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635B1 -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635B1
KR100684635B1 KR1020050015517A KR20050015517A KR100684635B1 KR 100684635 B1 KR100684635 B1 KR 100684635B1 KR 1020050015517 A KR1020050015517 A KR 1020050015517A KR 20050015517 A KR20050015517 A KR 20050015517A KR 100684635 B1 KR100684635 B1 KR 100684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oling
temperature
sterilization
mapp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4391A (ko
Inventor
곽쾌열
Original Assignee
곽쾌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쾌열 filed Critical 곽쾌열
Priority to KR1020050015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635B1/ko
Publication of KR20060094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materials in packages which are not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식품이 수용되는 처리탱크의 내실에 스팀과 압축공기를 분출하여 고온 고압의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포장식품을 살균처리하되, 스팀이 주입되는 스팀배관,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압축공기배관,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한 배수관, 냉각건조장치에 의해 생성된 냉각공기가 주입되는 냉각공기배관에 비례제어밸브를 각각 설치하고, 승온 및 살균을 위한 승온구간 및 살균구간에는 해당 승온온도 및 살균온도에 따른 포화증기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비례제어밸브 개도율이 맵핑된 제1 맵핑테이블과, 냉각건조구간에는 냉각건조에 따른 포장식품 내부압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비례제어밸브 개도율이 맵핑된 제2 맵핑테이블을 내장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제어장치가 제1 맵핑테이블과 제2 맵핑테이블을 이용하여 비례제어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스팀 살균, 건조, 포장식품

Description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TREATMENT APPARATUS FOR STEAM STERILIZATION AND DRYN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 구성도,
도 2는 스팀 살균 및 건조 처리시 승온구간, 살균구간, 냉각건조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 곡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온 및 살균구간에서의 비례제어밸브 개폐를 위한 메모리 맵핑 테이블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건조구간에서의 비례제어밸브 개폐를 위한 메모리 맵핑 테이블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장치가 수행하는 승온 및 살균구간에서의 비례제어밸브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장치가 수행하는 냉각건조구간에서의 비례제어밸브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처리탱크 4 ... 개폐문
6 ... 스팀배관 8 ... 압축공기 배관
10 ... 냉각공기 배관 12 ... 순환 배관
14 ... 배수관 16 ... 메인스팀배관
18 ... 바이패스 스팀배관 20 ... 스팀공급원
22 ... 분출파이프 60: 냉각건조장치
80 ... 제어장치 82: 메모리부
본 발명은 레토르토 퍼어치(retort parch), 병에 넣은 식품, 통조림 등의 포장식품을 고온고압 스팀으로 살균처리하는 살균처리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살균처리장치는 처리탱크에는 스팀배관과 압축공기배관이 접속되고, 그 처리탱크의 하부에는 배수관이 설치되어 있다. 처리탱크의 내실에는 스팀 배관을 통해 주입되는 스팀과 압축공기 배관을 통해 주입되는 압축공기가 각각 공급되며, 그 스팀과 압축공기와의 혼합기의 일부분이 배수관을 통해서 배기되게 구성되어 있어서, 처리탱크의 내실을 고온고압으로 유지시키고 내실에 수용된 포장식품을 살균처리할 수 있다.
