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569B1 - 교량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동시에 구성하는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 이를 구비한 교량 바닥판 및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동시에 구성하는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 이를 구비한 교량 바닥판 및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9569B1 KR100679569B1 KR1020060026520A KR20060026520A KR100679569B1 KR 100679569 B1 KR100679569 B1 KR 100679569B1 KR 1020060026520 A KR1020060026520 A KR 1020060026520A KR 20060026520 A KR20060026520 A KR 20060026520A KR 100679569 B1 KR100679569 B1 KR 1006795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ttom plate
- precast
- cantilever
- bridge
- precast cantile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10—Cantilevered erection
- E01D21/105—Balanced cantilevered er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prestressed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분리대를 설치하게 되는 교량 바닥판의 중앙부분에서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를 시공함에 있어서 고소에서 동바리, 거푸집 등을 설치하여야만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소 작업으로 인한 사고 위험을 감소시키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공기 지연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 후의 동바리, 거푸집 등의 건설 폐자재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서, 반단면 형태의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을 조립 설치함으로써 신속 간편하고 안전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중앙분리대 설치위치에서의 교량 바닥판 캔틸레버부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과, 이를 구비한 교량 바닥판, 그리고 이러한 교량 바닥판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1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과, 하행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은 각각 수평부(11)와 수직부(12)를 포함하고 있고 교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패널 형태의 반단면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되며; 각각의 수직부(12)가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을 이루게 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의 양 측 주형(1)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동시에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캔틸레버 바닥판, 이를 구비한 교량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콘크리트, 주형, 바닥판, 캔틸레버, 교량, 시공, 중앙분리대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하여 외측 캔틸레버부를 시공하는 형상을 보여주는 교량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을 구비한 교량 바닥판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을 설치하는 과정 단계를 각각 보여주는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c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형
10...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
본 발명은 교량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 이를 구비한 교량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분리대를 설치하게 되는 교량 바닥판의 중앙 부분에서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를 시공함에 있어서, 반단면 형태의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을 조립 설치함으로써 신속 간편하고 안전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중앙분리대 설치위치에서의 교량 바닥판 캔틸레버부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한 새로운 구조의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과, 이를 구비한 교량 바닥판, 그리고 이러한 교량 바닥판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교량을 시공함에 있어서, 주형 위에 거치되는 교량 바닥판은 일반적으로 동바리 및 거푸집 설치를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하여 제작된다. 주형과 주형 사이의 내부 지간의 경우 반단면 프리캐스트 패널이나 전단면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하여 바닥판을 시공하기도 하지만, 교량 주형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부분 즉,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cantilever部)는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인하여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해서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에는, 상,하행선의 두 교량이 횡방향으로 이웃하여 시공되는 교량에서, 중앙분리대(300)가 설치될 위치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100)를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하여 시공하는 형상을 보여주는 교량의 개략적인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주형(200)과 주형(200) 사이의 내부 지간의 바닥판은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더라도, 종래의 기술로는 상기와 같은 주형(200) 외측의 캔틸레버부, 특히 중앙분리대(300)가 설치될 위치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100)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시공할 수는 없고 어쩔 수 없이 현장타설 콘크리트로 시공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하여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10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소에서 동바리(101)와 거푸집(102)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고소에서의 동바리 및 거푸집 설치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추락, 낙하물 발생 등의 사고 위험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추가 비용 발생, 공기 지연, 건설 폐자재의 발생 등의 문제점도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중앙분리대를 설치하게 되는 교량 바닥판의 중앙부분에서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를 시공함에 있어서 위와 같이 고소에서 동바리, 거푸집 등을 설치하여야만 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소 작업으로 인한 사고 위험을 감소시키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공기 지연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 후의 동바리, 거푸집 등의 건설 폐자재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 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1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과, 하행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은 각각 수평부와 수직부를 포함하고 있고 교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패널 형태의 반단면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되며; 각각의 수직부가 서로 대면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캔틸레버 바닥판을 이루게 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의 양측 주형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동시에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의 