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135B1 - 배수 접속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수 접속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135B1
KR100680135B1 KR1020040011615A KR20040011615A KR100680135B1 KR 100680135 B1 KR100680135 B1 KR 100680135B1 KR 1020040011615 A KR1020040011615 A KR 1020040011615A KR 20040011615 A KR20040011615 A KR 20040011615A KR 100680135 B1 KR100680135 B1 KR 100680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ertical
drain pipe
drainag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3068A (ko
Inventor
최해권
Original Assignee
최해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권 filed Critical 최해권
Priority to KR102004001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135B1/ko
Publication of KR20050083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60Reducing noise in plumb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건물이나 고층 아파트의 각층마다 배수를 위하여 설치된 수평배수관과 수직 배수관으로부터 배출되는 하수 및 오수를 배수시키는데 사용되는 선회력을 갖는 배수 접속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배수 접속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연질의 고무로 형성된 내피 또는 외피를 부착하여 하수의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보온재를 시공하지 않고도 하수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 접속관과 그 배수 접속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04007162509-pat00001
배수 접속관

Description

배수 접속관 및 그 제조방법{Drain-Pipe Joint and Manufactuing Method of the Same}
도1은 종래의 선회력을 갖는 배수 접속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회력을 갖는 배수 접속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선회력을 갖는 배수 접속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선회력을 갖는 배수 접속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선회력을 갖는 배수 접속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1,31,41 : 배수 접속관 상부 몸체
2,12,22,32,42 : 배수 접속관 하부 몸체
3 : 금속 링
4,14,,24,34,44 : 상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
5,15,25,35,45 : 하수관 체결부 6,16,26,36,46 : 커버
7,7',17,17',27,27',37,37',47,47' : 와류 익편
8,18,28,38,48 : 하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
9,19,29,39,49 : 확관부
10,20,30,40 : 배수 접속관
a : 내피 b : 외피
c,c': 고무링
본 발명은 고층건물이나 고층 아파트의 각층마다 배수를 위하여 설치된 각층 수평배수관과 수직 배수관으로부터 유입된 하수 및 오수를 배수시키는데 사용되는 선회력을 갖는 배수 접속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배수 접속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연질의 고무로 형성된 내피 또는 외피를 부착하여 하수의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보온재를 시공하지 않고도 하수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 접속관과 그 배수 접속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이나 고층 아파트 등에는 배수를 위하여 각층마다 수평배수관과 수직배수관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배수관과 수직배수관은 배수 접속관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배수되는 하수가 상기 배수 접속관을 통하여 하층 수직 배수관으로 배수되게 배관되어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의 배수 접속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배수 접속관은 상단에 상측 수직 배수관과 설치층 하수관이 체결되는 배수 접속관 상부 몸체(1)와, 하단에 하층의 수직 배수관이 체결되는 배수 접속관 하부 몸체(2)와, 상기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를 고주파를 이용해 접합이 가능하도록 매개하는 매개체인 금속링(3)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 접속관 상부 몸체(1)는 상층으로부터 연결된 수직 배수관이 체결되도록 내측 상단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그 걸림턱 하단으로 연장 형성된 내주면에 수직 낙하하는 하수에 선회력을 인가하기 위한 와류익편(7)이 형성되어 있는 상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4)와, 배수 접속관이 설치된 층의 하수관을 체결하기 위해 내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하수관 체결부(5)와, 그 상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4) 및 하수관 체결부(5)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하며 상기 하부 몸체(2)를 덮어 씌우는 커버(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2)는 하층의 수직 배수관을 체결하는 하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8)와, 그 하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8) 내측에 구비된 유도관의 내주면에 상층으로부터 낙하하는 하수와 수평 배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하수에 선회력을 인가하기 위한 와류익편(7')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측으로 상기 상부 몸체(1)의 커버(6) 하단의 테두리에 체결되어 상측 수직 배수관과 설치층 하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합쳐지는 확관부(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배수 접속관의 제조방법은 상기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를 각각 사출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한 후, 상기 상부 몸체(1)의 커버(6) 테두리에 스테레인스 등과 같은 금속을 재질로 하여 별도로 제조된 금속링(3)을 삽입한 후, 상기 금속링(3)이 삽입된 커버(6)와 하부 몸체(2)를 압력을 가하여 결합한다. 