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730B1 - Elevator equipment - Google Patents

Elevator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730B1
KR100688730B1 KR1020047016333A KR20047016333A KR100688730B1 KR 100688730 B1 KR100688730 B1 KR 100688730B1 KR 1020047016333 A KR1020047016333 A KR 1020047016333A KR 20047016333 A KR20047016333 A KR 20047016333A KR 100688730 B1 KR100688730 B1 KR 100688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weight
hoisting
elevator
hoistway
main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3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99438A (en
Inventor
하시구치나오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9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4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7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ounter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로(1)내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카(4)와 균형추(3)가 메인 로프(9)에 의해 현가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메인 로프(9)가 감겨지고, 엘리베이터 카(4) 및 균형추(3)를 구동하는 권상 장치(10)를 구비한 것이다. 권상 장치(10)는 메인 로프(9)가 감겨진 구동 시브(12)와 이 구동 시브(12)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13)로 이루어지는 권상기(11)를 적어도 2대 구비하며, 이중 적어도 1대가 균형추(3)에 탑재된 것이다. 그리고, 권상 장치(10)에 사용되는 권상기(11)는 모두 균형추(3)에 탑재되어 있다. 혹은, 권상 장치(10)의 권상기(11)중, 적어도 다른 1대가 승강로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Figure 112004046274720-pct0000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car 4 and the counterweight 3, which elevate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in the opposite directions, are suspended by the main rope 9, and the main rope 9 is wound, It is provided with the hoisting apparatus 10 which drives the elevator car 4 and the counterweight 3. The hoisting apparatus 10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hoisting apparatuses 11 which consist of the drive sheave 12 in which the main rope 9 was wound, and the electric motor 13 which rotationally drives this drive sheave 12, At least 1 The stem is mounted on the counterweight 3. And all the hoisting machines 11 used for the hoisting apparatus 10 are mounted in the counterweight 3. Or at least another one of the hoisting machines 11 of the hoisting apparatus 10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a hoistway.

Figure 112004046274720-pct00001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EQUIPMENT} Elevator device {ELEVATOR EQUIPMENT}             

본 발명은 권상 장치(hoisting device)를 이용한 로프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균형추(counterweight)에 권상 장치가 탑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 type elevator apparatus using a hoi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 hoisting device is mounted on a counterweight.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의 필요 공간을 될 수 있는 한 저감할 목적으로, 균형추의 프레임체내에 수납되는 박형의 권상기를 균형추에 탑재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사용되는 권상기로서는, 일반적으로 박형으로서 비교적 용량이 큰 전동기가 요구되기 때문에, 권상기의 구동 시브의 회전축과 동축상에 로터(rotor)의 회전축이 배치된 전동기로서, 영구 자석을 이용한 축방향 갭형(axial gap type), 또는 반경방향 갭형(radial gap type)의 전동기가 채용되고 있다. 여기서, 축방향 갭형의 전동기는 스테이터(stator)와 로터가 공기 갭(air gap)을 거쳐서 로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것이고,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5-137963 호 공보에는 이 축방향 갭형의 전동기를 사용한 권상기가 균형추에 탑재된 엘리베이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쪽의 반경방 향 갭형의 전동기는 스테이터와 로터가 공기 갭을 거쳐서 로터의 회전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것이고, 종래부터 이 반경방향 갭형의 전동기도 권상기에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necessary space in the hoistway of an elevator as much as possible,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mounted on the counterweight the thin hoisting machine accommodated in the frame body of a counterweight is already proposed. As the hoisting machine used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is generally required to have a relatively large electric motor with a thin shape, a motor using a permanent magnet as a motor in which a rotational shaft of a rotor is disposed coaxially with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ive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An axial gap type or radial gap type electric motor is employed. Here, the axial gap motor has a stator and a rotor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of the rotor via an air gap,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995-137963 discloses this axial gap type. An elevator apparatus is disclosed in which a hoist using an electric motor is mounted on a counterweight. In one radial gap type motor, the stator and the rotor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rotor via an air gap, and this radial gap type motor is also conventionally used in a hoisting machine.

이상과 같은 균형추에 권상기가 탑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elevator car)의 적재 중량을 보다 크게 한 엘리베이터, 즉 대용량의 엘리베이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권상기를 대형화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권상기에 사용되는 전동기의 토크를 크게 하려고 하면, 축방향 갭형의 전동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스테이터와 로터의 공기 갭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대응하지만, 그 결과 전동기가 대구경이 되고, 그에 따라 로터를 지지하는 베어링도 커지므로 로터의 회전축 방향의 전동기의 두께도 동시에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권상기의 외형, 즉 직경 방향의 치수 및 권상기의 구동 시브 회전축 방향의 두께가 커지게 된다. 또한, 또 한쪽의 반경방향 갭형의 전동기에 있어서, 권상기에 사용되는 전동기의 토크를 크게 하려고 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로터와 스테이터를 로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두껍게 함으로써 대응한다. 따라서, 권상기는 구동 시브의 회전축 방향의 두께가 커지게 된다.In 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the hoisting machine is mounted on the balance weight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hoisting machine in order to realize an elevator having a larger loading weight of an elevator car, that is, a large-capacity elevator. In this case, when the torque of the motor used in the hoisting machine is to be increased, the axial gap type motor generally responds by increasing the air gap diameter of the stator and the rotor, but as a result, the motor becomes a large diameter, thereby bearing the rotor. The larger the motor, the larger the thickness of the motor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of the rotor. Therefore, the outer shape of the hoist, that is, the dimension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thickness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 sheave axis of the hoist become large. In addition, in another radial gap type motor, when the torque of the motor used for the hoisting machine is to be increased, the rotor and the stator are generally thicken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rotor. Thus, the hoist has a large thickness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sheave.

이상과 같이, 축방향 갭형, 또는 반경방향 갭형중 어떤 방식의 전동기를 이용하여도, 엘리베이터의 대용량화에 대응시켜서 권상기의 토크를 크게 하려고 하면, 권상기가 대형화함으로써, 균형추의 프레임체의 폭을 확대하지 않으면 전부 수납될 수 없게 되어버린다. 그 결과,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을 증대하는 것으로 되어, 승강로의 필요 공간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even when an axial gap type or a radial gap type electric motor is used, if the torque of the hoisting machine is to be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the capacity of the elevator, the hoisting machine becomes large, so that the width of the frame body of the counterweight is not expanded. If not, everything will not be stored.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horizontal projected area of the hoistway was increased, and the required space of the hoistway increased.

