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3123A -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73123A KR20220073123A KR1020200160901A KR20200160901A KR20220073123A KR 20220073123 A KR20220073123 A KR 20220073123A KR 1020200160901 A KR1020200160901 A KR 1020200160901A KR 20200160901 A KR20200160901 A KR 20200160901A KR 20220073123 A KR20220073123 A KR 202200731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water
- water tank
- filtration network
- filtered
- filt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238000007688 edging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9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075 wastewater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12—Devices for exhausting mist of oil or coolant; Devices for collecting or recovering materials resulting from grinding or polishing, e.g. of precious metals, precious stones, diamond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렌즈연마기로부터 폐수가 유입되는 제1수조와, 상기 제1수조에 설치되어 제1수조로 유입되는 폐수의 오염물을 1차로 여과하는 1차여과망과, 상기 1차 여과된 폐수를 제1수조로부터 공급받는 제2수조와, 상기 제2수조에 설치되어 제2수조로 공급되는 폐수의 오염물을 2차로 여과하는 2차여과망과, 상기 2차 여과된 폐수를 제2수조로부터 흡입하여 미세필터를 고압으로 통과시킴으로써 폐수의 오염물을 3차로 여과하는 필터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 렌즈의 연마시에 발생되는 폐수를 효율적으로 여과시켜 수질오염을 방지하거나 연마수로 재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 렌즈의 연마시에 발생되는 폐수를 효율적으로 여과시켜 수질오염을 방지하거나 연마수로 재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렌즈의 연마시 발생되는 폐수를 효율적으로 여과시켜 수질오염을 방지하거나 연마수로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 등에 사용되는 렌즈는 일정한 규격을 갖는 원형의 형태로 제조되며, 따라서 안경테의 형태에 적합하도록 절단하거나 표면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연마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치게 된다.
이러한 렌즈의 연마 가공은 옥습기라고도 불리는 렌즈연마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렌즈연마기에는 렌즈 가공시의 윤활과 냉각을 위하여 연마수가 사용되며, 그에 따라 연마가공시에는 폐수가 발생된다.
그런데, 안경렌즈는 통상적으로 유리 또는 플라스틱이 주종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폐수에는 연마과정에서 분쇄된 렌즈의 분말입자가 혼합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렇게 렌즈의 분말입자가 혼합된 오염된 폐수가 그대로 하수구로 배출되는 경우, 수질을 악화시켜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음과 함께, 폐수에 혼합된 분말입자가 슬러지 형태로 뭉쳐져 하수배관 등을 막거나 하수흐름을 저해함으로써 하수처리시설의 고장이나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마 가공시 발생하는 오염된 폐수를 여과함으로써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연마수로 재사용하여 수자원의 낭비도 줄일 수 있는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수의 오염물을 입자 크기별로 순차적으로 여과함으로써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렌즈연마기로부터 폐수가 유입되는 제1수조와, 상기 제1수조에 설치되어 제1수조로 유입되는 폐수의 오염물을 1차로 여과하는 1차여과망과, 상기 1차 여과된 폐수를 제1수조로부터 공급받는 제2수조와, 상기 제2수조에 설치되어 제2수조로 공급되는 폐수의 오염물을 2차로 여과하는 2차여과망과, 상기 2차 여과된 폐수를 제2수조로부터 흡입하여 미세필터를 고압으로 통과시킴으로써 폐수의 오염물을 3차로 여과하는 필터여과부를 포함하는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1차여과망은, 동심원을 이루어 내부와 외부에 이중 구조로 설치되는 내부여과망과 외부여과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여과망은 외부여과망에 비하여 폐수에 함유된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오염물을 여과하고, 상기 외부여과망은 상기 2차여과망에 비하여 폐수에 함유된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오염물을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필터와 연결되는 여과수공급관과, 상기 여과수공급관에서 분기되는 여과수순환관 및 여과수배수관과, 상기 여과수공급관의 분기지점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수공급관에는 유량이 설정유량 이하로 감소되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유량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조 및 제2수조의 상단에는 각각 1차여과망과 2차여과망이 착탈 가능하게 안착 결합되는 환형의 망거치대가 구비되되, 상기 망거치대는 탄성체에 각각 지지되어 제1수조 및 제2수조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상측으로 이격됨과 함께, 망거치대의 일측 하단과 이에 대응하는 제1수조 및 제2수조의 상단에는 상호간에 접촉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에 의하면,