다음에, 상기 금속링(3)이 삽입된 커버 테두리에 고주파를 가하여 금속링(3)을 가열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금속과 결합된 부분이 용융되어 상호 액상결합하게 되고, 이때, 고주파를 차단하면 액상 결합된 커버 테두리 부분이 다시 고화되면서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가 접합되는 방법으로 배수 접속관을 제조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배수 접속관은 상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4) 하단에 형성된 와류익편(7)에 의해 상층의 수직 배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하수에 선회력을 부여하여 일차로 소음을 줄이고, 상기 와류익편(7)을 통과한 상층 하수와 하수관 체결부(5)를 통해 유입된 하수의 혼합 하수에 하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8)에 형성된 와류익편(7')에 의해 추가로 선회력을 부여하여 소음을 더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와류익편(7,7')에 의해 하수에 선회력을 인가하여 하수의 소음을 줄이는데는 한계가 있고, 상층 또는 설치층 하수들이 확관부(9)에 충돌하면서 발생하 는 충돌 소음을 줄이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절기에 와류익편 등에 하수의 결로 현상이 쉽게 발생하여 배수관이 동파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시공 후 외부에 보온재를 감싸는 보온 시공을 별도로 행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배수 접속관은 경질의 합성수지제로 제조되기 때문에 운반이나 하역 작업 중 충격이나 외부 압력으로 인해 쉽게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배수 접속관은 커버와 하부 몸체 사이에 금속링을 삽입하고 상하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고주파 접합을 하기 때문에 금속링을 별도로 제조하여야 하고, 고주파 접합을 위해 고주파 장비를 구비해야 하며, 접합이 불완전한 경우가 많아 완제품의 수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 문제들 중 소음을 감소 시키고 동절기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수 접속관 하부 몸체의 확관부 내부 전면에 확관부 내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연질의 내피를 부착함으로써 하수가 확관부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고, 확관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동절기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수 접속관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금속링 없이 체결하고, 그 외주면에 연질의 고무 또는 그와 같 은 재질의 외피를 압착하여, 금속링의 삽입과 고주파 접합 과정이 필요없고 연질의 외피를 갖는 배수 접속관을 제조함으로써, 소음을 감소시키고 동절기의 결로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운반이나 하역중 지면이나 다른 물체에 충돌하더라도 연질의 외피가 충격을 흡수하여 배수 접속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수 접속관의 제조 공정중 금속링을 제조하여, 그 금속링을 커버 테두리에 삽입한 후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고주파 접합하는 과정을 없애고, 상기 배수 접속관에 외피를 압착 형성함으로써 완제품의 수율을 증가시키고, 고주파 접합에 따라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제조비용을 감소시키고, 제조공정을 단순화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층 수직 배수관을 체결하고 하단에 와류익편이 형성된 상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와, 설치층의 하수관을 체결하는 하수관 체결부와, 상기 상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 및 하수관 체결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커버로 구성된 상부 몸체와; 하층 수직 배수관을 체결하고 내주면에 와류익편이 형성된 하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와, 상층과 설치층으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혼합하는 확관부로 구성된 하부 몸체를 갖는 배수 접속관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 내주면에 확관부의 내주면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연질의 내피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접속관을 제공한다.
또한, 상층 수직 배수관을 체결하고 하단에 와류익편이 형성된 상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와, 설치층의 하수관을 체결하는 하수관 체결부와, 상기 상층 수직 배 수관 체결부 및 하수관 체결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커버로 구성된 상부 몸체와; 하층 수직 배수관을 체결하고 내주면에 와류익편이 형성된 하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 및 상층과 설치층으로부터 유입된 하수와 혼합되는 확관부로 구성된 하부 몸체를 갖는 배수 접속관에 있어서, 상기 배수 접속관 외면에 압착되어 있는 연질의 외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접속관을 제공한다.
