KR100690015 B1 KR 100690015B1 KR 1020040090807 A KR1020040090807 A KR 1020040090807A KR 20040090807 A KR20040090807 A KR 20040090807A KR 100690015 B1 KR100690015 B1 KR 100690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active material
layer
separator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1559A (ko
Inventor
임영호
박현우
송영숙
노승호
조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40090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015B1/ko
Publication of KR20060041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01M10/3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개방형 박막 전지는, 세퍼레이터(separator); 상기 세퍼레이터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양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양극 활물질층과 음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음극 활물질층; 상기 양극 활물질층과 상기 음극 활물질층의 외측에 배치되는 박막 집전층; 및 상기 박막 집전층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기 절연성의 외부 필름층을 포함한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물 또는 전해액을 함유하지 아니하며, 그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물 또는 전해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박막, 필름형, 전해액, 전지

Description

개방형 박막 전지{OPEN-TYPED THIN FILM BATTERY}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박막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개방형 박막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박막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개방형 박막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개방형 박막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battery)는 그 내부에 들어 있는 화학물질의 전기화학적 산화-환원 반응 시에 발생하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그 사용상 특성에 따라 전지 속의 에너지가 고갈되면 폐기해야 하는 1차전지(primary battery)와 계속 충전하면서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한 2차전지(rechargeable battery)로 구분될 수 있다.
1차전지의 주된 형태는 원통형, 각기둥형, 및 버튼형 등이 있다. 종래의 1차전지는 시계, 리모콘(remote controller), 카세트(cassette), 랜턴(lantern) 등의 에너지원으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 무선 키보드, MP3 플레 이어, CD 플레이어, 도어 락 시스템(door lock system) 등 새로운 기기들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형태의 전지들은, 양극(positive electrode), 음극(negative electrode), 및 전해액(electrolyte)의 종류에 따라, 망간전지, 알칼라인 전지, 수은 전지, 은 전지, 리튬 전지, 공기아연 전지 등으로 나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지들은 적게는 수십 mAhr의 전류용량으로부터 많게는 수백 Ahr까지의 높은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1차전지들은 수명의 연장이 중요한 기술적 이슈(issue)이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액정 디스플레이, 전자계산기, IC 카드, 온도센서, 압력감지부저, 또는 약물전달을 위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등에 사용되기 위해, 필요한 전류용량을 목적에 맞는 양만 소모하고 폐기시킬 수 있는 소형 박막전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박막전지는 크게 두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 종류는 습식 전해액(liquid electrolyte)을 포함하는 박막전지(즉, 액상전지)이고, 둘째 종류는 고상 전해액(solid electrolyte)을 포함하는 박막전지이다. 고상 전해질은 일반적으로 액상전해질에 친수성 고분자를 물에 녹여 액상 전해질의 점도를 높임으로써 전해액의 증발이나 누액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온의 전달 측면에서는 액상 전해질 보다는 이온이 친수성 고분자를 통하여 확산되는 속도가 제한되기 때문에 그 작동이 온도에 크게 의존하며 많은 경우에는 고온 하에서만 잘 작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고상 전해질을 사용하는 박막전지의 이온의 제한된 확산속도는 발생된 전기에너지 대 그 포텐셜 화학에너지(potential chemical energy) 의 비(ratio)가 낮은 특징을 야기하므로 액상전지에 비해 큰 단점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박막전지는 외부 필름층, 박막 집전층, 정/음극 활물질층, 및 전해액이 포함된 세퍼레이터층(separator layer)을 포함한다.