연마 가공시 발생하는 오염된 폐수를 효율적으로 여과함으로써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연마수로 재사용함으로써 절수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폐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입자의 크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입자부터 작은 입자 순서로 순차적으로 여과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시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면서 우수한 여과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여과망이나 필터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으므로 부적절한 교체에 따른 운용상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음과 함께 향상된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 외관을 개략적으로 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의 망거치대 및 감지작용을 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의 망거치대 및 감지작용을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갯수,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는 한 도면에 예시된 사항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 후, 좌, 우, 상, 하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이 달라지면 이 같은 용어들 역시 달라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가 일 예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10, 이하,“여과장치”로 약칭함.)는 제1수조(100)와, 1차여과망(200)과, 제2수조(300)와, 2차여과망(400)과, 필터여과부(500)와, 순환배출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수조(100)는 안경렌즈를 연마 가공하는 렌즈연마기(20)로부터 배수되는 폐수가 1차적으로 유입되어 저장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제1수조(100)는 렌즈연마기(20)에서 발생되는 폐수가 폐수배수관(21)을 통해 낙하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렌즈연마기(2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1차여과망(200)은 렌즈연마기(20)로부터 제1수조(100)로 유입되는 폐수를 1차적으로 여과시키는 부분이다.
1차여과망(200)은 제1수조(100)에 설치되는데, 제1수조(100)의 상면에 지지되어 제1수조(100)의 내부로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1차여과망(200)은 렌즈의 분말입자와 같은 폐수에 함유된 오염물을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걸러 여과시킬 수 있도록 내부여과망(210)과 외부여과망(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여과망(210)과 외부여과망(220)은 서로간에 동심원을 이루어 내부와 외부에 이중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여과망(210)은 외부여과망(220)에 비하여 폐수에 함유된 오염물 중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오염물을 여과시키고, 외부여과망(220)은 내부여과망(2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의 오염물을 여과시킬 수 있다.
즉, 내부여과망(210)과 외부여과망(220)은 메쉬(mesh)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외부여과망(220)의 메쉬가 내부여과망(210)의 메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고 촘촘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연마기(20)로부터 폐수배수관(21)을 통해 낙하되는 폐수는 먼저 내부여과망(210)으로 유입되어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내부여과망(210)을 빠져나오면서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오염물이 먼저 걸러져 여과되고, 이어서 순차적으로 외부여과망(220)을 빠져나오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의 오염물이 걸러져 여과된 후 제1수조(100)에 저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수조(300)는 1차여과망(200)을 통과하면서 1차로 여과된 폐수가 제1수조(100)로부터 2차적으로 공급되어 저장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2수조(300)는 제1수조(100)의 측면에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수조(100)와 제2수조(300)는 모두 1차 및 2차 여과된 폐수를 각각 임시로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폐수가 여과되는 상태를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각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수조(100)와 제2수조(300)에는 각각 저장되는 폐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10, 31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1차 여과되어 제1수조(100)에 저장되는 폐수를 제2수조(300)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1수조(100)에는 수중펌프(120)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수중펌프(120)와 제2수조(300) 사이에는 폐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공급관(3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2차여과망(400)은 제1수조(100)로부터 제2수조(300)로 공급되는 폐수의 오염물을 2차로 걸러 여과하는 부분이다.
2차여과망(400)은 제2수조(300)에 설치되는데, 제2수조(300)의 상면에 지지되어 제2수조(300)의 내부로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2차여과망(400)은 1차여과망(200)을 통해 1차적으로 여과된 폐수가 수중펌프(120)의 작동에 따라 공급관(320)을 통해 공급이 이루어지면, 1차 여과시 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작은 입자의 오염물을 추가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다.