또한, 상층 수직 배수관을 체결하고 하단에 와류익편이 형성된 상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와 하수관 체결부로 구성된 상부 몸체와, 하층 수직 배수관을 체결하고 내주면에 와류익편이 형성된 하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 및 상층과 설치층으로부터 유입된 하수가 혼합되는 확관부로 구성된 하부몸체를 각각 사출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사출성형된 상하부 몸체를 체결하고, 체결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부 몸체가 체결된 형태와 동일한 외형의 성형틀을 두개로 분리한 후 각 틀에 연질재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하부 몸체를 상기 성형틀 중 일측의 연질재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질재가 상하부 몸체에 접합될 수 있는 온도로 성형틀을 가열시키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성형틀들을 상호 압착하여 연질재를 상하부 몸체 외면에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접속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확관부 내면에 연질의 내피가 부착된 배수 접속 관(10)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 수직 배수관을 체결하고 하단에 와류익편(17)이 형성된 상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14)와, 설치층의 하수관을 체결하는 하수관 체결부(15)와, 상기 상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14)와 하수관 체결부(15)를 일체로 형성하는 커버(16)로 구성된 상부 몸체(11)와; 하층 수직 배수관을 체결하고 내주면에 와류익편(17')이 형성된 하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18) 및 상층과 설치층으로부터 유입된 하수가 혼합되며, 상단이 상기 커버(16)의 테두리에 삽입되는 확관부(19)를 포함하는 하부 몸체(12)로 구성되며, 상기 확관부(19) 내면에는 상기 하부 몸체(12)의 확관부(19) 내면 형태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연질의 내피(a)가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피(a)는 연질의 고무나 합성고무, 실리콘, 우레탄, 발포 우레탄 등 연질의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상기 내피(a)는 하부 몸체(12)의 확관부(19)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되고, 상기 상부 몸체(11)와 하부 몸체(12)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별도의 금속링을 상부 몸체의 커버 테두리에 삽입하고, 하부 몸체를 체결한 후, 고주파에 의해 접합하여 연질의 내피를 갖는 배수 접속관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배수 접속관은 내피에 의해 하수가 확관부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돌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내피로 인해 확관부를 보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접속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배수 접속관(20)은 상층 수직 배수관을 체결하고 하단에 와류익편(27)이 형성 된 상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24)와, 설치층의 하수관을 체결하는 하수관 체결부(25)와, 상기 상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24)와 하수관 체결부(25)를 일체로 형성하는 커버(26)로 구성된 상부 몸체(21)와; 하층 수직 배수관을 체결하고 내주면에 와류익편(27')이 형성된 하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28)와 상층과 설치층으로부터 유입된 하수가 혼합되며, 상단이 상기 커버(26)의 테두리에 삽입되는 확관부(29)로 구성되는 하부 몸체(22)와, 상기 상부 몸체(21)와 하부 몸체(22)를 금속링 없이 체결한 상태에서 외면에 압착된 연질의 외피(b)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외피를 갖는 배수 접속관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배수 접속관을 구성하는 상기 상부 몸체(21)와 하부 몸체(22)를 각각 사출성형 한 후, 상기 사출된 상하부 몸체(21,22)를 체결하고, 상기 결합된 부분 전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때, 상기 사용되는 접착제는 금속과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고무, 목재와 고무, 플라스틱제와 고무 등을 접합할 때 사용하는 특수 접착제인 케미록을 사용한다.
다음에, 상기 상하부 몸체(21,22)가 체결된 형태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상하부 성형틀을 두개로 분리한 다음, 분리된 각각의 성형틀에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으로 형성된 외피 재료인 연질재를 위치시킨다. 다음에 상기 상하부 몸체(21,22) 체결부인 상부 몸체의 커버 테두리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하부 몸체(21,22)를 상기 연질재가 위치한 상기 성형틀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연질재가 상하부 몸체 외면에 접합할 수 있는 온도로 상기 성형틀을 가열한다. 이때, 연질판으로 고무를 사용할 경우 성형틀의 온도는 180℃가 적당하다. 다음에 상기 가열된 성형틀들을 상 호 압착하여 연질재가 상하부 몸체(21,22) 외주면 전면에 압착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배수 접속관은 금속링과 고주파 접합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외피를 부착하는 것만으로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일체로 접합할 수 있다.
