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531B1 - 흡수체의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체의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531B1
KR100683531B1 KR1020050127196A KR20050127196A KR100683531B1 KR 100683531 B1 KR100683531 B1 KR 100683531B1 KR 1020050127196 A KR1020050127196 A KR 1020050127196A KR 20050127196 A KR20050127196 A KR 20050127196A KR 100683531 B1 KR100683531 B1 KR 100683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sheet
region
drum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김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127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23Partitioning batts;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9Sealing, e.g. involving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47Folding; Pleating; Coiling; Stacking;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61F2013/159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via adhe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흡수체 제조 장치는, 흡수체 내에서 흡수제의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이 균일 분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흡수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외곽에 원주 방향을 따라 포켓을 형성하고, 상기 포켓을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포켓 내측에 부압(負壓)을 형성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시트를 상기 포켓으로 공급하는 제1 시트 인입 롤, 상기 제1 시트에 제1 흡수제를 공급하는 제1 흡수제 공급 덕트, 상기 제1 시트에 제2 흡수제를 공급하는 제2 흡수제 공급관, 상기 드럼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시트에 마주하도록 제2 시트를 공급하는 제2 시트 인입 롤, 및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접착시키는 접착 롤을 포함한다.
흡수체, 흡수제, 드럼, 분할 벽, 접착 롤

Description

흡수체의 제조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r}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 제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의 Ⅱ-Ⅱ 선을 따라 언로딩 상태의 드럼을 잘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3은 언로딩 상태의 드럼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4는 언로딩 상태의 드럼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5는 언로딩 상태의 드럼과 제1 흡수제(펄프) 공급 덕트의 배치 관계의 측면도이다.
도6은 언로딩 상태의 드럼과 제2 흡수제(고흡수성 수지) 공급관의 배치 관계의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 제조 방법에 따라 드럼에 제1 시트를 로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8은 제1 시트의 제1 영역에 제1 흡수부를 성형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9는 제1 시트의 제2 영역에 제2 흡수부를 성형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0은 제1 시트와 제2 시트를 접착하는 상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흡수체 제조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뭉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흡수체를 제조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수 제품들은 여러 가지 생리적 작용에 의한 인간의 소변, 대변, 및 생리혈 등과 같은 분비물을 흡수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위생적이고 편리한 생활 환경을 인간에게 제공한다. 흡수 제품들이 일회용으로 개발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더욱 편리해졌다.
실제로, 이 흡수 제품에는 유아나 환자들이 사용하는 기저귀와 여성들이 사용하는 생리대가 있다. 이와 같은 일회용 흡수 제품들은 분비물에 대한 신속한 흡수력과 우수한 저장력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흡수 제품은 분비물을 흡수 및 저장하는 흡수체를 내장하고 있다. 이 흡수체는 흡수성이 우수한 폴리머 입자나 섬유 입자와 같은 흡수제를 사용한다. 이 흡수제는 수분을 흡수함에 따라 팽창되면서 입자 상호 간에 엉기고 뭉쳐지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일례로서, 고흡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흡수제는 수분을 흡수할 경우, 팽윤되어 입자 상호 간에 엉김과 뭉쳐짐 즉, 겔 점착(gel blocking)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 겔 점착 현상으로 인하여, 고흡수성 수지의 입자들 중 일부는 유체 흡수로부터 차폐 또는 차단된다. 따라서 고흡수성 수지의 단위 중량 당 흡수율이 감소된 다.
이 겔 점착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제는 다른 흡수제와 혼합 사용된다. 기저귀의 경우, 흡수체는 솜털 펄프(fluff pulp)와 같은 섬유 재료와 고흡수성 수지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이 솜털 펄프는 고흡수성 수지의 입자를 서로 분리시켜 겔 점착도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고흡수성 수지 입자는 흡수체 내에서 고정되어 있지 않고 제한적이나마 이동되어, 그 솜털 펌프 내 또는 흡수체 내에서 불균일한 분포를 형성하게 된다.
