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375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375B1
KR100687375B1 KR1020057003252A KR20057003252A KR100687375B1 KR 100687375 B1 KR100687375 B1 KR 100687375B1 KR 1020057003252 A KR1020057003252 A KR 1020057003252A KR 20057003252 A KR20057003252 A KR 20057003252A KR 100687375 B1 KR100687375 B1 KR 100687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voltage
transformer
output
straigh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121A (ko
Inventor
미치카 우에스기
다케히로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2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5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riable-flow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02M1/126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using passive fil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16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operating from a three-phase input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02M7/0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arranged for operation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2Compressor control for multi-stage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Rectifier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대 소비전류시의 고조파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3상 교류 전원 전압을 주정류 회로(22)에 의해 전파정류하고, 그 출력을 인버터(24)에 의해 가변 주파수의 교류로 변환하여 전동기(25)를 가변속 구동하는 데에 있어서, 3상 교류전원전압에 대해서 위상이 진행된 3상 교류전압 및 위상이 지연된 3상 교류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변압기(10)와, 상기 변압기로부터 출력되는 3상 교류전압을 각각 전파정류하여 주정류 회로의 출력측에 공급하는 2개의 보조정류회로(11, 12)를 구비한 것으로, 변압기(10)로서 3상 교류전압을 정삼각형의 벡터도로 나타내고, 정삼각형의 각 정점을 중심으로 하여 나머지 2개의 정점을 연결하여 그린 원호를 3등분하여 얻어진 2점을 지나는 직선의 외측에, 각각 상기 직선에 대해서 소정의 거리만큼 외측에 평행으로 간격을 둔 외측 직선과, 정삼각형의 각 정점을 지나는 직선으로 육각형 변압기 벡터도를 형성하고 상기 변압기 벡터도를 만족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조부하에 맞추어 냉동 사이클을 형성하는 압축기를 가변속 구동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류의 공기조화기로서, 3상 교류전원전압을 전파(全波)정류회로에서 정류하고 얻어진 직류를 평활 컨덴서로 평활하여 인버터에 가하고, 공조부하에 따라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의 교류를 압축기 구동 전동기에 공급하는 것이 있다. 이 경우, 3상 전파 정류기에서는 60도마다 통전하는 정류소자가 차례로 전환되어 직류전압이 출력되지만, 상기 방법으로 정류되는 직류전압에는 전원 주파수의 6배의 주파수를 가진 진폭이 큰 전압 리플이 포함되고, 이것이 고조파가 되어 여러가지 장해를 일으키고 있다.
상기 대책으로서 3상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주 3상 전파 정류기와, 3상 교류의 상전압을 정삼각형의 벡터도로 나타내고, 각 정점을 중심으로 하여 나머지 2개의 정점을 연결하여 그린 원호를 3등분하여 얻어진 2점을 지나는 직선과, 정삼각형의 각 정점을 지나고, 이들의 정점과 대향하는 한 변에 평행인 직선으로 형성되는 육각형으로 나타난 변압기 벡터도를 만족하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로부터 출력되는 2종류의 3상 교류를 각각 직류로 변환하고, 또한 직류 출력 라인이 주 3상 전파 정류기와 병렬 접속된 2개의 보조 3상 전파 정류기를 구비한, 18펄스방식의 정류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개 2002-10646호 공보(제 6 페이지 제 8 도)참조).