다음에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접속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2에서 설명한 내피(a)를 상하부 몸체(31,32)를 체결 하기전에 하부 몸체(32)의 확관부(39)에 부착하고, 금속링 없이 상하부 몸체를 체결한 다음, 상부 몸체(31)의 상층 배수관 체결부(34)와, 설치층 하수관 체결부(35) 및 하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38)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c,c',c")을 각각 체결한다. 다음에 상기 도3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연질의 외피를 압착하여 고무링(c,c'.c")과 연질의 외피 및 상하부 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배수 접속관(30)을 제조한다. 즉, 배수 접속관의 확관부가 외피, 몸체, 내피 등 3가지 층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고무링이 외피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방음, 보온 및 누수 방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다음에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접속관(4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부 몸체(41)는 상층 수직관 체결부(44)와 커버(46)로 구성되고, 하부몸체(42)는 하층 수직관 체결부(48)와 설치층 하수관 체결부(45)와 확관부(49)로 구성된다.
또한, 도2에서 설명한 내피(a)를 상하부 몸체(41,42)를 체결하기 전에 하부 몸체(42)의 확관부(49)에 부착하고, 금속링 없이 상하부 몸체를 체결한 다음, 상부 몸체(41)의 상층 배수관 체결부(44)와, 하부몸체(42)의 설치층 하수관 체결부(45) 및 수직 하수관 체결부(48)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c,c',c")을 각각 체결한다. 다음에 상기 도3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외피를 압착하여 고무링(c,c',c")과 연질의 외피, 상하부 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배수 접속관을 제조한다. 즉, 배수 접속관의 확관부가 외피, 몸체, 내피 등 3가지 층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고무링이 외피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방음, 보온 및 누수 방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접속관은 확관부 내주면에 연질의 내피를 부착함으로써 상층 하수와 설치층 하수가 상기 확관부 내벽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돌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확관부를 이중 또는 삼중으로 형성하여 보온 효과를 높임으로써 동절기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4 내지 도6의 배수 접속관은 금속링과 고주파 접합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외피 압착과정에서 일체로 접합함으로써 고주파 접합 공정에 따른 번거로움과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완제품에 대한 수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 접속관을 이중 또는 삼중으로 형성함으로써 배수 접속관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배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동절기에 발생하기 쉬운 결로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배수 접속관의 운반이나 하역 작업시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으로부터 몸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 접속관 상부 몸체와 하부몸체에 누수와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고무링을 외피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후 시공시 별도로 고무링을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상층 수직 배수관을 체결하고 하단에 와류익편이 형성된 상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와, 설치층의 하수관을 체결하는 하수관 체결부와, 상기 상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 및 하수관 체결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커버로 구성된 상부 몸체와; 하층 수직 배수관을 체결하고 내주면에 와류익편이 형성된 하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와, 상층과 설치층으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혼합하는 확관부로 구성된 하부 몸체를 갖는 배수 접속관에 있어서,
    상기 상층과 하층의 수직 배수관 체결부 및 설치층 하수관 체결부에 체결되어 있는 고무링들과,
    상기 배수 접속관 외면에 압착되고, 상기 고무링들에 접합되어 있는 연질의 외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접속관.
  3. 삭제
  4. 삭제
  5. 상층 수직 배수관을 체결하고 하단에 와류익편이 형성된 상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와, 상기 상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와 일체로 형성하는 커버로 구성된 상부 몸체와; 하층 수직 배수관을 체결하고 내주면에 와류익편이 형성된 하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와, 측면에 형성된 설치층 하수관 체결부와, 상층과 설치층으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혼합하는 확관부로 구성된 하부 몸체를 갖는 배수 접속관에 있어서,
    상기 상층과 하층의 수직 배수관 체결부 및 설치층 하수관 체결부에 체결되어 있는 고무링들과,
    상기 확관부 내주면에 접합되어 확관부의 내주면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연질의 내피와,
    상기 배수 접속관 외면에 압착되고, 상기 고무링들에 접합되어 있는 연질의 외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접속관.
