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373Y1 -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373Y1
KR200338373Y1 KR20-2003-0031900U KR20030031900U KR200338373Y1 KR 200338373 Y1 KR200338373 Y1 KR 200338373Y1 KR 20030031900 U KR20030031900 U KR 20030031900U KR 200338373 Y1 KR200338373 Y1 KR 200338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phase
output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옥
성 열 임
Original Assignee
성 열 임
김봉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 열 임, 김봉옥 filed Critical 성 열 임
Priority to KR20-2003-0031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3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3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코어가 제2,3,4레그 및 제2,4레그의 양측에서 자로를 연결하도록 제1및 제5레그가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며, 상기 제2,3,4레그에 3상의 입력과 출력을 이루도록 코일을 동일턴수를 가지고 중복되게 권선하며, 서로 자속이 반대방향으로 발생되도록 입력과 출력을 엇갈린 결선하고, 상기 출력에 중성선이 연결되면서 그 일측에 리액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각 상으로 전압및 전류를 분배시키도록 하여 전압및 전류의 균형을 자동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직렬의 엇갈린 결선에 의해 고조파를 저감시키며, 3상에서의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a device of decreasing harmonic with keep improve the balance of voltage and current}
본 고안은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제2,3,4레그 및 제2,4레그의 양측에서 자로를 연결하도록 제1및 제5레그가 일체로 연결되는 코어와 상기 제2,3,4레그에 각각 권선되는 제1,2차 코일을 엇갈린 결선으로 직렬연결하는 입력권선및, 상기 직렬권선의 제2차코일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면서 제2,3,4레그에 각각 권선되는 제3,4차코일을 엇갈린 결선으로 직렬연결하는 출력권선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각 상의 전압및 전류를 분배시킴으로써 전압및 전류의 균형을 자동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상 자동변압기가 출력단에 연결된 다양한 전기 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할때 분배변압기의 3상 출력단들은 분배라인을 통해 스타형으로 연결되는 3상 권선들을 포함하는 3상 변압기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각 권선의 일단은 분배라인을 통하여 중성선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권선들은 상기 중성선으로부터 출력단으로의 공통권선및 상기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단으로의 직렬권선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변압기를 사용하는 현대에서는 전자 제품의 급속한 증가로 전력라인에 고조파 발생이 증가되고, 상기의 고조파 성분은 상전류보다 큰 전류로서 중성선을 통해 전원계통으로 유조되는 경향이 있으며, 평행상태의 R상, S상, T상 전류는 120°의 위상차를 가지고 있어 중성선에 흐르는 전류는 각 상의 벡터합이 된다.
그러나, 각 상에 흐르는 고조파의 위상이 같기 때문에 중선선에는 벡터합이 스칼라합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의하여 중성선에 흐르는 전류가 0이 아니고 상전류 보다 큰 값이 과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력라인에서의 고조파 저감장치가 특허등록 제364513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부하(30)에 교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삼상 다선식 결선을 갖는 전원계통(10); 한 상의 권선 각각을 세개의 레그를 갖는 코아의 제1및 제2레그, 제2및 제3레그, 제3및 제1레그에 권선하면서 그 방향을 달리하여 동일 턴수로 권선하고, 중성선과 연결시켜 상기 부하측에서 발생된 영상 고조파 성분을 저감시키는 지그재그 트랜스포머(20);및, 전원계통과 지그재그 트랜스포머 사이에 접속되어 전원계통으로 5차 이상의 고조파 성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라인 리액터(L1~L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조파 저감장치는, 리액터가 부하측(출력측)에 직렬로 연결되어 부하측의 용량을 감안 큰 용량으로 설계제작되므로 제작비의 상승을 가져오고, 부하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라인 리액터(L1-L3)의 손실이 증가할수 있으므로 원가상승과 손실증가등의 역효과를 가져올수 있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각 상으로 입력과 출력을 두어 전압및 전류를 분배시키도록 함으로써 전압및 전류의 균형을 자동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엇갈린 결선에 의해 출력측 고조파를 저감시키도록 하고, 중성선에 흐르는 전류를 리액터를 이용하여 저감시키도록 하는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3상에서의 각상이 서로 다른 레그의 코일을 포함하므로서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하며, 고조파를 저감시킬수 있는 안정권선을 설치하여 고조파를 저감시킬수 있도록 하는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를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리액터와 변압기를 도시한 회로도
