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865B1 - 물 회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직접액체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물 회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직접액체 연료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865B1
KR100682865B1 KR1020050098665A KR20050098665A KR100682865B1 KR 100682865 B1 KR100682865 B1 KR 100682865B1 KR 1020050098665 A KR1020050098665 A KR 1020050098665A KR 20050098665 A KR20050098665 A KR 20050098665A KR 100682865 B1 KR100682865 B1 KR 100682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very system
support plate
water recovery
fuel cell
m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혜정
장혁
최경환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865B1/ko
Priority to JP2006241471A priority patent/JP4658883B2/ja
Priority to US11/515,900 priority patent/US7923159B2/en
Priority to CNB2006100641044A priority patent/CN100517846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9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one of the reactants being liquid, solid or liquid-charged
    • H01M8/1011Direct alcohol fuel cells [DAFC], e.g.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097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recycling of the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26Humidifying
    • H01M8/04141Humidifying by water containing exhaust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1Arrangements for managing water in solid electrolyte fuel cel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접액체 연료전지의 물 회수시스템과, 상기 물 회수시스템을 구비한 직접액체 연료전지에 관하여 개시한다.
개시된 물 회수시스템은, MEA의 캐소드 전극으로부터의 물을 회수하여 애노드 전극으로 공급하는 물 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전극 상에 배치된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를 지지하는 제1 지지플레이트; 상기 애노드 전극 상에 배치된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지지하는 제2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상기 MEA의 멤브레인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 회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직접액체 연료전지{Water recovery system and direct liquid feed fuel cell having the same}
도 1은 직접연료전지의 단위 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직접액체 연료전지의 물 회수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회수시스템이 적용되는 직접액체 연료전지의 분리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일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회수시스템을 구비한 단위 셀 모듈의 성능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직접액체연료전지의 물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소드 전극에서 생성된 물을 애노드 전극에 공급되는 액체연료와 혼합시켜서 사용하는 직접액체연료전지의 물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직접액체연료전지(Direct Liquid Feed Fuel Cell)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유기화합물 연료와 산화제인 산소(공기내의 산소)와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장치로서 에너지밀도 및 전력밀도가 매우 높으며, 메탄올 등 액체연료를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연료개질기(reformer) 등 주변장치가 필요치 않으며 연료의 저장 및 공급이 쉽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직접액체연료전지의 단위 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노드 전극(2)과 캐소드 전극(3) 사이에 전해질막(1)이 개재되어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구조를 형성한다. 각 애노드 전극(2)과 캐소드 전극(3)의 구조는 연료의 공급 및 확산을 위한 연료확산층(diffusion layer, 22, 32)과 연료의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촉매층(21, 31), 그리고 전극 지지체(23, 33)를 구비한다.
직접액체연료전지 중, 메탄올과 물을 혼합 연료로 사용하는 직접메탄올연료전지 (Direct Methanol Fuel Cell, 이하 DMFC)의 전극반응은 연료가 산화되는 애노드 반응과 수소이온과 산소의 환원에 의한 캐소드 반응으로 구성되며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CH3OH +H2O --> CO2 +6H+ + 6e- (Anode reaction)
3/2O2 +6H+ + 6e- --> 3H2O (Cathode reaction)
CH3OH + 3/2O2 --> 2H2O + CO2 (Overall reaction)
산화반응(반응식 1)이 일어나는 애노드 전극(2)에서는, 메탄올과 물의 반응에 의하여 이산화탄소, 6개의 수소이온 및 전자가 생성이 되며, 생성된 수소이온은 수소이온교환막(1)을 거쳐 캐소드 전극(3)으로 전달된다. 환원반응(반응식 2)이 일어나는 캐소드 전극(3)에서는, 수소이온과 외부 회로를 통해 전달된 전자 그리고 산소 간의 반응에 의해 물이 생성된다. 따라서 DMFC 총괄반응(반응식 3)은 메탄올과 산소가 반응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반응이 된다.
DMFC의 단위 셀의 발생전압은 이론적으로는 1.2 V 정도이지만 상온, 상압 조건에서 개회로 전압(open circuit voltage)은 1 V 이하가 되며, 실제 작동전압은 활성화 과전압및 저항 과전압에 의한 전압강하가 일어나기 때문에 0.3 ~ 0.7 V 정도가 된다. 따라서 원하는 용량의 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여러 장의 단위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야 한다.
