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246B1 - 스프링 장착 롤러를 구비한 롤업식 후면 창문용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스프링 장착 롤러를 구비한 롤업식 후면 창문용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246B1
KR100685246B1 KR1020010014284A KR20010014284A KR100685246B1 KR 100685246 B1 KR100685246 B1 KR 100685246B1 KR 1020010014284 A KR1020010014284 A KR 1020010014284A KR 20010014284 A KR20010014284 A KR 20010014284A KR 100685246 B1 KR100685246 B1 KR 100685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oll
winding shaft
pull rod
bl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052A (ko
Inventor
슐레히트베르너페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1009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4Draw bars, including elements attached to it, e.g. sliding shoes, gripping elements or pull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5Pivoting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60J1/208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for rear windows

Abstract

롤업식(roll-up) 후면 창문용 블라인드(5)는 조작 레버(9, 11)의 도움으로 풀려나온다. 이들 조작 레버(9, 11)는 상기 블라인드(5)의 풀 로드(13)를 유일하게 지지하는 요소이다. 후면 창유리(4) 내부의 열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안내 롤러(56)는 풀 로드(13)의 외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안내 롤러(56)가 후면 창유리(4)에 대해 압박되는 힘이 예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스프링의 작용으로 안내 롤러(56)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기구(42, 70)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스프링 장착 롤러를 구비한 롤업식 후면 창문용 블라인드{REAR-WINDOW ROLL-UP BLIND WITH SPRING-MOUNT ROLLERS}
도 1은 차량에 배치된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가 풀려나와 있는 상태를 차량의 외부에서 보고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풀 로드 내에서 활주하는, 도 1의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의 조작 레버 중 하나의 자유 단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안내 요소 중 하나에 부속된 하우징이 출구 슬롯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순간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안내 요소에 부속된 하우징이 창유리와 접촉하기 직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롤업식 블라인드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 중 하나의 기부 지점의 측부 베어링의 분해도.
도 7은 도 6의 베어링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롤업식 후면 창문용 블라인드
7: 출구 슬롯
9, 11: 조작 레버
13: 풀 로드
19: 조작 로드
25: 헤드 스트립
53: 안내 푸셔
56: 안내 롤러
독일 특허 출원 제198 35 257호에는 자동차 후면의 창유리에 사용되는 롤업식(rolll-up) 창유리 블라인더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 블라인드 재료는 2개의 클램핑 레버에 의해서만 클램핑 및 지지되어 있다. 이들 클램핑 레버는 잘 구부러지지 않는 속성을 갖고 있으며, 와인딩 샤프트 옆에 위치하는 피봇부에 지지되어 있고, 이 와인딩 샤프트의 축선과 상기 클램핑 레버의 축선은 직교한다. 와인딩 샤프트에는 블라인드 재료가 감기는 방향으로 스프링 모터에 의해 예응력이 인가되며, 클램핑 레버는 전기 모터의 작용으로 선회하게 된다. 블라인드가 감겨들어간 위치에서는 클램핑 레버가 와인딩 샤프트와 평행하고, 블라인드가 풀려나온 위치에서는 클램핑 레버가 와인딩 샤프트와 직교한다.
클램핑 레버는 비교적 강성이 있는 재료로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잘 구부러지지 않도록 지지되어야 하나, 차량이 통상적으로 흔들리는 경우에 전혀 진동하지 않을 정도로 지지되어서는 안된다.
특히 블라인드가 풀려 나왔을 때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풀 로드(pull rod)가 후면 창유리와 부딪치는 원인이 되는 이러한 진동을 피하기 위해서는, 블라인드가 풀려나와 풀 로드가 이동 경로 범위의 끝부분에 가까워지면 클램핑 레버가 안내 스키드(skid)의 도움으로 풀 로드를 창유리에 대해 압박하도록 클램핑 레버를 경사지게 배치해야 한다. 이동 경로의 하부 범위에서는, 클램핑 레버와 풀 로드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데, 이는 후면 창유리가 경사져 있고 와인딩 샤프트가 굴곡진 후면 창유리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후면 창유리 안쪽의 열선이 손상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풀 로드에는 소형 롤러 또는 소형 휠의 형태로 안내 요소가 마련된다. 이 소형 휠은 블라인드가 감겨들어간 상태에서는 풀 로드의 외형 뒤에서 후방으로 압박되며, 따라서 블라인드가 감겨들어가면 출구 슬롯이 거의 완전히 폐쇄된다.
공지된 블라인드의 경우, 블라인드가 풀려나온 상태에서 안내 롤러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안내 롤러의 압력은 안내 롤러가 특정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설치됨으로써 발생한다. 설치 과정의 공차로 인해서 안내 롤러의 압력이 무시할 수 없는 정도로 변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발명의 과제는 안내 요소의 압력이 설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차의 영향을 덜 받는, 특히 자동차 후면의 창유리에 사용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특징부에 따른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에 의해 해결된다.
새로운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에 따르면, 안내 요소에 창유리와 수직인 방향으로 유연성을 부여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이 방식에 의하면, 설치 과정의 공차로 인해서 와인딩 샤프트의 위치가 바람직한 이론적 범위에서 벗어날 때, 및/또는 조작 요소가 움직일 때 위치하는 평면와 창유리와의 각도가 바람직한 이론적 범위와 상이할 때에도 안내 요소가 창유리에 대해 갖는 압력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안내 요소는 롤러 또는 슬라이드 스키드(slide skid)로서 임의로 구성될 수 있다.
