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625B1 -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625B1
KR100967625B1 KR1020090119015A KR20090119015A KR100967625B1 KR 100967625 B1 KR100967625 B1 KR 100967625B1 KR 1020090119015 A KR1020090119015 A KR 1020090119015A KR 20090119015 A KR20090119015 A KR 20090119015A KR 100967625 B1 KR100967625 B1 KR 100967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ibration
equipment
information
national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균
Original Assignee
강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균 filed Critical 강영균
Priority to KR1020090119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a)교정기관의 서버에서 피 교정기관으로부터 교정검사를 접수받아 접수내역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b)상기 접수된 피교정 장비를 검사한 교정담당자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피교정 장비에 부착한 전자식 식별정보와 검사 성적서를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c)상기 교정기관의 서버에서 상기 검사 성적서를 국가교정인정기관에 온라인 제출하여 교정장비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d)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에서 상기 검사 성적서를 평가한 후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에 인증 결과를 온라인으로 통지하는 단계와; (e)상기 교정기관의 서버에서 교정 인정서를 발행하여 상기 피 교정기관에 온라인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f)상기 교정기관의 서버에서 상기 피 교정 기관의 교정 및 피 교정 장비에 부착된 전자식 식별정보를 실시간으로 위치 추적하여 장비의 위치 정보와 검사이력을 모니터링하고, 교정대상 장비를 온라인으로 자동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교정의 요구에서 인증까지의 온라인 프로세서를 제공하고 피 교정 장비의 교정 추적 및 예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교정, 계측, 검사, 장비, 교정 인정서, RFID 태그, 바코드, 원격관리

Description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National Proofreading Chain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정(Proofreading)의 요구에서 인증까지의 온라인 프로세서(On-line Process)를 제공하고, 바코드(Bar Code) 또는 RFID 태그(Tag)를 통한 피교정 장비의 교정 추적 및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계량ㆍ측정기는 일정기간 사용하게 되면 주위환경,사용빈도,내구성등 여러 요인에 의해 부정확하게 된다. 측정은 이미 우리 생활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정확하게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계량ㆍ측정기의 주기적인 교정이 꼭 필요하다. 또한 생산제품이 세계시장에서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계량ㆍ측정기의 정밀 정확도 확보가 기본이며 정확한 계량ㆍ측정기의 사용은 제조업체 및 소비자의 이익과 직결된다.
교정(Proofreading) 대상이란 「국가교정기관지정제도운영요령 제42조」에 "국가표준기본법 제14조 규정에 의한 국가측정표준과 국가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사용하는 측정기기간의 소급성 제고를 위하여 측정기를 보유 또는 사용한 자는 주기적으로 해당측정기를 교정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교정대상 및 적용범위를 자체규정으로 정하여 운용할 수 있다" 라고 규정되어 있다.
산업현장에서 교정을 실시해야 하는 이유는 수용할 수 있는 정확도를 유지하고 있는 측정기기로 시험과 측정을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의 정확도는 시방에서 요구하는 허용 공차를 기준으로 검증될 수 있다. 이러한 정확도 검사는 상위 표준기를 활용하여 주기적으로 비교 교정함으로써 달성 되어진다.
따라서 교정대상은 개개의 피 측정기기에서 요구되어지는 허용 공차 내에서 그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지의 신뢰성을 기초로 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측정기의 성능이나 구조상 교정이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국가측정표준이 확립되어 있지 않거나 적절한 교정방법이 개발되지 않은 경우(예시; 표면특성, 비파괴시험 분야 등)가 있어 현실적으로 교정이 불가능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정확한 교정을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사회적 이익을 주게 된다.
생산공정에서 효율적인 품질관리를 가능하게 해주고, 고기능성의 신제품 개발을 가능하게 하고, 기업과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해 주고, 각종 법규에서 요구하는 적합성을 확보해 준다.
또한, 부정확한 측정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제조업체에서는 불량품 양산에 따른 추가비용을 유발하게 되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음식료품 등의 실량부족, 각종기기 제품의 잦은 고장 및 안전성 미흡 문제가 있고, 의료분야에서는 오진으로 인한 고통 및 의료비 추가부담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교정을 위해서는 정확한 측정기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적합한 측정환경 유지가 요구되고 국가측정표준과 소급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리고 측정불확도의 이해가 필요하며 좋은 측정기술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최근 국내에서는 교정 대상 장비가 증가되면서 실제로 교정 주기 및 교정신청에서 인정까지 제도와 법에 따라 운영되고 있으나, 대부분 사람에 의한 오프라인(Off-line)적인 프로세서가 대부분이고, 일부 결과에 대한 피드백(Feed Back)을 시스템에 업로드(Upload) 하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국가기관이나, 전문 공인기관을 통해서 측정과 인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기반한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다.
아무리 좋은 오프라인(Off-line)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프로세서를 구축하였다고 하여도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체계가 구축되지 못한다면 초기에 의도되었던 올바른 교정 결과의 반영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조직 내에서의 활용도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더군다나, 영세 규모의 중소기업에서는 규모면에서 아직 투자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온라인(On-line)화는 물론 정보화 시스템도 구축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정보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하더라도 활용도 측면에서 도입시 기대했던 만큼의 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해서는 평가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현재 교정 시스템의 국내 시장은 전체 정보시스템 구축으로 봤을 때 미미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 시장은 아직 초기단계이며 블루오션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정이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IT와 접목이 되어 교정사슬망에 대한 온라인(On-line)화 및 교정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 검증, 나아가서는 제조업체에서의 교정데이터에 대한 활용을 통해 사전 교정 통지 및 교정 결과 데이터의 유기적 연동과 통제를 통한 관리체계가 절실하게 필요하였다.
다음은,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들에 대해 예시한다.
먼저,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8-085500(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은 계측기기 검교정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모든 계측기기에 대하여 인터페이스 장치를 연결하고 컴퓨터 시스템과 연결하여 자동으로 검교정 작업 및 성적서 출력의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계측기기 검교정 자동화 시스템에 대해 게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 1은 모든 계측기기에 대하여 인터페이스 장치를 연결하고 컴퓨터 시스템과 연결하여 자동으로 검교정 작업 및 성적서 출력의 자동화를 실현한다고 되어 있으나, 교정 검사를 받는 계측기기의 종류가 너무나 많이 있는데 어떻게 각 계측기기별로 인터페이스 장치를 연결하는지에 대해 불명료하고, 또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계측기기의 표준절차 및 항목별 교정 검사를 어떻게 자동으로 하는지에 대해서도 불명료하다.
