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653B1 - 다기능 의자 - Google Patents

다기능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653B1
KR100678653B1 KR1020050040701A KR20050040701A KR100678653B1 KR 100678653 B1 KR100678653 B1 KR 100678653B1 KR 1020050040701 A KR1020050040701 A KR 1020050040701A KR 20050040701 A KR20050040701 A KR 20050040701A KR 100678653 B1 KR100678653 B1 KR 100678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ousing
support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177A (ko
Inventor
기 석 우
Original Assignee
기 석 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 석 우 filed Critical 기 석 우
Priority to KR1020050040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653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57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slidingly movable in the base frame, e.g. by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6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with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Tilt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스쇼바를 동작시키기 위한 가스쇼바동작부재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부에 체결 고정된 하우징케이스로 이루어진 승하강운동장치; 상기 승하강운동장치의 하우징케이스와 시트부재 하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재에 대한 롤링 및 언롤링을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언록킹부재가 구비된 롤링수단; 및 상기 하우징 내부 양면에 수평회동축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 후면으로 돌출되는 회동지지판과; 상기 회동지지판 후면 내부에 체결 고정되고, 젖힘지지수단으로써 외측방으로의 회동(젖혀짐)이 지지되는 등받이프레임과; 상기 하우징 전면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외측방으로 젖힘을 언록킹시키기 위한 젖힘언록킹수단으로 이루어진 등받이젖힘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시트부재에 대한 승하강운동이 가능하고, 시트부재에 대한 각도롤링운동을 록킹 및 언록킹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으며, 등받이부재에 대한 젖힘(회동)과 외측으로의 젖힘에 대한 지지력을 선택적으로 진행 할 수 있고,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어, 상체를 바르게 교정하여 허리가 유연해지게 되고, 척추 및 골반이 바르게 되어 요통의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허벅지 및 무릎을 강화시켜 관절염의 예방을 할 수 있고, 특히 회음부와 엉덩이 부위의 뼈(관골)에 대한 자극을 극대화한 마사지를 하게 됨으로써 회음부 및 허리, 고관절, 요추 운동으로 성인 남녀들의 정력증강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허리,골반,척추,교정

Description

다기능 의자{MULTIFUNCTIONAL CHAI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전체적인 구조가 도시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전체적인 구조가 도시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승하강운동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승하강운동을 구성하고 있는 가스쇼바동작부재의 동작상태 단면도.
도 6a,6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승하강운동을 구성하고 있는 스토핑부재의 동작상태 단면도.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롤링운동을 도시한 동작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등받이젖힘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등받이젖힘장치를 도시한 동작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등받이젖힘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젖힘지지수단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보조등받이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보조등받이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이동수단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부재 16 : 로드
18 :가스쇼바 20 : 승하강운동장치
22 : 외측돌출부 22a : 수직공
23 : 내측돌출부 23a : 끼움홈
24 : 하우징 27 : 하우징케이스
27a : 관통공 30 : 가스쇼바동작부재
31 : 수평공 32 : 끼움돌편
32a : 끼움공 33 : 회전레버
34 : 회동받침구 35 : 스토핑부재
36a : 나사공 36b : 수평체결구
36c : 스토핑볼 36d : 스프링
36e : 지지볼트 38 : 끼움돌기
39 : 지지스프링 40 : 회동링크
41 : 안착부 43 : 수평축
