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901B1 -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901B1
KR100682901B1 KR1020040094209A KR20040094209A KR100682901B1 KR 100682901 B1 KR100682901 B1 KR 100682901B1 KR 1020040094209 A KR1020040094209 A KR 1020040094209A KR 20040094209 A KR20040094209 A KR 20040094209A KR 100682901 B1 KR100682901 B1 KR 100682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active polymer
haptic
image information
polymer
contac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769A (ko
Inventor
김윤상
소병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4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901B1/ko
Priority to US11/229,609 priority patent/US20060103634A1/en
Publication of KR20060053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901B1/ko
Priority to US12/695,868 priority patent/US2010012799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패널에의 손가락의 접촉을 센싱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햅틱정보의 패턴신호를 생성하는 패턴생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활성폴리머를 이동시키고, 상기 패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활성폴리머를 변형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전기적으로 활성되어 이동하거나 변형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활성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머가 삽입된 화상표시장치의 터치패널에서 폴리머를 이동, 변형시킴으로써, 포스피드백 및 택틸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물체의 접촉감 및 표면의 재질감을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상에 표시되는 메뉴, 아이콘 등의 영상에 햅틱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훨씬 용이하게 하고 입력시 오류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ingertip haptics of visual information using electro-active polymer in a image display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의 개략 블록도. 도 2a는 폴리머가 삽입된 화상표시장치의 터치패널의 개략 측면도.
도 2b는 단일 전기활성폴리머가 전기적으로 활성화되어 팽창 또는 수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
도 2c는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가 전기적으로 활성화되어 수직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도 3의 S320의 폴리머이동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도 3의 S330의 패턴생성단계 및 S340의 폴리머변형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110 : 폴리머이동제어부
120 : 폴리머변형제어부 130 : 센싱부
140 : 폴리머 150 : 패턴생성부
160 : DB(데이터베이스) 200 : ITO막
210 : 스페이서 220 : 패널부
본 발명은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햅틱(haptic)이란 물체를 만질 때 사람의 핑거팁(fingertip; 손가락 끝)으로 느낄 수 있는 촉각적 감각으로서, 피부가 물체 표면에 닿아서 느끼는 택틸 피드백(tactile feedback)과 관절과 근육의 움직임이 방해될 때 느껴지는 키너스테틱 포스 피드백(kinesthetic force feedback)(이하, 포스 피드백 이라 함)의 두 가지 힘을 모두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
종래, 햅틱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는 물리적 장치를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적인 접촉이 없이도 햅틱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이루어져 왔고, 특히 사람에게 원격지에 있는 물체의 물리적 특성을 전달하기 위한 텔레오퍼레이션(teleoperation)에 관한 연구로부터 시작되었다. 햅틱 인터페이스(haptic interface)는 가상현실 또는 원격작업시스템에 있어서의 양방향 정보의 흐름으로서 운용자의 움직임 또는 위치정보를 가상환경이나 원격작업 대상에 입력하는 기능과 가상환경 또는 원격작업에서 발생하는 힘이나 촉각정보를 운용자에 전달하는 기능 을 말한다. 이 때 운용자는 손이나 손가락으로 직접 원격에서의 작업 대상물을 느끼고 운동 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환경 또는 실제의 원격작업에서 햅틱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물의 특성 즉 표면의 촉감이나 재질의 특성, 모양 등을 햅틱 센스로 양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매체(object)가 필요한데 이를 햅틱 디바이스(haptic device)라 한다. 따라서, 이상적인 햅틱 디바이스는 가상의 물체 또는 원격의 작업 대상 물체를 실제 사람이 만지고 조종하는 것과 똑같이 자연적이고 직관적으로 느끼고 조종할 수 있는 상태를 완벽히 재현할 수 있도록, 즉 이상적인 햅틱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가상 또는 원격의 물체를 사람의 손이 직접 느끼는 것과 마찬가지의 응답성으로 동적 특성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햅틱 디바이스 연구의 대부분이 모터에 의한 기계적 구동과 모터제어를 통하여 포스피드백을 구현하고 있으며, 햅틱 인터페이스 성능을 높이기 위해 실현하고자 하는 자유도가 높을수록 기계적 링크 등 복잡한 기구적 연결 메커니즘을 갖게 된다. 이러한 복잡한 기계적 연결 메커니즘, 모터의 사용, 이로 인한 디바이스 무게 증가, 이에 따른 관성문제 등으로 MR(magnetorheological; 자기유변) 유체를 사용한 패시브(passive) 햅틱 디바이스 개발연구 등 디바이스를 경량, 소형화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화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나타나는 버튼, 아이콘 등의 영상정보에 햅틱정보를 더하여 제공하기 위한 햅틱 피드백장치는, 기구적으로 구속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이 인터페이스부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부(actuator)로 구성되며, 이러한 기구적 구현은 기구적으로 구속되는 구 동부를 구성요소가 추가함으로써, 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구현상 제약이 따르게 된다. 