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132B1 -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132B1
KR100685132B1 KR1020050025256A KR20050025256A KR100685132B1 KR 100685132 B1 KR100685132 B1 KR 100685132B1 KR 1020050025256 A KR1020050025256 A KR 1020050025256A KR 20050025256 A KR20050025256 A KR 20050025256A KR 100685132 B1 KR100685132 B1 KR 100685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ter
rfid
terminal
meter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3382A (ko
Inventor
안효윤
노해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132B1/ko
Publication of KR20060103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계량기에 부착된 RFID 태그에 포함된 코드 번호, 상기 계량기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계량기에서 계량된 검침 정보를 감지하고, 이동 통신망으로 연결된 시설 관리 서버로 이동 RFID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전송하기 위한 이동 RFID 단말기와; 상기 RFID 태그에 입력된 코드 번호, 상기 계량기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검침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이동 RFID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검침 정보를 기반으로 고지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시설 관리 서버를 포함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RFID 태그, 이동 통신망, 이동 단말기, 검침, 점검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HECKING USAGE AMOUNT OF UTILITY BY USING RFI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하여 계량기를 검침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시설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내부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하여 계량기를 검침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계량기
120 : RFID 태그
300 : RFID 단말기
310 : 코드 번호 관리부
330 : RFID 리더기
350 : 네트워크 모듈
500 : 이동 통신망
600 : 이동 단말기
700 : 시설 관리 서버
800 : 웹 서버
900 : 유선망
본 발명은 계량기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RFID를 이용하여 계량기의 사용자 정보 및 검침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기 위한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자동인식(Automatic Identification)기술의 하나로써 데이터 입력장치로 개발된 무선(RF: Radio Frequency)으로 통하는 인식 기술이다.
RFID 리더기(Reader)와 안테나(Antenna)를 이용해 RFID 태그를 부착한 동물, 사물, 사람 등을 판독, 관리, 추적 할 수 있는 기술이다. RFID 기술은 궁극적으로 여러 개의 정보를 동시에 판독하거나 수정, 갱신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에 바코드 기술이 극복하지 못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 또는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물류, 보안 분야 등 현재 여러 분야에서 각광 받고 있다.
종래의 계량기는 각 가정에 설치되어 있으며, 계량기로부터 측정된 소정의 물리량의 수치를 판독하여 수치에 대응하는 사용료를 사용자가 공급자에게 지불한다.
이와 같이, 수도, 전기, 가스 등을 공급하는 공급자가 사용자에게 사용한 물 리량 만큼의 사용료를 지불하도록 하기 위하여, 검침원을 고용하고 검침원이 각 건물, 또는 가정에 설치된 계량기의 숫자 판에 표시된 숫자를 육안으로 읽어 검침해 왔다. 이 때, 계량기의 검침은 단순한 숫자 판 숫자에 의해서만 판독이 가능하므로 검침원이 일일이 모든 계량기의 숫자 판을 검침해야 하고 뿐만 아니라 검침한 내용을 직접 메모하여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검침원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뿐만 아니라, 검침원이 계량기를 검침하는 과정에서 숫자 판을 잘못 판독한다거나 또는 판독한 숫자 판의 수치를 잘못 기록하는 등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RFID를 이용하여 계량기의 사용자 정보 및 검침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기 위한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시스템은,
계량기에 부착된 RFID 태그에 포함된 코드 번호, 상기 계량기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계량기에서 계량된 검침 정보를 감지하고, 이동 통신망으로 연결된 시설 관리 서버로 이동 RFID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전송하기 위한 이동 RFID 단말기; 및
상기 RFID 태그에 입력된 코드 번호, 상기 계량기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검침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이동 RFID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검침 정보를 기반으로 고지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시설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은,
A) 계량기에 부착된 RFID 태그에 포함된 코드 번호 및 상기 계량기의 사용자 정보를 시설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계량기에 부착된 RFID 태그에 상기 계량기에서 계량된 검침 정보가 저장되어 이동 RFID 단말기로 상기 RFID 태그의 코드 번호, 검침 정보, 및 시간 정보가 상기 이동 RFID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시설 관리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 및
C) 상기 시설 관리 서버는 상기 이동 RFID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계량된 검침 정보를 기반으로 고지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계량기를 자동으로 검침 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RFID 태그(Tag)(120)가 부착된 계량기(100), 검침자가 소지하기 위한 이동 이동 RFID 단말기(300), 이동 통신망(500), 이동 단말기(600), 시설 관리 서버(700), 웹 서버(800), 유선 망(900), 및 유선 단말기(9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FID 태그(120)는 고유한 코드 번호를 내장하며, 부가적으로 상기 RFID 태그(120)가 부착되는 계량기를 구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계량기는 수도, 가스, 전기 등의 사용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일 응용 예에서, 상기 RFID 태그(120)에 입력된 코드 번호 및/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는 이동 이동 RFID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입력 및 삭제된다.
