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697B1 -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697B1
KR100687697B1 KR20060073466A KR20060073466A KR100687697B1 KR 100687697 B1 KR100687697 B1 KR 100687697B1 KR 20060073466 A KR20060073466 A KR 20060073466A KR 20060073466 A KR20060073466 A KR 20060073466A KR 100687697 B1 KR100687697 B1 KR 100687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wastewater
zone
floc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73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희윤
Original Assignee
강산엔지니어링(주)
신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산엔지니어링(주), 신희윤 filed Critical 강산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060073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조 대신 응집조와 부상조를 일체화시킨 응집부상조를 통해 과부하 혹은 빈부하 또는 충격부하 용존산소의 부족 또는 급격한 미생물의 증가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벌킹현상을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침전조가 없어짐에 따라 시설면적의 감소에 의해 초기 시설비를 크게 감축할 수 있는 구조의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오폐수 발생원으로부터 소정량 이상의 오폐수가 시간대 별로 유량을 달리하여 유입될 때 이를 저장하며 일정한 수량으로 펌핑하여 폭기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량을 조절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와 미생물을 공기를 주입시켜 교반하며 접촉시키고, 미생물로 하여금 오폐수에 함유된 유기물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하게 하는 폭기조;와, 상기 폭기조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의 유기물을 잔류미생물과 결집시켜 플럭화하고, 상기 플럭에 공기입자를 흡착시켜 부상된 플럭 뭉치인 스컴은 수거하여 저류조로 유출시켜 정화처리된 하층수 만을 처리수조로 공급하는 응집부상조; 및 상기 응집부상조로부터 유입된 정화수는 방류유량계를 통해 일정수량 방류하는 처리수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응집존, 부상존, 플럭, 하우징, 오폐수, 처리수조, 폭기조, 응집부상존

Description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A Wastewater Treatment Without A Sedimentation Tank}
도 1은 본 발명의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응집부상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1: 격판
12: 오폐수유입관 12a: 가압수투입관
13: 배출호퍼관 14: 하층수유출부
20: 응집존 21: 교반기
21a: 교반날개 30: 부상존
31: 플럭제거부 31a: 컨베이어체인
31b: 스크레이퍼 32: 배출관
32a: 배출공 100: 응집부상조
110: 펌프 120: 가압탱크
200: 저류조 210: 탈수기
300: 집수조 400: 폭기조
500: 처리수조 510: 방류유량계
본 발명은 침전조 대신 응집조와 부상조를 일체화시킨 응집부상조를 통해 과부하 혹은 빈부하 또는 충격부하 용존산소의 부족 또는 급격한 미생물의 증가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벌킹현상을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침전조가 없어짐에 따라 시설면적의 감소에 의해 초기 시설비를 크게 감축할 수 있는 구조의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이나 가정에서 발생 되는 쓰레기의 침출수, 하수, 오수 및 분뇨, 축산분뇨 등과 같은 폐수는 많은 양의 잔존물을 함유하고 있어 그대로 매립하여 처리하게 되면 오폐수에 의하여 토양이 오염되어 자연환경이 파괴된다.
그러므로 상기 오폐수는 그 내의 모래나 협잡물 등과 같은 잔존물을 별도로 분리한 뒤, 오폐수처리장치로 정화시켜 하천 등에 방류하게 한다.
종래의 오폐수처리장치는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저류조와, 집수조와, 폭기조와, 침전조와, 처리수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오폐수처리장치는 통상적으로 오폐수에 함유된 미생물 및 슬러지(플럭)을 수거하기 위한 침전조가 설치된다.