안내 요소에 창유리와 수직인 방향으로 원하는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수단은 다른 방식으로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가능한 예의 하나로서, 안내 요소를 풀 로드에 유연하게 지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안내 요소의 지지체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소형 하우징을 마련하는 것이 적절하며, 이 하우징은, 예를 들면 풀려나온 블라인드 재료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과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는 푸셔(pusher)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원하는 유연성을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가능한 예로는, 특정 클램핑 레버를 고정 위치에 지지하는 베어링의 형상을 적절하게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면 또는 어깨부로 둘러싸인 보어를 관통하는 칼라(collar)를 갖는 피봇부를 베어링에 사용할 수 있다. 피봇부는 본체에 부착되거나 조작 요소에 위치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어는 클램핑 레버에 형성되거나, 와인딩 샤프트를 마찬가지로 지탱 또는 지지하는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원판형 스프링, 판 스프링 또는 샤프트 스프링의 도움으로 접촉면이 피봇부의 칼라에 대해 압박됨으로써 원하는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피봇부의 직경을 보어에 대해 적절한 크기로 구성함으로써 조작 요소가 어느 정도로 경사지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작 요소가 피봇부의 축선 둘레뿐만 아니라, 피봇부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제한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세번째 가능성으로서 조작 요소 자체에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관 형태 대신에 밴드 스프링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은 밴드 스프링에 비해 잘 구부러지지 않으며, 와인딩 샤프트가 후면 창유리와 매우 가까울 때 바람직하지 않은 큰 힘을 초래하거나, 이들 사이의 거리가 멀 때에는 너무 작은 힘을 인가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와인딩 샤프트는 조립식 구성이 선호되는 경우에는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와인딩 샤프트가, 블라인드 재료가 풀려올라올 때에 통과하는 해트 래크(hat rack) 아래에 배치되어 조작 요소의 작용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프레임에 지지될 수 있다.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를 구동하기 위해서 스프링 구동 장치와 전기 구동 장치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스프링 구동 장치는 종속 장치로서 기능하며, 풀 로드의 위치는 자기 억제 전기 모터에 의해 정의된다. 이 전기 모터는 와인딩 샤프트 또는 조작 요소를 구동할 수 있으며, 이들 경우에 스프링 구동 장치는 다른 구성 요소에 각각 결합된다.
조작 요소로는 단순한 레버를 사용하거나, 2개의 토글 레버 부분으로 이루어진 토글 레버를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조작 요소와 풀 로드 사이에서 미끄럼 운동이 필요할 수도 있으며, 또한 추가적인 힌지가 불안정성을 제공하거나, 안내 요소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외의 본 발명의 개선점들은 종속항들의 목표이다.
첨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후방에서 본 자동차(1)의 후면을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사시도에는, 좌측 후방 창문(2)과, 보통 굴곡진 창유리(4)가 장착되어 있는 후면 창문(3)이 도시되어 있다. 창유리(4)의 내측부 전방에는 풀려 나온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롤업식 블라인드(5)가 위치한다.
또한, 도 1에는 파단 개방된 해트 부착 구역(hat deposit area)(6)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해트 부착 구역에는 이 구역의 폭을 따라 연장되는 출구 슬롯(7)이 형성되어 있다.
롤업식 블라인드(5)에는 와인딩 샤프트(8)와, 2개의 조작 레버(9 및 11)와, 블라인드 재료(12)와, 풀 로드(13)가 포함된다.
해트 래크(6) 중 파단 개방된 부분으로부터 볼 수 있는 와인딩 샤프트(8)는, 자세하게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 장치에 의해 해트 부착 구역(6) 아래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와인딩 샤프트(8)의 내부에는, 블라인드 재료(12)가 감기는 방향으로 와인딩 샤프트(8)에 일정한 장력을 인가하는 스프링 모터가 위치한다. 와인딩 샤프트(8)는 직선형의 출구 슬롯(7)의 하부에서 이 출구 슬롯(7)과 평행하게 수평 방향으로 위치한다.
블라인드 재료(12)는 천공된 매끄러운 플라스틱 포일로 이루어지며, 한쪽 엣지는 와인딩 샤프트(8)에 부착되고, 그와 평행한 다른쪽 엣지(14)는 풀 로드(13)에 부착된다.
2개의 조작 레버(9 및 11)는 서로 거울상인 관계에 있으므로, 이들 중 하나의 조작 레버(9)에 대한 설명은 나머지 조작 레버(1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조작 레버(9)는 레버 부분(15) 및 레버 부분(16)을 갖춘 2개의 아암 레버이다. 이들 레버 부분 사이의 전이점에는 베어링 보어(17)가 위치하며, 이 베어링 보어(17)의 도움으로 조작 레버(9)가 베어링 피봇부(1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베어링 피봇부(18)는 출구 슬롯(7) 옆에 위치하는 해트 부착 구역(6)의 파단된 부분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베어링 피봇부(18)는 조작 레버(9)가 창유리(4)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움직이도록 정렬되어 있다.
조작 레버(9)는 레버 부분(15)이 와인딩 샤프트(8)와 대략 평행하게 이동하는 위치로부터, 레버 부분(15)이 후면 창문(3)의 측방향 경계부 엣지와 대략 평행하게 되는 위치까지 움직일 수 있다.
이들 두 최종 위치 사이에서 조작 레버(9)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조작 레버(9)의 하부 레버 부분(16)이 조작 로드(19)를 통해 구동 모터(20)와 연결되어 있다. 조작 로드(19)는 와인딩 샤프트(8)와 평행하며, 마찬가지로 구동 장치(20)와 함께 해트 부착 구역(6) 하부에 위치한다. 조작 레버(11)는 조작 레버(9)와 거울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응하는 조작 로드를 통해 조작 레버(9)와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인다.