또한, 햅틱정보를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구동부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폴리머가 삽입된 화상표시장치의 터치패널에서 폴리머를 이동, 변형시킴으로써, 포스피드백 및 택틸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물체의 접촉감 및 표면의 재질감을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는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패널에의 손가락의 접촉을 센싱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햅틱정보의 패턴신호를 생성하는 패턴생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활성폴리머를 이동시키고, 상기 패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활성폴리머를 변형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전기적으로 활성되어 이동하거나 변형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활성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활성폴리머는 단일 전기활성폴리머 또는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신호중 접촉점의 위치정보에 기 초하여 상기 전기활성폴리머에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활성폴리머를 상기 접촉이 이루어진 접촉점으로 이동시키는 폴리머이동제어부; 및 상기 패턴생성부로부터의 패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활성폴리머에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활성폴리머를 수축하거나 팽창시키는 폴리머변형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햅틱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방법은, (a) 사용자의 터치패널에의 손가락의 접촉을 센싱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전기활성폴리머를 접촉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c) 상기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햅틱정보의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패턴신호에 기초하여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활성폴리머를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단계는, 센싱된 접촉점에서의 영상정보가 햅틱정보를 가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센싱된 접촉점에서의 영상정보가 햅틱정보를 가지면, 상기 전기활성폴리머를 상기 접촉점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b1) 상기 전기활성폴리머에 상기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한 후, 접촉점 및 접촉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및 (b2) 이전에 센싱한 접촉점의 위치로부터 상기 접촉점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구동전압을 다시 인가하여 상기 전기활성폴리머를 상기 접촉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상기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정보 로부터 상기 접촉점의 위치와 접촉상태에 대응하는 햅틱정보의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상기 생성된 햅틱정보의 패턴을 실시간으로 계산된 힘을 기초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단계는, (d1) 상기 전기활성폴리머에 상기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한 후, 접촉점 및 접촉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및 (d2) 이전에 센싱한 접촉점의 위치로부터 상기 접촉점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상기 (b)단계를 반복하고, 상기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c)단계를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른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개략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제어부(100), 센싱부(130), 전기활성폴리머(electroactive polimer)(이하, 폴리머 라 함)(140), 패턴생성부(150) 및 데이터베이스(database)(이하, "DB"라 함)(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100)는 센싱부(130)로부터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폴리머(140)를 이동시키고, 영상정보로부터 생성된 패턴신호에 기초하여 폴리머를 변형시키며, 폴리머이동제어부(110) 및 폴리머변형제어부(120)를 포함한다. 폴리머이동제어부(110)는 상기 센싱신호중 접촉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폴리머(140)에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폴 리머(140)를 접촉이 이루어진 접촉점으로 이동시킨다. 폴리머변형제어부(120)는 패턴생성부(150)로부터의 패턴신호에 기초하여 폴리머(140)에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폴리머(140)를 수축하거나 팽창시킨다.
상기 센싱부(130)는 사용자의 터치패널에의 손가락의 접촉을 센싱하여 센싱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상기 패턴생성부(150)는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정보로부터 햅틱정보의 패턴을 생성하여 패턴신호를 상기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도 1에서는, 패턴생성부(150)를 제어부(100)와는 독립적인 구성요소로 도시하였지만, 제어부(100)와 함께 원칩(one chip)화 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140)는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전기적으로 활성화되어 이동하거나 변형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전압(또는 구동전류)에 의해 활성화되면 물리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폴리머(140)는 겔(gel), 이온성(ionic) 폴리머, 전도성(conducting) 폴리머, 일렉트로리스트릭티브(electrorestrictive) 폴리머중 어느하나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폴리머가 사용될 수도 있다.