이러한 침전조는 막대한 비용과 시설면적이 필요하게 됨으로, 초기시설비의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침전조는 오폐수처리장치에는 필수적인 시설이므로, 오폐수처리장치의 초기시설비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시설운영중 과부하 혹은 빈부하 또는 충격부하 또는 용존산소의 부족 또는 급격한 미생물의 증가 등으로 인해 벌킹현상이 발생할 경우 침전조가 제기능(미생물 분리기능)을 하지 못하고 처리수조로 미생물이 함께 유출되어 최종 방류되는 정화수가 정화되지 않고 그대로 방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이러한 벌킹현상은 전 수조에 걸쳐 발생되기 때문에 침전조 역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침전조 대신 응집조와 부상조를 일체화시킨 응집부상조를 통해 과부하 혹은 빈부하 또는 충격부하 용존산소의 부족 또는 급격한 미생물의 증가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벌킹현상을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침전조가 없어짐에 따라 시설면적의 감소에 의해 초기 시설비를 크게 감축할 수 있는 구조의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오폐수 발생원으로부터 소정량 이상의 오폐수가 시간대 별로 유량을 달리하여 유입될 때 이를 저장하며 일정한 수량으로 펌핑하여 폭기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량을 조절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와 미생물을 공기를 주입시켜 교반하며 접촉시키고, 미생물로 하여금 오폐수에 함유된 유기물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하게 하는 폭기조;와, 상기 폭기조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의 유기물을 잔류미생물과 결집시켜 플럭화하고, 상기 플럭에 공기입자를 흡착시켜 부상된 플럭 뭉치인 스컴은 수거하여 저류조로 유출시켜 정화처리된 하층수 만을 처리수조로 공급하는 응집부상조; 및 상기 응집부상조로부터 유입된 정화수는 방류유량계를 통해 일정수량 방류하는 처리수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에서 응집부상조는 규모의 크기를 줄이고 정화효율을 높이기 위해 응집조와 부상조가 일체로 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응집부상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응집존과 부상존이 형성되도록 내부를 구획하는 격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획된 응집존으로 오폐수 및 공기를 유입시키는 오폐수유입관과, 상기 응집존의 상부에 고정되어 오폐수의 유기물과 미생물과의 플럭 형성을 도모하는 교반기와, 상기 하우징의 격판에 의해 응집존의 상부로 부상되어 유입되는 플럭 뭉치인 스컴을 제거할 수 있도록 부상존의 상부에 고정되는 스컴제거부와, 상기 스컴제거부를 통해 수거된 스컴을 안내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 타측에 부착된 배출호퍼관과, 상기 부상존의 하층수만을 배출하여 처리수조로 되돌릴 수 있도록 상기 부상존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층수유출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 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침전조 대신 응집조와 부상조를 일체화시킨 응집부상조를 통해 과부하 혹은 빈부하 또는 충격부하 용존산소의 부족 또는 급격한 미생물의 증가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벌킹현상을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침전조가 없어짐에 따라 시설면적의 감소에 의해 초기 시설비를 크게 감축할 수 있는 구조의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오폐수처리장치는 집수조(300)와, 폭기조(400)와, 처리수조(500)와, 응집부상조(100), 저류조(200)로 구성된다.
상기 집수조(300)는 생산현장 등 오폐수 발생원으로부터 소정량 이상의 오폐수가 시간대 별로 유량을 달리하여 유입될 때 이를 저장하며 일정한 수량으로 펌핑하여 폭기조(4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폭기조(400)는 상기 집수조(300)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와 미생물을 공기를 주입시켜 교반하며 접촉시키고 미생물로 하여금 오폐수에 함유된 유기물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폭기조(400)는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다.
그리고 응집부상조(100)는 상기 폭기조(400)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의 유기물을 잔류미생물과 결집시켜 플럭화하고, 상기 플럭(오폐수 중에 함유된 입자들이 약 품에 의해 혹은 인(引)력에 의하여 수중에서 눈송이처럼 결집된 입자 뭉치)에 공기입자를 흡착시켜 부상된 플럭 뭉치인 스컴(슬럿지 중에 물위로 부상되는 것)은 수거하여 저류조(200)로 유출시켜 정화처리된 하층수 만을 처리수조(500)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상기 응집부상조(100)는 일부 스컴을 폭기조(400)로 되돌려 폭기조(400)에 잉여미생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처리수조(500)는 상기 응집부상조(100)로부터 유입된 정화수를 저장한다. 이 때 상기 처리수조(500)의 정화수는 소포수 등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또한 공폭기하여 충분한 용존산소를 공급한 후 방류유량계(510)를 통해 방류하게 된다.
상기 저류조(200)는 응집부상조(100)로부터 발생된 폐기용 슬럿지(플럭들이 수중에 가라앉거나 뜨거나 하여 모여서 형성된 플럭 뭉치)를 저장하며 부대시설인 탈수기(210)를 통해 슬럿지(플럭들이 수중에 가라앉거나 뜨거나 하여 모여서 형성된 플럭뭉치)등 고형물질을 제거하고 그 여과액은 집수조(300)로 보내어 새로 공급되는 오폐수와 함께 상기의 처리과정을 반복한다.
