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448B1 - 이종망으로 자동 접속하는 이동 단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망으로 자동 접속하는 이동 단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448B1
KR100689448B1 KR1020040011685A KR20040011685A KR100689448B1 KR 100689448 B1 KR100689448 B1 KR 100689448B1 KR 1020040011685 A KR1020040011685 A KR 1020040011685A KR 20040011685 A KR20040011685 A KR 20040011685A KR 100689448 B1 KR100689448 B1 KR 100689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ommunication network
heterogeneous
call connection
connec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3088A (ko
Inventor
이주현
유한일
천경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448B1/ko
Publication of KR20050083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이종의 이동 통신 시스템들이 혼재된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이 이종의 통신망으로 자동 재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호 접속 요구에 따라, 현재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으로 호 접속 요구를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호 접속이 실패하면, 이종의 통신망으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이종의 통신 시스템으로 호 접속 요구를 수행하여 상기 이종의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종 통신망, 파일럿, 전송률, 서비스 품질

Description

이종망으로 자동 접속하는 이동 단말 장치 및 방법{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Hybrid Network}
도 1은 통상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용되는 단말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자동으로 이종망으로 접속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자동으로 이종망으로 접속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종망간의 서비스 전환을 위한 이동 단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은 이동통신 산업의 급성장에 따라 통상적인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데이터, 화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시스템을 통칭하여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이라 칭한다. 이러한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부호 분할 다중 접속 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CDMA라 기재함)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 CDMA 방식은 크게 동기방식과 비동기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비동기 방식은 유럽 및 일본에서 채택되고 있는 방식이며, 상기 동기 방식은 미국에서 채택하고 있는 방식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식에 의해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는 미국과 유럽은 서로 다른 형태로의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유럽형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이다. 상기 UMTS 이동통신시스템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시스템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상기 동기방식의 차세대 시스템은 현재 서비스중인 1x에서 고속 데이터 만을 전용으로 전송하는 EV-DO(Evolution Data Only), 고속 데이터 뿐만 아니라 음성서비스도 지원되는 EV-DV(Evolution Data and Voice)표준에 까지 진화하게 되었다.
즉, 현재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의도와는 다르게 북미방식의 CDMA 2000 방식의 표준과 유럽방식의 UMTS 표준이 만들어 졌으며, 상기 두 표준 방식이 모두 사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3세대 이동 통신이 전세계적으로 공통의 네트워크 망을 구성하며 범용적으로 사용될 것은 다소 불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통신 사업자들은 기존에 CDMA 망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에 UMTS망을 추가로 설치하고 있으며, 이와 반대로 UMTS망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에 CDMA망을 추가로 신설하고 있다.
