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256B1 - 절첩식 작업대 - Google Patents

절첩식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256B1
KR100683256B1 KR1020050035894A KR20050035894A KR100683256B1 KR 100683256 B1 KR100683256 B1 KR 100683256B1 KR 1020050035894 A KR1020050035894 A KR 1020050035894A KR 20050035894 A KR20050035894 A KR 20050035894A KR 100683256 B1 KR100683256 B1 KR 100683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holes
angle
suppor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3056A (ko
Inventor
임정환
Original Assignee
임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환 filed Critical 임정환
Priority to KR1020050035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256B1/ko
Publication of KR2006011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6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8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incl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절첩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이 절첩식 작업대는,
두개 발판(110)으로 이루어진 작업대(100)와; 상기 작업대(100) 양단에 수직/연결되는 수직바(201)와, 이 수직바(201)의 사이에 연결되는 가로바(212)로 이루어져 상기 작업대(100)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각(210); 및 서로 접하는 상기 발판(110)들의 양측에서 고정되는 고정부(314)(324)를 이루고, 이 고정부(314)(324)를 연장하여 회동부(315(325)를 형성하되 중심부에는 축공(312)(322)을 형성하고, 그 주위로는 소정간격을 두고 조절공(313)(323)을 각각 형성한 한 쌍의 절첩부재(310)(320)들과, 이 절첩부재(310)(320)들의 축공(312)(322)에는 장축(341)이, 조절공(313)(323)에는 단축(342)이 각각 삽입/이탈되도록 장,단축(341)(342)이 파지부(343)로 연결된 각도조절부재(340)와, 상기 장축(341)이 상기 절첩부재(310)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조절부재(350)와, 상기 각도조절부재(340)의 하단에서 탄력을 받도록 상기 절첩부재(310)(320)를 관통한 장축(341) 하단에 개재되는 탄성부재(360)와,이 탄성부재(360)의 하단 이탈을 방지하는 받침링(370)과, 상기 장축(341) 단부에 고정되는 멈춤핀(380)으로 이루어진 절첩회동부(300)를 포함한다.
절첩, 작업대,

Description

절첩식 작업대{Collapsible work-table}
도 1은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요부 발췌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회동절첩부의 발췌도,
도 4는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회동절첩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회동절첩부의 단면도,
도 6a, 6b, 6c, 6d는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회동/절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높이조절부의 요부 발췌도,
도 8a, 8b는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다리절첩부의 절첩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결합도 및 분해도,
도 9a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절첩식 작업대의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절첩식 작업대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회동절첩부 요부 발췌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회동절첩부 요부 발췌 분해사시도,
도 12a, 12b, 12c, 12d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절첩식 작업대의 회동/절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작업대, 110:발판,
200:높이조절부, 201:수직바, 212:가로바,
210:지지각,211:수직바,212:가로바,213:개구부,
220:보조각, 224:가이드연부, 223:삽입공,
230:잠금부재, 232:삽입핀,234:손잡이,236:탄성부재,
300:회동절첩부, 310,320:절첩부재, 330:볼트,312,322:축공,
313,323:조절공,314,324:고정부,315,325:회동부,
340:각도조절부재, 341:장축, 342:단축,343:파지부,350:간격조절부재,
360:탄성부재,370:받침링,380:멈춤핀,
400:
본 발명은 절첩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한쌍의 발판 중간을 간편하게 절첩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며, 동시에 다리와 발판사이를 절첩할 수 있는 절첩구조를 개선한 절첩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내에서 천장 부속설비를 설치하거나 천장을 도배하거나 천장내 설비를 수리/교체하기 위해서는 여러 형태의 사다리,의자,작업대등이 사용된다.