더욱이, 균형추의 프레임체내에 1대의 권상기를 배치한 경우에, 엘리베이터 용량의 증대에 대응시키려고 하면, 각각의 용량의 영역에 맞추어진 사이즈의 권상기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소용량 영역으로부터 대용량 영역까지를 1종류의 권상기로 대응하려고 하면, 모든 영역에 대응할 수 있는 대용량으로 고가인 대형의 권상기로 통일할 필요가 있어, 불합리하다.Furthermore, in the case where one hoist is disposed in the frame of the counterweight, it is necessary to have a hoist of a size that is adapted to the area of each of the capacity to cope with an increase in the elevator capacity. Moreover, if one type of hoisting machine is to cope with the small-capacity area to the large-capacity area, it is necessary to unify it as a large-capacity large-size hoist that can cope with all areas, which is unreasonabl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균형추에 권상기가 탑재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의 증대, 즉 건물에 필요한 승강로 공간의 증대를 가져오는 일없이, 엘리베이터 대용량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an elevator equipped with a hoisting machine in a counterweigh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n increase in the elevator capacity without increasing the horizontal projection area of the hoistway, that is, the hoistway space required for the build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device.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승강로내를 엘리베이터 카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와,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를 현가하는 메인 로프(main rope)를 구비하며, 메인 로프가 감겨진 권상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가 구동된다. 이 권상 장치에 사용되는 권상기는 메인 로프가 감겨진 구동 시브와 이 구동 시브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권상 장치는 이 권상기를 적어도 2대 구비하여, 이 중 적어도 1대가 균형추에 탑재된 것이다.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vator car for elevating the inside of a hoistway, a balance weight for elev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levator car, and a main rope for suspending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The elevator car and the balancing weight are driven by the hoisting device. The hoist used for this hoisting apparatus consists of a drive sheave in which the main rope is wound, and an electric motor for rotating the drive sheave. And the hoisting apparatus is equipped with at least 2 this hoisting machine, and at least 1 of these is mounted on a counterweight.

또한, 권상 장치에 사용되는 권상기는 모두 균형추에 탑재된 것으로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hoist used for the hoisting apparatus is comprised as what was mounted in the counterweight.

또한, 권상 장치의 권상기중, 적어도 다른 1대가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것으 로서 구성된다.Moreover, at least another one of the hoisting machines of the hoisting apparatus is comprised as an upper part of a hoistway.

이상과 같은 발명에 따르면,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의 증대, 즉 건물에 필요한 승강로 공간의 증대를 가져오는 일없이, 엘리베이터 대용량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사양의 권상기를 복수대 사용하여 구성하면, 권상기의 대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소용량 영역으로부터 대용량 영역까지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용이하게 시리즈화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n elevator capable of coping with an increase in elevator capacity can be configured without increasing the horizontal projection area of the hoistway, that is, the hoistway space required for the building. If a plurality of hoisting machines having the same specification are used, the number of hoisting machines can be adjusted, and the series can be easily performed for elevators from the small capacity area to the large capacity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5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6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 면,7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7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어, 그 중복 설명은 적절하게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In order to demonstrate this invention in more detail, this is demonstrated according to attached drawing. In addition, in each figur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 and the duplication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or abbreviate | omitted suitably.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입면도를 전개하여, 엘리베이터 메인 로프에 의해 현가된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가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 장치에 의해 구동되어서 승강로내를 승강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of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and expands the elevation which looked at the elevator apparatus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istway, and puts it on the elevator car and the balance weight which were suspended by the elevator main rope. It is a conceptual diagram which shows the shape driven by the mounted hoisting apparatus, and elevating the inside of a hoistway.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이며, 본 도면은 주로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 장치의 배치, 및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디플렉터 시브(deflector sheave), 메인 로프의 배치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FIG. 2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in FIG. 1, and this figure is a deflector sheave mainly for use a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hoisting apparatus mounted on the counterweight and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The illustration of the main rope is omitted.

도 1, 도 2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한쌍의 균형추용 가이드 레일(2)과 다른 한쌍의 엘리베이터 카용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3)는 균형추용 가이드 레일(2)로 안내되어서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엘 리베이터 카(4)는 엘리베이터 카용 가이드 레일로 안내되어서 균형추(3)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4)에는 출입구 도어(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출입구 도어(5)를 갖는 일면을 카(4)의 정면으로 한다. 균형추(3)는 엘리베이터 카(4)의 정면과 대향하는 카(4)의 배면과 승강로(1)의 벽면(1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균형추(3)는 엘리베이터 카(4)의 정면과 직교하는 카(4)의 양측면중 어느 하나와 승강로(1)의 벽면(1a)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1 and 2,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2 and a pair of elevator car guide rails (not shown)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respectively. The counterweight 3 is guided by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2 and ascends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The elevator car 4 is guided by the guide rail for the elevator car and moves up and down in the hoistway 1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ounterweight 3. In addition, the doorway door 5 is provided in the elevator car 4, and one surface which has this doorway door 5 is made into the front of the car 4. As shown in FIG. The counterweight 3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car 4 which opposes the front of the elevator car 4, and the wall surface 1a of the hoistway 1.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counterweight 3 may be arrange | positioned between any on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car 4 orthogonal to the front of the elevator car 4, and the wall surface 1a of the hoistway 1. As shown in FIG.

다음에, 엘리베이터 메인 로프(9)가 감겨지고, 엘리베이터 카(4) 및 균형추(3)를 구동하는 권상 장치(10)가 균형추(3)에 탑재되어 있다. 권상 장치(10)는 2대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2대의 권상기(11)로 분담하고 있다. 각각의 권상기(11)는 메인 로프(9)가 감겨진 구동 시브(12)와 이 구동 시브(12)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13)를 갖고, 외경 방향의 치수(C)에 비하여 구동 시브(12)의 회전축 방향의 두께(D)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Next, the elevator main rope 9 is wound, and the hoisting apparatus 10 which drives the elevator car 4 and the counterweight 3 is mounted in the counterweight 3. The hoisting apparatus 10 is comprised using two hoisting machines 11, and shares the torque required for driving of an elevator with two hoisting machines 11. Each hoist 11 has a drive sheave 12 in which a main rope 9 is wound and an electric motor 13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drive sheave 12, and a drive sheave ( The thickness D of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12) is formed small.