종래기술의 스팀살균처리장치는 스팀 및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배관이나 배수관 배관에 설치되는 밸브를 통상 온/오프밸브로 사용하므로 밸브제어시 완전개방이나 완전폐쇄 제어를 하게된다. 스팀살균 처리장치는 승온기간이나 살균기간 동안은 내실을 살균에 필요한 포화증기(saturated vapor)상태로 만들어 주어야 하는데, 온/오프 밸브를 사용하는 종래의 스팀살균 처리장치는 내실을 포화증기상태로 정밀하게 맞추어주지 못하므로 살균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의 스팀 살균 처리방식은 스팀으로 온도를 높이고 공기의 압력을 조정하는 방식이고, 살균종료 후에는 물로서 스프레이(살수)하여 냉각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살균 처리방식은 온도 상승시에 압력과 온도가 비례상승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정밀제어가 필요한 곳에서는 적합지 않았고, 또한 냉각공정시에 물을 살수함으로써 살균처리 종료 후에는 물이 파우치나 제품 표면에 잔류되어 즉시 포장을 할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살균처리를 마친 다음에는 자연건조후 포장을 하거나 별도의 건조장치를 사용하여 건조시킨 후 포장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밀한 포장식품 살균처리가 가능한 스팀살균 및 건조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장식품 스팀살균과 건조를 한곳에서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는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장식품 살균처리에 대한 생산원가를 낮추고 살균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포장식품이 수용되는 처리탱크의 내실에 스 팀과 압축공기를 분출하여 고온 고압의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포장식품을 살균처리하되, 스팀이 주입되는 스팀배관,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압축공기배관,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한 배수관, 냉각건조장치에 의해 생성된 냉각공기가 주입되는 냉각공기배관에 비례제어밸브를 각각 설치하고, 승온 및 살균을 위한 승온구간 및 살균구간에는 해당 승온온도 및 살균온도에 따른 포화증기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비례제어밸브 개도율이 맵핑된 제1 맵핑테이블과, 냉각건조구간에는 냉각건조에 따른 포장식품 내부압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비례제어밸브 개도율이 맵핑된 제2 맵핑테이블을 내장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제어장치가 승온 및 살균구간과 냉각건조구간에 제1 맵핑테이블과 제2 맵핑테이블을 이용하여 비례제어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온도상승시에 압력과 온도의 비례상승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 스팀살균처리장치의 각 배관에 설치된 밸브를 비례제어밸브로 사용하고, 제어장치가 온도와 압력에 근거한 밸브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해 비례제어밸브를 제어하도록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비례제어밸브가 설치되는 배관으로는, 스팀이 주입되는 스팀배관,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압축공기배관,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한 배수관, 냉각공기가 주입되는 냉각공기배관이다. 일반적인 스팀 살균처리장치의 일 예로는 1993.3.27.자 발행된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93-002183호 "스티임 살균처리장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팀살균과 아울러 냉각건조를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도록 기존의 스팀살균처리장치에서 냉각건조를 위한 구조를 추가하고, 개폐제어 맵핑테이블을 가진 제어장치에서 스팀살균 및 냉각건조를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측 개방된 박스형 처리탱크(2)에는 그 개구에 포장식품의 출입을 위한 개폐문(4)이 설치된다.
처리탱크(2)에는 스팀배관(6), 압축공기배관(8), 냉각공기배관(10), 순환배관(12) 및 배수관(14)이 접속되어 있다. 스팀배관(6)은 메인 스팀배관(16)과 바이패스 스팀배관(18)으로 구성되며, 스팀 공급원(8)에 일단이 연통된 메인스팀 배관(16)의 타단은 처리탱크(2)의 내실 상부에 배설된 분출파이프(22)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 스팀배관(16)에는 스팀공급원(20)측에서부터 분출파이프(22)를 향해서 스트레이너(strainer), 감압밸브(24), 압력계(미도시됨) 및 메인스팀 조정밸브(26)가 차례로 배설되어 있다.
바이패스 스팀배관(18)은 메인 스팀배관(16)의 압력계(미도시됨)와 메인스팀 조정밸브(26)간의 위치에서 분기되어서 혼합장치(28)의 입구에 접속된다. 바이패스 스탬배관(18)에는 바이패스 조정밸브(30)가 설치되며, 바이패스 스팀배관(18) 의 하류쪽에는 압력계(미도시함)가 설치된다. 혼합장치(28)의 출구는 분출파이프(22)의 일단에 접속된다.
압축공기 배관(8)은 메인 압축공기배관(32)과 바이패스 압축공기배관(34)과 시일에어 배관(36,38)으로 구성된다. 압축공기 공급원(38)의 일단에 연통된 압축공기배관(32)의 타단은 분출파이프(22)의 일단에서 메인 스팀배관(16)과 합류되게 접속된다. 메인 압축공기배관(32)에는 압축공기 공급원(40)측에서부터 분출파이프(22)로 향하여 압력계(미도시함)와 메인 압축공기 조정밸브(42)가 차례로 설치되어있다. 바이패스 압축공기배관(34)과 시일에어 배관(36,38)에도 조정밸브(44,46,48)가 각각 설치된다.
