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593B1 - 씰의 연삭장치 - Google Patents

씰의 연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593B1
KR100684593B1 KR1020050059442A KR20050059442A KR100684593B1 KR 100684593 B1 KR100684593 B1 KR 100684593B1 KR 1020050059442 A KR1020050059442 A KR 1020050059442A KR 20050059442 A KR20050059442 A KR 20050059442A KR 100684593 B1 KR100684593 B1 KR 100684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chuck
head spindle
ring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3453A (ko
Inventor
윤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성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성티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성티이씨
Priority to KR1020050059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593B1/ko
Publication of KR20070003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69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with means for feeding the work-pieces to the grinding tool, e.g. turntables,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84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the grinding wheel support being angular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mechanical gearing or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2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 B24D3/04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inorganic
    • B24D3/06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inorganic metallic or mixture of metals with ceramic materials, e.g. hard metals, "cermets", 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2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 B24D3/2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organic
    • B24D3/28Resins or natural or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씰의 연삭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복수개의 씰이 적재된 소재 매거진과, 상기 소재 매거진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씰을 황삭 가공하는 연삭 숫돌이 설치된 황삭용 헤드 스핀들과,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씰을 정삭 가공하는 연삭 숫돌이 설치된 정삭용 헤드 스핀들과,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과 정삭용 헤드 스핀들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씰이 안착 고정되는 척과, 상기 척에 씰을 이송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삭 숫돌에 의해 연삭 가공된 씰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소재 매거진과 척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로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씰의 황삭 가공과 정삭 가공이 하나의 연삭 장치에서 연속적으로 실시되어 제품 생산성이 향상되고, 상기 씰의 연삭면 조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씰, 연삭장치, 연삭기, 사상기, 황삭, 정삭, 연삭 숫돌, 사상 숫돌, 헤드 스핀들, 척, 로더

Description

씰의 연삭장치 {Grinding machine of seal}
도 1은 일반적인 씰의 일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씰의 일예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씰의 제조공정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씰의 연삭장치가 도시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삭장치의 척이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씰의 연삭장치가 도시된 외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씰의 연삭장치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삭장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삭장치의 척이 도시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삭장치의 소재 매거진이 도시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연삭기 52: 승강 레일
54: 계기판 56: 표시부
58: 조작부 60: 헤드 스핀들
60A: 황삭용 헤드 스핀들 60B: 정삭용 헤드 스핀들
62: 연삭 숫돌 64: 승강 장치
66: 제 2 체결공 70: 방향전환수단
72: 각도 조절 손잡이 74: 위치 고정 부재
76: 충돌 방지 유닛 78: 소재 매거진
80: 척 80A: 황삭용 척
80B: 정삭용 척 82: 척 본체
84: 척 베이스 85: 체결부재
86: 척 커버 87: 압착부
88: 척 링 88A: 링형부
88B: 고정부 90: 로더
92: 제 1 로더 94: 제 2 로더
96: 제 3 로더 100: 과부하 방지 유닛
102: 부하 표시계 104: 압력조절기
150: 사상기 152: 계기판
160: 헤드 스핀들 160A: 외경용 헤드 스핀들
160B: 오링용 헤드 스핀들 162: 연삭 숫돌
164: 레버부 166: 회전부
168: 작동부 170: 방향전환수단
172: 각도 조절 손잡이 174: 위치 고정 부재
180,182: 충돌 방지 유닛 184: 풀리
186: 제 1 공압 실린더 190: 척
192: 척 본체 194: 척 베이스
196: 척 커버 198: 척 링
200: 끼움부 202: 씰 안착부
204: 링 안착부 206: 스토퍼
212: 원통부 214: 플랜지부
216: 압착 돌기부 220: 소재 매거진
222: 테이블 224: 적재부
226: 이송부 230: 가이드 봉
232: 가이드 암 234: 체결볼트
236: 고정 블록 240: 이송 플레이트
242: 걸림턱 244: 제 2 공압 실린더
250: 로더
본 발명은 씰의 연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씰의 황삭 가공과 정삭 가 공이 하나의 장치에서 간편하게 실시되고, 상기 씰의 연삭 가공시 씰을 고정하는 척에 의해 주조 성형된 씰의 치수 편차가 보상될 수 있는 씰의 연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씰의 일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씰의 일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씰(Seal)은 부품의 이음매와 틈새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와 기체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써, 특히 상대 운동하는 두 개의 부품 사이에는 밀봉 성능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부품의 상대 운동이 구속되지 않도록 특수하게 제작된 씰이 설치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씰(1)은 상대 운동하는 두 개의 부품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씰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두 개의 씰은 서로 밀착되어 밀봉 기능과 베어링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씰(1)은 상기 상대 운동하는 두 개의 부품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 1 씰(2)과, 상기 제 1 씰(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고 상기 상대 운동하는 두 개의 부품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제 2 씰(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부품이 상대 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씰(2)과 제 2 씰(4)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제 1 씰(2)과 제 2 씰(4)은 동일한 형상으로 특수합금 정밀주조기술 및 초정밀 가공기술에 의해 특수합금주철로 제조된다.
상기 제 1 씰(2)과 제 2 씰(4)의 외주면에는 밀봉 성능이 향상되도록 고무 재질의 오 링(O-Ring)(6)이 추가적으로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씰(2)과 제 2 씰(4)의 대향면(2A)(4A) 외측에는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랩핑면(10)이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대향면(2A)(4A)의 내측에는 소정 기울기로 테이퍼(taper)지게 연삭면(1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랩핑면(10)과 연삭면(12)은 상기 씰(1)의 기능면으로써, 상기 랩핑면(10)이 밀봉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연삭면(12)은 상기 랩핑면(10)의 밀봉 기능을 보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씰(2)과 제 2 씰(4)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 링(6)이 장착되는 오링면(14)이 소정 각도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씰(2)과 제 2 씰(4)의 외경을 이루는 외경면(16)이 상기 대향면(2A)(4A)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씰의 제조공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일반적인 씰의 제조공정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먼저, 상기 씰(1)의 주형을 주물사로 만든 다음 상기 주형에 특수합금주철이 용해된 용탕을 주입하게 된다.(S1,S2 참조)
상기 주형에 주입된 특수합금주철이 냉각되면, 상기 주형으로부터 씰(1)이 탈거되고, 상기 씰(1)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도록 상기 주조 성형된 씰(1)에 소착된 주물사가 쇼트 블라스팅(Shot Blasting) 공정에 의해 제거된다.(S3 참조)
그리고, 상기 씰(1)의 외경과 내경 및 오 링(6)의 오링면(14)이 사상기에 의해 가공되고, 상기 사상기에 의해 연마된 씰(1)이 열처리되어 상기 씰(1)의 경도가 향상된다.(S4,S5 참조)
이와 같이 열처리된 씰(1)은 연삭기에 의해 테이퍼지게 연삭 가공되어 연삭면(12)이 형성되고, 랩핑기에 의해 랩핑(Lapping) 가공되어 상기 연삭면(12)의 외측으로 조도와 평탄도가 향상된 랩핑면(10)이 형성된다.(S6,S7 참조)
상기 연삭 가공과 랩핑 가공이 실시된 씰(1)은 세척되어 불순물이 제거된 후 버핑(Buffing) 가공되어 상기 연삭면(12)과 랩핑면(10)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S9 참조)
상기와 같이 불순물과 이물질이 제거된 씰(1)은 검사 과정을 거치면서 양품과 불량품이 선별되고, 양품으로 선별된 씰(1)만 포장된다.(S10,S11 참조)
한편, 종래와 같이 씰(1)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씰(1)의 표면을 숫돌을 이용하여 적절히 연삭하는 연삭장치가 사용되는 바, 상기 연삭기와 사상기 등이 대표적이다.
