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607B1 -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 Google Patents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607B1
KR100679607B1 KR1020050117515A KR20050117515A KR100679607B1 KR 100679607 B1 KR100679607 B1 KR 100679607B1 KR 1020050117515 A KR1020050117515 A KR 1020050117515A KR 20050117515 A KR20050117515 A KR 20050117515A KR 100679607 B1 KR100679607 B1 KR 100679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lve
ring
air passag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1020050117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2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 flexibl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불을 넣는 압축보관대의 공기를 빼내어 부피를 줄임과 함께 공기 유입을 차단시켜 습기 및 곰팡이균 등으로 보호하며 보관 사용하는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진공보관대의 소정 위치로 밀착 고정되고, 내부 저면 원주상으로 요홈부(12)를 형성하여 그 바닥으로 공기통로(13)와 공기통로 외측으로 돌출된 밀착돌기(14)를 형성하는 동체(10)와, 중앙 원주상으로 동체(10)의 공기통로(13)와 동일 방향의 배기통로(23)를 형성하는 지지판(20)과, 원주 상부에 지지판(20)과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한 간격돌기(45)와 원주 하부에 요홈부(12)로 삽입되도록 결합된 오링(50)을 구성하되, 상기 오링(50)은 그 하단과 측면이 동체 요홈부(12)의 내측면(12a)과 바닥의 밀착돌기(14)에 밀착되는 구조로 공기통로(13)의 기밀을 유지하는 밸브(40)로 구성하므로서, 밸브의 오링이 동체의 요홈부에 단순히 삽입, 이탈되는 작동에 의해 오링의 복수면으로 공기통로를 밀착하는 다단계 기밀구조와 공기통로가 일방향으로 연결되어 통하게 형성하므로서 공기통로 개방/차단 작동 및 공기배출작동이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제공됨은 물론 오랜 사용으로도 오링 및 기밀구조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고, 그 기밀 유지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불, 압축보관대, 공기 배출밸브, 오링, 다단계, 기밀성, 압축

Description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An outlet of a case for pressing and keeping bedclothes}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작동도.
도 7은 종래 공기배출밸브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보관대 10: 동체
12: 요홈부 13: 공기통로
14: 밀착돌기 20: 지지판
23: 배기통로 26: 공기유입홈
30: 공간부 40: 밸브
45: 간격돌기 50: 오링
본 발명은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이불을 넣는 압축보관대의 공기를 빼내어 이불의 부피를 줄임과 함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켜 습기 및 곰팡이균 등으로 부터 보호해주도록 보관 사용하는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불은 보온재로서 솜, 양모, 양털, 거위털, 화학솜, 합성섬유 등의 재료를 속에 넣은 침구류이다.
이러한 이불은 부피가 커서 운반, 보관이 불편할 뿐만아니라 고온 다습한 시기에는 습기가 차고, 곰팡이균 등이 침입하여 섬유소가 손상됨은 물론 악취가 베는 등의 손상으로 그 보관 관리가 매우 어려웠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불을 진공상태로 압축보관할 수 있는 압축보관대가 다수 알려진 바 있다.