그리고 종래기술 1은 인터페이스 장치 자체에서도 오차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교정 검사 결과를 신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 1은 피 교정기관에서 교정기관으로 계측기기의 교정 검사 정보를 통신망으로 송신하고, 상기 교정기관에서 피 교정기관으로 성적서를 전송하여 출력하는 단순한 기능만 제공하고 있다. 즉, 교정장비에 대한 교정검사를 인증하는 국가교정인정기관과의 연계 구조가 빠져 있으며, 교정의 요구에서 인증까지의 온라인 프로세서를 통해 사전 및 사후 관리가 되지 않을 뿐아니라 피 교정 장비의 교정 추적 및 예측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그 다음,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0-0073113(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은 디지털계측기의 원격교정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계측기에서 검교정파라미터를 원격검교정서버로 전송하는 제1과정과, 상기 원격검교정서버에서 상기 검교정파라미터에 따라 해당 계측기의 골드신호발생기로부터 기준파형을 생성하는 제2 과정과, 상기 계측기와 동일한 허용오차로 교정된 계측기부에서 상기 기준파형을 측정한 제1기준파형데이터를 상기 계측기에 전송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기준파형데이터를 D/A변환하여 채널측정부에서 신호처리한 제2기준파형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1, 제2기준파형데이터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채널측정부의 증폭율과 감쇄율, 샘플 홀드 주파수, 트리거신호의 미세 조정 방법과 절차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계측기를 검교정함으로써, 교정대상 계측기를 검교정센터로의 이송이 필요없이 간 편하게 검교정을 할 수 있어, 검교정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디지털계측기의 원격교정 시스템과 방법에 대해 게시하고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 2는 피 교정기관에서 통신망을 통해 교정기관으로 계측기의 교정 검사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검교정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고는 하나, 피 교정기관에서 계측기를 측정하는 장비 자체에 오차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교정 검사 결과를 신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 2에서도 교정장비에 대한 교정검사를 인증하는 국가교정인정기관과의 연계 구조가 빠져 있으며, 교정의 요구에서 인증까지의 온라인 프로세서를 통해 사전 및 사후 관리가 되지 않을 뿐아니라 피 교정 장비의 교정 추적 및 예측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정(Proofreading)의 요구에서 인증까지의 온라인 프로세서(On-line Process)를 제공하고, 바코드(Bar Code) 또는 RFID 태그(Tag)를 통한 피교정 장비의 원격 자동 스캐닝(Scanning) 시스템을 함께 제공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교정 인정서 발행의 프로세스 온라인 시스템(Process On-line System)을 제공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교정 교육 및 데이터의 중앙 연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교정기관 경영 시스템(MIS) 및 지식관리시스템(KMS)을 제공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IT와 접목이 되어 교정사슬망에 대한 온라인(On-line)화 및 교정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 검증과, 제조업체에서의 교정데이터에 대한 활용을 통해 사전 교정 통지 및 교정 결과 데이터의 유기적 연동과 통제를 통한 관리체계를 제공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중소기업에 적용이 가능한 사전, 사후, 국가 차원의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을 개발 공급함으로써 더욱더 많은 국가교정기관 및 공인 교정기업이 IT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고, IT도입 공인 교정기업의 정보화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현재 운용되고 있는 교정장비 및 피 교정업체의 장비 목록(문서)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실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료(정보)로 구체화하여 유용한 정보로 활용하도록 구조(DB)화 한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자적 태그(Tag)를 사용하여 교정장비 및 피 교정업체의 장비에 부착하여 검사이력 및 위치추적(입/출 관리)에 활용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에 있어서, (a) 교정기관의 서버에서 피 교정기관(업체)으로부터 피교정 장비의 교정검사를 접수받아 접수내역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b) 상기 피교정 장비를 검사한 교정담당자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피교정 장비에 부착한 전자식 식별정보와 검사 성적서를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c)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에서 상기 검사 성적서를 국가교정인정기관에 온라인 제출하여 교정장비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d)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에서 상기 검사 성적서를 평가한 후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에 인증 결과를 온라인으로 통지하는 단계와; (e)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에서 교정 인정서를 발행하여 상기 피 교정기관에 온라인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에서 상기 피 교정 기관의 교정 및 피 교정 장비에 부착된 전자식 식별정보를 실시간으로 위치 추적하여 장비의 위치 정보와 검사이력을 모니터링하고, 교정대상 장비를 온라인으로 상기 피 교정기관에 자동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는: 거래처, 교정대상 및 교정주기, 장비(표준기), 프로그램 사용자, 교정접수, 교정대행 발주 및 입고, 접수승인, 교정 실적 및 현황 정보, 납품 실적 및 현황 정보, 장비의 전자식 식별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여, 교정의 요구에서 인증까지의 온라인 프로세서를 제공하고 피 교정 장비의 교정 추적 및 예측 기능을 제공하는 교정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은: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에 연결된 인식기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전자식 식별정보를 읽어서 해당 장비에 대한 장비이력, 검사이력, 교정이력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는: 상기 전자식 식별정보의 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장비에 대한 장비이력, 검사이력, 교정이력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식별정보는: 상기 피 교정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교정검사가 완료된 후 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식별정보는: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 C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는: 고객이 온라인을 통해 교정 인정서 발행을 요구할 경우 공인인증과 과금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는: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에 등록된 표준 계측기 목록 및 계측기별 단가 목록을 등록하고, 이를 참조하여 상기 접수내역 정보 및 검사 성적서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는: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의 미 인증항목 및 기타 항목에 대하여 별도의 대행 업무를 수행하도록 대행발주 및 결과 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는: 피 교정기관(업체)별로 등록된 상세 정보와 보유 장비 목록 및 전자식 식별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대한 교정 주기를 관리 및 통보하는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는: 검사 완료된 장비에 대하여 납품 결과와, 접수일자, 거래선명, 처리구분, 납품요청일, 납품상황(납품추가, 부분납품, 납품완료) 정보를 포함한 납품 내역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내역 정보는: 접수일자, 접수구분, 교정접수자, 교정자, 기술책임자, 신청수량, 거래선코드, 거래선명, 신청자명, 납품요청일을 포함한 교정접수정보와, 출장, 직책, 대행발주, 교정장소, 교정주기, 현장교정을 포함한 부가정보와, 분류번호, 기기명칭, 형식, 기기번호, 수량, 단가, 교정금액, 완료예정일,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내역 정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교정 및 피교정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복수개의 피교정기관의 시스템과; 상기 피교정기관의 시스템으로부터 업체 정보 및 보유 장비 목록을 제공받아 등록하고, 상기 