다음에,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균형추(3)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카(4)와 벽면(1a)의 간극 방향으로 짧고, 카(4)의 폭 방향으로 긴 장방형 단면을 갖고, 더구나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방체의 외형을 갖고 있다. 즉, 균형추(3)는, 승강로(1)의 수평 투영면상에 있어서, 될 수 있는 한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균형추(3)의 외형은 프레임체에 의해 구성되고, 프레임체내의 하부에 균형추용 추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도 1(이하의 도면도 동일)에 있어서 도시하는 균형추(3)에서는, 균형추용 추의 도시는 생략하고, 도면중의 균형추(3)의 외형은 프레임체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1의 권상 장치(10)는, 승강로(1)의 수평 투영면상에 있어서의 균형추(3)의 세로 방향의 치수(A)[본 발명에서는, 균형추(3)의 횡폭(A)이라고도 칭함]를 확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2대의 권상기(11)가 수직 방향으로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또한, 권상 장치(10)는, 상기 치수(A)에 직교하는 세로 방향의 치수(B)[본 발명에서는, 균형추(3)의 두께(B)라고도 칭함]를 확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권상기(11)의 두께 방향을 균형추(3)의 세로 방향과 부합하도록 하여 균형추(3)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권상 장치(10)는 동일 사양의 권상기를 2대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Next, the two winding machines 11 are mounted in the frame body constitut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counterweight 3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in general, the counterweight 3 has a cross-sectional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hort in the gap direction between the car 4 and the wall surface 1a, and the width of the car 4. It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long in a direction, and also has the external shap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med long in a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counterweight 3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occupy as much space as possible on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Moreover, the external shape of the counterweight 3 is comprised by the frame body, and the counterweight 3 is further mounted in the lower part in a frame body. In addition, in the counterweight 3 shown in FIG. 1 (similar figure below), illustration of the counterweight weight is abbreviate | omitted, and the external shape of the counterweight 3 in the figure has shown the external shape of the frame body. Therefore, the hoisting apparatus 10 of this Embodiment 1 is the dimension A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nterweight 3 on the horizont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in this invention, the horizontal width A of the counterweight 3). In order not to enlarge], the two hoist 11 is mounted so that it may overlap in a vertical direction. Moreover, the hoisting apparatus 10 does not enlarge the dimension B (it is also called thickness B of the balance weight 3 in this invention) orthogonal to the said dimension A in order to prevent it from expanding. It is mounted on the counterweight 3 so that the thickness direction of 11) may match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nterweight 3. In addition, in the present Example 1, the hoisting apparatus 10 is comprised using two hoisting machines of the same specification.

다음에, 메인 로프(9)는 양단부가 함께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메인 로프(9)의 일단부는 승강로(1) 상부를 기점으로 2대의 권상기(11)에 순차로 감겨진 후, 권상기(11)로의 메인 로프(9)의 권취량을 증대할 목적으로 균형추(3)에 탑재된 균형추용 디플렉터 시브(8)에 감겨지고, 상승하여 승강로(1) 상부에 설치된 2개의 승강로 상부 디플렉터 시브(7)에 감겨져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4)의 하방에 설치된 한쌍의 카용 현수 시브(suspension sheave)(6)에 순차로 감겨지고, 다시 상승하여 메인 로프(9)의 타단부가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복수개의 로프로 구성되는 메인 로프(9)는 단일의 경로만을 갖 고 있어, 2대의 권상기(11)에 연속하여 감겨져 있다.Next, both ends of the main rope 9 ar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and one end of the main rope 9 is sequentially wound on two hoisting machines 11 start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 The upper part of the two hoisting tracks wound on the deflector sheave 8 for the counterweight mounted on the counterweight 3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winding amount of the main rope 9 to the hoisting machine 11 and installed on the hoistway 1. It is wound around the deflector sheave 7. Then, it is sequentially wound on a pair of suspension sheaves 6 for a car provided below the elevator car 4,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rope 9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by rising again. . In addition, in the present Example 1, the main rope 9 which consists of several rope has only a single path | route, and it is wound up by two winding machines 11 continuously.

이상의 실시예 1에 의하면, 권상 장치(10)는 권상기(11)를 2대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2대의 권상기(11)에서 분담할 수 있다.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적재 중량을 보다 크게 한 엘리베이터, 즉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하기 위해서, 1대의 권상기에서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얻기 위해서는 권상기를 크게 할 필요가 있었지만,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 1의 권상 장치(10)에서는 각각의 권상기(11)의 외형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이로써, 반경방향 갭형의 전동기(13)를 사용하는 권상기(11)에서는, 구동 시브(12)의 회전축 방향의 두께(D)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균형추(3)의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축방향 갭형의 전동기(13)를 사용한 권상기(11)에서는, 외경 방향의 치수(C) 및 권상기의 구동 시브 회전축 방향의 두께(D)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어떠한 형식의 전동기(13)를 사용한 권상 장치(10)에서도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을 증대하는 일없이, 용량을 크게 한 엘리베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1, since the hoisting apparatus 10 is comprised using two hoisting machines 11, the torque required for driving of an elevator can be shared by two hoisting machines 11. Conventionally, in order to cope with an elevator having a larger loading weight of an elevator car, that is, a large-capacity elevator, it was necessary to increase the hoisting machine in order to obtain the torque required for driving the elevator with one hoisting machine. In the hoisting apparatus 10, it is not necessary to enlarge the external shape of each hoist 11. Moreover, the two hoisting machines 11 are mounted in the frame body of the counterweight 3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in the hoisting machine 11 using the radial gap-type electric motor 13, the increase of the thickness D of the drive sheave 12 in the rotating shaft direction can be suppressed, and the thickness B of the counterweight 3 is reduced. There is no need to zoom in. Moreover, in the hoisting machine 11 using the axial gap-type electric motor 13, the increase in the dimension C of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 of the drive sheav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hoisting machine can be suppressed, and the balance weight 3 of There is no need to enlarge the width A and the thickness B. Therefore, even in the hoisting apparatus 10 using the electric motor 13 of any form, it can respond to the elevator which enlarged the capacity, without increasing the horizontal projection area of a hoistway.