그러면, UMTS망과 CDMA망이 이종 통신망들이 혼재된 구조에서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망에서 사용자 폭증, 할당 자원 부족 등의 이유로 해당 망에서 서비스를 요청하는 모든 단말로 서비스를 지원해 줄 수 없을 경우, 이동 단말이 다른 망으로 접속하여 서비스 받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동 단말은 상기 각각의 이종망들을 모두 지원 받을 수 있는 듀얼칩(Dual chip)을 구비하기는 하지만, 이종망의 특성상 상기 듀얼 칩은 상기 둘 이상의 이종망들 중 하나의 망으로부터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즉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단말기는 상기 듀얼 칩을 갖고 있는 단말기라고 해도 초기 동기를 획득한 이종망 중 어느 하나의 망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CDMA 또는 UMTS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 하고 있으며, 상술한 문제점과 같이 현재 접속되어있는 망에서의 서비스보다는 다른 망에서의 서비스가 더 효율적임에도 불구하고, 이동 단말이 다른 망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둘 이상의 망들이 혼재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둘 이상의 망들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 단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이 현재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으로부터의 서비스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통신망으로의 접속 전환할 수 있는 이동 단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둘 이상의 이종 통신망들과 접속 가능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종의 통신망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복조 또는 변조하여 출력하는 모뎀부와, 사용자로부터의 요구를 입력받거나, 외부로 청각적 또는 시각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모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음성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또는 상기 음성 처리부로의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이종의 통신망들의 변화에 따라 상기 이종망들과 해당 모뎀을 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둘 이상의 이종의 이동 통신 시스템들이 혼재된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이 이종의 통신망으로 자동 재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호 접속 요구에 따라, 현재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으로 호 접속 요구를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호 접속이 실패하면, 이종의 통신망으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이종의 통신 시스템으로 호 접속 요구를 수행하여 상기 이종의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둘 이상의 이종의 이동 통신 시스템들이 혼재된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이 이종의 통신망으로 자동 재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호 접속 요구에 따라, 현재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요구되는 전송률 또는 서비스 품질로 서비스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현재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요구되는 전 송률 또는 서비스 품질로 서비스가 불가능할 경우, 상기 전송률 또는 서비스 품질로 서비스가 가능한 이종의 통신망으로 호 접속 요구를 수행하여 상기 이종의 통신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종망들이 혼재되어 있는 통신망에서 사용자 폭증 등의 이유로 현재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에서 호 접속이 실패하거나, 현재 접속되어 있는 망이 요구되는 전송률 또는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지 못할 경우, 이동 단말이 이종망으로 호 접속 요구를 수행하여 이종망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기술을 제안한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바를 구현하기 위한 일반적인 이종망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UMTS망과 CDMA망이 혼재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망이다.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CDMA망을 간략히 살펴보면, 기지국 제어기(120, Base Station Controller: BSC)와, 기지국(130,Base Transceiver System: BTS)과, 이동 단말(160,Mobile Station: MS)을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상기 기지국(13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지국(130)은 상기 이동 단말(160)과 무선채널을 통해 연결되어 통신한다.
한편 UMTS망을 살펴보면, 이동단말(160)은 기지국(150, NodeB)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NodeB(150)는 기지국 제어기(140, Radio Network Controller)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120,140)은 이동교환국(110, Mobile Switching Center: MSC) 또는 게이트웨이(115,Gateway: GW)에 각각 접속된다. 상기 이동교환국(110)은 공중교환전화네트워크(100,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등의 회선 네트워크(Circuit Network)에 접속되고, 상기 게이트웨이(115)는 인터넷(Internet)/패킷교환데이터네트워크(105,PDSN: Packet Data serving Node) 등의 패킷 교환 네트워크(Packet Switched Network)에 접속된다. 이때 상기 기지국 제어기들(120,140)의 제어하에 상기 이동 단말(160)이 상기 이동교환국(110)으로 접속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160)에는 음성 서비스가 제공되고, 상기 이동 단말(160)이 상기 게이트웨이(115)로 접속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160)에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된다.