폴리머(140)는 단일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고, 다른 방법으로는,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단일 전기활성폴리머에 비하여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가 햅틱을 비교적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제작비용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단일 전기활성폴리머 및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가 사용된 각각의 실시예는 도 2b 및 도 2c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2a는 폴리머(140)가 삽입된 화상표시장치의 터치패널의 개략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ITO(Indium Tin Oxide:인듐주석산화)막(200), 스페이서(spacer)(210) 및 패널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b는 단일 전기활성폴리머(140)가 전기적으로 활성화되어 팽창 또는 수축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140)가 전기적으로 활성화되어 수직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로 되돌아가, DB(160)는 햅틱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저장한다. DB(160)에 저장된 영상정보는 패널부(220)상에 표시되는 버튼, 아이콘 등과 같은 물체의 기하학적 정보(예를 들어, 넓이, 길이, 높이 등), 물체의 물리적 계수(예를 들어, 마찰력계수, 탄성계수, 질량 등)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영상정보는, 실제 데이터에 근거한 (예를 들어 CT, MRI 영상정보 데이터) 실제적인 정보이거나 또는 정해진 패턴에 의해 생성된 인위적인 정보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의 구성요소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S300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패널의 ITO막(200)에 접촉한다. S310 단계에서는, 센싱부(130)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된 접촉점을 센싱한다. 여기서, 접촉점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패널에 접촉한 하나의 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선 또는 면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 때, 접촉점의 위치뿐만 아니라 접촉상태(예를 들어, 접촉점을 누르는 압력)를 센싱하 고, 이렇게 센싱된 센싱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S320 단계에서는, 제어부(100)의 폴리머이동제어부(110)가 센싱신호중 접촉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폴리머(140)에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폴리머(140)를 접촉이 이루어진 접촉점으로 이동시킨다. 단일 전기활성폴리머의 경우는, 수평 이동만을 하는데 반하여,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의 경우는, 수평 이동뿐만 아니라 수직 이동도 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실감있는 햅틱을 제공할 수 있다. S320 단계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S330 단계에서는, 패턴생성부(150)가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정보로부터 햅틱정보의 패턴을 생성하여 패턴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S340 단계에서는, 폴리머변형제어부(120)가 패턴생성부(150)로부터의 패턴신호에 기초하여 폴리머(140)에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폴리머(140)를 수축하거나 팽창시킨다. S350 단계에서는, 손가락의 접촉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손가락의 접촉이 있으면, S310 단계로 진행하여, 센싱부(130)는 접촉점의 위치 및 접촉상태를 센싱하여 센싱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손가락의 접촉이 없으면, 과정을 종료한다. 다음, 도 4는 도 3의 S320의 폴리머이동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도 1의 구성요소와 결부시켜 설명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S400 단계에서는, 폴리머이동제어부(110)가 DB(160)에 저장된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센싱된 접촉점에 센싱된 접촉점에 햅틱정보가 없으면, S350 단계로 진행하고, 햅틱정보가 있으면, S410 단계로 진행한다. S410 단계에서는, 폴리머(140)를 접촉점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S420 단계에서는, 생성된 신호에 따라 폴리머(140)에 제1 구동전압(또는 전류)을 인가함으로써, 폴리머(140)를 접촉점까지 이동시킨다. 여기서, 인가되는 구동전압은 0 내지 1㎸일 수 있으며, 구동전류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수 ㎃ 미만의 전류가 인가된다. 이 때, 인가되는 구동전압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폴리머(140)를 이동시킨다. 구동전압의 크기가 클수록, 폴리머(140)의 이동속도가 증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일 전기활성폴리머의 경우에는, 제1 임계값 이상의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폴리머를 수평으로 이동시키지만,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의 경우에는, 수평이동 뿐만 아니라,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전압이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 이상일 때에는 폴리머를 수직으로도 이동시킨다.
S430 단계에서는, 센싱부(130)는 현재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고 있는 접촉점의 위치 및 접촉상태를 센싱한다. S440 단계에서는, 이전에 센싱한 접촉점의 위치로부터 현재 접촉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S400 단계로 되돌아가 폴리머이동단계를 수행한다.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있으면, S330 단계로 진행하여 폴리머변형단계를 수행한다.