피교정기관의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전자식 식별정보를 실시간 위치 추적하여 장비의 위치 정보와 검사이력을 모니터링하고 교정대상 장비를 온라인으로 자동 통보하며, 검사 접수에 의해 교정검사를 실시한 교정검사 성적서를 온라인을 통해 국가교정인정기관에 제출하여 교정장비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교정장비 인증을 받으면 온라인으로 교정 인정서를 발행하며, 교정의 요구에서 인증까지의 온라인 프로세서를 제공하는 교정 기관의 교정 관리 시스템; 및 상기 교정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온라인을 통해 교정장비 인증 요청을 받고 평가에 의해 교정장비 인증을 수행하는 국가교정인정기관의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교정 관리 시스템은: 거래처, 교정대상 및 교정주기, 장비(표준기), 프로그램 사용자, 교정접수, 교정대행 발주 및 입고, 접수승인, 교정 실적 및 현황 정보, 납품 실적 및 현황 정보, 장비의 전자식 식별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여, 교정의 요구에서 인증까지의 온라인 프로세서를 제공하고 피 교정 장비의 교정 추적 및 예측 기능을 제공하는 교정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식별정보는: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 C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은,「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관리 시스템은: 고객이 온라인을 통해 교정 인정서 발행을 요구할 경우 공인인증과 과금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은,「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관리 시스템은: 거래처, 교정대상 및 주기, 장비(표준기), 프로그램 사용자,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 교정 및 피교정 장비의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부와; 교정접수, 교정대행 발주 및 입고, 접수승인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교정접수 관리부와; 교정 실적 및 현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교정실적 관리부; 및 납품 실적 및 현황을 저장 및 관리하는 납품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은,「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부는: 거래업체별 상세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거래처관리 모듈과;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에서 인증한 표준계측장비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교정대상 및 주기관리 모듈과;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에서 인증한 표준계측장비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장비(표준기)관리 모듈과; 상기 교정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프로그램사용자관리 모듈; 및 상기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 또는 바코드 정보를 위치 추적하여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피)교정장비 위치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은,「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접수 관리부는: 업체별로 접수한 장비에 대한 상세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교정접수관리 모듈과; 상 기 업체별로 접수한 장비에 대한 상세정보 중 대행 장비에 대하여 저장 관리하는 교정대행 발주 및 입고관리 모듈; 및 상기 접수 장비별 승인/취소 정보를 파악 저장 관리하는 접수승인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청구항 20에 기재된 발명은,「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실적 관리부는: 교정 검사 전(표준문서)/교정 후(검사서) 정보를 변경 저장 관리하는 교정실적관리 모듈; 및 교정 완료 후 검사성적 현황을 관리하는 교정실적현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청구항 21에 기재된 발명은,「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납품 관리부는: 교정검사 완료 및 대행 검사 완료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납품실적관리 모듈; 및 교정검사 완료 및 대행 검사 완료된 현황 정보를 관리하는 납품실적현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청구항 22에 기재된 발명은,「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관리 시스템은: 교정 접수 내역을 등록하는 검사정보 DB와;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에 등록된 표준 계측기 목록 및 계측기별 단가 목록을 등록하는 표준계측기목록 DB와; 거래처 정보를 등록하는 거래처 DB와; 업체별 보유 장비 목록과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를 등록하는 장비정보 DB와; 시스템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정보 DB와; 검사 완료된 검사성적서 내역을 등록하는 검사결과 DB와; 대행업체를 통하여 검사되는 검사성적서 내역을 등록하는 대행결과 DB; 및 검사 완료된 장비에 대하여 납품 결과 및 납품 내역 현황을 등록하는 납품정보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청구항 23에 기재된 발명은,「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접수 내역은: 접수일자, 접수구분, 교정접수자, 교정자, 기술책임자, 신청수량, 거래선코드, 거래선명, 신청자명, 납품요청일을 포함한 교정접수정보와, 출장, 직책, 대행발주, 교정장소, 교정주기, 현장교정을 포함한 부가정보와, 분류번호, 기기명칭, 형식, 기기번호, 수량, 단가, 교정금액, 완료예정일,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내역 정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청구항 24에 기재된 발명은,「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납품 내역은: 접수일자, 거래선명, 처리구분, 납품요청일, 납품상황(납품추가, 부분납품, 납품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국가측정표준의 효율적인 보급으로 정밀측정기술 및 시험검사기술과 계량측정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측정의 정확도 향상에 이바지하여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하며, 나아가서는 새로운 사업모델을 통해 신규 고용 창출과 비효율적인 교정 업무 프로세서의 개선으로 원가 절감과 함께 교정 데이터 전환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일수가 있으며, 나아가서는 세계적인 교정 프로세서 기술 선진국으로서 기술 표준이 되어 수출확대를 기할 수가 있다.
또한, 개인에 의한 교정 지식을 쉽게 공유함으로써,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의 역할을 하여 쉽게 접근을 할 수가 있고, 새로운 교정 프로세서를 창출 공유함으로써, 기업의 간접비용의 감소와 교정 수치에 대한 일반인들의 접근을 통해 불량 및 유해 상품에 대한 생산을 사전 예방하여 국민의 건강을 증대할 수가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지방 IT기업과 공인 교정기관이 새로운 사업 모델을 창출하여 발전시킴으로써, 지역 균형 발전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이 기술을 쌓아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또한 아래와 같은 법률적인 제도에 대한 신뢰성 확보와 인증에 대한 공정성을 유지할 수가 있고, 영세 교정공인기관의 전문 인력 확충의 애로점을 극복할 수가 있다.
[계량에 관한 법률 제40조]
- 계량산업발전 및 측정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지도, 조사 및 홍보 등에 관한 사업
- 계량측정산업의 전문기술 인력의 양성 사업
- 계량기, 측정기의 기술기준 및「산업표준화법」 제28조의 규정에 따른 단체표준 개발, 보급에 관한 사업
-「국가표준기본법」제22조의 규정에 따른 계량기,측정기의 제품인증 및 동법 제23조의 규정에 따른 시험 검사기관의 인정에 관한 사업
- 계량측정 관련 국제기구 및 외국 관련 단체와의 협력증진에 관한 사업
- 그 밖에 계량과 관련된 사업으로서 산업자원부장관이 위탁 또는 지정하는 사업
[국가표준기본법 시행령 제18조]
- 측정의 정밀 정확도 향상을 위한 교육,조사,연구, 자료발간, 정보제공 및 홍보에 관한 사업
- 교정방법, 절차의 개선 및 개발 등에 관한 사업
- 국가교정기관의 지정평가에 관한 지원사업 및 숙련도시험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사업
- 기타 측정의 정밀 정확도의 향상을 위한 사업
또한, 교정 프로세스의 온라인(On-line)화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제조업체의 규제완화와 원가절감을 확실히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교정 신청시 온라인(On-line)화를 통해 PCM(Proofreading Chain Management)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간접 비용을 줄이고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가 있다.
또한, 교정 결과 및 인증에 대해 원격 또는 자동 스캐닝(Scanning) 이력 관리를 함으로써, 교정 인증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교정 관련 프로세서의 개선을 증대함으로써 국가적 교정 발전을 기할 수가 있다.
