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923B1 - 냉각 건조 공정을 수행 가능한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냉각 건조 공정을 수행 가능한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923B1
KR102574923B1 KR1020230015106A KR20230015106A KR102574923B1 KR 102574923 B1 KR102574923 B1 KR 102574923B1 KR 1020230015106 A KR1020230015106 A KR 1020230015106A KR 20230015106 A KR20230015106 A KR 20230015106A KR 102574923 B1 KR102574923 B1 KR 102574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waste
sterilization
unit
module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기수
이재성
서동길
김태훈
황지훈
홍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탈스
Priority to KR1020230015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9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45Steam treatment, e.g. supercritical water gasification or oxid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65Medical was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 건조 공정을 수행 가능한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는, 의료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부와, 호퍼부를 통해 유입된 의료 폐기물을 멸균 처리하여 일반 폐기물로 전환시키는 멸균부를 구비하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로, 멸균부는 호퍼부를 통해 유입된 의료 폐기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멸균 공간을 형성하는 멸균 하우징과, 멸균 공간에 배치되고 스팀을 분사하도록 작동하는 분사 모듈, 그리고 멸균 공간에 배치되고 멸균 공간의 의료 폐기물을 교반하도록 회전 판을 구비하는 교반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냉각 건조되기까지의 별도의 대기 시간을 거치지 않고도 폐기물 처리 장치로부터 배출된 의료 폐기물에 대한 다음 공정을 즉시 수행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의료 폐기물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 건조 공정을 수행 가능한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Medical Waste Treatment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Cooling and Drying Process}
본 발명은 냉각 건조 공정을 수행 가능한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을 이용한 멸균 공정이 수행되는 멸균 공간에서 회전 구동하는 회전 판이 멸균 공정이 완료된 의료 폐기물을 고속 교반하도록 작동하며 고속 교반 중인 의료 폐기물에 가열된 압축 공기와 냉각된 압축 공기를 순차적으로 분사하여, 멸균 공정이 완료된 의료 폐기물의 습기를 제거하고 냉각시킬 수 있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 폐기물(medical waste)이란, 병·의원, 보건소, 의료관계 연구소와 교육기관 등에서 배출하는 폐기물로서 사업계 일반 폐기물을 포함한 각종 폐기물을 말하는데, 탈지면·가제·붕대·기저귀·인체 적출물·주사기·주사침·체온계·시험관 등의 검사기구, 분석장치·엑스선필름 폐현상액·유기용제 등이 이에 속하며, 의료관계 폐기물 또는 병원 폐기물이라고도 한다.
의료 폐기물은 진료실·처치실·수술실·검사실·조제실·세척실 등 발생장소의 특성상 병원균(病原菌)이나 중금속, 독극물 등 병원체(病原體) 및 유해물질의 오염에 의한 위험성과 주사침, 깨진 유리 등에 의한 부상의 위험성이 큰 것들이 주종을 차지한다. 특히, 의료 폐기물은 총 발생량의 약 1/4이 혈액·체액·분뇨 등에 오염된 폐기물로 이를 통해 감염될 위험성이 높고, 검사실과 조제실에서 발생하는 각종 폐약품과 독극물 및 수은 등 유해중금속에 오염될 위험이 있으며, 주사바늘·유리병 등은 폐기물 청소원이나 처리업자에게 부상과 감염의 위험을 안겨준다. 때문에 이러한 의료 폐기물의 병원균을 멸균시켜 폐기시키도록 규제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 폐기물의 처리 방법으로는 소각 처리 방법 또는 멸균 처리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별도의 멸균 처리 없이 의료 폐기물을 바로 소각할 경우에는 매우 높은 비율의 오염물질을 대기로 방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병원에서 방출되는 폐기물을 소각시에는 비소, 카드늄, 납과 같은 중금속뿐만 아니라, 디옥신과 퓨란, 에틸렌,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기화합물과, 매연, 바이러스, 병원균 등을 포함한 유독성 물질이 직접 대기로 방출되어 환경이 오염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의료 폐기물을 멸균 처리하는 처리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통상적인 멸균 방식의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는 의료 폐기물을 투입하는 호퍼부와, 호퍼부를 통해 투입된 의료 폐기물을 분쇄하는 분쇄부, 그리고 분쇄부를 통해 분쇄된 의료 폐기물을 고온의 스팀으로 멸균 처리한 후 배출하는 멸균부를 구비한다.