상기의 응집부상조(100)는 규모의 크기를 줄이고 정화효율을 높이기 위해 응집조와 부상조가 일체로 된 구조로써,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응집부상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집부상조(100)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상승시키고, 또한 규모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응집조와 부상조를 일체화시킨 구조이 다.
이러한 응집부상조(100)는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하우징(10)의 내부에 구획된 격판(11)을 중심으로 오폐수를 유입 받아 오폐수에 함유된 부유물을 플럭화하는 응집존(20)과, 상기 플럭이 모여 형성된 스컴을 제거하는 부상존(30)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응집존(20)으로 오폐수를 유입시키는 오폐수유입관(12)이 연결되어 있으며, 응집존(20)의 상부에는 교반기(2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의 교반기(21)는 교반날개(21a)의 회전에 의해 오폐수에 함유된 부유물이 약품 및 미세기포와 고루 섞이며 교착되어 응집존(20)에서 플럭이 형성되도록 도모한다.
아울러 상기 응집존(20)의 플럭은 오폐수유입관(12)으로 유입되는 오폐수량에 의해 밀려 부상존(30)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교반기(21)에 의해 응집존(2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와류는 격판(11)에 의해 차단되어 부상존에는 영향이 미치지 않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상기 격판(11)은 상부가 응집존(20)을 향해 부분 절곡된 구조이다.
상기 격판(11)을 상세히 설명하면, 응집존(20)과 부상존(30)과의 낙차를 없애기 위해 완전 수장되고, 교반기(21)로 인해 발생된 와류의 부상존(30)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부가 응집존(20)을 향해 35°내지 45°정도 범위로 부분 절곡된 구조 이다.
상기에서 격판(11)의 절곡도가 35°이하일 경우에는, 와류의 상쇄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45°이상일 경우에는 상승류가 부하를 받아 강한 와류를 발생시켜 플럭이 파괴될수 있고 응집존(20)에서 발생된 와류가 벽에 부딪힌후 응집존(20)의 상층부와, 부상존(30)의 상층부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아울러 부상존(30)의 상부에 고정되어 플럭을 제거하는 것이 스컴제거부(31)이다.
이러한 상기 스컴제거부(31)는 컨베어어체인(31a)와, 상기 컨베어어체인(31a)의 원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부착되는 스크레이퍼(31b)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컴제거부(31)는 회전에 의해 스컴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컴제거부(31)의 스크레이퍼(31b)를 통해 수거된 스컴을 안내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외부 타측에 부착된 것이 배출호퍼관(13)이다.
아울러 상기 부상존(30)의 하층수만을 배출하여 처리수조로(미도시) 되돌릴 수 있도록 상기 부상존(3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층수유출부(14)이다.
상기 하층수유출부(14)는 하우징(10)의 내부 타측 전면에 걸쳐 형성되며, 하층수의 유입이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 형상의 "판" 구조이다. 이때 상기 하층수유출부(14)의 배출 부분은 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된 "슬롯(길다란 띠)" 구조이다.
때문에 상기 배출호퍼관(13)과 하층수유출부(14)는 하우징(10)의 타측에서 혼재되며, 상기 배출호퍼관(13)은 스크레이퍼(31b)를 통해 수거되는 플럭이 하층수유출부(14)의 외측 상부를 거처 배출호퍼관(13)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층수유출부(14)의 후방에 부착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스컴과 정화된 하층수를 이원화하여 완전히 분리하는 한편, 기존의 부상조(2)에 설치된 유도판(2b)으로 인해 발생되는 스컴의 적층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은 스컴의 수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그 폭이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이다. 즉, 기존의 오폐수 처리 용량을 유지하면서 스컴이 수거되는 하우징(10)의 상부를 좁게 함으로써, 스컴의 층을 두텁게 하여 함수율을 낮추고 수거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상존(30)의 하부에는 하층수의 일부를 강제 인출하여 가압한 후 응집존(20)으로 유출시키기 위한 가압수인출관(32)이 설치된다.
상기 가압수인출관(32)은 부상존(30)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으며, 정화된 하층수의 강제 인출로 인해 와류(편향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다수의 인출공(32a)으로 형성되어 있어 인출이 분배되는 구조이다.
