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653B1 -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653B1
KR100680653B1 KR1020050088663A KR20050088663A KR100680653B1 KR 100680653 B1 KR100680653 B1 KR 100680653B1 KR 1020050088663 A KR1020050088663 A KR 1020050088663A KR 20050088663 A KR20050088663 A KR 20050088663A KR 100680653 B1 KR100680653 B1 KR 100680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lishing
water tank
pump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배
Original Assignee
이종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배 filed Critical 이종배
Priority to KR1020050088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12Devices for exhausting mist of oil or coolant; Devices for collecting or recovering materials resulting from grinding or polishing, e.g. of precious metals, precious stones, diamon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2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 B24B55/03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designed as a complete equipment for feeding or clarifying coolant

Abstract

렌즈 연마수를 순환시키면서 재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재생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는, 연마기로 공급될 연마수가 저장되는 물탱크와, 물탱크에 저장된 연마수를 공급라인을 통해 연마기로 송출하는 제1펌프와, 연마기에서 회수된 연마수를 여과처리하여 물탱크로 리턴시키는 필터유닛과, 연마기의 연마수를 회수라인을 통해 필터유닛으로 송출하는 제2펌프 및, 회수라인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압력이 소정치 이상 감지될 경우 제1,2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압력제어유닛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는, 연마수를 순환루트를 통해 순환시키면서 재사용하기 때문에 하수구를 통한 오폐수의 방류가 사라지게 되어 환경적인 문제를 전혀 일으키지 않으며, 연마수의 소비가 대폭 줄어들게 되므로, 절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안경, 렌즈, 연마수, 재생

Description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A recycling apparatus for lens polishing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의 가동에 따른 연마수의 순환루트를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에 있어서 여과부재를 교환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110,120...제1,2펌프
130...물탱크 131...투명창
132...충전포트 133...배출포트
140...공급라인 150...회수라인
161...케이스 162...여과부재
171...압력게이지 172...제어기
본 발명은 렌즈를 연마하는데 사용된 연마수를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재생 시켜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마기와 순환루트를 통해 연결되어 연속 재생이 가능하게 만들어진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 등에 사용되는 렌즈는 예컨대 안경테와 같이 그것이 장착될 틀에 맞는 모양으로 절단된 후 연마기로 표면을 미려하게 연마하는 마감과정을 거쳐 제작된다. 대개 렌즈의 재료는 유리나 플라스틱이 주종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연마 시 미세한 입자가 분말처럼 분쇄되며 나오게 되며 가공열도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가공열을 식혀주기 위해 연마 시에는 연마수를 뿌려주게 된다. 따라서, 연마기에 공급되었던 연마수를 회수해보면 그 안에 연마 중 분쇄되어 나온 렌즈 재료의 미세한 분말입자가 섞여 있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것을 그대로 하수구로 흘려보내거나, 일정 장소에 임시 저장했다가 폐기하는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마수에 섞인 분말입자는 진흙처럼 뭉쳐지기 때문에 하수구로 그냥 흘려버릴 경우 하수구가 점차 막힐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수질 오염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최근에는 환경에 대한 규제 방침이 날로 강화되는 추세이므로, 이와 같이 사용된 연마수를 그대로 방류하는 것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연마수를 한 번만 사용하고 폐기하는 것은 경제적으로도 큰 부담이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조속한 대응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된 연마수를 재생시켜서 연마기에 순환 공급함으로써 오폐수의 방류를 억제하고, 절수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발명된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마기로의 