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959B1 -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959B1
KR100685959B1 KR1020000001368A KR20000001368A KR100685959B1 KR 100685959 B1 KR100685959 B1 KR 100685959B1 KR 1020000001368 A KR1020000001368 A KR 1020000001368A KR 20000001368 A KR20000001368 A KR 20000001368A KR 100685959 B1 KR100685959 B1 KR 100685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uty ratio
load
voltage leve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9109A (ko
Inventor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1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959B1/ko
Publication of KR20010069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현재 전원 전압 상태에 상관없이 항상 정확한 모터 회전속도 및 토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용교류 전원을 소정 직류 레벨로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와, 모터와, 정류부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소정 듀티비에 맞는 펄스형태로 모터에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부와, 직류전원의 전압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감지부와, 무부하시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 설정레벨과 부하 구동시 전압 감지부에서 출력된 전압레벨의 비율에 따라 듀티비가 가변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모터의 회전수 및 토크를 설정레벨로 유지시키기 위한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해당 제품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듀티비/회전수/토크

Description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 및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DUTY RATE OF MOTOR}
도 1은 일반적인 모터 구동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레이아웃도
도 2는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레이아웃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듀티비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정류부 22: 모터
23: 스위칭부 24: 전압 감지부
25: 마이컴 C2: 커패시터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 듀티비(Duty rate)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방법으로 PWM(Pulse Width Modulation)방식 즉, 펄스 폭 변조방식을 들 수 있다.
이때 펄스 폭 변조방식은 모터의 회전속도에 맞도록 구동 펄스의 폭을 가변시키는 방법으로, 구동 펄스의 폭을 가변시키는 것은 듀티비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듀티비는 펄스의 한 주기중 펄스 '온'구간의 비율로 정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듀티비가 '1'이라는 것은 구동 펄스의 한 주기가 계속 '온'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듀티비가 '0.5'라는 것은 구동 펄스의 반 주기동안 '온', 나머지 반 주기동안 '오프'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해당 제어부에는 모터 회전수에 따른 듀티비가 설정되어 있고 설정된 듀티비에 따라 모터의 회전수 및 토크(Torque)가 제어된다.
이와 같은 PWM 방식이 적용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교류 전원을 소정 직류 레벨로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11), 정류부(11) 출력의 안정화를 위한 커패시터(C1), 모터(12), 상기 커패시터(C1)를 경유한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소정 듀티비를 갖는 펄스형태로 상기 모터(12)에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부(13), 모터(12)의 회전수에 상응하도록 상기 스위칭부(13)에서 출력되는 구동 펄스의 듀티비를 제어하는 마이컴(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류부(11)를 통해 정류된 직류 전원이 커패시터(C1)를 통해 스위칭부(13)에 공급된다.
이어서 마이컴(14)은 설정된 회전수에 상응하는 소정 듀티비의 구동 펄스가 모터(12)에 공급되도록 스위칭부(13)를 제어한다.
따라서 모터(12)는 스위칭부(13)에서 출력되는 구동 펄스에 따라 동작하여 해당 부하를 구동시킨다.
이때 도 2와 같이, 무부하시 모터(12)에 인가되는 직류전압의 레벨이 'Vdcm'이고 이 전압레벨의 변동이 없다는 전제하에 소정 듀티비의 구동 펄스를 공급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데, 부하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전압 리플(Ripple)이 발생하므로 실제 직류전압 레벨은 'ΔV' 만큼의 가변 범위를 갖는 'Vdc'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부하가 정지된 경우와 동일한 듀티비로 동작시킬 경우 모터의 회전수 및 토크가 실제 요구치와 다르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터는 현재 전원 전압 상태에 상관없이 동일한 듀티비로 모터를 제어하므로 회전수 및 토크의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현재 전원 전압 상태에 상관없이 항상 정확한 모터 회전속도 및 토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는 상용교류 전원을 소정 직류 레벨로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와, 모터와, 정류부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소정 듀티비에 맞는 펄스형태로 모터에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부와, 직류전원의 전압레벨을 감 지하기 위한 전압 감지부와, 무부하시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 설정레벨과 부하 구동시 전압 감지부에서 출력된 전압레벨의 비율에 따라 듀티비가 가변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모터의 회전수 및 토크를 설정레벨로 유지시키기 위한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듀티비 제어방법은 부하 정지시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부하 구동시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부하 정지시 모터 인가전압 레벨과 부하 구동시 모터 인가전압 레벨의 비율에 따라 듀티비를 가변시켜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레이아웃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듀티비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교류 전원을 소정 직류 레벨로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21), 정류부(21) 출력의 안정화를 위한 커패시터(C2), 모터(22), 상기 커패시터(C2)를 경유한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소정 듀티비에 맞는 펄스형태로 상기 모터(22)에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부(23), 상기 커패시터(C2)에 연결되어 모터(22)에 인가되는 직류전원의 전압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감지부(24), 무부하시 모터(22)에 인가되는 전압 설정레벨과 부하 구동시 상기 전압 감지부(24)에서 출력된 전압레벨의 비율에 따라 듀티비가 가변되도록 상기 스위칭부(23)를 제어하는 마이컴(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듀티비 제어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이 공급되면(S41), 마이컴(25)은 무부하 상태에서 즉, 부하(예를 들어, 압축기)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전압 감지부(24)를 통해 감지된 전압(VdcM) 값을 저장한다(S42).
이어서 부하가 구동중인지 판단하여(S43), 부하가 구동중이면 전압 감지부(24)를 통해 현재 모터(22)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Vdc)을 검출한다(S44).
Figure 112000000542544-pat00001
여기서, 'VdcM'는 무부하시 모터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레벨이고, 'DutyM'는 무부하시 모터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레벨을 기준으로 설정된 듀티비이며, 'Vdc'는 부하 구동시 실제 모터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레벨이다.
그리고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부하 구동에 따라 전원전압에 발생된 리플을 보상하기 위한 듀티비를 산출한다(S45). 즉, 무부하시 모터(22)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레벨을 부하 구동시 실제 모터(22)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레벨로 나누고 그 값에 기설정된 듀티비를 곱하여 산출한다.
이어서 상기 산출된 듀티비로 모터(22)의 구동을 제어한다(S46).
결국, 본 발명은 현재 모터(22)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레벨이 무부하시 직류전압레벨보다 낮으면 모터(22)의 회전수 및 토크가 감소되므로 상기 부족분 만큼 듀티비를 증가시켜 회전수 및 토크를 보상하고 현재 모터(22)에 인가되는 직류 전압레벨이 무부하시 직류전압레벨과 동일하면 회전수 및 토크 보상이 필요 없으므로 기설정된 듀티비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 및 방법은 부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 리플을 듀티비 제어에 의해 보상하므로 항상 설정된 회전수 및 토크를 유지한 상태로 모터를 구동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용교류 전원을 소정 직류 레벨로 정류하기 위한 정류부,
    모터,
    상기 정류부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소정 듀티비에 맞는 펄스형태로 상기 모터에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부,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감지부,
    무부하시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 설정레벨과 부하 구동시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출력된 전압레벨의 비율에 따라 듀티비가 가변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모터의 회전수 및 토크를 설정레벨로 유지시키기 위한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
  2. 모터 듀티비 제어방법에 있어서,
    부하 정지시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부하 구동시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부하 정지시 모터 인가전압 레벨과 부하 구동시 모터 인가전압 레벨의 비율에 따라 듀티비를 가변시켜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부하 정지시 모터 인가전압 레벨과 부하 구동시 모터 인가전압 레벨의 비율에 따라 듀티비를 가변시켜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는,
    부하 정지시 모터 인가전압 레벨을 부하 구동시 모터 인가전압 레벨로 나누는 단계와,
    상기 연산결과에 현재 설정된 모터 회전수에 따라 기설정된 듀티비를 곱하고 그 연산결과에 따른 듀티비로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듀티비 제어방법.
  3. 삭제
KR1020000001368A 2000-01-12 2000-01-12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8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368A KR100685959B1 (ko) 2000-01-12 2000-01-12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368A KR100685959B1 (ko) 2000-01-12 2000-01-12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109A KR20010069109A (ko) 2001-07-23
KR100685959B1 true KR100685959B1 (ko) 2007-02-23