다음, 도 5는 도 3의 S330의 패턴생성단계 및 S340의 폴리머변형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도 1의 구성요소와 결부시켜 설명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S500 단계에서는, 패턴생성부(150)는 센싱부(130)로부터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DB(160)에 저장된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접촉점의 위치와 접촉상태에 대응하는 햅틱정보의 패턴을 생성한다. DB(160)에 저장된 물체의 기하학적 정보, 물리적 계수 등을 사용하여 미리 정의된(또는 계산된) 패턴을 생성한다. 패턴생성에는 인위적인 계산(computing)에 의한 패턴생성과 실제 데이터에 의한 패턴생성이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곤(polygon)에 기초한 방법, FEM(finite element method; 유한요소법) 등을 사용하여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S510 단계에서는, 생성된 햅틱정보의 패턴을 실시간으로 계산된 힘(또는 속도, 위치 등)을 기초하여 처리한다. 이 때, 생성된 햅틱정보의 패턴이 동일하다 하더라도 힘(또는 속도, 위치 등)이 다르면, 햅틱정보의 패턴이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햅틱정보의 패턴처리를 햅틱 렌더링(rendering)이라고도 한다. 햅틱정보의 패턴처리는, 예를 들어, 접촉점을 단일점으로 보는 점기반법(point-based method), 접촉점을 다중점(multiple point)으로 보는 다중점기반법(multipoint-based method)(또는 면기반법(surface-based method)) 등을 사용한다. 그 후, 처리된 햅틱정보의 패턴을 폴리머변형제어부(130)로 출력한다.
S520 단계에서는, 폴리머변형제어부(130)는 패턴생성부(150)로부터의 햅틱정보의 패턴에 따라 폴리머(140)에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한다. 여기서, 인가되는 구동전압은 0 내지 1㎸일 수 있으며, 구동전류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수 ㎃ 미만의 전류가 인가된다. S530 단계에서는, 인가된 제2 구동전압에 따라 폴리머(140)를 수축 또는 팽창 변형시킨다. 이 때, 인가된 제2 구동전압의 크기에 따라 폴리머(140)의 수축 또는 팽창의 정도가 달라진다.
S540 단계에서는, 센싱부(130)는 현재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고 있는 접촉점의 위치 및 접촉상태를 센싱한다. S550 단계에서는, 이전에 센싱한 접촉점의 위치로부터 현재 접촉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S320 단계로 되돌아가 폴리머이동단계를 반복한다.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있으면, S320 단계로 진행하여 패턴생성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머가 삽입된 화상표시장치의 터치패널에서 폴리머를 이동, 변형시킴으로써, 포스피드백 및 택틸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물체의 접 촉감 및 표면의 재질감을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상에 표시되는 메뉴, 아이콘 등의 영상에 햅틱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을 훨씬 용이하게 하고 입력시 오류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터치패널에 대한 사용자 손가락의 접촉을 센싱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정보로부터 햅틱정보의 패턴신호를 생성하는 패턴생성부;
    상기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전기활성폴리머를 이동시키고, 상기 패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활성폴리머를 변형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터치패널의 일부에 삽입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전기적으로 활성되어 이동하거나 변형되는 전기활성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활성폴리머는 단일 전기활성폴리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신호중 접촉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일 전기활성폴리머에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단일 전기활성폴리머를 상기 접촉이 이루어진 접촉점으로 이동시키는 폴리머이동제어부; 및
    상기 패턴생성부로부터의 패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일 전기활성폴리머에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단일 전기활성폴리머를 수축하거나 팽창시키는 폴리머변형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활성폴리머는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신호중 접촉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에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를 상기 접촉이 이루어진 접촉점으로 수평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를 수직으로 이동시켜 활성상태가 되게 하는 폴리머이동제어부; 및
    상기 패턴생성부로부터의 패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에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를 수축하거나 팽창시키는 폴리머변형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햅틱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
  7. (a) 사용자의 터치패널에의 손가락의 접촉을 센싱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전기활성폴리머를 접촉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c) 상기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정보로부터 햅틱정보의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패턴신호에 기초하여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활성폴리머를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센싱된 접촉점에서의 영상정보가 햅틱정보를 가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센싱된 접촉점에서의 영상정보가 햅틱정보를 가지면, 상기 단일 전기활성폴리머를 상기 접촉점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단일 전기활성폴리머에 상기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한 후, 접촉점 및 접촉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및
    (b2) 이전에 센싱한 접촉점의 위치로부터 상기 접촉점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구동전압을 다시 인가하여 상기 단일 전기활성폴리머를 상기 접촉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접촉점의 위치와 접촉상태에 대응하는 햅틱정보의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생성된 햅틱정보의 패턴을 실시간으로 계산된 힘을 기초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 상기 단일 전기활성폴리머에 상기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한 후, 접촉점 및 접촉상태를 센싱하는 단계; 및
    (d2) 이전에 센싱한 접촉점의 위치로부터 상기 접촉점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상기 (b)단계를 반복하고, 상기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c)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활성폴리머는 단일 전기활성폴리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활성폴리머는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센싱신호중 접촉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에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를 상기 접촉이 이루어진 접촉점으로 수평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전기활성폴리머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방법.