즉, 2차여과망(400)은 1차여과망(200)의 외부여과망(220)과 대비하여 폐수에 함유된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의 오염물을 여과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2차여과망(400)은 외부여과망(220)의 메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고 촘촘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내부여과망(210)에 비하여 외부여과망(220)의 메쉬가 상대적으로 작고 촘촘하며, 외부여과망(220)에 비하여 2차여과망(400)의 메쉬가 상대적으로 작고 촘촘하게 형성됨으로써, 렌즈연마기(20)로부터 배수된 폐수는 1차여과망(200)의 내부여과망(210)과 외부여과망(220), 2차여과망(400)을 순서대로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오염물로부터 작은 입자의 오염물 순서로 순차적으로 걸러지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여과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여과부(500)는 2차여과망(400)을 통과하면서 2차로 여과된 폐수를 강제 흡입하여 미세필터(530)를 통과시킴으로써 폐수에 함유된 미세 오염물을 3차로 여과하는 부분이다.
즉, 필터여과부(500)는 유입되는 폐수의 오염물을 망체를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걸러 여과하는 방식의 상기 1차여과망(200) 및 2차여과망(400)과 달리, 폐수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미세필터(530)를 통과시킴으로써 1차 및 2차 여과를 거친 폐수에 잔존하는 미세한 오염물까지 최종적으로 여과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여과부(500)는 하우징(510)과, 부스터펌프(520)와, 미세필터(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0)은 부스터펌프(520)와 미세필터(530)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로서, 제2수조(3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스터펌프(520)는 하우징(5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2수조(300)에 저장된 폐수를 강제 흡입하여 고압으로 미세필터(530)에 공급을 할 수 있다.
상기 미세필터(530)는 하우징(5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부스터펌프(520)에 의해 고압으로 공급된 폐수를 통과시키면서 폐수에 함유된 미세 오염물을 필터링하여 여과시킨다.
이러한 미세필터(530)는 일 예로 멤브레인 필터일 수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로 이루어져 배열됨으로써 순차적으로 미세 오염물을 여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배출부(600)는 필터여과부(500)를 통과하면서 미세 오염물까지 최종적으로 여과가 이루어진 여과수를 하수시설로 배수하거나 또는 렌즈연마기(20)로 순환시켜 재공급하는 부분이다.
즉, 1차에서부터 3차까지 오염물이 여과된 깨끗한 폐수(이를 ‘여과수’라 함.)는 순환배출부(600)를 통해 선택적으로 배수가 되거나 또는 렌즈연마기(20)로 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를 위한 순환배출부(600)는 미세필터(530)에 연결되는 여과수공급관(610)과, 상기 여과수공급관(610)에서 분기되는 여과수순환관(620) 및 여과수배수관(630)과, 상기 여과수공급관(610)의 분기지점에 구비되어 여과수순환관(620) 및 여과수배수관(630) 중 어느 하나로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유로전환밸브(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수순환관(620)은 렌즈연마기(20) 또는 렌즈연마기(20)로 연마수를 공급하기 위한 저장조(도면 미도시)로 연장되며, 그에 따라 여과수순환관(620)으로 유로가 형성되는 경우 여과수는 연마수로 재사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여과수배수관(630)은 하수시설로 연장되고, 그에 따라 여과수배수관(630)으로 유로가 형성되는 경우 여과수는 하수시설로 안내되어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여과장치(10)는 사용이 계속됨에 따라 1차여과망(200), 2차여과망(400), 미세필터(530)에 오염물이 걸러지면서 축적되므로 효율적인 여과를 위해서는 1차여과망(200), 2차여과망(400), 미세필터(530)의 교체 또는 청소시기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어야 함과 함께 적절한 시기에 청소 또는 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먼저 1차여과망(200)과 2차여과망(400)은 오염물이 슬러지형태로 축적됨에 따른 중량의 증가를 센싱하여 교체 또는 청소시기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제1수조(100) 및 제2수조(300)의 상단에는 각각 1차여과망(200)과 2차여과망(400)이 착탈 가능하게 안착 결합될 수 있는 환형의 망거치대(130, 3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망거치대(130, 330)는 탄성체(140, 340)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제1수조(100) 및 제2수조(30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상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망거치대(130, 330)의 일측 하단과 이에 대응하는 제1수조(100) 및 제2수조(300)의 상단에는 상호간에 접촉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단자(150, 