여기서, 상기 사상기는 사상 숫돌을 회전시켜 상기 씰(1)의 오링면(14)과 외경면(16)을 사상 가공하기 위한 연삭장치로써, 상기 사상 숫돌이 설치된 1개의 헤드 스핀들과, 상기 씰(1)을 이송하는 2개의 로더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2개의 로더는 상기 헤드 스핀들의 하측에 배치된 척으로 씰(1)을 이송함과 아울러 헤드 스핀들에 의해 사상 가공된 씰(1)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씰(1)은 2개의 로더에 의해 이송되면서 1개의 헤드 스핀들에 의해 씰(1)의 오링면(14)과 외경면(16) 중 어느 한 면이 사상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연삭기는 연삭 숫돌을 회전시켜 상기 씰(1)의 연삭면(12)을 테이퍼지게 연삭 가공하기 위한 연삭장치로써, 상기 연삭 숫돌이 설치된 1개의 헤드 스핀들과, 상기 씰(1)을 이송하는 2개의 로더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2개의 로더는 상기 헤드 스핀들의 하측에 배치된 척으로 씰(1)을 이송함과 아울러 헤드 스핀들에 의해 연삭 가공된 씰(1)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씰(1)은 2개의 로더에 의해 이송되면서 1개의 헤드 스핀들에 의해 씰(1)의 연삭면(12)이 연삭 가공된다.
특히, 상기 사상기와 연삭기의 척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 복수개의 턱(Jaw)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써, 상기 복수개의 턱에 의해 연마하고자 하는 씰(1)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씰의 사상기는 상기 씰(1)의 오링면(14)과 외경면(16) 중 어느 한 면만이 1개의 헤드 스핀들에 의해 사상 가공되므로, 상기 씰(1)의 오링면(14)과 외경면(16)은 두 개의 사상기에 의해 각각 사상 가공되거나, 단수개의 사상기에 의해 두 번에 걸쳐 사상 가공이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씰(1)의 오링면(14)과 외경면(16)이 두 개의 사상기에 의해 각각 사상 가공되면, 상기 사상기의 사용 대수가 증가되어 설치비용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씰(1)의 오링면(14)과 외경면(16)이 단수개의 사상기에 의해 두 번에 걸쳐 사상 가공되면, 상기 씰(1)의 사상 가공이 연속적으로 실시되지 않아 작업시간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씰의 연삭기는 상기 씰(1)의 연삭면(12)이 1개의 헤드 스핀들에 의해 한 번만 연삭되어 황삭 가공만 실시되므로, 상기 연삭면(12)의 조도가 크게 향상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연삭장치는 1개의 헤드 스핀들에 의해 상기 씰(1)이 1차 연삭되는 황삭 가공만 실시되므로, 상기 연삭면(12)의 조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없어 상기 씰(1)의 수명이 단축되고 성능도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씰(1)의 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1차 연삭된 면을 다시 한 번 2차 연삭하는 정삭 가공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씰(1)은 하나의 연삭장치에 의해 황삭 가공된 후 다른 연삭장치에 의해 1차 연삭된 연삭면(12)이 정삭 가공되면, 상기 씰(1)의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고, 황삭 가공과 정삭 가공을 위해 두 대의 연삭 장치가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사상기와 연삭기는 상기 척에 의해 씰(1)이 고정되나 상기 씰(1)은 주조 성형의 특성상 치수 편차가 발생되므로, 상기 사상기와 연삭기의 척에 의해 상기 씰(1)이 정위치에 고정되지 않아 상기 연삭 숫돌에 의해 연삭된 면의 두께 편차가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씰(1)은 주조 성형되는 과정에서 찌그러지거나 휘어지게 제조되어 평탄도와 진원도가 저하되므로, 상기 씰(1)은 척에 의해 고정될 때 한 쪽으로 편심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씰(1)의 사상 가공 및 연삭 가공시 연삭면(12)과 오링면(14) 및 외경면(16)이 상기 사상기와 연삭기에 의해 불균일하게 가공되어 상기 씰(1)의 불량률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씰의 황삭 가공과 정삭 가공이 하나의 장치에서 연속적으로 간편하게 실시되고, 씰의 주조 성형시 발생되는 치수 편차가 척에 의해 보상되어 연삭 가공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는 씰의 연삭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씰의 사상 가공이 하나의 장치에서 동시에 실시되고, 씰의 주조 성형시 발생되는 치수 편차가 척에 의해 보상되어 사상 가공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는 씰의 연삭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씰의 연삭 장치는 복수개의 씰이 적재된 소재 매거진과, 상기 소재 매거진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씰을 황삭 가공하는 연삭 숫돌이 설치된 황삭용 헤드 스핀들과,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씰을 정삭 가공하는 연삭 숫돌이 설치된 정삭용 헤드 스핀들과,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과 정삭용 헤드 스핀들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씰이 안착 고정되는 척과, 상기 척에 씰을 이송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삭 숫돌에 의해 연삭 가공된 씰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소재 매거진과 척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로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척은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의 하측에 설치되어 황삭 가공되는 씰이 안착 고정되는 황삭용 척과, 상기 정삭용 헤드 스핀들의 하측에 설치되어 정삭 가공되는 씰이 안착 고정되는 정삭용 척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더는 상기 정삭용 척에서 정삭 가공된 씰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한 후 상기 소재 매거진으로부터 씰을 공급받는 제 1 로더와, 상기 소재 매거진에서 공급받은 씰을 상기 황삭용 척으로 이송하는 제 2 로더와, 상기 황삭용 척에서 황삭 가공된 씰을 상기 정삭용 척으로 이송하는 제 3 로더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척은 상기 헤드 스핀들의 하측에 고정된 척 본체와, 상기 척 본체의 상면에 체결된 척 베이스와, 상기 척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된 척 커버와, 상기 척 커버와 척 본체 사이에 외측 둘레부가 끼움 고정되고 상기 씰이 내측 둘레부에 안착되는 척 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씰은 환형으로 형성된 금속재질의 주조 성형물이고, 상기 척 링은 상기 씰의 외주면이 밀착 지지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척 링은 상기 씰이 외주면이 안착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된 원형 단면의 링형부와, 상기 척 커버와 척 본체 사이에 고정되도록 상기 링형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된 고정부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링형부의 직경보다 작은 두께로 상기 링형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척 베이스의 상면 내주에는 상기 척 커버가 삽입 안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척 베이스 및 척 커버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척 본체의 상면 외주에 체결 고정된다.
또한, 상기 척 커버의 내주에는 상기 척 링의 고정부 상면에 압착되도록 압착부가 둘레를 따라 돌출된다.