도2a,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엇갈린 결선을 도시한 벡터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변압기의 코일 연결상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변압기 코어의 권선상태도
도5a,b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의 코일 연결상태도및 코어의 권선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입력권선 40...출력권선
50...코아 50a,b,c...레그
60...리액터 70...안정권선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제2,3,4레그 및 제2,4레그의 양측에서 자로를 연결하도록 제1및 제5레그가 일체로 연결되는 코어;
상기 제2,3,4레그에 각각 권선되는 제1,2차 코일을 엇갈린 결선으로 직렬연결하는 입력권선;및,
상기 직렬권선의 제2차코일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며, 제2,3,4레그에 각각 권선되는 제3,4차코일을 엇갈린 결선으로 직렬연결하는 출력권선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전력라인과 중성선에서의 고조파를 저감시키도록 중성선에 리액터를 설치하는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하여, 상기 전력라인과 중성선에서의 전압고조파를 저감시키도록 삼각결선으로 이루어진 안정권선을 설치하는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코아(50)와 입력권선(30)및 출력권선(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코아(50)는, 제2,3,4레그(50b)(50c)(50d) 및 제2,4레그의 양측에서 연결되는 자로를 형성하도록 제1및 제5레그(50a)(50e)가 일체로 연결되는 5개의 레그를 갖는 철심이 동일방향 또는 역방향에 교대로 적층된다.
또한, 상기 코아(50)는, 외철형 또는 내철형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되며, 상기 코어(50)는,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입력권선(30)은, 상기 제2,3,4레그(50b)(50c)(50d)에 각각 권선되는 U상, V상, W상의 1차 코일(10)(14)(12)과 2차코일(15)(13)(11)을 엇갈린(지그재그)결선으로 직렬연결하고, 상기 제1코일은 시점에서 종점을 향하는 흐름을 제2코일은 종점에서 시점을 향하는 흐름을 갖으면서 동일한 턴수로 권선된다.
그리고, 상기 U상 1차코일(10)은, 그 코일 종점이 다른 전류 흐름을 갖으면서 동일한 턴수를 갖는 W상 2차코일(11)의 코일 종점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V상 1차코일(14)은 다른 전류 흐름을 갖으면서 동일한 턴수를 갖는 U상 2차코일(15)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W상 1차코일(12)은 다른 전류 흐름을 갖으면서 동일한 턴수를 갖는 V상 2차코일(13)에 직렬로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3,4레그에 각각 권선되는 제1코일(10)(14)(12)의 코일시점을 입력으로 하고, 제2,3,4레그에 각각 권선되는 제2코일(15)(13)(11)의 코일종점과 제3코일(16)(20)(18)의 코일종점을 연결하는 라인을 출력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코일및 제2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입력권선(30)으로 제3코일및 제4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출력권선(40)으로 한다.
상기 출력권선(40)은, 그 시점이 제3코일(16)(20)(18)이 입력권선(30)의 U상,V상,W상 종점인 2차코일(15)(13)(11)에 각각 직렬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출력권선(40)은, 상기 제2,3,4레그(50b)(50c)(50d)에 각각 권선되는 U상, V상, W상의 3차 코일(16)(20)(18)과 4차코일(19)(17)(21)을 엇갈린 결선으로 직렬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3코일은 종점에서 시점을 향하는 흐름을 제4코일은 시점에서 종점을 향하는 흐름을 갖으면서 동일한 턴수로 권선된다.
더하여, 상기 U상 3차코일(16)의 시점은 다른 전류 흐름을 갖으면서 동일한 턴수를 갖는 V상 4차코일(17)의 시점에 연결되는 직렬 연결이고, 상기 V상 3차코일(20)의 시점은 다른 전류 흐름을 갖으면서 동일한 턴수를 갖는 W상 4차코일(21)의 시점에 연결되는 직렬연결이며, 상기 W상 3차코일(18)의 시점은 다른 전류 흐름을 갖으면서 동일한 턴수를 갖는 U상 4차코일(19)의 시점에 연결되는 직렬연결이다.
또한, 상기 U상,V상,W상 4차코일의 종점에는 중성선(N)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중성선(N)에 리액터(60)가 연결된다.