이러한 압축보관대는 플라스틱 시트로 형성된 보관대상에 이불을 넣을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입구부와, 공기 배출을 위한 공기배출구를 형성하여 내부에 이불이나 의류등을 입구부를 통해 삽입한 후 입구부를 닫고 상기 공기배출구로 진공 청소기 등을 연결하여 보관대 내부의 공기를 진공 흡입하므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보관대 내부의 이불이나 의류 등의 부피를 압축하여 감소시킴은 물론 습기나 곰팡이균으로 부터 보호하도록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압축보관대의 공기배출구는 등록실용신안 제311951호에서와 같이 원판형 형상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내부에 단턱에 의해 형성된 요부와, 상기 요부 상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공기유통로를 구성한 본체와; 내부에 삽입공이 형성된 밸브판을 일체로 형성한 밸브체와; 원통 형상의 기둥체로 상기 밸브체와 상호 조립함과 동시에 본체상에 상호 조립되는 끼움케이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공기배출구는 진공 청소기 등의 흡입구를 끼움케이싱으로 밀착 삽입하여 동작시키면, 상기 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유통로를 차단하고 있던 밸브판이 상방향으로 굽어지게 개방되면서 보관대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보관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 후, 상기 청소기를 분리하면 상기 밸브판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 복원되면서 공기유통로를 다시 차단함과 함게 외부와의 압력차이로 상기 밸브판은 공기유통로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공기배출구는 진공 청소기 등의 흡입력에 의한 밸브판의 굽어지는 휨성만으로 개방작동하기 때문에 공기유통로의 개방 정도가 미흡하고, 뿐만아니라 진공 청소기 등을 분리한 후에도 밸브판의 탄성력이 약해 신속한 공기유통로의 차단을 제공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특허등록 제522293호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보관대(2)상에 원판형 고정판(3')과 그 중심으로 단차를 이루며 원기둥 형태의 공기통로(4)를 형성하는 동체(3)와, 상기 동체의 공기통로에 삽입되며 상하 슬라이드 되면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돌기부(6)를 갖는 밸브(5)와, 상기 밸브의 상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지지판(7)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밸브(5)의 돌기부(6) 외주연에는 기밀 유지를 오링(8)을 삽입하여 공기통로(4)의 내벽면에 밀착하면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공기배출밸브는 상기 진공 청소기 등의 흡입력에 의해 밸브(5)가 상승하게 되고 그 돌기부(6)가 공기통로(4)를 따라 상승 개방하게 되면서 밸브(5)상의 구멍(5')과 공기통로(4)를 통해 보관대 내부 공기를 흡입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보관대 내부의 공기를 흡입 배출 완료한 후 상기 청소기를 분리하면 대기압과 보관대 내부의 압력차에 의해 밸브(5)가 하방으로 원위치 이동하면서 그 돌기부(6)가 공기통로(4)를 다시 차단하고 또한 밸브가 지지판(7)내로 삽입되면서 밸브(5)상의 구멍(5')을 차단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공기 배출밸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첫째, 상기 밸브(5)의 돌기부(6)가 원기둥 형태의 공기통로(4) 내벽면에서 상하로 마찰력을 발생하며 슬라이드 작동하면서 완전이 이탈되거나 삽입되는 면접촉 방식에 의해 공기 배출/차단을 이루게 되므로 진공 청소기 등의 흡입력이 약할 경우 또는 밸브의 흡입력이 수직으로 일정하게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에 그 작동이 곤란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둘째, 상기 밸브(5)의 돌기부(6)가 오링(8)과 함께 공기통로(4)내벽면에서 상하로 마찰력을 발생하며 슬라이드 작동되면서 오링(8)의 마모가 심하고, 이로 인해 기밀 유지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돌기부(6)상의 오링(8)은 외측면만이 공기통로(4)에 밀착되는 단순한 기밀구조로 되어 있어 이 부분의 마찰 마모를 유발하는 경우에 기밀 유지가 곤란하게 되는 구조상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동체(3)의 공기통로는 동체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밸브(5)의 구멍(5')은 밸브 상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공기 배출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공기 배출통로가 지그재그 형성되면서 공기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과, 상기 밸브의 상승 개방작동에도 불구하고 공기통로(4) 및 밸브(5)의 구멍(5')이 즉각 신속하게 개폐되지 않는 등의 작동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진공 청소기 등의 흡입력에 의한 밸브의 개방/차단 작동, 공기배출작동이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제공됨은 물론 오랜 사용으로도 오링 및 기밀구조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므로 사용상의 신뢰도를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 상의 오링이 