세퍼레이터층은 전해액을 포함하며, 정/음극 활물질층은 세퍼레이터층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양극 활물질층은 양극 활물질을 함유하고 음극 활물질층은 음극 활물질을 함유한다. 박막 집전층은 정/음극 활물질층의 외측에 배치되며, 금속 호일(foil)의 형태, 박막 형태의 도전성 카본 필름(conductive carbon film), 절연성 필름 위에 도전성 카본 잉크(conductive carbon ink) 혹은 도전성 카본 페이스트(conductive carbon paste)가 스크린 인쇄(screen print) 혹은 코팅(coating) 되어진 층으로 할 수 있다. 외부 필름층으로는 전지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여부에 따라 밀폐형과 개방형이 있으며, 이러한 필름층은 기본적으로 전기 절연성이 우수해야 하며 기체가 투과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외부 필름층은 단일층 또는 복합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박막 전지는 얇게 구현하여 사용목적에 맞게 전류용량을 계산하여 미세전류가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지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낮은 전류용량과 얇은 필름형태의 재료들을 사용하므로 자연발생적인 자가방전 및 내부 가스 발생에 의한 압력에 의한 극판의 벌어짐에 의한 장기 보관시의 전류용량의 저하에 따른 성능의 보존 문제, 밀폐형이 아닌 형태에서는 장기 보관시의 외부 필름과 실링 부위를 통한 전해액의 증발이나 손실에 의해 이루어지는 성능 저하의 문제 등에 의해 장기보관에 의한 성능 안정성이 문제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도 전류용량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는 개방형 박막 전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박막 전지는, 세퍼레이터(separator); 상기 세퍼레이터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양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양극 활물질층과 음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음극 활물질층; 상기 양극 활물질층과 상기 음극 활물질층의 외측에 배치되는 박막 집전층; 및 상기 박막 집전층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기 절연성의 외부 필름층을 포함한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물 또는 전해액을 함유하지 아니하며, 그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물 또는 전해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 또는 전해액의 유입을 위해서, 상기 외부 필름층에는 물 또는 전해액이 유입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세퍼레이터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외부 필름층 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필름층은 단일층 또는 복합층의 절연성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막 집전층은 도전성 금속 또는 도전성 카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도전성 카본, 이산화망간, 이산화납, 산화니켈, 산화은, 산화구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아연, 철, 마그네슘, 알루미늄, 카드뮴, 납, 및 주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셀룰로오스 종이, 비닐론, 펄프, 필터 페이퍼, 및 부직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해액은 염화암모늄, 염화아연, 황산, 황화납, 황화망간, 수산화칼슘, 및 수산화나트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박막 전지(100)는, 세퍼레이터(separator)(101), 세퍼레이터(10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양극 활물질층(103)과 음극 활물질층(105), 양극 활물질층(103)과 음극 활물질층(105)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박막 집전층(107), 및 박막 집전층(107)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외부 필름층(109)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완성품 상태의 개방형 박막 전지의 세퍼레이터(101)는 물 또는 전해액을 함유하지 아니하며,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물 또는 전해액이 세퍼레이터(101)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필름층(109)에 물 또는 전해액이 유입될 수 있는 주입구(111)가 형성된다. 박막 전지를 사용하기 직전에 이 주입구(111)를 통하여 물 또는 전해액을 주입함으로써, 박막 전지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세퍼레이터(101)는 셀룰로오스 종이(cellulose paper), 비닐론(vinylon), 펄프(pulp), 필터 페이퍼(filter paper), 및 부직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양극 활물질층(103)은 양극 활물질을 함유하며, 양극 활물질은 도전성 카본, 이산화망간(manganese dioxide, MnO2), 이산화납(lead dioxide, PbO2), 산화니켈(nickel oxide, NiO), 산화은(silver oxide, AgO), 산화구리(copper oxide, Cu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극 활물질층(105)은 음극 활물질을 함유하며, 음극 활물질은 아연(zinc), 철(iron), 마그네슘(magnesium), 알루미늄(aluminum), 카드뮴(cadmium), 납(lead), 및 주석(ti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 활물질층(103)과 음극 활물질층(105)의 외측에 배치되는 박막 집전층(107)은 도전성 금속 또는 도전성 카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 집전층(107)은, 구리, 아연, 알루미늄, 니켈 등의 호일(foil) 형태이거나, 박막 형태의 도전성 카본 필름(conductive carbon film), 절연성 필름 위에 도전성 카본 잉크(conductive carbon ink) 혹은 도전성 카본 페이스트(conductive carbon paste)가 스크린 인쇄(screen print) 혹은 코팅(coating) 되어진 층으로 할 수 있다.