상기 압착부는 상기 척 링에 안착되는 씰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척 링의 상면에서 일정 높이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삭장치에는 승강 레일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 레일에는 승강 가능하게 승강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헤드 스핀들은 상기 승강 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헤드 스핀들과 승강 장치에는 상기 헤드 스핀들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헤드 스핀들을 회전된 각도로 고정시키는 방향전환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헤드 스핀들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각도 조절 손잡이와, 상기 각도 조절 손잡이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헤드 스핀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 고정 부재는 상기 승강 장치의 제 1 체결공과 헤드 스핀들의 제 2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볼트이고, 상기 제 2 체결공은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 가능한 직경으로 상기 헤드 스핀들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 장치의 일측에는 상기 씰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연삭 숫돌의 하강 속도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삭 숫돌의 하강 속도를 정속으로 유지시키는 충돌 방지 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충돌 방지 유닛은 하이드로 체크(hydro-checker)로 이루어진 유압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 스핀들에는 상기 연삭 숫돌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연삭장치에는 상기 모터의 과부하가 방지되도록 과부하 방지 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과부하 방지 유닛은 상기 모터의 부하를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부하 표시계와, 상기 부하 표시계에 의해 모터의 과부하가 감지되면 상기 연삭 숫돌과 씰의 접촉압을 저하시키는 압력 조절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하 표시계는 상기 모터의 전류 변화를 표시하는 전류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의 연삭 숫돌은 다이아몬드(Diamond) 20~25%와 메탈 본드(Metal Bond) 75~80%의 조성비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탈 본드는 구리(Cu) 70~80%와 주석(Sn) 20~30%의 조성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삭용 헤드 스핀들의 연삭 숫돌은 다이아몬드(Diamond) 15~25%, 수지(Resin) 40~70%, 녹색탄화규소질 필터(GC Filter) 5~20%, 그래파이트(Graphite) 0~10%의 조성비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씰의 연삭 장치는 복수개의 씰이 적재된 소재 매거진과, 상기 소재 매거진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씰의 외경면을 사상 가공하는 사상 숫돌이 설치된 외경용 헤드 스핀들과,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씰의 오 링이 장착되는 오링면을 사상 가공하는 사상 숫돌이 설치된 오링용 헤드 스핀들과,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에 의해 상기 외경면과 오링면이 가공되도록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씰이 고정되는 척과, 상기 척에 씰을 이송시킴과 아울러 상기 사상 숫돌에 의해 사상 가공된 씰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소재 매거진과 척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척은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척 본체와, 상기 척 본체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씰이 상면 외주에 안착되는 척 베이스와, 상기 척 베이스의 상면 내주에 상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척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척 커버와, 상기 척 커버에 의해 눌려져 상기 씰의 내주면에 외측 둘레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척 커버와 척 본체 사이에 배치된 척 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씰은 환형으로 형성된 금속재질의 주조 성형물이고, 상기 척 링은 상기 씰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척 베이스의 하면 내주에는 상기 척 본체의 상단이 끼움되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면 외측에는 상기 씰이 안착되는 씰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면 내측에는 상기 척 링이 안착되는 링 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에는 상기 척 본체의 상단이 압입 방식으로 끼워진다.
상기 링 안착부는 상기 씰의 내주면 중간에 상기 척 링의 외측 둘레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씰 안착부보다 높은 위치에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링 안착부의 내측에는 상기 척 링의 내측 둘레부가 밀착되도록 스토퍼가 상향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척 본체는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척 커버는 상기 척 본체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척 본체의 하단에는 상기 씰이 회전되도록 척 모터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척 커버는 상기 척 본체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링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 둘레를 따라 하향 돌출되어 상기 척 링의 상면에 압착되는 압착 돌기부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공압 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공압 실린더는 상기 척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상기 소재 매거진은 상기 연삭장치에 고정된 테이블과, 상기 복수개의 씰이 상하로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최하측에 위치된 씰을 가공 초기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적재부는 상기 씰의 외경면을 따라 적어도 3개 이상이 밀착되게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봉의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테이블에 타단이 체결볼트로 체결된 가이드 암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은 상기 씰의 가공 부위에 사상 숫돌이 접촉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링용 헤드 스핀들에는 소정 각도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회전된 각도로 고정시키는 방향전환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오링용 헤드 스핀들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각도 조절 손잡이와, 상기 각도 조절 손잡이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오링용 헤드 스핀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 고정 부재는 상기 연삭장치의 제 1 체결공과 오일용 헤드 스핀들의 제 2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볼트이고, 상기 제 2 체결공은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 가능한 직경으로 상기 오일용 헤드 스핀들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외경용 헤드 스핀들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에는 상기 씰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사상 숫돌의 하강 속도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사상 숫돌의 하강 속도를 정속으로 유지시키는 충돌 방지 유닛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충돌 방지 유닛은 하이드로 체크(hydro-checker)로 이루어진 유압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상 숫돌은 WA(White Alundum) 40%와 A(Alundum) 60%의 조성비로 이루어져 본드(Bond)에 의해 결합된다.
또는 상기와 다르게, 상기 사상 숫돌은 WA(White Alundum)10%, A(Alundum) 90%의 조성비로 이루어져 본드(Bond)에 의해 결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씰의 연삭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삭장치의 척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참고로 종래의 구성과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씰의 연삭기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처리 공정을 거친 씰(1)이 연삭 가공되도록 연삭 숫돌(62)이 하단부에 장착된 헤드 스핀들(Head Spindle)(60)과, 상기 헤드 스핀들(6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씰(1)의 연삭 가공시 상기 씰(1)이 안착 고정되는 척(Chuck)(80)과, 상기 척(80)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 스핀들(60)에 의해 연삭 가공되기 위한 복수개의 씰(1)이 적재된 소재 매거진(Work Magazine)(78)과, 상기 소재 매거진(78)의 씰(1)이 상기 척(80)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소재 매거진(78)과 척(80)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더(Loader)(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 스핀들(60)은 상기 척(80)에 안착된 씰(1)이 상기 연삭 숫돌(62)에 의해 연삭 가공되도록 상기 연삭기(50)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씰(1)이 다양한 각도에서 상기 연삭 숫돌(62)에 의해 연삭 가공되도록 상기 연삭기(50)에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각도 전환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연삭기(5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승강 레일(52)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 스핀들(60)은 상기 승강 레일(52)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 장치(6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헤드 스핀들(60)의 각도 전환은 상기 씰(1)의 연삭 가공이 실시되기 전에 미리 세팅되는 바, 상기 헤드 스핀들(60)을 소정 각도로 방향 전환시킴과 아울러 상기 헤드 스핀들(60)을 방향이 전환된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 스핀들(60)의 일측에는 방향전환수단(70)이 설치된다.
상기 방향전환수단(70)은 상기 헤드 스핀들(6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각도 조절 손잡이(72)와, 상기 각도 조절 손잡이(72)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헤드 스핀들(6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 부재(74)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 조절 손잡이(72)는 상기 헤드 스핀들(60)의 각도 변경시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써, 통상적으로 상기 헤드 스핀들(60)과는 기어에 의해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위치 고정 부재(74)는 상기 승강 장치(64)와 헤드 스핀들(60)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볼트(74)로써, 상기 승강 장치(64)에는 상기 체결볼트(74)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제 1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 스핀들(60)에는 상기 제 1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볼트(74)의 체결 위치가 가변되도록 복수개의 제 2 체결공(6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체결공은 상기 체결볼트(74)가 체결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된 원 형상의 홈이나 홀이고, 상기 제 2 체결공(66)은 상기 체결볼트(74)가 체결 가능한 직경으로 상기 헤드 스핀들(6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홀이다.
따라서, 상기 헤드 스핀들(60)의 설치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상기 제 1 체결공에 체결된 체결볼트(74)의 위치는 항상 일정하게 되나, 상기 제 2 체결공(66)에 체결된 체결볼트(74)의 위치는 가변된다.
또한, 상기 헤드 스핀들(60)은 상기 씰(1)의 연삭면(12)에 접촉될 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연삭 숫돌(62)이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승강 장치(64)의 일측에는 충돌 방지 유닛(76)이 설치된다.
상기 충돌 방지 유닛(76)은 상기 연삭 숫돌(62)이 상기 씰(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도달될 때 상기 승강 장치(64)의 하강 속도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삭 숫돌(62)의 하강 속도를 정속으로 유지시키는 기구이다.
이와 같은 충돌 방지 유닛(76)은 상기 승강장치(64)의 설치 조건에 따라 상기 승강 장치(64)의 하강 속도를 마찰열로 변환시키는 브레이크 장치나, 상기 승강 장치(64)의 하강 속도를 완충시키는 댐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충돌 방지 유닛(76)을 하이드로 체크(hydro-checker)로 이루어진 유압 댐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충돌 방지 유닛(76)은 상기 씰(1)의 일정 높이까지 상기 승강 장치(64)가 하강될 때 작동되도록 상기 승강 장치(64)의 일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 스핀들(60)의 연삭 숫돌(62)은 상기 씰(1)의 연삭 가공 시간이 절감되도록 상기 승강 장치(64)에 의해 씰(1)의 연삭면(12)으로 급속 하강되는 데 반하여, 상기 연삭 숫돌(62)이 상기 씰(1)의 상측으로 5mm까지 도달되면 상기 연삭 숫돌(62)이 씰(1)의 연삭면(12)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충돌 방지 유닛(76)이 작동되어 상기 승강 장치(64)는 저속으로 일정하게 하강된다.