또한, 권상 장치(10)의 2대의 권상기(11)를 동일 사양의 권상기(11)로 함으로써, 권상기(11)의 생산성, 장착성이 향상한다.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용량을 더욱 크게 할 경우에는, 권상 장치(10)에 사용하는 동일 사양의 권상기(11)의 대수를 증대함으로써 대응이 가능해진다. 즉, 권상기(11)의 대수를 조정함으로써, 소 용량 영역으로부터 대용량 영역까지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용이하게 시리즈화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Moreover, productivity and mounting property of the hoist 11 are improved by using two hoist 11 of the hoisting apparatus 10 as the hoist 11 of the same specification. Therefore, when increasing the capacity of an elevator, it becomes possible to respon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hoist 11 of the same specification used for the hoisting apparatus 10. FIG. That is,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hoisting machines 11, it becomes possible to easily perform series formation on the elevator from the small capacity area to the large capacity area.

실시예 2Example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입면도를 전개하여, 메인 로프에 의해 현가된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가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 장치에 의해 구동되어서 승강로내를 승강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elevatio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viewed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istway, and is mounted on the elevator car and the balance weight suspended by the main rope. It is a conceptual diagram which shows the shape which is driven by the hoisting apparatus, and is elevating in a hoistway.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2대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된 권상 장치(10)가 균형추(3)에 탑재되어 있고,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도,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도록, 2대의 권상기(1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로프(9)는 단일의 경로만을 갖고 있어, 2대의 권상기(11)에 연속하여 감겨져 있다.As shown in FIG. 3, in the present Example 2, similarly to Example 1, the hoisting apparatus 10 comprised using the two hoist 11 was mounted in the counterweight 3, and the two hoist 11 ) Are mounted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frame body of the counterweight 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also in this case, two hoist 11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enlarge the width | variety A and thickness B of the counterweight 3. And the main rope 9 has only a single path | route, and it is wound up by two winding machines 11 in succession.

여기서, 본 실시예 2에서는, 권상기(11)의 구동 시브로의 메인 로프(9)의 권취방향과 그에 따른 균형추용 디플렉터 시브(8)의 배치만이 실시예 1과 상이하다. 즉, 실시예 1에서는, 승강로(1) 상부에 일단부가 고정된 메인 로프(9)가 2대의 권상기(11)에 순차로 감겨진 후에, 균형추용 디플렉터 시브(8)가 배치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 2에서는, 메인 로프(9)의 경로상에서의 2대의 권상기(11)의 사이에 균형추용 디플렉터 시브(8)가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균형추용 디플렉 터 시브(8)의 배치 장소를 변경함으로써, 균형추(3)에 권상기(11)를 장착할 때의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권상 장치(10)의 배치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그 동작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 부분에 동일하게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 in the second embodiment, only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main rope 9 to the drive sheave of the hoist 11 and the arrangement of the deflector sheave 8 for balance weight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in Example 1, after the main rope 9 in which one end part was fixed to the hoistway 1 was wound up in turn by the two hoist 11, the deflector sheave 8 for balance weights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resent Example 2, the deflector sheave 8 for balance weights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wo hoisting machines 11 on the path | route of the main rope 9. As shown in FIG. In this way, by changing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counterweight deflector sheave 8, according to the situation when the hoist 11 is attached to the counterweight 3, the appropriate placement position of the hoisting apparatus 10 can be selected. . Sinc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its operation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상의 실시예 2에 있어서도, 권상 장치(10)는 권상기(11)를 2대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어,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2대의 권상기(11)에서 분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하기 위해서 각각의 권상기(11)의 외형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축방향 갭형, 또는 반경방향 갭형중 어떠한 형식의 전동기(13)를 사용한 권상 장치(10)에서도,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을 증대하는 일없이, 용량을 크게 한 엘리베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Also in the above Example 2, the hoisting apparatus 10 is comprised using two hoisting machines 11, and can share the torque required for driving of an elevator with the two hoisting machines 11.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a large-capacity elevator, it is not necessary to enlarge the external shape of each hoist 11. Moreover, the two hoisting machines 11 are mounted in the frame body of the counterweight 3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even in the hoisting apparatus 10 using the electric motor 13 of any type of an axial gap type or a radial gap type, it becomes unnecessary to enlarge the width | variety A and thickness B of the counterweight 3,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n elevator having a larger capacity without increasing the horizontal projection area of the hoistway.

그밖에, 실시예 1에서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effects as those obtained in Example 1 are obtained.

실시예 3Example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입면도를 전개하여, 메인 로프에 의해 현가된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가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 장치에 의해 구동되어서 승강로내를 승강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elevatio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viewed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istway, mounted on an elevator car and a balance weight suspended by a main rope. It is a conceptual diagram which shows the shape which is driven by the hoisting apparatus, and is elevating in a hoistway.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1 및 2와 마찬가지 로, 2대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된 권상 장치(10)가 균형추(3)에 탑재되고 있고,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도,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도록, 2대의 권상기(11)가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in this Embodiment 3, similarly to Embodiment 1 and 2, the hoisting apparatus 10 comprised using the two hoisting machines 11 is mounted in the counterweight 3, The hoist 11 is mounted so that it does not overlap with each other in the frame body of the counterweight 3 in a horizontal direction, but overlaps in a vertical direction. That is, also in this case, two hoist 11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enlarge the width | variety A and thickness B of the counterweight 3.