수직부에는 앵커볼트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의 수직부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판형의 연결고정부재가 상기 양측의 수직부에 걸쳐지도록 교축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앵커볼트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이 결합되어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교량 주형 위에 설치되며, 상,하행 교량의 바닥판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행 교량의 외측 주형 사이에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구비하고 있는 교량 바닥판으로서, 상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1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과, 하행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를 이룬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은 각각 수평부와 수직부를 포함하고 있고 교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패널 형태의 반단면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되어 상기 수직부 사이에 중간재가 구비된 상태로 연결고정부재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상기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을 형성하며; 상기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이 상기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의 외측 주형 사이에 설치된 후 상기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의 수평부 상부로 현장타설 콘크리트가 시공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가 동시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바닥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하행 교량의 바닥판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행 교량의 외측 주형 사이에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구비하고 있는 교량 주형 상부의 교량 바닥판 시공방법으로서, 각각 수평부와 수직부를 포함하고 있고 교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패널 형태의 반단면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되어 상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1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과, 하행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을 각각 사전에 또는 동시에 제작하고;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과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을 그 수직부 사이에 중간재가 구비된 상태로 연결고정부재에 의하여 서로 결합하여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을 제작하고; 상기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을 인양하여 상기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의 외측 주형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의 수평부 상부로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시공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바닥판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아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의 구성 및 시공방법 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을 구비한 교량 바닥판의 개략적인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2에서 단면을 나타내는 사선은 표시하지 아니하였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은, 상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1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과 하행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프 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은 각각 수평부(11)와 수직부(12)를 포함하고 있으며 교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패널 형태의 반단면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을 이루게 되고, 이러한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이,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의 양측 주형(1)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동시에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수직부(12) 사이에는 일시적으로 중간재(13)가 구비되는데, 상기 중간재(13)는,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을 동시에 제작할 때, 양측을 구분하는 칸막이로서, 그리고 거푸집으로서 기능하게 되며, 후술하는 것처럼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을 운반, 인양할 때,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이 흔들려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채움재로서 기능을 한다. 상기 중간재(13)는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이 주형(1) 사이에 설치된 후 제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간재(13)가 존재하고 있던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수직부(12) 사이의 공간은, 교량의 횡방향 신축이나, 바닥판의 처짐으로 인한 단부회전에 대한 여유 간격으로 기능하게 된다. 상기 중간재(13)로는 합성수지, 합판 등의 판재를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은 반단면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될 수 있는데, 후술하는 것처럼 교량 바닥판 의 완성을 위한 그 상부에 콘크리트(30)가 타설되었을 때 상기 후타설 콘크리트(30)와 완전한 합성작용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수평부(11) 상면은 거친 면 처리가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11)의 상면에는 상기 후타설 콘크리트(30)와의 전단 합성에 의한 전단 저항력 향상을 위하여 전단연결재(15)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에는 횡방향 연결철근(16)이 배근될 수 있는데, 상기 횡방향 연결철근(16)의 일측은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상기 수평부(11)의 측면에서 교량 바닥판 방향으로 노출되어 교량 바닥판을 위한 후타설 콘크리트(30) 내에 배근되는 철근과 연결된다. 후술하는 연결고정부재(20)가 설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확장수직부(12a)의 경우에는, 그 확장수직부(12a)의 측면으로도 상기 횡방향철근(16)의 일측이 노출되도록 하여 후타설 콘크리트(30) 내의 철근과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수직부(12)를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을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을 이루게 하고, 이를 운반하고 인양 설치하는 과정 그리고 후타설 콘크리트(30)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 사이에서 발생하는 휨응력, 전단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수직부(12) 상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수직부(12)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연결고정부재(20)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을 제작할 때, 미리 각각의 수직부(12)에 앵커볼트(17)를 그 상부가 노출되도록 고정 설치하여 두고,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수직부(12)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판형의 연결고정부재(20)를 양측의 수직부(12)에 걸쳐지도록 교축 직각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앵커볼트(17)가 연결고정부재(20)를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부재(18)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수직부(12)를 가로질러 상기 연결고정부재(20)를 설치한다.