바이패스 압축공기배관(34)은 열교환기(50)를 거쳐서 혼합장치(28)의 입구에 접속되며, 메인 압축공기 배관(32)에서 분기된 제1 시일에어배관(36)의 타단은 시일실(52)에 접속된다. 시일실(52)에는 공기를 빼주는 출관(54)이 접속되고, 상기 출관(54)에는 공기제거 밸브(56)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존과 같이 처리탱크(2)의 내실로 산수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장치가 없으며, 그 대신에 냉각공기(62)를 공급하는 냉각건조장치(60)가 구비되며 냉각건조장치(60)에는 냉각공기배관(10)이 접속된다. 냉각공기배관(10)은 메인 냉각공기배관(64)와 보조 냉각공기배관(66)으로 구성되는데, 일측으로 냉각공기(62)가 유입되는 메인 냉각공기밸브(64)의 타측은 처리탱크(2)의 내실 천정에 설치된 에어노즐(64)과 접속된다. 그리고 냉각공기배관(10)에서 분기된 보조공기배관(66)의 타단은 분출파이프(22)의 일단에서 메인 스팀배관(16)과 합류되게 접속된다. 메인 냉각공기배관(64)와 보조 냉각공기배관(66)에는 냉각공기 조정밸브(68,70)이 설치된다.
한편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관(14)은 일단을 열교환기(50)의 열교환실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처리탱크(2)의 내실 바닥면의 배수구에 접속하고, 타단을 배수관 배출구(58)에 접속시키되, 그 중간에는 조정밸브(72)를 설치한다.
또한 처리탱크(2)의 내실로부터 배기구까지에는 배기밸브(74)를 배설하되, 그 중간에는 내실압력이 소정치 이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정밸브(76)가 설치된다.
비록 도 1에 미도시되었지만, 처리탱크(2)에는 그 내실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압력센서들과 내실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온도센서들이 구비되어 있다. 처리탱크(2)의 내실에 구비된 압력센서들의 검출신호 및 온도센서들의 검출신호는 제어장치(80)에 인가되고, 제어장치(80)는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스팀, 압축공기, 냉각공기 주입을 조정하는 조정밸브들을 밸브제어 프로그램으로 제어하여 각 공정에서 요구되는 정밀한 밸브개폐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팀, 압축공기, 냉각공기 주입을 조정하는 조정밸브들은 온/오프 밸브가 아니라 비례제어밸브이다. 비례제어밸브는 제어장치(80)의 제어전류값에 비례해서 선형적으로 출력량을 출력할 수 있을 정도로 밸브 개폐정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비례제어밸브를 채용하여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포장식품이 온도-압력관계와 비례제어밸브의 개도율을 테이블화하여 이를 제어 장치(80)의 메모리부(82)에 맵핑하였는데, 이는 도 3 및 도 4의 메모리 테이블 맵이 참조되어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도 1에서, 미설명된 참조번호 "84"는 사용자와 제어장치(80)가 인터페이스를 하기 위한 조작패널이다.
기존 스팀 살균처리장치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93-002183호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포장식품 투입, 예열공정, 승온공정, 살균공정, 냉각공정, 및 포장식품 꺼내는 공정을 거친다. 포장식품이 레토르토 러퍼어리인 경우는 승온공정과 살균공정은, 제1 승온공정 및 제1 살균공정과, 제2 승온공정 및 제2 살균공정으로 구성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팀 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는 포장식품 투입, 예열공정, 승온공정, 살균공정, 냉각건조공정과, 및 포장식품 꺼내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기존에서는 살수를 통한 냉각공정을 수행하고 난 후 스팀 살균처리장치로부터 포장식품을 꺼내서 별도의 건조장치를 통한 건조나 자연건조로 포장식품을 건조시키는 방식을 취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살균공정과 포장식품 꺼내는 공정 사이에의 공정을 냉각건조공정으로 대체하여 냉각과 함께 건조도 한꺼번에 하도록 구현한다. 그래서 한 곳(스팀 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에서 살균 및 건조 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 건조공정에서는 기존 스팀 살균 처리장치에서의 냉각방식으로 살수하는 것과는 다르게 냉각공기를 이용하는 냉각방식을 사용한다.
도 2는 스팀 살균 및 건조 처리시 승온구간, 살균구간, 냉각건조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 곡선도이다.