다음에, 본 실시예 3에서 사용되는 메인 로프(9)는 각각이 복수개의 로프로 구성된 2세트의 메인 로프 유닛(9a, 9b)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로프 유닛(9a)은 일단부가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고 있고, 2대의 권상기(11)중 한쪽의 권상기(11)에 감겨지고, 승강로 상부측 디플렉터 시브(7)에 이른다. 그리고, 2개의 승강로 상부측 디플렉터 시브(7)에 감겨진 후, 엘리베이터 카(4)의 하방에 설치된 한쌍의 카용 현수 시브(6)에 순차로 감겨지고, 다시 상승하여 타단부는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 한쪽의 메인 로프 유닛(9b)은 메인 로프 유닛(9a)과 동일하게 일단부가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지만, 다음에 2대의 권상기(11)중 내부의 다른쪽 권상기(11)에 감겨져 있다. 그 이후의 경로는 메인 로프 유닛(9a)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2세트의 메인 로프 유닛(9a, 9b)은 병렬로 장착되어 있고, 서로 다른 권상기에 감겨져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그 동작은 실시예 1 등과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 부분에 동일하게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main rope 9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consists of two sets of main rope units 9a and 9b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opes. One end of the main rope unit 9a is fixed to the hoistway 1, and is wound around one hoist 11 of two hoisters 11 to reach the hoistway upper deflector sheave 7. Then, after being wound on the two elevator upper side deflector sheaves 7, they are sequentially wound on a pair of car suspension sheaves 6 provided below the elevator car 4, and the other end is elevated again to raise the other end of the elevator 1. It is fixed at the top. The other main rope unit 9b has one end fixed to the hoistway 1 in the same way as the main rope unit 9a, but is then wound around the other one of the two hoist 11 inside the hoist 11. have. Since the path after that is the same as the main rope unit 9a,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herefore, the two sets of main rope units 9a and 9b are mounted in parallel and wound around different winding machines. Sinc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its operation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상의 실시예 3에 있어서도, 권상 장치(10)는 권상기(11)를 2대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어,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2대의 권상기(11)에서 분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하기 위해서 각각의 권상기(11)의 외형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축방향 갭형, 또는 반경방향 갭형중 어떠한 형식의 전동기(13)를 사용하는 권상 장치(10)에서도,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을 증대하는 일없이, 용량을 크게 한 엘리베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Also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3, the hoisting apparatus 10 is comprised using two hoisting machines 11, and can share the torque required for driving of an elevator with the two hoisting machines 11.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a large-capacity elevator, it is not necessary to enlarge the external shape of each hoist 11. Moreover, the two hoisting machines 11 are mounted in the frame body of the counterweight 3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even in the hoisting apparatus 10 which uses the electric motor 13 of any type of an axial gap type | mold or a radial gap type | mold, it becomes unnecessary to enlarge the width | variety A and thickness B of the counterweight 3.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n elevator having a larger capacity without increasing the horizontal projection area of the hoistway.

그밖에, 실시예 1 등에서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effects as those obtained in Example 1 are exhibited.

실시예 4Example 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입면도를 전개하여, 메인 로프에 의해 현가된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가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 장치에 의해 구동되어서 승강로내를 승강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elevatio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viewed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istway, mounted on an elevator car and a balance weight suspended by a main rope. It is a conceptual diagram which shows the shape which is driven by the hoisting apparatus, and is elevating in a hoistway.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4에서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2대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된 권상 장치(10)가 균형추(3)에 탑재되고 있고,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도,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도록, 2대의 권상기(1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 4에서 사용되는 메인 로프(9)도, 실시예 3과 동일한 것이므로, 각각이 복수개의 로프로 구성된 2세트의 메인 로프 유닛(9a, 9b)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5, in this Embodiment 4, similarly to Example 3, the hoisting apparatus 10 comprised using the two hoist 11 was mounted in the counterweight 3, and the two hoist 11 ) Are mounted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frame body of the counterweight 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also in this case, two hoist 11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enlarge the width | variety A and thickness B of the counterweight 3. Since the main rope 9 used in the fourth embodiment is also the same as the third embodiment, the main rope 9 is composed of two sets of main rope units 9a and 9b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pes.

여기서, 본 실시예 4에서는, 한쪽의 메인 로프 유닛(9a)의 경로상에 균형추용 디플렉터 시브(8)를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실시예 3과 상이하다. 이렇게 하여, 균형추용 디플렉터 시브(8)를 사용함으로써, 수평 방향에서의 메인 로프(9)의 승강로(1) 상부의 고정 위치, 및 균형추(3)내의 권상기(11)의 탑재 위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그 동작은, 실시예 1 등과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 부분에 동일하게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 the fourth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third embodiment in that a deflector sheave 8 for balance weight is used on the path of one main rope unit 9a. By using the deflector sheave 8 for counterweight in this way, the freedom degree of the fixed posi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of the main rope 9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oist 11 in the counterweight 3 is raised. Can be. The other configurations and their ope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like, and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상의 실시예 4에 있어서도, 권상 장치(10)는 권상기(11)를 2대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어,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2대의 권상기(11)에서 분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하기 위해서 각각의 권상기(11)의 외형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축방향 갭형, 또는 반경방향 갭형중 어떠한 형식의 전동기(13)를 사용한 권상 장치(10)에서도,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을 증대하는 일없이, 용량을 크게 한 엘리베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Also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4, the hoisting apparatus 10 is comprised using two hoisting machines 11, and can share the torque required for driving of an elevator with the two hoisting machines 11.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a large-capacity elevator, it is not necessary to enlarge the external shape of each hoist 11. Moreover, the two hoisting machines 11 are mounted in the frame body of the counterweight 3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even in the hoisting apparatus 10 using the electric motor 13 of any type of an axial gap type or a radial gap type, it becomes unnecessary to enlarge the width | variety A and thickness B of the counterweight 3,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n elevator having a larger capacity without increasing the horizontal projection area of the hoistway.

그밖에, 실시예 1 등에서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effects as those obtained in Example 1 are exhibited.