블라인드가 풀려 나온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9 및 11)의 레버 부분(15)들이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슬롯(7)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있으며, 블라인드가 감겨 들어간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 부분(15)들이 대체로 해트 부착 구역(6) 아래로 들어가 있다.
출구 슬롯(7)은 서로 평행한 2개의 슬롯(22 및 23)으로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 슬롯은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있어서 2개의 조작 레버(9 및 11)가 방해받지 않고 통과할 수 있고, 또한 클램핑 레버(9 및 11)에서 블라인드 재료(12)를 인출할 수 있다.
블라인드가 감겨들어간 상태에서 출구 슬롯(7)은 풀 로드(13)로 덮이게 된다.
도 2에는 풀 로드(13)의 외형 및 조작 레버(9)와 풀 로드(13)의 연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풀 로드(13)의 외형은 상방으로 약간 만곡된 원통형의 비교적 좁은 스트립(25)과, 하향 연장되는 안장부(26)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풀 로드(13)는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T자형인 단면을 갖는다. 스트립(25)의 폭은 블라인드(5)가 풀려나왔을 때, 스트립(25)이 출구 슬롯을 덮고 안장부(26)가 출구 슬롯(7)을 통해 아래로 들어가도록 결정된다. 덮개 스트립(25)의 곡률 축선(curvature axis)은 풀 로드(13)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다.
안장부(26)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측면(27 및 28)으로 경계를 삼고 있으며, 이들 측면은 스트랩(25)의 하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사각형 단면을 갖는 홈(29)이 측면(28)으로부터 안장부(26) 내로 측면(27)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홈(29)은 마찬가지로 풀 로드(1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며, 조작 레버(9)의 헤드 단부(31)를 안내하는 홈의 역할을 한다.
이 헤드 단부(31)는 다중으로 구부러진 성형 부재이며, 피봇부(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관형 조작 레버(9)에 끼워져 있다. 이 조작 레버(9)의 자유 단부로부터 헤드 단부(31)는 상향 연장부(35)를 형성하며, 이 상향 연장부(35)는 원통형 피봇부(36) 내에 위치한다. 이 원통형 피봇부(36)는 레버 부분(15)의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 축선에 대해 측방향으로 약간 옵셋되어 있다.
블라인드(5)의 조작 시에 원통형 피봇부(36)가 홈(29)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스트립(25)의 하부에는 상기 홈(29)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하향 연장되는 스트립(3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트립(37)과 측면(28)과의 거리는, 이 거리 방향으로 측정한 상향 연장부(35)의 두께와 일치한다.
조작 레버(11) 또한 홈(29) 안에서 안내되는데, 조작 레버(9)와 거울상을 이루는 방식으로 안내된다.
블라인드(5)가 감겨들어간 상태에서 조작 레버(9 및 11)가 이들의 크기 때문에 홈(29) 안에서 충돌하는 경우에는, 서로 상하에 위치하는 2개의 홈(29)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에 각 홈마다 조작 레버가 하나씩 할당된다.
창유리(4)의 내측부에 대해 압박되는 풀 로드(13)가 상하로 이동할 때 열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풀 로드(13)의 양단부 근방에 안내 요소(41)가 마련된다. 이 안내 요소(41)는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출구 슬롯(7)으로부터 풀 로드(13)의 헤드 스트립(25)의 후면 창유리(4)와 인접한 엣지에 걸쳐 일정 거리만큼 돌출하고, 다른 위치에서는 창유리(4)의 외형에 대해 후방으로 압박된다.
안내 요소(41)에는 기계적인 최종 위치를 제외한 모든 중간 위치에서 적어도 대략 후면 창유리(4)와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성을 부여하는 기구(42)가 마련된다. 이 기구(42)는 후면 창유리(4)를 향한 방향으로 안내 요소(41)에 예응력을 인가하는 스프링 장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구성 요소의 세부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안내 요소(41)는 헤드 스트립(25)의 양단부에서 거울상으로 구성되므로, 안내 요소(41) 중 하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안내 요소(41) 중 하나에 대한 설명은 반대편 단부의 나머지 안내 요소에 대해서도 모든 경우에 유효하다.
안내 요소(41)에 적절한 유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전술한 기구(42)는 헤드 스트립(25)에 부착되어 있는 플라스틱 사출제 하우징(43)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43)의 단면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 하우징(43)은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2개의 측벽(44 및 45)과, 이들 측벽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횡방향 벽(46 및 47)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측벽(44 및 45)과 횡방향 벽(46 및 47)에 의해서 안내 채널(48)이 획정되며, 이 안내 채널(48)은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하우징(43)의 앞면(49)으로부터 뒷면(51)까지 연장된다.
2개의 측벽(44, 45)에 의해 하우징(43)이 헤드 스트립(25)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 구성은 안내 채널(48)이 헤드 스트립(25)의 하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며, 그 이유는 후술하는 기능과 관련된 설명으로부터 도출된다.
또한, 측벽(44, 45)은 마찬가지로 하부 횡방향 벽(47) 아래로 일정 거리만큼 연장되며, 이 연장된 하단부에서 좁은 횡방향 계단부(52)를 통해 추가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방을 향하는 원통형의 일부를 파단한 형상인 헤드 스트립(25)의 호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한 안내 채널(48)에는 푸셔(53)가 삽입되며, 이 푸셔(53)의 외부 크기는 안내 채널(48)에 맞게 결정된다. 푸셔(53)는 관형이며, 후면 창유리(4)와 인접한 단부에서 2개의 서로 평행한 다리부(54)를 이룬다. 물론, 도면에는 보는 사람쪽의 다리부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2개의 다리부(54)에는 서로 나란한 보어(55)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보어(55)는 롤러(56)에 대한 축방향 보어의 역할을 한다.