  16. (a) 사용자의 터치패널에의 손가락의 접촉을 센싱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전기활성폴리머를 접촉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c) 상기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정보로부터 햅틱정보의 패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패턴신호에 기초하여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활성폴리머를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040094209A 2004-11-17 2004-11-17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82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209A KR100682901B1 (ko) 2004-11-17 2004-11-17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11/229,609 US20060103634A1 (en) 2004-11-17 2005-09-20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fingertip haptics of visual information using electro-active polymer for image display device
US12/695,868 US20100127999A1 (en) 2004-11-17 2010-01-28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fingertip haptics of visual information using electro-active polymer for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209A KR100682901B1 (ko) 2004-11-17 2004-11-17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769A KR20060053769A (ko) 2006-05-22
KR100682901B1 true KR100682901B1 (ko) 2007-02-15

Family

ID=3638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209A KR100682901B1 (ko) 2004-11-17 2004-11-17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060103634A1 (ko)
KR (1) KR1006829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2589A1 (en) * 2006-11-28 2008-05-29 Ivanov Yuri A Tactile Output Device
US8761846B2 (en) * 2007-04-04 2014-06-2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kin texture surface on a device
US20080248836A1 (en) * 2007-04-04 2008-10-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kin texture surface on a device using hydraulic control
US20080248248A1 (en) * 2007-04-04 2008-10-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kin texture surface on a device using a gas
US7876199B2 (en) * 2007-04-04 2011-01-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kin texture surface on a device using a shape memory alloy
US20090015560A1 (en) * 2007-07-13 2009-01-1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a device
US20090132093A1 (en) * 2007-08-21 2009-05-21 Motorola, Inc. Tactile Con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Device
US20090115734A1 (en) * 2007-11-02 2009-05-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erceivable feedback
US8866641B2 (en) * 2007-11-20 2014-10-2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keypad of a device
KR101422214B1 (ko) * 2008-01-28 2014-07-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력 유체를 이용하여 입력 지점을 감지할 수 있는 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BRPI0804355A2 (pt) * 2008-03-10 2009-11-03 Lg Electronics Inc terminal e método de controle do mesmo
TWI391849B (zh) * 2009-02-16 2013-04-01 Ind Tech Res Inst 觸控顯示系統及其驅動方法
US8686951B2 (en) * 2009-03-18 2014-04-01 HJ Laboratories, LLC Providing an elevated and texturized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KR101067661B1 (ko) * 2009-04-14 2011-09-27 한국과학기술원 이온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 활성 폴리머를 이용한 유연 디스플레이 형상변형장치 및 그 방법
GB2470418A (en) * 2009-05-22 2010-11-24 Nec Corp Haptic information delivery
KR101658991B1 (ko) * 2009-06-19 2016-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1667801B1 (ko) 2009-06-19 2016-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1616875B1 (ko) 2010-01-07 201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631892B1 (ko) 2010-01-28 201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20110199342A1 (en) 2010-02-16 2011-08-18 Harry Vartani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levated, indented or texturized sensations to an object near a display device or input detection using ultrasound
KR101710523B1 (ko) 2010-03-22 201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9791928B2 (en) 2010-04-26 2017-10-17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user interface
US9733705B2 (en) 2010-04-26 2017-08-15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user interface