그리고, U상,V상,W상 1차코일의 시점에 입력단이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2,3,4레그에는 삼각결선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안정권선(70)이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입력측의 결선을 역방향으로 하여 출력측의 전압을 입력측보다 상승시키며, 상기 중성선에 연결되는 리액터는 전력라인의 상황에 따라 가변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입력및 출력측에는 변압기가 연결되어 전압을 가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한편, 도5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코일만으로 이루어진 입력권선(30)과 직렬연결된 두개의 코일로 이루어진 출력권선(40')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입력권선(30)은, 상기 제2,3,4레그(50b)(50c)(50d)에 각각 권선되는 U상, V상, W상의 1차 코일(7)(9)(8)로 이루어 지며, 상기 1차코일(7)(9)(8)의 종점및 시점에 입력단과 출력단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출력권선(40')은, 입력권선(30)의 U상,V상,W상인 1차코일(7)(9)(8)에 각각 직렬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3,4레그(50b)(50c)(50d)에 각각 권선되는 U상, V상, W상의 2차 코일(1)(5)(3)의 시점과 3차코일(4)(6)(2)의 시점이 엇갈린 결선으로 직렬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3차코일은 각각 종점에서 시점을 향하는 전류의 흐름을 갖으면서 동일한 턴수로 권선된다.
더하여, 상기 U상 2차코일(1)은 동일 전류 흐름을 갖으면서 동일한 턴수를 갖는 V상 3차코일(2)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V상 2차코일(5)은 동일 전류 흐름을 갖으면서 동일한 턴수를 갖는 W상 3차코일(6)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W상 2차코일(3)은 동일 전류 흐름을 갖으면서 동일한 턴수를 갖는 U상 3차코일(4)에 직렬로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U상,V상,W상 3차코일의 종점에는 중성선(N)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중성선(N)에 리액터(60)가 연결된다.
또 한편, 상기 변압기에는 전압고조파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삼각결선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안정권선(70)을 제2,3,4레그의 설치하여 상호 연결하고, 상기 안정권선에 의해 지락사고를 최소화 할수 있다.
더하여, 상기 3상으로 투입되는 입력측의 결선을 역 방향으로 하여 이에 직렬연결되는 출력측의 전압을 입력측 보다 상승시키도록 설치되고, 상기 중성선에 연결되는 리액터는 전력라인의 상황에 따라 가변할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입력측및 출력측의 권선에 일정한 변압기를 연결하여 공급되는 전압을 가변시킬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4에서와 같이, U상 출력측은, 상기 제2레그 상에 권선된 U상 제2코일의 시점및 U상 제3코일의 종점을 포함하는 부분에 연결되고, 이때 상기 3코일에 연결되는 제4 코일은 N의 턴수(N의 양의 정수)를 가지며 반대 방향에서 자속을 발생한다.
그리고, V상 출력측은, 상기 제3레그상에 권선된 V상 제2코일의 시점및 V상 제3코일의 종점을 포함하는 부분에 연결되고, 이때 상기 3코일에 연결되는 제4 코일은 N의 턴수(N의 양의 정수)를 가지며 반대 방향에서 자속을 발생한다.
또한, W상 출력측은, 상기 제4레그상에 각각 권선된 W상 제2코일의 시점및 W상제3코일의 종점을 포함하는 부분에 연결되고, 이때 상기 3코일 및 제4 코일은 N의 턴수(N의 양의 정수)를 가지며 반대 방향에서 자속을 발생한다.
상기 U상 입력측은, 상기 제2레그 상에 권선된 U상 1코일의 시점에 연결되 고, 상기 제1 코일에 연결되는 U상 제2코일은 M의 턴수(M은 양의 정수)를 가지며 서로 반대 방향에서 자속을 발생한다.
상기 V상 입력측은, 상기 제3레그 상에 권선된 V상 1코일의 시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1코일에 연결되는 V상 제2코일은 M의 턴수를 가지며 반대 방향에서 자속을 발생한다.