이러한 연결고정부재(20)를 설치할 때, 충분한 개수의 앵커볼트(17)가 설치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고정부재(20)의 설치 위치에서 수직부(12)에는 그 두께를 더욱 확장시킨 확장수직부(12a)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고정부재(20)의 상면에는 보강을 위하여 수직 보강부(21)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수직 보강부(21)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즉, 도 3에서는 수직 보강부(21)의 개수를 달리한 형태로 연결고정부재(20)를 도시하였는데, 도 3에서 조립도로 도시된 앞쪽의 연결고정부재(20)처럼 상기 수직 보강부(21)가 2개 구비되거나 뒤쪽의 연결고정부재(20)처럼 1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 내지 도 4c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4a는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이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의 양측 주형(1)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b는 도 4a에 후속하여 교량 바닥판을 위한 후타설 콘크리트(30)를 상기 주형(1) 및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 상부에 타설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c는 중앙분리대(31)의 설치를 완료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구체적인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앞서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에 따라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을 사전 제작하고 연결고정부재(20)를 설치하여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을 제작한다. 후속하여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의 양측 주형(1) 사이로 상기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을 인양하여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수평부(11) 단부가 양측 주형(1) 각각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연결고정부재(20)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을 결합함으로써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을 제작하고, 이러한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을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의 양측 주형(1) 사이로 인양, 거치함으로써 상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와 하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동시에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의 양측 주형(1) 사이로 상기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이 거치되면, 상기 너트부재(18)를 해제하여 연결고정부재(20)를 제거한 후,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주형(1) 위와 상기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의 수평부(11) 위로는 후타설 콘크리트(30)를 타설하여 교량 바닥판은 시공하게 된다. 이 때 주형(1) 상부의 후타설 콘크리트(30) 내에 배근되는 보강철근(3)과,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측면으로 노출된 횡방향 연결철근(16)을 서로 연결시켜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속하여 4c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분리대(31)를 설치한 후 아스콘 등의 포장재료(40)를 포설한다. 필요한 경우,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수직부(12) 사이에 존재하였던 중간재(13)는 제거한다.
위에서 살펴본 실시예에서는, 중앙분리대(31)가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의 중앙, 즉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수평부(12) 상부를 덮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를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c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의 수평부(11)를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b)의 수평부(11) 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수직부(12) 상부가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반단면 형태의 제1 및 제2 프리 캐스트 콘크리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을 사전 제작한 후 이를 연결고정부재(20)를 이용하여 일체화시켜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을 제작하여, 이를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의 양측 주형(1) 사이로 인양, 거치한다. 따라서 상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와 하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동시에 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캔틸레버 바닥판의 제작이 모두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사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를 시공하였던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고소에서의 동바리, 거푸집 등을 설치작업이 필요 없다. 따라서 고소에서의 설치작업으로 인한 사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공사비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으며, 목재 동바리, 합판 거푸집 등의 건설 폐자재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하게 되므로 다양한 곡면이나 문양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고, 품질관리가 용이하게 되므로 바닥판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 상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1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과, 하행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b)으로 구성되며;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은 각각 수평부(11)와 수직부(12)를 포함하고 있고 교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패널 형태의 반단면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되며;각각의 수직부(12)가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을 이루게 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의 양측 주형(1) 사이에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동시에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캔틸레버 바닥판.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수직부(12)에는 앵커볼트(17)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수직부(12)가 서 로 마주한 상태에서 판형의 연결고정부재(20)가 상기 양측의 수직부(12)에 걸쳐지도록 교축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앵커볼트(17)와 체결됨으로써,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이 결합되어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
- 교량 주형 위에 설치되며, 상,하행 교량의 바닥판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행 교량의 외측 주형(1) 사이에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구비하고 있는 교량 바닥판으로서,상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1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과, 하행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b)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를 이룬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을 포함하며;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은 각각 수평부(11)와 수직부(12)를 포함하고 있고 교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패널 형태의 반단면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되어 각각의 수직부(12)가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고정부재(2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상기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을 형성하며;상기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이 상기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의 외측 주형(1) 사이에 설치된 후 상기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의 수평부(11) 상부로 현장타설 콘크리트(30)가 시공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가 동시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바닥판.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수직부(12)에는 앵커볼트(17)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의 수직부(12)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고정부재(20)가 상기 양측의 수직부(12)에 걸쳐지도록 교축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앵커볼트(17)와 체결됨으로써,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 10b)이 결합되어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바닥판.
