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717B1 -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717B1
KR100681717B1 KR1020050007527A KR20050007527A KR100681717B1 KR 100681717 B1 KR100681717 B1 KR 100681717B1 KR 1020050007527 A KR1020050007527 A KR 1020050007527A KR 20050007527 A KR20050007527 A KR 20050007527A KR 100681717 B1 KR100681717 B1 KR 10068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slope protection
protection block
vegetation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6653A (ko
Inventor
김종웅
Original Assignee
만경토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경토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경토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717B1/ko
Publication of KR20060086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9Granu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를 채집하고 파쇄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환경의 파괴 및 공기를 절감 가능하며, 폐콘크리트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미분말을 활용하여 2차 폐기물을 대량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은 폐콘크리트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2차 부산물중 골재 체가름 기준에 의한 #4체(4.76mm)를 통과한 미분말, 일반 시멘트, 조기강도발현을 위한 특수시멘트, 강도발현 및 특성유지를 위한 혼화재료를 일정한 중량비율에 따라 혼합된 혼합물과; 상기 혼합물이 채워지며, 일측에 식생백이 부착된 섬유재 용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은 첫째, 폐콘크리트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2차 부산물 중 골재 체가름 기준에 의한 #4 체(4.76mm)를 통과한 미분말,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 조기강도발현을 위한 특수시멘트, 강도발현 및 특성유지를 위한 혼화재료를 일정한 중량비율에 따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일정량의 물을 첨가한 후 식생백이 부착된 형틀에 담는 단계; 상기 형틀에서 소정의 강도와 형상을 발현하는 시점까지 혼합물을 양생하는 단계; 상기 양생된 사면보호블록을 설치현장으로 운반 후 일정한 폭과 높이로 적층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폐콘크리트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2차 부산물중 골재 체가름 기준에 의한 #4 체(4.76mm)를 통과한 미분말, 일반 시멘트, 조기강도발현을 위한 특수시멘트, 강도발현 및 특성유지를 위한 혼화재료를 일정한 중량비율에 따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전면부에 식생대가 부착된 일정한 규격의 섬유재 용기에 담는 단계; 상기 혼합물이 담긴 섬유재 용기를 설치현장으로 운반 후, 상기 섬유재 용기 내 혼합물에 수분을 주입하여 수화반응을 일으켜 일정한 형상의 사면보호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사면보호블록을 설치현장에서 소정의 폭 및 높이로 적층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은 재료의 확보면에서 석산이나 하천에서의 채집이 아닌 폐콘크리트 재생과정의 부산물을 활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이며 재활용을 통하여 2차적인 경제적인 가치를 갖는 장점이 있다.
재생골재, 미분말, 사면보호블록, 식생백, 시공방법

Description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Th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of having used the slope protection block and this to which vegetation bag adhered}
도 1은 종래의 석축용 석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석축용 석재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을 도시한 예시도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을 도시한 예시도 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콘크리트기초 2: 석재
3: 사면보호블록 10: 혼합물
20: 섬유재 용기 22: 식생대
M: 사면보호블록 S: 구조물
본 발명은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콘크리트를 재생골재로 파쇄하는 공정중 발생하는 미분말을 활용하여 호안의 수해복구공사, 옹벽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사면보호블록 또는 석축은 석산이나 하천 등에서 채취한 석재를 소정의 크기로 작게 분할하거나 파쇄시켜 사용하였으며, 천연골재의 고갈 및 이로 인한 원자재(석축재료, 골재)의 원가상승 등으로 그 공급은 나날이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사면보호블록 또는 석축과 이를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시설물 하부에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굴착공정을 거쳐 콘크리트기초(1)를 시공하고, 석산이나 하천 등지에서 채취한 석재(2)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 및 파쇄시킨 후 이를 소정의 높이까지 적층시켜 사면보호 또는 석축(3)을 시공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공사에 있어서 대부분의 사면보호블록 또는 석축(3)은 원재료인 석재(2)의 채집과 파쇄 등으로 인하여 환경이 파괴되며, 또한, 마감면에는 식생이 어려워 최근 추구하고 있는 환경 친화적인 시설물을 형성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석재를 채집하고 파쇄하는 공정을 생략하여 환경의 파괴 및 공기를 절감 가능하며, 폐콘크리트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미분말을 활용하여 2차 폐기물을 대량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은 폐콘크리트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2차 부산물 중 골재 체가름 기준에 의한 #4 체(4.76mm)를 통과한 미분말, 일반 시멘트, 조기강도발현을 위한 특수시멘트, 강도발현 및 특성유지를 위한 혼화재료를 일정한 중량비율에 따라 혼합된 혼합물과; 상기 혼합물이 채워지며, 일측에 식생대가 부착된 섬유재 용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은 폐콘크리트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2차 부산물 중 골재 체가름 기준에 의한 #4 체(4.76mm)를 통과한 미분말,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 조기강도발현을 위한 특수시멘트, 강도발현 및 특성유지를 위한 혼화재료를 일정한 중량비율에 따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일정량의 물을 첨가한 후 일정한 형틀에 담는 단계; 상기 형틀에서 소정의 강도와 형상을 발현하는 시점까지 혼합물을 양생하는 단계; 상기 양생된 사면보호블록을 설치현장으로 운반 후 일정한 폭과 높이로 적층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을 도시한 예시도 1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을 도시한 예시도 2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M)은 폐콘크리트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2차 부산물 중 골재 체가름 기준에 의한 #4 체(4.76mm)를 통과한 미분말, 일반 시멘트, 조기강도발현을 위한 특수시멘트, 강도발현 및 특성유지를 위한 혼화재료를 일정한 중량비율에 따라 혼합된 혼합물(10)과; 상기 혼합물(10)이 채워지며, 일측에 식생대(22)가 부착된 섬유재 용기(2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M)은 혼합물(10)과 섬유재 용기(2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혼합물(10)은 미분말 80%와 일반 시멘트와 특수시멘트 및 혼화재료 20%의 중량비율로 구성된다.