상기 도 1에서 도시된 구조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조를 일반화하여 표시한 것으로, 그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IS-2000, WCDMA, UMTS, CDMA2000 1xEV-DO, GPRS, 1xEV-DV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웨이(115)는 논리적인 명칭으로서, 패킷데이터서비스노드(Packet Data Service Node: PDSN), 액세스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등으로 불릴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게이트웨이(115)와 이동교환국(110)은 각각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종망들이 혼재된 통신망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망들에 모두 접속될 수 있는 듀얼 칩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뎀부(400)는 2가지의 이종망을 지원하는 제1 모뎀(404) 및 제 2 모뎀(408)의 2개의 모뎀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모뎀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 1 모뎀(404) 및 제 2 모뎀(408)의 기능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통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 모뎀들(404,408)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들(410,415)은 상기 각 모뎀들에 의해 독출가능한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는 기록 매체로써, 이이피롬(EEPROM)이나 램(RAM)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모뎀(404)에 제1 메모리(410)만이 제2 모뎀(408)에는 제2 메모리(415)만이 연결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 1 모뎀(404) 및 제 2 모뎀(408)과 모두 연결되는 하나의 메모리로 구현되어, 상기 두 개의 모뎀들(410, 405) 모두에 의해 사용되어 질 수도 있다. 상기 두 개의 모뎀들 중 어떤 모뎀을 선택한 것인지의 모뎀 선택 제어는 제어기(420)에 제어 신호에 의해 수행되는데, 하기의 상기 이종망 전화 방법에서 설명할 것이지만, 스위치부(422)가 상기 제어기(4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제 1 모뎀(404) 또는 제 2 모뎀(408)과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선택된 시스템에 부합되는 모뎀칩이 자동적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제 1 모뎀(404) 또는 제 2 모뎀(408)은 상기 음성 및 데이터 처리부(425)와 연결되어, 상기 처리된 정보를 음성 및 데이터 처리부(425)로 전송된다. 상기 음성 및 데이터 처리부(425)는 상기 처리된 정보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스피커(465)를 통해 출력하거나, 마이크(4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및 외부의 음성 정보를 처리한다. 또한, 상기 음성 및 데이터 처리부(425)는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판독가능한 형태로 표시부(450)에 표시하고, 문자키 및 숫자키등을 이루어져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입력부(455)를 통해 입력된 신호들은 처리하게 된다. 그 후 처리된 신호들은 RF 송신부(445)를 통해 송신 형태로 변조되며 듀플렉서(460)를 거쳐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상기 상기 RF 송신부(445)는 변조시 주파수 합성부(440)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RF 신호를 변조한다.
한편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신호는 듀플렉서(460)를 거쳐 RF수신부(430)로 입력되며, 상기 입력된 정보는 음성 및 데이터 처리부(425)로 입력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RF수신부(430)에서는 복조시, 주파수 합성부(440)로부터 입력에 따라 RF신호를 복조한다.
상기 모뎀들(404, 408)의 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420)의 동작은 후술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종망 전환 방법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은 이종망에서 이동 단말의 망전환 방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은 현재 접속한 망의 호 접속 실패에 따른 이종망으로의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현재 접속한 망의 전송률 또는 서비스 품질 저하에 따른 이종망으로의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상기 도 3 및 도 4에서는 단말이 현재 UMTS와 동기를 획득해 놓은 상태로써, NodeB를 통해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제공받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제 1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UMTS망과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CDMA 망으로 자동 재전환하는 실시 예를 기술하고자 한다.
단말은 200단계에서 NodeB와 아이들 상태(idle state)에 있다. 상기 아이들 상태는 데이터나 음성이 전송되거나 세션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는 아니나, 필요시 호 접속 요청을 통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아이들 상태에서 이동 단말은 205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호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는 사용자로부터의 외부 키입력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즉, 205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통신을 위한 키입력되면, 210단계에서 이동 단말은 기지국(Node B)로 호 접속 요구를 하게 된다. 통상적으로는 상기 호 접속 요구 신호는 접근채널(Access channel)을 통해 억세스 프로브 방식으로 호 접속 요구를 하게 된다. 상기 억세스 프로브 방식은 단말의 송신전력을 조금씩 증가시키며 호 접속 요구를 하는 방식으로, 송신전력이 일정 수준을 넘을시는 다시 최소전력으로 전송하고, 그후 상기와 같은 방식을 반복하여 시행하는 방식이다. 215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억세스 프로브(Access Probe)를 통한 접속이 성공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억세스 프로브를 통해 접속이 성공했는지의 여부는 상기 접속 요구에 대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응답 요구 메시지 수신 여부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상기 215 단계의 판단 결과, 억세스 프로브 접속 방식이 성공했으면, 이동 단말은 220 단계에서 NodeB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트래픽 상태(traffic state)로 전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215 단계의 판단 결과, 억세스 프로브 접속 방식이 성공하지 않았으면, 이동 단말은 225단계에서 접속을 요청한 최초의 시각으로부터 소요된 시간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과 비교한다. 상기 기준 시간은 상술한 억세스 프로브 방식 수행 횟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값이다.