  6. 상층 수직 배수관을 체결하고 하단에 와류익편이 형성된 상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 및 설치층 하수관 체결부로 구성된 상부 몸체와, 하층 수직 배수관을 체결하고 내주면에 와류익편이 형성된 하층 수직 배수관 체결부와 상층과 설치층으로부터 유입된 하수가 혼합되는 확관부로 구성된 하부몸체를 각각 사출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사출성형된 상하부 몸체를 체결하고, 체결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부 몸체가 체결된 형태와 동일한 외형의 성형틀을 두개로 분리한 후 각 틀에 연질재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하부 몸체를 상기 성형틀 중 일측의 연질재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질재가 상하부 몸체에 접합될 수 있는 온도로 성형틀을 가열시키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성형틀들을 상호 압착하여 연질재를 상하부 몸체 외면에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접속관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몸체를 체결하기 전에 하부 몸체의 확관부에 확관부의 내면과 동일한 형태의 연질의 내피를 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접속관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몸체를 체결하고, 상하부 몸체의 각 배수관 체결부에 고무링을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부 몸체의 체결된 부분과 고무링이 체결된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접속관 제조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단단한 고체와 연질의 고무를 접합하는데 사용되는 케미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접속관 제조방법.
  10. 제 6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수 접속관.
  11. 제 7 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수 접속관.
KR1020040011615A 2004-02-21 2004-02-21 배수 접속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680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615A KR100680135B1 (ko) 2004-02-21 2004-02-21 배수 접속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615A KR100680135B1 (ko) 2004-02-21 2004-02-21 배수 접속관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555U Division KR200352094Y1 (ko) 2004-02-21 2004-02-21 배수 접속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068A KR20050083068A (ko) 2005-08-25
KR100680135B1 true KR100680135B1 (ko) 2007-02-08

Family

ID=3726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615A KR100680135B1 (ko) 2004-02-21 2004-02-21 배수 접속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440B1 (ko) * 2018-09-21 2019-06-18 강현녀 음수대에 적용하는 동파방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068A (ko) 200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7283A (en) End caps for drainage system
CA2222250A1 (en) A method of connecting a construction member to a structural element
KR100680135B1 (ko) 배수 접속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352094Y1 (ko) 배수 접속관
JP4911771B2 (ja) 両端部に継手部を有する合成樹脂製管
US20040208704A1 (en) Manhole structure constructing method, manhole structure water-stop flexible joint and manhole structure
US20210396015A1 (en) Sump drai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0909880B1 (ko) 방수시트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수조
JP2008281167A5 (ko)
JP5202768B2 (ja) 継手付き合成樹脂管およびその接続構造
CA3121905A1 (en) Sump drai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20150029421A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101715262B1 (ko) 커넥터 일체형 빗물받이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제조용 지그,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빗물받이 제조방법
KR100617522B1 (ko) 수밀형 맨홀의 접속관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CN111594264A (zh) 一种寒区隧道用加热保温集成预制侧沟
KR100502944B1 (ko) 소음방지 삼중 이음관의 제조방법 및 그 이음관
KR101193013B1 (ko) 콘크리트 타설물의 신축 및 수축 이음조인트장치
KR200218346Y1 (ko) 방음 및 보온 효과를 갖는 배관용 이음관
KR101158513B1 (ko) 콘크리트 구조체의 연결관 연결용 플랜지 어셈블리
JPS62211111A (ja) 成形体の開口部分へのインサ−ト成形方法
KR100633009B1 (ko) 배수 접속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수접속관
US7222885B2 (en) Drain seal for vehicle drain tube
KR101560780B1 (ko) 방수시공용 시트 어셈블리
JP2004324045A (ja) ドレン接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2758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