그런데 종래의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멸균이 이루어지므로 멸균 처리 후 배출된 폐기물을 건조 및 냉각시키기위한 추가 공정이 요구된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고온의 스팀을 통해 멸균된 폐기물에 건조 및 냉각 공정을 추가 수행 후 냉각 건조 처리된 폐기물을 배출할 수 있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00339호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스팀을 이용한 멸균 공정이 수행되는 멸균 공간에서 회전 구동하는 회전 판이 멸균 공정이 완료된 의료 폐기물을 고속 교반하도록 작동하여, 멸균 공정이 완료된 의료 폐기물로부터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습기 제거를 위해 고속 교반 중인 의료 폐기물에 순차적으로 가열된 압축 공기과 냉각된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의료 폐기물의 건조 효율과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스팀에 의한 멸균 공정 중에 회전 판이 의료 폐기물을 저속 교반하도록 작동하여, 멸균 공정간에 의료 폐기물을 분산시킬 수 있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멸균 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회전 판의 회전 경로 하측에 배치되는 바닥 플레이트에 상향 돌출 형성되는 요철 영역을 구비하여, 회전 판에 의해 교반되는 의료 폐기물을 교반 중에 상하 이동시키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분사 모듈이 제1 분사공을 구비하는 제1 분사 파이프와 제2 분사공을 구비하는 제2 분사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 분사 파이프는 제2 분사 파이프에 수용 배치되되 스팀 또는 압축 공기의 분사 여부에 따라 제1 분사 파이프 또는 제2 분사 파이프를 상하 이동시켜, 스팀 또는 압축 공기를 분사 시에는 스팀 또는 압축 공기가 분사되는 제1 분사공이 제2 분사공과 중첩 배치되어 개방되도록 하되 스팀 또는 압축 공기를 분사하지 않을 시에는 제1 분사공이 제2 분사 파이프에 의해 차단되도록 하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처리 장치 본체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유닛을 구비하여, 하향 회동 방식으로 개방되는 하부 캡 도어의 개폐 동작시 처리 장치 본체를 상승 이동시킬 수 있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는, 의료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부와, 호퍼부를 통해 유입된 의료 폐기물을 멸균 처리하여 일반 폐기물로 전환시키는 멸균부를 구비하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로, 멸균부는 호퍼부를 통해 유입된 의료 폐기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멸균 공간을 형성하는 멸균 하우징과, 멸균 공간에 배치되고 스팀을 분사하도록 작동하는 분사 모듈, 그리고 멸균 공간에 배치되고 멸균 공간의 의료 폐기물을 교반하도록 회전 판을 구비하는 교반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분사 모듈은 압축 공기를 분사 가능하며, 설정된 멸균 시간 동안 스팀을 분사한 후 설정된 건조 시간 동안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분사 모듈을 작동 제어하는 분사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사 모듈은 가열된 압축 공기와 냉각된 압축 공기를 분사 가능하며, 분사 제어부는 건조 시간의 전반부에는 가열된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분사 모듈을 작동 제어하고, 건조 시간의 후반부에는 냉각된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분사 모듈을 작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분사 모듈은 스팀 또는 압축 공기를 분사 가능하도록 제1 분사공을 구비하는 제1 분사 파이프와, 제1 분사 파이프를 수용하도록 배치되며 제2 분사공을 구비하는 제2 분사 파이프, 그리고 제1 분사공과 제2 분사공이 서로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도록, 제1 분사 파이프 또는 제2 분사 파이프를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 구동 모듈을 포함하고, 분사 제어부는 스팀 또는 압축 공기의 분사 시 제1 분사공과 제2 분사공이 중첩되도록 개폐 구동 모듈을 작동 제어하고, 스팀 또는 압축 공기를 분사하지 않을 시 제1 분사공과 제2 분사공이 중첩되지 않도록 개폐 구동 모듈을 작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멸균 시간 동안 회전 판이 저속 회전하도록 교반 모듈을 작동 제어하고, 건조 시간 동안 회전 판이 고속 회전하도록 교반 모듈을 작동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멸균부는 멸균 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회전 판의 회전 경로 하측에 배치되는 바닥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바닥 플레이트는 회전 판에 의해 교반되는 의료 폐기물이 교반 중에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향 돌출 형성되는 요철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판의 하단부는 회전 판의 회전 시 요철 영역에 밀착하여 형태가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멸균 하우징은 하면에 배치되며 멸균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거나 차단되도록 개폐 가능한 배출 도어를 구비하고, 바닥 플레이트는 의료 폐기물이 배출 도어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두께 방향 관통되는 개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어부는 의료 폐기물을 배출하도록 배출 도어가 개방된 시간 동안 회전 판이 저속 회전하도록 교반 모듈을 작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멸균 하우징의 하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하향 회동하여 개방되는 하부 캡 도어와, 하부 개폐 요청 신호에 따라 하부 캡 도어를 개폐 제어하는 캡 제어부와, 호퍼부와 멸균부를 구비하는 처리 장치 본체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유닛, 그리고 하부 개폐 요청 신호에 따라 처리 장치 본체가 승강 이동하도록 승강 유닛을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개방 요청 신호가 생성되면, 처리 장치 본체가 상승 이동하도록 승강 제어부가 승강 유닛을 제어하고, 처리 장치 본체의 상승 이동이 완료되면 캡 제어부가 하부 캡 도어를 개방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팀을 이용한 멸균 공정이 수행되는 멸균 공간에서 회전 구동하는 회전 판이 멸균 공정이 완료된 의료 폐기물을 고속 교반하도록 작동하여 멸균 공정이 완료된 의료 폐기물을 냉각 건조시킴으로써, 냉각 건조되기까지의 별도의 대기 시간을 거치지 않고도 폐기물 처리 장치로부터 배출된 의료 폐기물에 대한 다음 공정을 즉시 수행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의료 폐기물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습기 제거를 위해 고속 교반 중인 의료 폐기물에 순차적으로 가열된 압축 공기과 냉각된 압축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의료 폐기물의 건조 효율과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팀에 