종래에 알려진 작업대중 하나를 살펴 보면,
길게 긴 판상의 디딤판과, 디딤판의 양측에 마련되어 디딤판을 지면에 대해 지지시키는 한편 디딤판에 대해 접철가능한 한 쌍의 다리부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대는 작업대에서 다리만을 절첩하여 휴대/보관하여야 하므로 절첩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절첩되는 한쌍의 발판을 간단한 구조로 절첩/회동할 수 있도록 한 절첩수단이 강구된 절첩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절첩수단이 강구된 절첩식 작업대의 지지각부분이 본 출원인의 선출원된 절첩수단을 결합한 절첩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절첩수단이 발판은 물론 지지각에도 동시에 구현된 절첩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절첩수단이 구현된 절첩식 작업대들이 지지각에서 높이조절기능을 함께 구현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궁극적으로 어떠한 절첩작업대에도 적용가능한 절첩수단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는
두개 발판으로 이루어진 작업대; 상기 작업대 양단에 수직/연결되는 수직바 와, 이 수직바의 사이에 연결되는 가로바로 이루어져 상기 작업대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각; 및 서로 접하는 상기 발판들의 양측에서 볼트로서 고정되는 고정부를 이루고, 이 고정부를 연장하여 회동부를 형성하되 중심부에는 축공을 형성하고, 그 주위로는 소정간격을 두고 조절공을 각각 형성한 한 쌍의 절첩부재들과, 이 절첩부재들의 축공에는 장축이, 다른 조절공에는 단축이 각각 삽입/이탈되도록 장,단축이 파지부로 연결된 각도조절부재와, 상기 장축이 상기 절첩부재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조절부재와,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하단에서 탄력을 받도록 상기 절첩부재를 관통한 장축 하단에 개재되는 탄성부재와,이 탄성부재의 하단 이탈을 방지하는 받침링과, 상기 장축 단부에 고정되는 멈춤핀으로 이루어진 절첩회동부를 포함하여 작업대가 180°, 90°로 절첩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한 절첩식 작업대의 상기 지지각은 180°와 90°로 상기 작업대에서 절첩되도록 발판과 지지각 사이에 걸쳐 양측에 각각 절첩회동부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절첩식 작업대의 상기 의 수직바 외측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그 양내측이 ㄷ형으로 가이드연부를 형성하고, 그 내측 바닥으로 다수 삽입공을 형성한 보조각과; 상기 수직바의 최하단 가로바 저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이 개구부에 대략 T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부는 삽입핀을 이루고, 그 가운데에 직각으로 연결된 손잡이를 가지며, 탄성부재가 개재된 잠금부재;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는 발판과; 이 발판 양단에 수직/연결되는 지지각과; 서로 접하는 상기 발판들의 양측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이루고, 이 고정부를 연장하여 회동부를 형성하되 중심부에는 축공을 형성하고, 그 주위로는 소정간격을 두고 조절공을 각각 형성한 한 쌍의 절첩부재들과, 이 절첩부재들의 축공에는 장축이, 조절공에는 단축이 각각 삽입/이탈되도록 장,단축이 파지부로 연결된 각도조절부재와, 상기 장축이 상기 절첩부재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조절부재와, 상기 각도조절부재의 하단에서 탄력을 받도록 상기 절첩부재를 관통한 장축 하단에 개재되는 탄성부재와,이 탄성부재의 하단 이탈을 방지하는 받침링과, 상기 장축 단부에 고정되어 멈춤핀을 절첩하는 절첩회동부를 포함하는 절첩식 작업대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지지각은 수직바와 가로바로 이루어지며,지지각의 외측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그 양내측이 ㄷ형으로 가이드연부를 형성하고, 그 내측바닥으로 다수 삽입공을 형성한 보조각과; 상기 지지각의 최하단 가로바 저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에 대략 T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부는 삽입핀을 이루고, 그 가운데에 직각으로 연결된 손잡이를 가지며, 탄성부재가 개재된 잠금부재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첨부도면중 도 1은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회동절첩부의 발췌도이고,도 4는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회동절첩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회동절첩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높이조절부의 요부 발췌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는 크게 한쌍의 발판(110)과, 상기 한쌍의 발판(110) 양단에서 절첩 가능하게 수직/연결되는 지지각(210)과, 회동절첩부(300)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절첩부(300)는 다시 서로 접하는 상기 발판(110)들의 양측에서 볼트(330)로서 고정되는 고정부(314)(324)를 이루고, 이 고정부(314)(324)를 연장하여 회동부(315(325)를 형성하되 중심부에는 축공(312)(322)을 형성하고, 그 주위로는 소정간격을 두고 조절공(313)(323)을 각각 형성한 한 쌍의 절첩부재(310)(320)들과, 이 절첩부재(310)(320)들의 축공(312)(322)에는 장축(341)이, 조절공(313)(323)에는 단축(342)이 각각 삽입/이탈되도록 장,단축(341)(342)이 파지부(343)로 연결된 각도조절부재(340)와, 상기 장축(341)이 상기 절첩부재(310)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조절부재(350)와, 상기 각도조절부재(340)의 하단에서 탄력을 받도록 상기 절첩부재(310)(320)를 관통한 장축(341) 하단에 개재되는 탄성부재(360)와,이 탄성부재(360)의 하단 이탈을 방지하는 받침링(370)과, 상기 장축(341) 단부에 고정되는 멈춤핀(38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절첩회동부(300)의 조립은 상기한 2개의 발판(110)을 마주보게 수평유지한 상태에서 마주 접하는 면의 양측에 절첩회동부(300)를 고정함과 동시에 절첩/회동가능하게 하여서 된다.