특히, 상기 승강 장치(64)가 상측으로 이동될 경우에는 상기 충돌 방지 유닛(76)에 의해 동작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충돌 방지 유닛(76)은 상기 승강 장치(64)가 하강되는 방향으로만 작동되고 상기 승강 장치(64)가 상승되는 방향으로는 댐핑 기능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삭기(50)에는 상기 소재 매거진(78)으로부터 공급되는 씰(1)을 황삭 가공토록 상기 소재 매거진(78)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이 설치되고,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에 의해 연삭된 씰(1)을 정삭 가공토록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에서 상기 소재 매거진(78)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이 설치된다.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과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은 상기 소재 매거진(78)과 함께 좌우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로더(90)에 의한 씰(1)의 이송가 보다 단순하고 간편하게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씰(1)의 연삭면(12)은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에 의해 1차 연삭된 후 상기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에 의해 연속적으로 2차 연삭되어 상기 연삭면(12)의 조도가 크게 향상된다.
상기 척(80)은 상기 씰(1)의 안착시 상기 씰(1)의 주조 성형에 따른 치수 편차를 보상함과 아울러 상기 씰(1)의 연삭시 상기 씰(1)에 작용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유연성과 완충성이 구비된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척(80)은 상기 헤드 스핀들(5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삭기(50)에 설치 고정된 척 본체(82)와, 상기 척 본체(82)의 상면에 체결 고정된 척 베이스(84)와, 상기 척 베이스(84)의 상면에 체결 고정된 척 커버(86)와, 상기 척 커버(86)와 척 본체(82) 사이에 외측 둘레부가 끼움 고정되고 상기 씰(1)이 내측 둘레부에 안착되는 척 링(88)으로 구성된다.
상기 척 본체(82)와 척 베이스(84) 및 척 커버(86)는 상기 씰(1)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척 베이스(84) 및 척 커버(86)는 체결부재(85)에 의해 상기 척 본체(82)의 상면 외주에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척 베이스(84)와 척 커버(86)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84A)(86A)이 형성되고, 상기 척 본체(82)에는 상기 체결홀(84A)(86A)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홈(82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척 베이스(84)의 상면 내주에는 상기 척 커버(86)가 삽입되는 삽입홈(84B)이 형성되고, 상기 척 커버(86)의 내주에는 상기 척 링(88)의 외측 둘레부에 압착되는 압착부(87)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척 링(88)은 완충성과 마찰계수가 우수한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바, 환형으로 형성된 원형 단면의 링형부(88A)와, 상기 링형부(88A)의 직경보다 작은 두 께로 상기 링형부(88A)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된 고정부(88B)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88B)는 상기 체결부재(85)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척 커버(86)의 압착부(87)와 척 본체(82)의 상면 내주 사이에 압착 고정된다.
이때, 상기 척(80)에 안착된 씰(1)이 상기 척 커버(86)의 압착부(87)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척 커버(86)의 압착부(87)는 상기 척 링(88)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척(80)은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의 하측에 배치되어 황삭 가공되는 씰(1)이 안착 고정되는 황삭용 척(80A)과, 상기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의 하측에 배치되어 정삭 가공되는 씰(1)이 안착 고정되는 정삭용 척(80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더(90)는 상기 소재 매거진(78)의 씰(1)을 상기 척(80)에 안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헤드 스핀들(60)의 연삭 숫돌(62)에 의해 연삭 가공된 씰(1)을 상기 척(80)으로부터 탈거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로써, 상기 연삭기(50)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이 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로더(90)는 상기 소재 매거진(78)으로부터 연삭 가공하고자 하는 씰(1)이 올려지는 제 1 로더(92)와, 상기 소재 매거진(78)에서 씰(1)을 상기 황삭용 척(80A)으로 이송시키는 제 2 로더(94)와, 상기 황삭용 척(80A)에서 씰(1)을 상기 정삭용 척(80B)으로 이송시키는 제 3 로더(9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2,3 로더(92)(94)(96)만으로 상기 로더(90)가 구성되면, 상기 제 1 로더(92)는 상기 정삭용 척(80B)에서 연삭이 완료된 씰(1)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한 후 상기 소재 매거진(78)으로 이동되어 연삭 가공을 위한 새로운 씰(1)이 얹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황삭 가공된 씰(1)과 정삭 가공된 씰(1) 및 가공 대기 상태의 씰(1)은 상기 제 1,2,3 로더(92)(94)(96)에 의해 다음 작업으로 동시에 이송된다.
상기 소재 매거진(78)은 상기 연삭기(50)에 의해 연삭 가공되기 위한 복수개의 씰(1)이 적재 보관됨과 아울러 상기 로더(90)에 상기 씰(1)을 한 개씩 차례대로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소재 매거진(78)과 로더(90) 및 헤드 스핀들(60)은 상호 연동되게 작동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씰(1)의 황삭 가공과 정삭 가공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연삭기(50)의 일측에는 상기 연삭기(50)의 작동 상태가 외부로 표시되는 표시부(56) 및 상기 연삭기(50)의 작동이 작업자에 의해 조절되는 조작부(58)가 설치된 계기판(5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 스핀들(60)의 내부에는 상기 연삭 숫돌(62)을 고속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는 상기 연삭 숫돌(62)과 씰(1)의 접촉압이 증대됨에 따라 상기 씰(1)의 연삭 가공시 부하가 증대되므로, 상기 연삭 숫돌(62)과 씰(1)의 접촉압이 일정치 이상 상승하게 되면 상기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상기 모터의 수명이 단축된다.
따라서, 상기 연삭기(50)에는 상기 모터의 과부하가 방지되도록 과부하 방지 유닛(100)이 설치된다.
상기 과부하 방지 유닛(100)은 상기 모터의 부하를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부하 표시계(102)와, 상기 모터의 과부하가 제거되도록 상기 연삭 숫돌(62)과 씰(1)의 접촉압을 저하시키는 압력 조절기(104)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하 표시계(102)는 상기 모터의 과부하를 감지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모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이다.
상기 압력 조절기(104)는 상기 씰(1)의 연삭면(12)에 밀착되는 연삭 숫돌(62)의 압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장치(64)의 누름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부하 표시계(102)에 표시된 모터의 전류변화에 의해 상기 모터의 과부하가 인지되면, 상기 압력 조절기(104)를 조절하여 상기 연삭 숫돌(62)과 씰(1)의 접촉압을 적정 수준까지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 연삭 숫돌(62)은 일정한 모양의 치수를 가진 숫돌입자가 결합재에 의해 결합된 회전공구로써, 등축정계 질화붕소(cubic boronitride: CBN)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등축정계 질화붕소 재질의 연삭 숫돌(62)은 알루미나계의 약 2배의 굳기를 가지고 인성(靭性)과 열안정성이 다이아몬드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그 용도가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연삭하기 어려운 철강재료에 주로 이용된다.