의한 멸균 공정 중에 회전 판이 의료 폐기물을 저속 교반하도록 작동하여 멸균 공정간에 의료 폐기물을 분산시키며, 멸균 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회전 판의 회전 경로 하측에 배치되는 바닥 플레이트에 상향 돌출 형성되는 요철 영역을 구비하여 회전 판에 의해 교반되는 의료 폐기물을 교반 중에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고온 스팀에 노출되는 의료 폐기물의 면적이 증가되므로 멸균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 모듈이 제1 분사공을 구비하는 제1 분사 파이프와 제2 분사공을 구비하는 제2 분사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 분사 파이프는 제2 분사 파이프에 수용 배치되되 스팀 또는 압축 공기의 분사 여부에 따라 제1 분사 파이프 또는 제2 분사 파이프를 상하 이동시켜, 스팀 또는 압축 공기를 분사 시에는 스팀 또는 압축 공기가 분사되는 제1 분사공이 제2 분사공과 중첩 배치되어 개방되도록 하되 스팀 또는 압축 공기를 분사하지 않을 시에는 제1 분사공이 제2 분사 파이프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의료 폐기물이 분사공에 끼이는 클로깅(clogging)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처리 장치 본체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유닛을 구비하여, 하향 회동 방식으로 개방되는 하부 캡 도어의 개폐 동작시 처리 장치 본체를 상승 이동시킴으로써, 하부 캡 도어를 개폐할 공간이 부족한 층고가 낮은 공간에서도 설치 및 구동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의 처리 장치 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모듈과 교반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사공의 개폐 동작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에게 상부 또는 하부 캡 도어 개방에 대한 경보 출력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영역 구획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및 하부 캡 도어 개폐 구동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 장치 본체가 상부 캡 도어 개방 작동을 위해 하강 이동하는 모습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캡 도어가 개방 작동하는 모습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 장치 본체가 하부 캡 도어 작동을 위해 상승 이동하는 모습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캡 도어가 개방 작동하는 모습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의료 폐기물을 멸균 처리하여 일반 페기물로 전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투입된 의료 폐기물을 멸균 처리하여 일반 폐기물로 전환한 후 배출하는 처리 장치 본체(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처리 장치 본체(1)는 의료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부(10)와, 의료 폐기물을 분쇄하는 분쇄부(30)와, 의료 폐기물을 멸균 처리하여 일반 폐기물로 전환하는 멸균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호퍼부(10)는 투입된 의료 폐기물을 일시적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투입 공간 형성하며, 투입 공간은 외부와 상향 연통되도록 상단이 개방 형성될 수 있다. 개방된 상단에는 개폐 작동 가능한 상부 캡 도어(11)가 장착되며, 상부 캡 도어(11)의 개폐 작동에 의해 투입 공간은 외부와 연통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호퍼부(10)에 투입된 의료 폐기물은 분쇄부(30)로 제공될 수 있다. 분쇄부(30)는 호퍼부(10)의 하측에 결합하며 호퍼부(10)로부터 제공받은 의료 폐기물을 분쇄 처리할 수 있다. 분쇄부(30)는 호퍼부(10)로부터 제공받은 의료 폐기물의 분쇄 처리가 이루어지는 분쇄 공간을 형성하며, 분쇄 공간은 호퍼부(10)의 투입 공간으로부터 의료 폐기물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투입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분쇄부(3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분쇄 송간 내의 의료 폐기물을 분쇄시킬 수 있으나 종래의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에서 사용되는 분쇄 방식을 이용하여 의료 폐기물을 분쇄 처리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분쇄부(30)에서 분쇄 처리된 의료 폐기물은 멸균부(50)로 제공될 수 있다. 멸균부(50)는 분쇄부(30)의 하측에 결합하며 분쇄부(30)로부터 제공받은 의료 폐기물을 멸균 처리하여 의료 폐기물로 전환할 수 있다. 멸균부(50)는 분쇄부(30)로부터 제공받은 의료 폐기물의 멸균 처리가 이루어지는 멸균 공간을 형성하며, 멸균 공간은 분쇄부(30)의 분쇄 공간으로부터 분쇄된 의료 폐기물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분쇄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멸균부(50)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의료 폐기물을 멸균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멸균부(50)는 의료 폐기물의 멸균 처리뿐 아니라 멸균된 의료 폐기물을 냉각 건조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멸균부(50)는 하면에 개폐 가능한 배출 도어(도 2의 5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멸균 공간에서 멸균 처리가 완료된 일반 폐기물은 배출 도어를 통해 하향 배출될 수 있다. 배출 도어가 배치되는 분쇄부(30)의 하면에는 개폐 작동 가능한 하부 캡 도어(52)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간에 연통되는 투입 공간, 분쇄 공간, 멸균 공간은 함께 본체 내부 공간을 이루며, 본체 내부 공간은 상부 캡 도어(11)와 하부 캡 도어(52)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고온 스팀에 의해 의료 폐기물의 멸균 공정 시 본체 내부 공간은 외부 압력에 비하여 고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처리 장치 본체의 멸균부(50)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의 멸균부(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의료 폐기물의 멸균 처리뿐 아니라 멸균된 의료 폐기물을 냉각 건조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멸균부(50)는 멸균 공간을 형성하는 멸균 하우징(51)과, 스팀과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모듈(53), 그리고 의료 폐기물을 교반하는 교반 모듈(5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멸균 하우징(51)은 내부에 멸균 공간을 형성하며, 멸균 공간의 의료 폐기물을 하향 배출 가능하도록 하면에 개폐 가능한 배출 도어(51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멸균 하우징(51)의 하면에는 하향 회동하여 개방되는 하부 캡 도어(52)가 하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멸균 공간의 의료 폐기물이 배출되기 위해서는 배출 도어(511)와 하부 캡 도어(52)가 모두 개방되어야 할 것이다.