즉, 상기 미분말은 폐콘크리트를 재활용공장에서 재생골재로 파쇄하는 공정중 발생하는 2차 부산물 골재 중 골재 체가름 기준에 의한 #4 체(4.76mm)를 통과한 세골재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일반 시멘트와 특수시멘트 및 혼화재료의 중량배합비는 86∼94% : 3∼7% : 3∼7%의 비율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혼합물(10)은 압축강도가 200-270Kg/cm2, 휨강도가 44-50Kg/cm2, 흡수율은 8-10% 정도의 기대 특성치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섬유재 용기(20)는 전면부에 일정량의 토사와 종자 및 양분이 충전되어 식생이 가능한 식생대(22)를 갖는 일정한 규격의 폴리에틸렌 또는 동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자루이다.
이와 같은 식생대(22)는 기후에 따라 종자가 발아하여 법면을 녹화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M)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시공예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1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은 폐콘크리트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2차 부산물 중 골재 체가름 기준에 의한 #4 체(4.76mm)를 통과한 미분말,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 조기강도발현을 위한 특수시멘트, 강도발현 및 특성유지를 위한 혼화재료를 일정한 중량비율에 따라 혼합하여 혼합물(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10)에 일정량의 물을 첨가한 후 일정한 형틀에 담는 단계; 상기 형틀에서 소정의 강도와 형상을 발현하는 시점까지 혼합물(10)을 양생하는 단계; 상기 양생된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M)을 설치현장으로 운반 후 일정한 폭과 높이로 적층시켜 구조물(S)을 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은 재생골재 미분말과 일반 시멘트, 특수시멘트, 혼화재료 등을 혼합하는 단계와 이를 물과 혼합하여 규격에 맞게 제작한 형틀에 담는 단계; 이를 소정의 강도와 형상을 발현하는 시점까지 양생하는 단계와; 설치할 현장으로 이동하여 적층시켜 구조물(S)을 시공하는 것이다.
[시공예 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2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은 폐콘크리트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2차 부산물중 골재 체가름 기준에 의한 #4 체(4.76mm)를 통과한 미분말, 일반 시멘트, 조기강도발현을 위한 특수시멘트, 강도발현 및 특성유지를 위한 혼화재료를 일정한 중량비율에 따라 혼합하여 혼합물(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10)을 전면부에 식생대(22)가 부착된 일정한 규격의 섬유재 용기(20)에 담는 단계;
상기 혼합물(10)이 담긴 섬유재 용기(20)를 설치현장으로 운반 후, 상기 섬유재 용기(20) 내 혼합물(10)에 수분을 주입하여 수화반응을 일으켜 일정한 형상의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을(M)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M)을 설치현장에서 소정의 폭 및 높이로 적층시켜 구조물(S)을 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은 수분을 완전히 배제한 재생골재 미분말과 일반 시멘트, 특수시멘트, 혼화재료 등을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된 재료들을 전면부에 식생이 가능한 식생대(22)를 갖는 일정규격의 섬유재 용기(20)에 담는 단계와; 이를 설치할 현장으로 운반하여 수분을 주입, 수화반응을 일으키도록 하는 단계와; 이를 쌓아올려 구조물(S)을 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시공 예 1, 2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은 현장상황에 따라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M)에 수분을 첨가한 후 즉시 설치하거나, 수분을 첨가하여 소정의 형틀을 통하여 고형화한 후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M)을 설치한다.