상기 씰(1)의 황삭 가공에 사용되는 등축정계 질화붕소 재질의 연삭 숫돌(62)은 다이아몬드(Diamond) 20~25%와 메탈 본드(Metal Bond) 75~80%의 조성비로 제조되며, 상기 메탈 본드는 구리(Cu) 70~80%와 주석(Sn) 20~30%의 조성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씰(1)의 정삭 가공에 사용되는 등축정계 질화붕소 재질의 연삭 숫돌(62)은 다이아몬드(Diamond) 15~25%, 수지(Resin) 40~70%, 녹색탄화규소질 필터(GC Filter) 5~20%, 그래파이트(Graphite) 0~10%의 조성비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비로 제조된 연삭 숫돌(62)은 상기 씰(1)의 초기 연삭시 입자 자연 탈락되어 눈막힘을 방지하는 셀프 드레싱(Self-Dressing)이 이루어지고, 이후 가공 진행에 따라 절삭기능과 눈막힘 기능이 동시에 진행되어 연삭 종료시에는 원하는 조도의 연삭면(12)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삭 숫돌(62)은 수명이 우수하고, 적당한 공구로 연삭 숫돌(62)의 날을 기하학적 모양으로 깎아내는 트루잉(truing) 작업이나 적당한 공구로 연삭 숫돌(62)의 표면에 날카로운 날을 재현시키는 드레싱(dressing) 작업이 거의 생략되며, 상기 씰(1)의 연삭 가공이 트루잉 작업이나 드레싱 작업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아울러, 상기 등축정계질화붕소 재질의 연삭 숫돌(62)은 입도 및 결합재의 변경만으로 상기 연삭면(12)의 조도를 자유 자재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씰의 연삭기에 대한 작동 및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전 공정에서 열처리된 씰(1)이 소재 매거진(78)에 적재되고, 상기 소재 매거진(78)에 의해 씰(1)은 로더(90)에 한 개씩 얹혀지게 된다.
상기 로더(90)는 소재 매거진(78)에서 황삭용 척(80A)으로 이송되어 상기 황삭용 척(80A)에 씰(1)을 안착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씰(1)의 외경부는 상기 황삭용 척(80A)의 척 링(88)에 안착되는 바, 상기 척 링(88)에 의해 상기 씰(1)의 주조 성형시 발생된 치수 편심이 보상되어 상기 씰(1)은 정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씰(1)이 황삭용 척(80A)에 안착 고정되면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이 승강 장치(64)에 의해 하강되고,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의 연삭 숫돌(62)이 상기 씰(1)의 연삭하고자 하는 부위에 5mm 까지 접근하게 되면 충돌 방지 유닛(76)이 작동된다.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은 상기 충돌 방지 유닛(76)에 의해 하강 속도가 감속됨과 아울러 저속으로 일정하게 하강된다.
따라서, 상기 충돌 방지 유닛(76)에 의해 상기 씰(1)의 연삭하고자 하는 부위에 상기 연삭 숫돌(62)이 안정적으로 부드럽게 안착되어 상기 연삭 숫돌(62)과 씰(1)의 충돌로 인한 상기 연삭 숫돌(62)의 파손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의 연삭 숫돌(62)에 의해 상기 씰(1)의 연삭하고자 하는 부위가 황삭 가공되면,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이 승강 장치(64)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황삭용 척(80A)에 안착된 황삭 가공된 씰(1)은 상기 로더(90)에 의해 정삭용 척(80B)으로 이송된다.
상기 로더(90)에 의해 정삭용 척(80B)으로 이송된 씰(1)은 상기 정삭용 척(80B)의 척 링(88)에 안착 고정되고, 상기 황삭 가공시와 마찬가지로 상기 씰(1)은 정삭용 헤드 스핀들에 의해 정삭 가공된다.
즉, 상기 정삭용 척(80B)에 고정된 씰(1)은 상기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의 연삭 숫돌(62)에 의해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에 의해 황삭된 연삭면(12)이 2차 가공된다.
따라서, 상기 씰(1)의 연삭면(12)은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과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삭 가공되어 상기 연삭면(12)의 조도가 크게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씰(1)의 정삭 가공이 완료되면, 상기 씰(1)은 로더(90)에 의해 상기 정삭용 척(80B)으로부터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고, 상기 로더(90)는 상기 소재 매거진(78)으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과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은 연삭 가공이 실시되기 전에 방향전환수단(70)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과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에 의해 상기 씰(1)의 연삭면(12)이 일정 기울기로 테이퍼(Taper)지게 연삭된다.
그리고,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과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은 연삭 가공이 실시되는 도중에 과부하 방지 유닛(100)에 의해 모터의 과부하가 미연에 방지되어 상기 모터의 수명 및 상기 연삭면(12)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삭면(12)의 조도가 크게 요구되지 않는 씰(1)이 연삭 가공될 경우에는,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에 의한 황삭 가공만이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의 작동 시간을 조정하게 된다.
즉,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에 의해 황삭용 척(80A)에 안착된 씰(1)이 황삭 가공될 때 상기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은 정삭용 척(80B)에 하강되지 않고, 상기 정삭용 척(80B)으로부터 씰(1)이 탈거된 후에 상기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이 하강되도록 상기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의 작동 시간이 조정된다.
물론, 상기 연삭기(50)는 상기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의 구동만 정지되어 상기 씰(1)의 황삭 가공만 실시되도록 상기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에 공급되는 전원만 완전히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씰의 연삭장치가 도시된 외부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씰의 연삭장치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삭장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삭장치의 척이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삭장치의 소재 매거진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참고로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씰의 사상기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 블라스팅(Short Blasting) 공정을 거친 씰(1)의 오링면(14)과 외경면(16)이 사상 가공되도록 사상 숫돌(162)이 하단부에 장착된 헤드 스핀들(160)과, 상기 헤드 스핀들(16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씰(1)의 사상 가공시 상기 씰(1)이 안착 고정되는 척(190)과, 상기 척(190)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 스핀들(160)에 의해 사상 가공되기 위한 복수개의 씰(1)이 적재된 소재 매거진(220)과, 상기 소재 매거진(220)의 씰(1)이 상기 척(190)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소재 매거진(220)과 척(190)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더(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 스핀들(160)은 상기 씰(1)의 외경면(16)을 사상 가공하기 위한 사상 숫돌(162A)이 설치된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과,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씰(1)의 오 링(6)이 장착되는 오링면(14)을 사상 가공하기 위한 사상 숫돌(162B)이 설치된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은 상기 씰(1)의 전방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씰(1)의 외경면(16)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사상 숫돌(162A)이 수직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은 상기 씰(1)의 후방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씰(1)의 오링면(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사상 숫돌(162B)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은 상기 사상기(150)에 이동 장치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의 이동 장치는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이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사상기(150)에 회전 가능토록 중간 부위가 힌지 연결된 레버부(164)와, 상기 레버부(164)가 힌지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레버부(164)의 타단에 연결된 작동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의 이동 장치는 상기 사상기(150)에 소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166)와, 상기 회전부(166)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타측에 상기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이 연결된 작동부(168)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작동부로는 공압 실린더와 같은 공압 기구가 사용된다.
특히, 상기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의 이동 장치에는 상기 씰(1)의 오링면(14) 경사에 따라 상기 사상 숫돌(162B)이 적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부(166)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회전부(166)를 회전된 각도로 고정시키는 방향전환수단(170)이 설치된다.
상기 방향전환수단(170)은 상기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의 사상 숫돌(162B)이 적정 각도로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부(166)를 회전시키는 각도 조절 손잡이(172)와, 상기 각도 조절 손잡이(172)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회전부(166)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 고정 부재(174)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 고정 부재(174)는 상기 사상기(150)의 제 1 체결공(미도시)과 회전부(166)의 제 2 체결공(176)에 체결되는 체결볼트(174)이고, 상기 제 2 체결공 (176)은 상기 체결볼트(147)가 체결 가능한 직경으로 상기 오일용 헤드 스핀들(16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위치 고정 부재(174)는 상기 회전부(166)와 사상기(150)에 복수개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에는 상기 씰(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사상 숫돌(162A)(162B)의 하강 속도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사상 숫돌(162A)(162B)의 하강 속도를 정속으로 유지시키는 충돌 방지 유닛(180)(182)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의 충돌 방지 유닛(180)은 상기 레버부(164)의 타단과 사상기(15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의 충돌 방지 유닛(182)은 상기 회전부(166)와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의 충돌 방지 유닛(180)(182)은 하이드로 체크(hydro-checker)로 이루어진 유압 댐퍼이다.