이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불균일한 분포는 고흡수성 수지 입자가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하는 동안 또 팽윤 후 착용자의 이동시 더욱 심하게 뭉침 현상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솜털 펄프 및 흡수체 내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이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게 하는 흡수체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체 내에서 흡수제의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이 균일 분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흡수체를 제조하는 흡수체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수체 제조 장치는, 외곽에 원주 방향을 따라 포켓을 형성하고, 상기 포켓을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포켓 내측에 부압(負壓)을 형성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시트를 상기 포켓으로 공급하는 제1 시트 인입 롤, 상기 제1 시트에 제1 흡수제를 공급하는 제1 흡수제 공급 덕트, 상기 제1 시트에 제2 흡수제를 공급하는 제2 흡수제 공급관, 상기 드럼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시트에 마주하도록 제2 시트를 공급하는 제2 시트 인입 롤, 및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접착시키는 접착 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외곽 테두리, 상기 외곽 테두리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포켓의 바닥에 구비되는 메쉬망, 및 상기 메쉬망 상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폭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 벽은, 상기 포켓을 하나의 제1 영역과 이의 양측에 각각 제2 영역을 형성하는 제1 분할 벽과 제2 분할 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영역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할 벽은 원주 끝 라인에서 중심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할 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오목 홈과, 상기 제2 분할 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오목 홈은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오목 홈과 제2 오목홈은 상기 드럼의 축 방향으로 상호 어긋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시트 인입 롤은 상기 드럼의 일측에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흡수제 공급 덕트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1 시트 인입 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포켓의 폭 방향 전 영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흡수제 공급 덕트는, 상기 제1 영역에 제1 흡수제를 공급하는 제1 공급 덕트와, 상기 제2 영역에 제1 흡수제를 공급하는 제2 공급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급 덕트는 제1 영역에 대응하여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급 덕트는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도록 제1 공급 덕트의 상측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흡수제 공급관은 상기 드럼의 각 영역별로 대응하여 배치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흡수제 공급관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어 제2 흡수제를 공급하는 제1 공급관과,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어 제2 흡수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 공급관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제2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 제조 방법은,
제1 영역과 이의 양측에 제2 영역을 형성하도록 제1 시트를 로딩하는 제1 시트 로딩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제1 흡수제와 제2 흡수제를 진공 흡착시켜 제1 성형부를 형성하는 제1 성형부 성형 단계,
상기 제2 영역에 제1 흡수제와 제2 흡수제를 진공 흡착시켜 제2 성형부를 형성하는 제2 성형부 성형 단계,
상기 제1 성형부 및 제2 성형부에 대응하도록 제2 시트를 공급하는 제2 시트 공급 단계, 및
상기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접착하는 접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단계는 핫 멜트(hot melt)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단계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접착부와 이 접착부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는 비접착부를 번갈아 배치하여 각각 형성되는 제1 접착 라인과 제2 접착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착 라인의 접착부와 비접착부를 상기 제2 접착 라인의 비접착부와 접착부에 각각 대응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 단계를 거친 흡수체를 압축하는 압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수체 제조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이 흡수체 제조 장치는 드럼(10), 제1 시트 인입 롤(20), 제1 흡수제 공급 덕트(30), 제2 흡수제 공급관(40), 제2 시트 인입 롤(50), 및 접착 롤(60 또는 1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드럼(10)은 흡수체(AB)(도11 참조)를 제조할 수 있도록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 드럼(10)은 외곽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포켓(11)을 포함한다. 이 포켓(11)은 다수의 영역, 그 일례로서, 제1 영역(11a)과 제2 영역(11b)으로 구획된다.
이를 위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0)은 포켓(11)을 형성하도록 폭의 방향(도2에서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외곽 테두리(12)를 구비하고, 외곽 테두리(12) 사이의 포켓(11) 바닥에 메쉬망(13)를 구비하며, 메쉬망(13) 상에서 제1 영역(11a)과 제2 영역(11b)을 구획하도록 다수의 분할 벽(14), 그 일례로서, 제1 분할 벽(14a)과 제2 분할 벽(14b)을 구비한다.