실시예 5Example 5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입면도를 전개하여, 메인 로프에 의해 현가된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가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 장치에 의해 구동되어서 승강로내를 승강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elevatio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viewed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istway, mounted on an elevator car and a balance weight suspended by a main rope. It is a conceptual diagram which shows the shape which is driven by the hoisting apparatus, and is elevating in a hoistway.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5에서는, 실시예 1 내지 4와 마찬가지로, 2대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된 권상 장치(10)가 균형추(3)에 탑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 5에서는, 이상의 실시예 1 내지 4와 상이하고,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만,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도록 탑재되어 있다. 즉, 2대의 권상기(11)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in the fifth embodiment, similarly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the hoisting device 10 constructed by using two hoisting machines 11 is mounted on the counterweight 3. However, in the fifth embodiment, unlike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two hoists 11 are mounted so as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frame body of the counterweight 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not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at is, two hoisting machines 11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다음에, 본 실시예 5에서 사용되는 메인 로프(9)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단일의 경로만을 갖고, 메인 로프(9)의 경로상에서의 2대의 권상기(11) 사이에 균형추용 디플렉터 시브(8)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로프(9)는 일단부가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한쪽의 권상기(11), 균형추용 디플렉터 시브(8), 다른쪽의 권상기(11)의 순으로 연속하여 감겨지고, 승강로 상부측 디플렉터 시브(7)에 이른다. 그리고, 2개의 승강로 상부측 디플렉터 시브(7)에 감겨진 후, 엘리베이터 카(4)의 하방에 설치된 한쌍의 카용 현수 시브(6)에 순차로 감겨지고, 다시 상승하여 타단부는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그 동작은, 실시예 1 등과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 부분에 동일하게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Next,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main rope 9 used in the fifth embodiment has only a single path, and deflector sheaves for balance weights between two hoisting machines 11 on the path of the main rope 9. (8) is arrange | positioned. One end of the main rope 9 is fixed to the hoistway 1, and is continuously wound in the order of one hoist 11, the deflector sheave 8 for balance weights, and the other hoist 11, It reaches the upper side deflector sheave 7 of a hoistway. Then, after being wound on the two elevator upper side deflector sheaves 7, they are sequentially wound on a pair of car suspension sheaves 6 provided below the elevator car 4, and the other end is elevated again to raise the other end of the elevator 1. It is fixed at the top. The other configurations and their ope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like, and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상의 실시예 5에 의하면, 권상 장치(10)는 권상기(11)를 2대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2대의 권상기(11)에서 분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하기 위해서 각각의 권상기 (11)의 외형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또한, 2대의 권상기(11)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하면, 균형추(3)의 횡폭(A)은 증대하지만,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의 쓸데없는 간극을 저감한 배치가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시켜서 권상기(11)의 대수를 더욱 증대한 경우에, 균형추(3)의 수직 방향의 치수(E)의 증대를 크게 억제할 수 있어,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로의 권상기(11)의 배치에 있어서 용적 효율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since the hoisting apparatus 10 is configured using two hoisting machines 11, the two hoisting machines 11 can share the torque required for driving the elevator.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a large-capacity elevator, it is not necessary to enlarge the external shape of each hoist 11. In addition, since the two hoisting machines 11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width A of the counterweight 3 increases compared with the other embodiments 1 to 4, but in the frame body of the counterweight 3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asteful ga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number of the hoisting machines 11 is further increased in correspondence with a large capacity elevator, the increase of the dimension E of the counterweight 3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largely suppressed, and the inside of the frame body of the counterweight 3 is reduced. It becomes possible to make volumetric efficiency favorable in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hoist 11 of a furnace.

그밖에, 실시예 1 등에서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effects as those obtained in Example 1 are exhibited.

실시예 6Example 6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입면도를 전개하여, 메인 로프에 의해 현가된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가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 장치에 의해 구동되어서 승강로내를 승강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levator apparatus is mounted on an elevator car and a balance weight suspended by a main rope by developing an elevatio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viewed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istway. It is a conceptual diagram which shows the shape which is driven by the hoisting apparatus, and is elevating in a hoistway.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6에서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2대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된 권상 장치(10)가 균형추(3)에 탑재되어 있고,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만,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도록 탑재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in this Embodiment 6, similarly to Example 5, the hoisting apparatus 10 comprised using the two hoist 11 was mounted in the counterweight 3, and the two hoist 11 ) Overlap each other in the frame body of the counterweight 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not in the vertical direction.

다음에, 본 실시예 6에서 사용되는 메인 로프(9)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각각이 복수개의 로프로 구성된 2세트의 메인 로프 유닛(9a, 9b)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로프 유닛(9a)은 일단부가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2대의 권상기 (11)중 한쪽의 권상기(11)에 감겨지고, 승강로 상부측 디플렉터 시브(7)에 이른다. 그리고, 2개의 승강로 상부측 디플렉터 시브(7)에 감겨진 후, 엘리베이터 카(4)의 하방에 설치된 한쌍의 카용 현수 시브(6)에 순차로 감겨지고, 다시 상승하여 타단부는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 한쪽의 메인 로프 유닛(9b)은, 메인 로프 유닛(9a)과 마찬가지로, 일단부가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지만, 다음에 2대의 권상기(11)중 내부의 다른쪽 권상기(11)에 감겨져 있다. 그 이후의 경로는 메인 로프 유닛(9a)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2세트의 메인 로프 유닛(9a, 9b)은 병렬로 장착되어 있고, 서로 다른 권상기에 감겨져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그 동작은, 실시예 1 등과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 부분에 동일하게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Next, 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main rope 9 used in the sixth embodiment is composed of two sets of main rope units 9a and 9b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pes. One end of the main rope unit 9a is fixed to the hoistway 1, and is wound around one hoist 11 of two hoisters 11 to reach the hoistway upper deflector sheave 7. Then, after being wound on the two elevator upper side deflector sheaves 7, they are sequentially wound on a pair of car suspension sheaves 6 provided below the elevator car 4, and the other end is elevated again to raise the other end of the elevator 1. It is fixed at the top. Similarly to the main rope unit 9a, one of the main rope units 9b is fixed at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but is then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two hoist 11 inside the hoist 11. It is wound. Since the path after that is the same as the main rope unit 9a,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herefore, two sets of main rope units 9a and 9b are mounted in parallel and wound around different hoisting machines. The other configurations and their ope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like, and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상의 실시예 6에 의하면, 권상 장치(10)는 권상기(11)를 2대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2대의 권상기(11)에서 분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하기 위해서 각각의 권상기(11)의 외형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또한, 2대의 권상기(11)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하면, 균형추(3)의 횡폭(A)은 증대하지만,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의 쓸데없는 간극을 저감한 배치가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시켜서 권상기(11)의 대수를 더욱 증대한 경우에, 균형추(3)의 수직 방향의 치수(E)의 증대를 크게 억제할 수 있어,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로의 권상기(11)의 배치에 있어서 용적 효율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since the hoisting apparatus 10 is configured using two hoisting machines 11, the two hoisting machines 11 can share the torque required for driving the elevator.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a large-capacity elevator, it is not necessary to enlarge the external shape of each hoist 11. In addition, since the two hoisting machines 11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width A of the counterweight 3 increases compared with the other embodiments 1 to 4, but in the frame body of the counterweight 3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asteful ga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number of the hoisting machines 11 is further increased in correspondence with a large capacity elevator, the increase of the dimension E of the counterweight 3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largely suppressed, and the inside of the frame body of the counterweight 3 is reduced. It becomes possible to make volumetric efficiency favorable in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hoist 11 of a furnace.