또한, 이와같은 절첩가능한 다리는 높이조절부(200)이 구현될 수 있다.
즉, 높이조절부(200)는 보조각(220)과, 잠금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즉, 보조각(220)은 상기 지지각(210)의 외측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그 양내측이 ㄷ형으로 가이드연부(224)를 형성하고, 그 내측바닥으로 다수 삽입공(223)을 형성한다.
잠금부재(230)는 상기 지지각(210)의 최하단 가로바(212) 저부에 개구부(213)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213)에 대략 T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부는 삽입핀(232)을 이루고, 그 가운데에 직각으로 연결된 손잡이(234)를 가지며, 탄성부재(236)를 개재하여서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각(220)의 높이를 맞춘 뒤 손잡이(234)로서 당겼다 놓음으로서 삽입핀(232)이 탄성부재(236)의 탄력을 받아 삽입핀(232)의 선단이 보조각(220)의 삽입공(223)으로 삽입되어 그 조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첨부 도면중 도 6a, 6b, 6c, 6d는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회동/절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펼쳐진 상태는 도 6a와 같다. 이 상태는 수평상태의 절첩부재(320)의 우측 조절공(323)과 절첩부재(310)의 상단 조절공(313)이 일치된 상태에서 단축(341)이 관통된 상태이므로 절첩부재(310)(320)는 접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각도조절부재(340)의 손잡이(343)를 뽑아 올려 단축(341)을 절첩부재(320)의 상기한 조절공(323)에서 이탈 시켜 절첩부재(310)의 우측상단의 조절공(313)에 끼우면 도 6b와 같은 상태로 되고 절첩부재(320)의 조절공 (323)에는 관통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우측 발판(110)은 접어 질 수 있는 상태로 해제되어 있으므로 도 6c와 같이 우측 발판(110)전체가 180°로 접어진다.
그때 까지 단축(341)은 절첩부재(320)의 조절공(323)에 관통되지 못한 상태로 있었으나, 도 6d와 같이 끝 까지 접어지면 하측 절첩부재(320)의 다른 조절공(323)에 관통되어 발판(110)들은 펼쳐지지 않게 잠그어진다.
이후 작업대를 사용하고자 하면 손잡이(343)을 뽑아 상기한 반대과정으로 펼침작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발판(110)의 절첩/잠금/해제와 함께 절첩식 작업대의 높이조절부(200)를 첨부 도면 도 7에 의거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중 도 7은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높이조절부의 요부 발췌도로서 지지각의 일부가 절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각(210)의 수직바(211) 외측으로 ㄷ형으로 가이드연부(224)를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다수 삽입공(223)을 형성한 보조각(220) 상,하 이동되도록 관삽되어 있으므로 잠금부재(230)의 손잡이(234)를 내측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킴과 동시에 보조각(220)을 상,하 조절한 뒤 놓으면 탄성부재(236)의 탄력에 의하여 삽입핀(232)의 선단이 삽입공(223)에 관통되면서 그 위치가 고정된다.따라서 일측의 보조각(220)의 높이가 조절되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반대쪽도 같은 방법으로 조절하여 지지각(2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중 도 8a, 8b는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다리절첩부의 절첩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결합도 및 분해도이다.
상기 도면 도 8a,도 8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는 발판(110)과 지지각(210)사이에 종래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에서 제안된 다리절첩부(400)를 실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회동절첩부와 결합하게 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즉, 발판(110)의 외측단부에 고정되도록 발판(110)측에는 고정공(112)(114)들이 천공되어 있으며, 고정공(112)측에 볼트들로 고정부재(410)가 고정된다.
지지각(210)측에는 상단에 반대측 고정부재(420)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410)(420)와의 사이에 힌지축(430)으로 연결하고, 상기 고정부재(420)과 지지각(210)사이에는 관공(216)을 거쳐 탄성부재(450),고정구(470),멈춤링(480)에 의해 탄력적으로 고정되는 장축(442)와, 선택적으로 발판(110)의 핀삽입공(422)에 삽입되는 단축(444)이 일체로 연결되어 대략 7자형으로 이루어진 조정핀(440)으로 조립된다.