상기 이동 이동 RFID 단말기(3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RFID 태그(120)가 내장된 PDA가 있다. 상기 이동 이동 RFID 단말기(300)는 코드 번호 관리부(310), RFID 리더기(330), 네트워크 모듈(350), 및 고지서 출력부(370)를 포함한다.
상기 코드 번호 관리부(310)는 계량기에 부착되거나 부착될 RFID 태그(120)의 코드 번호를 저장하며, 새로운 계량기에 상기 RFID 태그(120)를 부착해야 하는 경우 상기 코드 번호 관리부(310)에 저장된 코드 번호를 상기 RFID 태그(120)에 입력(Write)한다. 그리고, 상기 RFID 태그(120)에 코드 번호가 할당된 후, 상기 코드 번호 관리부(310)는 상기 코드 번호에 상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코드 번호 및 상기 사용자 정보가 시설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네트워크 모듈(350)에 입력되도록 한다. 일 응용 예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RFID 태그(120)에 입력하여 RFID 리더기(330)가 RFID 태그(120)를 감지하여 시설 관리 서버로 전송할 때 상기 코드 번호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상기 RFID 리더기(330)는 상기 RFID 태그(120)에 쓰여진 코드 번호를 읽어 들이며, 일 응용예에서, 상기 RFID 태그(120)에 상기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함께 읽어 들인다. 또한, 상기 RFID 리더기(330)는 상기 코드 번호를 읽어 들인 시간 정보(Read Time)를 검출하여 상기 네트워크 모듈(350)에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 네트워크 모듈(350)은 상기 RFID 리더기(330)에서 읽어 들인 정보를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의 식별 정보와 함께 이동 통신망(500)을 통해 시설 관리 서버(700)로 전송한다.
상기 고지서 출력부(370)는 상기 이동 RFID 단말기부터 읽어 들인 검침 정보를 기반으로 고지서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상기 시설 관리 서버(700)는 이동 통신망(500)을 통해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 모바일 서버(400), 및 이동 단말기(600)와 연동되며, 유선 망(900)을 통해 웹 서버(800) 및 유선 단말기(950)와 연동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설 관리 서버(700)에 접속한 이동 단말기(600)가 소정 기간 동안의 검침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시설 관리 서버(700)는 모바일 서버(400)를 통해 검침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한다. 뿐만 아니라, 유선 망을 통해 접속하는 유선 단말기(950)가 소정 기간 동안의 검침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시설 관리 서버(700)는 웹 서버(800)를 통해 상기 요청된 검침 정보를 상기 유선 단말기(950)로 전송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시설 관리 서버(700)를 설명한다.
상기 시설 관리 서버(700)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710), RFID 단말기 관리부(730), 검침 정보 관리부(750), 고지서 발행부(770), 및 통신 모듈(7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정보 관리부(710)는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RFID 태그(120)의 코드 번호, 및 상기 RFID 태그(120)가 부착된 계량기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RFID 태그(120)의 고유 번호만 입력되더라도 상기 RFID 태그(120)가 부착된 계량기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RFID 단말기 관리부(730)는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를 소지하고 계량기(100)에 부착된 RFID 태그(120)를 감지하기 위하여 고용된 검침원의 정보 및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의 식별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상기 검침 정보 관리부(750)는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로부터 감지되는 RFID 태그(120)의 고유 번호, 감지된 시간 정보, 검침 정보, 및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 또는 상기 이동 RFID 리더기(33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기 고지서 발행부(770)는 상기 코드 번호 및 상기 검침 정보를 기반으로 고지서를 발행하여 저장하며,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일정한 시간이 도래하면 사용자에게 상기 고지서가 발송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 통신망(500) 또는 유선 망(900)을 통해 지난 시간의 검침 내역을 조회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고지서 발생부(770)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를 열람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RFID 태그에 고유의 코드 번호 및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한다(S300).
소정의 RFID 리더기로 RFID 태그(120)에 부여된 코드 번호를 읽어 들이면, 이동 RFID 단말기(300)는 상기 코드 번호, 상기 RFID 태그(120)가 부착된 계량기의 사용자 정보를 이동 통신망(500)을 통해 시설 관리 서버(700)로 전송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S310).