나아가서는, 국가공인교정기관의 경영혁신을 꾀함으로써, 영세 국가공인교정기관의 경영합리화를 통해 수지개선에 이바지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정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면, 국가적인 교정 통합과 데이 터의 활용으로 교정 산업 전체의 원가 절감과 기술적 우위를 점할 수가 있으며, 교정기관의 수지 개선에도 엄청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되며, 직/간접적인 경제적 효과는 정량적인 수치는 표시할 수 없지만, 신설 사업으로써 경제적 파급 효과는 상당히 크다고 할 수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의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기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피 교정기관(10), 교정기관(20), 국가교정인정기관(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피 교정기관(10)은 교정 및 피교정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업체(거래처)로서, 교정 검사를 받게 될 피교정 장비(11)를 상기 교정기관(20)에 검사 의뢰한다. 이때, 검사 의뢰는 상기 교정기관(20)에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 또는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접수하게 된다. 상기 피 교정기관(10)에서는 교정 검사를 받을 피교정 장비(11)를 직접 가지고 가서 접수할 수도 있고, 가지고 갈 수 없는 장비는 접수 후 현장 방문을 통해 교정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상기 피 교정기관(10)에서 보유하고 있는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는 전자식 식별정보, 즉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는 상기 교정기관(20)에서 발행한 것으로, 상기 교정기관(20)에서 상기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를 실시간 위치 추적하여 장비의 위치 정보와 검사이력을 모니터링하고, 교정대상 장비를 온라인으로 자동 통보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교정기관(20)은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30)에서 인증한 해당항목에 대한 장비별 시험인증 및 관리를 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 교정기관(고객: 10)이 요청한 장비들을 교정 부서에서 인증된 장비를 통하여 시험하여 교정 및 인증 처리하는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인증범위로는 질량(전자식지시저울 11개 항목) 및 힘, 토크관련 항목들이 있다.
상기 교정기관(20)에서는 교정의 요구에서부터 교정장비 인증까지의 과정을 온라인 프로세서를 통해 제공하는 교정 관리 시스템(200)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교정기관(20)은 상기 피교정기관(10)으로부터 업체(거래처) 정보 및 보유 장비 목록을 제공받아 등록하고 있으며, 상기 피교정 기관(10)의 교정 및 피교정 장비(11)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를 활용하여 장비의 위치 정보와 검사이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교정대상 장비를 온라인으로 자동 통보한다. 그리고 상기 피교정기관(10)으로부터 검사 접수가 이루어지면 장비별 검사항목(검사장비별 형식 및 기기정보)을 파악하여 등록하고, 검사 장비에 따라 현장, 본사, 대행 업무로 구분하여 교정책임자와 교정담당자를 선정한다.
상기 교정담당자는 휴대용 단말기(PDA: 29)를 이용하여 상기 피교정 장비(11)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를 읽어서 장비이력, 검사이력, 교정이력 등의 정보를 확인하고, 표준절차 및 항목별로 검사를 실시한다. 그 후, 상기 교정담당자는 상기 피교정 장비(11)에 대한 검사 성적서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PDA: 29)에 입력하여 상기 교정기관(20)의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교정기관(20)에서는 상기 교정담당자가 입력한 검사 성적서를 장비별로 등록하고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30)에 검사 성적서를 온라인 제출하여 교정장비 인증을 요청한다. 그 후,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30)으로부터 교정장비 인증을 받으면 교정 인정서를 발행하여 상기 피 교정기관(10)에 온라인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교정기관(20)에서는 상기 피교정기관(10)에서 검사를 의뢰하면서 교정 장비를 맡겼으면 상기 교정 인정서와 함께 장비를 납품 처리하고 납품정보를 등록한다.
또한, 상기 교정기관(20)에서는 상기 피 교정기관(10)의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를 실시간 위치 추적하여 장비의 위치 정보와 검사이력을 모니터링하고, 교정대상 장비를 상기 피 교정기관(10)에 자동 통보한다.
상기 교정기관(20)의 교정 관리 시스템에서는 웹사이트를 통해 접속한 고객에게 공인인증과 과금 과정을 수행한 다음 상기 교정 인정서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정 인정서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교정기관(20)의 교정 관리 시스템은 도 1과 같이, 교정 접수 내역을 등록하는 검사정보 DB(21)와,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30)에 등록된 표준 계측기 목록 및 계측기별 단가 목록을 등록하는 표준계측기목록 DB(미도시)와, 거래처 정보를 등록하는 거래처 DB(미도시)와, 업체별 보유 장비 목록과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를 등록하는 장비정보 DB(22)와, 시스템 사용자(직원)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정보 DB(23)와, 검사 완료된 검사성적서 내역을 등록하는 검사결과 DB(24)와, 대행업체를 통하여 검사되는 검사성적서 내역을 등록하는 대행결과 DB(25)와, 교정일 별로 추후 검사받게 될 검사대상 장비 목록을 등록하는 재 교정일 DB(26)와, 검사 완료된 장비에 대하여 납품 결과 및 납품 내역 현황을 등록하는 납품정보 DB(27)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피 교정기관(10)에서 보유하고 있는 보유 장비 목록을 모니터링하여 검사일을 사전 통보하고 상기 교정승인 성적서를 온라인을 통해 발행하는 관리자 PC(28)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교정 접수 내역은 접수일자, 접수구분, 교정접수자, 교정자, 기술책임자, 신청수량, 거래선코드, 거래선명, 신청자명, 납품요청일을 포함한 교정접수정보와, 출장, 직책, 대행발주, 교정장소, 교정주기, 현장교정을 포함한 부가정보와, 분류번호, 기기명칭, 형식, 기기번호, 수량, 단가, 교정금액, 완료예정일,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내역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납품 내역은 접수일자, 거래선명, 처리구분, 납품요청일, 납품상황(납품추가, 부분납품, 납품완료)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30)은 상기 교정기관(20)에서 교정장비 승인을 요청한 교정장비에 대해 상기 교정기관(20)에서 온라인으로 전송한 교정검사 성적서를 토대로 해당 장비의 표준 계측기 목록과 비교하여 교정장비 승인을 발급한다.
