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030B1 - 감마전압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감마전압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030B1
KR100681030B1 KR1020040007258A KR20040007258A KR100681030B1 KR 100681030 B1 KR100681030 B1 KR 100681030B1 KR 1020040007258 A KR1020040007258 A KR 1020040007258A KR 20040007258 A KR20040007258 A KR 20040007258A KR 100681030 B1 KR100681030 B1 KR 100681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ma voltage
gamma
voltage generator
cells
volt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112A (ko
Inventor
하원규
김학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7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030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07Clothes hoo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7G25/30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to prevent slipping-off of the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7G25/36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e.g. paper, board, plastics, glass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수를 줄여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한 감마전압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감마전압 생성장치는 서로 다른 휘도모드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와; 상기 휘도모드들 각각에서 저계조의 적색, 녹색 및 청색 감마전압을 동일한 전압으로 발생하기 위한 제1 감마전압 생성부와; 상기 저계조 이외의 계조에서 상기 휘도모드에 따라 적, 녹 및 청색 감마전압을 서로 다른 전압으로 발생하기 위한 제2 감마전압 생성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감마전압 생성 장치{APPARATUS OF GENERATING GAMMA VOLTAGE}
도 1은 통상적인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패널의 구동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모드 선택시 도 2에 도시된 감마전압 생성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제2 모드 선택시 도 2에 도시된 감마전압 생성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마전압 생성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제1 모드 선택시 도 5에 도시된 감마전압 생성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
도 7은 제2 모드 선택시 도 5에 도시된 감마전압 생성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음극 4 : 전자 주입층
6 : 전자 수송층 8 : 발광층
10 : 정공 수송층 12 : 정공 주입층
14 : 양극 20 :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22 : 스캔 드라이버 24 : 데이터 드라이버
26,40 : 감마전압 생성부 28 : EL 셀
32 : 적색 감마전압 생성부 34 : 녹색 감마전압 생성부
36 : 청색 감마전압 생성부 42 : 제1 감마전압 생성부
44 : 제2 감마전압 생성부 46 : 모드 선택부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감마 전압을 생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수를 줄여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한 감마전압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 장치들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 이하, EL이라 함) 표시 장치 등이 있다.
이들 중 EL 표시 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으로 형광체를 발광시키는 자발광 소자로, 그 형광체로 무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무기 EL과 유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유기 EL로 대별된다. 이러한 EL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와 같이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수동형 발광소자에 비하여 응답속도가 음극선관과 같은 수준으로 빠르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EL 표시장치는 저전압 구동, 자기발광, 박막형, 넓은 시야각, 빠른 응답속도, 높은 콘트라스트 등의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표시 장치로 기대되고 있다.
도 1은 EL 표시장치의 발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인 유기 EL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유기 EL은 음극(2)과 양극(14) 사이에 적층된 전자 주입층(4), 전자 수송층(6), 발광층(8), 정공 수송층(10), 정공 주입층(12)을 구비한다.
투명전극인 양극(14)과 금속전극인 음극(2)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음극(2)으로부터 발생된 전자는 전자 주입층(4) 및 전자 수송층(6)을 통해 발광층(8) 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양극(14)으로부터 발생된 정공은 정공 주입층(12) 및 정공 수송층(10)을 통해 발광층(8) 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발광층(8)에서는 전자 수송층(6)과 정공 수송층(10)으로부터 공급되어진 전자와 정공이 충돌하여 재결합함에 의해 빛이 발생하게 되고, 이 빛은 투명전극인 양극(14)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화상이 표시되게 한다. 이러한 EL 유기소자의 발광 휘도는 소자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공급 전류에 비례하므로 양극(14)은 통상 정전류원에 접속된다.
도 2는 일반적인 EL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EL 표시장치는 스캔 전극라인(SL)과 데이터 전극라인(DL)의 교차부마다 배열된 EL 셀들(28)을 포함하는 EL 표시패널(20)과, 스캔 전극라인들(SL)을 구동하기 위한 스캔 드라이버(22)와, 데이터 전극라인들(DL)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24)와, 데이터 드라이버(24)에 기준 감마전압들을 공급하는 감마전압 생성부(26)를 구비한다.