메쉬망(13)는 포켓(11)의 내부로 즉, 드럼(10)의 중심 방향으로 부압이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이 메쉬망(13)는 흡수체(AB)를 제조하는 과정 동안 흡수체(AB)를 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메쉬망(13)는 제조 과정 동안 흡수체(AB)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충분한 지지강도를 가져야 한다.
이 지지 구조의 일례로서 메쉬망(13)에 대응하는 드럼(10)은 그의 내면에 다수의 통기 홀(15)을 형성한다.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면, 이 통기 홀(15)은 드럼(10)에서 제조 중인 흡수체(AB)에 부압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흡수체(AB)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 통기 홀(15)과 메쉬망(13)를 통하여 포켓(11) 내부에 부합이 형성된다.
분할 벽들(14) 즉, 제1 분할 벽(14a)과 제2 분할 벽(14b)은 드럼(10)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서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가면서 폭 방향으로 상기한 제1 영역(11a)과 제2 영역(11b)을 구획한다.
즉, 제1 분할 벽(14a)과 제2 분할 벽(14b) 사이에 제1 영역(11a)이 구획되고, 제1 분할 벽(14a)과 이에 마주하는 외곽 테두리(12) 사이에 하나의 제2 영역(11b)이 형성되며, 제2 분할 벽(14b)과 이에 마주하는 외곽 테두리(12) 사이에 다른 하나의 제2 영역(11b)이 형성된다.
이 분할 벽들(14)의 개수에 따라 포켓(11)에 형성되는 제1 영역(11a)과 제2 영역(11b)의 개수가 결정된다. 또한 분할 벽들(14)에 의하여 흡수체(AB)에서 접착 라인(83)이 결정된다.
이 제1 영역(11a)과 제2 영역(11b)의 개수는 흡수체(AB)에서 도11에 도시한 제1 성형부(81)와 제2 성형부(82)의 개수를 결정한다. 또한 제1 분할 벽(14a)과 제2 분할 벽(14b)에 의하여 접착 라인(83) 즉, 제1 접착 라인(83a)과 제2 접착 라인(83b)이 결정된다.
이 제1 성형부(81)의 성형에 관여하는 제1 영역(11a)의 폭(L1)은 제2 성형부(82)의 성형에 관여하는 제1 영역(11b)의 폭(L2)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1 성형부(81)는 제2 성형부(82)에 비하여 착용자의 분비물을 집중적으로 흡수하게 되는 부분이므로 이 부분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함으로서 보다 우수한 분비물 흡수 성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제1 분할 벽(14a)과 제2 분할 벽(14b)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끝 라인에서 중심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오목 홈(114a)과 제2 오목 홈(114b)을 각각 구비한다.
제1 오목 홈들(114a)은 제1 분할 벽(14a)에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며, 제2 오목 홈들(114b)은 제2 분할 벽(14b)에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다. 또한 제1 오목 홈(114a)과 제2 오목 홈(114b)은 드럼(10)의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엇갈리면서 기설정된 간격(L3)을 유지하게 된다. 즉 제1 오목 홈(114a)과 제2 오목 홈(114b)은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상태로 배치된다.
이 제1 오목 홈(114a)과 제2 오목 홈(114b)의 간격(L3)에 따라서, 흡수체(AB)에서 도11에 도시한 제1 접착 라인(83a)과 제2 접착 라인(83b)의 각 비접착부(283a, 283b) 사이의 원주 방향 거리(L3)를 결정한다.
흡수체(AB)에서, 제1 접착 라인(83a)과 제2 접착 라인(83b) 각각은 제1 분할 벽(14a)과 제2 분할 벽(14a)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 접착부(183a, 183b)와, 제1 오목 홈(114a)과 제2 오목 홈(114b)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 비접착부(283a, 283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11에 도시한 접착부(183a, 183b)는 제1 성형부(81)와 제2 성형부(82)(도9에 도시) 간에 흡수제의 이동을 방지하여 흡수제의 엉김과 뭉침을 방지하고, 도11에 도시한 비접착부(283a, 283b)는 접착부(183a, 183b)에 의하여 분비물의 흡수가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즉, 비접착부(283a, 283b)는 수분 흡수의 연결 라인을 형성하여, 이 연결 라인을 통하여 수분이 신속히 퍼지게 한다.