상기 W상 입력측은, 상기 제4레그 상에 권선된 W상 1코일의 시점에 연결되고, 상기 W상 제1코일에 연결되는 W상 제2코일은 M의 턴수를 가지며 반대 방향에서 자속을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엇갈린 결선에 의하면, 상기 코아의 레그들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들을 통하여 흐르는 고조파 전류는 극성이 반대인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값을 갖게 되고, 이러한 권선들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야기된 자속 또한 동일하며 반대의 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엇갈린 결선의 변압기에 임피던스가 높고, 상대적으로 전력라인및 중성선의 임피던스가 낮아 전력라인(입력)과 중성선에서 발생되는 고조파를 전압고조파는 별도의 안정권선을 설치하여 저감시키고, 전류고조파는 중성선에 연결되는 리액터로서 저감시키므로 양질의 전력을 공급하여 고조파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하며, 고효율의 에너지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5에서와 같이, 상기 입력권선(30)은, 상기 U상, V상, W상의 1차 코일(7)(8)(9)의 종점및 시점에 입력단과 출력단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출력권선(40')은, 입력권선(30)의 U상,V상,W상인 1차코일(7)(9)(8)에 각각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U상 출력은, U상 2차코일(1)이 동일 전류 흐름을 갖으면서 동일한 턴수를 갖는 V상 3차코일(2)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V상 2차코일(5)이 동일 전류 흐름을 갖으면서 동일한 턴수를 갖는 W상 3차코일(6)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W상 2차코일(3)이 동일 전류 흐름을 갖으면서 동일한 턴수를 갖는 U상 3차코일(4)에 직렬로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입력측의 결선을 역방향으로 하여 출력측의 전압을 입력측보다 상승시키며, 상기 중성선에 연결되는 리액터는 전력라인의 상황에 따라 가변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입력및 출력측에는 변압기가 연결되어 전압을 가변하도록 설치된다.
이에따르면, 상기 코아의 레그들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들을 통하여 흐르는 고조파 전류는 극성이 반대인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값을 갖게 되고, 이러한 권선들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야기된 자속 또한 동일하며 반대의 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엇갈린 결선의 변압기에 임피던스가 높고, 상대적으로 전력라인및 중성선의 임피던스가 낮아 전력라인(입력)과 중성선에서 발생되는 고조파를 전압고조파는 별도의 안정권선을 설치하여 저감시키고, 전류고조파는 중성선에 연결되는 리액터로서 저감시키므로 양질의 전력을 공급하여 고조파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하며, 고효율의 에너지를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각 상의 공통 권선(및/또는 직렬권선)은 자신의 상의 레그 상에 권선된 코일 뿐만 아니라 다른 상과 연관된 레그 상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비록 특별한 상의 전압 및 전류가 상당히 변화할지라도, 상기변화들은 완화된다.
이것은, 상기 상들 사이의 전압들과 전류들의 균형 및 상기 변압기의 출력단에 연결된 전기 장치들의 효율적인 동작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압기에서 3상 입력 전압들 및 출력 전압들 사이의 불균형이 상당히 개선된다.
또한, N상에 연결되는 리액터를 통하여 스칼라 합을 최소화 하여 고조파 전류의 발생을 최소화 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고조파 저감장치를 적용하여 각 상태 즉 단식변연 엇갈린 견선, 2중 엇갈린 결선, 단식변연 엇갈린 결선에 리액터 연결, 단식변연 엇갈린 결선에 리액터및 안정권선 연결, 이중 엇갈린 결선에 리액터 연결, 이중 엇갈린 결선에 리액터및 안정권선 연결 할때의 전류및 전압의 변동사항을 살펴보면,
[살험예1]
단식변연 엇갈린 결선시의 UVW상 입력측의 측정 전압값은 각각 378.3V 369.5V 377.8V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75.2V 이며, 이때의 전류값은 31.74A 34.75A 33.51A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3.33A 이고, 전압에 대한 고조파가 5.80로 전류에 대한 고조파가 22.32로 각각 나타 났습니다.
이에 따른 출력측의 측정 전압값은 각각 366.6V 358.3V 366.9V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63.9V 이며, 이때의 전류값은 27.31A 38.37A 36.24A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3.97A 이고, 전압에 대한 고조파가 2.60로 전류에 대한 고조파가 13.94로 각각 나타 났습니다.
이를 비교하면, 출력측의 전압과 전류의 고조파는 안정적이나 입력측의 전압과 전류고조파는 증가함을 알수 있습니다.