이를 통해 물이 가압수인출관(32)의 어느 한부분에 국소적으로 유입되지 않고, 가압수인출관(32)의 전면을 걸쳐 유입됨으로 와류가 형성을 예방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이러한 가압수인출관(32)은 가압수투입관(12a)과 연결되며, 상기 가 압수투입관(12a)은 오폐수유입관(12)과 연결되어 응집존으로 유입되며 혼합이 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가압수투입관(12a)은 응집부상조(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펌프(200) 및 가압탱크(300)와 연결되어 있어 가압수인출관(32)을 통해 펌핑된 하층수가 공기와 함께 가압탱크에 유입되어 과량의 공기가 용해되는 가압수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오폐수유입관(12)은 가압수투입관(12a)을 통해 고압하에서 공기가 포화용해된 가압수가 공급되고 가압수는 압력이 해압되는 응집존(20)에서 공기용해도가 낮아지며 미세기포를 용출시키게 되고, 이 미세기포들은 부유물과 함깨 응집되면서 플럭을 형성하게 되고, 이 플럭은 파괴 및 재응집과정을 거치지 않고 초기형성된 플럭 형태 그대로 부상존(30)으로 이동되어 스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므로 그만큼 핀플럭 발생이 낮아지게 되어 부상이 잘되게 되고 제거효율이 높아진다.
도 3는 2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폐수는 오폐수유입관(12)을 통해 하우징(10) 내에 형성된 응집존(20)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오폐수유입관(12)은 가압수투입관(12a)이 연결되어 있어 오폐수와 함께 더불어 과량의 공기가 용해된 가압수가 공급되며 혼합된다. 이때 가압수는 부상존(30)의 하층수에서 인출하므로 부상존-->가압탱크(공기용해)-->응집존-(미세기 포용출)-->부상존(미세기포제거)으로 계속해서 반복순환되는 구성이다.
그러면 응집존(20)에서는 완속인 교반기(21)를 통해 오폐수의 함유된 부유물이 용출되는 미세기포와 응집약품과 혼합되며 서로 뭉쳐지며 커다란 플럭이 형성된다.
이때 플럭은 가압수에서 용출된 미세공기방울이 혼입되어 비중이 가벼워져서 적당한 유속의 정류가 형성되면 수면으로 부상하게 되고 부상되는 플럭들이 쌓여 스컴(물위에 뜬 부유물(기름류등) 및 플럭의 집합체)이 형성된다.
아울러 교반기(21)에 의해 응집존(20)에서 발생되는 와류는 격판(11)의 절곡부위에 의해 중층부에서 상승류의 방향이 응집존(20)의 안쪽으로 휘어 상층부의 표면 와류의 여파가 부상존(30)에는 거의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응집존(20)의 상층부에서 형성되기 시작한 스컴은 와류의 영향으로 파괴되지 않고 부상존(3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부상존(30)으로 유입된 플럭은 부상존(30)에서 점점 많은 량의 스컴을 형성하며 오폐수 수면에 부상되고 스컴제거부(31)의 가동에 따라 배출호퍼관(13)으로 유도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플럭이 제거된 하층수는 하층수유출부(14)를 통해 처리수조(600)로 공급되어 방류유량계(610)를 통해 방류된다.
이에 따라 침전조가 없어짐에 따라 시설면적의 감소에 의해 초기 시설비를 크게 감축할 수 있으며, 과부하 혹은 빈부하 또는 충격부하 또는 용존산소의 부족 또는 급격한 미생물의 증가 등으로 인해 벌킹현상이 발생되어도 폭기조의 운영이 쉬워지고, 또한 폭기조(400)의 20 ~30% 정도의 증설효과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에 따르면, 침전조 대신 응집조와 부상조를 일체화시킨 응집부상조를 통해 과부하 혹은 빈부하 또는 충격부하 용존산소의 부족 또는 급격한 미생물의 증가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벌킹현상을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침전조가 없어짐에 따라 시설면적의 감소에 의해 초기 시설비를 크게 감축할 수 있는 특징이 잇다.