롤러(56)는 사출 성형된 저널(58)을 양측부에 구비한 허브(57)로 이루어지며, 이 허브(57) 위에는 중실 고무 타이어(59)가 위치한다. 이 타이어(59)가 다리부(54)의 내측에서 긁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축방향 저널의 직경이 다리부(54)의 내측과 허브(57)의 인접면측과의 사이에서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타이어(59)를 갖는 허브(57)를 다리부(54) 사이의 중심에 위치시키 는 간격이 형성된다. 롤러(56)의 회전 축선은 후면 창유리(4)와 대략 평행하며, 따라서 후면 창유리(4)의 내측에서 구를 수 있게 된다.
안내 채널(48) 구역에는 푸셔(53)의 양 측벽에 스프링 설형부(舌形部)(61)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서는 도면 위쪽 방향의 측벽에 위치하는 스프링 설형부를 볼 수 있다. 이 스프링 설형부(61)는 거의 직사각형인 요부(凹部)(62) 안으로 연장된다. 스프링 설형부(61)는 요부(62)의 안내 롤러(56)로부터 멀어지는 단부에서 안내 푸셔(53)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 설형부(61)에는 그 자유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엣지(63)가 마련되어 있어서 안내 푸셔(53)에 대해 바깥쪽을 향하고 안내 롤러(56)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계단부가 형성된다.
구조는 동일하지만 거울상인 추가의 스프링 설형부(61)가 안내 푸셔(53)의 보이지 않는 쪽에 위치한다. 이들 2개의 스프링 설형부(61)는 안내 푸셔(53)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들 스프링 설형부의 수준에서 2개의 측벽(44 및 45)에 수용되어 있는 직사각형 개구(64)와 협동한다.
안내 푸셔(53)와, 그것에 지지되어 있는 안내 롤러(56)를 후면 창유리(4) 방향으로 함께 밀기 위해서 2개의 레그 스프링(leg spring)(65)이 마련되며, 단면도인 도 4에는 그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 레그 스프링(65)은 2개의 다리 단부(66 및 67)를 갖는 나선형으로 감긴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레그 스프링(65)의 감겨진 부분은 측벽(44) 내부에서 하우징의 앞면(49)과 계단부(52) 사이의 아래쪽에 일체로 구성된 피봇부)(68)에 위치한다. 측벽(45)의 내측에는 또 다른 피봇부(68)가 피봇(68)부와 나란하게 위치한다. 이 또 다른 피봇부(68)에는 마찬가지로 레그 스프링(65)과 동일하게 구성된 레그 스프링이 위치한다.
레그 스프링(65)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66)에 의해 계단부(52)에 지지되어 있으며, 다른 다리부(67)는 안내 롤러(56)의 축방향 피봇부(58)와 마주해서 위치한다. 따라서, 다리부(67)는 안내 롤러(56)와, 베어링 다리부(54)의 내측부 사이 간극 내로 연장된다.
2개의 레그 스프링(65)은 안내 푸셔(53)를 안내 채널(48)로부터 하우징의 앞면(49) 쪽으로 끌어당기는 경향이 있다. 이 이동 행정은 계단부(52)가 직사각형 요부(62)의 전방 엣지와 닿을 때에 제한된다. 실제 실시예에서 가능한 이동 행정은 대락 12 mm이다. 레그 스프링(65)의 특수한 구조와 피봇부(68)의 상대적인 위치로 인해서, 완전히 밀려나온 안내 롤러(56)에는 음의 스프링 특성 곡선이 발생한다. 안내 롤러를 후면 창유리(4) 방향으로 밀어내는 추력은 레그 스프링(65)이 안내 푸셔(53)의 길이 방향과 직교할 때 가장 크다. 이 위치로부터 안내 푸셔(53)가 더 밀리게 되면 추력이 작아진다. 전술한 음의 스프링 특성 곡선은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5)가 감겨들어갔을 때, 출구 슬롯(7)에 대해 불필요하게 큰 접촉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략 평행사변형 형태인 측벽(44, 45)의 형태는 특정 설치 구조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앞면(49)과 뒷면(51) 쪽의 엣지는 풀 로드(13)가 출구 슬롯(7)으로부터 이탈하는 이동면에 대해 대략 평행하다. 또한, 2개의 횡방향 벽(46 및 47)은 앞면(49) 측의 반대편인 앞면(59) 측에서 V자형의 요부로 형성되거나 함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안내 롤러(56)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3) 내로 최대한 후퇴될 수 있다.
이하에서 작동 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블라인드(5)가 감겨 들어간 상태에서, 풀 로드(13)의 헤드 스트립(25)은 출구 슬롯(8) 양측의 해트 부착 구역(6)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런 방식으로 출구 슬롯(8)은 헤드 스트립(25)으로 완전히 덮이게 된다. 이 작동 위치에서, 안내 롤러(56)는 출구 슬롯의 후면 창유리와 인접한 엣지(22)와 마주해서 위치하는데, 이 위치는 해트 부착 구역(6)의 두께와 안내 롤러(56)로부터 헤드 스트립(25) 사이의 거리와의 관계에 따라 슬롯 엣지(22)에 직접 위치하거나 하방으로 일정 거리만큼 연장되는 연장부에 위치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2개의 레그 스프링(65)의 도움으로 안내 롤러(56)는 해트 부착 구역(6)과 맞물려서 고정된다.