따라서,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의 사상 숫돌(162A)(162B)이 상기 씰(1)의 외경면(16)과 오링면(14)에 각각 접촉될 때 상기 충돌 방지 유닛(180)(182)에 의해 상기 사상 숫돌(162A)(162B)의 파손이 미연에 방지된다.
한편, 상기 척(190)은 상기 씰(1)의 안착시 상기 씰(1)의 주조 성형에 따른 치수 편차를 보상함과 아울러 상기 씰(1)의 사상 가공시 상기 씰(1)에 작용되는 충 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유연성과 완충성이 구비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척(190)은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에 의해 상기 씰(1)의 외경면(16)과 오링면(14)이 동시에 가공될 수 있도록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 사이에 설치된다.
즉, 상기 척(190)은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척 본체(192)와, 상기 척 본체(192)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씰(1)이 상면 외주에 안착되는 척 베이스(194)와, 상기 척 베이스(194)의 상면 내주에 상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척 본체(19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척 커버(196)와, 상기 척 커버(196)와 척 본체(19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척 커버(196)에 의해 압착 변형되어 상기 씰(1)의 내주면에 외측 둘레부가 밀착되는 척 링(198)으로 구성된다.
상기 척 본체(192)는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 사이에 설치되되, 하단에는 상기 척(190)에 의해 씰(1)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척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다.
상기 척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척 본체(192)의 하단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풀리(184)와 벨트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척 본체(192)는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고, 중공된 내부에는 상기 척 커버(196)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척 베이스(194)의 하면 내주에는 상기 척 본체(192)의 상단이 끼움되는 끼움부(200)가 형성되고, 상면 외측에는 상기 씰(1)이 안착되는 씰 안착부(202)가 형성되며, 상면 내측에는 상기 척 링(198)이 안착되는 링 안착부(20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200)는 상기 척 본체(192)의 상단과 동일 구조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척 본체(192)의 상단 외주보다 작게 치수 가공되어 상기 척 본체(192)의 상단이 압입 방식으로 끼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씰 안착부(202)는 상기 척 베이스(194)의 상면 외측에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 안착부(204)는 상기 척 베이스(194)의 상면 내측에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링 안착부(204)는 상기 척 링(198)의 외측 둘레부가 상기 씰(1)의 내주면 중간에 밀착되도록 상기 씰 안착부(202)보다 높은 위치에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링 안착부(204)의 내측에는 상기 척 링(198)의 내측 둘레부가 밀착되도록 스토퍼(206)가 상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스토퍼(206)는 상기 링 안착부(204)의 내측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척 커버(196)는 상기 척 본체(192)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원통부(212)와, 상기 원통부(212)의 상단에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링 안착부(204)의 상측에 배치된 플랜지부(214)와, 상기 플랜지부(214)의 하면에 둘레를 따라 하향 돌출되어 상기 링 안착부(204)에 안착된 척 링(198)에 압착되는 압착 돌기부(21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원통부(212)의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제 1 공압 실린더(186)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공압 실린더(186)는 상기 척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공압 실린더(186)와 척 본체(192)의 작동은 상기 척 모터에 의해 자동 조절된다.
한편, 상기 씰(1)은 환형으로 형성된 금속재질의 주조 성형물이고, 상기 척 링(198)은 상기 씰(1)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사출물이다.
상기와 같은 척 링(198)은 상기 링 안착부(204)에 안착된 후 상기 압착 돌기부(216)에 의해 압착됨에 따라 내측 둘레부가 상기 스토퍼(206)에 밀착되고, 외측 둘레부는 상기 씰(1)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즉, 상기 척 링(198)은 상기 링 안착부(204)와 압착 돌기부(216) 사이에서 상하로 압축 변형되어 상기 척 링(198)의 두께는 얇아지게 되나, 상기 척 링(198)의 내측 둘레부와 외측 둘레부는 좌우로 이완 변형되어 상기 척 링(198)의 외경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 소재 매거진(220)은 상기 헤드 스핀들(160)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사상기(150)에 고정된 테이블(222)과, 상기 테이블(222)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씰(1)이 상하로 적재되는 적재부(224)와, 상기 적재부(224)의 최하측에 위치된 씰(1)을 사상 가공하기 위한 초기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부(2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적재부(224)는 상기 씰(1)의 외경면(16) 둘레를 따라 적어도 3개 이상이 밀착되게 배치되도록 소정 높이로 수직하게 형성된 가이드 봉(230)과, 상기 가 이드 봉(230)의 하단이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테이블(222)에 타단이 체결볼트(234)로 체결된 가이드 암(232)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암(232)은 상기 이송부(226)에 의해 적재된 복수개의 씰(1) 중 최하측의 씰(1)만이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22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된 위치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가이드 암(232)의 타단은 상기 테이블(222)에 설치된 고정 블록(236)의 상면에 체결볼트(234)로 체결되는 바, 상기 고정 블록(236)은 단수개의 씰(1) 두께보다는 크고 두 개의 씰(1) 두께보다는 작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 암(232)은 상기 체결볼트(234)가 풀림됨에 따라 타단을 중심으로 일단이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 암(232)의 위치가 변경되고, 상기 가이드 암(232)의 타단에 상기 체결볼트(234)가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 암(232)은 위치가 변경된 상태로 상기 테이블(222)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씰(1)의 외경에 따라 상기 가이드 암(232)에 의해 가이드 봉(230)의 위치가 변경되므로, 상기 소재 매거진(220)은 다양한 크기의 씰(1)에 적용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송부(226)는 상기 적재부(224)의 하측을 지나도록 상기 테이블(22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 플레이트(240)와, 상기 씰(1)의 사상 가공을 위한 초기 위치를 형성하도록 상기 적재부(224)를 중심으로 이송 플레이트(240)의 반대 위치에 형성된 걸림턱(242)과, 상기 이송 플레이트(240)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테이블(222)과 이송 플레이트(240) 사이에 설치된 제 2 공압 실린더(244)로 구 성된다.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의 사상 숫돌(162A)(162B)은 상기 외경면(16)과 오링면(14)의 사상 조건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사상 숫돌(162A)(162B)은 일정수량 가공 후 눈막힘으로 인해 드레싱(Dressing) 작업이 실시되던 것을 WA(White Alundum)와 A(Alundum)의 소재를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상기 씰(1)의 외경면(16)과 오링면(14) 사상 초기에 가공으로 인한 입자의 자연 탈락으로 눈막힘이 방지되는 셀프 드레싱(Self-Dressing)이 구현되며, 사상 가공이 진행됨에 따라 절삭기능과 눈막힘 기능이 동시에 진행되어 상기 외경면(16)과 오링면(14)의 조도는 충분하게 형성된다.
상기 사상 숫돌(162A)(162B)은 WA(White Alundum) 40%와 A(Alundum) 60%의 조성비로 소지라는 본드(Bond)에 의해 결합 제조되거나, 또는 WA(White Alundum)10%, A(Alundum) 90%의 조성비로 소지라는 본드(Bond)에 의해 결합 제조된다.
상기 사상기(150)의 일측에는 상기 사상기(150)의 작동 상태가 외부로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사상기(150)의 작동이 작업자에 의해 조절되는 조작부가 설치된 계기판(152)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씰의 사상기에 대한 작동 및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전 공정에서 주조 성형된 씰(1)이 소재 매거진(220)에 적재되고, 상기 씰(1)은 소재 매거진(220)으로부터 로더(250)에 한 개씩 얹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씰(1)은 상기 소재 매거진(220)의 적재부(224)에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적재되는 바, 상기 적재부(224)는 상기 씰(1)의 외경면(16)에 복수개의 가이드 봉(230)이 밀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가이드 암(232)에 대한 위치가 적절히 조정된다.