또한 응집부상조를 통해 저류조 및 집수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벌킹현상으로 저류조 및 집수조의 기능을 못하게 될 경우가 방지됨으로), 기존 폭기조의 용적부하 및 침전조의 면적부하를 높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20 ~30% 정도의 증설효과가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10)

  1. 오폐수 발생원으로부터 소정량 이상의 오폐수가 시간대 별로 유량을 달리하여 유입될 때 이를 저장하며 일정한 수량으로 펌핑하여 폭기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량을 조절하는 집수조;
    상기 집수조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와 미생물을 공기를 주입시켜 교반하며 접촉시키고, 미생물로 하여금 오폐수에 함유된 유기물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하게 하는 폭기조;
    상기 폭기조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의 유기물을 잔류미생물과 결집시켜 플럭화하고, 상기 플럭에 공기입자를 흡착시켜 부상된 플럭 뭉치인 스컴은 수거하여 저류조로 유출시켜 정화처리된 하층수 만을 처리수조로 공급하는 응집부상조; 및
    상기 응집부상조로부터 유입된 정화수는 방류유량계를 통해 일정수량 방류하는 처리수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부상조는 규모의 크기를 줄이고 정화효율을 높이기 위해 응집조와 부상조가 일체로 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부상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응집존과 부상존이 형성되도록 내부를 구획하는 격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획된 응집존으로 오폐수 및 공기를 유입시키는 오폐수유입관과,
    상기 응집존의 상부에 고정되어 오폐수의 유기물과 미생물과의 플럭 형성을 도모하는 교반기와,
    상기 하우징의 격판에 의해 응집존의 상부로 부상되어 유입되는 플럭 뭉치인 스컴을 제거할 수 있도록 부상존의 상부에 고정되는 스컴제거부와,
    상기 스컴제거부를 통해 수거된 스컴을 안내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 타측에 부착된 배출호퍼관과,
    상기 부상존의 하층수만을 배출하여 처리수조로 되돌릴 수 있도록 상기 부상존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층수유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은 응집존과 부상존과의 낙차를 없애기 위해 완전 수장되고, 교반기로 인해 응집존에서 발생되는 와류가 부상존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부가 응집존을 향해 35° 내지 45°범위로 부분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존의 하부에는 하층수를 강제 배출하기 위해 내부를 가로지르는 가압수인출관이 설치되되, 상기 가압수인출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인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유입관은 가압수인출관과 연결된 가압수투입관이 더 연결되며,
    상기 가압수투입관은 가압수인출관을 통해 펌핑된 하층수에 과량의 공기가 용해된 가압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펌프 및 가압탱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제거부는 컨베이어체인와, 상기 컨베이어체인의 원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부착되는 스크레이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
  8. 제 3항에 잇어서,
    상기 하층수유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 전면에 걸쳐 형성되며, 하층 수의 유입이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은 스크레이퍼를 통해 하층수유출부의 상부를 거쳐 배출호퍼관으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플럭의 수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
KR20060073466A 2006-08-03 2006-08-03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 KR100687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3466A KR100687697B1 (ko) 2006-08-03 2006-08-03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3466A KR100687697B1 (ko) 2006-08-03 2006-08-03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7697B1 true KR100687697B1 (ko) 2007-02-27

Family

ID=3810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73466A KR100687697B1 (ko) 2006-08-03 2006-08-03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6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368B1 (ko) 2011-10-04 2011-11-25 최민숙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046A (ko) * 2001-03-23 2002-10-04 김태곤 고농도 유기폐수의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046A (ko) * 2001-03-23 2002-10-04 김태곤 고농도 유기폐수의 처리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7504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368B1 (ko) 2011-10-04 2011-11-25 최민숙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553B1 (ko) 지하수 정화 시스템
KR100882200B1 (ko)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
KR100989213B1 (ko) 반응/응집/중화조가 필요없는 미세 기포에 의한 고도처리 부상분리장치 및 방법
KR101189912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1964830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KR20070116529A (ko) 응집제를 이용한 슬러지 준설과 탈수장치 및 그 공법
CN210885400U (zh) 一种污水处理用浮选装置
KR100529598B1 (ko) 응집식 오폐수 정화장치
KR100724778B1 (ko) 오폐수처리장치
KR100687697B1 (ko) 침전조가 없는 오폐수처리장치
CN211111397U (zh) 一种适用于矿井水处理的改进型高密度澄清池
KR100576348B1 (ko)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CN201049282Y (zh) 带式絮凝超滤机
JP4136877B2 (ja) 浮島型水質浄化処理装置
CN212476431U (zh) 一种油田高矿化度污水处理装置
JP4248101B2 (ja) 汚水の浄化装置
JP5270247B2 (ja) 食品加工工場排水処理設備
KR200377629Y1 (ko)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KR100742509B1 (ko) 계면활성제 미세기포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 상압부상 고농축 장치
CN206328248U (zh) 一种焦化废水预处理装置
KR20020068311A (ko) 수처리 및 폐수처리용 고액분리기
KR100709321B1 (ko) 응집부상조
CN105254112A (zh) 一种废水深度处理装置
CN218709814U (zh) 一种含油废水处理系统
CN219907293U (zh) 过滤气浮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