상기 225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최초 호 접속 요구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이 만기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215 단계에서 상기 기준 시간이 만기되는 시점까지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225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최초 호 접속 요구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이 만기되었을 경우, 즉, 상기 기준 시간 내에 접속요구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단말은 230 단계에서 이종의 시스템 - 본 발명에서는 CDMA망 이라 가정함-인 BTS로부터 파일럿채널(pilot channel)을 통해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의 C/I(carrier to interference ratio)값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C/I 측 정 방법은 현재 서비스중인 통신망이 UMTS망인 경우, 컴프레스드 모드(compressed mode)를 사용하게 되며, 현재 서비스중인 망이 CDMA망이 경우는 주파수간 하드핸드오프(inter-frequency hard handoff)등 기존에 구현되어 있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23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C/I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기준값은 단말이 상기 BTS로부터 서비스 가능한 정도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235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C/I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BTS로부터의 서비스가 불가능한 것이므로 260 단계에서 이동 단말은 접속 요구를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235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C/I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240단계에서 이동 단말은 해당 BTS로 접근 채널을 통해 호 접속 요구를 하게 된다. 그 후, 이동 단말은 245 단계에서 상기 호 접속 요구에 대한 BTS로부터의 응답 메시지 수신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245 단계의 판단 결과,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이동 단말은 240 단계로 궤환하여 호 접속 요구를 재시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245단계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다시 240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225단계와 같이 "일정시간 경과"여부를 체크하는 동작이 필요할 것이며, 판단결과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다면 종료를 하거나 원래의 망(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UMTS망)으로 돌아가 호접속을 요구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245 단계의 판단 결과,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동 단말은 250단계에서 트래픽 상태로 전환하여 BTS와 서비스를 송수신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가 현재 서비 스중인 이동 통신망에서 제공하는 것보다는 다른 망에서 제공받는 것이 더 효율적인 경우 다른 망으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서비스를 받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하기의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에 따라 필요로 하는 데이터 전송률의 지원 여부에 따라 망을 전환하여 자동 재접속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나 그 외 서비스별 요금등에 따라 현재 지원되는 망을 전환하여 자동 재접속을 요구할 수도 있다.
300단계에서 단말은 NodeB와 아이들상태(idle state)에 있다. 상기 아이들 상태는 데이터나 음성이 전송되거나 세션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는 아니나, 필요시 호 접속을 통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상태이다. 305단계에서 이동 단말은 사용자로부터의 요구되거나, 전송하고자 하는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전송률이나 서비스 품질이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망에서 제공되는 전송률이나 서비스 품질로 서비스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305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망에서 요구된 전송률이나 서비스 품질로 서비스가 가능하다면, 이동 단말은 310단계에서 접근 채널을 통해 해당 NodeB로 호 접속 요구하여, 315 단계에서 NodeB로부터 서비스를 송수신 하게 된다. 상기 호 접속 요구를 하는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 305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서비스 받고 있는 망에서 요구된 전송률이나 서비스 품질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을 경우, 단말은 320단계에서 다른 망에서 상기 요구된 전송률이나 서비스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을 위해 필요한 정보는 단말기의 메모리 등에 미리 저장해두거나, 필요시마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거나, 단말에서 해당 기지국으로 직접 요청하여 획득될 수 있다. 먼저 기지국에서는 단말과 미리 약속된 소정의 레벨로 자신의 상태를 구분하여 단말측에 전송하게 된다. 즉, 기지국 자신이 제공할 수 있는 자원상태나 QoS상태, 또는 레이트 상태에 따라 소정의 레벨을 설정하고, 각각의 레벨에 인덱스를 부여한다. 따라서, 각각의 기지국은 자신의 상태를 판단하여 해당 그룹에 매핑된 인덱스값을 브로드캐스팅으로 단말에 제공하거나, 또는, 이러한 기지국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단말에 한해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과 기지국간 설정된 레벨은 기지국과 단말간에 약속된 상태라면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단말에서 요청한 서비스의 QoS에 따라 다양한 레벨값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320단계의 판단 결과, 다른 망에서도 요구된 전송률이나 서비스 품질로 서비스가 가능하지 않다면, 325단계에서 이동 단말은 현재 요구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거나, 요구된 서비스를 지원하더라도 그 서비스 품질이 저하됨을 단말기에 구비된 표시창등의 시각적 표시 수단 또는 스피커 등의 청각적 표시 수단을 통해 출력한다.