멸균 하우징(51)의 멸균 공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분쇄부(30)의 분쇄 공간과 연통되며 분쇄 공간을 지나 멸균 공간으로 제공되는 의료 폐기물은 분쇄된 상태의 의료 폐기물일 수 있다.
분사 모듈(53)과 교반 모듈(54)은 멸균 하우징(51)의 멸균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분사 모듈(53)은 멸균 공간에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거나 또는 압축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교반 모듈(54)은 멸균 공간에 수용된 의료 폐기물을 교반하도록 회전 구동하는 회전 판(511)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사 모듈(53)과 교반 모듈(54)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모듈(53)은 원 기둥 형상으로 멸균 공간의 중심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스팀 또는 압축 공기가 분사되는 다수개의 분사공이 상하 방향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교반 모듈의 회전 판(541)은 분사 모듈(53)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사 모듈(53)은 교반 모듈(54)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는데, 분사 모듈(53)이 축 회전하면 분사 모듈(53)에 장착된 회전 판(541)은 분사 모듈(53)의 축 회전에 의해 분사 모듈(53)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는 분사 모듈(53), 교반 모듈(54), 배출 도어(511) 및 하부 캡 도어(52)를 작동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기설정된 스케줄 정보 또는 별도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분사 모듈(53), 교반 모듈(54), 배출 도어(511) 및 하부 캡 도어(52)를 작동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스케줄을 판단하는 스케줄 판단부(110)와, 분사 모듈(53)을 작동 제어하는 분사 제어부(120)와, 교반 모듈(54)을 작동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130)와, 배출 도어(511)를 작동 제어하는 배출 제어부(140)와, 상부 또는 하부 캡 도어(52)를 작동 제어하는 캡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케줄 판단부(110)는 기설정된 스케줄 정보 또는 별도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케쥴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공정 시간이 투입 시간, 분쇄 시간, 멸균 시간 및 건조 시간 중 어느 시간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투입 시간, 분쇄 시간, 멸균 시간 및 건조 시간은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지만, 서로 겹치거나 동일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시점을 0시 0분으로 기준 하였을 때 0시 0분에서부터 0시 10분까지는 투입 시간, 0시 10분에서부터 0시 30분까지는 분쇄 시간, 0시 30분에서부터 1시 00분까지는 멸균 시간, 그리고 1시 00분에서부터 1시 20분까지는 건조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0시 0분에서부터 0시 20분까지는 투입 시간, 0시 10분에서부터 0시 30분까지는 분쇄 시간, 0시 30분에서부터 1시 00분까지는 멸균 시간, 그리고 1시 00분에서부터 1시 30분까지는 건조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은 처리되어야 할 의료 폐기물의 양 등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설정된 멸균 시간 동안, 분사 제어부(120)는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도록 분사 제어부(120)를 작동 제어하고 회전 제어부(130)는 회전 판(541)이 저속 회전하도록 교반 모듈(54)을 작동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속 회전하는 회전 판(541)은 멸균 공정간에 의료 폐기물을 분산시키며, 이로 인해 고온 스팀에 노출되는 의료 폐기물의 면적이 증가되므로 멸균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된 건조 시간 동안, 분사 제어부(120)는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분사 모듈(53)을 작동 제어하고 회전 제어부(130)는 회전 판(541)이 고속 회전하도록 교반 모듈(54)을 작동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속 회전하는 회전 판(541)과 압축 공기를 통해 고온 스팀을 이용한 멸균 과정에서 상승한 의료 폐기물의 습도 및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사 모듈(53)은 가열된 압축 공기와 냉각된 압축 공기를 분사 가능하며, 분사 제어부(120)는 건조 시간의 전반부에는 가열된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분사 모듈(53)을 작동 제어하고, 건조 시간의 후반부에는 냉각된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분사 모듈(53)을 작동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조 시간의 전반부에는 의료 폐기물의 습기 제거 효율을 증대시키고 건조 시간의 후반부에는 의료 폐기물의 냉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분사 모듈(53)과 교반 모듈(54)이 일체로 형성되고 분사 모듈(53)의 회전에 의해 교반 모듈(54)이 회전되는 경우, 회전 제어부(130)는 회전 판(541)의 회전을 위해 분사 모듈(53)을 작동 제어하겠지만, 이 또한 교반 모듈(54)을 작동 제어하는 범주에 속할 것이다.