또한, 블라인드(5)가 완전히 감겨 들어간 위치에서는, 2개의 조작 레버(9 및 11)가 출구 슬롯(8) 아래에서 와인딩 샤프트와 평행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블라인드(5)의 헤드 스트립(25)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 작동 위치로부터 블라인드(5)가 풀려 나오도록 하기 위해서 전기 모터(20)가 시동되며, 이 시동된 전기 모터(20)는 기어를 통해 2개의 조작 로드(19)를 서로를 향해 접근시킨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피봇부(18) 주위로 조작 레버(9)는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 레버(11)는 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전한다. 이들 조작 레버(9 및 11)는 출구 슬롯(8)으로부터 펼쳐져서 풀 로드(13)를 상승시킨다.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안내 롤러(56)는 슬롯 엣지(22)로부터 상승하며, 안내 롤러(56)가 슬롯 엣지(22)로부터 완전히 이탈해서 더 이상 접촉하지 않게 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한다.
2개의 안내 롤러(56)는 풀 로드(13)의 상당한 간격의 이동 행정 중에 풀 로드(13)의 단부에서 이 위치를 유지한다. 조작 레버(9 및 11)가 이동하는 평면은 후면 창유리(4)보다 더 큰 경사를 이루고 있는데, 왜냐하면 와인딩 샤프트가 후면 창유리(4)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안내 롤러(56)가 후면 창유리(4)의 내측부와 접촉하는 것은 안내 롤러의 상승 범위 중 상한에서만 이루어지며, 따라서 풀 로드(13)가 후면 창유리(4)의 내측부에 대해 지지된다. 따라서, 차량이 흔들림에 따라 풀 로드(13)가 회전하거나 후면 창유리에 부딪치는 일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풀 로드(13)와 후면 창유리(5)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레그 스프링(65)의 경도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설치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공차와 자동차 차체의 공차는 롤러(56)가 스프링 서스펜션하에서 행할 수 있는 이동 행정에 의해 보상되며, 안내 롤러(56)의 압력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압력은 조작 레버(9 및 11)가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과도하게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어야 하며, 이에 따라 풀 로드(13)가 후면 창유리(4)의 상부 엣지에 위치한 수용 포켓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블라인드(5)가 감겨 들어간 상태에서, 대략 10% 내지 20%의 이동 행정 후에, 안내 롤러(56)는 후면 창유리(4)의 내부와 접촉하지 않게 되며, 다시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한다. 블라인드(5)가 감겨 들어가는 이동의 말기에 안내 롤러(56)는 출구 슬롯(8)의 엣지(23)와 닿게 되어 레그 스프링(65)의 작용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블라인드(5)가 완전히 감겨들어가면, 안내 푸셔(53)는 내부 부품과 관련하여 이동 행정의 좌측단에 위치한다. 이 위치에서, 2개의 다리부(66 및 67)는 서로 예각을 이루어 슬롯 엣지(22)를 밀어내는 힘이 매우 작게 발생한다.
원하는 유연성을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가능성은 조작 레버(9 또는 11)를 지지하는 방식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방식에 적절한 베어링(70)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 역할 또는 와인딩 샤프트의 베어링을 위한 하우징 역할을 하는 돌출 압박 프로파일(71)에는 와인딩 샤프트를 위한 상응하는 연속적인 형상의 홈(72)이 마련되어 있다. 이 홈(72) 옆에는 직선형 스트립(73)이 위치하며, 이 스트립(73)의 양단부 근방에는 베어링 보어(74)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는 파단된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베어링 보어(74) 중 하나만을 볼 수 있다. 베어링 보어(74)에는 블라인드 리벳(77)의 샤프트(76)에 의해 형성된 베어링 피봇부(18)가 끼워진다.
클램핑 레버(9)가 그 이동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절하게 경사지도록 하기 위해서, 이 클램핑 레버(9)의 후방측과 스트립(73)의 전방측과의 사이에는 심(shim)(78)이 위치하며, 이 심(78)에는 칼라 슬리브(82)의 칼라(81)를 수용하도록 보어(79)가 형성되어 있다. 칼라(81)의 축방향 두께는 심(78)보다 다소 작다.
조작 레버(9)의 베어링 보어(17)는 판 스프링(84)을 수용하는 공간의 역할을 하는 함몰부(83)로 둘러싸여 있다.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판 스프링(84)은 블라인드 리벳(77)의 리벳 헤드(85)를 지지하게 될 때까지 볼록한 부분이 전방을 향하도록 해서 블라인드 리벳(77)의 샤프트(76) 내로 압입된다. 이 조립된 부분을 돌출 압박 프로파일(71)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베어링 보어(17) 내에 도입하고, 칼라 슬리브(82)를 후방으로부터 샤프트(76)에 끼운다. 이어서, 칼라(81)에 심(78)을 밀어넣는다. 마지막으로, 부품들이 끼워진 샤프트(76)를 보어(74)에 끼워넣는다. 블라인드 리벳(77)은 스트립(73)의 후면에 폐쇄 헤드(86)를 형성하는 공지된 방식으로 리벳 결합된다. 이 리벳 결합 과정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 헤드(85)를 칼라 슬리브(82)의 자유면측과 맞닿도록 끌어당긴다.
판 스프링(84)에 응력이 인가되는 정도는 함몰부(83)의 바닥과 리벳 헤드(85)의 인접 어깨부 표면과의 축방향 간극으로부터 결정된다. 이 거리는 칼라 슬리브(82)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며, 이 칼라 슬리브(82)는 폐쇄 헤드(86)가 생성되었을 때에 칼라(82)와 함께 스트립(73)의 앞쪽에 지지되어 있다. 도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심(78)의 두께로 인해서 조작 레버(9)는 칼라(81)에 대해 약간의 축방향 유극을 갖는다.