그밖에, 실시예 1 등에서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effects as those obtained in Example 1 are exhibited.

실시예 7Example 7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로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입면도를 전개하여, 메인 로프에 의해 현가된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가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 장치에 의해 구동되어서 승강로내를 승강하고 있는 형상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example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levator apparatus is mounted on an elevator car and a balance weight suspended by a main rope, with an elevatio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viewed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hoistway. It is a conceptual diagram which shows the shape which is driven by the hoisting apparatus, and is elevating in a hoistway.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상 장치(10)는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대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 7에서는, 1대의 권상기(11)가 균형추(3)에 탑재되고, 다른 1대의 권상기(11)는 승강로(1) 상부에 수직 방향에서 보아 균형추(3)와 겹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균형추용 가이드 레일(2)에 의해 안내되어서 승강하는 균형추(3)의 승강 구간보다 상방에 있고, 대향하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도,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도록, 2대의 권상기(11)가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the hoisting apparatus 10 is comprised using two hoisting machines 11 similarly to other Example. However, in the seventh embodiment, one hoist 11 is mounted on the counterweight 3, and the other hoist 11 is installed so as to overlap the counterweight 3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ve the hoistway 1. It is. That is, the counterweight 3 is guided by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2 and moves upwards, and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guide rails 2 facing each other. Therefore, also in this case, two hoist 11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enlarge the width | variety A and thickness B of the counterweight 3.

다음에, 본 실시예 7에서 사용되는 메인 로프(9)는 단일의 경로만을 갖고 있다. 그리고, 메인 로프(9)는 일단부가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2대의 권상기(11)에 연속하여 감겨지고, 승강로 상부측 디플렉터 시브(7)에 이른다. 그리고, 2개의 승강로 상부측 디플렉터 시브(7)에 감겨진 후, 엘리베이터 카(4)의 하방에 설치된 한쌍의 카용 현수 시브(6)에 순차로 감겨지고, 다시 상승하여 타단부는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그 동작은, 실시예 1 등과 동 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 부분에 동일하게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main rope 9 used in the seventh embodiment has only a single path. One end portion of the main rope 9 is fixed to the hoistway 1, and is continuously wound on two hoisting machines 11 to reach the hoistway-side deflector sheave 7. Then, after being wound on the two elevator upper side deflector sheaves 7, they are sequentially wound on a pair of car suspension sheaves 6 provided below the elevator car 4, and the other end is elevated again to raise the other end of the elevator 1. It is fixed at the top.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its operation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like, and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상의 실시예 7에 있어서도, 권상 장치(10)는 권상기(11)를 2대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어, 엘리베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를 2대의 권상기(11)에서 분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 대응하기 위해서 각각의 권상기(11)의 외형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2대의 권상기(11)는 균형추(3)의 프레임체내에 서로 수평 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는 겹치도록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축방향 갭형, 또는 반경방향 갭형중 어떠한 형식의 전동기(13)를 사용한 권상 장치(10)에서도,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확대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을 증대하는 일없이, 용량을 크게 한 엘리베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Also in the above Example 7, the hoisting apparatus 10 is comprised using two hoisting machines 11, and can share the torque required for driving of an elevator with the two hoisting machines 11.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a large-capacity elevator, it is not necessary to enlarge the external shape of each hoist 11. Moreover, the two hoisting machines 11 are mounted in the frame body of the counterweight 3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even in the hoisting apparatus 10 using the electric motor 13 of any type of an axial gap type or a radial gap type, it becomes unnecessary to enlarge the width | variety A and thickness B of the counterweight 3,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n elevator having a larger capacity without increasing the horizontal projection area of the hoistway.

그밖에, 실시예 1 등에서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effects as those obtained in Example 1 are exhibited.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권상 장치(10)가 2대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상기(11)의 대수는 2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적어도 1대의 권상기(11)를 균형추(3)에 탑재하고, 나머지 복수의 권상기(11)를 균형추(3)에 탑재, 혹은 승강로(1) 상부에 설치하면 좋다. 이로써, 권상 장치(10)를 동일 사양의 권상기(11)를 n대 이용하여 구성하면, 균형추(3)의 횡폭(A) 및 두께(B)를 증대하는 일없이, n배 용량의 엘리베이터에까지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권상 장치(10)에 탑재하는 권상기(11)의 대수를 조정함으로써, 승강로(1)의 수평 투영 면적을 증대하는 일없이, 엘리베이터의 용량이 작은 영역으로부터 큰 영역까지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example in which the hoisting device 10 is configured by using two hoisting machines 11 is shown, but in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hoisting machines 11 is not limited to two, at least. One hoist 11 may be mounted on the counterweight 3, and the remaining plurality of hoists 11 may be mounted on the counterweight 3 or provided on the hoistway 1 above. Thereby, when the hoisting apparatus 10 is comprised using n hoisting machines 11 of the same specification, it can respond to the elevator of n times capacity, without increasing the horizontal width A and thickness B of the counterweight 3. It becomes possible. Therefore, by adjusting the number of hoists 11 mounted on the hoisting apparatus 10,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cope from the area | region with small capacity of an elevator to a large area | region without increasing the horizontal projection area of the hoistway 1 is provided. Can provide.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권상 장치(10)는 동일 사양의 권상기(11)를 이용하여 구성된 예를 설명했지만, 복수의 권상기는 다른 사양의 권상기, 예를 들면 용량이 다른 권상기를 조합한 것이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although the hoisting apparatus 10 demonstrated the example comprised using the hoist 11 of the same specification, although the some hoisting machine combined the hoisting machine of another specification, for example, the hoisting machine with a different capacity | capacitance, goo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의 수평 투영 면적의 증대, 즉 건물에 필요한 승강로 공간의 증대를 가져오는 일없이, 엘리베이터 대용량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사양의 권상기를 복수대 이용하여 구성하면, 권상기의 대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소용량 영역으로부터 대용량 영역까지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용이하게 시리즈화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균형추에 권상 장치가 탑재된 공간 절약형의 엘리베이터의 장점을 손상하는 일없이, 생산성, 장착성도 우수하고, 엘리베이터의 대용량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유용하다.As mentioned above,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can comprise the elevator which can cope with an elevator large capacity, without increasing the horizontal projection area of a hoistway, ie, the hoistway space required for a building. In addition, by using a plurality of hoisting machines having the same specification, the number of hoisting machines can be adjusted, and the series can be easily performed for the elevators from the small capacity area to the large capacity area. Therefore, this invention is useful as an elevator apparatus which is excellent in productivity and mountability, and can cope with a large capacity of an elevator, without impairing the merit of the space-saving elevator with a hoisting apparatus mounted on a counterweight.