고농도 연료를 사용할 경우 전해질막(수소이온교환막)에서의 연료의 크로스오버(cross-over, 연료가 이온교환막을 통과하는 현상)로 인한 발전 성능감소가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액체연료는 순수한 메탄올이 아닌 시스템 내부에서 발생하거나 혹은 이미 저장되어있는 물과 혼합되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저농도의 메탄올을 연료탱크에 저장하여 사용할 경우, 연료탱크의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소형 연료전지 시스템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휴대기기용 소형 연료전지로는 다수의 단위셀이 형성된 모노폴라 타입의 직접액체연료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고 에너지 밀도를 위해서 고농도, 예컨대 순수한 메탄올 연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메탄올 연료의 희석을 위해서 캐소드 전극으로부터의 물을 회수하여 애노드 전극으로 공급하는 물 회수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 목적은 직접액체 연료전지의 물 회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물 회수시스템을 구비한 직접액체 연료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직접액체 연료전지의 물 회수 시스템은:
MEA의 캐소드 전극으로부터의 물을 회수하여 애노드 전극으로 공급하는 물 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전극 상에 배치된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를 지지하는 제1 지지플레이트;
상기 애노드 전극 상에 배치된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지지하는 제2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상기 MEA의 멤브레인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MEA에는 복수의 단위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은 상기 MEA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각각 상기 슬릿에 대응하는 메인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에서 상기 전극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사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사이드 부재가 삽입되는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메인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에는 외부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는 상기 그루브와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에는 액체연료를 통과시키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는 상기 그루브와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 상에는 공기는 통과시키고 상기 애노드 전극에서 생성된 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공기투과막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는 소수성 부재이며, 상기 제1 및 제2 부재는 다공성 물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물 회수시스템을 구비한 직접액체 연료전지는:
멤브레인의 양면에 서로 대응되는 복수의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이 형 성된 MEA; 및
상기 MEA의 캐소드 전극으로부터의 물을 회수하여 애노드 전극으로 공급하는 물 회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직접액체 연료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물 회수시스템은;
상기 캐소드 전극 상에 배치된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를 지지하는 제1 지지플레이트;
상기 애노드 전극 상에 배치된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지지하는 제2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상기 MEA의 멤브레인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직접액체연료전지의 물 회스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직접액체 연료전지의 물 회수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멤브레인(110)의 양면에 애노드 전극(120) 및 캐소드 전극(130)이 형성되어 있다. 멤브레인(110), 애노드 전극(120) 및 캐소드 전극(130)은 멤브레인 전극 어셈블리(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를 형성한다.
MEA의 양측에는 물회수부(140,150)가 설치되어 있다. 캐소드 전극(130)에서 생성된 물은 캐소드측 물회수부(150)로 이동되며, 캐소드측 물회수부(150)는 애노드측 물회수부(140)에 물을 이송한다. 애노드측 물회수부(140)는 애노드 전극(120) 에 물을 공급하며, 이때 물회수부(140)를 바이패스한 연료탱크(160)로부터의 연료와 상기 물이 혼합되어서 애노드 전극(120)으로 공급된다. 외부 공기는 캐소드측 물회수부(150)를 바이패스해서 캐소드 전극(130)으로 공급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회수시스템이 적용되는 직접액체 연료전지의 분리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일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 회수시스템은, MEA의 캐소드 전극(230)으로부터 물을 회수하여 애노드 전극(220)으로 공급한다. MEA에는 복수의 단위셀, 예컨대 12개의 단위셀이 형성되어 있다. 물 회수시스템은, 캐소드 전극(230) 상에 배치된 제1부재(231) 및 상기 제1부재(231)를 지지하는 제1 지지플레이트(236)와, 상기 애노드 전극(220) 상에 배치된 제2부재(221)와 상기 제2부재(221)를 지지하는 제2 지지플레이트(226)를 구비한다. 제1부재(221) 및 제2부재(231)는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부재(231, 221)는 다공성 물질, 예컨대 스폰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236, 226)은 소수성 부재 또는 소수성 처리된 재질일 수 있다. 상기 MEA의 멤브레인(110)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릿(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부재(231)는 상기 슬릿(112)을 통과하면서 상기 제2부재(221)와 접촉된다. 즉, 상기 캐소드 전극(230)에서 생성된 물을 상기 제1부재(231)가 흡수하여 상기 제2부재(221)로 이송한다.