EL 셀들(28) 각각은 음극인 스캔 전극라인(SL)에 스캔펄스가 인가될 때 선택되어 양극인 데이터 전극라인(DL)에 공급되는 화소신호, 즉 전류신호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하게 된다. EL 셀들(28) 각각은 등가적으로 데이터 전극라인(DL)과 스캔 전극라인(SL)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로 표현된다. 이러한 EL셀들(28) 각각은 스캔 전극라인(SL)에 부극성의 스캔펄스가 공급됨과 동시에 데이터 전극라인(DL)에 데이터신호에 따른 정극성의 전류가 인가되어 순방향 전압이 걸리는 경우 발광하게 된다. 이와 달리, 선택되지 않은 스캔라인에 포함되는 EL셀들(28)에는 역방향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발광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여, 발광하는 EL셀들(28)에는 순방향의 전하가 충전되는 반면에 발광하지 않은 EL셀들(28)에는 역방향의 전하가 충전된다.
스캔 드라이버(22)는 다수개의 스캔 전극라인들(SL)에 부극성의 스캔펄스를 라인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24)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감마전압 생성부(26)로부터의 기준 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데이터 드라이버(24)는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스캔 펄스가 공급될 때마다 데이터 라인들(DL)에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EL 표시 장치는 입력 데이터에 비례하는 전류신호를 EL 셀들(28) 각각에 공급하여 그 EL 셀들(28)을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EL 셀들(28)은 칼러 구현을 위하여 적색(이하, R이라 함) 형광체를 갖는 R 셀과, 녹색(이하, G라 함) 형광체를 갖는 G 셀과, 청색(이하, B라 함) 형광체를 갖는 B 셀로 구성된다. 그리고, 3개의 R, G, B 셀들을 조합하여 한 화소에 대한 칼러를 구현하게 된다. 여기서 R, G, B 형광체 각각은 서로 다른 발광 효율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여 R, G, B 셀들에 동일한 레벨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경우 그 R, G, B 셀들의 휘도 레벨은 서로 다르게 된다. 이에 따라 R, G, B 셀들의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위하여 R, G, B 별로 동일 휘도대비 감마전압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 드라이버(24)로 기준 감마 전압들을 공급하는 감마 전압 생성부(26)는 R, G, B 별로 기준 감마 전압을 발생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감마전압 생성부(26)를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감마전압 생성부(26)는 R,G,B 셀별로 기준 감마전압을 각각 공급하기 위하여 R 감마전압 생성부(32), G 감마전압 생성부(34) 및 B 감마전압 생성부(36)를 구비한다.
R 감마전압 생성부(32)는 공급 전압원(VDD)과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분압저항들(r_R1, r_R2, r_R3)을 구비한다. 여기서, 각각의 분압저항들(r_R1, r_R2, r_R3)의 공통단자(n1,n2)로부터의 전압이 기준 감마전압으로써 데이터 드라이버(24)로 입력되게 된다. 이 때, 낮은계조의 R 감마전압(VH_R)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에 의해 생성되고,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2에 의해 생성된다.
Figure 112004004639314-pat00001
Figure 112004004639314-pat00002
G 감마전압 생성부(34) 공급 전압원(VDD)과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분압저항들(r_G1, r_G2, r_G3)을 구비한다. 여기서, 각각의 분압저항들(r_G1, r_G2, r_G3)의 공통단자(n3,n4)로부터의 전압이 감마전압으로써 데이터 드라이버(24)로 입력되게 된다. 이 때, 낮은계조의 G 감마전압(VH_G)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3에 의해 생성되고,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4에 의해 생성된다.
Figure 112004004639314-pat00003
Figure 112004004639314-pat00004
B 감마전압 생성부(36)는 공급 전압원(VDD)과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분압저항들(r_B1, r_B2, r_B3)을 구비한다. 여기서, 각각의 분압저항들(r_B1, r_B2, r_B3)의 공통단자(n5,n6)로부터의 전압이 감마전압으로써 데이터 드라이버(24)로 입력되게 된다. 이 때, 낮은계조의 B 감마전압(VH_B)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5에 의해 생성되고,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6에 의해 생성된다.