이하에서는 제조 장치의 나머지 구성을 설명하면서, 흡수체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같이 설명한다.
도11에 도시한 제1 시트 인입 롤(20)은 드럼(10)의 직경 방향 끝에 배치되어, 제1 시트(S1)를 드럼(10)의 포켓(11) 안으로 공급한다. 이 제1 시트 인입 롤(20)은 제1 시트(S1)의 안정된 공급을 위하여 드럼(10)의 외곽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치되어, 회전 구동되면서 제1 시트(S1)를 공급한다.
제1 시트(S1)는 흡수체(AB)의 일면을 형성하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드럼(10)의 포켓(11)에 걸리는 부압으로 흡수제를 흡수 부착할 수 있게 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S1)는 포켓(11)에 형성되는 부압에 의하여 외곽 테두리(12)와 제1, 제2 분할 판(14a, 14b)에 걸쳐지면서 메쉬망(13)에 로딩된다(제1 시트 로딩 단계).
즉, 제1 시트(S1)는 포켓(11)에 대응하여 제1 영역(11a)과 제2 영역(11b)을 형성한다.
제1 흡수제 공급 덕트(30)는 제1 시트(S1)에 제1 흡수제(P)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일례로서, 제1 흡수제(P)는 솜털 펄프로 이루어진다. 이 제1 흡수제(P)는 별도의 공급 장치(31)에 의하여 제1 흡수제 공급 덕트(30)로 공급된다. 이 공급 장치(31)는 단순히 제1 흡수제(P)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흡수제 공급 덕트(30)는 제1 시트 인입 롤(20)에 의하여 로딩된 제1 시트(S1) 상에 제1 흡수제(P)를 공급할 수 있도록 드럼(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시트 인입 롤(20)의 측면에 구비된다.
제1 흡수제 공급 덕트(30)는 포켓(11)의 폭 방향 전(全) 영역에 제1 흡수제(P)를 공급할 수 있도록 포켓(11)의 폭 방향 전 영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다(도5 참조).
또한, 제1 흡수제 공급 덕트(30)는 일례로서 제1 영역(11a)에 제1 흡수제(P)를 공급하는 제1 공급 덕트(32)와, 제2 영역(11b)에 제1 흡수제(P)를 공급하는 제2 공급 덕트(33)를 구비한다.
제1 공급 덕트(32)는 제1 영역(11a)에 대응하며 하측에 형성되고, 제2 공급 덕트(33)는 제2 영역(11b)에 대응하며 제1 공급 덕트(32)의 상측 양방에 별도로 형성된다.
또한, 제2 흡수제 공급관(40)(도11에 도시)은 제1 시트(S1)에 제2 흡수제(S)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일례로서 제2 흡수제(S)는 제1 흡수제(P)에 분포되는 고흡수성 수지 입자가 사용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흡수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흡수제 공급관(4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1)의 제1 영역(11a)과 제2 영역(11b)에 각각 대응하도록 다수로 형성되며, 제1 공급관(41)과 제2 공급관(42)을 포함한다.
제1 공급관(41)은 제1 영역(11a)에 제2 흡수제(S)를 공급하고, 제2 공급관(42)은 제2 영역(11b)에 제2 흡수제(S)를 공급한다. 제2 공급관(42)은 제1 공급관(41)보다 상측에서 제2 흡수제(S)를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제2 흡수제 공급관(40)은 제1 흡수제 공급 덕트(30)의 내측으로 제2 흡수제(S)를 공급하도록 제1 흡수제 공급 덕트(30)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흡수제의 공급에 따른 흡착 방법을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급 덕트(32)는 제1 영역(11a)에 제1 흡수제(P)를 공급하여 흡착되게 하고, 이와 동시에 제1 공급관(41)은 제1 영역(11a)에 제2 흡수제(S)를 공급하여 흡착되게 하여, 제1 성형부(81)를 형성한다(제1 성형부 성 형 단계).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급 덕트(33)는 제2 영역(11b)에 제2 흡수제(P)를 공급하여 흡착되게 하고, 이와 동시에 제2 공급관(42)은 제2 영역(11b)에 제2 흡수제(S)를 공급하여 흡착되게 하여, 제2 성형부(82)를 형성한다(제2 성형부 성형 단계).