복수면으로 공기통로에 밀착되는 다단계 기밀구조를 제공하므로서 기밀 유지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보관대의 소정 위치로 밀착 고정되고, 내부 저면 원주상으로 요홈부를 형여 그 바닥으로 공기통로와 공기통로 외측으로 돌출된 밀착돌기를 형성하는 동체와, 중앙 원주상으로 동체의 공기통로와 동일 방향의 배기통로를 형성하는 지지판과, 원주 상부에 지지판과의 간격을 유지하므로 배기통로를 개방유지 하기 위해 돌출 형성한 간격돌기와 원주 하부에 요홈부로 삽입되도록 결합된 오링을 구성하되, 상기 오링은 그 하단과 측면이 동체 요홈부의 내측면과 밀착돌기에 밀착되는 다단계 밀착구조로 공기통로의 기밀을 유지하는 밸브로 구성된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보관대(2)의 소정 위치로 밀착 고정되는 원판형 고정판(11)과 내부에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동체(10)와, 상기 동체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20)과, 상기 동체와 고정판 사이의 공간부(30)로 삽입되어 진공 청소기 등의 흡입력에 의해 지지판(20)에 안내 상승하면서 오링에 의해 공기통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밸브(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동체(10)는 내부 저면 원주상으로 요홈부(12)를 형성하여 그 바닥으로 공기통로(13)와 공기통로 외측으로 돌출된 밀착돌기(14)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20)은 중앙 원주상으로 동체(10)의 공기통로(13)와 동일 방향의 배기통로(23)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40)는 원주 상부에 지지판(20)과의 간격을 유지하므로 배기통로(23)를 개방 유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한 간격돌기(45)와 원주 하부에 요홈부(12)로 삽입되도록 결합된 오링(50)을 구성하되, 상기 오링(50)은 그 측면과 하단이 동체 요홈부(12)의 내측면(12a)과 바닥의 밀착돌기(14)에 밀착되는 다단계 밀착구조로 공기통로(13)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판(20)의 상부 원주상에는 방사상으로 진공 청소기 등의 흡 입구 등을 밀착하되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틈새를 형성하도록 공기유입홈(26)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상기 진공 청소기 등의 흡입작동에 의해 외부 공기를 함께 흡입하면서 상부의 압력이 낮아져 밸브(40)의 자연스러운 상승 개방작동 및 흡입구의 자연스러운 분리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로서, 15는 밸브(40)의 안내홈(42)이 안내되는 동체상의 안내바, 18은 동체의 리브, 19는 지지판(20)상의 결합돌기(29)가 삽입되어 상호 결합하기 위한 동체(10)상의 결합홈, 42는 밸브(40)의 안내돌기(41)가 안내되는 지지판상의 안내공, 47은 밸브(40)상에 오링(5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이불 압축보관대(2) 상에 구비된 입구부(미도시)를 통해 보관하고자 하는 이불이나 의류 등을 삽입하여 입구부를 차단하므로 보관대를 밀폐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 등의 흡입구를 공기배출밸브의 지지판(30) 상부로 밀착하여 작동하므로 보관대(2) 내부의 공기를 흡입 배출하면서 압축하게 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진공 청소기 등의 흡입구를 지지판(3) 상부의 원주상에 방사상으로 구비된 공기유입홈(26)에 밀착한 상태로 작동하면 밸브(40)를 상부로 빨아 올리면서 흡입 작동을 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가 공기유입홈(26)에 의해 형성된 틈새에 의해 외부 공기를 함께 흡입하게 되면서 상부의 압력을 낮게 하므로 밸브(40)를 상부로 빨아 올리는 작동이 자연스럽게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밸브(5)가 상부로 빨아 올려지는 상승 작동과 함께 상기 밸브(40)의 원주 하부에 구비된 오링(50)이 동체 요홈부(12)에서 이탈되면서 공기통로(13)를 개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오링(50)은 동체 요홈부(12)에 단순히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상태이므로 종래와 같이 돌기부가 원기둥 형태의 공기통로 내벽면에 면접촉되어 마찰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개방하는 것이 아니므로 진공 청소기 등의 흡입력에 의해 신속하게 상승 개방됨은 물론 오링(50)의 마모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밸브(40)가 상승 개방되어 공기통로(13)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공기통로(13)와 지지판(20)상의 배기통로(23)를 통해 보관대(2)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흡입 배출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동체상의 공기통로(13)와 지지판(20)상의 배기통로(23)를 원주상의 동일 방향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보관대 내부의 공기를 흡입 배출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40)는 원주 상부에 간격돌기(45)를 형성하고 있어 밸브가 흡입력에 의해 상승 개방시에 밸브의 상부, 즉 간격돌기(45)가 지지판(20)의 내측 상부벽에 맞닿아 지지되므로 밸브(40)와 지지판(20)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기 때문에 배기통로(23)를 통한 보관대 내부의 공기 배출을 더욱 원활하게 제공하게 되는 것 이다.