44 : 지지회동구 45 : 지지부
46 : 누름부 50 : 롤링돌출부
50a : 베어링롤링홈 51 : 완충돌부
51a : 완충홈 52 : 롤링케이스
54 : 롤링베어링 55 : 고정볼트
56 : 고정너트 57 : 완충부재
57a : 지지부 57b : 경사부
60 : 언록킹부재 64 : 가이드부
64a : 단차가이드홈 66 : 록킹장공
67 : 파지장공 68 : 록킹차단판
80 : 등받이젖힘장치 81 : 수평회동축
82 : 회동지지판 83 : 등받이프레임
84 : 등받이부재 90 : 압축스프링
92 : 밀착시트 94 : 롱-볼트
94a : 머리부 95 : 체결너트
96 : 볼트 97 : 고정캡
100 : 록킹부 110 : 해제부
200 : 언록킹걸림부재 210 : 체결볼트
220 : 고정편 230 : 언록킹걸림편
231 : 걸림부 232 : 수직돌편
300 : 회동부재 310 : 수평통공
320 : 끼움돌편 321 : 끼움통공
330 : 회동레버 340 : 돌출편
341 : 수직통공 350 : 회동구
351,352 : 걸림단턱 354,355 : 걸림돌편
360 : 연결공 370 : 수평이동로드
380,381 : 제1,2스프링 400 : 보조등받이부재
410,420 : 보조등받이 430 : 수직연결대
440 : 가이드홈 450,460 : 가이드레일
470 : 수평연결대 480 : 고정브라켓
500 : 고정케이스 510,710 : 수평스롯공
520 : 수직장홈 530,740 : 수직고정핀
531,741 : 환형안착홈 540,750 : 압축스프링
600,700 : 회전롤러 610,720 : 회전축
730 : 수직장공 760 : 압입고정캡
A : 이동수단 B : 롤링수단
C : 젖힘지지수단 D : 젖힘언록킹수단
본 발명은 다기능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기능 의자를 구성하고 있는 시트부재의 승하강 및 롤링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등받이부재의 젖혀짐 운동이 자유롭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 골반 및 무릎관절을 단련하고, 재활 및 교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각 부위에 적절한 운동과, 부상 및 기능이 약해진 부위에 대한 재활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타입의 기구들이 제공되는 데, 이러한 기구들은 팔, 다리, 허리, 상,하체 및 전신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각 제작되어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이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인체의 각 부위에 대한 근육강화 및 재활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구들 중에서, 여기서는 인체의 중심인 허리부위를 중심으로 다리로 이루어지는 하체부위를 단련 및 재활하기 위한 운동기구, 재활기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하체부위에 대한 기구는 사용자가 앉아서 기구를 잡고, 허리를 회전시키면서 단련시키거나, 다리들 기구에 올려놓은 다음,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는 등 허리 및 다리를 단련시키기 위한 여러 다양한 종래의 기구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구들은 그 크기가 크게 이루어져 있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됨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는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또한 기능이 다 르게 되어 있어 기구들 많이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인 문제점과, 이들의 사용시 사용자에 대한 힘이 많이 들게 되어, 체력이 약한 노약자, 환자들의 재활운동에는 적합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시트부재에 편안하게 앉은 다음, 등받이부재에 등을 기댄 자세에서 적은 힘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운동, 골반운동 및 승하강운동이 가능하고, 허리의 젖혀짐 운동이 자유로운 다기능 의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하부에 이동수단을 갖는 받침대 상부에 입설된 가스실린더와; 상기 가스실린더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로드와; 상기 로드 상부로 돌출되도록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가스쇼바로 이루어진 하부부재로 구성된 다기능 의자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상부가 삽입되는 수직공이 관통형성된 외측돌출부가 형성되고, 끼움홈이 형성된 내측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스쇼바를 동작시키기 위한 가스쇼바동작부재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부에 체결 고정된 하우징케이스로 이루어진 승하강운동장치; 상기 승하강운동장치의 하우징케이스와 시트부재 하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재에 대한 롤링 및 언롤링을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언록킹부재가 구비된 롤링수단; 및 상기 하우징 내부 양면에 수평회동축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 후면으로 돌출되는 회동지지판과; 상기 회동지지판 후면 내부에 체결 고정되고, 젖힘지지수단으로써 외측방으로의 회동(젖혀짐)이 지지되는 등받이프레임과; 상기 하우징 전면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외측방으로 젖힘을 언록킹시키기 위한 젖힘언록킹수단으로 이루어진 등받이젖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는 크게 받침부재(10), 승하강운동장치(20), 롤링수단(B) 및 