Claims (8)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카와,Elevator car which elevates in hoistway, 상기 승강로내를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와,A balance weight for elev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levator car;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현가하는 메인 로프와,A main rope suspending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상기 메인 로프가 감겨지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구동하는 권상 장치를 구비하며,The main rope is wound, and a hoisting device for driving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상기 권상 장치는 상기 메인 로프가 감겨진 구동 시브와 이 구동 시브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로 이루어지는 권상기를 적어도 2대 구비하며, 이중 적어도 1대가 상기 균형추에 탑재되며, The hoisting apparatus includes at least two hoisting machines comprising a drive sheave wound with the main rope and an electric motor for rotating the drive sheave, at least one of which is mounted on the counterweight, 상기 권상 장치의 적어도 2대의 상기 권상기는 상기 균형추의 프레임체 내에 수평방향으로는 겹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겹치도록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At least two of the hoisting machines of the hoisting device are mounted so as to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overlapping in the frame body of the counterweight.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권상 장치의 상기 권상기가 모두 상기 균형추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hoist of the hoisting device is all mounted on the counterweight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삭제delete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카와,Elevator car which elevates in hoistway, 상기 승강로내를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와,A balance weight for elev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levator car;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현가하는 메인 로프와,A main rope suspending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상기 메인 로프가 감겨지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구동하는 권상 장치를 구비하며,The main rope is wound, and a hoisting device for driving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상기 권상 장치는 상기 메인 로프가 감겨진 구동 시브와 이 구동 시브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로 이루어지는 권상기를 적어도 2대 구비하며, 이중 적어도 1대가 상기 균형추에 탑재되며, The hoisting apparatus includes at least two hoisting machines comprising a drive sheave wound with the main rope and an electric motor for rotating the drive sheave, at least one of which is mounted on the counterweight, 상기 권상 장치의 상기 권상기중, 적어도 다른 1대가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At least another one of the hoisting machines of the hoisting apparatus is provided on the hoistway.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47016333A 2003-02-13 2003-02-13 Elevator equipment KR10068873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3/001470 WO2004071926A1 (en) 2003-02-13 2003-02-13 Elevator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438A KR20040099438A (en) 2004-11-26
KR100688730B1 true KR100688730B1 (en) 2007-03-02

Family

ID=32866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333A KR100688730B1 (en) 2003-02-13 2003-02-13 Elevator equipment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93640B1 (en)
JP (1) JP4429920B2 (en)
KR (1) KR100688730B1 (en)
CN (1) CN100333991C (en)
WO (1) WO200407192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1290B2 (en) * 2004-10-06 2010-10-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equipment
CN1938212B (en) * 2004-12-27 2011-02-02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apparatus
CN1970422A (en) * 2006-12-05 2007-05-30 孟繁贵 Indirect-drive towed elevator
KR100872928B1 (en) 2007-03-26 2008-12-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apparatus
FI20070562L (en) * 2007-07-20 2009-01-21 Kone Corp Elevator
RU2535956C2 (en) * 2009-03-16 2014-12-20 Отис Элевэйтор Компани Configuration of elevator drives
JP5932486B2 (en) * 2012-05-28 2016-06-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equipment
CN102942098A (en) * 2012-11-09 2013-02-27 江苏大学 Dual-motor elevator tra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WO2015025397A1 (en) * 2013-08-22 2017-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WO2015125288A1 (en) * 2014-02-24 2015-08-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device
CN105775969A (en) * 2015-12-15 2016-07-20 上海长江斯迈普电梯有限公司 Brake voltage division control circuit of elevator trac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057A (en) * 1991-09-17 1993-03-23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Elevator device
JPH069178A (en) * 1992-04-09 1994-01-18 Werner Hagel Elevator
FI95687C (en) * 1993-06-28 1996-03-11 Kone Oy Counterweight elevator machine / elevator motor
PT1056676E (en) * 1998-02-26 2008-12-18 Otis Elevator Co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EP1064216A2 (en) * 1998-02-26 2001-01-03 Otis Elevator Company Dual sheave rope climber using flat flexible ropes
US6085874A (en) * 1998-12-22 2000-07-11 Otis Elevator Company Rail-climbing elevator counterweight having flat machines
JP4219034B2 (en) * 1999-03-03 2009-02-0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DE60132372T2 (en) * 2001-05-24 2008-12-24 Mitsubishi Denki K.K. LIF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33991C (en) 2007-08-29
EP1593640A4 (en) 2011-04-13
EP1593640B1 (en) 2012-10-03
WO2004071926A1 (en) 2004-08-26
EP1593640A1 (en) 2005-11-09
JP4429920B2 (en) 2010-03-10
JPWO2004071926A1 (en) 2006-06-01
KR20040099438A (en) 2004-11-26
CN1639046A (en)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38437C1 (en) System of counterweight of hoist suspended from cable and moving along guide rails and hoist motor placed inside counterweight
KR100688730B1 (en) Elevator equipment
KR100618467B1 (en) Elevator device
JP2000255933A (en) Elevator device
KR100444936B1 (en) Elevator device
JP2002080178A (en) Elevator device
JPWO2005121008A1 (en) Elevator equipment
JP2006199394A (en) Elevator device
JP2002326778A (en) Elevator and multistory parking facility
JP4762907B2 (en) Elevator equipment
JP4694507B2 (en) Elevator equipment
JP3961718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4294056B2 (en) Elevator equipment
JP4262805B2 (en) Elevator equipment
JPWO2006021996A1 (en) Elevator equipment
CN101143677B (en) Elevator device
KR100724987B1 (en) Elevator apparatus
KR101231524B1 (en) Elevator device
KR100872928B1 (en) Elevator apparatus
JP2001310883A (en) Elevator device
JP2006151644A (en) Elevator device
JP2006151673A (en) Elevator device without machine room
KR100735338B1 (en) Elevator
JP2000103582A (en) Traction elevator
KR100766654B1 (en) Elevat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