이와 같이하여 보관대(2) 내부의 공기를 모두 배출하여 압축하면, 진공 청소기 등의 흡입구를 지지판(20)상부에서 분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는 공기유입홈(26)에 의해 외부 공기를 함께 흡입하게 되면서 상부의 압력을 낮게 형성하므로 흡입구를 지지판(20)상에서 간편하게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흡입구를 분리하여 그 흡입력을 제거하면, 외부와의 압력 차이로 인해 밸브(40)는 하강하여 그 오링(50)이 요홈부(12)에 원위치 삽입되면서 기밀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밸브(40)의 오링(50)은 동체 요홈부(12)에 단순히 삽입되는 작동으로 기밀을 유지하기 때문에 오링의 마모방지는 물론 그 작동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제공되게 되고, 특히 상기 오링(50)의 측면과 하단이 동체 요홈부(12)의 내측면(12a)과 바닥의 밀착돌기(14)에 밀착되는 다단계 밀착구조로 공기통로(13)의 기밀을 확실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40)는 작업자가 그 상단을 수작동으로 다시 한번 눌러주는 것에 의해 오링(50)이 요홈부(12)에 더욱 효과적으로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비교하여 볼때, 밸브(40)의 원주 하부에 동체 요홈부(12) 중앙으로 삽입되는 연장단(48)을 돌출 형성하여 이를 감싸도록 오링(50')을 결합 구성하되, 상기 오링(50')은 그 측면과 하단이 동체 요홈부(12)의 내측면(12a)과 바닥의 밀착돌기(14')에 밀착되는 다단계 밀착구조로 공기통로(13)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밸브(40)의 오링(50')이 동체 요홈부(12)에 단순히 삽입,이탈되는 작동으로 개방 및 기밀 유지를 행하기 때문에 오링의 마모방지는 물론 그 작동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제공됨은 물론 오링(50')의 측면과 하단이 동체 요홈부(12)의 내측면(12a)과 바닥의 밀착돌기(14')에 밀착되는 다단계 밀착구조로 공기통로(13)의 기밀을 확실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상기 오링(50')은 밸브 연장단(48)의 끝단으로 감싸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오링이 연장단(48)에 지지되어 요홈부(12)에 삽입, 이탈되는 작동이 더욱 용이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배출밸브는 밸브의 오링이 동체의 요홈부에 단순히 삽입, 이탈되는 작동에 의해 오링의 복수면으로 공기통로를 밀착하는 다단계 기밀구조와 공기통로가 일방향으로 연결되어 통하게 형성하므로서 공기통로 개방/차단 작동 및 공기배출작동이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제공됨은 물론 오랜 사용으로도 오링 및 기밀구조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고, 그 기밀 유지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진공 보관대(2)의 소정 위치로 밀착 고정되는 원판형 고정판(11)과 내부에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동체(10)와, 상기 동체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20)과, 상기 동체와 고정판 사이의 공간부(30)로 삽입되어 진공 청소기 등의 흡입력에 의해 지지판(20)에 안내 상승하면서 오링에 의해 공기통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밸브(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동체(10)는 내부 저면 원주상으로 요홈부(12)를 형성하여 그 바닥으로 공기통로(13)와 공기통로 외측으로 돌출된 밀착돌기(14)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20)은 중앙 원주상으로 동체(10)의 공기통로(13)와 동일 방향의 배기통로(23)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40)는 원주 상부에 지지판(20)과의 간격을 유지하므로 배기통로(23)를 개방 유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한 간격돌기(45)와 원주 하부에 요홈부(12)로 삽입되도록 결합된 오링(50)을 구성하되, 상기 오링(50)은 그 측면과 하단이 동체 요홈부(12)의 내측면(12a)과 바닥의 밀착돌기(14)에 밀착되는 다단계 밀착구조로 공기통로(13)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의 상부 원주상에는 방사상으로 진공 청소기 등의 흡입구 등을 밀착하되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틈새를 