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937B1 -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937B1
KR100678937B1 KR1020040070346A KR20040070346A KR100678937B1 KR 100678937 B1 KR100678937 B1 KR 100678937B1 KR 1020040070346 A KR1020040070346 A KR 1020040070346A KR 20040070346 A KR20040070346 A KR 20040070346A KR 100678937 B1 KR100678937 B1 KR 100678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message
information
output pattern
referenc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1564A (ko
Inventor
윤성민
김범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0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937B1/ko
Priority to US11/216,092 priority patent/US20060088165A1/en
Priority to CNA2005100998076A priority patent/CN1744076A/zh
Publication of KR20060021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출력될 메시지에 적용할 출력 패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출력 패턴이 변화하게 되는 기준 시각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패턴을 상기 기준 시각과의 시간 차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연속 정보, 아날로그(Analog),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Description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digital device using user-friendly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디스플레이에서 아날로그 방식으로 시간 약속을 알리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혹은 외부 디스플레이부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시간 약속을 알리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혹은 외부 디스플레이부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시간 약속을 알리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연속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통해 사용자 친화적으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와 출력 패턴 설정이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와 출력 패턴 설정과 출력 정보의 계산 과정이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 서버 600, 700 : 클라이언트
본 발명은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데이터들은 디지털화되어 처리되고 있다. 음성, 영상 등의 아날로그 데이터들도 모두 디지털화되어 처리되고 있으며, 이제 디지털은 단지 컴퓨터 분야에만 국한된 명제는 아니다. 이러한 기술 흐름에 힘입어, 많은 데이터들은 디지털화되어 처리되고 있다.
한편 0과 1로 표현되는 디지털 표현 방식은 인간에게 단절적인 정보를 줄 수 있다. 인간의 사고 방식은 이산적(discrete)이라기 보다는 연속적이며, 디지털(digital)화된 표현 보다는 아날로그(analog)적인 표현에 익숙하다. 음성과 영상의 디지털화는 결국, 아날로그적인 신호에 최대한 가까이 가기 위한 방법이기도 하다. 스크롤 바를 통해 윈도우 내에서 컨텐츠를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은 이러한 인간의 아날로그적인 마인드에 부합하는 인터페이스라 볼 수 있다.
최근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연구하는 분야에서는 친인간적인 구성이 가장 효율적이고, 인간에게 많이 어필함에 주목을 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은 여전히 디지털적인 표현에 국한된다. 예를 들어 어떤 스케쥴링에 따라 사용자에게 약속된 시간을 알릴 경우, 몇 분 전, 혹은 해당 시간에 팝업 화면 또는 알림 기능을 통해 일순간 정보를 보여주는 방식을 취한다. 또한 노트북 또는 휴대폰 등의 배터리 용량 표시에 있어서도, 배터리의 잔여량을 몇 단계로 나누어, 현재 어느 단계에 속하는 지를 나타내는 방식이다.
종래 한국 공개특허출원(10-2004-0044769)에 의할 때, 일정 혹은 약속 시간을 등록하면서, 알림 시간 간격도 함께 등록을 하게 한다. 즉 6시간 전, 하루 전, 이틀 전, 삼일 전, 일주일 전을 지원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런데 이러한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방식은 사용자에게 앞으로 얼마의 시간 후가 약속시간인가에 대해 정해진 시간에만 인지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시간의 흐름과 약속 시간이 가까워졌음을 알릴 수 없다. 즉, 이산적이며 분산된 알림 정보가 주어지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정보를 알려줄 수 없다.
이러한 이산적인 방식은 연속적인 변화에 익숙한 인간에게는 불편함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따라서, 연속적인 변화를 통해 데이터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방식의 사용자 친화적인 정보 제공의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친화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정보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표현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출력될 메시지에 적용할 출력 패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출력 패턴이 변화하게 되는 기준 시각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패턴을 상기 기준 시각과의 시간 차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는 출력될 메시지와 상기 메시지에 적용할 출력 패턴 및 상기 출력 패턴이 변화하게 되는 기준 시각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출력 패턴을 상기 기준 시각과의 시간 차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는 출력될 메시지와 상기 메시지 에 적용할 출력 패턴 및 상기 출력 패턴이 변화하게 되는 기준 시각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메시지와 출력 패턴, 기준 시각을 포함하는 출력 정보 객체를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는 메시지와 출력 패턴, 기준 시각을 포함하는 출력 정보 객체를 서버에서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출력 패턴을 상기 기준 시각과의 시간 차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외부 디스플레이부
외부 디스플레이부는 해당 디지털 장치에서 데이터를 출력하는 주 디스플레이부가 아닌 다른 디스플레이부를 통칭한다. 이 외부 디스플레이부는 주 디스플레이부와 다른 위치에 존재하며, 다른 위치라 함은, 주 디스플레이부 측면이 될 수도 있고, 뒷면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텔에서 제안한 EMA(Extended Mobile Access)는 모바일 인터넷 피씨의 기능 중 하나로 휴대용 디지털 장치가 닫힌 상태에서도 간단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외부 디스플레이부는 이러한 EMA 장치를 포함한 것이며, 유기 EL, LC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문자 정보가 아닌 색상의 변화만을 보여주는 보조 디스플레이부도 포함한다.