Family

ID=1963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368A KR100685959B1 (ko) 2000-01-12 2000-01-12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963B1 (ko) * 2001-09-14 200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역률 개선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573A (ja) * 1983-07-16 1985-02-19 Fuji Electric Co Ltd 転流コンデンサの補充電方式
JPS60245495A (ja) * 1984-05-21 1985-12-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バ−タの制御装置
JPS61170281A (ja) * 1985-01-23 1986-07-31 Fuji Electric Co Ltd パルス幅変調インバ−タの制御装置
JPS62181676A (ja) * 1986-02-05 1987-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バ−タ装置
JPH01274397A (ja) * 1988-04-26 1989-11-02 Shimadzu Corp X線高電圧装置
KR19990047300A (ko) * 1997-12-03 1999-07-05 윤종용 모터 구동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573A (ja) * 1983-07-16 1985-02-19 Fuji Electric Co Ltd 転流コンデンサの補充電方式
JPS60245495A (ja) * 1984-05-21 1985-12-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バ−タの制御装置
JPS61170281A (ja) * 1985-01-23 1986-07-31 Fuji Electric Co Ltd パルス幅変調インバ−タの制御装置
JPS62181676A (ja) * 1986-02-05 1987-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バ−タ装置
JPH01274397A (ja) * 1988-04-26 1989-11-02 Shimadzu Corp X線高電圧装置
KR19990047300A (ko) * 1997-12-03 1999-07-05 윤종용 모터 구동제어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473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109A (ko) 200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44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e drive pump control
KR0127912B1 (ko) 유도 전동기 전력공급 제어장치
US6424798B1 (en) Device for controlling sensorless brushless-DC-motor
US200802246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tating Electromechanical Actuators
EP1289117A2 (en) Engine generator
JPH11356081A (ja) インバータ装置
KR20050003998A (ko) 유도전동기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US7332870B2 (en) Driving voltage controller for light-emitting source
KR100685959B1 (ko) 모터 듀티비 제어장치 및 방법
US5612605A (en) Auto boost for voltage/frequency motor controller
US7588422B2 (en) Pump driv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KR100452993B1 (ko) 인버터공기조화기의 인버터모터 제어회로 및 방법
JP2664442B2 (ja) 無整流子電動機の駆動回路
KR100449123B1 (ko) 고청정을 위한 비엘디씨 모터 구동형 팬필터 유닛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그비엘디씨 모터 구동형 팬필터 유닛 제어시스템을 관리하는관리시스템
KR930003236B1 (ko) Pwm-제어, 가변전압/가변주파수형 인버터 제어장치
JP4415428B2 (ja) モータの制御方法
KR20000009228A (ko) 유도전동기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3528525B2 (ja) モータの回転速度制御回路
KR101318152B1 (ko) 여자기 제어장치
KR100283147B1 (ko) 인버터 냉장고의 비엘디씨 모터 구동방법
KR100786016B1 (ko) 입력전압 변경에 의한 직류모터의 구동속도 제어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JP2005237094A (ja) モータ駆動装置及びモータ起動方法
JP4453333B2 (ja) 定周波定電圧電源装置
EP3537599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and control method of apparatus for controlling linear compressor
JPH07231667A (ja) インバ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