형성하도록 공기유입홈(26)을 형 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40)의 원주 하부에 동체 요홈부(12) 중앙으로 삽입되는 연장단(48)을 돌출 형성하여 이를 감싸도록 오링(50')을 결합 구성하되, 상기 오링(50')은 그 측면과 하단이 동체 요홈부(12)의 내측면(12a)과 바닥의 밀착돌기(14')에 밀착되는 다단계 밀착구조로 공기통로(13)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KR1020050117515A 2005-12-05 2005-12-05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KR100679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515A KR100679607B1 (ko) 2005-12-05 2005-12-05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515A KR100679607B1 (ko) 2005-12-05 2005-12-05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668U Division KR200408241Y1 (ko) 2005-11-29 2005-11-29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607B1 true KR100679607B1 (ko) 2007-02-08

Family

ID=3810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515A KR100679607B1 (ko) 2005-12-05 2005-12-05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6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581B1 (ko) 2009-05-12 2011-10-11 민형구 진공 보관 팩의 밸브장치
KR101372306B1 (ko) 2012-12-06 2014-03-13 박봉자 진공 포장용기용 진공밸브장치
KR20190035055A (ko) 2017-09-26 2019-04-03 (주)엠제이무역 이불 압축 보관팩의 공기배출 밸브
CN111594741A (zh) * 2020-04-30 2020-08-28 于帅博 一种汽车机油泵壳体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581B1 (ko) 2009-05-12 2011-10-11 민형구 진공 보관 팩의 밸브장치
KR101372306B1 (ko) 2012-12-06 2014-03-13 박봉자 진공 포장용기용 진공밸브장치
KR20190035055A (ko) 2017-09-26 2019-04-03 (주)엠제이무역 이불 압축 보관팩의 공기배출 밸브
CN111594741A (zh) * 2020-04-30 2020-08-28 于帅博 一种汽车机油泵壳体
CN111594741B (zh) * 2020-04-30 2022-03-25 于帅博 一种汽车机油泵壳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607B1 (ko)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KR100684669B1 (ko)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KR101188223B1 (ko) 진공보관용 지퍼백의 체크밸브
KR200408241Y1 (ko)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KR101083102B1 (ko) 이불 압축 보관대의 진공밸브
KR100874691B1 (ko)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KR200414999Y1 (ko)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KR200417833Y1 (ko) 이불 압축보관대의 공기 배출밸브
US20200039724A1 (en) Vacuum-sealed container
KR100522934B1 (ko) 이불 압축 보관대의 공기 배출 밸브
KR200357852Y1 (ko) 압축팩용 흡입밸브
KR200407648Y1 (ko) 캡의 분리 없이 보관대 내부의 공기흡입이 가능한 이불압축 보관대
KR101072581B1 (ko) 진공 보관 팩의 밸브장치
KR101007004B1 (ko) 의류용 압축보관대의 공기배출밸브
KR101016326B1 (ko) 의류용 압축보관팩
KR101962244B1 (ko) 압축 비닐팩을 위한 흡입 밸브
KR200379352Y1 (ko) 이불 압축 보관대의 공기 배출 밸브
KR200368762Y1 (ko) 이불 압축팩용 밸브체
KR101876324B1 (ko) 진공 데시케이터
KR20200001690U (ko) 진공 압축 보관대의 공기 배출 밸브
KR101812795B1 (ko) 압축 비닐팩을 위한 흡입 밸브
KR20060003848A (ko) 진공포장용 비닐팩
JP3225210U (ja) 真空鮮度保存容器
KR20050029337A (ko) 압축수납팩과 그 제조방법
TWI648468B (zh) 電動抽真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