이 제1 성형부 성형 단계와 제2 성형부 성형 단계는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순차적 성형은 부압에 의하여 제1 흡수제(P)와 제2 흡수제(S)들이 제1 성형부(81)에 공급 흡착되는 작용과 제2 성형부(82)에 공급 흡착되는 작용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다시, 도1로 되돌아가면, 제2 시트 인입 롤(50)은 드럼(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흡수제 공급 덕트(30)를 경유한 위치에 구비되어, 제1 시트(S1)에 마주하도록 제2 시트(S2)를 공급한다. 대략, 제2 시트 인입 롤(50)은 드럼(10)의 직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시트(S1) 인입 롤(20)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로서, 상기 접착 롤(60)은 제2 시트 인입 롤(50)을 지난 드럼(10)의 측방에 구비되어, 제1 시트(S1)와 제2 시트(S2)를 접착시킨다(접착 단계). 이 접착 단계는 일례로서 핫 멜트(hot melt) 방법으로 진행되어 제1 시트(S1)와 제2 시트(S2)를 접착시킨다.
이 접착 롤(60)은 드럼(10)을 형성하는 외곽 테두리(12)와 제1 분할 판(14a) 및 제2 분할 판(14b)에 대응하여, 제1 시트(S1)와 제2 시트(S2)를 접착한다. 이를 위하여 접착 롤(60)은 그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도10의 돌기 테(162a)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접착 단계에 의하여,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접착 라인(83a)과 제2 접착 라인(83b)이 형성된다. 이 제1 접착 라인(83a)과 제2 접착 라인(83b)은 각각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번갈아 배치되는 접착부(183a, 183b)와 비접착부(283a, 283b)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오목 홈(114a)과 제2 오목 홈(114b)이 원주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제1 접착 라인(83a)의 접착부(183a)와 비접착부(283a)를 제2 접착 라인(83b)의 비접착부(283b)와 접착부(183b)에 각각 대응시킨다.
이로써, 도11에 도시된 흡수체(AB)가 제조된다. 이 흡수체(AB)는 적절한 길이로 형성되어, 기저귀나 생리대에 내장된다.
또한, 도10에 도시한 제2 실시예에서, 접착 롤(160)은 하부 롤(161)과 상부 롤(162)로 구성된다. 하부 롤(161)은 드럼(10)의 포켓(11)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여 드럼(10)의 포켓(11)에서 제1 성형부(81)와 제2 성형부(82)를 성형하여 인출되는 제1 시트(S1)를 내장하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외곽 테두리(161a)와 분할 벽들(161b)을 구비한다. 이 외곽 테두리(161a)와 분할 벽들(161b)은 상기 드럼(10)의 외곽 테두리(12)와 분할 벽들(14a, 14b)과 같은 구조로 형성된다.
상부 롤(162)은 이 하부 롤(161)에 대응하여 제1 시트(S1)와 제2 시트(S2)를 접착할 수 있도록 돌기 테들(162a)을 가지고 있다. 이 상부 롤(162)의 돌기 테들(162a)이 하부 롤(161)의 외곽 테두리(161a)와 분할 판들(161b)에 맞닿아 회전 작동됨에 따라 제1 시트(S1)와 제2 시트(S2)는 서로 접착된다.