이러한 구성의 다리절첩부(400)로서 힌지축(430)을 축으로 접어지거나 벌려지며, 조정핀(440)의 단축(444)을 이탈시켜 해제하고, 다시 삽입시켜 잠금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이와같은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는 발판(110)과 지지각(210)사이에 회동절첩부(300)를 구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지지각(210)은 높이 조절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회동절첩이 가능해진다. 이 지지각(210)의 회동절첩부(300)의 구성과 작용은 상기한 발판(110)사이의 회동절첩구성과 작용이 같으므로 구체적인 도면과 그에 따른 중복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실시예2>
첨부도면중 도 9a는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의 절첩식 작업대는 발판(110)과 발판(110)사이는 물론 발판(110)과 지지각(210)사이에도 상기 절첩회동부(300)를 적용한 경우의 적용예를 나타낸다. 따라서 발판(110)사이의 절첩회동부(300)의 설명은 이미 실시예1에서 설명된 바 있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발판(110)과 지지가(210)사이의 절첩회동부(300)에 대해서는 실시예3의 절첩회동부(300) 설명으로 대체한다.
<실시예3>
첨부 도면중 도 9b는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회동절첩부 요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회동절첩부 요부 발췌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는 크게 발판(110)과, 상기 발판(110) 양단에서 수직/연결되는 다리(200)와, 높이조절부(210)와, 회동절첩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판(110)은 단순한 판체를 이루고,그 양단에 수직/연결되는 다리(200)는 지지각(201)과 가로바(2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부(210)는 상기 지지각(201)의 외측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그 양내측이 ㄷ형으로 가이드연부(214)를 형성하고, 그 내측바닥으로 다수 삽입공 (213)을 형성한 보조각(212)과, 상기 다리(200)의 최하단 가로바(212) 저부에 개구부(203)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203)에 대략 T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부는 삽입핀(232)을 이루고, 그 가운데에 직각으로 연결된 손잡이(234)를 가지며, 탄성부재(236)가 개재된 잠금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즉, 높이조절부(210)는 지지각(201)과 가로바(212)로 이루어지고 최하단 가로바(212)에는 저부에 개구부(203)를 형성한 다리(200)와, 상기 지지각(201)에 삽입/슬라이딩되는 보조각(212)으로 이루어진다.
다리(200)는 외측으로 상기 보조각(212)이 상,하방으로 이동되도록 보조각(212)의 양내측으로는 ㄷ형 단면의 가이드연부(214)를 형성하고, 그 안쪽바닥으로 다수 삽입공(213)을 형성하여서 된다.
다리(200)는 상기 좌,우 양측의 지지각(201)사이로 다수의 가로바(212)를 다단 고정하고, 맨 하단의 가로바(212)에는 잠금부재(230)를 마련하여서 된다.
잠금부재(230)는 대략 T형의 형태를 가지며, 그 양단부는 삽입핀(232)을 이루고, 그 가운데에 직각으로 연결된 손잡이(234)를 가지며, 양단부를 최하단 가로바(212) 저부의 개구부(203)에 탄삽하기전에 탄성부재(236)를 개재시켜 설치하므로서 잠금부재(230)는 양측으로 탄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보조각(212)의 높이를 맞춘 뒤 손잡이(234)로서 당겼다 놓음으로서 삽입핀(232)이 탄성부재(236)의 탄력을 받아 삽입핀(232)의 선단이 보조각(212)의 삽입공(213)으로 삽입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회동절첩부(300)는 다시 상기 발판(110)과 다리(200)의 사이 양측에서 한쌍의 다리(210)가 180°와, 90°로 절첩/회동하도록 고정부(310)를 형성하고, 이 고정부(310)를 연장하여 회동부(312)를 형성하되 중심부에는 축공(321)을 형성하고, 회동범위로는 조절공(322)(323)을 각각 형성한 한 쌍의 절첩부재(320)와, 이 절첩부재(320)들의 축공(321)에는 장축(341)이, 조절공(322)(323)에는 단축(342)이 각각 삽입/이탈되도록 장,단축(341)(342)이 연결된 각도조절부재(340)와, 상기 장축(341)과 상기 절첩부재(320)의 삽입초기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조절부재(350)와, 상기 각도조절부재(340)가 탄력을 받도록 상기 절첩부재(320)(330)를 관통한 장축(341)의 하단에 개재되는 탄성부재(360)와,이 탄성부재(360)를 하단에서 받쳐주는 받침링(370)과, 받침링(370)의 아래에서 장축(341) 단부에 고정되는 멈춤핀(38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의 높이 조절되는 다리(200)는 