박막 집전층(107)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기 절연성의 외부 필름층(109)은 단일층 또는 복합층의 절연성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필름층(109)은 절연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올레핀(polyolefi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및 나일론(nylon) 중 어느 하나를 주 원료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부 필름층(109)이 복합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밀봉(sealing) 특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필름(polyolefine film)에 알루미늄층 등을 라미네이션(lamination)하거나 절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필름(polyester film)에 나일론층을 라미네이션한 필름 등으로 할 수 있다.
개방형 박막 전지(100)의 세퍼레이터(101)로 유입되는 전해액은, 염화암모늄(ammonium chloride), 염화아연(zinc chloride), 황산(sulfuric acid), 황화납(lead sulfide), 황화망간(manganese sulfide),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및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막 집전층(107)은 외부 필름층(109) 위에 호일(foil) 형태나 인쇄, 코팅 등의 방법으로 필름화시킨 층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박막 집전층(107) 위에 양극 활물질층(103) 및 음극 활물질층(105)을 인쇄, 코팅 및 캐스팅의 방법을 통하여 도포하여 박막의 활물질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활물질층을 세퍼레이터를 기준으로 열접착 또는 다양한 접착방식에 의해 접착함으로써 박막 전지가 조립될 수 있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박막 전지(200)는, 세퍼레이터(separator)(201), 세퍼레이터(20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양극 활물질층(203)과 음극 활물질층(205), 양극 활물질층(203)과 음극 활물질층(205)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박막 집전층(207), 및 박막 집전층(207)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외부 필름층(209)을 포함한다.
완성품 상태의 개방형 박막 전지의 세퍼레이터(201)는 물 또는 전해액을 함유하지 아니하며,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물 또는 전해액이 세퍼레이터(201)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퍼레이터(201)가 외부 필름층(109)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세퍼레이터(20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 직전에 물 또는 전해액을 세퍼레이터(201)의 노출된 부분에 적심으로써 물 또는 전해액을 박막 전지(20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박막 전지(200)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박막 전지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종래의 박막 전지는 그 제조 시부터 세퍼레이터가 전해액을 함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실제 박막 전지가 사용되는 시점까지 이 전해액의 미세한 화학반응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박막 전지의 수명 및 내구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최초 제조된 박막 전지의 세퍼레이터는 전해액을 함유하지 않고 사용 직전에 전해액 또는 물을 세퍼레이터로 유입시킴으로써 전해액의 미세 반응의 진행에 의해 박막 전지의 수명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실험예를 통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박막전지의 성능 안정성에 대해 설명한다.
실험예1
50㎛ 두께의 폴리염화비닐 위에 도전성 페이스트(conductive paste)를 스크린 인쇄(screen print) 혹은 코팅하고 80℃의 오븐에서 2시간 이상 충분히 건조시 킨 후 박막 집전체를 준비하고 음극에는 아연분말 30g과 20%농도의 폴리아크릴산과 양극에서는 이산화망간 30g과 도전성카본 5g 그리고 20%의 폴리아크릴산 10g을 고루 섞어 각각 집전체 위에 2× 3㎝로 도포를 한 후 80℃의 오븐에서 2시간 이상 충분히 건조하여, 각각 양극과 음극을 준비한다. 여기에 물 12g에 아염-염화물 16.8g을 녹인 전해액을 필터 페이퍼 스트립(filter paper strip)에 적심 혹은 담금 기술에 의해 완전히 적신 후 꺼내어 2.5× 3.5㎝의 크기로 잘라 준비하여, 이들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조립한 후 전압을 측정하여 보았더니, 1.5± 0.02V의 전압을 유지하였다.
실험예2
상기한 실험예1에서의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전해액의 구성요소 중 물12g에 암모늄-염화물을 8.4g을 녹인 전해액을 사용하여 조립한 후 전압을 측정하여 보았더니, 1.5± 0.03V의 전압을 유지하였다.