상기의 제1 실시예의 접착 롤(60)과 제2 실시예의 접착 롤(160)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편의상 도1에 함께 도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흡수체(AB)는 압축 단계를 더 경유하여 얇은 두께로 완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제조 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롤(60, 160)을 경유한 위치에 별도의 압출 롤(70)을 더 구비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획된 드럼의 포켓에 제1 시트를 공급하고, 제1 흡수제 및 제2 흡수제를 제1 시트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흡착시켜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를 성형하며, 제2 시트를 공급하여 제1 시트와 제2 시트를 제1 성형부와 제2 성형부로 구획된 상태로 접착시킴으로써, 흡수체 내에서 제1 흡수제 및 제2 흡수제의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이 흡수제들의 균일한 분포 상태를 유지하여 흡수제의 엉김 및 뭉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 라인의 접착부와 비접착부를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여 접착부로 흡수제의 이동을 방지하면서도 비접착부로 수분 흡수의 연결 라인을 형성하여, 이 연결 라인을 통하여 수분이 신속히 퍼지게 함으로써 접착 라인에 의한 흡수성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외곽에 원주 방향을 따라 포켓을 형성하고, 상기 포켓을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포켓 내측에 부압(負壓)을 형성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시트를 상기 포켓으로 공급하는 제1 시트 인입 롤,
    상기 제1 시트에 제1 흡수제를 공급하는 제1 흡수제 공급 덕트,
    상기 제1 시트에 제2 흡수제를 공급하는 제2 흡수제 공급관,
    상기 드럼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시트에 마주하도록 제2 시트를 공급하는 제2 시트 인입 롤, 및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접착시키는 접착 롤
    을 포함하는 흡수체 제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외곽 테두리,
    상기 외곽 테두리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포켓의 바닥에 구비되는 메쉬망(mesh), 및
    상기 메쉬망 상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폭 방향으로 2개 이상의 영역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분할 벽을 포함하는 흡수체 제조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벽은 하나 이상의 오목 홈을 구비하는 흡수체 제조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벽은 제1 분할 벽 및 제2 분할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할 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오목 홈과,
    상기 제2 분할 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오목 홈은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오목 홈 및 상기 제2 오목 홈은 상기 드럼의 축 방향으로 어긋나 형성되는 흡수체 제조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벽은,
    상기 포켓을 하나의 제1 영역과 이의 양측에 각각 제2 영역을 형성하는 제1 분할 벽과 제2 분할 벽으로 형성되는 흡수체 제조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영역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흡수체 제조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벽은 원주 끝 라인에서 중심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 홈을 포함하는 흡수체 제조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 인입 롤은 상기 드럼의 일측에 다수로 구비되는 흡수체 제조 장치.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수제 공급 덕트는,
    원주 방향으로 상기 제1 시트 인입 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포켓의 폭 방향 전 영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흡수체 제조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수제 공급 덕트는,
    상기 제1 영역에 제1 흡수제를 공급하는 제1 공급 덕트와
    상기 제2 영역에 제1 흡수제를 공급하는 제2 공급 덕트
    를 포함하는 흡수체 제조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 덕트는 제1 영역에 대응하여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급 덕트는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도록 제1 공급 덕트의 상측 양쪽에 형성되는 흡수체 제조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수제 공급관은,
    상기 드럼의 각 영역별로 대응하여 배치되도록 복수로 형성되는 흡수체 제조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수제 공급관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어 제2 흡수제를 공급하는 제1 공급관과,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어 제2 흡수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 공급관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제2 공급관
    을 포함하는 흡수체 제조 장치.
  14. 제1 영역과 이의 양측에 제2 영역을 형성하도록 제1 시트를 로딩하는 제1 시트 로딩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제1 흡수제와 제2 흡수제를 진공 흡착시켜 제1 성형부를 형성하는 제1 성형부 성형 단계,
    상기 제2 영역에 제1 흡수제와 제2 흡수제를 진공 흡착시켜 제2 성형부를 형성하는 제2 성형부 성형 단계,
    상기 제1 성형부 및 제2 성형부에 대응하도록 제2 시트를 공급하는 제2 시트 공급 단계, 및
    상기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접착하는 접착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체 제조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단계는 핫 멜트(hot melt) 방법으로 진행되는 흡수체 제조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단계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접착부와 이 접착부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는 비접착부를 번갈아 배치하여 각각 형성되는 제1 접착 라인과 제2 접착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착 라인의 접착부와 비접착부를 상기 제2 접착 라인의 비접착부와 접착부에 각각 대응시키는 흡수체 제조 방법.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단계를 거친 흡수체를 압축하는 압축 단계를 더 포함하는 흡수체 제조 방법.