35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140, 340) 각각의 탄성력은, 교체가 필요한 시점에서의 1차여과망(200) 및 2차여과망(400)의 중량증가를 각각 사전에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고, 이러한 측정데이터를 토대로 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수조(100)와 제2수조(300) 각각의 망거치대(130, 330)에 1차여과망(200)과 2차여과망(400)이 각각 안착 설치되면, 도 3의 (a)에 예시된 것처럼, 초기에는 감지단자(150, 350)가 상호간에 이격된 상태가 되고, 이후 폐수에 대한 여과가 계속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1차여과망(200)과 2차여과망(400)에 각각 이물질이 걸러져 쌓이게 되면 중량 증가에 따라 탄성체(140, 340)가 조금씩 압축되면서 망거치대(130, 330)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교체 또는 청소가 되어야 할 정도로 이물질이 1차여과망(200)과 2차여과망(400)에 각각 쌓이게 되면, 도 3의 (b)에 예시된 것처럼, 탄성체(140, 340)의 압축에 따라 망거치대(130, 330)가 더욱 하강되고, 결국 감지단자(150, 350)가 상호간에 접속됨으로써 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1차여과망(200) 및 2차여과망(400)의 내부로는 각각 폐수배수관(21)과 공급관(320)이 일정깊이 진입되어 있는 바,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1차여과망(200) 및 2차여과망(400)의 교체 또는 청소를 위해 망거치대(130, 330)로부터 이탈시킬 때, 폐수배수관(21)의 경우는 통상적으로 플렉시블 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1차여과망(200)은 폐수배수관(21)을 1차여과망(200)으로부터 빼낸 후 간편하게 이탈시킬 수 있지만, 2차여과망(400)의 경우에는 공급관(320)과의 간섭으로 인해 이탈이 쉽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2차여과망(400)의 교체시 공급관(320)과의 간섭없이 쉽게 2차여과망(400)을 망거치대(33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공급관(320) 및 이에 연결된 상기 수중펌프(120)는 승강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서, 수중펌프(120)의 하측에 승강수단(도면 미도시)이 설치되어, 폐수의 여과시에는 수중펌프(120)가 하강된 위치에 있도록 하여 공급관(320)이 2차여과망(400)의 내부로 일정깊이 진입된 상태가 되도록 하되, 2차여과망(400)의 교체시에는 승강수단이 작동되어 수중펌프(120) 및 이에 연결된 공급관(320)을 일정높이로 상승시킴으로써 2차여과망(400)이 공급관(320)과 간섭없이 보다 쉽게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미세필터(530)의 교체시기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필터여과부(500)의 후단, 즉 상기 여과수공급관(610)에 유량센서(6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량센서(650)는 여과수공급관(610)을 통과하는 유량이 설정유량 이하로 저하되면 미세필터(530)의 교체를 위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이 발생된 교체를 위한 감지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교체시기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여과장치(10)는 LED점멸 등과 같이 교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도면 미도시) 또는 경보음과 같이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교체신호를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음향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여과장치(10)는 사용자가 장치의 가동이나 정지 등 수동조작 입력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작동버튼 등이 구비된 조작부(도면 미도시)와, 여과장치(10)에 대한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도면 미도시)를 당연히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10)가 렌즈연마기(20)의 작동에 연동되도록, 즉 렌즈연마기(20)가 작동되면 연동하여 작동되고 렌즈연마기(20)의 작동이 정지되면 연동하여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예컨대 제1수조(100)와 제2수조(300)에 폐수가 일정수위로 채워지면 수위센서(110, 310)의 수위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수중펌프(120)와 부스터펌프(5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유량조절밸브(640)의 유로전환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10)의 구성을 살펴보았는 바, 이하에서는 그 작동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과장치(10)는 렌즈연마기(20)의 하측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상태에서 렌즈연마기(20)에서 연마작업이 개시되면, 폐수배수관(21)을 통하여 연마시 발생되는 폐수가 1차여과망(200)의 내부여과망(210)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내부여과망(210)으로 유입된 폐수는 내부여과망(210)을 빠져나오면서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오염물이 먼저 걸러진다.