검침원이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를 소지하고 계량기(10)의 RFID 태그(120)에 저장된 정보를 읽으면,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는 감지된 상기 RFID 태그(120)의 코드 번호, 검침 정보, 및 상기 태그를 읽은 시간 정보를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의 식별 정보와 함께 네트워크 모듈(350)을 통해 상기 시설 관리 서버(700)로 전송한다(S320, S330).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시설 관리 서버(700)는 상기 검침 정보를 기반으로 수도, 전기, 가스 등의 사용량에 따른 고지서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340).
도 4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600) 또는 유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계량기에서 특정 기간 동안의 검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600) 또는 유선 단말기(950)가 이동 통신망(500) 또는 유선망(900)을 통해 시설 관리 서버(700)에 접속하여 특정 계량기(100)의 검침 정보를 요청한다(S400).
상기 시설 관리 서버(700)는 상기 계량기(100)의 검침 정보를 요청한 상기 이동 단말기(600) 또는 유선 단말기(950)의 사용자가 정당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 정당한 권한이 없는 사용자인 경우 권한이 없음을 상기 이동 단말기(600) 또는 유선 단말기(950)로 통보한다(S410, S420).
그러나, 상기 단계 S410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가 정당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인 경우, 상기 시설 관리 서버(700)는 입력된 시간 정보 및 상기 RFID 태그(120)의 코드 번호에 상응하는 검침 정보를 검색한다(S430).
상기 시설 관리 서버(700)는 상기 검색된 검침 정보를 기반으로 고지서를 작성하여 저장하며 동시에 상기 이동 단말기(600) 또는 유선 단말기(950)로 상기 고지서를 전송한다(S440, S450).
도 5를 참조하여, 검침원이 계량기의 사용량을 검침하는 도중 사용자의 요청 또는 필요에 따라 현장에서 고지서를 발급해야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검침원이 필요에 따라 이동 RFID 단말기(300)의 소정의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에 검침 정보에 대한 고지서 발급 요청 신호가 입력된다(S500).
이 때, 상기 검침원은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로 발급 받고자 하는 고지서의 날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는 상기 날짜 정보가 당월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10, S520).
상기 단계 S520의 판단 결과, 상기 날짜 정보가 당월인 경우에는 검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에서 고지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S570).
그러나, 상기 날짜 정보가 당월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는 상기 시설 관리 서버(700)로 상기 날짜 정보에 따른 고지서 발급을 요청한다(S530).
상기 시설 관리 서버(700)에 상기 날짜 정보에 따른 고지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된 고지서를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상기 고지서가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S540, S560).
그러나, 상기 시설 관리 서버(700)에 상기 날짜 정보에 따른 고지서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저장된 검침 정보를 기반으로 고지서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RFID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550, S56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검침원이 계량기의 사용량을 눈으로 확인하고 수기로 메모했던 종래에 비해 자동으로 사용량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편리하고 빠르고 정확한 검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검침원이 필요에 따라 현장에서 검침 내역에 대한 조회 및 고지서를 발급할 수 있으며, 계량기 사용자의 변경, 공급 관련 신청 또는 해지, 시설의 안전 점검 보고, 각종 민원 처리 또한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Claims (13)

  1. 계량기에 부착된 RFID 태그에 포함된 코드 번호, 상기 계량기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계량기에서 계량된 검침 정보를 감지하는 RFID 리더기;
    상기 RFID 리더기에서 읽어 들인 상기 RFID 태그의 코드 번호, 검침 정보, 시간 정보, 및 상기 이동 RFID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설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모듈; 및
    상기 검침 정보를 기반으로 고지서를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고지서 출력부를 포함하는 이동 RFID 단말기; 및
    상기 RFID 태그에 입력된 코드 번호, 상기 계량기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검침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며, 상기 이동 RFID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검침 정보를 기반으로 고지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시설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RFID 단말기는,
    상기 고지서 생성시 입력된 날짜 정보가 이월인 경우 상기 설비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날짜 정보에 해당하는 검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지서 출력부에서 고지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관리 서버는,
    상기 계량기에 대한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관리부;
    지정된 구역을 담당한 검침자에게 할당된 이동 RFID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RFID 단말기 관리부; 및
    상기 이동 RFID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RFID 태그의 코드 번호, 상기 검침 정보, 시간 정보, 및 상기 이동 RFID 리더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검침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관리 서버는,
    상기 코드 번호 및 상기 검침 정보를 기반으로 고지서를 발행하기 위한 고지 서 발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시설 관리 서버와 연동하며,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이동 단말기가 요청하는 소정 기간 동안의 검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시스템.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시설 관리 서버와 연동하며, 유선 망을 통해 접속하는 단말기가 요청하는 소정 기간 동안의 검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웹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시스템.