- 메시지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텍스트, 그림, 동영상과 특정 인터페이스의 온오프 형태일 수 있다. 텍스트는 숫자, 문자, 특수문자 등을 포함한다. 그림은 단색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포함하며, 윈도우의 작업창의 타이틀 바의 일부도 그림에 해당한다. 동영상이라 함은 특정 그림이 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그 크기가 점점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도 포함한다. 온오프는 빛이나 색상, 소리 등이 꺼지거나 켜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진동도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메시지는 디지털 장치의 소프웨어적, 하드웨어적인 출력을 포함하며, 외부 창에 표현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전등의 밝기도 메시지가 될 수 있다.
- 출력 패턴
메시지를 출력하는 패턴으로서, 채도, 명도, 휘도의 조정, RGB 색상 조정, 소리의 크기 조정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메시지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가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할 경우, 이 변화를 연속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채도, 명도 등의 정보를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출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약속시간에 가까워짐을 나타내기 위해 채도를 높이거나 낮출수 있는데, 출력 패턴은 이러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들 정보는 어떤 방식으로 출력하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RGB 색상 조정을 예로 들 때, 특정 요소의 숫자를 순차적으로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 출력, 표시
특정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변화를 가지는 방법을 가리킨다. 화면의 특정 부분의 색의 변화, 혹은 깜빡임, 소리, 진동 등이 출력 또는 표시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나타내는 출력과 표시는 데이터를 출력 장치를 통해 나타내는 것 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 디스플레이에서 아날로그 방식으로 시간 약속을 알리는 블록도이다.
101은 사용자가 현재 작업중인 작업창(Window)이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즈 운영체계하에서의 작업창일 수 있고, X 윈도우즈 운영체계 하에서의 작업창일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이나 PDA에서의 현재 메뉴일 수 있다. 103, 105는 기존의 디지털 방식에 따른 약속 알림 방식이다. 103은 약속 시간 5분 전으로 작은 창을 하나 띄워서 알리는 방식이다. 105는 약속시간 1분 전을 알리는 작은 창이 띄워진다.
반면 102와 104에서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약속 시간을 알려준다. 102는 103과 같이 약속 시간이 5분 전이다. 이러한 표시는 112의 타이틀 바의 일부 혹은 전부에 컬러로 표시한다. 1분 전인 104의 예에서도 114와 같이 타이틀 바의 일부 혹은 전부가 컬러로 표시된다. 다만, 112와 114는 컬러의 강약으로 구분하여 약속시간이 가까워졌음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112에는 노란 색 또는 연두 색 등 진하지 않은 색으로 출력하고 114에서는 붉은 색 또는 파란 색으로 출력한다. 사용자는 112와 114와 같이 타이틀바의 색의 변화를 통해 점차적으로 시간이 흘러 약속시간이 가까워진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위 예에서 102와 104는 일종의 그림으로 메시지의 한 예가 되며, 컬러의 강약은 출력 패턴의 한 예가 된다.
이렇게 아날로그 방식으로 표현할 경우, 사용자는 특정 팝업 창에 의해 작업 을 방해받지 않으면서도, 타이틀 바의 색의 변화를 통해 약속시간이 다가옴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약속 시간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트북에서의 배터리의 잔량 표시를 할 수 있으며, 날씨, 주식, 교통과 같은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날씨의 경우, 온도의 변화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컬러에 매치시켜서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주식의 경우, 원하는 가격을 설정하여 그 가격에 가까워질 때, 컬러가 진한 색으로 변하도록 세팅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모두 메시지를 통해 알리고자 하는 정보가 된다.
상기의 날씨, 주식과 같은 정보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특정 통신 프로그램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 혹은 하드디스크나 메모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것은 해당 시스템의 내부 정보를 이용하여 표현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의 눈에 잘 띄는 곳에서 나타나야 한다. 도 1과 같이 사용자가 현재 작업중인 창의 일부(태스크 바와 같은)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항시 모니터나 LCD 창을 통해 볼 수 있는 작업바와 같은 부분에도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바탕화면의 컬러를 변화시키는 것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정보는 지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약속 시간을 알리는 것도 현재 시간에서 약속 시간까지의 잔여 시간이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것이며, 배터리의 잔량 역시 사용에 의해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날씨의 경우, 온도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정보이며, 주가의 경우도 시 시각각으로 변하는 정보이다. 특정인의 위치정보 역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일 실시예로 약속 시간, 위치 추적에 관한 정보 등을 들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출력 패턴 역시, 색의 변화 외에도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깜빡임의 주기를 조절하여, 특정 목표값에 도달할 경우 깜빡임이 빨라지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출력 패턴은 정보를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나타내는 방식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혹은 외부 디스플레이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시간 약속을 알리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메시지가 특정 윈도우창을 통해 나타난것과 달리, 하드웨어 장치를 통해 나타나는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메시지는 이하 설명하게 될 하드웨어 장치를 통해 제시되는 정보들을 포함한다.