등받이젖힘장치(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10)는 하부에는 다수의 이동수단(A)이 구비된 받침대(12)와; 받침대(12) 상부 중앙 영역에 입설된 가스실린더(14)와; 가스실린더(14)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로드(16)와, 로드(16) 상부로 돌출되도록 로드(16)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로드(16)를 동작시키는 가스쇼바(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운동장치(20)는 로드(16)의 상부가 삽입되는 수직공(22a)이 관통형성된 외측돌출부(22)가 형성되고, 끼움홈(23a)이 형성된 내측돌출부(23)가 일체로 형성되며, 가스쇼바(18)를 동작시키기 위한 가스쇼바동작부재(30)가 구비된 하우징(24)과; 하우징(24) 상부에 체결 고정되고, 양단으로 대칭되게 날개부(25)(26)가 구비된 하우징케이스(27)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스쇼바동작부재(30)는 하우징(24) 일면에 관통 형성된 수평공(31)과; 수평공(31)과 대응되게 끼움공(32a)이 형성되고, 내측돌출부(23) 상부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편(32)과; 수평공(31)과 끼움공(32a)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회전레버(33)와; 회전레버(33)의 외주연에 축고정되고, 스토핑부재(35)로써 회동이 언록킹되는 회동받침구(34)와; 회동받침구(34) 상부와 외측돌출부(22)의 수직공(22a)에 사이에 위치되어 가스쇼바(18)를 동작시키는 회동링크(40)와; 회동링크(40) 후면 영역의 하우징(25) 내부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38)에 개재되어 회동링크(40)의 회동을 수직으로 지지하게 되는 스프링(3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핑부재(35)는 하우징(24) 일면에 형성된 나사공(36a)과; 나사공(36a)에 수평을 유지하여 체결 고정되는 수평체결구(36b)와; 수평체결구(36b)의 선단 내경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된 스토핑볼(36c)과; 수평체결구(36b) 내부에 개재되어 스토핑볼(36c)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스프링(36d)과; 수평체결구(36b) 후단 내경에 체결 고정되어 지지스프링(36d)을 지지하게 되는 지지볼트(36e)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토핑볼(36c)은 수평체결구(36b) 내부의 스프링(36d)의 탄성력으로써 회동받침구(34) 내측면에 밀착되고, 회전레버(33)의 회동시 회동받침구(34) 내측면으로부터 이탈되어, 회동받침구(34)의 회동을 스토핑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링크(40)는 회동받침구(34) 상부에 전면 영역이 안착되는 안착부(41)와; 안착부(41) 후면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하우징(25)의 일면과 내측돌출부(23) 사이에 수평축(43)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출설된 지지회동구(44) 사이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부(45)와; 지지부(45)의 후면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외측돌출부(22)의 수직공(22a)에 근접되도록 위치되어 가스쇼바(18)를 선택적으로 누르게 누름부(46)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케이스(27)의 날개부(25)(26)에는 팔걸이대(28)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팔걸이대(28)에는 팔걸이(29)가 높이 조절이 가하도록 각각 결합된다.
상기 롤링수단(B)은 시트부재(1) 하부 중앙 영역에 체결 고정되고, 하부중앙 영역에는 베어링롤링홈(50a)이 형성된 롤링돌출부(50)가 형성되며, 상부 중앙 영역에는 완충홈(51a)이 형성된 완충돌부(51)가 일체로 형성된 롤링케이스(52)와; 베어링롤링홈(50a)에 삽입되어 적정 각도로 회전롤링 운동을 하게 되고, 하부가 하우징케이스(27) 상부의 관통공(27a) 외주면에 고정된 롤링베어링(54)과; 하우징케이스(27)의 관통공(27a)과 롤링베어링(54)의 내경을 통과하여 삽입된 고정볼트(55)와; 고정볼트(55)에 체결 고정되어 고정볼트(55)를 하우징케이스(27)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56)와; 고정볼트(55) 상부 외주연에 압착고정되고, 완충돌부(51)의 완충홈(51a) 내부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우레탄 재질의 완충부재(57)와; 하우징케이스(27) 상부와 롤링돌출부(50) 사이에 밀착되어 시트부재(1)의 롤링상태 및 언롤링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언록킹부재(60)로 이루어진다.
이때, 베어링롤링홈(50a)이 형성된 롤링돌출부(50)는 일측 외주연이 절개되고, 볼트 및 너트로써 체결되어 베어링롤링홈(50a) 내부로 롤링베어링(54)이 회전롤링 운동이 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삽입된다.
한편, 상기한 완충부재(56)는 완충돌부(51)의 완충홈(51a)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부(57a)와; 지지부(57a) 상부 영역의 양단이 적정 각도로 테이퍼진 경사부(57b)로 이루어진다.
이때, 완충부재(56)는 재질의 특성상 롤링시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는 데, 완충부재(56)를 구성하고 있는 지지부(57a)는 롤링돌출부(50)의 베어링롤링홈(50a)이 롤링베어링(54)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롤링운동시 완충홈(51a) 내부에 지지되어 롤링회전력에 대한 원심 복원력을 갖게 된다.