그러나, 상기 18펄스 방식의 정류기를 공조부하에 따라서 압축기를 가변속 구동하는 공기조화기에 적용한 경우, 고조파의 저감효과가 저하된다. 즉 인버터의 출력 주파수는 약 15[rps]부터 95[rps]의 가변속 범위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18펄스 방식의 정류기에서 이론상의 변압기 권선에서는 인버터 출력이 낮고, 부하가 가벼운 상태에서는 고조파의 저감 효과는 크다. 이에 대해서, 고회전수의 부하조건에서는 변압기의 권선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고, 권선의 임피던스에 의해 출력전압이 강하하므로, 인버터의 출력이 커지면 커질수록 고조파의 저감효과가 저하되는 것이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고조파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3상 교류전원으로부터 수전한 3상 교류전압을 전파 정류하는 주정류회로와, 주정류회로의 출력을 가변 주파수의 교류로 변환하고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압축기를 가변속 구동하는 인버터와, 3상 교류전원의 3상 교류전압을 입력하고 상기 3상 교류전압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위상이 진행된 제 1 3상 교류전압 및 소정의 각도만큼 위상이 지연된 제 2의 3상 교류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변압기와, 변압기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및 제 2의 3상 교류전압을 각각 전파정류하여 주정류 회로의 출력측에 공급하는 제 1 및 제 2의 보조 정류회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변압기는 3상 교류전압을 정삼각형의 벡터도로 나타내고, 정삼각형의 각 정점을 중심으로 하여 나머지 2개의 정점을 연결해서 그린 원호를 3등분하여 얻어지는 2점을 통과하도록 그은 직선의 외측에, 각각 상기 직선에 대해서 소정의 거리만큼 외측에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그은 외측 직선과, 정삼각형의 각 정점을 지나는 직선으로 육각형의 변압기 벡터도를 형성하고, 상기 변압기 벡터도를 만족하도록 육각형의 각 변 중, 정삼각형의 각 정점을 지나는 3변을 1차 권선에 대응시키고, 이들 3변에 대향하는 3변을 2차 권선에 대응시켜 각 권선단을 변압기 벡터도에 따라서 차례로 접속하고, 정삼각형의 정점에 대응하는 1차 권선의 중간 탭에 3상 교류전원을 접속하고, 정삼각형의 각 정점으로부터 원호를 거의 3등분한 점을 지나도록 그은 직선과 외측직선의 교점에 대응하는 한쪽의 중간탭을 제 1 3상 교류전압의 출력단으로 하고, 다른쪽의 중간탭을 제 2의 3상 교류전압의 출력단으로 한 것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기의 한 실시형태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블럭으로 도시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공기조화기의 공조부하와 인버터 출력 주파수의 관계를 도시한 선도,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공기조화기의 인버터 출력 주파수와 소비전력의 관계를 도시한 선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의 18펄스 방식의 정류기를 구성하는 변압기 벡터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변압기 벡터도를 만족하는 변압기의 권선 구조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압 리플 파형을, 구성이 다른 타장치의 전압 리플파형과 함께 도시한 파형도,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의 정류기의 전류파형과, 종래의 정류기를 사용한 전류파형을 각각 시뮬레이션한 1사이클분의 전류파형도,
도 8은 도 7의 시뮬레이션에 의한 고조파 성분의 분포도,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의 전원전압 및 변압기 출력전압을, 종래의 정류기를 사용한 경우의 전원전압 및 변압기 출력전압과 비교하여 도시한 파형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가 최소 주파수 운전시에도 효과가 있는 것을 도시한 고조파 성분의 분포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기의 한 실시형태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블럭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동 도면에서 3상 교류전원(21)의 전원라인 R1, S1, T1에 주정류 회로(22)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주정류 회로(22)는 6개의 정류소자가 3상 브리지 접속되어 전파정류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주정류 회로(22)의 직류출력단자(P, N)간에 평활 컨덴서(23)와 인버터(24)가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24)의 출력측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를 구동하는 전동기(25)가 접속된다. 또한, 200V의 3상 교류전원(21)의 전원라인 R1, S1, T1에는 변압기(10)의 1차측이 접속되고, 상기 변압기(10)의 2차측의 한쪽의 3상 출력라인 R2, S2, T2의 전파 정류회로로 이루어진 보조정류회로(11)의 입력단이 접속되고, 다른쪽의 3상 출력라인 R3, S3, T3(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R1~R3, S1~S3, T1~T3)을 단자 또는 전압의 의미로도 사용함)에 전파정류회로로 이루어진 보조정류회로(12)의 입력단이 접속되어 있고, 이들의 보조정류회로의 각 출력단이 주정류 회로(22)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변압기(10)의 한쪽의 3상 출력단자(R2, S2, T2)로부터는 3상 교류전원(1)에 대해서 크기가 동등하고 위상이 40도 앞선 3상 교류전압이 출력되며, 다른쪽 3상 출력단자(R3, S3, T3)으로부터는 3상 교류전원(1)에 대해서 크기가 동등하고 위상이 40도 지연된 3상 교류전압이 출력된다. 이에 의해, 주정류 회로(2)를 통하여 출력되는 직류의 전류 리플의 골짜기를 메우도록 보조정류회로(11) 및 보조정류회로(12)가 도통하므로, 전압 리플은 작아지고 3상 교류전원(1)측에 발생하는 교류파도 저감된다.