[실험예2]
이중 엇갈린 결선시의 UVW상 입력측의 측정 전압값은 각각 379.7V 374.5V 379.3V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77.8V 이며, 이때의 전류값은 37.03A 25.85A 33.43A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2.10A 이고, 입력전압에 대한 고조파가 2.30로 전류에 대한 고조파가 50.79로 각각 나타 났습니다.
이에 따른 출력측의 측정 전압값은 각각 349.8V 354.6V 354.9V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53.1V 이며, 이때의 전류값은 25.56A 33.31A 36.98A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1.95A 이고, 전압에 대한 고조파가 2.29로 전류에 대한 고조파가 47.93로 각각 나타 났습니다.
이를 비교하면, 출력측과 입력측의 전압고조파는 안정적이고, 입력과 출력의 전류고조파는 증가함을 알수 있습니다.
[실험예3]
단식변연 엇갈린 결선에 리액터연결시의 UVW상 입력측의 측정 전압값은 각각 375.9V 367.1V 375.6V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72.9V 이며, 이때의 전류값은 29.92A 33.89A 35.01A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2.94A 이고, 전압에 대한 고조파가 7.26로 전류에 대한 고조파가 15.04로 각각 나타 났습니다.
이에 따른 출력측의 측정 전압값은 각각 366.2V 357.6V 366.4V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63.4V 이며, 이때의 전류값은 27.40A 38.41A 36.26A로 측정되어 그평균값이 34.03A 이고, 전압에 대한 고조파가 6.49로 전류에 대한 고조파가 13.94로 각각 나타 났습니다.
이를 비교하면, 입력과 출력의 전류고조파는 안정적이나 입력과 출력의 전압고조파는 증가함을 알수 있습니다.
[실험예4]
이중 엇갈린 결선에 리액터연결시의 UVW상 입력측의 측정 전압값은 각각 380.2V 375.5V 379.9V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78.5V 이며, 이때의 전류값은 33.64A 27.11A 34.61A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1.79A 이고, 전압에 대한 고조파가 6.75로 전류에 대한 고조파가 15.94로 각각 나타 났습니다.
이에 따른 출력측의 측정 전압값은 각각 349.5V 354.0V 354.1V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52.5V 이며, 이때의 전류값은 26.94A 34.37A 33.53A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1.61A 이고, 전압에 대한 고조파가 2.10으로 전류에 대한 고조파가 12.73로 각각 나타 났습니다.
이를 비교하면, 입력과 출력의 전류고조파는 안정적이고 출력의 전압고조파 역시 안정적이나, 입력측의 전압고조파는 증가함을 알수 있습니다.
[실험예5]
단식변연 엇갈린 결선에 리액터및 안정권선 연결시의 UVW상 입력측의 측정 전압값은 각각 377.6V 369.5V 378.5V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75.2V 이며, 이때의 전류값은 29.58A 33.92A 34.72A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2.74A 이고, 전압에 대한 고조파가 6.91로 전류에 대한 고조파가 15.84로 각각 나타 났습니다.
이에 따른 출력측의 측정 전압값은 각각 365.2V 357.2V 366.6V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63.0V 이며, 이때의 전류값은 26.64A 37.89A 35.89A로 측정되어 그 평균값이 33.47A 이고, 전압에 대한 고조파가 1.95로 전류에 대한 고조파가 15.27로 각각 나타 났습니다.
이를 비교하면, 입력과 출력측 전압은 안정권선에 의해 고조파가 저감되며, 전류고조파는 리액터로서 저감되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각 상으로 전압및 전류를 분배시키도록 하여 전압및 전류의 균형을 자동적으로 유지하고, 엇갈린 결선에 의해 출력측 고조파를 저감시키며, 중성선에 리액터를 설치하여 전류고조파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3상에서의 각상이 서로 다른 레그의 코일을 포함하므로서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하며, 전압 고조파를 저감시킬수 있는 안정권선(삼각결선)을 설치하여 전압 고조파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일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고,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기술을 가진자가 본 고안의 더 넓은 측면에서 본 고안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변경 및 수정 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것으로부터 이제 명백하게 될 것이며,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본 고안의 진정한 정신 내에서 행해지는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은 본 고안이다.