그리고, 경사부(57b)는 완충홈(51a) 상부 내부에 부딪히면서 롤링각도(12°)를 설정하게 된다. 즉, 완충부재(56)의 경사부(57b)의 테이퍼진 각도만큼 시트부재(1)가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시트부재(1)는 상부가 엉덩이 부위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전방 중앙 영역에는 회음부(요도부위)가 닿도록 만곡돌부가 형성되며, 후방 양측으로는 엉덩이부위의 뼈(관골)가 닿게 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언록킹부재(60)는 하우징케이스(27)의 후면 단부으로부터 관통공(27a) 영역으로 대응되게 연장 형성되고, 단차가이드홈(64a)이 형성된 가이드(64)와; 단차가이드홈(64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선단에는 롤링베어링(54) 하부 외경에 선택적으로 안착 및 이탈되는 록킹장공(66)이 형성되고, 후부 영역에는 파지장공(67)이 형성된 록킹차단판(6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등받이젖힘장치(80)는 하우징(24) 내부 양면에 수평회동축(8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우징(24) 후면으로 돌출되는 회동지지판(82)과; 회동지지판(82) 후면 내부에 체결 고정되고, 젖힘지지수단(C)으로써 외측방으로의 회동(젖혀짐)이 지지되는 등받이프레임(83)과; 하우징(24) 전면상에 구비되어 등받이프 레임(83)의 외측방으로 젖힘을 언록킹시키기 위한 젖힘언록킹수단(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젖힘지지수단(C)은 내측돌출부(23)의 끼움홈(23a)에 외부로 돌출되게 개재된 압축스프링(90)과; 압축스프링(9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착시트(92)와; 밀착시트(92), 내측돌출부(23)의 끼움홈(23a) 및 회동지지판(82)의 후면 영역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되는 롱-볼트(94)와; 롱-볼트(94)에 체결되고, 회동지지판(82) 상부에 위치되는 체결너트(95)로 이루어진다.
이때, 롱-볼트(94)는 머리부(94a)가 밀착시트(92)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압축스프링(90)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롱-볼트(94)의 머리부(94a)에 볼트(96)로써 고정캡(97)이 체결 고정되어 압축스프링(90)을 압축 및 해제시키게 된다.
상기 젖힘언록킹수단(D)은 회동지지판(82)의 전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록킹부(100)와; 록킹부(100)의 후방 영역에 하우징(24)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해제부(110)와; 록킹부(100)와 해제부(110) 사이에 구비되어 록킹부(100)와 해제부(110)에 선택적으로 걸려 등받이프레임(83)의 젖혀짐을 언,록킹시키기 위한 언록킹걸림부재(200)와; 언록킹걸림부재(200)와 하우징(24) 사이에 구비되어 언록킹걸림부재(200)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언록킹걸림부재(200)는 록킹부(100)와 해제부(200) 사이에 체결볼트(210)로써 체결 고정되고, 록킹부(100)의 선단이 위치되는 노출홈(221)이 형성된 고정편(220)과; 고정편(220) 하부에 위치되어 일측의 체결볼트(210)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외측에는 록킹부(100)와 해제부(110)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는 걸림 부(231)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수직돌편(232)이 형성된 언록킹걸림편(2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부재(300)는 하우징(24)의 타면에 관통 형성된 수평통공(310)과; 수평통공(310)과 대응되게 끼움통공(321)이 형성되고, 내측돌출부(23) 상부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출편(320)과; 수평통공(310)과 끼움통공(321) 사이에 수평을 유지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회동레버(330)와; 회동레버(330)의 내측 외주연에 축고정되고, 외주연에 수직통공(341)을 갖는 돌출편(340)이 형성된 회동구(350)와; 돌출편(340)의 수직통공(341)과 대응되게 언록킹걸림편(230)의 수직돌편(232)에 형성된 연결공(360)과; 수직통공(341)과 연결공(360) 사이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수평이동로드(37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구(350) 외주연 양단에는 걸림단턱(351)(352)이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하우징(24) 내부에는 걸림단턱(351)(352)이 걸리게 되는 걸림돌편(354)(355)이 형성되어, 회동레버(330)의 회동각도를 설정하게 된다.