즉, 상기 소재 매거진(220)의 고정 블록(236)과 가이드 암(232)에 체결된 체결볼트(234)가 일정 수준 풀게 되면, 상기 체결볼트(234)가 체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가이드 암(232)이 회전되어 상기 가이드 봉(230)이 씰(1)의 외경면(16)에 밀착되게 위치가 조정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개의 가이드 암(232)에 대한 위치가 조정되면, 상기 가이드 암(232)은 체결볼트(234)에 의해 상기 고정 블록(236)에 다시금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소재 매거진(220)은 씰(1)의 외경에 따라 상기 가이드 암(232)에 의해 가이드 봉(230)의 위치가 적절히 변경되므로, 상기 사상기(150)는 다양한 크기의 씰(1)에 대한 사상 가공이 간편하게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적재부(224)에 복수개의 씰(1)이 적재되면, 상기 소재 매거진(220)의 이송부(226)는 제 2 공압 실린더(244)에 의해 이송 플레이트(240)가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적재부(224)의 최하측에 배치된 단수개의 씰(1)을 걸림턱(242)까지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걸림턱(242)은 사상 가공이 이루어지기 위해 상기 씰(1)이 대기되는 초기 위치로써, 상기 걸림턱(242)에 위치된 씰(1)은 상기 로더(250)에 의해 척(190)으로 이송된다.
상기 로더(250)에 의해 이송된 씰(1)은 상기 척(190)의 척 베이스(194)에 형성된 씰 안착부(202)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척(190)의 척 링(198)은 척 커버(196)에 의해 압착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씰(1)은 척 링(198)의 외측 둘레부와 접촉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안착된다.
상기 씰 안착부(202)에 씰(1)이 안착되면, 상기 척 커버(196)가 제 1 공압 실린더(186)에 의해 하강되고, 상기 척 커버(196)의 압착 돌기부(216)에 의해 척 링(198)이 압착되어 상기 척 링(198)의 외측 둘레부는 상기 씰(1)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척 링(198)이 변형되어 상기 씰(1)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척 링(198)에 의해 씰(1)의 주조 성형시 발생된 치수 편심이 보상되어 상기 씰(1)은 사상 가공을 위한 정위치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씰(1)이 척(190)에 안착 고정되면, 상기 씰(1)의 외경면(16)으로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이 레버부(164)와 작동부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씰(1)의 오링면(14)으로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이 회전부(166)와 작동부(168)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의 사상 숫돌(162A)(162B)이 상기 씰(1)의 연삭하고자 하는 부위에 5mm 까지 접근하게 되면 충 돌 방지 유닛(180)(182)이 작동되어 상기 사상 숫돌(162A)(162B)의 이동 속도가 감속됨과 아울러 저속으로 일정하게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충돌 방지 유닛(180)(182)에 의해 상기 씰(1)의 외경면(16)과 오링면(14)에 상기 사상 숫돌(162A)(162B)이 안정적으로 부드럽게 안착되어 상기 사상 숫돌(162A)(162B)과 씰(1)의 충돌로 인한 사상 숫돌(162A)(162B)의 파손이 방지된다.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의 사상 숫돌(162A)(162B)이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씰(1)의 외경면(16)과 오링면(14)이 사상 가공되면, 상기 척(190)은 척 모터에 의해 일정 속도로 회전되고, 상기 척(190)과 함께 씰(1)이 회전되어 상기 씰(1)의 외경면(16)과 오링면(14) 전체가 사상 숫돌(162A)(162B)에 의해 사상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160A)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의 사상 숫돌(162A)(162B)에 의해 상기 씰(1)의 사상 가공이 완료되면, 상기 로더(250)에 의해 사상 가공된 씰(1)은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고, 상기 로더(250)는 상기 소재 매거진(220)으로 복귀된다.
한편, 상기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은 상기 오링면(14)의 기울기에 따라 방향전환수단(170)에 의해 적절히 방향 전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오링용 헤드 스핀들(160B)의 사상 숫돌(162B)에 의해 소정의 기울기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씰(1)의 오링면(14)이 사상 가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씰의 연삭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씰의 연삭장치는 헤드 스핀들이 황삭용 헤드 스핀들과 정삭용 헤드 스핀들로 구성되고 로더는 황삭 가공된 씰과 정삭 가공된 씰 및 가공 대기 중인 씰이 각각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도록 적어도 3개 이상이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상기 씰의 황삭 가공과 정삭 가공이 하나의 연삭 장치에서 연속적으로 실시되어 제품 생산성이 향상되고, 상기 씰의 연삭면 조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씰의 연삭면 조도가 향상됨에 따라 상기 씰의 수명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상기 씰의 밀봉 성능도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씰의 연삭장치는 헤드 스핀들이 씰의 외경면과 오링면을 사상 가공하는 사상 숫돌이 설치된 외경용 헤드 스핀들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로 구성되고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 사이에 척이 배치되므로, 상기 씰의 외경면과 오링면에 대한 사상 가공이 하나의 연삭 장치에서 동시에 실시되어 제품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씰을 상하로 적재하는 소재 매거진의 가이드 봉이 가이 드 암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므로,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봉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씰이 소재 매거진에 적재되기 때문에, 상기 씰의 외경 크기에 따라 소재 매거진이 교체되지 않아 장치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연삭장치는 상기 씰의 주조 성형에 따른 치수 편차를 보상함과 아울러 상기 씰의 가공시 상기 씰에 작용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씰이 안착되는 척이 유연성과 완충성을 구비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상기 척에 의해 씰이 정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씰의 연삭 가공시 연삭면이 균일하게 가공되고, 그로 인해 상기 씰의 불량률이 크게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씰의 가공시 상기 척 링에 의해 상기 씰에 작용되는 충격이 흡수되기 때문에, 상기 씰의 파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1)

  1. 삭제
  2. 삭제
  3. 복수개의 씰이 적재된 소재 매거진(78)과;
    상기 소재 매거진(78)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씰을 황삭 가공하는 연삭 숫돌(62)이 설치된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과;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씰을 정삭 가공하는 연삭 숫돌(62)이 설치된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과;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과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씰이 안착 고정되는 척(80)과;
    상기 척(80)에 씰을 이송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삭 숫돌(62)에 의해 연삭 가공된 씰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소재 매거진(78)과 척(80)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로더(9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척(80)은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60A)의 하측에 설치되어 황삭 가공되는 씰이 안착 고정되는 황삭용 척(80A)과, 상기 정삭용 헤드 스핀들(60B)의 하측에 설치되어 정삭 가공되는 씰이 안착 고정되는 정삭용 척(80B)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더(90)는 상기 정삭용 척(80B)에서 정삭 가공된 씰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한 후 상기 소재 매거진(78)으로부터 씰을 공급받는 제 1 로더(92)와, 상기 소재 매거진(78)에서 공급받은 씰을 상기 황삭용 척(80A)으로 이송하는 제 2 로더(94)와, 상기 황삭용 척(80A)에서 황삭 가공된 씰을 상기 정삭용 척(80B)으로 이송하는 제 3 로더(9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척은 상기 헤드 스핀들의 하측에 고정된 척 본체와, 상기 척 본체의 상면에 체결된 척 베이스와, 상기 척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된 척 커버와, 상기 척 커버와 척 본체 사이에 외측 둘레부가 끼움 고정되고 상기 씰이 내측 둘레부에 안착되는 척 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씰은 환형으로 형성된 금속재질의 주조 성형물이고, 상기 척 링은 상기 씰의 외주면이 밀착 지지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척 링은 상기 씰이 외주면이 안착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된 원형 단면의 링형부와, 상기 척 커버와 척 본체 사이에 고정되도록 상기 링형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된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링형부의 직경보다 작은 두께로 상기 링형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척 베이스의 상면 내주에는 상기 척 커버가 삽입 안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척 베이스 및 척 커버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척 본체의 상면 외주에 체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척 커버의 내주에는 상기 척 링의 고정부 상면에 압착되도록 압착부가 둘레를 따라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척 링에 안착되는 씰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척 링의 상면에서 일정 높이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삭장치에는 승강 레일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 레일에는 승강 가능하게 승강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헤드 스핀들은 상기 승강 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헤드 스핀들과 승강 장치에는 상기 헤드 스핀들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헤드 스핀들을 회전된 각도로 고정시키는 방향전환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헤드 스핀들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각도 조절 손잡이와, 상기 각도 조절 손잡이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헤드 스핀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부재는 상기 승강 장치의 제 1 체결공과 헤드 스핀들의 제 2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볼트이고,