Claims (10)

  1. 코어가 제2,3,4레그 및 제2,4레그의 양측에서 자로를 연결하도록 제1및 제5레그가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며, 상기 제2,3,4레그에 3상의 입력과 출력을 이루도록 동일턴수를 가지고 중복되게 코일이 권선되며, 각각의 코일은 직렬연결되고, 상기 입력과 출력은 자속이 반대방향으로 발생되도록 입력과 출력이 엇갈린 결선을 하며, 상기 출력에 중성선이 각가 연결되면서 그 일측에 리액터가 연결되는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선에 삼각결선으로 이루어진 안정권선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의 결선을 역방향으로 하여 출력측의 전압을 입력측보다 상승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선에 연결되는 리액터는 전력라인의 상황에 따라 가변가능토록 설치되는 특징으로 하는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및 출력측에 일정한 변압기를 설치하여 전압을 가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6. 코어가 제2,3,4레그 및 제2,4레그의 양측에서 자로를 연결하도록 제1및 제5레그가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며, 상기 제2,3,4레그에 설치되는 단일권선의 입력측및 동일턴수를 가지고 중복되게 코일이 권선되는 출력측으로 구성되고, 입,출력측의 자속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발생되도록 결선되고, 상기 출력에 중성선이 연결되면서 그 일측에 리액터가 연결되는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선에 삼각결선으로 이루어진 안정권선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측의 결선을 역방향으로 하여 출력측의 전압을 입력측보다 상승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선에 연결되는 리액터는 전력라인의 상황에 따라 가변가능토록 설치되는 특징으로 하는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및 출력측에 일정한 변압기를 설치하여 전압을 가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KR20-2003-0031900U 2003-10-10 2003-10-10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KR200338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900U KR200338373Y1 (ko) 2003-10-10 2003-10-10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900U KR200338373Y1 (ko) 2003-10-10 2003-10-10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423A Division KR100534144B1 (ko) 2003-10-09 2003-10-09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373Y1 true KR200338373Y1 (ko) 2004-01-13

Family

ID=4934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900U KR200338373Y1 (ko) 2003-10-10 2003-10-10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3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257B1 (ko) 2004-11-04 2006-09-15 주영님 3상 정전압 절전기
US7629786B2 (en) 2004-08-25 2009-12-08 Sung Ho Lee Device for reducing harmonics in three-phase poly-wire power lin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9786B2 (en) 2004-08-25 2009-12-08 Sung Ho Lee Device for reducing harmonics in three-phase poly-wire power lines
KR100624257B1 (ko) 2004-11-04 2006-09-15 주영님 3상 정전압 절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1113A (en) Transformers for multipulse AC/DC converters
US5455759A (en) Symmetrical, phase-shifting, fork transformer
KR100198207B1 (ko) 스테이틱 변환기시스템
CA2576990C (en) Auto-transformer for use with multiple pulse rectifiers
US9054599B2 (en) Power converter and integrated DC choke therefor
US9154048B2 (en) Balanced flux isolation transformer based eighteen pulse rectification scheme for use with variable frequency drives
US5781428A (en) Transformer for 12-pulse series connection of converters
US6466466B1 (en) Stable artificial neutral point in a three phase network of single phase rectifiers
US6191968B1 (en) Wye connected 3-phase to 9-phase auto-transformer with reduced winding currents
US4493016A (en) Rectifier transformer
US7750782B1 (en) Nine-phase autotransformer
JP2008178180A (ja) 整流回路
JP3591548B2 (ja) 多重整流回路
KR100364513B1 (ko) 전력라인에서의 고조파 저감장치
KR100534144B1 (ko)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US7719858B1 (en) Fifteen-phase autotransformer
US6982884B1 (en) Autotransformers to parallel AC to DC converters
EP0920112B1 (en) Brushless three-phase synchronous generator having enhanced rotor field system
KR200338373Y1 (ko) 전압과 전류의 균형을 개선한 고조파 저감장치
JP5033898B2 (ja) 受電設備
JPH11122953A (ja) 電圧形インバータ
CN213519516U (zh) 三相磁性组件以及一体化的芯体
US5731971A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phase-shifted power outputs
JPH1132437A (ja) 三相4線式低圧配電システム
JPH11266586A (ja) Ac/dc間電力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4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