이때, 수평이동로드(370)의 선단과 돌출편(340) 후면 사이의 수평이동로드(370) 외경과, 돌출편(340) 전면과 수직돌편(232)의 후면 사이에는 각각 제1,2스프링(380)(381)이 개재되어 회동레버(330)의 회동시 압축 및 복귀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프레임(83)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등을 기대게 되는 등받이부재(84) 전면의 허리부위에는 보조등받이부재(40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보조등받이부재(400)는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밀착되어 감쌀 수 있도록 제작된 보조등받이(410)(420)와; 보조등받이(410)(420)의 후면에 수직연결대(430)로써 적정 높이로 각각 연결되고, 가이드홈(440)이 형성된 가이드레일(450)(460)과; 가이드레일(450)(46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평연결대(470)와; 수평연결대(470)의 양측에 고정되어 등받이부재(84)의 후면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브라켓(48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보조등받이(410)(420)는 인체의 허리부위에 밀착되어 허리부위를 양측에서 편안하게 감쌀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형상은 꽃잎, 나뭇잎, 하트 등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0)를 구성하고 있는 받침대(12) 하부에 구비된 이동수단(A)은 받침대(12) 하부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케이스(500)와; 고정케이스(500) 양측으로 수평으로 관통 형성된 수평슬롯공(510)과; 수평슬롯공(510)에 회전축(610)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한쌍의 회전롤러(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케이스(500) 하부에서 수평슬롯공(510)을 관통하여 상부 영역으로 형성된 수직장홈(520)과; 상기 수직장홈(520)에 삽입되고, 하부에는 회전축(610) 외경에 안착되는 환형안착홈(531)이 형성된 수직고정핀(530)과; 수직고정핀(530)의 에 안착되고, 수직장공(520)에 끼워지는 압축스프링(5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고정핀(530)은 평상시에는 회전롤러(600)의 회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에서 하단이 회전축(610) 외경에 얹혀지게 되고, 사용자가 시트부재(1)에 앉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이 회전롤러(600)로 전달되어 회전축(610)이 수평 슬롯공(510)을 따라 상방으로 축 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수직고정핀(530)의 환형안착홈(531)에 회전축(610)이 압축스프링(540)의 탄성력으로써 탄력적으로 걸려지게 되어 회전롤러(600)가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회전롤러(600)의 축이동 간격만큼, 회전롤러(600)와 고정케이스(500) 사이의 수직간격이 충분히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15에서 도시된 내용은 도 14의 이동수단(A)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이동수단(A)은 받침대(12) 하부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케이스(500) 양측으로 수평으로 관통 형성된 수평슬롯공(710)과; 수평슬롯공(710)에 회전축(720)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한쌍의 회전롤러(7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케이스(500) 상부에서 수평슬롯공(710) 영역까지 관통 형성된 수직장공(730)과; 상기 수직장공(730)에 삽입되고, 하부에는 회전축(710) 외경에 안착되는 환형안착홈(741)이 형성된 수직고정핀(740)과; 수직고정핀(740)의 상부에 안착되고, 수직장공(720)에 끼워지는 압축스프링(750)과; 수직장공(720) 상부 내경에 압입되어 압축스프링(750)을 지지하게 되는 압입고정캡(76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내용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가 편안하게 등을 기대게 되는 등받이부재(84) 전면의 허리부위에 구비된 보조등받이부재(400)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이는, 보조등받이(410)(420)의 후면에 수직연결대(430)로써 적정 높이로 각각 연결되고, 가이드홈(440)이 형성된 가이드레일(450)(46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 되는 수평연결대(470)를 등받이부재(84)에 직접 체결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연결대(470) 양측의 고정브라켓(480)으로써 등받이부재(84)의 후면에 체결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수평연결대(470)를 체결볼 및 체결너트로써 등받이부재(84)에 체결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부재(1) 상부에 편안하게 앉은 다음, 등받이부재(84)에 등을 기대고, 팔걸이대(28)의 팔걸이(29)에 팔을 기대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의 회음부(요도부위)가 전방 중앙 영역의 만곡돌부에 닿게 되고, 엉덩이 부위의 뼈(관골)가 돌출부에 닿게 된다.