그리고 내부여과망(210)을 빠져나온 폐수는 이어서 내부여과망(210)에서 걸러진 오염물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의 오염물이 추가적으로 걸러지면서 외부여과망(220)을 빠져나와 제1수조(100)에 저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1차여과망(200)을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오염물이 걸러진 상태의 폐수가 제1수조(100)에 일정수위로 저장되면, 수위센서(1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는 수중펌프(12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수중펌프(120)의 작동에 따라 제1수조(100)의 폐수는 공급관(320)을 통해 공급되어 2차여과망(40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2차여과망(400)으로 유입된 폐수는 1차여과망(200)에서 걸러진 오염물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작은 입자의 오염물이 추가적으로 걸러지면서 2차여과망(400)을 빠져나와 제2수조(300)에 저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2차여과망(400)을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오염물이 걸러진 상태의 폐수가 제2수조(300)에 일정수위로 저장되면, 수위센서(3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는 필터여과부(500)의 부스터펌프(52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부스터펌프(520)의 작동에 따라 제2수조(300)의 폐수는 고압으로 미세필터(530)를 통과하면서 미세한 오염물까지 최종적으로 걸러져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미세필터(530)를 통과한 여과수는 여과수공급관(610)을 통해 안내된 후 유로전환밸브(640)의 유로전환에 따라 선택적으로 렌즈연마기(20)로 순환되어 재사용되거나 또는 배수되어 버려지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여과과정이 계속적으로 반복 진행되면, 1차여과망(200), 2차여과망(400), 미세필터(530)에는 걸러진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서 여과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 때 1차여과망(200) 또는 2차여과망(400)의 경우, 쌓인 이물질의 양이 교체나 청소가 이루어져야 할 정도로 증가되면, 1차여과망(200) 또는 2차여과망(400)이 안착된 망거치대(130, 330)가 중량 증가에 따라 하강되면서 감지단자(150, 350)에 의해 감지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감지신호에 따라 교체시기를 인식함으로써 신속하게 1차여과망(200) 또는 2차여과망(400)을 교체 또는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미세필터(530)의 경우는 이물질의 양이 증가되면 여과수공급관(610)의 유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유량센서(650)가 이를 감지하여 교체를 위한 감지신호를 발생하키게 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감지신호에 따라 역시 미세필터(530)를 적절한 시기에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는 연마 가공시 발생하는 오염된 폐수를 효율적으로 여과함으로써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연마수로 재사용함으로써 절수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폐수에 함유된 이물질이 입자의 크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입자부터 작은 입자 순서로 순차적으로 여과되기 때문에 여과수단을 수시로 교체하지 않으면서 보다 장시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여과효율 또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여과수단의 적절한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여과효율의 저하에 따른 운용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없음과 함께 사용편의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100: 제1수조
120: 수중펌프
200: 1차여과망 210: 내부여과망
220: 외부여과망 300: 제2수조
110/310: 수위센서 130/330: 망거치대
140/340: 탄성체 150/350: 감지단자
400: 2차여과망 500: 필터여과부
520: 부스터펌프 530: 미세필터
600: 순환배출부 620: 여과수순환관
630: 여과수배수관 640: 유로전환밸브
650: 유량센서
200: 1차여과망 210: 내부여과망
220: 외부여과망 300: 제2수조
110/310: 수위센서 130/330: 망거치대
140/340: 탄성체 150/350: 감지단자
400: 2차여과망 500: 필터여과부
520: 부스터펌프 530: 미세필터
600: 순환배출부 620: 여과수순환관
630: 여과수배수관 640: 유로전환밸브
650: 유량센서
Claims (6)
- 렌즈연마기로(20)부터 폐수가 유입되는 제1수조(100)와;
상기 제1수조(100)에 설치되어 제1수조(100)로 유입되는 폐수의 오염물을 1차로 여과하는 1차여과망(200)과;
상기 1차 여과된 폐수를 제1수조(100)로부터 공급받는 제2수조(300)와;
상기 제2수조(300)에 설치되어 제2수조(300)로 공급되는 폐수의 오염물을 2차로 여과하는 2차여과망(400)과;