참고로, 우리나라에서는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30)으로 한국교정시험기관인정기구(韓國矯正試驗機關認定機構, 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가 있다. 상기 한국교정시험기관인정기구는 대한민국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산하 정부기구로써 영문이름을 줄여 코라스(KOLAS)라고도 한다. 상기 한국교정시험기관인정기구(KOLAS)는 국가표준제도의 확립 및 산업표준화제도 운영, 공산품의 안전/품질 및 계량·측정에 관한사항, 산업기반 기술 및 공업기술의 조사/연구 개발 및 지원, 교정기관과 시험기관 및 검사기관 인정제도의 운영, 표준화관련 국가간 또는 국제기구와의 협력 및 교류에 관한 사항 등의 업무를 관장하는 기술표준원 조직으로서, 기술표준원장이 KOLAS장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 교정기관(10)과 상기 교정기관(20) 및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30)이 온라인을 통해 하나로 묶여서 연계하여 동작한다. 즉, 상기 피 교정기관(10)에서는 상기 교정기관(20)으로 피 교정장비(11)의 교정검사를 접수 및 의뢰하고, 상기 교정기관(20)에서는 상기 피 교정기관(10)에서 의뢰한 장비를 교정검사를 실시한 후 검사 성적서를 발행하여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30)으로 교정장비 인증을 요구하고,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30)에서는 검사 성적서를 토대로 해당 장비의 표준계측기 정보(목록)과의 비교에 의해 평가한 후 교정장비 인증을 결정하고, 상기 교정기관(20)에서 교정 인정서를 발행하여 상기 피 교정기관(10)으로 온라인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은 교정(Proofreading)의 요구에서 인증까지의 온라인 프로세서(On-line Process)를 제공하고 있다.
교정 관리 시스템(200)의 데이터 흐름
도 2는 교정 관리 시스템(200)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상기 교정 관리 시스템(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접수 관리(1), 교정검사 관리(2), 납품관리(3), 시스템관리(4)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교정접수 관리 과정(1)에서는 업체별로 접수한 장비에 대한 상세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상기 업체별로 접수한 장비에 대한 상세정보 중 대행 장비에 대한 교정대행 발주 및 입고관리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상기 접수 장비별 승인/취소 정 보를 파악 저장 관리한다.
상기 교정검사 관리 과정(2)에서는 교정 검사 전(표준문서)/교정 후(검사 성적서) 정보를 변경 저장하고, 교정 완료 후 검사성적 현황(검사 성적서 이력)을 저장 관리한다.
상기 납품관리 과정(3)에서는 교정검사 완료 및 대행 검사 완료된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교정검사 완료 및 대행 검사 완료된 현황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상기 시스템관리 과정(4)에서는 거래업체별 상세정보,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30)에서 인증한 표준계측장비의 목록 및 단가 정보, 사용자(직원) 정보, 거래업체(피 교정기관)별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 및 위치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한다.
교정 관리 시스템(200)의 모니터링 기능
도 3은 교정 관리 시스템(200)의 모니터링에 의한 검사대상 장비 자동 통보 기능을 나타낸 기능도이다.
상기 교정 관리 시스템(200)은 크게 교정대상 관리, 교정주기 관리, 모니터링 관리 등을 수행한다.
상기 교정대상 관리 기능은 보유장비 목록, 검사대상 목록, 대상 장비별 검사 이력 등을 관리하고, 상기 교정주기 관리 기능은 보유장비 목록, 주기별 검사대상 목록, 최대/최소 검사 주기 대상 목록 분류 등을 관리하고, 상기 모니터링 관리 기능은 보유장비 목록, 검사대상 목록 뷰(View), 검사대상 장비 자동 통보 등을 관리한다.
상기 교정 관리 시스템(200)에서는 상기 피 교정기관(10)에서 보유하고 있는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장비 리스트와 이력정보 및 장비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교정 검사대상 장비를 주기별로 산출하여 검사대상 장비를 상기 피 교정기관 시스템(100)에 온라인으로 자동 통보한다. 이에, 상기 피 교정기관 시스템(100)에서는 상기 교정기관 시스템(200)에 검사대상 장비를 온라인 접수한다.
교정 관리 시스템(프로그램)의 기능별 구조
도 4는 본 발명의 교정 관리 시스템(프로그램)의 기능 구조도이다.
상기 교정 관리 시스템(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처, 교정대상 및 주기, 장비(표준기), 프로그램 사용자, 교정 및 피교정 장비의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부(210)와, 교정접수, 교정대행 발주 및 입고, 접수승인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교정접수 관리부(220)와, 교정 실적 및 현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교정실적 관리부(230)와, 납품 실적 및 현황을 저장 및 관리하는 납품 관리부(2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시스템 관리부(210)는 거래업체별 상세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거래처관 리 모듈(211)과,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30)에서 인증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교정대상 및 주기관리 모듈(212)과,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30)에서 인증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장비(표준기)관리 모듈(213)과, 상기 교정 관리 시스템(200)의 사용자(직원)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프로그램사용자관리 모듈(214)과, 상기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 또는 바코드 정보를 위치 추적하여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피)교정장비 위치관리 모듈(21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교정 접수 관리부(221)는 업체별로 접수한 장비에 대한 상세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교정접수관리 모듈(221)과, 상기 업체별로 접수한 장비에 대한 상세정보 중 대행 장비에 대하여 저장 관리하는 교정대행 발주 및 입고관리 모듈(222)과, 상기 접수 장비별 승인/취소 정보를 파악 저장 관리하는 접수승인관리 모듈(22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교정실적 관리부(231)는 교정 검사 전(표준문서)/교정 후(검사서) 정보를 변경 저장 관리하는 교정실적관리 모듈(231)과, 교정 완료 후 검사성적 현황을 관리하는 교정실적현황 모듈(23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납품 관리부(240)는 교정검사 완료 및 대행 검사 완료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납품실적관리 모듈(241)과, 교정검사 완료 및 대행 검사 완료된 현황 정보를 관리하는 납품실적현황 모듈(242)을 포함하고 있다.
교정 및 피교정 장비의 위치관리 프로그램의 화면 예
도 5 내지 도 8은 교정 및 피교정 장비의 위치관리 프로그램의 화면으로서, 도 5는 교정 및 피교정 장비의 장비내역 화면이고, 도 6은 교정 및 피교정 장비의 태그(Tag) 관리 화면이고, 도 7은 교정 및 피 교정 장비의 위치 관리 화면이고, 도 8은 교정 및 피 교정 장비의 장비설정 및 통신이력 화면이다.
먼저, 상기 교정 및 피교정 장비의 장비내역 화면은 프로그램 메뉴에서 장비 관리를 선택한 후 장비코드를 텍스트 박스에서 선택하여 조회하면 도 5와 같은 장비 내역 화면창이 출력된다. 상기 장비 내역 화면창에는 장비코드, 일련번호, 장비명, 규격/등급, 제조사, 기기번호, 구입일자, 구입금액, 폐기일자, 교정일자, 차기교정일자 등이 표시된다. 이때, 장비 내역을 수정하거나 입력할 때에는 하단에 표시된 각 항목의 입력창에 입력하면 된다.