    상기 제 2 체결공은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 가능한 직경으로 상기 헤드 스핀들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의 일측에는 상기 씰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연삭 숫돌의 하강 속도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삭 숫돌의 하강 속도를 정속으로 유지시키는 충돌 방지 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충돌 방지 유닛은 하이드로 체크(hydro-checker)로 이루어진 유압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1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헤드 스핀들에는 상기 연삭 숫돌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연삭장치에는 상기 모터의 과부하가 방지되도록 과부하 방지 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방지 유닛은 상기 모터의 부하를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부하 표시계와, 상기 부하 표시계에 의해 모터의 과부하가 감지되면 상기 연삭 숫돌과 씰의 접촉압을 저하시키는 압력 조절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부하 표시계는 상기 모터의 전류 변화를 표시하는 전류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2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황삭용 헤드 스핀들의 연삭 숫돌은 다이아몬드(Diamond) 20~25%와 메탈 본드(Metal Bond) 75~80%의 조성비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탈 본드는 구리(Cu) 70~80%와 주석(Sn) 20~30%의 조성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2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삭용 헤드 스핀들의 연삭 숫돌은 다이아몬드(Diamond) 15~25%, 수지(Resin) 40~70%, 녹색탄화규소질 필터(GC Filter) 5~20%, 그래파이트(Graphite) 0~10%의 조성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22. 복수개의 씰이 적재된 소재 매거진과;
    상기 소재 매거진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씰의 외경면을 사상 가공하는 사상 숫돌이 설치된 외경용 헤드 스핀들과;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씰의 오 링이 장착되는 오링면을 사상 가공하는 사상 숫돌이 설치된 오링용 헤드 스핀들과;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에 의해 상기 외경면과 오링면이 가공되도록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씰이 고정되는 척과;
    상기 척에 씰을 이송시킴과 아울러 상기 사상 숫돌에 의해 사상 가공된 씰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소재 매거진과 척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척은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척 본체와, 상기 척 본체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씰이 상면 외주에 안착되는 척 베이스와, 상기 척 베이스의 상면 내주에 상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척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척 커버와, 상기 척 커버에 의해 눌려져 상기 씰의 내주면에 외측 둘레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척 커버와 척 본체 사이에 배치된 척 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씰은 환형으로 형성된 금속재질의 주조 성형물이고, 상기 척 링은 상기 씰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척 베이스의 하면 내주에는 상기 척 본체의 상단이 끼움되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면 외측에는 상기 씰이 안착되는 씰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면 내측에는 상기 척 링이 안착되는 링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에는 상기 척 본체의 상단이 압입 방식으로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링 안착부는 상기 씰의 내주면 중간에 상기 척 링의 외측 둘레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씰 안착부보다 높은 위치에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 의 연삭장치.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링 안착부의 내측에는 상기 척 링의 내측 둘레부가 밀착되도록 스토퍼가 상향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척 본체는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척 커버는 상기 척 본체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척 본체의 하단에는 상기 씰이 회전되도록 척 모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척 커버는 상기 척 본체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링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 둘레를 따라 하향 돌출되어 상기 척 링의 상면에 압착되는 압착 돌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공압 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공압 실린더는 상기 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33.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매거진은 상기 연삭장치에 고정된 테이블과, 상기 복수개의 씰이 상하로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최하측에 위치된 씰을 가공 초기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34. 청구항 3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씰의 외경면을 따라 적어도 3개 이상이 밀착되게 배치되 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봉과, 상기 가이드 봉의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테이블에 타단이 체결볼트로 체결된 가이드 암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35.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은 상기 씰의 가공 부위에 사상 숫돌이 접촉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오링용 헤드 스핀들에는 소정 각도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회전된 각도로 고정시키는 방향전환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36. 청구항 3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오링용 헤드 스핀들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각도 조절 손잡이와, 상기 각도 조절 손잡이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오링용 헤드 스핀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37. 청구항 3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부재는 상기 연삭장치의 제 1 체결공과 오일용 헤드 스핀들의 제 2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볼트이고,
    상기 제 2 체결공은 상기 체결볼트가 체결 가능한 직경으로 상기 오일용 헤드 스핀들의 회전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38.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경용 헤드 스핀들과 오링용 헤드 스핀들에는 상기 씰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사상 숫돌의 하강 속도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사상 숫돌의 하강 속도를 정속으로 유지시키는 충돌 방지 유닛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충돌 방지 유닛은 하이드로 체크(hydro-checker)로 이루어진 유압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40.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 숫돌은 WA(White Alundum) 40%와 A(Alundum) 60%의 조성비로 이 루어져 본드(Bond)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41.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 숫돌은 WA(White Alundum)10%, A(Alundum) 90%의 조성비로 이루어져 본드(Bond)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의 연삭장치.
KR1020050059442A 2005-07-02 2005-07-02 씰의 연삭장치 KR100684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442A KR100684593B1 (ko) 2005-07-02 2005-07-02 씰의 연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442A KR100684593B1 (ko) 2005-07-02 2005-07-02 씰의 연삭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251U Division KR200395926Y1 (ko) 2005-07-02 2005-07-02 씰의 연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453A KR20070003453A (ko) 2007-01-05
KR100684593B1 true KR100684593B1 (ko) 2007-02-22

Family

ID=3787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442A KR100684593B1 (ko) 2005-07-02 2005-07-02 씰의 연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190B1 (ko) 2011-10-06 2013-12-10 성낙훈 유압로터 버어제거기의 지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141B1 (ko) * 2019-01-18 2021-02-10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오일 씰 연마용 지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2498A (ja) * 1999-12-06 2001-06-19 Lapmaster Sft Corp 半導体ウエハの研削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2498A (ja) * 1999-12-06 2001-06-19 Lapmaster Sft Corp 半導体ウエハの研削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59442 - 705525 *
13162498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190B1 (ko) 2011-10-06 2013-12-10 성낙훈 유압로터 버어제거기의 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453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28320A (en) Grinding tool for metal machining
US85682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axial workpieces
EP0868974B1 (en) Grinding method, surface grinder and workpiece support mechanism
WO2007072879A1 (ja) 砥石修正装置
CN110394711A (zh) 一种研磨装置、倒角加工装置及加工方法
KR100684593B1 (ko) 씰의 연삭장치
KR200395926Y1 (ko) 씰의 연삭장치
US6030277A (en) High infeed rate method for grinding ceramic workpieces with silicon carbide grinding wheels
KR101361650B1 (ko) 차량용 미러의 곡면 연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 연삭 방법
US6248003B1 (en) Method of truing grinding wheel and device used in performing such method
JP3290235B2 (ja) 研摩方法及び研摩装置
JP7128635B2 (ja) 研削盤
CN215239767U (zh) 一种加长床身锥孔磨
CN209936682U (zh) 一种带有夹持装置的磨床
JP2009291887A (ja) 砥石及び研削盤
US20090191793A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abrasive machining and abrasive tool provided therefor
GB2256822A (en) Rounding off the edges of semiconductor discs
JP2012135851A (ja) 研削装置
CN220427862U (zh) 一种磁芯加工环形的打磨机
JP5510779B2 (ja) 研削装置
CN108481141A (zh) 机械零件用磨床
CN219152450U (zh) 一种坩埚打磨机
CN211708928U (zh) 一种具有良好稳定性的模具磨床
CN219747444U (zh) 一种精密打磨数控磨床
CN2514972Y (zh) 圆管材电动磨弧形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