한편, 건조 시간이 종료되면 멸균부(50)에 수용된 의료 폐기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 제어부(140)는 배출 도어(511)를 작동 제어하고 캡 제어부(150)는 하부 캡 도어(52)를 작동할 수 있다.
이때, 멸균부(50)에서 배출되는 의료 폐기물은 멸균 처리가 완료되어 일반 폐기물로 전환된 것이며, 또한 건조 및 냉각 공정을 거친 것이므로, 냉각 건조되기까지의 별도의 대기 시간을 거치지 않고도 이송, 분류 등의 다음 공정을 즉시 수행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의료 폐기물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모듈과 교반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사공의 개폐 동작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분사 모듈(53)과 교반 모듈(54)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분사 모듈(53)은 스팀 또는 압축 공기를 분사 가능하도록 제1 분사공(531a)을 구비하는 제1 분사 파이프(531)와, 제1 분사 파이프(531)를 수용하도록 배치되며 제2 분사공(533a)을 구비하는 제2 분사 파이프(533), 그리고 제1 분사 파이프(531) 또는 제2 분사 파이프(533)를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 구동 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분사 파이프(531)와 제2 분사 파이프(533)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멸균 공간 중심에 수직 배치되며, 제1 분사 파이프(531)는 제2 분사 파이프(533)와 중첩되도록 제2 분사 파이프(533) 내부에 수용 배치될 수 있다.
제1 분사공(531a)은 다수개가 제1 분사 파이프(5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며, 제2 분사공(533a)은 다수개가 제2 분사 파이프(5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분사공(531a) 간의 배치 간격과 제2 분사공(533a) 간의 배치 간격은 서로 동일하며, 제1 분사 파이프(531) 상에서 배치되는 제1 분사공(531a)의 원주 방향 위치와, 제2 분사 파이프(533) 상에서 배치되는 제2 분사공(533a)의 원주 방향 위치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분사 파이프(531) 또는 제2 분사 파이프(533)의 길이 방향 이동을 통해 제1 분사공(531a)과 제2 분사공(533a)이 서로 중첩 배치되거나 또는 중첩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분사 제어부(120)는 스팀 또는 압축 공기의 분사 시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사공(531a)과 제2 분사공(533a)이 중첩되도록 개폐 구동 모듈(미도시)을 작동 제어하고, 스팀 또는 압축 공기를 분사하지 않을 시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사공(531a)과 제2 분사공(533a)이 중첩되지 않도록 개폐 구동 모듈(미도시)을 작동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의료 폐기물이 제1 분사공(531a)에 끼이는 클로깅(clogging)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회전 판(541)은 수직 배치된 상태로 제2 분사 파이프(533)의 외주면에 일측 끝단이 결합될 수 있으며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회전 판(541)은 제2 분사 파이프(533)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전 판의 하단부(541a)는 회전 판(541)의 회전 시 바닥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회전 판(541)은 하단부(541a)를 제외한 다른 부분만 제2 분사 파이프(533)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멸균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멸균 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회전 판의 회전 경로 하측에 배치되는 바닥 플레이트(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바닥 플레이트(55)는 회전 판(541)에 의해 교반되는 의료 폐기물이 교반 중에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향 돌출 형성되는 요철 영역(551)을 구비할 수 있다. 요철 영역(511)은 회전 판(541)에 의해 교반되는 의료 폐기물을 교반 중에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고온 스팀에 노출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의료 폐기물의 멸균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이때, 회전 판의 하단부(541a)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회전 판의 회전 시 요철 영역에 밀착하여 형태가 변형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바닥 플레이트(55)는 의료 폐기물이 배출 도어(5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두께 방향 관통되는 개방 영역(55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회전 제어부(130)는 의료 폐기물을 배출하도록 배출 도어(511)가 개방된 시간 동안 회전 판(541)이 저속 회전하도록 교반 모듈(54)을 작동 제어함으로써, 멸균 공간 내의 의료 폐기물이 개방 영역(553)을 통과하여 배출 도어(511)를 통해 배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는 상술한 처리 장치 본체(1) 외에도 관리자가 올라설 수 있는 발판(3)과, 발판(3)을 지지하는 지지대(5), 그리고 처리 장치 본체(1)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유닛(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판(3)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측에 배치되되, 처리 장치 본체(1) 둘레를 환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발판(3)은 중심부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영역(도 10의 31)을 구비하며, 관통 영역에 처리 장치 본체(1)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발판에 올라선 상태로 처리 장치 본체(1)의 점검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지지대(5)는 소정의 길이(적어도 처리 장치 본체의 상하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를 가지며, 처리 장치 본체(1)가 설치되는 공간의 지면(b)과 천장(t)에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발판(3)은 지지대(5)의 중단부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승강 유닛(7)은 하나 이상 구비되며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적어도 처리 장치 본체의 상하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를 가지며, 처리 장치 본체(1)와 결합하여 처리 장치 본체(1)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승강 유닛(7)은 랙 앤 피니언(Rack and Pinion)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처리 장치 본체(1)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에게 상부 또는 하부 캡 도어 개방에 대한 경보 출력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영역 구획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발판(3)에 올라서서 처리 장치 본체(1)를 점검 및 관리할 수 있다. 