이 때, 이동 단말은 사용자에게 "서비스 계속?"등과 같은 질의 메시지를 동시에 출력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입력받게 되는데, 335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계속 요청 신호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335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계속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단말은 310단계로 호 접속 요구를 한후, 315 단계에서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그러나, 상기 335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계속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단말은 335 단계로 진행하여 호 접속 요구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320단계의 판단 결과, 다른 망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전송률이나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는 서비스가 제공되어 질수 있다면, 단말은 330단계에서 사용자에게 다른 망으로 접속중임을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고, 340단계에서 이종 망으로 호 접속 요구를 하게 된다. 그 후, 345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호 접속 요구의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즉,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응답 메시지 수신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345 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단말은 350 단계에서 상기 이종 시스템의 기지국과 트래픽 상태로 천이하여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그러나, 상기 345단계의 판단 결과, 호 접속 요구가 실패하게 된다면 즉,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아울러 355단계로 이동하여 호 접속요구를 종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둘 이상의 망들이 혼재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둘 이상의 망들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 단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여, 이동 단말이 현재 접속중인 망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지 못할 경우, 이종망으로의 서비스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현재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으 로부터의 서비스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통신망으로의 접속 전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둘 이상의 이종 통신망들과 접속 가능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종 통신망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복조 또는 변조하여 출력하는 모뎀부와,
    사용자로부터의 요구를 입력받거나, 외부로 청각적 또는 시각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모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또는 상기 신호 처리부로의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이종 통신망들 중 현재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요구되는 전송률 또는 서비스 품질로 서비스가 가능한 이종의 통신망과 해당 모뎀의 선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부는,
    상기 각각의 통신망들에 개별적으로 신호를 처리하는 모뎀들이 분리된 형태로 구성됨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접속한 통신망의 부하 정도에 따라 상기 사용 가능한 모뎀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4. 삭제
  5. 둘 이상의 이종의 이동 통신 시스템들이 혼재된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이 이종의 통신망으로 자동 재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호 접속 요구에 따라, 현재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으로 호 접속 요구를 시도하는 과정과,
    상기 호 접속이 실패하면, 이종의 통신망으로부터의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이종의 통신망으로 호 접속 요구를 수행하여 상기 이종의 통신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재접속 방법.
  6. 둘 이상의 이종의 이동 통신 시스템들이 혼재된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이 이종의 통신망으로 재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호 접속 요구에 따라, 현재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요구되는 전송률 또는 서비스 품질로 서비스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현재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요구되는 전송률 또는 서비스 품질로 서비스가 불가능할 경우, 상기 전송률 또는 서비스 품질로 서비스가 가능한 이종의 통신망으로 호 접속 요구를 수행하여 상기 이종의 통신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재접속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의 통신망이 요구되는 전송률 또는 서비스 품질로 서비스가 불가능할 경우, 사용자의 승인에 따라 상기 현재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을 통해 요구되는 전송률 또는 서비스 품질보다 낮은 전송률 또는 서비스 품질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재접속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으로 호 접속 요구가 실패하면, 상기 이종의 통신망으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이종의 통신 시스템으로 호 접속 요구를 수행하여 상기 이종의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재접속 방법.