도 2는 공조 부하와 인버터 출력 주파수의 관계를 도시한 선도이고, 도 3은 인버터 출력 주파수와 소비전력의 관계를 도시한 선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공조부하가 최소의 L1부터 최대의 L2의 범위에서 변화될 때, 인버터 출력주파수는 15[rps]부터 95[rps]의 사이에서 변화한다. 또한, 이들 변화에 따라서 소비전류는 15[A]부터 44[A]의 범위에서 변화한다. 고조파의 크기(절대값)는 기본파의 크기(전원으로부터의 전류값)에 비례하여 커지므로, 최대 소비전류가 되는 인버터의 최대회전수 근방에서 최대가 되어 가장 문제가 된다.
본 실시형태는 대전류시의 고조파를 효과적으로 저감하므로 변압기(10)의 권선구조를 변경한 것으로, 이하에 그 벡터도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18펄스식의 정류기를 구성하는 변압기의 권선구조를 나타내는 변압기 벡터도이다. 도면 중, 전원의 3상 교류전압이 정삼각형 R1, S1, T1으로 나타난다. 상기 정삼각형이 정점(R1)을 중심으로 하여 나머지 2개의 정점(S1, T1)을 연결하여 그린 원호를 3등분하여 얻어진 2점을 각각 S3, T2로 한다. 또한, 정삼각형의 정점(S1)을 중심으로 하여 나머지 2개의 정점(T1, R1)을 연결하여 그린 원호를 3등분하여 얻어진 2점을 각각 T3, R2로 한다. 또한, 정삼각형 형상의 정점(T1)을 중심으로 하여 나머지 정점(R1, S1)을 연결하여 그린 원호를 3등분하여 얻어진 2점을 각각 R3, S2로 한다.
다음에, 정삼각형의 정점(R1)을 지나, 대향하는 한 변에 평행인 직선과, 원호상의 2점(T3, R2)을 지나는 직선 및 원호상의 2점(R3, S2)을 지나는 직선과의 교점을 각각 R4, R5으로 한다. 또한, 정삼각형의 정점(S1)을 지나고, 대향하는 한변의 평행한 직선과, 원호상의 2점(R3, S2)을 지나는 직선 및 원호상의 2점(S3, T2)을 지나는 직선과의 교점을 각각 S4, S5로 한다. 또한, 정삼각형의 정점(T1)을 지나고, 대향하는 한변에 평행한 직선과, 원호상의 2점(S3, T2)을 지나는 직선 및 원호상의 2점(T3, R2)을 지나는 직선과의 교점을 각각 T4, T5로 한다.
이에 의해, 점(R4-R5-S4-S5-T4-T5-R4)를 연결하여 이루어진 육각형의 변압기 벡터도가 형성된다. 이 중, 선분(R4-R5)이 R상 제 1 코일(2)에, 선분(S5-T4)이 R상 제 2 코일(3)에 각각 대응하고, 선분(S4-R5)이 S상 제 1 코일(5)에, 선분(T5-R4)이 S상 제 2 코일(6)에 각각 대응하고, 선분(T4-T5)이 T상 제 1 코일(8)에, 선분(R5-S4)이 T상 제 2 코일(9)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선분의 길이가 R, S, T 각 상의 철심에 대한 코일의 권수에 상당하고 있다.