상기 제1부재(231) 및 제2부재(221)는 각각 상기 슬릿(221)에 대응하는 메인 부재(232, 222)와, 상기 메인부재(232, 222)에서 전극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사이드 부재(233, 22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에(236)는 외부공기를 통과시키는 통로, 예컨대 다수의 통기홀(2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가이드(23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가이드(234)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지지플레이트(236)에는 상기 사이드 부재(233)를 고정시키는 그루브(2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226)에는 액체연료를 통과시키는 통로, 예컨대 다수의 홀(2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지지플레이트(226)에는 상기 사이드 부재(223)를 고정시키는 그루브(2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들(227)은 상기 그루브(225)과 연결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료가 물이 흡수된 제2부재(221)와 접촉되지 않는 것이 연료공급면에서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홀들(227)은 상기 그루브들(225)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236) 상에는 공기는 통과시키고 상기 캐소드 전극(230) 상에서 생성된 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공기투과막(260), 예컨대 다공성 PTFE 막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참조번호 270은 연료탱크로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 회수시스템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기투과막(260)을 통과한 공기는 제1 지지플레이트(236)에 형성된 통기홀(237)을 통해서 캐소드 전극(230)으로 공급된다. 캐소드 전극(230)에서 생성된 물 은 제1부재(231)의 사이드 부재(233)에 흡수되어서 제1부재(231)의 메인부재(232)를 통해서 제2부재(221)의 메인부재(222)를 통해서 사이드 부재(223)로 이송되며, 제2 지지플레이트(226)의 홀(227)로 공급되는 액체연료와 혼합되어서 애노드 전극(220)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물 회수시스템은 캐소드 전극(230)에서 생성된 물을 애노드 전극(220) 쪽으로 이송하여 고농도의 액체연료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 회수시스템을 구비한 단위 셀 모듈의 성능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순수한 메탄올 연료를 사용하였으며, 초기부터 5-6시간 소정의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물 회수시스템의 작용으로 순수한 메탄올과 회수된 물이 혼합되어서 애노드 전극으로 공급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직접액체연료전지의 물 회수시스템은 캐소드 전극에서 생성된 물을 직접 애노드 전극으로 이송하여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된 액체연료와 혼합하여 사용하므로, 상기 연료탱크에는 고농도의 액체연료를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전지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MEA의 캐소드 전극으로부터의 물을 회수하여 애노드 전극으로 공급하는 물 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전극 상에 배치된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를 지지하는 제1 지지플레이트;
    상기 애노드 전극 상에 배치된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지지하는 제2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상기 MEA의 멤브레인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액체연료전지의 물 회수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EA에는 복수의 단위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은 상기 MEA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회수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각각 상기 슬릿에 대응하는 메인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에서 상기 전극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사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회수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사이드 부재가 삽입되는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메인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회수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에는 외부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는 상기 그루브와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회수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에는 액체연료를 통과시키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는 상기 그루브와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회수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 상에는 공기는 통과시키고 상기 애노드 전극에서 생성된 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공기투과막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회수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는 소수성 부재이며, 상기 제1 및 제2 부재는 다공성 물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회수시스템.
  9. 멤브레인의 양면에 서로 대응되는 복수의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이 형성된 MEA; 및
    상기 MEA의 캐소드 전극으로부터의 물을 회수하여 애노드 전극으로 공급하는 물 회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직접액체 연료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물 회수시스템은;
    상기 캐소드 전극 상에 배치된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를 지지하는 제1 지지플레이트;
    상기 애노드 전극 상에 배치된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지지하는 제2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상기 MEA의 멤브레인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회수시스템을 구비하는 직접액체 연료전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MEA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셀들은 상기 슬릿의 양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액체 연료전지.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각각 상기 슬릿에 대응하는 메인부재와, 상기 메인부재에서 상기 전극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사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액체 연료전지.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사이드 부재가 삽입되는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메인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액체 연료전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에는 외부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는 상기 그루브와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액체 연료전지.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에는 액체연료를 통과시키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는 상기 그루브와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액체 연료전지.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 상에는 공기는 통과시키고 상기 애노드 전극에서 생성된 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공기투과막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액체 연료전지.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는 소수성 부재이며, 상기 제1 및 제2 부재는 다공성 물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액체 연료전지.