상기 태그(Tag) 관리 화면은 프로그램 메뉴에서 태그(Tag) 관리를 선택하여 조회하면 도 6과 같이 출력된다. 상기 태그(Tag) 정보의 검색은 상기 태그(Tag) 관리 화면에서 태그(Tag)번호와 기기명을 입력하여 조회하면 프로그램에 등록된 교정 및 비교정 장비의 태그 번호와 기기명, 등록일자, 변경일자 등이 태그별로 리스트 형식으로 화면에 출력된다.
상기 교정 및 피 교정 장비의 위치 관리 화면은 프로그램 메뉴에서 위치 관리를 선택하여 조회하면 도 7과 같이 출력된다. 상기 교정 및 피 교정 장비의 위치 관리 정보는 상기 위치 관리 화면에서 RFID 태그 번호, 설치장소를 입력하여 조회하면 회사구분, 장소구분, 장비구분, 교정(피)교정 장비명, 장비(기기)번호, 태그 번호, 기준장소, 장소설명 등이 장비별로 리스트 형식으로 화면에 출력된다.
상기 교정 및 피 교정 장비의 장비설정 및 통신이력 화면은 프로그램 메뉴에서 장비설정 및 통신이력을 선택하여 조회하면 도 8과 같이 출력된다. 상기 장비설정 화면에는 서버 구동 버튼, 정보수신 버튼, 수신중지 버튼이 구비되어 있고, IP, 장치ID, 장치위치, 태그(TAG), RSSI 신호 세기가 버튼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태그(TAG) 버튼은 태그 정보 수신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정보수신/수신중지 버튼은 전체 장비에 태그 수신여부를 반영한다. 그리고 상기 RSSI 신호 세기 버튼은 RSSI 신호 세기를 0∼255까지 숫자로 입력한다. 상기 통신이력 화면은 태그의 송/수신 정보를 화면에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최대 10건까지 표시한다.
또한, 상기 장비설정 및 통신이력 화면은 도 8과 같이, 장치ID, 위치, 태그 ID, 사용자, 상태, RSSI, LQI, 최초갱신 일시, 최종갱신 일시, 경과시간 등을 나타낸다.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교정기관(20)의 서버에 교정 관리 프로그램을 설치 및 구동한다(단계 S100).
여기서, 상기 교정기관(20)의 교정 관리 프로그램은 거래처, 교정대상 및 교정주기, 장비(표준기), 프로그램 사용자, 교정접수, 교정대행 발주 및 입고, 접수 승인, 교정 실적 및 현황 정보, 납품 실적 및 현황 정보, 장비의 전자식 식별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여, 교정의 요구에서 인증까지의 온라인 프로세서를 제공하고 피 교정 장비의 교정 추적 및 예측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상기 교정 관리 프로그램은 온라인을 통해 상기 피 교정기관(10)의 서버와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30)의 서버와 연계하여 동작한다.
그 다음,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30)에 등록된 표준 계측기 정보(계측기 목록 및 계측기 단가 목록 등)를 상기 교정기관(20)의 서버를 통해 DB에 등록한다(단계 S110).
그 다음, 상기 교정기관(20)에서 오프라인 및 온라인을 통해 피 교정기관(10)으로부터 교정검사 장비를 접수받는다(단계 S120). 이때, 상기 교정기관(20)에서는 교정검사를 받을 피교정 장비(11)에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가 부착되어 있으면(단계 S130의 "예") 상기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를 읽어서 접수내역 정보에 저장한다(단계 S140). 만약, 상기 피교정 장비(11)에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가 부착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S130의 "아니오") 상기 피교정 장비(11)에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를 부착한 후 상기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를 등록한다.
그 다음, 상기 피 교정기관(10)의 상세 정보 및 보유 장비 목록이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면(단계 S150의 "예") 장비별 검사항목을 파악하여 접수내역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160). 만약, 상기 피 교정기관(10)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S150의 "아니오") 상기 피 교정기관(10)의 상세 정보 및 보유 장비 목록을 제공받아 등록한다(단계 S151).
여기서, 상기 접수내역 정보는, 접수일자, 접수구분, 교정접수자, 교정자, 기술책임자, 신청수량, 거래선코드, 거래선명, 신청자명, 납품요청일을 포함한 교정접수정보와, 출장, 직책, 대행발주, 교정장소, 교정주기, 현장교정을 포함한 부가정보와, 분류번호, 기기명칭, 형식, 기기번호, 수량, 단가, 교정금액, 완료예정일,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에 등록된 표준 계측기 목록 및 계측기별 단가 목록을 참조하여 등록한다.
그 다음, 상기 교정기관(20)에서는 검사 장비에 따라 현장/본사/대행 업무로 구분하고, 교정 책임자와 교정 담당자를 선정한다(단계 S170). 이때, 상기 교정기관(20)의 서버는 미 인증항목 및 기타 항목에 대하여 별도의 대행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대행발주 및 결과 정보를 등록 관리한다.
그 다음, 상기 교정 담당자가 현장 또는 본사에서 검사 대상의 피교정 장비(11)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29)로 읽어서 장비이력, 검사이력, 교정이력 등을 확인한 후 표준절차 및 항목별로 검사를 실시한다(단계 S180).
그 다음, 상기 교정 담당자는 상기 피교정 장비(11)에 대한 교정검사를 완료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29)를 통해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를 발행하여 상기 피교정 장비(11)에 재 부착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29)에 검사 성적서를 입력하여 상기 교정기관(20)의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190).
그 다음, 상기 교정기관(20)의 서버에서 상기 피교정 장비(11)에 대한 검사 성적서를 국가교정인정기관(30)에 온라인 제출하여 교정장비 인증을 요청한다(단계 S200).
그 다음,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30)으로부터 교정장비 인증을 받으면(단계 S210), 상기 교정기관(20)의 서버에서 교정 인증서를 발행하여 상기 피 교정기관(10)으로 온라인 전송한다(단계 S220).
마지막으로, 상기 교정기관(20)의 서버에서 상기 피 교정기관(10)의 교정 및 비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교정대상 장비에 대해 온라인으로 사전에 자동 통보한다(단계 S230).
그리고, 상기 교정기관(20)의 서버는 피 교정기관(업체)별로 상세 정보와 보유 장비 목록을 모니터링하여 교정 주기를 관리 및 통보하고, 검사 완료된 장비에 대하여 납품 결과와, 접수일자, 거래선명, 처리구분, 납품요청일, 납품상황(납품추가, 부분납품, 납품완료) 정보를 포함한 납품 내역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한다.