그런데 만약 이물질 끼임 등의 원인으로 상부 캡 도어(11) 또는 하부 캡 도어(51)가 개방된 상태로 처리 장치 본체(1)가 구동 중인 상태에서 관리자가 발판(3)에 올라선다면, 처리 장치 본체(1)에서 개방된 틈을 통해 유출되는 의료 폐기물에 의한 바이러스 또는 고온의 스팀에 관리자가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는 관리자가 발판(3)에 위치 시 상부 또는 하부 캡 도어(11, 55)가 개방되었다면 상황에 따라 경보를 출력하거나 처리 장치 본체(1)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는 발판(3)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 센서(200)와, 상부 캡 도어(11) 또는 하부 캡 도어(51)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는 개폐 판단부(300), 그리고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측정 센서(200)는 발판(3)에 배치되어 관리자의 자중에 의해 발판(3)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발판(3)의 전반적인 영역을 대상으로 압력을 측정하되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도록 설정 범위의 압력을 측정하는 다수개의 압력 측정 센서(200)가 서로 이격되어 발판(3)에 배열될 수 있다.
개폐 판단부(30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상부 캡 도어(11) 또는 하부 캡 도어(51)의 개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데, 일례로 개폐 판단부(300)는 상부 캡 도어(11) 또는 하부 캡 도어(51)의 닫힘 상태에서 상부 캡 도어(11) 또는 하부 캡 도어(51)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부 캡 도어(11) 또는 하부 캡 도어(51)의 개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개폐 판단부(300)는 처리 장치 본체(1)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고 고온 스팀을 이용한 멸균 공정 시 처리 장치 본체(1)의 내부 압력 변화에 기초하여 상부 캡 도어(11) 또는 하부 캡 도어(51)의 개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경보 출력부(400)는 소리 또는 빛을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경보 출력부(400)는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개폐 판단부(300)에서 상부 캡 도어(11) 또는 하부 캡 도어(51)를 개방 상태로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압력 측정 센서(200)에서 기준치 이상의 측정 값이 측정된다면, 경보 출력부(400)에서 경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제어부(100)에서 처리 장치 본체(1)의 구동(분쇄부의 분쇄, 스팀 분사, 압축 공기 분사, 회전 판 회전 등)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는 압력 측정 센서(200)에 의해 기준치 이상의 측정 값이 측정된 발판 상의 영역을 판단하는 영역 판단부(500)를 구비하고, 영역 판단부(500)에서 판단한 영역에 따라 경보 출력 또는 처리 장치 본체(1)의 구동 정지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영역 판단부(500)는 발판(3)의 전체 면적을 관통 영역(31)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중심 영역(a1)과, 중심 영역 둘레의 주변 영역(a2)으로 분할 구획하고 각각의 압력 측정 센서(200)가 배치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치 이상의 압력이 측정된 영역이 중심 영역(a1)과 주변 영역(a2) 중 어느 영역에서 측정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캡 도어(11) 또는 하부 캡 도어(51)가 개방된 상태로 중심 영역(a1)에서 기준치 이상의 압력이 측정된 것으로 판단될 시 경보 출력과 처리 장치 본체(1)의 구동 정지 제어가 동시에 수행되지만, 상부 캡 도어(11) 또는 하부 캡 도어(51)가 개방된 상태로 주변 영역(a2)에서 기준치 이상의 압력이 측정된 것으로 판단될 시 경보를 출력하되 처리 장치 본체(1)의 구동은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발판(3)에 위치하여 있지만 처리 장치 본체(1)와는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였다면 경보를 출력하여 관리자에게 도어 개방에 따른 위험을 알리되 처리 장치 본체(1)의 구동은 지속되도록 하여 무분별한 구동 정지로 인한 처리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및 하부 캡 도어 개폐 구동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 장치 본체가 상부 캡 도어 개방 작동을 위해 하강 이동하는 모습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캡 도어가 개방 작동하는 모습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 장치 본체가 하부 캡 도어 작동을 위해 상승 이동하는 모습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캡 도어가 개방 작동하는 모습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 장치 본체가 폐기물 배출을 위해 하강 이동하는 모습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도어가 개방 작동하는 모습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캡 도어(11)는 상향 회동하여 개방되고, 하부 캡 도어(51)는 하향 회동하여 개방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 장치 본체(1)가 층고가 낮은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될 경우, 상향 개방되는 상부 캡 도어(11)와 하향 개방되는 하부 캡 도어(51)가 천장(t) 또는 지면(b)에 충돌하여 도어가 충분히 개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는 상부 캡 도어(11) 또는 하부 캡 도어(51)의 개폐 시 승강 유닛(7)을 이용하여 처리 장치 본체(1)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는 상부 캡 도어(11) 또는 하부 캡 도어(51)의 개폐를 요청하는 개폐 요청부(600)를 `포함하며, 제어부(100)는 승강 유닛(7)을 작동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폐 요청부(600)는 기설정된 스케줄에 기초하여 개폐 요청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개폐 버튼이 조작됨에 따라 개폐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개폐 요청부(600)에서 생성한 개폐 요청 신호를 캡 제어부(800)와 승강 제어부(900)로 제공할 수 있다.