Figure 112004004639314-pat00005
Figure 112004004639314-pat00006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EL 표시장치는 휘도가 다양한 환경에 대응하여 변화되도록 추가적으로 도 4와 같이 모드별 감마전압 생성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모드별 감마전압 생성부에 포함되는 저항들은 밤, 낮, 외부, 내부 등의 환경(빛)에 대응되는 휘도가 생성될 수 있도록 그 저항값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제2 모드 감마전압 생성부(26)의 R 감마전압 생성부(32)는 공급 전압원(VDD)과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분압저항들(r_R4, r_R5, r_R6)을 구비한다. 여기서, 분압저항들(r_R4, r_R5, r_R6)의 저항값은 도 3의 R 감마전압 생성부(32)에 포함된 분압저항들(r_R1, r_R2, r_R3)의 저항값과 상이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제2 모드 감마전압 생성부(26)로부터 생성된 감마전압값은 도 3에 도시된 R감마전압 생성부(32)에서 생성된 감마전압값과 상이하게 설정되고, 이 감마전압값을 환경에 대응되어 EL 표시장치로 공급함으로써 EL 표시장치에서 외부 환경에 대응되는 최적의 휘도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2 모드 감마전압 생성부(26)의 G 감마전압 생성부(34) 및 B 감마전압 생성부(36)도 R 감마전압 생성부(32)와 동일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각각의 모드에 대응되는 감마 전압 생성부는 R 셀에 공급되는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 및 낮은계조의 R 감마전압(VH_R), G 셀에 공급되는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 및 낮은계조의 G 감마전압(VH_G) 및 B 셀에 공급되는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 및 낮은계조의 B 감마전압(VH_B)을 생성해야 한다. 즉, R 셀, G 셀 및 B 셀 각각에 공급되는 높은계조의 감마전압들(VL_R,VL_G,VL_B) 및 낮은계조의 감마전압(VH_R,VH_G,VH_B)들을 모두 생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감마 전압 생성부(26)의 R, G 및 B 감마전압 생성부들(32,34,36)은 각각 직렬접속된 3개의 저항들 사이에서 높은계조 감마전압들(VL_R,VL_G,VL_B) 및 낮은계조 감마전압들(VH_R,VH_G,VH_B)을 생성하므로 모드별 총 9개의 저항이 설치된다. 이 때, 2개의 모드가 사용될 경우 종래의 감마 전압 생성부(26)는 총 18개의 저항이 설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모듈상에서 차지하는 부품수가 많아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를 줄여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한 감마전압 생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마전압 생성장치는 서로 다른 휘도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와; 상기 휘도모드들 각각에서 저계조의 적색, 녹색 및 청색 감마전압을 동일한 전압으로 발생하기 위한 제1 감마전압 생성부와; 상기 저계조 이외의 계조에서 상기 휘도모드에 따라 적, 녹 및 청색 감마전압을 서로 다른 전압으로 발생하기 위한 제2 감마전압 생성부를 구비한다.
상기 감마전압 생성장치에서 상기 제1 감마전압 생성부는 공급전압원과 상기 제2 감마전압 생성부 사이에 접속된 고정저항을 구비한다.
상기 감마전압 생성장치에서 상기 제2 감마전압 생성부는 상기 고정저항과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변저항과 다수의 고정저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마전압 생성장치에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제1 감마전압 생성부의 고정저항과 상기 제2 감마전압 생성부 사이의 제1 노드에 접속된 저항과, 상기 저항과 상기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모드 제어신 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항과 상기 기저전압원 사이의 전류패스를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감마전압 생성장치에서 상기 저계조의 적색, 녹색 및 청색 감마전압은 상기 제1 노드에서 분압된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마전압 생성장치에서 상기 휘도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으로 발생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감마전압은 상기 가변저항과 그와 이웃하는 상기 제2 감마전압 생성부의 고정저항 사이의 노드에서 분압된 전압과 상기 제2 감마전압 생성부의 이웃하는 고정저항들 사이에서 분압된 전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감마전압 생성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감마전압 생성장치(40)는 G셀, R셀 및 B셀에 동일 감마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1 감마전압 생성부(42)와; G셀, R셀 및 B셀에 서로 상이한 감마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2 감마전압 생성부(44)와; 외부 환경에 대응되도록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46)를 구비한다.
제1 감마전압 생성부(42)는 낮은계조(Black)를 표현하기 위한 감마전압을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제1 감마전압 생성부(42)는 공급 전압원(VDD)과 제2 감마전압 생성부(44) 및 모드 선택부(46) 사이에 접속된 제1 저항소자(R1)을 구비한다. 이 때, 제 1 저항소자(R1)는 고정저항 또는 가변저항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감마전압 생성부(42)에 의해 G셀, R셀 및 B셀에 동일하게 낮은계조의 감마전압(VH_RGB)이 공급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낮은계조 즉, 블랙(Black)을 표현하는 경우(R, G 및 B 셀의 계조가 합쳐져 블랙이 표현된다.) G셀, R셀 및 B셀 각각에 동일한 낮은계조의 감마전압(VH_RGB)을 공급하여도 휘도 차이가 크게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저항소자(R1)와 제2 감마전압 생성부(44) 및 모드 선택부(46) 사이의 공통단자(n1)에서 출력되는 낮은계조의 감마전압(VH_RGB)을 G셀, R셀 및 B셀 각각에 동일하게 공급하여 낮은계조를 표현한다.