공급과 회수를 모두 펌프로 강제 순환시키면서 유체 이동의 밸런스를 맞춤으로써, 연마수를 보충하지 않고도 장기간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전을 할 수 있도록 발명된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력게이지를 이용하여 압력의 증가를 계속 측정하고 조치함으로써 만일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는, 연마기로 공급될 연마수가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연마수를 소정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연마기로 송출하는 제1펌프; 상기 연마기에서 회수된 연마수를 여과처리하여 상기 물탱크로 리턴시키는 필터유닛; 상기 연마기의 연마수를 소정 회수라인을 통해 상기 필터유닛으로 송출하는 제2펌프; 및, 상기 회수라인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압력이 소정치 이상 감지될 경우 제1,2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압력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물탱크와 연통된 케이스와, 그 케이스 안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여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력제어유닛은, 상기 회수라인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와, 그 압력게이지로부터 측정신호를 받아서 상기 제1,2펌프에 대한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어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에는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도록 투명창과, 새로운 연마수를 보충하기 위한 충전포트 및, 일부를 드레인시키기 위한 배출포트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100)는, 연마수의 공급라인(140)과 회수라인(150)을 통해 연마작업이 진행되는 연마기(200)와 순환루트를 형성하고 있다. 즉, 기존처럼 한번 사용된 연마수가 그대로 하수구로 방류되거나 폐기처로 보내지는 것이 아니라, 순환루트를 통해 연마기(200)와 재생장치(100) 사 이를 순환하면서 재사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우선, 연마수는 물탱크(130) 안에 저장된다. 이 물탱크(130)에는 내부를 육안으로 들여다볼 수 있도록 투명창(131)이 마련되어 있고, 새로운 연마수를 보충하거나 오래된 연마수를 일부 드레인시킬 때 사용하기 위한 충전포트(132)와 배출포트(133)도 각각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투명창(131)을 통해 내부 상황을 살펴서, 연마수의 오염이 너무 심하다고 판단될 경우, 연마수 일부를 배출포트(133)를 통해 드레인시키고, 충전포트(132)를 통해 새로운 연마수를 보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탱크(130) 속의 연마수는 제1펌프(110)의 가동에 따라 공급라인(140)을 타고 연마기(200)로 송출된다. 즉, 제1펌프(110)가 가동되면 물탱크(130)에 저장된 연마수가 공급라인(140)을 타고 퍼올려져서 연마기(200)의 해당 가공위치에 분사되는 것이다. 물론, 제1펌프(110)가 연마수를 퍼올릴 때는 연마작업이 진행될 때이다.
그리고, 연마기(200)에서 윤활과 냉각 기능을 수행한 연마수는 제2펌프(120)의 가동에 의해 회수라인(150)을 타고 필터유닛(160)으로 돌아오게 된다. 즉, 상기 제1펌프(110)가 공급용 펌프라면, 제2펌프(120)는 연마수 회수용 펌프가 된다.
이 제2펌프(120)에 의해 회수된 연마수가 들어가는 필터유닛(160)은, 물탱크(130)와 연통된 케이스(161) 및, 그 안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여과부재(162)를 구비하고 있다. 즉, 회수라인(150)을 통해 케이스(161) 안으로 들어온 연마수가 여과부재(162)의 중공(162a) 속으로 들어오게 되고, 여과부재(162)의 몸체를 통과하 면서 그 안에 함유된 분말입자들이 걸러지게 되며, 물탱크(130)와의 연통홀(161a)을 통해서 물탱크(130)로 리턴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참조부호 171은 회수라인(15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72는 그 측정신호를 받아서 필요 시 제1,2펌프(110)(120)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제어기를 나타낸다. 이것은 혹시 여과부재(162)가 막히거나 하여 회수라인(150)의 압력이 급증하면서 폭발 등의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압력제어수단(170)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연마기(200)에서 렌즈(1)를 연마할 때에는 연마수가 공급라인(140)과 회수라인(150)을 통해 계속 순환하도록 제1,2모터(110)(120)를 작동시킨다. 물론, 이러한 스위칭 조작은, 연마기(200)와 제1,2모터(110)(120)용 작동 스위치가 모두 개별적으로 독립된 구성된 경우라면 각각을 사용자가 켜야 하고, 연마기(200)와 제1,2모터(110)(120)가 동시에 켜지도록 회로적으로 연결된 경우라면 그 연결된 한 스위치만 켜면 된다. 스위치 회로는 사용자가 쓰기 편리한 데로 적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제1,2모터(110)(120)가 작동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30) 안의 연마수는 공급라인(140)을 타고 연마기(200) 안으로 분사되어 윤활과 냉각 작용을 하게 되고, 사용 후의 연마수는 연마 중에 나온 분진입자를 함유한 채로 회수라인(150)을 타고 필터유닛(160)으로 들아가게 된다.