그런데, 도 4에 도시한 육각형의 변압기 벡터(R4→R5→S4→S5→T4→T5→R4)에 따라서 코일권선을 결정하면, 무부하시에서는 3상 교류전압(R1, S1, T1)에 대해서 절대값이 같은 3상 교류전압(R2, S2, T2, R3, S3, T3)이 출력된다.
그러나, 인버터 출력주파수의 증대에 따라서 권선전류가 증가하면 권선저항 등의 임피던스에 의해 전압이 강하하고, 3상 교류전압(R2, S2, T2, R3, S3, T3)가 변압기 벡터(R4→R5→S4→S5→T4→T5→R4)의 내측에 2점 쇄선(X)으로 값으로 나타낸 값으로 강하한다.
상기 전압 강하분을 보상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R상 제 1 코일(2), S상 제 1 코일(5) 및 T상 제 1 코일(8)의 권수를 도면 중에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약 50% 더 감아서 변압기 벡터(R4′→R5 ′→S4 ′→S5 ′→T4 ′→T5 ′→R4 ′)를 형성한다. 코일의 더 감은 수(A)는 압축기의 최대 회전수 근방, 예를 들어 최대소비전류(부하전류)(44[A])에 대응시킨 것이다.
이에 의해, 저부하시에서의 3상 교류전압(R2, S2, T2, R3, S3, T3)는 1점 쇄선(Y)으로 나타낸 값으로 상승하지만, 인버터의 저주파수 출력시에는 그 전류의 기 본파 자체가 작고, 고조파 전류의 절대값 그 자체가 작으므로, 문제를 발생시키지는 않는다.
도 5는 상기 변압기 벡터도를 만족하는 변압기(10)의 권선 구조도이고, 도 4 중의 등분점 및 교점을 나타내는 부호가 대응하는 권선의 단자 또는 중간탭으로서 나타나 있다. 동 도면에서 R상 철심(1)에 R상 제 1 코일(2) 및 R상 제 2 코일(3)이 감기고, 이 중 R상 제 1 코일(2)에는 중간 탭(R1)이 설치되고, R상 제 2 코일(3)에는 중간탭(T2, S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S상 철심(4)에 S상 제 1 코일(5) 및 S상 제 2 코일(6)이 감기며 이 중 S상 제 1 코일(5)에는 중간탭(S1)이 설치되고, S상 제 2 코일(6)에는 중간탭(R2, T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T상 철심(7)에는 T상 제 1 코일(8) 및 T상 제 2 코일(9)이 감기고, 이 중 T상 제 1 코일(8)에는 중간탭(T1)이 설치되고, T상 제 2 코일(9)에는 중간탭(S2, R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R상 제 1 코일(2)의 한단(R4 ′)이 S상 제 2 코일(6)의 한단(R4 ′)에, S상 제 1 코일(5)의 한단(S 4′)이 T상 제 2 코일(9)의 한단(S4 ′)에, T상 제 1 코일(8)의 한단(T4 ′)이 R상 제 2 코일(3)의 한단(T4 ′)에 각각 접속되고 R상 제 1 코일(2)의 타단(R5 ′)이 T상 제 2 코일(9)의 타단(R5 ′)에, S상 제 1 코일(5)의 타단(S5 ′)가 R상 제 2 코일(3)의 타단(S5 ′)에, T상 제 1 코일(8)의 타단(T5 ′)가 S상 제 2 코일(6)의 타단(T5 ′)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탭(R1, S1, T1)으로부터 도선이 인출되어 3상 교류의 입력단자(R1, S1, T1)가 되고, 중간탭(R2, S2, T2)으로부터 도선이 인출되어 제 1 3상 교류출력단자(R2, S2, T2)가 되고, 중간탭(R3, S3, T3)으로부터 도선이 인출되어 제 2 3상 교류출력단자(R3, S3, T3)가 되고 있다.