도 2는 노트북(500)에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외부창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EMA 방식을 채용하는 외부 디스플레이(150)에서 약속 시간을 출력하는 방식을 살펴보면, 116과 같이 EMA의 특정 부분의 색이 변화된다. 이러한 변화는 도 1에서 살펴본 옅은 색에서 진한 색으로 변하는 것이 하나의 예가 될 것이다. 한편, EMA 외에도 노트북을 제어하는 외부 컨트롤러(리모트 컨트롤)(160)의 출력창의 일부를 변화시킬 수 있다.
EMA 혹은 리모트 컨트롤의 창이 아닌 전용 디스플레이 부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118과 같은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유기 EL등을 사용하여 출력할 수 있 다. 출력 방법 역시 전술한 컬러의 출력 강도의 변화를 통해 약속 시간에 가까워짐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잔량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알릴 수 있음을 전술하였다.
EMA 창의 색, 혹은 외부 컨트롤러의 출력창의 일부분의 색 역시 메시지가 될 수 있으며, 이들 색상의 변화는 출력 패턴의 일 실시예가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혹은 외부 디스플레이창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시간 약속을 알리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노트북의 외부면에 장착되거나 리모트 컨트롤에 장착된 외부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정보를 알리는 일 실시예이다.
도 3은 이와는 달리 사용자의 주 디스플레이부 옆에 간단한 디스플레이 창(132, 134)을 두어 여기에 출력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노트북(500)의 주 디스플레이부 양측에 유기 EL 등으로 구성한 보조 디스플레이부(132, 134)가 존재한다. 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작업 중에 약속 시간이 다가오거나, 배터리의 잔량이 소진되는 경우, 또는 관심 주식의 주가가 미리 설정한 가격대에 가까워지는 경우에 보조 디스플레이부는 진한 색으로 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연속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출력할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메시지를 설정한다(S10). 출력할 정보에는 약속 시간을 정할 수 있고, 배터리 잔량, 주식에서 관심 종목의 특정 주가, 날씨 정보, 특정인 또는 특정 건물과의 거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메시지를 설정한다. 메시지에는 특정 문자가 될 수 있고, 특정 그림이 될 수 있다. 또한 동영상이 될 수도 있다.
메시지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출력 패턴을 설정해야 한다(S12). 출력 패턴에는 도 1에서 살펴본 컴퓨터 혹은 PDA, 휴대폰 등 주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이 있으며, 또는 도 2 내지 3에서 살펴본 노트북 외부의 EMA 창, 리모트 컨트롤의 창 혹은 주 디스플레이부 좌우에 설치된 보조 디스플레이부와 같이 하드웨어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이 있다. 색상을 변화시킬 것인지, 채도를 변화시킬 것인지 등을 정할 수 있으며, 어떤 값에서 어떤 값으로 변화시킬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 패턴에는 경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 처음에는 노란색으로 출력하고, 시간의 변화에 따라 빨간색으로 출력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밝기의 경우 시작할 밝기의 값과 최대치 혹은 목표치에 도달할 때의 밝기의 값을 정할 수 있다. 색상의 변화의 경우는 RGB 색상표를 이용해서 일정 부분 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통해 가능하다. 색의 변화 외에도 깜빡임의 횟수, 조도, 채도, 명도, 휘도 등도 조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특정 아이콘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크게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아이콘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크게 하는 것은 메시지가 동영상인 경우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출력 패턴 기준 시각을 설정한다(S14). 예를 들어, 약속 시간을 설정한다면, 30분 전부터 출력을 할지, 혹은 지금부터 출력을 할 지를 정하게 되는데, 이것이 출력 패턴 시작 기준 시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몇시 몇분이라는 약속 시간이 출력 패턴 종료 기준 시각이 될 수 있다. 시작 기준 시각의 경우, 설정이 없다면 현재의 시각이 될 수 있다.
배터리 잔량 표시의 경우, 최대 배터리 잔량이 알려지는 시각이 시작 기준 시각이 될 수 있고, 배터리 잔량이 없어지는 시각이 종료 기준 시각이 될 수 있다. 기준 시각은 약속 시간과 같이 직접적인 시간 데이터가 될 수 있고, 특정 정보가 변하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특정인의 위치가 얼마나 가까워졌는지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에서는 특정인의 위치가 100m에 이르렀을 때가 출력 패턴 시작 기준 시각이 될 수 있으며, 특정인이 도착했을 때가 출력 패턴 종료 기준 시각이 될 수 있다.