또한, 상기 교정기관(20)의 서버는 웹사이트를 통해 접속한 고객에게 공인인증과 과금 과정을 수행한 다음 상기 교정 인정서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여, 상기 교정 인정서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측정기의 교정대상 및 주기 목록의 예
도 10은 국가교정인정기관에 등록된 측정기의 교정대상 및 주기 목록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에 등록된 측정기의 교정대상 및 주기 목록에는 교정용 표준기와 정밀계기에 따라 교정검사를 받는 주기(월 단위)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게이지 블록(Gage Block)-절대교정(by interferometry)의 경우 36개월마다 교정검사를 받도록 되어 있고, 깊이 게이지(Depth Gage)는 교정용 표준기의 경우 24개월, 정밀계기의 경우 12개월마다 교정검사를 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다이얼 게이지 시험기(Dial Gage Tester)는 교정용 표준기의 경우 24개월, 정밀계기의 경우 12개월마다 교정검사를 받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서는 교정의 요구에서 인증까지의 온라인 프로세서(On-line Process)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교정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
도 3은 교정 관리 시스템의 모니터링에 의한 검사대상 장비 자동 통보 기능을 나타낸 기능도
도 4는 본 발명의 교정 관리 시스템(프로그램)의 기능 구조도
도 5 내지 도 8은 교정 및 피교정 장비의 위치관리 프로그램의 화면으로서,
도 5는 교정 및 피교정 장비의 장비내역 화면이고,
도 6은 교정 및 피교정 장비의 태그(Tag) 관리 화면이고,
도 7은 교정 및 피 교정 장비의 위치 관리 화면이고,
도 8은 교정 및 피 교정 장비의 장비설정 및 통신이력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
도 10은 국가교정인정기관에 등록된 측정기의 교정대상 및 주기 목록 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피 교정기관 11 : 피교정 장비
12 : 피 교정기관의 관리자 컴퓨터(PC) 13 : 휴대용 단말기(PDA)
20 : 교정기관 21 : 검사정보 DB
22 : 장비정보 DB 23 : 사용자정보 DB
24 : 검사결과 DB 25 : 대행결과 DB
26 : 재 교정일 DB 27 : 납품정보 DB
28 : 관리자 컴퓨터(PC) 29 : 휴대용 단말기(PDA)
30 : 국가교정인정기관 100 : 피 교정기관 시스템
200 : 교정기관의 교정 관리 시스템 210 : 시스템 관리부
211 : 거래처관리 모듈
212 : 교정대상 및 주기관리 모듈 213 : 장비(표준기)관리 모듈
214 : 프로그램 사용자관리 모듈
215 : (피)교정장비 위치관리 모듈 220 : 교정접수 관리부
221 : 교정접수관리 모듈
222 : 교정대행발주 및 입고관리 모듈 223 : 접수승인관리 모듈
230 : 교정실적 관리부 231 : 교정실적관리 모듈
232 : 교정실적현황 모듈 240 : 납품 관리부
241 : 납품실적관리 모듈 242 : 납품실적현황 모듈

Claims (24)

  1. 삭제
  2.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에 있어서,
    (a) 교정기관의 서버에서 피 교정기관(업체)으로부터 피교정 장비의 교정검사를 접수받아 접수내역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b) 상기 피교정 장비를 검사한 교정담당자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피교정 장비에 부착한 전자식 식별정보와 검사 성적서를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c)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에서 상기 검사 성적서를 국가교정인정기관에 온라인 제출하여 교정장비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d)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에서 상기 검사 성적서를 평가한 후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에 인증 결과를 온라인으로 통지하는 단계와;
    (e)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에서 교정 인정서를 발행하여 상기 피 교정기관에 온라인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에서 상기 피 교정 기관의 교정 및 피 교정 장비에 부착된 전자식 식별정보를 실시간으로 위치 추적하여 장비의 위치 정보와 검사이력을 모니터링하고, 교정대상 장비를 온라인으로 상기 피 교정기관에 자동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는:
    거래처, 교정대상 및 교정주기, 장비(표준기), 프로그램 사용자, 교정접수, 교정대행 발주 및 입고, 접수승인, 교정 실적 및 현황 정보, 납품 실적 및 현황 정보, 장비의 전자식 식별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여, 교정의 요구에서 인증까지의 온라인 프로세서를 제공하고 피 교정 장비의 교정 추적 및 예측 기능을 제공하는 교정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은: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에 연결된 인식기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전자식 식별정보를 읽어서 해당 장비에 대한 장비이력, 검사이력, 교정이력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는:
    상기 전자식 식별정보의 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장비에 대한 장비이력, 검사이력, 교정이력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식별정보는:
    상기 피 교정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교정검사가 완료된 후 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식별정보는: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 C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는:
    고객이 온라인을 통해 교정 인정서 발행을 요구할 경우 공인인증과 과금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는: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에 등록된 표준 계측기 목록 및 계측기별 단가 목록을 등록하고, 이를 참조하여 상기 접수내역 정보 및 검사 성적서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는: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의 미 인증항목에 대하여 별도의 대행 업무를 수행하도록 대행발주 및 결과 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는:
    피 교정기관(업체)별로 등록된 상세 정보와 보유 장비 목록 및 전자식 식별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대한 교정 주기를 관리 및 통보하는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기관의 서버는:
    검사 완료된 장비에 대하여 납품 결과와, 접수일자, 거래선명, 처리구분, 납품요청일, 납품상황(납품추가, 부분납품, 납품완료) 정보를 포함한 납품 내역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내역 정보는:
    접수일자, 접수구분, 교정접수자, 교정자, 기술책임자, 신청수량, 거래선코드, 거래선명, 신청자명, 납품요청일을 포함한 교정접수정보와,
    출장, 직책, 대행발주, 교정장소, 교정주기, 현장교정을 포함한 부가정보와,
    분류번호, 기기명칭, 형식, 기기번호, 수량, 단가, 교정금액, 완료예정일,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내역 정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방법.