이때, 필터유닛(160)의 케이스(161) 안으로 들어온 연마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부재(162)를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함유하고 있던 분진입자들이 걸러 지게 된다. 그리고, 분진입자들이 걸러진 정화된 연마수는 연통홀(161a)을 통해 물탱크(130)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물탱크(130) 안에는 항상 깨끗한 상태의 연마수가 저장되며, 그 깨끗한 연마수가 공급라인(140)을 통해 연마기(200)로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연마기(200)에서 필터유닛(160)으로 들어오는 연마수의 회수라인(150)을 자유낙하 방식으로 하지 않고 굳이 제2펌프(120)의 압력을 이용하는 것은, 항상 일정한 양의 연마수를 순환시키기 위해서이다. 만일, 물탱크(130)에서 연마기(200)로 가는 것은 펌프의 힘으로 퍼올리고, 리턴되는 것은 자유낙하를 이용하게 되면, 양측의 유체 이동량에 밸런스가 맞지 않게 된다. 그러면, 물탱크(130)는 계속 수위가 낮아지게 되어 수시로 연마수를 보충해야 하고, 그 현상이 반복되면 순환루트를 도는 전체 연마수의 양이 자꾸 증가하여 여과 부하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막기 위해 회수라인(150) 쪽도 제2펌프(120)의 펌핑력을 이용하여 공급라인(140)과의 유체 이동 밸런스를 맞춰줌으로써, 항상 일정한 양의 연마수가 순환할 수 있게 해준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력게이지(171)는 이러한 연마수의 순환이 진행되는 동안, 회수라인(150)의 내부 압력을 계속 측정한다. 그래서, 혹시 내부 압력이 급증하여 설정치 이상을 넘어가게 되면, 제어기(172)가 압력게이지(171)의 신호를 받아 제1,2펌프(110)(120)를 정지시킴으로써 큰 사고로의 확산을 막아준다. 즉, 여과부재(162)가 장기간 사용에 의해 미세 구멍들이 많이 막히게 되면, 연마수가 제대로 통과하지 못해서 압력이 갑자기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압력의 증가를 감지하여 미리 제1,2펌프(110)(120)의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이다. 만일, 이러한 가동 중지 상황이 발생될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필터유닛(160)의 케이스(161)를 열고 여과부재(162)를 새것으로 교환하면 다시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렌즈의 연마작업에 사용된 연마수를 다시 재생하여 사용함으로써, 환경적, 경제적으로 큰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아무리 필터유닛(160)으로 여과를 해도 시간이 지나면 물탱크(130) 안의 연마수에 분진입자가 많아져서 육안으로 보기에도 탁해질 수 있다. 그때에는 전술한 바대로 배출포트(133)를 통해 연마수 일부를 드레인시키고, 충전포트(132)를 통해 새로운 연마수를 보충해준다. 물론, 드레인시킨 폐연마수는 그대로 방류하지 말고, 소정 장소에 일시 보관했다가 분진입자들이 가라앉으면 위쪽의 액체만 흘려버리고 가라앉은 고형물의 분진입자들은 따로 폐기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연마수를 순환루트를 통해 순환시키면서 재사용하기 때문에 하수구를 통한 오폐수의 방류가 사라지게 되어 환경적인 문제를 전혀 일으키지 않게 된다.
둘째, 순환 사용에 따라 연마수의 소비가 대폭 줄어들게 되므로, 절수 효과도 커진다.