S10, S12, S14 단계의 설정이 이루어지면, 출력할 정보를 계산한다(S20). 출력할 정보라는 것은 지금 약속 시간에서 얼마 전인지, 혹은 특정인의 위치가 현재 어디인지, 배터리의 잔량이 얼마인지를 계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통신 등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내부 계산과정을 거쳐 얻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정보는 디지털 방송 정보 또는 외부 서버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 외에도 약속 시간의 알림, 배터리 잔량과 같은 해당 디지털 장치 내에서 검토하여 알리는 정보도 포함된다.
계산한 정보는 S12단계에서 설정한 출력 패턴에 따라 출력한다(S22). 예를 들어, 특정 RGB 컬러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이 출력 패턴에 정의되었다면, S20단계에서 계산한 정보가 수치상에서 어느 정도의 비율로 진행이 되었는지를 계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속 시간이 오후 5시이고, 출력 패턴 시작 기준 시각이 오후 4시인데, 현재 시간이 4시 30분이라면 출력 패턴 시작 기준 시각에서 출력 패턴 종료 기준 시각인 약속 시간의 절반에 위치하므로 이를 표현하기 위한 계산이 필요하다. 물론 특정 건물과의 가까워짐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물리적 위치가 출력하기 위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출력 후에 종료 기준 시각이 현재 시각과 같다면 종료한다(S24). 그러나 종료 기준 시각이 현재 시각과 다르다면, 다시 출력할 정보를 계산하여 연속적인 변화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도 4의 플로우는 설정을 담당하는 부분과 이를 출력하는 부분이 하나의 디지털 장치 내에 존재하는 경우의 플로우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아날로그 방식의 출력은 반드시 하나의 디지털 장치내에서 설정되어 출력될 필요가 없다. 특히, 홈 네트워크가 구축되면서 많은 가전기기와 서버와의 통신이 이루어지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비쿼터스 환경 내에서 서버에서 설정한 출력 정보를 다른 여러 기기들이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통해 사용자 친화적으로 데이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서 메시지 설정과 출력 패턴의 설정은 노트북(500)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설정에 따라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보여주는 역할은 HPC(171) 또는 전등(172)이다.
도 4의 설정 과정은 노트북에서 이루어진다. 도 5의 일 실시예로 가족이 집에 어느 정도 가까이 왔는가를 나타내고자 한다. 가족의 일원인 A의 휴대폰을 통해 위치 추적이 가능한 상황에서, A가 집에 어느 정도 가까워진 경우 그 거리를 점진 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가 집에서 1km 가까워진 시점부터 집에 도착하는 시점까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노트북을 통해 이루어지는 설정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4에서 S10 단계에서 출력할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메시지를 설정한다. 출력할 정보로는 A의 현재 위치가 된다. 현재 위치에 대한 추적은 A가 가지고 있는 휴대폰을 통해 가능하다. 메시지는 HPC(171)의 경우에는 메뉴바의 특정 부분, 혹은 바탕 화면이나, HPC에 부착된 외부 디스플레이부의 색상 변화를 보여주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전등의 경우에는 불빛이 될 수 있다.
그리고 S12단계에서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패턴을 설정한다. 출력 패턴에는 출력 장치로 HPC(171)와 전등(172)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 장치에 따라 어떻게 출력할 지를 설정할 수 있다. HPC(171)에서는 메뉴바 또는 타이틀 바에 점진적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전등(172)에서는 전등의 불빛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경계 설정은 어떤 값에서 어떤 값으로 바뀌게 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것으로, HPC(171)의 경우에는 타이틀 바의 색을 옅은 색에서 진한 색으로 바뀌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전등(172)의 경우에는 전등의 불빛을 처음에는 꺼진 상태에서, 가장 환한 상태로 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목표값에 도달할 경우, HPC의 경우 특정 팝업창을 띄우거나, 전등의 경우 불을 깜빡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을 마친 후, S14단계에서 출력 패턴의 기준 시각을 설정한다. 출력 패턴 시작 기준 시각은 집에서 1km의 거리에 A가 있는 시점이 될 것이며, A가 집에 오는 경우, 즉 A와 집과의 거리가 0이 되는 때가 출력 패턴 종료 기준 시각이 된다.
이러한 설정을 한 후 S20 단계에서는 출력할 정보를 계산한다. 출력할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A의 현재 위치가 되며, 이 정보는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계산할 수 있다. 출력할 정보의 계산은 출력 장치에 따라 달라지는데, HPC(171)은 독자적으로 프로세싱이 가능하며, 또한 통신 기능이 있으므로, 휴대폰의 위치 추적을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위치 추적은 휴대폰에서도 할 수 있고 노트북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노트북을 통해 수신되는 A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어떤 색을 타이틀 바에 출력해야 하는지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전등(172)의 경우에는 연산 능력이나 복잡한 통신 기능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때에는 노트북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데이터가 지시하는 바대로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S22단계에서는 출력 패턴에 따라 출력한다. 이는 전술한 단계에서 설정한 바 대로 HPC(171)의 메뉴바, 전등(172)의 불빛 등으로 출력 할 수 있다.