만약, 개폐 요청부(600)에서 상부 개방 요청 신호를 생성하였다면, 생성한 상부 개방 요청 신호는 캡 제어부(800)와 승강 제어부(900)로 제공되며, 상부 개방 요청 신호를 수신한 승강 제어부(9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장치 본체(1)가 설정 높이(최저 높이)까지 하강 이동하도록 승강 유닛(7)을 제어하고, 캡 제어부(800)는 처리 장치 본체(1)의 하강 이동이 완료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캡 도어(11)를 개방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요청부(600)에서 상부 폐쇄 요청 신호를 생성하였다면, 캡 제어부(800)와 승강 제어부(900)는 상술한 상부 개방 요청 신호 수신 시의 역순으로 상부 캡 도어(11)와 승강 유닛(7)을 제어할 수 있다.
만약, 개폐 요청부(600)에서 하부 개방 요청 신호를 생성하였다면, 생성한 하부 개방 요청 신호는 캡 제어부(800)와 승강 제어부(900)로 제공되며, 하부 개방 요청 신호를 수신한 승강 제어부(9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장치 본체(1)가 설정 높이(최고 높이)까지 상승 이동하도록 승강 유닛(7)을 제어하고, 캡 제어부(800)는 처리 장치 본체(1)의 상승 이동이 완료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캡 도어(11)를 개방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요청부(600)에서 하부 폐쇄 요청 신호를 생성하였다면, 캡 제어부(800)와 승강 제어부(900)는 상술한 하부 개방 요청 신호 수신 시의 역순으로 상부 캡 도어(11)와 승강 유닛(7)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는 층고가 낮은 공간에 설치되어도 천장(t) 또는 바닥(b)과의 충돌 없이 상부 캡 도어(11) 및 하부 캡 도어(51)를 개폐 동작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처리 장치 본체
3: 발판
5: 지지대
7: 승강 유닛
10: 호퍼부
11: 상부 캡 도어
30: 분쇄부
50: 멸균부
51: 멸균 하우징
511: 배출 도어
52: 하부 캡 도어
53: 분사 모듈
531: 제1 분사 파이프
533: 제2 분사 파이프
54: 교반 모듈
541: 회전 판
55: 바닥 플레이트
551: 요철 영역
553: 개방 영역
100: 제어부
110: 스케줄 판단부
120: 분사 제어부
130: 회전 제어부
140: 배출 제어부
150: 캡 제어부
170: 승강 제어부
200: 압력 측정 센서
300: 개폐 판단부
400: 경보 출력부
500: 영역 판단부
600: 개폐 요청부

Claims (11)

  1. 의료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를 통해 유입된 의료 폐기물을 멸균 처리하여 일반 폐기물로 전환시키는 멸균부를 구비하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로,
    상기 멸균부는
    상기 호퍼부를 통해 유입된 의료 폐기물을 수용 가능하도록 멸균 공간을 형성하는 멸균 하우징;
    상기 멸균 공간에 배치되고 스팀 또는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작동하는 분사 모듈;
    상기 멸균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멸균 공간의 의료 폐기물을 교반하도록 회전 판을 구비하는 교반 모듈; 및
    설정된 멸균 시간 동안 상기 스팀을 분사한 후 설정된 건조 시간 동안 상기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분사 모듈을 작동 제어하는 분사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모듈은
    상기 스팀 또는 압축 공기를 분사 가능하도록 제1 분사공을 구비하는 제1 분사 파이프;
    상기 제1 분사 파이프를 수용하도록 배치되며 제2 분사공을 구비하는 제2 분사 파이프; 및
    상기 제1 분사공과 제2 분사공이 서로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분사 파이프 또는 상기 제2 분사 파이프를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 구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 제어부는 상기 스팀 또는 압축 공기의 분사 시 상기 제1 분사공과 제2 분사공이 중첩되도록 상기 개폐 구동 모듈을 작동 제어하고, 상기 스팀 또는 압축 공기를 분사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분사공과 제2 분사공이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 구동 모듈을 작동 제어하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모듈은 가열된 상기 압축 공기와 냉각된 상기 압축 공기를 분사 가능하며,
    상기 분사 제어부는 상기 건조 시간의 전반부에는 가열된 상기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분사 모듈을 작동 제어하고, 상기 건조 시간의 후반부에는 냉각된 상기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분사 모듈을 작동 제어하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 시간 동안 상기 회전 판이 저속 회전하도록 상기 교반 모듈을 작동 제어하고, 상기 건조 시간 동안 상기 회전 판이 고속 회전하도록 상기 교반 모듈을 작동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부는
    상기 멸균 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상기 회전 판의 회전 경로 하측에 배치되는 바닥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판에 의해 교반되는 상기 의료 폐기물이 교반 중에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향 돌출 형성되는 요철 영역을 구비하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판의 하단부는 상기 회전 판의 회전 시 상기 요철 영역에 밀착하여 형태가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 하우징은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멸균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거나 차단되도록 개폐 가능한 배출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상기 의료 폐기물이 상기 배출 도어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두께 방향 관통되는 개방 영역을 구비하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부는 상기 의료 폐기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배출 도어가 개방된 시간 동안 상기 회전 판이 저속 회전하도록 상기 교반 모듈을 작동 제어하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10. 제 8 항 있어서,