셋째, 공급과 회수를 모두 펌프로 강제 순환시키면서 유체 이동의 밸런스를 맞추기 때문에, 연마수를 보충하지 않고도 장기간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전을 할 수 있으며, 연마수의 자유낙하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를 꼭 연마기 하방에 배치할 필요가 없어져서 설계가 자유로워진다.
넷째, 압력게이지를 이용하여 압력의 증가를 계속 측정하고 조치할 수 있어서 만일의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4)

  1. 연마기로 공급될 연마수가 저장되는 물탱크(130);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연마수를 소정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연마기로 송출하는 제1펌프(110);
    상기 연마기에서 회수된 연마수를 여과처리하여 상기 물탱크로 리턴시키는 필터유닛(160);
    상기 연마기의 연마수를 소정 회수라인을 통해 상기 필터유닛으로 송출하는 제2펌프(120); 및,
    상기 회수라인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여 압력이 소정치 이상 감지될 경우 제1,2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압력제어유닛(170);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어유닛(170)은 상기 회수라인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171)와,그 압력게이지로부터 측정신호를 받아서 상기 제1,2펌프에 대한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어기(17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160)은, 상기 물탱크와 연통된 케이스(161)와, 그 케이스 안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여과부재(1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에는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도록 투명창(131)과, 새로운 연마수를 보충하기 위한 충전포트(132) 및, 일부를 드레인시키기 위한 배출포트(13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KR1020050088663A 2005-09-23 2005-09-23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KR100680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663A KR100680653B1 (ko) 2005-09-23 2005-09-23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663A KR100680653B1 (ko) 2005-09-23 2005-09-23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432U Division KR200402496Y1 (ko) 2005-09-23 2005-09-23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653B1 true KR100680653B1 (ko) 2007-02-08

Family

ID=3810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663A KR100680653B1 (ko) 2005-09-23 2005-09-23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65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899B1 (ko) * 2007-12-28 2008-06-03 김재호 안경 렌즈 연마수 재생 및 슬러지 제거 장치
CN105290973A (zh) * 2015-10-19 2016-02-03 成都市新都三利塑胶有限责任公司 防喷溅式电路板打磨用桌面装置
CN109015383A (zh) * 2018-08-08 2018-12-18 南通莱必特轴承有限公司 一种新型轴承加工散热喷水装置
KR102112698B1 (ko) 2019-02-11 2020-05-1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습식 방식의 렌즈가공 장치
KR102212199B1 (ko) 2020-04-01 2021-02-05 주식회사 로덱 렌즈 연마폐수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KR102231821B1 (ko) * 2020-08-31 2021-03-24 이영길 안경렌즈 연마수의 여과장치
KR102281684B1 (ko) 2021-01-18 2021-07-23 민병직 이중 펌프
KR102280912B1 (ko) 2020-10-28 2021-07-26 주식회사 로덱 렌즈 연마폐수용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KR102287904B1 (ko) * 2020-11-17 2021-08-06 고택성 안경렌즈 연마가공용 절삭수 정수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44764A2 (en) 1986-05-05 1987-11-11 Roberto Polenghi Method and device for feeding a cleaning solution with suspended abrasive substances, into work-piece finishing machine
KR19980032895A (ko) * 1996-10-18 1998-07-25 카네코 히사시 연마제의 회수재이용방법 및 장치
KR0184991B1 (ko) * 1995-01-13 1999-05-01 가네꼬 히사시 평면 연마장치
JP2000202735A (ja) 1999-01-13 2000-07-25 Fuji Heavy Ind Ltd 切削液ろ過装置