리벳(77)의 강도는 적절하게 높아야 한다는 것은 명백하며, 이러한 이유로 리벳(77)은 강으로 이루어진다.
구성 부품들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판 스프링(84)에 의해 조작 레버(9)가 심(78)에 대해 압박되며, 이 때 판 스프링(84)을 대신해서 스프링 와셔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블라인드가 풀려나온 상태에서, 조작 레버(9)는 스트립(73)의 앞쪽 부분을 형성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이동하게 된다. 블라인드가 풀려나와 상부 범위에 있게 되면 견고하게 지지된 안내 롤러가 판과 맞물리게 되며, 클램핑 레버(9)는 도 7에서 화살표(87)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압박된다. 이 과정에서, 클램핑 레버(9)는 심(78)의 상부 엣지 주위로 경사지게 되며, 판 스프링(84)은 이 경사지는 움직임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판 스프링(84)의 경도를 적절히 결정함으로써 원하는 유연성을 얻을 수 있으며, 이 판 스프링(84)에 의한 예응력은 부품들 간의 설치 관계 및 심(78)의 직경을 기초로 결정된다.
이 클램핑 레버(9)가 경사지는 움직임에 있어서, 심 플레이트(78)의 엣지의 상부 구역이 경사 축선의 역할을 한다. 이 때, 클램핑 레버(9)의 후방 측부는 심 플레이트(78)의 나머지 면으로부터 떨어진다.
견고하게 지지된 안내 롤러에는 본 명세서의 서두에 인용한 독일 특허 출원 제198 35 257호의 안내 롤러와 같은 안내 롤러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 안내 롤러는 헤드 스트립(25)의 틈새 공간의 외형 뒤로 후퇴할 수 있으나, 블라인드가 풀려나온 상태에서는 견고하게 지지된다.
마지막으로, 클램핑 레버(9)의 상부 레버 암(15)이 블라인드 재료(12)의 클램핑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경우에도 또한 원하는 유연성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레버 암(15) 전체에 걸쳐 유연성을 부여할 수도 있고, 블라인드 재료(12)의 클램핑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는 강성을 갖고, 수직인 방향으로는 유연성을 갖는 판 스프링과 같이 일부에만 유연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일체형 조작 레버(9 및 11)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일체형 조작 레버(9 및 11) 대신에 토글 레버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며, 이 경우에 하부 토글 레버 부분은 도 1 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되고, 상부 토글 레버 부분은 풀 로드(13)와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롤업식 후면 창문용 블라인드는 조작 레버(9 및 11)의 작용으로 풀려나오게 된다. 이들 조작 레버(9 및 11)는 블라인드(5)의 풀 로드(13)를 운반하는 유일한 요소이다. 후면 창유리(4) 내측부의 열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안내 롤러(56)는 풀 로드(13)의 외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안내 롤러(56)의 창유리(4)에 압박되는 힘이 설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차와 차체 고유의 공차와 무관하게 예정된 범위 안에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안내 롤러(56)에 스프링의 작용으로 유연성을 갖도록 하는 기구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과정의 공차로 인해서 와인딩 샤프트의 위치가 바람직한 이론적 범위에서 벗어날 때, 조작 요소가 움직일 때 위치하는 평면와 창유리와의 각도가 바람직한 이론적 범위와 상이할 때에도 안내 요소가 창유리에 대해 갖는 압력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Claims (18)

  1. 자동차의 창유리(4)용으로 사용되는 롤업식(roll-up) 창문 블라인드(5)로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고정식 와인딩 샤프트(8)와,
    서로 평행한 2개 엣지(33)를 갖는 블라인드 재료(12)로서, 상기 2개의 엣지 중 하나는 와인딩 샤프트(8)에 부착된 것인 블라인드 재료와,
    상기 와인딩 샤프트(8)를 적어도 상기 블라인드 재료(12)가 감겨 들어가는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제1 구동 장치와,
    상기 블라인드 재료(12)의 2개 엣지(33) 중 상기 와인딩 샤프트(8)에 부착된 엣지가 아닌 나머지 엣지에 부착된 풀 로드(13)와,
    상기 와인딩 샤프트(8)와 직교하는 축선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베어링(70)에 의해 상기 와인딩 샤프트(8)와 함께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조작 요소(9, 11)로서, 할당된 제2 구동 장치(20)에 의해 상기 풀 로드(13)가 상기 와인딩 샤프트(8)와 인접한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풀 로드(13)가 상기 와인딩 샤프트(8)로부터 떨어진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조작 요소와;
    상기 블라인드 재료(12)가 풀려나올 때 상기 풀 로드(13)를 상기 창유리(4) 상에서 안내하기 위해 상기 풀 로드(13)에 장착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있는 2개의 안내 요소(41)와,
    이들 안내 요소(41)에 상기 창유리(4)에 수직인 방향으로 유연성을 부여하는 기구(42, 70)
    를 포함하는 것인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41)는 슬라이드 스키드(slide sk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41)는 회전 가능한 롤러(56)이고, 이 롤러(56)는 상기 창유리(4)에 의해 분할되는 평면과 적어도 대략 평행하고 상기 풀 로드(13)와 평행한 축선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안내 요소(41)에 상기 창유리(4)와 수직인 방향으로 유연성을 부여하는 상기 기구(42)는 상기 풀 로드(13)에 장착된 상기 안내 요소(41)용 베어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장치는 상기 풀 로드(13)에 견고하게 고정된 하우징(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3)에는 운반 장치(53)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운반 장치(53)에 상기 안내 요소(41)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장치(53)는, 상기 하우징(43)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상기 창유리(4)를 향한 위치로 전진하도록 하나 이상의 스프링(65)에 의해 예응력이 인가되는 푸셔(push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5)은 레그 스프링(leg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41) 각각에 상기 창유리(4)와 수직인 방향으로 유연성을 부여하는 상기 기구(42, 70)는, 상기 조작 요소(9, 11) 각각을 지지하는 베어링(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70)은 