HPC(171)의 경우에는 독자적인 프로세싱 능력이 있으므로 현재값의 위치를 계산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전등(172)의 경우, 독자적인 프로세싱 능력이 없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S20 단계의 출력을 위한 계산은 노트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노트북은 위치계산을 하여 어떤 밝기에 해당하는지를 전등(172)로 송신하면 전등은 이에 해당하는 밝기에 맞게 조절한다.
출력한 후, 출력 패턴 종료 기준 시각이 현재 시각과 다르다면(S24), 다시 출력할 정보를 계산하고, 출력 패턴 종료 기준 시각이 현재 시각과 같다면, 더 이 상 진행하지 않고 종료할 수 있다.
도 4의 순서도는 사용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정보의 선택과 설정, 출력 패턴의 설정 과정과 출력할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 그리고 상기 정보를 출력 패턴에 따라 출력하는 과정을 하나에 포함하고 있다. 이는 노트북과 휴대폰, 컴퓨터와 같이 연산 능력을 가지는 경우 하나의 디지털 장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정 과정과 수신하는 과정, 그리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이 반드시 하나의 디지털 장치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서 살펴본 HPC의 예와 같이, 정보의 선택과 설정 과정은 노트북에서 이루어지고,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과 출력하는 과정은 HPC에서 수행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5의 전등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정보의 선택과 설정 과정, 정보 계산 과정은 노트북에서 이루어지고, 출력하는 과정만 전등에서 수행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노트북은 서버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고 HPC와 전등은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수행하며 도 4에서 나타난 단계들을 분담하게 된다. 이는 특히 홈 네트워크의 경우, 혹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분담에 따른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기능 수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와 출력 패턴 설정이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a)는 서버측에서 수행되는 순서를 보여준다. S110내지 S114까지는 도 4의 S10내지 S14와 같은 설정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S110내지 S114에 대한 설명은 도 4의 S10 내지 S14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고자 한다. 다만, S110의 메시지 설정 은 서버측의 출력이 아니므로, 어떤 클라이언트에서 어떻게 출력할 것인가를 클라이언트의 환경에 맞게 설정하는 정보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HPC라는 클라이언트에서 출력할 것이고, HPC의 메뉴바 또는 바탕화면의 색을 바꾸는 것을 통해 정보를 알릴 것이라는 사항을 설정할 수 있다.
S115단계에서는 서버에서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에서 출력하므로, 이를 위한 출력 정보 객체를 생성한다. 출력 정보 객체에는 S110내지 S114까지 설정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출력 정보 객체를 생성하여 이를 클라이언트에 송신한다(S116).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상기 출력 정보 객체를 가지고 출력과 관계된 작업을 수행한 후의 처리 결과를 수신하고 종료한다(S150).
(b)는 클라이언트측에서 수행되는 순서를 보여준다. 서버에서 S110내지 S114단계를 통해 설정한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 객체를 서버로부터 수신한다(S119). 여기에는 어떤 정보를 어떻게 출력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와 출력 패턴 등을 포함한다. 이 출력 정보 객체를 분석하여 어떤 정보의 값이 필요한 지를 알게된 클라이언트는 출력할 정보를 계산한다(S120). 계산한 결과에 따라 정해진 출력 패턴에 따라 출력하고(S122), 종료 기준 시각이 현재 시각과 같은지를 검토하여(S124), 같으면 서버에게 처리 결과와 완료되었음을 송신한다. 같지 않은 경우, 다시 출력 정보를 계산하기 위해 S120 단계로 간다. 여기서 출력 정보를 계산한다는 것은 도 5의 예에서 HPC가 직접 위치 추적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같은 상황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HPC에서 날씨 정보를 직접 수신하여 계산하는 경우도 포함하며, 약속 시간까지의 잔여시간을 내부 타이머를 통해 계산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6은 설정은 서버에서, 그리고 변화하는 값의 수신 및 처리와 출력은 클라이언트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도 5의 서버와 HPC 간의 작업이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도 6의 순서도에서의 클라이언트는 현재값을 독자적으로 수신하거나 계산이 가능해야 한다. 위치추적결과를 사용하는 도 5의 실시예에서 HPC는 A의 위치추적 결과를 직접 수신한다. 또한 약속 시간을 알리는 경우, HPC는 내부 시간 모듈을 통해 약속시간의 흐름을 계산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서버가 설정만을 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나, 서버에서 메시지와 출력 패턴을 설정하고 출력할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까지도 이루어지고, 클라이언트는 계산한 정보와 출력 패턴에 따라 출력하는 과정까지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도 6의 S119와 S120의 과정이 서버에서 수행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는 도 7에서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와 출력 패턴 설정과 출력 정보의 계산 과정이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a)는 서버측에서 수행되는 순서를 보여준다. S210내지 S220까지는 도 4의 S10내지 S20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S210내지 S220에 대한 설명은 도 4의 S10 내지 S20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고자 한다. 다만, S210의 메시지 설정은 서버측의 출력이 아니므로, 어떤 클라이언트에서 어떻게 출력할 것인가를 클라이언트의 환경에 맞게 설정하는 정보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등이라는 클라이언트에서 출력할 것이고, 전등의 불빛을 조절하는 것을 통해 정보를 알릴 것이라는 사항을 설정할 수 있다.