- 상,하행 교량의 바닥판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행 교량의 외측 주형(1) 사이에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구비하고 있는 교량 주형 상부의 교량 바닥판 시공방법으로서,각각 수평부(11)와 수직부(12)를 포함하고 있고 교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패널 형태의 반단면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되어 상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1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과, 하행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b)을 각각 사전 제작하고;상기 제1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a)과 제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b)을 그 수직부(12) 사이에 중간재(13)가 구비된 상태로 연결고정부재(20)에 의하여 서로 결합하여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을 제작하고;상기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을 인양하여 상기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의 외측 주형(1) 사이에 설치하고;상기 양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10)의 수평부(11) 상부로 현장타설 콘크리트(30)를 시공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상,하행 교량 바닥판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바닥판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6520A KR100679569B1 (ko) | 2006-03-23 | 2006-03-23 | 교량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동시에 구성하는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 이를 구비한 교량 바닥판 및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26520A KR100679569B1 (ko) | 2006-03-23 | 2006-03-23 | 교량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동시에 구성하는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 이를 구비한 교량 바닥판 및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79569B1 true KR100679569B1 (ko) | 2007-02-08 |
Family
ID=3810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26520A KR100679569B1 (ko) | 2006-03-23 | 2006-03-23 | 교량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동시에 구성하는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 이를 구비한 교량 바닥판 및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956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5361B1 (ko) * | 2008-08-05 | 2011-08-08 | 진용상 | 교량 상판의 중앙분리대 시공용 데크 |
-
2006
- 2006-03-23 KR KR1020060026520A patent/KR10067956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5361B1 (ko) * | 2008-08-05 | 2011-08-08 | 진용상 | 교량 상판의 중앙분리대 시공용 데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1715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그 제작방법 및 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 |
KR20090050520A (ko) |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78999B1 (ko) |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 | |
KR20150037786A (ko) | Psc거더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100012404A (ko) |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 |
KR101742046B1 (ko) | 교량용 강합성 거더 및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 | |
KR101482522B1 (ko) |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29263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수직연결 관통구조를 갖는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0704055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 |
KR102229182B1 (ko) |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 |
KR101205761B1 (ko) | 높은 지지 능력을 가지면서 경량화된 합성 거더 교량의 상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
KR20180029121A (ko) | 연속 지점부에 콘크리트가 합성된 강박스 합성거더 및 그 시공 방법 | |
KR100679569B1 (ko) | 교량의 중앙분리대측 캔틸레버부를 동시에 구성하는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 이를 구비한 교량 바닥판 및그 시공방법 | |
KR102267643B1 (ko) |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1688440B1 (ko) |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 | |
JP3429459B2 (ja) | 橋床ハンチの施工方法 | |
CN215211802U (zh) | 一种新型预制楼板及其连接结构 | |
CN210562680U (zh) | 一种带槽的预制板的连接节点 | |
CN111733695B (zh) | 桥梁用伸缩缝配筋构造、桥梁伸缩缝结构及施工方法 | |
CN211114143U (zh) | 一种预制板的连接节点 | |
CN112359965A (zh) | 一种带肋模构造的预制混凝土装配式结构及其施工方法 | |
CN112663788A (zh) | 一种装配式快速施工方法 | |
KR101172895B1 (ko) | Phc 거더 및 phc 거더 제작방법과 이를 이용한 강합성 슬래브 교량 가설방법 | |
KR20200086915A (ko) | 비부착 구간과 컷팅포켓을 활용한 프리텐션 방식의 연속지간 프리캐스트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 |
KR20190001131U (ko) | 단열재 일체형 외줄 트러스거더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