상기 2차 여과된 폐수를 제2수조(300)로부터 흡입하여 미세필터(530)를 고압으로 통과시킴으로써 폐수의 오염물을 3차로 여과하는 필터여과부(500);를 포함하는,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여과망(200)은 동심원을 이루어 내부와 외부에 이중 구조로 설치되는 내부여과망(210)과 외부여과망(220)을 포함하는,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여과망(210)은 외부여과망(220)에 비하여 폐수에 함유된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오염물을 여과하고, 상기 외부여과망(220)은 상기 2차여과망(400)에 비하여 폐수에 함유된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오염물을 여과하는,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필터(530)와 연결되는 여과수공급관(610)과, 상기 여과수공급관(610)에서 분기되는 여과수순환관(620) 및 여과수배수관(630)과, 상기 여과수공급관(610)의 분기지점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밸브(640)를 더 포함하는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공급관(610)에는 유량이 설정유량 이하로 감소되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유량센서(650)가 구비되는,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조(100) 및 제2수조(300)의 상단에는 각각 1차여과망(200)과 2차여과망(400)이 착탈 가능하게 안착 결합되는 환형의 망거치대(130, 330)가 구비되되,
상기 망거치대(130, 330)는 탄성체(140, 340)에 각각 지지되어 제1수조(100) 및 제2수조(30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상측으로 이격됨과 함께, 망거치대(130, 330)의 일측 하단과 이에 대응하는 제1수조(100) 및 제2수조(300)의 상단에는 상호간에 접촉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단자(150, 350)가 구비되는,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0901A KR20220073123A (ko) | 2020-11-26 | 2020-11-26 |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0901A KR20220073123A (ko) | 2020-11-26 | 2020-11-26 |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3123A true KR20220073123A (ko) | 2022-06-03 |
Family
ID=8198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0901A KR20220073123A (ko) | 2020-11-26 | 2020-11-26 |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73123A (ko) |
-
2020
- 2020-11-26 KR KR1020200160901A patent/KR20220073123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3899B1 (ko) | 안경 렌즈 연마수 재생 및 슬러지 제거 장치 | |
KR100740655B1 (ko) | 안경 렌즈의 연마 폐수 처리 장치 | |
CN111050995A (zh) | 冷却液处理系统 | |
KR100710872B1 (ko) | 정수기의 멤브레인 필터 자동 플러슁 장치 | |
KR20220073123A (ko) | 렌즈연마기의 폐수 여과장치 | |
KR101198248B1 (ko) | 자동배출장치가 구비된 안경렌즈 연마폐수 처리 장치 | |
KR100680653B1 (ko) | 렌즈 연마수 재생장치 | |
KR100949349B1 (ko) | 막 여과장치 및 이의 막 세정방법 | |
JP2008284464A (ja) | 間欠逆洗に優れた濾過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KR20030026492A (ko) | 렌즈 연마수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 |
KR101277362B1 (ko) | 와류형성돌기가 구비된 유체여과장치 | |
US20090095693A1 (en) | Concentrator System and Method of Water Filtration and Recycling to Drive Industrial Fabrication Process | |
JP6910845B2 (ja) | 水処理装置 | |
JP2017064574A (ja) | 水処理装置 | |
KR101064446B1 (ko) | 빗물 오염물질의 저감과 단계별 여과 빗물의 활용이 가능한 빗물 저장탱크 | |
JP3809648B2 (ja) | 移動ろ床式ろ過装置 | |
KR200420463Y1 (ko) | 렌즈연마장치의 정화장치 | |
KR101764721B1 (ko) |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자동 역세척 시스템 | |
CN217921682U (zh) | 一种切削液废液过滤设备 | |
JP2006007357A (ja) | 眼鏡レンズ研削加工装置の研削水処理装置 | |
KR102352762B1 (ko) | 옥습기용 슬러지 및 냄새 정화장치 | |
JP2007526115A (ja) | 糞便を含む汚泥の処理装置と方法及び薄膜ユニット | |
EP1350598A2 (en) | Lens grinding apparatus and apparatus for treating grinding water for use therein | |
KR950005419B1 (ko) | 음용수 정수장치 및 그 제어회로 | |
KR102568941B1 (ko) | 옥습기용 슬러지 정화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