도 2에서, 포장식품 스팀 살균을 위해서는 승온구간과 살균구간을 거쳐야 하며, 살균을 한 후에는 포장식품을 안전하게 꺼낼 수 있도록 냉각 건조구간을 거쳐야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장치(80)는 도 2의 승온구간 및 살균구간에서는 도 3의 제1 맵핑테이블을 이용하여 처리탱크(2)의 내실이 승온 및 살균에 해당되는 온도에 적응하며 대응 포화증기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당 비례제어밸브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장치(80)는 냉각건조구간에서는 도 4의 제2 맵핑테이블을 이용하여 처리탱크(2)의 내실이 냉각건조에 해당되는 온도에 적응하며 포장식품의 포장(파우치, 캔 등) 내부압력을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당 비례제어밸브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온 및 살균구간에서의 비례제어밸브 개폐를 위한 맵핑 테이블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건조구간에서의 비례제어밸브 개폐를 위한 맵핑 테이블도로서, 각각의 맵핑 테이블은 도 1의 메모리부(82)에 내장된다.
포장식품은 처리탱크(2)의 내실온도가 최대 130℃ 정도까지 올라가면 거의 모두 살균이 이루어지며, 내실온도가 60℃ 이하에서는 압력을 포화증기압에 맞추지 않아도 되므로 일반적인 스팀 살균처리장치에서의 개폐제어와 같이 수행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온 및 살균구간에서 의 포화증기압을 맞추기 위한 온도범위를 60℃∼130℃로 정했으며, 온도범위내 온도별 포화증기압이 맵핑되어 있다. 또한 처리탱크(2)의 측정된 내실압력과 그에 대응 맵핑된 포화증기압간의 차에 따른 비례제어밸브의 개도율(%)이 맵핑되어 있다.
그리고, 냉각건조구간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범위를 130℃∼60℃로 정하였으며, 온도범위내 온도별 포장식품 내부압력이 맵핑되어 있다. 또한 처리탱크(2)의 측정된 내실압력과 그에 대응 맵핑된 포장식품 내부압력간의 차에 따른 비례제어밸브의 개도율(%)이 맵핑되어 있다.
참고로, 이상기체 방정식 PV = nRT 에서, R은 상수, 용기부피 V는 일정한 값이므로, 기체의 압력은 P = nT의 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온도 T가 올라가면 포화증기압 P도 비례해서 올라감을 알 수 있다. 60℃∼130℃ 범위 내에 온도에 따른 포화증기압은 알 수가 있으며, 포화증기압을 맞추기 위한 비례제어밸브의 개도율은 실험을 통해서 결과치를 얻는다.
한편 도 2의 냉각건조구간에 사용할 냉각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냉각건조장치(60)는 증발기, 어큐뮬레이터, 압축기, 응축기로 구성된 소형 에어콘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냉각건조장치의 다른 구현 일예로는 도 1에 도시된 열교환기(50)와는 다른 별도의 열교환기를 처리탱크(2)의 내실에 게재시켜 설치하고 냉각수를 열교환기를 통해 흐르게 함으로써 구현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의 제어장치(80)가 수행하는 승온 및 살균구간에서의 비례제어밸브 제어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장치(80)가 수행하는 냉각건조구간에서의 비례제어밸브 제어 흐름도이다.
제어장치(80)는 승온 및 살균구간에서 포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최대 130℃까지 승온시켜 포장식품을 살균하게 되는데, 승온 및 살균구간에서는 포화증기압상태를 유지시켜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스팀배관(6)을 통해서 스팀을 처리탱크(2)의 내실로 공급하여 압축공기배관(8)을 통해서 압축공기를 처리탱크(2)의 내실로 공급한다.
이때 제어장치(80)는 도 5의 100단계에서와 같이, 내실에 설치된 온도센서들과 압력센서들로부터 현재의 내실온도와 내실온도를 측정을 하게된다. 그 후 내실온도가 60℃∼130℃에 있는가를 판단한다(102단계). 제어장치(80)는 그 범위 내에 있으면 104단계에서 측정 내실온도에 대응된 제1 맵핑테이블(도 3)에 맵핑된 포화증기압값을 메모리부(82)로부터 읽게된다.
그 후 제어장치(80)는 도 5의 106단계에서 측정 내실압력과 메모리부(82)에서 읽은 포화증기압간의 차를 구하고 그 차에 대응된 비례제어밸브의 개도율을 제1 맵핑테이블(도 3)에서 읽는다. 그래서 도 5의 108단계에서 읽은 비례제어밸브의 개도율에 근거하여 비례제어밸브의 개폐를 정밀하게 제어하게 된다. 이때의 비례제어밸브는 압축공기 공급을 조정하는 조정밸브(42,44)이다.