KR20010035524A (ko) * 2001-02-26 2001-05-07 김용범 안경렌즈 연마수의 재생장치
KR20020051728A (ko) * 2000-12-23 2002-06-29 이계안 동력 조향 장치
KR200294716Y1 (ko) 2002-07-25 2002-11-13 최명희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KR20030026492A (ko) * 2001-09-26 2003-04-03 최명희 렌즈 연마수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44764A2 (en) 1986-05-05 1987-11-11 Roberto Polenghi Method and device for feeding a cleaning solution with suspended abrasive substances, into work-piece finishing machine
KR0184991B1 (ko) * 1995-01-13 1999-05-01 가네꼬 히사시 평면 연마장치
KR19980032895A (ko) * 1996-10-18 1998-07-25 카네코 히사시 연마제의 회수재이용방법 및 장치
JP2000202735A (ja) 1999-01-13 2000-07-25 Fuji Heavy Ind Ltd 切削液ろ過装置
KR20020051728A (ko) * 2000-12-23 2002-06-29 이계안 동력 조향 장치
KR20010035524A (ko) * 2001-02-26 2001-05-07 김용범 안경렌즈 연마수의 재생장치
KR20030026492A (ko) * 2001-09-26 2003-04-03 최명희 렌즈 연마수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KR200294716Y1 (ko) 2002-07-25 2002-11-13 최명희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80032895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899B1 (ko) * 2007-12-28 2008-06-03 김재호 안경 렌즈 연마수 재생 및 슬러지 제거 장치
CN105290973A (zh) * 2015-10-19 2016-02-03 成都市新都三利塑胶有限责任公司 防喷溅式电路板打磨用桌面装置
CN109015383A (zh) * 2018-08-08 2018-12-18 南通莱必特轴承有限公司 一种新型轴承加工散热喷水装置
KR102112698B1 (ko) 2019-02-11 2020-05-1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습식 방식의 렌즈가공 장치
KR102212199B1 (ko) 2020-04-01 2021-02-05 주식회사 로덱 렌즈 연마폐수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KR102231821B1 (ko) * 2020-08-31 2021-03-24 이영길 안경렌즈 연마수의 여과장치
KR102280912B1 (ko) 2020-10-28 2021-07-26 주식회사 로덱 렌즈 연마폐수용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KR102287904B1 (ko) * 2020-11-17 2021-08-06 고택성 안경렌즈 연마가공용 절삭수 정수장치
KR102281684B1 (ko) 2021-01-18 2021-07-23 민병직 이중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653B1 (ko)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JP4237816B1 (ja) 眼鏡レンズの研磨水の再生及びスラッジの除去装置
KR200402496Y1 (ko)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KR100740655B1 (ko) 안경 렌즈의 연마 폐수 처리 장치
US6672948B2 (en) Grinding water tank apparatus, and eyeglass lens machi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212199B1 (ko) 렌즈 연마폐수 여과장치 및 연마폐수 환원시스템
JP7249063B2 (ja) レンズ研磨廃水用濾過装置および研磨廃水還元システム
CN209835784U (zh) 一种研磨废水及废除油剂净化回用系统
KR100401093B1 (ko) 안경렌즈 연마수의 재생장치
KR100419351B1 (ko) 렌즈 연마수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KR101198248B1 (ko) 자동배출장치가 구비된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 장치
CN108247524A (zh) 一种振动式光整机
JPH09309043A (ja) 工作機械用クーラントの工作屑除去装置
US6538573B2 (en) Eyeglass lens processing apparatus
KR200233269Y1 (ko) 안경렌즈 연마수의 재생장치
KR200420463Y1 (ko)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
KR200294716Y1 (ko)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CN207358880U (zh) 玻璃抛光粉溶液循环过滤系统
KR102568941B1 (ko) 옥습기용 슬러지 정화장치
KR101512567B1 (ko) ? 블라스팅 장치
JP2010105052A (ja) 加工液再生供給装置を備えた複合加工装置
GB2459663A (en) Recycling and filtration system for lens glazing machine
KR20220073123A (ko)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
KR102287904B1 (ko) 안경렌즈 연마가공용 절삭수 정수장치
CN103432803A (zh) 污水循环处理系统及煤矿用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