실험예3
상기한 실험예1에서의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전해액의 구성요소 중 물12g에 수산화칼륨 0.3g을 녹인 전해액을 사용하여 조립한 후 전압을 측정하여 보았더니, 1.5± 0.015V의 전압을 유지하였다.
실험예4
상기한 실험예1에서의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전해액의 구성요소 중 30%의 황산수용액을 전해액으로 사용하여 조립한 후 전압을 측정하여 보았더니, 2.0± 0.035V의 전압을 유지하였다.
비교예1
50㎛ 두께의 폴리염화비닐 위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 혹은 코팅하고 80℃의 오븐에서 2시간 이상 충분히 건조 후 박막 집전체를 준비하고 음극에는 아연분말 30g과 20%농도의 폴리아크릴산과 양극에서는 이산화망간 30g과 도전성 카본 5g 그리고 20%의 폴리아크릴산 10g을 고루 섞어 각각 집전체 위에 2× 3㎝로 도포를 한 후 80℃의 오븐에서 2시간 이상 충분히 건조하여, 각각 양극과 음극을 준비한다. 여기에 물12g에 아염-염화물 16.8g을 녹인 전해액을 필터 페이퍼 스트립에 적심 혹은 담금 기술에 의해 완전히 적신 후 꺼내어 80℃의 오븐에서 약 1시간 이후 물기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건조 후 꺼내어 2.5× 3.5㎝의 크기로 잘라 준비하여, 이들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조립한 후 전압을 측정하였더니 전압이 측정기기에 의해 잡히지 않았다.
비교예2
상기한 비교예1에서의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전해액의 구성요소 중 아무것도 묻히지 않은 필터 페이퍼를 2.5× 3.5㎝의 크기로 잘라 준비하여, 이들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조립한 후 전압을 측정하였더니 전압이 측정기기에 의해 잡히지 않았다.
상기의 실험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박막전지를 제조하여 실온[표1], 30℃[표2], 45℃[표3], 60℃[표4]에서 일정 기간 방치한 후 전류용량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표1]
Figure 112004051777230-pat00001
[표2]
Figure 112004051777230-pat00002
[표3]
Figure 112004051777230-pat00003
[표4]
Figure 112004051777230-pat00004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험예와 비교예에 관한 전류용량의 온도와 기간별 변화에 대한 [표1]~[표4]의 결과를 보았을 때 전해액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1과 비교예2의 전류용량에 관한 보존성이 우수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또는 수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세퍼레이터가 물 또는 전해액을 함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되다가 사용직전에 물 또는 전해액이 될 수 있으므로, 전해액을 함유한 상태에서 장기간 보관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전류용량의 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Claims (9)

  1. 세퍼레이터(separator);
    상기 세퍼레이터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양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양극 활물질층과 음극 활물질을 함유하는 음극 활물질층;
    상기 양극 활물질층과 상기 음극 활물질층의 외측에 배치되는 박막 집전층;
    상기 박막 집전층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기 절연성의 외부 필름층을 포함하는 개방형 박막 전지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물 또는 전해액을 함유하지 아니하며, 그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물 또는 전해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방형 박막 전지.
  2. 제1항에서,
    상기 외부 필름층에는 물 또는 전해액이 유입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되는 개방형 박막 전지.
  3. 제1항에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외부 필름층 보다 크게 형성되는 개방형 박막 전지.
  4. 제1항에서,
    상기 외부 필름층은 단일층 또는 복합층의 절연성 필름으로 형성되는 개방형 박막 전지.
  5. 제1항에서,
    상기 박막 집전층은 도전성 금속 또는 도전성 카본으로 형성되는 개방형 박막 전지.
  6. 제1항에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도전성 카본, 이산화망간, 이산화납, 산화니켈, 산화은, 산화구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방형 박막 전지.