그래서, 제 1 3상 교류출력단자(R2, S2, T2)에 보조정류회로(11)를 접속하고, 제 2 3상 교류출력단자(R3, S3, T3)에 또 하나의 보조정류회로(12)를 접속하고, 이들 보조정류회로의 각 출력단을 병렬 접속하고, 3상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주정류 회로(22)의 출력단에 접속함으로써, 최대소비전류시 즉, 압축기의 최대 회전수 근방에서의 고조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최대 주파수 운전시에서, 18펄스 방식의 정류기를 사용하지 않고 주정류 회로(22)로부터 인버터(24)에 직류전력을 공급한 경우의 직류출력단자(P, N)간의 전압 리플 파형과, 변압기 벡터(R4→R5→S4→S5→T4→T5→R4)에 따른 권선구조에 대응하는 18펄스 방식의 정류기(이하, 보상전 정류기라 부른다)를 사용한 경우의 직류출력단자(P, N)간의 전압 리플 파형과, 본 실시형태에 관한 18펄스 방식의 정류기(이하, 보상을 마친 정류기라고 부름)을 사용한 경우의 직류출력단자(P, N)간의 전압 리플 파형을 함께 나타낸 파형도이다. 이들 파형도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최대 소비 전력시에서 전원측에 발생하는 고조파는 18펄스 방식의 정류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상전 정류기의 전압 리플이 저감되고, 또한 보상전 정류기에 비교하여 보상을 마친 정류기의 전압 리플이 보다 저감되어 있다.
도 7은 공기조화기의 인버터 출력 주파수가 95[rps]의 최대 주파수 운전시(소비전류 약 44A(실효값))에서의 보상전 정류기의 전원측의 전류파형(IO)과, 보상을 마친 정류기를 구성하는 변압기의 출력 전류 파형(IA)을 각각 시뮬레이션한 1사 이클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전자와 비교하여 후자의 파형 형상이 보다 매끄러운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상기 최대 주파수 운전시에서의 고조파 성분의 해석결과이다. 상기 해석결과에 의하면 보상전 정류기에서는 전류 파형(IO)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5 차 고조파가 12.9%(5.7A(실효값))였던 것이, 보상을 마친 정류기에서는 전류 파형(IA)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6.5%(2.8A(실효값))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8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제 7 차 고조파에서도 감소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도 9는 공기조화기의 인버터 출력 주파수가 95[rps]인 최대 주파수 운전시(소비전류 약 44A(실효값))에서의 보상전 정류기의 전원 전압(전압 벡터(S1-R1간 전압))(VO) 및 보상을 마친 정류기의 전원전압(VA)에 대한 권선 보상전의 변압기 출력전압(VO)(전압 벡터(R1-S3간 전압)) 및 권선보상을 마친 변압기의 출력전압(VA)의 관계를 시뮬레이션하여 얻어진 파형도이다.
상기 도면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보상전 정류기에서는 전원전압이 275.6V(피크값)인 데에 대해 변압기 출력전압은 273.1V까지 약 3V 저하하고 있는 데에 대해, 보상을 마친 정류기에서는 전원전압이 276.2V인 데에 대해 변압기 출력전압은 277.1V까지 약 1V 상승할 뿐이다.
따라서, 보상을 마친 정류기에서는 전원전압과 변압기의 출력전압의 차가 작고, 그만큼 변압기로부터 많은 전류가 흘러 고조파 성분의 저감효과가 증가하게 된다. 이것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상전 정류기의 전류파형(IO)에 비교하여 보상을 마친 정류기의 전류파형(IA)이 보다 매끄러워지는 요인도 되고 있다.