제2 감마전압 생성부(44)는 높은계조(White)를 표현하기 위한 감마전압을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제2 감마전압 생성부(44)는 제1 감마전압 생성부(42)와 기저 전압원(GND) 사이에 직렬접속된 가변저항소자(VR)와 제2 및 제3 저항소자들(R2,R3)을 구비한다. 이 때, 제2 및 제3 저항소자들(R2,R3)은 고정저항 또는 가변저항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감마전압 생성부(42)에 의해 G셀, R셀 및 B셀에 서로 상이한 전압값을 갖는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 및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들이 각각 공급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높은계조 즉, 화이트(White)를 표현하는 경우(R, G 및 B 셀의 계조가 합쳐져 화이트가 표현된다.) G셀, R셀 및 B셀 각각의 발광 효율에 대응되어 휘도 차이가 발생하므로 화이트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G셀, R셀 및 B셀 각각에 공급되는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 및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의 비율이 달라져야 한다. 이 때, G셀의 발광 효율이 가장 높고, R셀 및 B셀 순으로 발광효율을 갖는다. 따라서, 화이트를 표현하는 경우 서로 상이한 전압값을 갖도록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 및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 각각의 저항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저항을 고려하여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은 가변저항소자(VR)에서 출력되어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드라이버에 공급된다.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은 가변저항소자(VR) 및 제2 감마저항소자(R2)의 공통단자(n2)에서 출력되어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드라이버에 공급된다.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은 제2 및 제3 저항소자(R2,R3)의 공통단자(n3)에서 출력되어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드라이버에 공급된다. 즉, G셀, R셀 및 B셀 각각에 서로 상이한 전압값을 갖는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 및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을 공급하여 G셀, R셀 및 B셀 각각의 높은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G셀, R셀 및 B셀 각각에 서로 상이한 전압값을 갖는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 및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은 화이트 밸런스가 맞도록 설정된다.
모드 선택부(46)는 밤, 낮, 외부, 내부 등의 환경(빛)에 대응되는 휘도가 생성될 수 있도록 모드를 선택한다. 이를 위해서, 모드 선택부(46)는 제1 노드(n1)와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4 저항소자(R4)와 스위치(S)을 구비한다. 이 때, 제4 저항소자(R4)는 고정저항 또는 가변저항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마전압 생성장치는 모드 선택부(46)에 의해 제1 및 제2 모드(Mode1,Mode2)을 선택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먼저 모드 선택부(46)에 포함된 스위치(S)가 오프되면 감마전압 생성장치(40)는 제1 모드(Mode1)을 선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감마전압 생성장치(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이 때, 제1 모드(Mode1)에서 낮은계조를 표현하기 위해 G셀, R셀 및 B셀 각각에 동일하게 공급되는 낮은계조의 감마전압(VH_RGB1)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7에 의해 생성된다.
Figure 112004004639314-pat00007
그리고, 제1 모드(Mode1)에서 G셀, R셀 및 B셀 각각에 서로 상이한 전압값을 갖는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1),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1) 및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1)을 공급하기 위해 수학식 8과 같이 높은계조의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1), R 감마전압(VL_R1) 및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1)의 비율을 달리한다.
Figure 112004004639314-pat00008
Figure 112004004639314-pat00009
Figure 112004004639314-pat00010
여기서,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1)은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1)보다 높게 설정되고,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1)은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1)보다 높게 설정된다.
한편, 모드 선택부(46)에 포함된 스위치(S)가 온되면 감마전압 생성장치(40)는 제2 모드(Mode2)을 선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감마전압 생성장치(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이 때, 제2 모드(Mode2)에서 낮은계조를 표현하기 위해 G셀, R셀 및 B셀 각각에 동일하게 공급되는 낮은계조의 감마전압(VH_RGB2)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9에 의해 생성된다.
Figure 112004004639314-pat00011
그리고, 제2 모드(Mode2)에서 G셀, R셀 및 B셀 각각에 서로 상이한 전압값을 갖는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2),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2) 및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2)을 공급하기 위해 수학식 10과 같이 높은계조의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2), R 감마전압(VL_R2) 및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2)의 비율을 달리한다.
Figure 112004004639314-pat00012
Figure 112004004639314-pat00013
Figure 112004004639314-pat00014
여기서,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2)은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2)보다 높게 설정되고,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2)은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2)보다 높게 설정된다.