피봇부(76)와, 베어링 칼라(78)와, 보어(17)를 포함하고, 이 보어(17)는 상기 피봇부(76)가 관통하는 베어링 면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피봇부(76)는 상기 보어(17) 내에 경사 유극을 갖고, 상기 조작 레버(9, 11)에는 이들 조작 레버(9, 11)가 서로 편평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장치(84)에 의해서 상기 베어링 칼라(78)에 맞닿게 예응력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소(41) 각각에 상기 창유리(4)와 수직인 방향으로 유연성을 부여하는 수단은 조작 요소(9, 11) 자체를 포함하고, 이 조작 요소(9, 11)는 상기 창유리(4)와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샤프트(8)는 상기 블라인드 재료(12)용 출구 슬롯을 갖는 하우징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샤프트(8)는 출구 슬롯(7)을 갖는 자동차의 해트 래크(hat rack)(6)에 부착되는 프레임(71)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 중 하나는 스프링 구동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재료(12)가 감겨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풀 로드(13)가 상기 출구 슬롯(7)을 완전히 폐쇄하거나, 또는 상기 풀 로드(13)를 둘러싸는 환형 간극을 제외하고 폐쇄하도록, 상기 풀 로드(13) 및 출구 슬롯(7)의 형태가 서로 조화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16. 제1항에 있어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2개의 클램핑 레버가 상기 와인딩 샤프트(8) 옆에 조작 요소(9, 11)로서 마련되고, 이들 클램핑 레버는 이들의 자유 단부에 의해 상기 풀 로드(13)와 협동하며, 또한 이들 클램핑 레버가 상기 와인딩 샤프트(8)와 대략 평행한 위치로부터 이들 클램핑 레버가 상기 와인딩 샤프트(8)와 대략 직교하는 위치로 선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17. 제1항에 있어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2개의 토글 레버가 상기 와인딩 샤프트(8) 옆에 조작 요소(9, 11)로서 마련되고, 이들 토글 레버는 이들의 자유 단부에 의해 상기 풀 로드(13)와 협동하며, 또한 이들 토글 레버가 아래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와인딩 샤프트(8)와 대략 평행한 위치로부터 이들 토글 레버가 연신되어 상기 와인딩 샤프트(8)와 대략 직교하는 위치로 선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4)는 후면 창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업식 창문 블라인드.
KR1020010014284A 2000-03-24 2001-03-20 스프링 장착 롤러를 구비한 롤업식 후면 창문용 블라인드 KR100685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14760.7 2000-03-24
DE10014760A DE10014760B4 (de) 2000-03-24 2000-03-24 Heckscheibenrollo mit gefederten Rol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052A KR20010093052A (ko) 2001-10-27
KR100685246B1 true KR100685246B1 (ko) 2007-02-22

Family

ID=763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284A KR100685246B1 (ko) 2000-03-24 2001-03-20 스프링 장착 롤러를 구비한 롤업식 후면 창문용 블라인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57616B2 (ko)
EP (1) EP1136289B1 (ko)
JP (1) JP4707856B2 (ko)
KR (1) KR100685246B1 (ko)
DE (2) DE10014760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320B1 (ko) * 2007-07-10 2014-08-27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스토퍼 댐퍼를 구비한 레버 롤업 차양
KR20180043508A (ko) 2016-10-20 2018-04-30 주식회사 청양샤시 샤시용 뒤틀림 방지 롤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1709A1 (de) * 2000-08-25 2002-05-16 Bos Gmbh Rollosteuerung für Rollos in Kraftfahrzeugen
DE10151251B4 (de) * 2001-10-17 2013-06-27 Volkswagen Ag Rollo-Anordnung für ein Fahrzeug
DE102004009482B4 (de) * 2004-02-27 2008-04-03 Bos Gmbh & Co. Kg Führungsloses Fensterrollo mit verbesserten Gleitern
JP2005335484A (ja) * 2004-05-25 2005-12-08 Nhk Spring Co Ltd サンシェード装置
US7090282B2 (en) * 2004-09-07 2006-08-15 Yu Jin Li Shading assembly
US7228884B2 (en) * 2004-09-28 2007-06-12 Ing-Wen Chen Rear window car curtain
US20060082192A1 (en) * 2004-10-05 2006-04-20 Dubay Steven C Window and sun shade module for vehicle
DE102006039443A1 (de) * 2006-08-23 2008-03-13 Bos Gmbh & Co. Kg Heckscheibenrollo mit rollgeformter Trägerschiene
DE102007034693A1 (de) * 2007-07-11 2009-01-15 Bos Gmbh & Co. Kg Seitenführung für Beschattungsrollo und Beschattungsrollo für Kraftfahrzeuge
DE102007045414A1 (de) * 2007-09-21 2009-04-02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Einlaufhilfe
DE102007059209A1 (de) * 2007-12-08 2009-06-1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US7673925B2 (en) * 2008-07-11 2010-03-09 Macauto Industrial Co., Ltd. Drive motor assembly for a vehicle sunshade assembly
US8308217B2 (en) * 2008-09-08 2012-11-13 Rameshbhai Kalabhai Patel Automobile sun visor with electromechanical sun shade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5528790B2 (ja) * 2009-12-28 2014-06-25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US20110203749A1 (en) * 2010-02-19 2011-08-25 Webasto Ag Drive assembly for driving a window shade and window shade system
JP5600484B2 (ja) * 2010-06-09 2014-10-01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ェード装置