회동절첩부(300)으로써 접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절첩 작업대의 조립은 상기한 발판(110)은 다리(200)와의 사이에 절첩회동부(300)를 절첩/회동가능하게 걸쳐 연결하여 절첩가능해지는 것이고, 다리(200)는 다시 높이 조절부(210)에 의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첨부 도면중 도 12a, 12b, 12c, 12d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절첩식 작업대의 회동/절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실시예3의 작용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펼쳐진 상태는 도 12a와 같다. 이 상태는 수평상태의 절첩부재(320)의 우측 조절공(323)과 절첩부재(310)의 상단 조절공(313)이 일치된 상태에서 단축(341)이 관통된 상태이므로 절첩부재(310)(320)는 접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각도조절부재(340)의 손잡이(343)를 뽑아 올려 단축(341)을 절첩부재(320)의 상기한 조절공(323)에서 이탈 시켜 절첩부재(310)의 우측상단의 조절공(313)에 끼우면 도 12b와 같은 상태로 되고 절첩부재(320)의 조절공(323)에는 관통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우측 발판(110)은 접어 질 수 있는 상태로 해제되어 있으므로 도 12c와 같이 우측 발판(110)전체가 180°로 접어진다.
그때 까지 단축(341)은 절첩부재(320)의 조절공(323)에 관통되지 못한 상태로 있었으나, 도 12d와 같이 끝 까지 접어지면 하측 절첩부재(320)의 다른 조절공(323)에 관통되어 발판(110)들은 펼쳐지지 않게 잠그어진다.
이후 작업대를 사용하고자 하면 손잡이(343)을 뽑아 상기한 반대과정으로 펼침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절첩식 작업대는 종래 절첩식 작업대와 달리 간단하게 직각으로 절첩할 수 있는 절첩이 간단한 절첩회동구조를 갖는 작업대를 제공하게 되므로 종래 각도조절부재의 복잡한 구조를 탈피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발판과 지지각의 사이에도 회동절첩부를 적용하므로서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발판과 다리를 절첩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이와같은 절첩회동구조의 작업대마다 각 지지각이 수직방향으로 높이 가 조절되므로 상기한 새롭고 가난한 절첩회동구조에 댜하여 작업대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하게 되어 그동안 절첩회동구조의 복잡한 구성에만 높이조절기능이 부여되었던 것이 갖는 단점을 개선한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절첩식 작업대에 있어서,
    두개 발판(110)으로 이루어진 작업대(100);
    상기 작업대(100) 양단에 수직/연결되는 수직바(211)와, 이 수직바(211)의 사이에 연결되는 가로바(212)로 이루어져 상기 작업대(100)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각(210); 및
    서로 접하는 상기 발판(110)들의 양측에서 볼트(330)로서 고정되는 고정부(314)(324)를 이루고, 이 고정부(314)(324)를 연장하여 회동부(315(325)를 형성하되 중심부에는 축공(312)(322)을 형성하고, 그 주위로는 소정간격을 두고 조절공(313)(323)을 각각 형성한 한 쌍의 절첩부재(310)(320)들과, 이 절첩부재(310)(320)들의 축공(312)(322)에는 장축(341)이, 조절공(313)(323)에는 단축(342)이 각각 삽입/이탈되도록 장,단축(341)(342)이 파지부(343)로 연결된 각도조절부재(340)와, 상기 장축(341)이 상기 절첩부재(310)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조절부재(350)와, 상기 각도조절부재(340)의 하단에서 탄력을 받도록 상기 절첩부재(310)(320)를 관통한 장축(341) 하단에 개재되는 탄성부재(360)와,이 탄성부재(360)의 하단 이탈을 방지하는 받침링(370)과, 상기 장축(341) 단부에 고정되는 멈춤핀(380)으로 이루어진 절첩회동부(300)를 포함하여,
    작업대(100)가 180°, 90°로 절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각(210)이 180°와 90°로 상기 작업대(100)에서 절첩되도록 발판(110)과 지지각(210)사이에 걸쳐 양측에 각각 절첩회동부(3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각(210)의 수직바(211)외측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그 양내측이 ㄷ형으로 가이드연부(224)를 형성하고, 그 내측 바닥으로 다수 삽입공(223)을 형성한 보조각(220)과; 상기 수직바(211)의 최하단 가로바(212) 저부에 개구부(213)를 형성하고,이 개구부(213)에 대략 T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부는 삽입핀(232)을 이루고, 그 가운데에 직각으로 연결된 손잡이(234)를 가지며, 탄성부재(236)가 개재된 잠금부재(230);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작업대.