US9715275B2 (en) 2010-04-26 2017-07-25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user interface
KR101661728B1 (ko) 2010-05-11 201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US9971405B2 (en) * 2010-09-27 2018-05-15 Nokia Technologies Oy Touch sensitive input
KR101809191B1 (ko) 2010-10-11 2018-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CN102054122B (zh) * 2010-10-27 2013-01-09 东南大学 基于实际测量的纹理的力触觉表达方法
KR101735715B1 (ko) 2010-11-23 2017-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감지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터치 패널
US20120306633A1 (en) * 2010-12-22 2012-12-06 Touchsensor Technologies, Llc Sensory outpu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9371003B2 (en) * 2011-03-31 2016-06-21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 feedback control in a vehicle
KR101784436B1 (ko) 2011-04-18 2017-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위한 구동 장치
US9448713B2 (en) * 2011-04-22 2016-09-20 Immersion Corporation Electro-vibrotactile display
TWI447631B (zh) * 2011-12-07 2014-08-01 Ind Tech Res Inst 投射式電容觸控裝置及其觸控面板的觸控方法
KR20130066260A (ko) * 2011-12-12 201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TWI470491B (zh) 2012-06-19 2015-01-21 Ind Tech Res Inst 觸覺回饋裝置
US9116546B2 (en) 2012-08-29 2015-08-25 Immersion Corporation System for haptically representing sensor input
CN103809739B (zh) * 2012-11-13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输出方法、输出控制装置及电子设备
US9202350B2 (en) 2012-12-19 2015-12-01 Nokia Technologies Oy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US9639158B2 (en) 2013-11-26 2017-05-02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friction and vibrotactile effects
EP2879019B1 (en) * 2013-12-02 2019-01-23 Sony Corporation Dynamic hardware controls with haptic and visual feedback
KR101587338B1 (ko) * 2014-01-09 2016-01-2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정전기력 기반의 폴리머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플렉서블 햅틱모듈 및 촉감제공방법
US9454187B2 (en) * 2014-08-13 2016-09-27 Dell Products L.P. Bezel for providing improved user experience
US9703381B2 (en) * 2015-02-18 2017-07-11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Epfl) Multimodal haptic device including a thermal and tactile display unit,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146310B2 (en) * 2015-03-26 2018-12-04 Intel Corporation Haptic user interface control
WO2016206069A1 (en) * 2015-06-26 2016-12-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ssive haptics as reference for active haptics
KR101630430B1 (ko) * 2015-06-29 2016-06-13 박동현 햅틱 패턴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문자 표시 방법
KR102463757B1 (ko) * 2015-12-31 2022-1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응 소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8700968B (zh) * 2016-02-29 2021-09-28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基于电活性材料的传感器设备和感测方法
WO2019005586A1 (en) 2017-06-29 2019-01-03 Apple Inc. FINGER-FITTED DEVICE WITH SENSORS AND HAPTIC TECHNOLOGY
US10795438B2 (en) 2018-04-05 2020-10-06 Apple Inc. Electronic finger devices with charging and storage systems
DE102018213384A1 (de) 2018-08-09 2020-02-13 Robert Bosch Gmbh Berührungsempfindliche Oberfläche mit haptischen Elementen
US11755107B1 (en) 2019-09-23 2023-09-12 Apple Inc. Finger devices with proximity sensors
KR102153838B1 (ko) * 2019-12-28 2020-09-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물질 기반 음각 형상 변형 컨트롤 패널
US11709554B1 (en) 2020-09-14 2023-07-25 Apple Inc. Finger devices with adjustable housing structures
US11287886B1 (en) 2020-09-15 2022-03-29 Apple Inc. Systems for calibrating finger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6634A (ja) * 1994-05-13 1995-11-21 Nec Corp 振動型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6586859B2 (en) 2000-04-05 2003-07-01 Sri International Electroactive polymer animated devices
US20030184574A1 (en) 2002-02-12 2003-10-02 Phillips James V. Touch screen interface with haptic feedback device
JP2003288158A (ja) 2002-01-28 2003-10-10 Sony Corp タクタイル・フィードバック機能を持つ携帯型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493A (ja) * 1993-07-21 1996-01-12 Texas Instr Inc <Ti> 点字テキストおよび点字図形用の電子的にリフレッシュ可能な触知型ディスプレイ