US8061757B1 (en) * 2010-09-01 2011-11-2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orce assist for sunshade closing slide mechanism
JP5662091B2 (ja) 2010-09-22 2015-01-28 芦森工業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KR101176323B1 (ko) 2011-08-29 2012-08-22 김정민 단일 조작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WO2014034971A1 (ko) * 2012-08-28 2014-03-06 Kim Jung Min 단일 조작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TW201430204A (zh) * 2013-01-18 2014-08-01 Macauto Ind Co Ltd 遮陽簾
DE102015106528A1 (de) 2015-04-28 2016-11-03 Lisa Dräxlmaier GmbH Fahrzeugscheibenbeschattung mit Seilzugkonzept und Antrieb des Seilzugs über Zahnriemen
DE102016203382B4 (de) * 2016-03-02 2017-11-23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6263A (en) * 1986-04-11 1989-06-06 Baumeister & Gatler Window shade or screen apparatus, particularly for vehicle windows
KR19980020964A (ko) * 1996-09-13 1998-06-25 손명원 차량용 롤러 브라인드 장치
KR19990038287A (ko) * 1997-11-04 1999-06-05 구자홍 펌프의 급수가압 장치
DE19922586A1 (de) * 1999-05-17 2000-02-10 Gisbert Koehler Mechanismus für ein elektromechanisch zu betätigendes Fensterrollo, besonders für Kraftfahrzeuge
WO2000007837A2 (de) * 1998-08-04 2000-02-17 Baumeister & Ostler Gmbh & Co. Fensterrollo mit versenkbaren führungselement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9513A1 (de) * 1985-11-07 1987-05-14 Elero Antrieb Sonnenschutz Fahrzeugfensterrollo
DE3608927A1 (de) 1986-03-18 1987-09-24 Ieper Ind Nv Blendschutzeinrichtung fuer ein fahrzeug
FR2682426B1 (fr) * 1991-10-14 1994-01-07 Farnier Penin Store a enrouleur motorise pour baie galbee.
JP3414864B2 (ja) * 1994-10-26 2003-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幕状体巻取り装置
US5752560A (en) * 1997-03-21 1998-05-19 Cherng; Bing Jye Electric sunshield for automobil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6263A (en) * 1986-04-11 1989-06-06 Baumeister & Gatler Window shade or screen apparatus, particularly for vehicle windows
KR19980020964A (ko) * 1996-09-13 1998-06-25 손명원 차량용 롤러 브라인드 장치
KR19990038287A (ko) * 1997-11-04 1999-06-05 구자홍 펌프의 급수가압 장치
WO2000007837A2 (de) * 1998-08-04 2000-02-17 Baumeister & Ostler Gmbh & Co. Fensterrollo mit versenkbaren führungselementen
DE19922586A1 (de) * 1999-05-17 2000-02-10 Gisbert Koehler Mechanismus für ein elektromechanisch zu betätigendes Fensterrollo, besonders für Kraftfahrzeu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320B1 (ko) * 2007-07-10 2014-08-27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스토퍼 댐퍼를 구비한 레버 롤업 차양
KR20180043508A (ko) 2016-10-20 2018-04-30 주식회사 청양샤시 샤시용 뒤틀림 방지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14760B4 (de) 2004-02-12
KR20010093052A (ko) 2001-10-27
EP1136289A2 (de) 2001-09-26
US6557616B2 (en) 2003-05-06
US20010023746A1 (en) 2001-09-27
DE50103503D1 (de) 2004-10-14
JP2001301458A (ja) 2001-10-31
EP1136289A3 (de) 2002-12-11
JP4707856B2 (ja) 2011-06-22
DE10014760A1 (de) 2001-10-11
EP1136289B1 (de) 200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246B1 (ko) 스프링 장착 롤러를 구비한 롤업식 후면 창문용 블라인드
KR100679474B1 (ko) 자동차의 창유리용 가이드 부재를 갖는 감기식 윈도우블라인드
KR101111988B1 (ko) 윤곽 부분이 있는 사이드 윈도우 셰이드
KR101473201B1 (ko) 삽입 보조기를 구비한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US9649914B2 (en) Shading device for a window pane of an automotive vehicle
JP4393480B2 (ja) スリットを完全に覆う引き出し部材を有する後部窓用ローラブラインド
ES2242683T3 (es) Techo de vehiculo de tipo modular.
US6796599B2 (en) Rear window shade with lifting cassette
US9822568B2 (en) Window regulator cable guide
US6810623B2 (en) Window glass carrier member for sliding window
US6830280B2 (en) Leaf spring visor detent assembly
KR20220069493A (ko) 차량 시트레일의 이물질 차단장치 및 그 조립방법
US20140202645A1 (en) Sunshade Assembly
KR20050041914A (ko) 일체형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측부 패널
GB2309477A (en) Roller unit for a sliding wing, with adjustable height mechanism.
EP1640539B1 (en) Hinge, in particular for glass door
US20060255628A1 (en) Sunroof support frame for motor vehicle
KR930006406B1 (ko) 싱글 슬라이딩 샷시
JP3617747B2 (ja) 車両用ブラインド装置
EP3987144B1 (en) High performance door
US20180099544A1 (en) Shading device for a pane or a glass roof region of a vehicle interior
US20190359037A1 (en) Shading device for a vehicle window
JP4639646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
JPH0329211Y2 (ko)
JPH042013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