이때, 시트부재(1)는 롤링수단(B)을 구성하고 있는 언록킹부재(60)에 의해 록킹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a,5b에서와 같이 승하강운동장치(20)를 구성하고 있는 가스쇼바동작부재(30)를 동작시켜 받침부재(10)를 구성하고 있는 가스쇼바(18)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승하강운동장치(20)를 구성하고 있는 가스쇼바동작부재(30)의 회전레버(33)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하우징(24) 일면의 수평공(31)과 내측돌출부(23)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편(32)의 끼움공(32a)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회전레버(33)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레버(33) 외주연의 회동받침구(34)가 일측방으로 회동하게 되는 데, 이때 회동받침구(34)는 내측면이, 하우징(24) 일면의 나사공(36a)에 체결 고정된 수평체결구(36b) 선단 내경에 스프링(36d)의 탄성력에 의해 출몰 가능한 스토핑볼(36c)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동되다가 스토핑볼(36c)로부터 이탈됨으로써 그 회동이 스토핑된다. 즉, 회동받침구(34)의 상부가 스프링(36d)의 탄성력으로써 수평체결구(36b)의 선단으로 전진된 스토핑볼(36c)에 걸려져 회동이 스토핑된다.(도 6a,6b참조)
이와 동시에 회동받침구(34) 상부에 전면 영역에 안착된 회동링크(40)의 안착부(41)가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안착부(42) 후면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하우징(25)의 일면과 내측돌출부(24) 사이에 수평축(43)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출설된 지지회동구(44) 하부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부(45)가 상방으로 회동되고, 지지회동구(44)가 수평축(43)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45)의 후면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외측돌출부(22)의 수직공(22a)에 근접되도록 위치되고, 회동링크(40) 후면 영역의 하우징(25) 내부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35)에 끼워지는 지지스프링(36)이 압축되면서 누름부(46)가 하방으로 탄력적으로 회동되어 가스쇼바(18)의 상단을 누르게 됨으로써 로드(16)가 동작되어, 로드(16)가 받침부재(10) 상부의 가스실린더(14)로부터 신장됨으로써 하체 운동기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구성중 받침부재(10)를 제외한 구성품들이 승하강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시트부재(1)에 앉아 있는 상태, 즉 사용자의 체중으로 시트부재(1)를 누르고 있게 되는 상태에서는 로드(16)가 동작되지 않게 되나, 사용자가 시트부재(1)에 일어나게 되면 상승하게 되고, 앉게 되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운동을 반복적으로 진행하게 되면 사용자의 무릅관절 운동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시트부재(1)의 승하강운동을 중단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반대로회전레버(33)를 타측방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스토핑볼(36c)에 상부가 걸려진 상태의 회동받침구(34) 내측면이 스토핑볼(36c)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어, 회동받침구(34)의 회동에 대한 스토핑이 해제된다.
이때, 스토핑볼(36c)은 지지볼트(36e)에 탄성력이 유지되는 스프링(36d)에 의해 수평체결구(36b) 내부로 후퇴되고, 이 후퇴된 거리만큼 스프링(36d)이 압축된다.
이와 동시에 회동링크(40) 후면 영역의 하우징(25) 내부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35)에 끼워져 압축된 상태의 지지스프링(36)이 복원력에 의해 누름부(46)가 상방으로 복귀되어 가스쇼바(18)의 상단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따라 회동받침구(34) 상부에 전면 영역에 안착된 회동링크(40)의 안착부(41)가 하방으로 회동되어 복귀되고, 안착부(42) 후면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며, 하우징(25)의 일면과 내측돌출부(24) 사이에 수평축(43)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출설된 지지회동구(44) 사이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부(45)가 하방으로 회동되어 복귀되고, 지지회동구(44)가 수평축(43)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복귀된다.
이러한 승하강운동은 상기한 바와 같은 롤링수단(B)의 언록킹부재(60)를 록킹시킨 상태에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언록킹부재(60)를 해제시킨 상태에서도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도 7a,7b에서와 같이 다기능 의자의 롤링수단(B)에 대한 동작을 살펴보면, 롤링수단(B)을 구성하고 있는 언록킹부재(60)의 록킹차단판(68)을 하우징케이스(27)의 상부와 롤링케이스(52)의 롤링돌출부(50) 하부 사이로부터 이탈시켜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즉, 록킹차단판(68)의 파지장공(67)을 파지한 다음, 이를 외측으로 당겨 하우징케이스(27) 후면 단부으로부터 중심 영역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64)의 단차가이드홈(64a)으로부터 록킹차단판(68)을 분리시키게 된다.