도 10은 공기조화기의 인버터 출력 주파수가 15[rps]인 최소 주파수 운전시(소비전류 약 15A)에서의 보상을 마친 정류기의 고조파 성분의 분석결과이고, 도 8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게 제 5 차 고조파의 저감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사용시에 문제가 되는 대소비 전류시의 고조파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의 변압기 벡터도에서, R상 제 1 코일(2), S상 제 1 코일(5) 및 T상 제 1 코일(8)의 양단을 각각 A만큼 더 감음으로써 대응시켜 최대 주파수의 운전시에 완전하게 매칭시키기 위해서는 R상 제 2 코일(3), S상 제 2 코일(6) 및 T상 제 2 코일(9)의 총 권수 및 중간탭 위치의 조정을 필요로 하지만, 이들 권수 및 권수비의 설정을 함께 하는 것은 매우 번잡하다. 그래서, 가장 변경이 용이한 R상 제 1 코일(2), S상 제 1 코일(5) 및 T상 제 1 코일(8)을 더 감는 것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므로, 간이한 방법으로 실용화되는 이점도 있다. 이 경우, 원호의 3등분점(R3, S2, S3, T2, T3, R2)에 대응하는 점은 원호를 3등분한 점을 지나도록 그은 직선과 외측 직선의 교점에 거의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압축기를 구동하는 18펄스 방식의 정류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적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인버터를 통하여 전동기를 가변속 제어하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등, 다른 전기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에 의해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사용 영역에서 고조파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가 얻어진다.

Claims (2)

  1. 3상 교류전원으로부터 수전(受電)한 3상 교류전압을 전파(全波) 정류하는 주정류 회로, 상기 주정류 회로의 출력을 가변 주파수의 교류로 변환하고 냉동 사이클을 형성하는 압축기를 가변속 구동하는 인버터, 상기 3상 교류전원의 3상 교류전압을 입력하고 상기 3상 교류전압에 대해서 소정 각도만큼 위상이 앞선 제 1의 3상 교류전압 및 소정 각도만큼 위상이 지연된 제 2의 3상 교류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변압기, 및 상기 변압기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및 제 2의 3상 교류전압을 각각 전파 정류하여 상기 주정류 회로의 출력측에 공급하는 제 1 및 제 2의 보조정류회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3상 교류전압을 정삼각형의 벡터도로 나타내고 상기 정삼각형의 각 정점을 중심으로 하여 나머지 2개의 정점을 연결해서 그린 원호를 3등분하여 얻어지는 2점을 지나도록 그은 직선의 외측에, 각각 상기 직선에 대해서 소정의 거리만큼 외측으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그은 외측 직선과 상기 정삼각형의 각 정점을 지나는 직선으로 육각형의 변압기 벡터도를 형성하고, 상기 변압기 벡터도를 만족하도록 상기 육각형의 각 변 중 상기 정삼각형의 각 정점을 지나는 3변을 1차 권선에 대응시키고 이들 3변에 대향하는 3변을 2차 권선에 대응시켜 각 권선단을 상기 변압기 벡터도에 따라서 차례로 접속하고, 상기 정삼각형의 각 정점에 대응하는 1차 권선의 중간탭에 상기 3상 교류전원을 접속하고, 상기 정삼각형의 각 정점으로부터 상기 원호를 3등분한 점을 지나도록 그은 직선과 상기 외측직선의 교점에 거의 대응하는 한쪽 중간탭을 상기 제 1의 3상 교류전압의 출력단으로 하고, 다른쪽 중간탭을 상기 제 2의 3상 교류전압의 출력단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거리는 압축기의 최대 회전수 근방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3상 교류전압이 3상 교류전원으로부터 수전한 3상 교류전압과 거의 동등해지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57003252A 2003-06-03 2004-05-21 공기조화기 KR100687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58215 2003-06-03
JPJP-P-2003-00158215 2003-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121A KR20050032121A (ko) 2005-04-06
KR100687375B1 true KR100687375B1 (ko) 2007-02-26

Family

ID=3350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252A KR100687375B1 (ko) 2003-06-03 2004-05-21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632729A4 (ko)
JP (1) JP4330583B2 (ko)
KR (1) KR100687375B1 (ko)
CN (1) CN100339655C (ko)
WO (1) WO20041091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6542B2 (en) 2002-06-04 2013-12-03 Hand Held Products, Inc. Apparatus operative for capture of image data
US20030222147A1 (en) 2002-06-04 2003-12-04 Hand Held Products, Inc. Optical reader having a plurality of imaging modules
CN101162871B (zh) * 2007-09-28 2012-01-25 艾默生网络能源有限公司 提升空调对电网电压和频率的适应范围的方法及其装置