JP3854392B2 (ja) * 1996-11-11 2006-12-06 同和鉱業株式会社 光学的フィルター
US6429846B2 (en) * 1998-06-23 2002-08-0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touchpads and other touch controls
CA2271416A1 (en) * 1999-05-10 2000-11-10 Vincent Hayward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suitable for tactile display and article conveyance
US6871951B2 (en) * 2000-06-23 2005-03-29 E-Vision, Llc Electro-optic lens with integrated components
WO2001001374A1 (en) * 1999-06-28 2001-01-04 Tactilics, Inc. Braille computer monitor
US6459364B2 (en) * 2000-05-23 2002-10-01 Hewlett-Packard Company Internet browser facility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JP2003534620A (ja) * 2000-05-24 2003-11-18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イション 電気活性ポリマーを利用する触覚装置及び触覚方法
JP3949912B2 (ja) * 2000-08-08 2007-07-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型電子機器、電子機器、振動発生器、振動による報知方法および報知制御方法
EP1191430A1 (en) * 2000-09-22 2002-03-27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evices having small tactile displays
US6801191B2 (en) * 2001-04-27 2004-10-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put device and inputting method with input device
US6636202B2 (en) * 2001-04-27 2003-10-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active tactile display for computer screen
US7336266B2 (en) * 2003-02-20 2008-02-26 Immersion Corproation Haptic pads for use with user-interface devices
US8094127B2 (en) * 2003-07-31 2012-01-10 Volkswagen Ag Display device
US7342573B2 (en) * 2004-07-07 2008-03-11 Nokia Corporation Electrostrictive polymer as a combined haptic-seal actu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6634A (ja) * 1994-05-13 1995-11-21 Nec Corp 振動型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6586859B2 (en) 2000-04-05 2003-07-01 Sri International Electroactive polymer animated devices
JP2003288158A (ja) 2002-01-28 2003-10-10 Sony Corp タクタイル・フィードバック機能を持つ携帯型機器
US20030184574A1 (en) 2002-02-12 2003-10-02 Phillips James V. Touch screen interface with haptic feedback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27999A1 (en) 2010-05-27
US20060103634A1 (en) 2006-05-18
KR20060053769A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901B1 (ko) 화상표시장치에서 전기활성폴리머를 사용하여 영상정보의핑거팁 햅틱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6078308A (en) Graphical click surfaces for force feedback applications to provide user selection using cursor interaction with a trigger position within a boundary of a graphical object
US9983676B2 (en) Simulation of tangible user interface interactions and gestures using array of haptic cells
US6496200B1 (en) Flexible variation of haptic interface resolution
US6252579B1 (en)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cursor control with force feedback
JP3543695B2 (ja) 駆動力発生装置
Burdea Haptics issues in virtual environments
US8350843B2 (en) Virtual hand: a new 3-D haptic interface and system for virtual environments
Basdogan et al. Haptic rendering in virtual environments
US5825308A (en) Force feedback interface having isotonic and isometric functionality
US6061004A (en) Providing force feedback using an interface device including an indexing function
US8020095B2 (en) Force feedback system including multi-tasking graphical host environment
CN105511666A (zh) 具有刚性组件的触觉使能的可变形设备
US20110148607A1 (en) System,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technology
CN104020844A (zh) 具有线性共振致动器的触觉设备
JP2019519856A (ja) マルチモーダルハプティック効果
JP4168752B2 (ja) 情報受感装置、情報伝達システム、情報受感装置の制御を行なう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Frediani et al. Enabling wearable soft tactile displays with electroactive smart elastomers
KR20170109288A (ko) 몰입형 가상 환경에서의 가상 재질감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4244784B2 (ja) 駆動力発生装置
KR20200127736A (ko) 가상 환경 기반의 재질감 생성 장치
JP2000047565A (ja) 物体の接触感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2005216248A (ja) 物理的接触に応じた形状変形表示装置
Rosenberg et al. Virtual hand representations to support natural interaction in immersive environments
Liu Real-time softness display system for the perception of virtual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