  7. 제1항에서,
    상기 음극 활물질은 아연, 철, 마그네슘, 알루미늄, 카드뮴, 납, 및 주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방형 박막 전지.
  8. 제1항에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셀룰로오스 종이, 비닐론, 펄프, 필터 페이퍼, 및 부직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개방형 박막 전지.
  9. 제1항에서,
    상기 전해액은 염화암모늄, 염화아연, 황산, 황화납, 황화망간, 수산화칼슘, 및 수산화나트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방형 박막 전지.
KR1020040090807A 2004-11-09 2004-11-09 개방형 박막 전지 KR100690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807A KR100690015B1 (ko) 2004-11-09 2004-11-09 개방형 박막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807A KR100690015B1 (ko) 2004-11-09 2004-11-09 개방형 박막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559A KR20060041559A (ko) 2006-05-12
KR100690015B1 true KR100690015B1 (ko) 2007-03-08

Family

ID=3714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807A KR100690015B1 (ko) 2004-11-09 2004-11-09 개방형 박막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0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210B1 (ko) 2009-08-21 2012-02-16 주식회사로케트전기 박형 망간 전지
EP3544100A4 (en) * 2016-11-16 2020-08-12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PRIMARY BATTERY AND HUMIDITY SENS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8654A (ja) 1983-04-23 1984-11-10 Tomoyuki Aoki 可撓性薄型電池
JPS61285655A (ja) 1985-06-12 1986-12-16 Hitachi Maxell Ltd 薄形密閉電池の製造方法
JPS6417380A (en) * 1987-07-10 1989-01-20 Sharp Kk Manufacture of thin-type cell
JP2002280059A (ja) 2001-03-16 2002-09-27 Nec Tokin Corp 電池及び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20040057363A (ko) * 2002-12-26 2004-07-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8654A (ja) 1983-04-23 1984-11-10 Tomoyuki Aoki 可撓性薄型電池
JPS61285655A (ja) 1985-06-12 1986-12-16 Hitachi Maxell Ltd 薄形密閉電池の製造方法
JPS6417380A (en) * 1987-07-10 1989-01-20 Sharp Kk Manufacture of thin-type cell
JP2002280059A (ja) 2001-03-16 2002-09-27 Nec Tokin Corp 電池及び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20040057363A (ko) * 2002-12-26 2004-07-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57363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210B1 (ko) 2009-08-21 2012-02-16 주식회사로케트전기 박형 망간 전지
EP3544100A4 (en) * 2016-11-16 2020-08-12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PRIMARY BATTERY AND HUMIDITY SENSOR
US11374219B2 (en) 2016-11-16 2022-06-28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Primary battery and moistur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559A (ko) 200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2043A (en) Flexible thin layer open electrochemical cell
US6855441B1 (en) Functionally improved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901732A (en) Thin flat cell construction having a gas-permeable coated perforated anode
CN102511107B (zh) 空气电池
US20100203394A1 (en) Thin metal-air batteries
US20050118464A1 (en) Functionally improved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4031316A (ja) 太陽電池複合薄膜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03068278A (ja) 電気化学デバイス
US4172184A (en) Laminar batteries
WO2013047379A1 (ja)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90015B1 (ko) 개방형 박막 전지
JP4664455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4363558B2 (ja) 扁平形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04810574A (zh) 空气电池
KR100690016B1 (ko) 박형 1차 전지
US20230125965A1 (en) Partition plate and electrochemical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uch partition plate
CN115863785B (zh) 一种监控锂沉积的锂离子电池及方法
JP4040264B2 (ja) 電極体の評価方法
JPH10241663A (ja) 電 池
KR20090052971A (ko) 박형 리튬 전지의 제조 방법
CA1087684A (en) Thin flat cell construction having a gaspermeable coated perforated anode
CA1047103A (en) Conductive coated vented cathode collector for thin flat cells
JP2002008727A (ja) 扁平形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16636026A (zh) 二次电池、二次电池控制系统以及电池包
CA1087685A (en) Thin flat cell construction having a gas-permeable coated perforated an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