KR1020050127196A 2005-12-21 2005-12-21 흡수체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683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196A KR100683531B1 (ko) 2005-12-21 2005-12-21 흡수체의 제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196A KR100683531B1 (ko) 2005-12-21 2005-12-21 흡수체의 제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531B1 true KR100683531B1 (ko) 2007-02-15

Family

ID=3810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196A KR100683531B1 (ko) 2005-12-21 2005-12-21 흡수체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5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943B1 (ko) 2008-11-17 2011-11-09 주식회사 씨엠아이 성형 스크린 및 성형 스크린의 형성 방법, 스크린 인서트, 및 성형 드럼 장치
CN110179590A (zh) * 2019-04-16 2019-08-30 广东中科鑫雁科技有限公司 一种卫生用品芯体材料吸水高分子的施加机构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4043A (ja) 1982-09-02 1984-04-11 パ−ソナル・プロダクツ・カンパニ− 吸収性ライナー
JPH04200544A (ja) * 1990-11-30 1992-07-21 Kao Corp 吸収体の積繊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313548A (ja) * 1994-03-02 1995-12-05 Personal Prod Co 多層吸収製品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08208100A (ja) * 1995-01-31 1996-08-13 Mitsubishi Heavy Ind Ltd 真空ドラム装置
JPH10137286A (ja) 1996-11-15 1998-05-26 Kao Corp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JP2005152241A (ja) 2003-11-25 2005-06-16 Daio Paper Corp 吸収体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より得られた使い捨ておむつ用吸収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4043A (ja) 1982-09-02 1984-04-11 パ−ソナル・プロダクツ・カンパニ− 吸収性ライナー
JPH04200544A (ja) * 1990-11-30 1992-07-21 Kao Corp 吸収体の積繊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313548A (ja) * 1994-03-02 1995-12-05 Personal Prod Co 多層吸収製品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08208100A (ja) * 1995-01-31 1996-08-13 Mitsubishi Heavy Ind Ltd 真空ドラム装置
JPH10137286A (ja) 1996-11-15 1998-05-26 Kao Corp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JP2005152241A (ja) 2003-11-25 2005-06-16 Daio Paper Corp 吸収体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より得られた使い捨ておむつ用吸収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943B1 (ko) 2008-11-17 2011-11-09 주식회사 씨엠아이 성형 스크린 및 성형 스크린의 형성 방법, 스크린 인서트, 및 성형 드럼 장치
CN110179590A (zh) * 2019-04-16 2019-08-30 广东中科鑫雁科技有限公司 一种卫生用品芯体材料吸水高分子的施加机构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1283C1 (ru) Одноразовые подгузники
JP4115077B2 (ja) 吸収体及びその製造方法
RU2657973C1 (ru) Абсорбирующи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абсорбирующих изделий
RU256462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абсорбирующих конструкт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содержащих абсорбирующий материал
RU257334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абсорбирующих конструкт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содержащих абсорбирующий материал
RU2296546C2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имеющее отверстия в абсорбирующем теле
KR102493090B1 (ko) 흡수 복합재의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흡수 물품들
JP4541322B2 (ja) 除去可能な要素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101605583B1 (ko)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RU2560916C2 (ru) Впитывающий элемент и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JP5652260B2 (ja) 吸収性物品,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EP2478881B1 (en) Absorptive article
CZ302664B6 (cs) Absorpcní struktura a absorpcní produkt s jejím obsahem, zpusob a zarízení pro aplikaci superabsorpcních polymerních cástic
JP2008206539A (ja) 吸収体の製造方法
KR101894122B1 (ko) 흡수성 물품
KR20120104550A (ko) 흡수성 물품
WO2012165327A1 (ja) 吸収性物品
KR100683531B1 (ko) 흡수체의 제조 장치 및 방법
JP2008154775A (ja) 吸収体
JP2012245130A (ja) 吸収性物品
JPH11318982A (ja) 吸収性物品
US9387136B2 (en)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 and related methods therefor
WO2020100351A1 (ja) 吸収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0024033A (ja) 吸収性物品
JP5540381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