WO2015111517A1 (ja) * 2014-01-24 2015-07-3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設備機器、及び設備機器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748728A1 (ru) * 1976-11-29 1980-07-15 За витель -Пульсный вентиль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SU991561A1 (ru) * 1980-06-19 1983-01-23 За витель (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ТРЕХФАЗНОГО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ЯЖЕНИЯ В ПОСТОЯННОЕ 1 Изобретение относитс к электро,технике, а именно к технике сильноточных тиристорных преобразователей, и может быть использовано дл испытани потребит.елей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большой мощности с глубоким регулированием напр жен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трехфазного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в посто нное
US5124904A (en) * 1990-08-17 1992-06-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Optimized 18-pulse type AC/DC, or DC/AC, converter system
AU644153B2 (en) * 1990-08-17 1993-12-02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Optimized 18-pulse type AC/DC, or DC/AC, converter system
JP2745298B2 (ja) * 1996-03-04 1998-04-28 株式会社千代田 昇圧型ac/dcコンバータ
JP3522078B2 (ja) * 1997-03-31 2004-04-2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3933373B2 (ja) * 2000-06-15 2007-06-20 株式会社東芝 整流器及び変圧器
US6650557B2 (en) * 2001-04-27 2003-11-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18-pulse rectification system using a wye-connected autotransfor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39655C (zh) 2007-09-26
CN1701204A (zh) 2005-11-23
EP1632729A4 (en) 2009-11-11
EP1632729A1 (en) 2006-03-08
JPWO2004109191A1 (ja) 2006-07-20
WO2004109191A1 (ja) 2004-12-16
JP4330583B2 (ja) 2009-09-16
KR20050032121A (ko)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9536B2 (en) Autotransformer AC/DC converter
US10992217B2 (en) Insulated power source and power conversion device
US9154048B2 (en) Balanced flux isolation transformer based eighteen pulse rectification scheme for use with variable frequency drives
US5781428A (en) Transformer for 12-pulse series connection of converters
US20140218982A1 (en) T-Connected Autotransformer-Based 40-Pulse AC-DC Converter for Power Quality Improvement
JPH08149811A (ja) 単相入力3相全波整流回路及び単相入力疑似4相 全波整流回路
KR100687375B1 (ko) 공기조화기
JPH11144983A (ja) チョークコイル及びこれを用いた整流平滑回路
JPH09135570A (ja) 多重整流回路
CN112820524A (zh) 多相变压器及整流器系统
JP200827175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534144B1 (ko)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JP2000232786A (ja) 12パルス電力変換装置
Enjeti et al. Autotransformer configurations to enhance utility power quality of high power AC/DC rectifier systems
US10312881B2 (en) Filters for adjustable speed drives with low DC bus capacitance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CA3143838A1 (en) Asymmetric 24-pulse autotransformer rectifier unit for turboelectric propulsion,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7394714B2 (ja) 整流用多相変圧器
GB2433653A (en) Multiplex rectifier circuit
KR200338373Y1 (ko)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JP3987778B2 (ja) 変圧器及びこれを用いた整流器
WO2023224008A1 (ja) 多相llc共振コンバータ回路
JPH0722244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4248341A (ja) 多パルス整流変圧器
AU2022270166A1 (en) Asymmetric delta multi-pulse transformer rectifier unit,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SU1116507A1 (ru) Компенсирован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в посто нно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