S220에서 계산한 출력할 정보의 계산이 이루어지면, 이를 출력하기 위해 클라이언트로 보내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출력할 정보에 따른 출력 정보 객체를 생성한다(S227). 약속 시간을 전등의 불빛으로 표시한다면, 현재 시간과 약속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여 어떤 불빛으로 나타낼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이에 해당한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현재의 정보와 출력 패턴 시작 기준 시각과 출력 패턴 종료 기준 시각사이의 비율을 계산하거나 출력할 정보를 계산할 연산 능력이 없는 경우에 서버에서 어떤 방식으로 출력할 것인가를 모두 정해서 출력 정보 객체를 생성하여 이를 클라이언트에 송신한다(S240). 그리고 현재값과 출력 패턴 종료 기준 시각이 같은지 검토하여, 다르면 다시 출력할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S220)로 돌아가고, 같다면 작업이 완료되었으므로 종료하게 된다.
(b)는 클라이언트측에서 수행되는 순서를 보여준다. 서버에서 S210내지 S227단계를 통해 출력할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 객체를 서버로부터 수신한다(S250). 그리고 이 메시지 객체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출력을 한다(S260). 이 메시지 객체에 포함되는 정보의 예로는, 클라이언트가 전등인 경우 불빛의 밝기 또는 깜빡임의 주기가 될 수 있고, 휴대폰의 경우 화면의 색이 될 수 있다.
도 7의 클라이언트는 도 6의 클라이언트보다 적은 기능을 요한다. 출력할 정보를 수신하거나 계산할 필요가 없고, 단지 출력 패턴에 따른 출력값을 서버에서 수신하여 처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등, 손목 시계와 같이 연산 능력이 적은 장치에서도 가능하다. 물론 휴대폰, HPC와 같이 연산 능력이 있는 디지털 장치도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처리할 경 우 노트북에서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HPC, 휴대폰 등으로 출력 정보를 송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내지 10은 도 4, 도 6 및 도 7을 구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 즉 '~모듈'은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기능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하나의 디지털 장치 내에서 메시지와 출력 패턴의 설정과 출력할 정보의 계산 및 출력 과정이 수행됨을 보여준다.
서버(500)는 크게 설정부(510), 자료입력부(520), 송수신부(530), 출력 정보 계산부(540), 출력 가공부(550) 및 출력부(560)를 포함한다.
설정부(510)는 출력할 메시지과 출력 패턴, 출력 패턴 기준 시각을 설정하는 작업을 한다. 이 작업은 자료 입력부(520)를 통해 이루어진다. 서버가 노트북의 경우 자료 입력부(520)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이 될 수 있으며, 서버가 휴대폰의 경우 자료 입력부(520)는 휴대폰의 키패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부에서의 설정은 시스템 내에서 제공하는 디폴트(Default)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설정부(510)에서 설정한 값을 가지고 현재 출력할 정보의 값이 무엇인지를 계산하는 작업은 송수신부(530)와 출력 정보 계산부(540)에서 이루어진다. 출력할 정보가 주가, 날씨, 위치 추적등과 같이 서버 내부의 계산에 의한 결과가 아닌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정보라면 송수신부(530)를 통해 입력된 자료를 출력 정보 계산부(540)에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약속 시간, 배터리 잔량과 같은 내부 계산에 의한 경우 해당 계산 또는 측정 작업을 하는 모듈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렇게 수신한 정보와 설정부(510)에서 설정한 메시지 및 출력 패턴들을 검토하여 출력 가공부(550)에서는 메시지(타이틀 바 혹은 바탕화면, 또는 외부, 보조 디스플레이부 등)과 출력 패턴(색, 깜빡임, 아이콘의 크기 등)에 따라 계산하여 출력부로 보낸다.
출력부(560)는 상기 출력할 방식에 따라 주 디스플레이부 또는 외부,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될 수 있다. 메시지는 출력부의 일부분이 되며, 이는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일부분이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서버(500)는 도 6의 (a) 순서도에 따른 서버이며, 클라이언트(600)는 도 6의 (b) 순서도에 따른 클라이언트이다.