이렇게 비례제어밸브로 제어함으로써 승온 및 살균구간에서 온도에 맞게 포화증기압 상태를 정밀하게 맞추어줄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80)는 냉각건조구간에서 냉각건조장치(60)를 이용해서 처리탱크(2)의 내실을 냉각건조시킨다.
제어장치(80)는 냉각건조장치(60)를 구동시켜 1차로 냉각공기를 메인 냉각공 기배관(64) 및 보조 냉각공기배관(66)을 통해서 처리탱크(2)의 내실로 투입하여 5분 내지 1분 정도를 지속하여 빠르게 내실온도를 80℃∼90℃까지 냉각시킨다. 이러한 빠른 냉각을 통해서 살균되는 종류도 일부 있으므로 이러한 냉각은 유효하다.
그 후 제어장치(80)는 2차로 냉각공기를 보조 냉각공기배관(66)만을 통해서 5∼6초 주기로 단속적으로 공급하되, 5분 내지 10분을 걸쳐 40℃에 이르게 되도록 천천히 냉각시킨다. 이러한 제어를 통해서 처리탱크(2)의 내실압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속적인 급속냉각에 따른 제품의 변형이나 파손현상을 방지시켜준다.
냉각구간에서 냉각할 때 실내온도 하강에 따른 미리 설정된 포장식품 내부압력을 맞추어주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맵핑테이블에 근거하여 비례제어밸브(68,70)의 밸브개도율이 조정된다. 그래서 냉각되는 중에도 처리탱크(2)의 내실압력은 포장식품의 내부압력과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장치(80)는 도 6의 200단계에서와 같이, 내실에 설치된 온도센서들과 압력센서들로부터 현재의 내실온도와 내실온도를 측정을 하게된다. 그 후 내실온도가 60℃∼130℃에 있는가를 판단한다(도 6의 202단계). 제어장치(80)는 그 범위 내에 있으면 204단계에서 측정 내실온도에 대응된 제2 맵핑테이블(도 4)에 맵핑된 포장식품 내부압력값을 메모리부(82)로부터 읽게된다.
그 후 제어장치(80)는 도 6의 206단계에서 측정 내실압력과 메모리부(82)에서 읽은 포장식품 내부압력값간의 차를 구하고 그 차에 대응된 비례제어밸브의 개 도율을 제2 맵핑테이블(도 4)에서 읽는다. 그래서 도 6의 208단계에서 읽은 비례제어밸브의 개도율에 근거하여 비례제어밸브의 개폐를 정밀하게 제어하게 된다. 이때의 비례제어밸브는 냉각공기량을 조정하는 조정밸브(68,70)이다.
이렇게 비례제어밸브로 제어함으로써 냉각건조구간에서 온도별 포장식품 내부압력과 유사하도록 처리탱크(2)의 내실상태를 맞추어줄 수 있다.
처리탱크(2)의 내실에 맺혀진 응축수의 일부분은 배수관 배관(14)으로 흐르게 된다. 배수관(14)안이 설정온도까지, 예컨대 40℃까지 저하되면, 배수관(14)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메인 압축공기 밸브(26), 냉각공기 조정밸브(68,70), 시일입구 밸브(32)가 닫힘과 동시에 배기밸브(76), 에어 빼는 밸브(56)가 열리게 된다.