한편, G셀, R셀 및 B셀의 유기발광물질의 특성에 따라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 및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 각각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가변저항소자(VR)에서는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 및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노드(n2)에서는 가변저항소자(VR)에서 출력된 감마전압을 제외한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 및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3 노드(n3)에서는 가변저항소자(VR) 및 제2 노드(VR,n2)에서 출력된 감마전압을 제외한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 및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감마전압 생성장치(40)는 제1 감마전압 생성부(42)에 의해 G셀, R셀 및 B셀 각각에 동일하게 공급되는 낮은계조 감마전압(VH_RGB)이 생성된다. 그리고, 제2 감마전압 생성부(44)에 의해 G셀, R셀 및 B셀 각각에 서로 상이한 전압값을 갖는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 및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들이 생성된다. 이 때, 제1 감마전압 생성부(42)에 의해 생성되는 낮은계조 감마전압(VH_RGB)과 제2 감마전압 생성부(44)에 생성되는 높은계조의 G 감마전압(VL_G), 높은계조의 R 감마전압(VL_R) 및 높은계조의 B 감마전압(VL_B)들은 하나의 감마전압 생성장치에서 모드별로 서로 다른 값을 갖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감마전압들을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드라이버로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는 다수의 감마전압 중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스캔신호에 동기되도록 데이터라인(DL)으로 공급함으로써 EL 패널에서 소정의 화상이 표시된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감마전압 생성장치(40)는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감마전압 생성부에 비하여 저항소자들이 줄어들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 배치가 단순해져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마전압 생성 장치는, 제 1 및 제 2 감마전압 생성부에서 발생되는 감마전압을 제 2 감마전압 생성부와 병렬로 접속된 모드 선택부를 통해 조절함으로써, 감마전압 생성에 이용되는 저항소자를 최소화시켜 계조표현을 하고, 이로 인해 EL모듈의 축소가 가능해져 구조가 간단해 진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1. 서로 다른 휘도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와;
    상기 서로 다른 휘도모드들 각각에서 저계조의 적색, 녹색 및 청색 감마전압을 동일한 전압으로 발생하기 위한 제1 감마전압 생성부와;
    상기 제1 감마전압 생성부와 직렬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모드 선택부와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저계조 이외의 계조에서 상기 모드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휘도모드에 따라 적, 녹 및 청색 감마전압을 서로 다른 전압으로 발생하기 위한 제2 감마전압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전압 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마전압 생성부는,
    공급전압원과 상기 제2 감마전압 생성부 사이에 접속된 고정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전압 생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마전압 생성부는,
    상기 고정저항과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변저항과 다수의 고정저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전압 생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제1 감마전압 생성부의 고정저항과 상기 제2 감마전압 생성부 사이의 제1 노드에 접속된 저항과,
    상기 저항과 상기 기저전압원 사이에 접속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모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저항과 상기 기저전압원 사이의 전류패스를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전압 생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계조의 적색, 녹색 및 청색 감마전압은,
    상기 제1 노드에서 분압된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전압 생성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으로 발생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감마전압은,
    상기 가변저항과 그와 이웃하는 상기 제2 감마전압 생성부의 고정저항 사이의 노드에서 분압된 전압과 상기 제2 감마전압 생성부의 이웃하는 고정저항들 사이에서 분압된 전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전압 생성장치.
KR1020040007258A 2004-02-04 2004-02-04 감마전압 생성 장치 KR100681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258A KR100681030B1 (ko) 2004-02-04 2004-02-04 감마전압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258A KR100681030B1 (ko) 2004-02-04 2004-02-04 감마전압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112A KR20050079112A (ko) 2005-08-09
KR100681030B1 true KR100681030B1 (ko) 2007-02-09

Family

ID=3726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258A KR100681030B1 (ko) 2004-02-04 2004-02-04 감마전압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3499A (zh) * 2019-07-18 2019-11-1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用于显示面板的伽马电压调试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564B1 (ko) * 2006-06-29 2012-08-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감마전압 공급 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3499A (zh) * 2019-07-18 2019-11-19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用于显示面板的伽马电压调试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473499B (zh) * 2019-07-18 2023-11-2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用于显示面板的伽马电压调试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112A (ko) 2005-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303B1 (ko) 감마 전압 생성 장치 및 방법
US20080204384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OELD) and driving methods thereof
KR100707640B1 (ko) 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5065575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US11282432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4279741B2 (ja) ガンマ電圧の発生装置
KR100568593B1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80072441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07316596A (ja) チャージポンプ型表示駆動装置
KR100681030B1 (ko) 감마전압 생성 장치
KR100568590B1 (ko) 감마전압 생성 장치
KR100602063B1 (ko) 감마전압 생성 장치
KR100520826B1 (ko) 감마전압 생성장치
KR100602064B1 (ko) 감마전압 생성 장치
KR100602067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KR100602068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KR100681031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KR100546256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509759B1 (ko) 감마전압 생성장치 및 방법
KR100681029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KR100609747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패널의 데이터 구동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