서버(500)의 설정부(510)는 출력할 메시지과 출력 패턴, 출력 패턴 기준 시각을 설정하는 작업을 한다. 이 작업은 자료 입력부(520)를 통해 이루어진다. 서버가 노트북의 경우 자료 입력부(520)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이 될 수 있으며, 서버가 휴대폰의 경우 자료 입력부(520)는 휴대폰의 키패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부에서의 설정은 시스템 내에서 제공하는 디폴트(Default) 값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이러한 설정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보내기 위한 출력 정보 객체를 생성한다. 송수신부(532)는 클라이언트로 상기 출력 정보 객체를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클라이언트(600)는 서버(500)가 보내는 출력 정보 객체를 송수신부(632)에서 수신한다. 또한 출력할 정보가 외부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정보라면 이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도 송수신부(632)에서 수행한다. 출력 정보 계산부(640)와 출력 가공부(650), 그리고 출력부(660)는 도 8의 서버에서 행해지는 기능을 클라이언트에서 수행하며, 도 8의 출력 정보 계산부(540), 출력 가공부(550) 및 출력부(560)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도 8의 설명으로 대체하고자 한다.
도 9의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일 실시예는 노트북과 휴대폰, 또는 컴퓨터와 손목시계가 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의 서버(500)는 도 7의 (a) 순서도에 따른 서버이며, 클라이언트(700)는 도 7의 (b) 순서도에 따른 클라이언트이다.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설정부(510), 자료 입력부(520), 출력 정보 계산부(540), 출력 가공부(550), 송수신부(560)의 기능은 도 8과 같다.
설정부(510)의 경우 어느 클라이언트에서 출력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를 통해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해 출력 가공부(550)는 클라이언트에 알릴 출력 정보를 출력 정보 객체로 가공한다. 그리고 이 객체를 송수신부(532)를 통해 클라이언트(700)로 송신한다. 도 10의 클라이언트는 도 9의 클라이언트와 달리, 기초적인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송수신부(732)를 가지며, 이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출력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760)을 가지고 있다.
도 10의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일 실시예는 노트북과 전등, 또는 컴퓨터와 알람시계 또는 HPC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친화적인 정보를 제공받아 정보의 변화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함으로써 아날로그적인 방식에 익숙한 사람에게 정보의 변화를 유용하게 제시할 수 있다.

Claims (23)

  1. 출력될 메시지에 적용할 출력 패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출력 패턴이 변화하게 되는 기준 시각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패턴을 상기 기준 시각과 현재 시각과의 시간 차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될 메시지는 텍스트, 그림, 동영상, 온오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될 메시지는 디지털 장치의 윈도우의 작업창의 타이틀 바, 바탕화면, 외부창, 빛의 밝기 또는 색상 조절이 가능한 전등 중 어느 하나에 표현되는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될 메시지는 디지털 장치의 외부 디스플레이부에 표현되는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턴은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턴은 채도, 명도, 휘도의 조정, RGB 색상 조정, 빛의 조도 조정, 소리의 크기 조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각은 출력 패턴의 변화가 시작되는 출력 패턴 시작 기준 시각을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각은 출력 패턴의 변화가 시작되는 출력 패턴 종료 기준 시각을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될 메시지는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디 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될 메시지는 통신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신된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1. 출력될 메시지와 상기 메시지에 적용할 출력 패턴 및 상기 출력 패턴이 변화하게 되는 기준 시각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출력 패턴을 상기 기준 시각과 현재 시각과의 시간 차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될 메시지는 텍스트, 그림, 동영상, 온오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될 메시지는 디지털 장치의 윈도우의 작업창의 타이틀 바, 바탕화면, 외부창, 빛의 밝기 또는 색상 조절이 가능한 전등 중 어느 하나에 표현되는 디지털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될 메시지는 디지털 장치의 외부 디스플레이부에 표현되는 디지털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턴은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패턴은 채도, 명도, 휘도의 조정, RGB 색상 조정, 빛의 조도 조정, 소리의 크기 조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각은 출력 패턴의 변화가 시작되는 출력 패턴 시작 기준 시각을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각은 출력 패턴의 변화가 시작되는 출력 패턴 종료 기준 시각을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될 메시지는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정보를 계산하는 출력 정보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될 메시지는 통신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신된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21. 출력될 메시지와 상기 메시지에 적용할 출력 패턴 및 상기 출력 패턴이 변화하게 되는 기준 시각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메시지와 출력 패턴, 기준 시각을 포함하는 출력 정보 객체를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22. 출력될 메시지와 출력 패턴, 기준 시각을 포함하는 출력 정보 객체를 서버에서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출력 패턴을 상기 기준 시각과의 시간 차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외부 디스플레이부인 디지털 장치.