KR1020040011685A 2004-02-21 2004-02-21 이종망으로 자동 접속하는 이동 단말 장치 및 방법 KR100689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685A KR100689448B1 (ko) 2004-02-21 2004-02-21 이종망으로 자동 접속하는 이동 단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685A KR100689448B1 (ko) 2004-02-21 2004-02-21 이종망으로 자동 접속하는 이동 단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088A KR20050083088A (ko) 2005-08-25
KR100689448B1 true KR100689448B1 (ko) 2007-03-08

Family

ID=3726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685A KR100689448B1 (ko) 2004-02-21 2004-02-21 이종망으로 자동 접속하는 이동 단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986B1 (ko) * 2007-11-15 2009-10-28 주식회사 케이티 로밍 망의 서비스 품질 제공 여부에 따라 제한된 데이터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및 그 방법
KR100978925B1 (ko) * 2007-11-29 2010-08-30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2003195B1 (ko) * 2011-08-11 2019-10-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429891B1 (ko) * 2012-12-11 2014-08-13 주식회사에어플러그 컨텐트 데이터에 대한 수신을 그 수신상태에 따라 적응시키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445A (ja) * 2000-04-26 2001-11-02 Sharp Corp ネットワーク接続自動切り替えシステム
KR20040014857A (ko) * 2002-08-12 2004-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대가 다른 이동통신 망 운용방법
KR20050018538A (ko) * 2003-08-12 200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의 이동통신망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
KR20050080884A (ko) * 2004-02-11 2005-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이동통신 시스템 사이의 핸드 오버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445A (ja) * 2000-04-26 2001-11-02 Sharp Corp ネットワーク接続自動切り替えシステム
KR20040014857A (ko) * 2002-08-12 2004-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대가 다른 이동통신 망 운용방법
KR20050018538A (ko) * 2003-08-12 200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의 이동통신망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
KR20050080884A (ko) * 2004-02-11 2005-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이동통신 시스템 사이의 핸드 오버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088A (ko) 200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0369C2 (ru) Способ выбора комбинаци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формата с гарантированным качеством обслуживания в системе подвижной связи
EP1969737B1 (en) Method for reading dynamic system information blocks
JP465144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機
TWI266550B (en) Wireless transmit receive unit having a transition state for transitioning from monitoring to duplex connected states and method
JP3349477B2 (ja) 移動体通信機、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話チャネル割当要求方法
US6493328B2 (en) Active set management in cellular wireless network that supports high data rate forward link transmissions
JP3602094B2 (ja) パケット交換トラフィックを中継する無線システムにおいて接続を確立する方法
US20020177466A1 (en) Call control for user equipment
US20020022487A1 (en) Method of selecting base transceiver system in communication system
WO1995025407A1 (en) Modem for packet and circuit switched communication
JP2001044932A (ja) 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7583969B2 (en) Method of communication
JP2004502362A (ja) 送信手順
JP2004523158A (ja) 無線スペクトラム使用法を改善し、パケットpsiステータスを提供する時にユーザデータ遅延を減少させる為の方法と装置
KR100556165B1 (ko) 통신 시스템, 그 통신 방법, 그 교환국 및 그 기지국제어국
CN100461874C (zh) 无线存取承载管理器实施架构及封包数据收敛协议方法
EP1028597A2 (en) Communica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
KR10034634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트랜스코더의 스위칭시 동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689448B1 (ko) 이종망으로 자동 접속하는 이동 단말 장치 및 방법
US70798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supplementary services with a multi-mode wireless device
KR100754648B1 (ko) 이종 이동통신 시스템 사이의 핸드 오버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0341735A (ja) 移動通信端末装置
EP1754388A1 (en) Cell update message indicating whether user data or control data is transmitted uplink, and respective procedures for handling these two types of data
US20030007474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
KR100976494B1 (ko) 이동 통신용 단말기를 이용한 트래픽 전송 채널의 서비스수준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