배기밸브(76)가 개방되어 처리탱크(2)의 내실압력이 대략 대기압과 같아지므로 개폐문(2)이 열리게 되며 포장식품을 꺼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밀한 포장식품 살균처리가 가능하며, 아울러 포장식품의 스팀살균과 건조를 한곳에서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한 포장식품 살균처리에 대한 생산원가를 낮추고 살균제품의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포장식품이 수용되는 처리탱크의 내실에 스팀과 압축공기를 분출하여 고온 고압의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포장식품을 살균처리하되, 스팀이 주입되는 스팀배관,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압축공기배관,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한 배수관, 냉각건조장치에 의해 생성된 냉각공기가 주입되는 냉각공기배관에 비례제어밸브를 각각 설치하고,
    승온 및 살균을 위한 승온구간 및 살균구간에는 해당 승온온도 및 살균온도에 따른 포화증기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비례제어밸브 개도율이 맵핑된 제1 맵핑테이블과, 냉각건조구간에는 냉각건조에 따른 포장식품 내부압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비례제어밸브 개도율이 맵핑된 제2 맵핑테이블을 내장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제어장치가 승온 및 살균구간과 냉각건조구간에 제1 맵핑테이블과 제2 맵핑테이블을 이용하여 비례제어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맵핑테이블 및 제2 맵핑 테이블에 맵핑된 온도범위는 60℃∼130℃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냉각건조 구간에서 1차로 냉각공기를 처리탱크의 내실로 투입하여 5분 내지 1분 정도를 지속하여 빠르게 내실온도를 80℃∼90℃까지 냉각시키고, 그 후 2차로 냉각공기를 수초 주기로 단속적으로 공급하되, 5분 내지 10분을 걸쳐 40℃에 이르게 되도록 천천히 냉각시키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
KR1020050015517A 2005-02-24 2005-02-24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 KR100684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517A KR100684635B1 (ko) 2005-02-24 2005-02-24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517A KR100684635B1 (ko) 2005-02-24 2005-02-24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047U Division KR200384632Y1 (ko) 2005-02-24 2005-02-24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391A KR20060094391A (ko) 2006-08-29
KR100684635B1 true KR100684635B1 (ko) 2007-02-22

Family

ID=3760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517A KR100684635B1 (ko) 2005-02-24 2005-02-24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6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213B1 (ko) * 2009-06-26 2012-03-28 주식회사 협진기계 레토르트 식품의 살균방법
KR101481774B1 (ko) 2007-07-02 2015-01-12 뷔흘러 바르트 아게 식품의 조각의 표면 살균 및 표면 멸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923B1 (ko) * 2023-02-03 2023-09-06 주식회사 바이탈스 냉각 건조 공정을 수행 가능한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2261A (ja) * 1990-09-11 1992-04-22 Sanyo Electric Co Ltd 蒸気滅菌器
JPH0576330A (ja) * 1991-09-18 1993-03-30 Hisaka Works Ltd 加熱殺菌装置における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2261A (ja) * 1990-09-11 1992-04-22 Sanyo Electric Co Ltd 蒸気滅菌器
JPH0576330A (ja) * 1991-09-18 1993-03-30 Hisaka Works Ltd 加熱殺菌装置における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774B1 (ko) 2007-07-02 2015-01-12 뷔흘러 바르트 아게 식품의 조각의 표면 살균 및 표면 멸균 방법
KR101131213B1 (ko) * 2009-06-26 2012-03-28 주식회사 협진기계 레토르트 식품의 살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391A (ko) 2006-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3258A (en) Steam-operated sterilization apparatus
US9801963B2 (en) Steam sterilizer
CA2765068C (en)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and then sterilizing objects in a load using a chemical sterilant
CN109092758B (zh) 一种负压清洗机及使用其进行清洗消毒的方法
RU267097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ерилизации
BRPI0616681A2 (pt) sistema e método para tratamento de materiais de madeira
KR20090080089A (ko) 오존 살균 방법 및 장치
KR100684635B1 (ko)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
JP2010181042A (ja) 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US9381264B2 (en) Steam sterilizer
KR200384632Y1 (ko)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
US5026524A (en) Apparatus for subjecting a load to a constant temperature below 100°
US20240082443A1 (en) Process and device for sterilizing gas filtration means, in particular blowing air
JP5258110B2 (ja) 含気容器の加熱殺菌装置
JP5831739B2 (ja) レトルト装置
JP4608007B1 (ja) 包装茹で麺製造装置及び包装茹で麺製造方法
JP2015139383A (ja) 殺菌装置
WO2012086087A1 (ja) 包装茹で麺製造装置及び包装茹で麺製造方法
CN209347675U (zh) 蒸汽灭菌装置
KR930002183B1 (ko) 스티임 살균처리장치
CN105267995B (zh) 用于灭菌锅的阶段式蒸汽调控方法
JP2007145364A (ja) 液化ガス充填装置の殺菌方法
JP7035541B2 (ja) 真空解凍装置
JP4684854B2 (ja) 培養器および滅菌器用2ガス製造装置、並びに培養器および滅菌器用2ガス供給システム
RU2188038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терилизации жидких сре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