KR1020050098665A 2005-10-19 2005-10-19 물 회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직접액체 연료전지 KR100682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665A KR100682865B1 (ko) 2005-10-19 2005-10-19 물 회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직접액체 연료전지
JP2006241471A JP4658883B2 (ja) 2005-10-19 2006-09-06 水回収システム、及びそれを具備した直接液体燃料電池
US11/515,900 US7923159B2 (en) 2005-10-19 2006-09-06 Water recovery system and direct liquid feed fuel cell having the same
CNB2006100641044A CN100517846C (zh) 2005-10-19 2006-10-19 水回收系统和具有该系统的直接液体供给燃料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665A KR100682865B1 (ko) 2005-10-19 2005-10-19 물 회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직접액체 연료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865B1 true KR100682865B1 (ko) 2007-02-15

Family

ID=3794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665A KR100682865B1 (ko) 2005-10-19 2005-10-19 물 회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직접액체 연료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23159B2 (ko)
JP (1) JP4658883B2 (ko)
KR (1) KR100682865B1 (ko)
CN (1) CN10051784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865B1 (ko) 2005-10-19 2007-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물 회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직접액체 연료전지
JP2008311166A (ja) * 2007-06-18 2008-12-25 Panasonic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CN101919094B (zh) * 2008-01-17 2013-07-24 法商Bic公司 用于电化学池的盖及相关方法
JP2010250961A (ja) * 2009-04-10 2010-11-04 Toshiba Corp 燃料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4711A (en) 1992-04-01 1994-11-15 Kabushiki Kaisha Toshiba Fuel cell
JP3481093B2 (ja) * 1997-09-22 2003-12-22 三洋電機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セルユニット
US6436563B1 (en) 2000-06-13 2002-08-20 Hydrogenics Corporation Water recovery, primarily in the cathode side, of a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JP2002190310A (ja) 2000-12-19 2002-07-05 Sony Corp 電 池
US6686081B2 (en) * 2001-05-15 2004-02-03 Mti Microfuel Cell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pressure driven fuel cell system
US20030003341A1 (en) * 2001-06-29 2003-01-02 Kinkelaar Mark R. Liquid fuel cell reservoir for water and/or fuel management
KR100493153B1 (ko) * 2002-03-20 2005-06-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공기 호흡형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셀팩
JP4085668B2 (ja) * 2002-03-28 2008-05-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燃料電池
FR2842948B1 (fr) * 2002-07-25 2005-04-29 Renault Sa Systeme de traction electr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d'une pile a combustible
WO2004102717A1 (ja) * 2003-05-16 2004-11-25 Gs Yuasa Corporation 液体燃料形燃料電池とその燃料
JP2005100886A (ja) 2003-09-26 2005-04-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への燃料供給方法
KR100528339B1 (ko) * 2003-10-01 2005-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직접액체연료전지 스택
JP3969404B2 (ja) * 2004-06-16 2007-09-05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燃料電池装置
KR100682865B1 (ko) 2005-10-19 2007-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물 회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직접액체 연료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23159B2 (en) 2011-04-12
JP4658883B2 (ja) 2011-03-23
CN100517846C (zh) 2009-07-22
JP2007115667A (ja) 2007-05-10
US20070087251A1 (en) 2007-04-19
CN1983699A (zh)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786B1 (ko) 직접액체 연료전지 스택
US7125620B2 (en) Fuel cell membrane and fuel cell system with integrated gas separation
KR100571821B1 (ko)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및 이를 장착한 휴대용 컴퓨터
KR100682865B1 (ko) 물 회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직접액체 연료전지
JP2006507625A (ja) 一体型の気体透過性膜を備える双極プレート
JP4643393B2 (ja) 燃料電池
US7622213B2 (en) Liquid fuel mixing apparatus and direct liquid feed fuel cell system including the same
JPWO2007046231A1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セル
US8703359B2 (en) Fuel cell and electronic device
KR100708693B1 (ko) 직접액체 연료전지 스택
KR101156530B1 (ko) 직접액체 연료전지
JP4894385B2 (ja) パッシブ型水素製造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パッケージ型燃料電池発電装置
JP4643394B2 (ja) 燃料電池
US20100098985A1 (en) Fuel cel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9231195A (ja) 燃料電池及び電子装置
KR100859457B1 (ko) B화합물을 연료로 하는 연료전지의 스택구조
JP4863099B2 (ja) スタック型燃料電池発電装置
KR20070037209A (ko) 액상의 연료를 사용하는 연료전지
KR100762678B1 (ko)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특성회복장치
US7858254B2 (en) Electrochemical energy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4843906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機器
KR100646951B1 (ko) 평판형 연료전지 시스템
KR20070036500A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스택
Joubert et al. A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for Low-Power Telecommunications Applications
JP2006244852A (ja) 燃料電池及びそれを搭載し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