또한, 시공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M)은 현장상황 및 기후에 따라 수일이 지난 후 완전히 고형화되어 그 기능을 발휘하며, 식생대(22)에 충전된 종자는 기후에 의하여 발아되어, 법면을 녹화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M)을 현장여건에 따라 선양생 또는 후양생 조건의 재료를 선정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수해 복구공사 등의 긴급공사에 즉각 활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재료의 확보면에서 석산이나 하천에서의 채집이 아닌 폐콘크리트 재생과정의 부산물을 활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이며 재활용을 통하여 2차적인 경제적인 가치를 갖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모두 공장제품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재료의 질이 균질 할 뿐만 아니라 품질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마감면에서 자연적으로 식생되어 매우 환경 친화적이며, 자연적인 하천구조물 또는 석축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폐기물을 재활용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채집 및 파쇄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폐콘크리트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2차 부산물중 골재 체가름 기준에 의한 #4 체(4.76mm)를 통과한 미분말, 일반 시멘트, 조기강도발현을 위한 특수시멘트, 강도발현 및 특성유지를 위한 혼화재료를 일정한 중량비율에 따라 혼합된 혼합물(10)과; 상기 혼합물(10)이 채워지며, 일측에 식생대(22)가 부착된 섬유재 용기(20)로 구성되며, 상기 식생대(22)에는 일정량의 토사와 종자 및 식생양분이 충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
  2. 삭제
  3. 삭제
  4. 폐콘크리트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2차 부산물 중 골재 체가름 기준에 의한 #4 체(4.76mm)를 통과한 미분말, 일반 시멘트, 조기강도발현을 위한 특수시멘트, 강도발현 및 특성유지를 위한 혼화재료를 일정한 중량비율에 따라 혼합하여 혼합물(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10)을 전면부에 식생대(22)가 부착된 일정한 규격의 섬유재 용기(20)에 담는 단계; 상기 혼합물(10)이 담긴 섬유재 용기(20)를 설치현장으로 운반 후, 상기 섬유재 용기(20) 내 혼합물(10)에 수분을 주입하여 수화반응을 일으켜 일정한 형상의 사면보호블록(M)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사면보호블록(M)을 설치현장에서 소정의 폭 및 높이로 적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생대(22)에는 일정량의 토사와 종자 및 식생양분을 충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5. 삭제
KR1020050007527A 2005-01-27 2005-01-27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시공방법 KR10068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527A KR100681717B1 (ko) 2005-01-27 2005-01-27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527A KR100681717B1 (ko) 2005-01-27 2005-01-27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653A KR20060086653A (ko) 2006-08-01
KR100681717B1 true KR100681717B1 (ko) 2007-02-15

Family

ID=3717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527A KR100681717B1 (ko) 2005-01-27 2005-01-27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7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257A (ko) * 2002-06-27 2002-07-25 박승범 재생골재와 시멘트 표면처리 입상비료를 이용한 식생용포러스콘크리트의 제조방법
JP2003176537A (ja) * 2001-12-11 2003-06-24 Fujimi Ryokka Kk 緑化工法及び緑化構造
KR200333396Y1 (ko) * 2003-07-16 2003-11-15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식생 호안용 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6537A (ja) * 2001-12-11 2003-06-24 Fujimi Ryokka Kk 緑化工法及び緑化構造
KR20020062257A (ko) * 2002-06-27 2002-07-25 박승범 재생골재와 시멘트 표면처리 입상비료를 이용한 식생용포러스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200333396Y1 (ko) * 2003-07-16 2003-11-15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식생 호안용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653A (ko)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60280A (ja) 建築材料
US20120000654A1 (en) Method for stabilization of mine voids using waste material and a binding agent
KR100939237B1 (ko) 투수성 노면 포장재와 이를 이용한 노면 포장방법
KR100900779B1 (ko) 매립 석탄회와 현장 발생토를 이용한 인공성토재 제조 방법
KR100872860B1 (ko) 플렉스 로드 자연토 포장재 및 그 포장방법
CN105110669A (zh) 一种综合利用石材废料的方法
CN104556766A (zh) 利用再生混凝土的建筑基础垫层施工方法
CN106542769A (zh) 一种铺设透水路面的复合材料
KR101402856B1 (ko) 폐비닐과 폐목재를 결합한 인공경량골재 제조 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한 인공경량골재와 이를 이용한 보도 및 그 포장 방법
Habib et al. Concrete production using recycled waste plastic as aggregate
KR101197124B1 (ko) 친환경 복합 사면 안정화공법
KR970021514A (ko)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및 보도블록 제조 방법
CN205999746U (zh) 一种透水型塑胶跑道
KR100681717B1 (ko) 식생백이 부착된 사면보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시공방법
KR100312457B1 (ko) 연약지반 개선용 고화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Xin et al. Potential of using cemented soil-tire chips mixture as construction fill: a laboratory study
KR101263189B1 (ko) 우드 칩을 이용한 보도 및 그 포장 방법
JP4030574B1 (ja) 土系舗装材
Huang et al. Expansive Soil Embankment Filling and Cutting Treatment Technology: A Systematic Review
Ekhuemelo et al. Evaluation of lime treated mixed sawdust as fractional replacement for sand in the production of sandcrete hollow blocks
EP1552067A1 (de) Baumaterial zur errichtung oder sanierung von bauwerken, insbesondere deichen, sowie anwendun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764645B2 (ja) 建設残土の有効利用法
JP3875962B2 (ja) 人工粒状物と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とを用いた護岸又は擁壁
JP6654772B1 (ja) 流動化処理土斜面保護構造物
CZ37420U1 (cs) Stavební materiál, zejména do násypů a aktivních zón vozove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