    상기 멸균 하우징의 하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하향 회동하여 개방되는 하부 캡 도어;
    하부 개폐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하부 캡 도어를 개폐 제어하는 캡 제어부;
    상기 호퍼부와 상기 멸균부를 구비하는 처리 장치 본체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유닛; 및
    상기 하부 개폐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처리 장치 본체가 승강 이동하도록 상기 승강 유닛을 제어하는 승강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11. 제 10 항 있어서,
    하부 개방 요청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처리 장치 본체가 상승 이동하도록 상기 승강 제어부가 상기 승강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처리 장치 본체의 상승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캡 제어부가 상기 하부 캡 도어를 개방 제어하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KR1020230015106A 2023-02-03 2023-02-03 냉각 건조 공정을 수행 가능한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KR102574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106A KR102574923B1 (ko) 2023-02-03 2023-02-03 냉각 건조 공정을 수행 가능한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5106A KR102574923B1 (ko) 2023-02-03 2023-02-03 냉각 건조 공정을 수행 가능한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923B1 true KR102574923B1 (ko) 2023-09-06

Family

ID=8797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106A KR102574923B1 (ko) 2023-02-03 2023-02-03 냉각 건조 공정을 수행 가능한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9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339U (ko) 1998-06-08 2000-01-15 배영 의료폐기물 멸균장치 전용 폐기물 투입장치
KR20060094391A (ko) * 2005-02-24 2006-08-29 곽쾌열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
KR20130067416A (ko) * 2011-12-14 2013-06-24 한국하이테크 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의 저온 탄화장치
CN216652979U (zh) * 2021-11-10 2022-06-03 湖北圣堃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医疗废物用高温蒸汽消毒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339U (ko) 1998-06-08 2000-01-15 배영 의료폐기물 멸균장치 전용 폐기물 투입장치
KR20060094391A (ko) * 2005-02-24 2006-08-29 곽쾌열 스팀살균 및 건조 처리장치
KR20130067416A (ko) * 2011-12-14 2013-06-24 한국하이테크 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의 저온 탄화장치
CN216652979U (zh) * 2021-11-10 2022-06-03 湖北圣堃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医疗废物用高温蒸汽消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101B1 (ko) 음압 격리실을 갖춘 진료 장치
US7767142B1 (en) Medical waste processor and processing method
KR101293675B1 (ko) 감염성 폐기물의 분쇄 및 멸균장치
US5185126A (en) Infectious waste disposal unit
US10232363B2 (en) Safety cabinet
JP4015625B2 (ja) 医療廃棄物の殺菌装置
CN106393181A (zh) 生物安全型手套箱式隔离器
KR100925383B1 (ko) Oled용 글러브 박스
KR102574923B1 (ko) 냉각 건조 공정을 수행 가능한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JP4761497B2 (ja) アイソレーター
CN110982685A (zh) 高危病原微生物无人化隔离检测系统及方法
EP3429642B1 (en) Biomedical waste treatment assembly and method
EP2694119A1 (en) Autoclave for medical waste steriliz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664677B1 (ko) 이동형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시스템
KR102521048B1 (ko) 회전 호퍼를 구비하는 의료 폐기물 처리 장치
KR20060085847A (ko) 의료용 폐기물 처리장치
JP5873608B2 (ja) アイソレ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システム
KR102308592B1 (ko) 의료폐기물의 멸균 분쇄장치
WO2015029413A1 (ja) アイソレ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システム
CN112093337A (zh) 一种移动式医疗废物微波灭菌处理系统
KR101247183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실험용 캐비넷의 블로워 구동 및 바람방향 감지장치
CN211168375U (zh) 一种医学检验用废物收集桶
EP3954955A1 (en) Automatic analysis device
KR102664678B1 (ko) 이동형 멸균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폐기물 멸균 처리 방법
KR20220128480A (ko) 의료폐기물 멸균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