  4. 절첩식 작업대에 있어서,
    발판(110);
    상기 발판(110) 양단에 수직/연결되는 지지각(210);
    서로 접하는 상기 발판(110)들의 양측에서 볼트(330)로서 고정되는 고정부(314)(324)를 이루고, 이 고정부(314)(324)를 연장하여 회동부(315(325)를 형성하되 중심부에는 축공(312)(322)을 형성하고, 그 주위로는 소정간격을 두고 조절공 (313)(323)을 각각 형성한 한 쌍의 절첩부재(310)(320)들과, 이 절첩부재(310)(320)들의 축공(312)(322)에는 장축(341)이, 조절공(313)(323)에는 단축(342)이 각각 삽입/이탈되도록 장,단축(341)(342)이 파지부(343)로 연결된 각도조절부재(340)와, 상기 장축(341)이 상기 절첩부재(310)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조절부재(350)와, 상기 각도조절부재(340)의 하단에서 탄력을 받도록 상기 절첩부재(310)(320)를 관통한 장축(341) 하단에 개재되는 탄성부재(360)와,이 탄성부재(360)의 하단 이탈을 방지하는 받침링(370)과, 상기 장축(341) 단부에 고정되는 멈춤핀(380)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판(110) 양측에서 180°와, 90°로 절첩하는 절첩회동부(300)를 포함하는 절첩식 작업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각(210)은 수직바(211)와 가로바(2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작업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각(210)의 외측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그 양내측이 ㄷ형으로 가이드연부(224)를 형성하고, 그 내측바닥으로 다수 삽입공(223)을 형성한 보조각(220)과; 상기 지지각(210)의 최하단 가로바(212) 저부에 개구부(213)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213)에 대략 T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부는 삽입핀(232)을 이루고, 그 가운데에 직각으로 연결된 손잡이(234)를 가지며, 탄성부재(236)가 개재된 잠금부 재(230)로 이루어진 높이조절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작업대.
KR1020050035894A 2005-04-29 2005-04-29 절첩식 작업대 KR100683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894A KR100683256B1 (ko) 2005-04-29 2005-04-29 절첩식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894A KR100683256B1 (ko) 2005-04-29 2005-04-29 절첩식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056A KR20060113056A (ko) 2006-11-02
KR100683256B1 true KR100683256B1 (ko) 2007-02-15

Family

ID=3765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894A KR100683256B1 (ko) 2005-04-29 2005-04-29 절첩식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2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056A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0150A (en) Collapsible stand
US7546810B2 (en) Folding table assembly
CN201002252Y (zh) 工具支撑设备
KR101745483B1 (ko) 사다리 전도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다리
KR20200000858U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US20160010391A1 (en) Brace for step ladder
US20130033075A1 (en) Swing with a folding back that automatically locks the swing
KR100683256B1 (ko) 절첩식 작업대
KR20120057868A (ko) 작업대용 발판의 다리 잠금장치
US20150082612A1 (en) Clamp horse
US20050045422A1 (en) Collapsible support assembly
US20030051642A1 (en) Folding table
CA3094726A1 (en) A folding lock mechanism for furniture legs and a piece of furniture with such a mechanism
US6021866A (en) Collapsible sawhorse trestle and leg strut
KR200413440Y1 (ko) 절첩식 사다리 체결구조
KR20090000735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및 이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WO2021012604A1 (zh) 一种弧形多功能锯凳
KR101672410B1 (ko) 핸드레일 안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계단식 이동 작업대
DE19501567C2 (de) Tisch
JP2008050824A (ja) 作業台
DE102005036370A1 (de) Klappsitz
KR200392869Y1 (ko) 도배발판
KR102567551B1 (ko) 용접 케이블 거치용 관절 거치장치
KR101719958B1 (ko) 파라솔
US20240057760A1 (en) Folding table and hinge assembly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