  9. 삭제
  10. A) 계량기에 부착된 RFID 태그에 포함된 코드 번호 및 상기 계량기의 사용자 정보를 시설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계량기에 부착된 RFID 태그에 상기 계량기에서 계량된 검침 정보가 저장되고 이동 RFID 단말기에 의해 감지된 상기 RFID 태그의 코드 번호, 검침 정보, 및 시간 정보가 상기 이동 RFID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시설 관리 서버에 입력되는 단계;
    C) 상기 시설 관리 서버는 상기 이동 RFID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계량된 검침 정보를 기반으로 고지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이동 RFID 단말기가 상기 검침 정보에 대한 고지서를 발급해 줄 것을 요청 받는 단계;
    E) 상기 이동 RFID 단말기로 입력된 날짜 정보가 당월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날짜 정보가 당월인 경우, 상기 검침한 검침 정보를 기반으로 고지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G) 상기 단계 E)의 판단 결과, 상기 입력된 날짜 정보가 당월이 아닌 경우, 상기 이동 RFID 단말기는 상기 시설 관리 서버로 상기 날짜 정보에 해당하는 고지서를 요청하는 단계;
    H) 상기 날짜 정보에 해당하는 고지서가 상기 시설 관리 서버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고지서를 상기 이동 RFID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I) 상기 날짜 정보에 해당하는 고지서가 상기 시설 관리 서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고지서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RFID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J) 단말기가 통신 망을 통하여 상기 시설 관리 서버로 소정의 계량기의 검침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시설 관리 서버가 상기 검침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J)는,
    J-1) 단말기로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시설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J-2) 상기 시설 관리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시설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기간 동안의 검침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KR1020050025256A 2005-03-26 2005-03-26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85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56A KR100685132B1 (ko) 2005-03-26 2005-03-26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56A KR100685132B1 (ko) 2005-03-26 2005-03-26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382A KR20060103382A (ko) 2006-09-29
KR100685132B1 true KR100685132B1 (ko) 2007-02-22

Family

ID=3762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256A KR100685132B1 (ko) 2005-03-26 2005-03-26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1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398B1 (ko) * 2007-04-10 2008-12-0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전자태그를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시스템
KR101691540B1 (ko) * 2014-05-16 2016-12-30 주식회사 솔라시아 전력량 검침 시스템
KR101485813B1 (ko) * 2014-08-06 2015-01-27 오일환 Nfc 태그를 이용한 건물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388748B1 (ko) * 2020-06-17 2022-05-24 주식회사 만조랩 기록물 관리 서버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기록물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246A (ko) * 2000-11-07 2001-09-07 김춘식 상수도 계량기 무인 자동 원격 검침 시스템
KR20050018789A (ko) * 2004-12-30 2005-02-28 김지훈 Rfid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비접촉식 순찰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246A (ko) * 2000-11-07 2001-09-07 김춘식 상수도 계량기 무인 자동 원격 검침 시스템
KR20050018789A (ko) * 2004-12-30 2005-02-28 김지훈 Rfid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비접촉식 순찰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85246
102005001878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382A (ko) 200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990B1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상하수도 관거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203982449U (zh) 一种智能自动售货机的售货系统
US2013028244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nic Payment for Parking using Autonomous Position Sensing
JP2013541790A (ja) 情報認識手段を利用した管渠総合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6331405A (ja) 二次電池供給システムおよび二次電池供給方法
KR100685132B1 (ko) Rfid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53456B1 (ko) 정보 인식 수단을 이용한 관거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50080752A1 (en) Communal vehicle system
CN102349084A (zh) 利用自动识别和数据采集技术管理流动资产的系统和运行该系统的方法
CN112884495B (zh) 一种基于区块链的肉禽供应链溯源系统
Moon et al. Effective monitoring of the concrete pouring operation in an RFID-based environment
KR100994546B1 (ko) 리더를 포함하는 원격검침 시스템 및 그의 운영 방법
JP2006228109A (ja) Icタグを使用したメータの検針管理システム
KR101627963B1 (ko) 수도 자동 검침 시스템 및 방법
KR100368466B1 (ko) 자판기 관리 시스템
KR20220059123A (ko)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KR100705953B1 (ko) Rfid를 이용한 제품 위조 방지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4897117A (zh) 一种基于rfid的资产设备定位管理系统及方法
KR101703999B1 (ko) 원격 검침단말기
KR100595369B1 (ko) 핸드 터미널, 계량기 검침 시스템 및 방법
KR101044991B1 (ko) 무선랜을 이용한 좌표 산출에 의한 상하수도 관거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4225667B2 (ja) 料金計算システム
CN112541194A (zh) 工程建设实测实量数据上链方法及其工程检测管理方法
KR100967625B1 (ko)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655897A (zh) 一种评估射频识别电子标签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