KR1020040070346A 2004-09-03 2004-09-03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및 장치 KR100678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346A KR100678937B1 (ko) 2004-09-03 2004-09-03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및 장치
US11/216,092 US20060088165A1 (en) 2004-09-03 2005-09-0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friendly information in digital device
CNA2005100998076A CN1744076A (zh) 2004-09-03 2005-09-02 在数字设备中提供用户友好信息的方法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346A KR100678937B1 (ko) 2004-09-03 2004-09-03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564A KR20060021564A (ko) 2006-03-08
KR100678937B1 true KR100678937B1 (ko) 2007-02-07

Family

ID=3613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346A KR100678937B1 (ko) 2004-09-03 2004-09-03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088165A1 (ko)
KR (1) KR100678937B1 (ko)
CN (1) CN17440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975B1 (ko) * 2006-08-23 2007-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정보 표시방법
CN105159536A (zh) * 2015-08-31 2015-12-1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1549A (en) * 1992-07-30 1994-07-19 Crawford Jr John M Medical monitor system
US6259446B1 (en) * 1992-12-23 2001-07-10 Object Technology Licensing Corporation Menu state system
US5630081A (en) * 1995-09-07 1997-05-13 Puma Technology, Inc. Connection resource manager displaying link-status information using a traffic light iconic representation
US6356956B1 (en) * 1996-09-17 2002-03-12 Microsoft Corporation Time-triggered portable data objects
US6006206A (en) * 1997-09-08 1999-12-21 Reuters Limited Data health monitor for financial information communications networks
WO1999023579A1 (en) * 1997-11-05 1999-05-14 Microsoft Corporation Notification scheduling system on a mobile device
JP2001052073A (ja) * 1999-08-17 2001-02-23 Toshitada Kameda 医療計画及び記録支援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媒体
US6590529B2 (en) * 2000-02-14 2003-07-08 Mysky Communications Individualized, location specific weather forecasting system
US6640098B1 (en) * 2000-02-14 2003-10-28 Action Engine Corporation System for obtaining service-related information for local interactive wireless devices
US6901557B1 (en) * 2000-02-25 2005-05-31 Intel Corporation State/activity indication using icons on an LCD
US7030837B1 (en) * 2000-04-24 2006-04-18 Microsoft Corporation Auxiliary display unit for a computer system
US7034777B1 (en) * 2000-08-15 2006-04-25 Logitech Europe S.A. Mini monitor on shared peripheral bus
GB2377149A (en) * 2001-06-30 2002-12-31 Hewlett Packard Co Electronic reminders
US6703930B2 (en) * 2001-10-05 2004-03-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rsonal alerting apparatus and methods
US20030084109A1 (en) * 2001-10-30 2003-05-01 Balluff Daniel A. Efficient message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devices
TWI254551B (en) * 2001-12-11 2006-05-01 Primax Electronics Ltd Electronic answering machine
US7250846B2 (en) * 2002-03-05 2007-07-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user alert
US7233228B2 (en) * 2002-04-29 2007-06-19 Glaxo Group Limited Alerting system
US7640306B2 (en) * 2002-11-18 2009-12-29 Aol Llc Reconfiguring an electronic message to effect an enhanced notification
US6937950B2 (en) * 2002-12-26 2005-08-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imated graphical object notification system
US20040176107A1 (en) * 2003-02-07 2004-09-09 Lovleen Chadha Methods and systems for position based tasks for wireless devices
US7240228B2 (en) * 2003-05-05 2007-07-0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tandby auxiliary processing of information for a computing device
US20050283661A1 (en) * 2004-06-08 2005-12-22 Intel Corporation Diagnostic extended mobile access
US20050289277A1 (en) * 2004-06-29 2005-12-29 Jackson Riley W Data processing on extended mobile access enabled computer
US7084775B1 (en) * 2004-07-12 2006-08-01 User-Centric Ip, L.P.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sending user-centric weather ale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564A (ko) 2006-03-08
US20060088165A1 (en) 2006-04-27
CN1744076A (zh) 200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3088B2 (en) Electronic apparatus
CN101436388B (zh) 终端装置
US20070052615A1 (en) Configurable auxiliary output device for information
EP1821194A2 (en) Screen transmission device, method of generating screen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06243725A (ja) 携帯コンピュータ機器用のバックライトの制御
EP1942396A1 (en) Method of controlling touch pa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JP6432767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CN111210778A (zh) 一种背光源驱动信号调制的方法和装置
CN109901695B (zh) 屏幕省电的显示方法、移动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678937B1 (ko)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및 장치
EP4109439A1 (en) Display device drive method, display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080078660A (ko) 표시 장치
JP4960325B2 (ja) 画像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情報処理方法、画像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160011661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07110332A (ja) 携帯型情報処理端末、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電子機器操作方法
KR20020009684A (ko)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가상화면 구현 시스템
JP2003005717A (ja) 携帯用電子機器
KR10047431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KR20030016739A (ko) 홈 네트워크 및 이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방법
CN112437195B (zh) 提醒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JP2023084481A (ja) 情報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20061402A (ko) 모니터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8236144A (ja) 携帯端末及びキーバックライトの制御方法
JP2002353882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JP6256500B2 (ja) オーディオ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