  13. 삭제
  14.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교정 및 피교정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복수개의 피교정기관의 시스템과;
    상기 피교정기관의 시스템으로부터 업체 정보 및 보유 장비 목록을 제공받아 등록하고, 상기 피교정기관의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전자식 식별정보를 실시간 위치 추적하여 장비의 위치 정보와 검사이력을 모니터링하고 교정대상 장비를 온라인으로 자동 통보하며, 검사 접수에 의해 교정검사를 실시한 교정검사 성적서를 온라인을 통해 국가교정인정기관에 제출하여 교정장비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교정장비 인증을 받으면 온라인으로 교정 인정서를 발행하며, 교정의 요구에서 인증까지의 온라인 프로세서를 제공하는 교정 기관의 교정 관리 시스템; 및
    상기 교정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온라인을 통해 교정장비 인증 요청을 받고 평가에 의해 교정장비 인증을 수행하는 국가교정인정기관의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교정 관리 시스템은:
    거래처, 교정대상 및 교정주기, 장비(표준기), 프로그램 사용자, 교정접수, 교정대행 발주 및 입고, 접수승인, 교정 실적 및 현황 정보, 납품 실적 및 현황 정보, 장비의 전자식 식별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여, 교정의 요구에서 인증까지의 온라인 프로세서를 제공하고 피 교정 장비의 교정 추적 및 예측 기능을 제공하는 교정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식별정보는: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 C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관리 시스템은:
    고객이 온라인을 통해 교정 인정서 발행을 요구할 경우 공인인증과 과금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관리 시스템은:
    거래처, 교정대상 및 주기, 장비(표준기), 프로그램 사용자,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 교정 및 피교정 장비의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부와;
    교정접수, 교정대행 발주 및 입고, 접수승인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교정접수 관리부와;
    교정 실적 및 현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교정실적 관리부; 및
    납품 실적 및 현황을 저장 및 관리하는 납품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부는:
    거래업체별 상세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거래처관리 모듈과;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에서 인증한 표준계측장비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교정대상 및 주기관리 모듈과;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에서 인증한 표준계측장비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장비(표준기)관리 모듈과;
    상기 교정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프로그램사용자관리 모듈; 및
    상기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 또는 바코드 정보를 위치 추적하여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피)교정장비 위치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접수 관리부는:
    업체별로 접수한 장비에 대한 상세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교정접수관리 모듈과;
    상기 업체별로 접수한 장비에 대한 상세정보 중 대행 장비에 대하여 저장 관리하는 교정대행 발주 및 입고관리 모듈; 및
    상기 접수 장비별 승인/취소 정보를 파악 저장 관리하는 접수승인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실적 관리부는:
    교정 검사 전(표준문서)/교정 후(검사서) 정보를 변경 저장 관리하는 교정실적관리 모듈; 및
    교정 완료 후 검사성적 현황을 관리하는 교정실적현황 모듈;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납품 관리부는:
    교정검사 완료 및 대행 검사 완료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납품실적관리 모듈; 및
    교정검사 완료 및 대행 검사 완료된 현황 정보를 관리하는 납품실적현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관리 시스템은:
    교정 접수 내역을 등록하는 검사정보 DB와;
    상기 국가교정인정기관에 등록된 표준 계측기 목록 및 계측기별 단가 목록을 등록하는 표준계측기목록 DB와;
    거래처 정보를 등록하는 거래처 DB와;
    업체별 보유 장비 목록과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를 등록하는 장비정보 DB와;
    시스템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정보 DB와;
    검사 완료된 검사성적서 내역을 등록하는 검사결과 DB와;
    대행업체를 통하여 검사되는 검사성적서 내역을 등록하는 대행결과 DB; 및
    검사 완료된 장비에 대하여 납품 결과 및 납품 내역 현황을 등록하는 납품정보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접수 내역은:
    접수일자, 접수구분, 교정접수자, 교정자, 기술책임자, 신청수량, 거래선코드, 거래선명, 신청자명, 납품요청일을 포함한 교정접수정보와,
    출장, 직책, 대행발주, 교정장소, 교정주기, 현장교정을 포함한 부가정보와,
    분류번호, 기기명칭, 형식, 기기번호, 수량, 단가, 교정금액, 완료예정일, 교정 및 피교정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Tag) 또는 바코드(Bar-Code)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내역 정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납품 내역은:
    접수일자, 거래선명, 처리구분, 납품요청일, 납품상황(납품추가, 부분납품, 납품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KR1020090119015A 2009-12-03 2009-12-03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67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015A KR100967625B1 (ko) 2009-12-03 2009-12-03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015A KR100967625B1 (ko) 2009-12-03 2009-12-03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625B1 true KR100967625B1 (ko) 2010-07-05

Family

ID=4264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015A KR100967625B1 (ko) 2009-12-03 2009-12-03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6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4513A (zh) * 2018-06-02 2018-10-23 山东省交通科学研究院 一种检定校准实验室证书管理系统及方法
CN110187692A (zh) * 2019-06-27 2019-08-30 武汉恒泰通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一体化开关电源的远程监控管理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3323A (ja) * 2005-09-28 2007-04-1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遠隔校正方法及び方式
KR20080011744A (ko) * 2006-07-31 2008-02-11 주식회사 다큐레이터 엑스엠엘 기반의 원격 유지 보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3323A (ja) * 2005-09-28 2007-04-1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遠隔校正方法及び方式
KR20080011744A (ko) * 2006-07-31 2008-02-11 주식회사 다큐레이터 엑스엠엘 기반의 원격 유지 보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4513A (zh) * 2018-06-02 2018-10-23 山东省交通科学研究院 一种检定校准实验室证书管理系统及方法
CN110187692A (zh) * 2019-06-27 2019-08-30 武汉恒泰通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一体化开关电源的远程监控管理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orgiou et al. A comparison of defects in houses constructed by owners and registered builders in the Australian State of Victoria
KR20160052516A (ko) 생산물 통합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lacko Metrology in industry: The key for quality
WO2010121364A1 (en) Utility tariff engine
KR100967625B1 (ko) 국가교정 사슬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Milinković et al. Measurement uncertainty as a universal concept: can it be universally applicable in routine laboratory practice?
KR101081795B1 (ko) 교정 온라인 프로세스 시스템
Utami et al. The balanced scorecard method for assessing company performance (case study at PT Salatiga State Electricity Compañy)
BRPI0718319A2 (pt) Sistema e método para certificar um dispositivo verificável
KR101088416B1 (ko) 국가 교정 관리 시스템
Schultz et al. Development of an advanced structural monitoring system
Schultz Measuring service industry performance: Some basic concepts
Fitria The Influence of DKUPP Performance Quality on Service Quality of E-UMKM through Performance Management in Probolinggo City
Gills et al. NIST mechanisms for disseminating measurements
Harris et al. NISTIR 7082 Proficiency Test Policy and Plan for State Weights & Measures Laboratories (2023 Ed)
Soratto et al. Information technology in legal metrology activities in Brazil
Pålsson et al. Gap analysis of the documents in the ISO 14000-series with regard to quality management of environmental data and information
Masharipov et al. Metrological requirements of international standard ISO/IEC 17025: 2017 and experimental study questions on metrological traceability of measurement results
KR20210155450A (ko) 게이지 교정 관리 시스템
Everhart et al. Process measurement assurance program for US State Metrology Laboratories
Hicks et al. NIST Office of Weights and Measures (OWM) Recognition Program Handbook
CONTRACTOR AN EVALUATION THE IMPLEMENTATION OF E-PROCUREMENT APPLICATION AT CONTRACTOR COMPANY
Geneva et al. COPYRIGHT PROTECTED DOCUMENT
Mokiichuk et al. Theory and Practice of Ensuring the Validity in Testing Laboratories
Wong Accreditation, a Key Recognition for the Analysis of Food Toxins and Contamin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