그러면, 록킹차단판(68) 선단의 록킹장공(66)이 롤링베어링(54) 하부 외경으로부터 이탈되는 동시에 록킹차단판(68)의 상하부가 하우징케이스(27)의 상부와 롤링케이스(52)의 롤링돌출부(50) 하부 사이로부터 이탈되어 시트부재(1)에 대한 록킹상태가 해제된다.(도 3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시트부재(1)에 앉은 사용자가 허리(골반)를 서서히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시트부재(1) 하부에 체결 고정되는 롤링케이스(52)를 구성하고 있는 롤링돌출부(50)의 베어링롤링홈(50a) 내주면이 롤링베어링(54) 외주면을 따라 롤링 회전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부위(골반)가 자연스럽게 움직이게 된다.
이때,, 하우징케이스(27)의 상부와 롤링돌출부(50) 하부의 간격만큼 시트부재(1)가 롤링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롤링케이스(52)의 롤링돌출부(50) 상부에 형성된 완충홈(51a)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되는 완충부재(56)가 재질의 특성상 완충홈(51a) 내부 부딪혀 찌그러지면서 충격을 완충시키는 동시에 롤링베어링(54)의 롤링 회전력에 대한 원심 복원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때, 완충부재(56)의 지지부(57a)는 롤링돌출부(50)의 베어링롤링홈(50a)이 롤링베어링(54)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롤링운동시 완충홈(51a) 내부에 지지되어 롤링회전력에 대한 원심 복원력을 갖게 되고, 경사부(57b)는 완충홈(51a) 상부 내부에 부딪히면서 롤링각도(12°)를 설정하게 된다. 즉, 완충부재(56)의 경사부(57b)의 테이퍼진 각도 만큼 시트부재(1)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롤링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시트부재(1)에 대한 롤링운동을 중단하기 위해서는, 하우징케이스(27)의 후면 단부으로부터 중심 영역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홈(64)을 통하여 록킹차단판(68)을 밀어 넣게 된다.
그러면, 록킹차단판(68)이 가이드홈(64)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선단의 록킹장공(66)이 롤링베어링(54)의 하부 외경에 밀착되는 동시에 록킹차단판(68)의 상하부가 하우징케이스(27)의 상부와 롤링케이스(52)의 롤링돌출부(50) 하부 사이에 밀착되어 시트부재(1)에 대한 록킹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도 9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부재(1)에 편안하게 앉아 등받이부재(84)에 등을 기댄 다음, 체중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외측방으로 기대게 되면, 등받이젖힘장치(80)를 구성하고 있는 회동지지판(82)에 체결된 등받이프레임(83)이 젖힘지지수단(C)으로써 외측방으로의 회동(젖혀짐)이 지지되면서 젖혀지게 된다.
이때, 회동지지판(82)에 선택적으로 언록킹되는 젖힘언록킹수단(D)이 록킹된 상태에서는 등받이프레임(83)이 외측방으로 젖혀지지 않게 되고,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등받이프레임(83)이 외측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즉, 젖힘언록킹수단(D)을 동작시켜 회동지지판(82)으로부터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회동부재(300)를 구성하고 있는 회동레버(330)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하우징(24) 타면의 수평통공(310)과 내측돌출부(23) 상부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출편(320)의 끼움통공(32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는 회동레버(330)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와 동시에 회동레버(330) 외주연의 회동구(350)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며, 회동구(350) 외경 양단의 걸림단턱(351)(352)중 걸림단턱(351)이 하우징(24) 내부의 걸림돌편(354)에 걸려져 회동레버(330)의 회동각도가 설정된다.
이에 따라 회동구(350)의 돌출편(340)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돌출편(340)의 수직통공(341)과 언록킹걸림편(230)의 연결공(360) 사이에 끼워진 수평이동로드(370)가 우측으로 수평이동된다.
이때, 수평이동로드(370)의 선단과 돌출편(340) 후면 사이의 수평이동로드(370) 외경에 삽입된 제1스프링(380)은 그대로 유지되고, 돌출편(340) 전면과 수직돌편(232)의 후면 사이에 삽입된 제2스프링(380)은 압축된다.
이와 동시에 수평이동로드(370)에 연결공(360)으로써 삽입 연결되고, 록킹부(100)와 해제부(200) 사이에 체결볼트(210)로써 체결 고정된 고정편(220) 일측의 체결볼트(210)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언록킹걸림편(230)이, 일측의 체결볼트 (210)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언록킹걸림편(230)의 걸림부(231)이 록킹부(100)로부터 이탈되고, 해제부(110)에 밀착됨으로써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언록킹걸림편(230)의 회동 각도만큼 수평이동로드(37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우측으로 수평이동 되는 데, 이 회동각도는 돌출편(340)의 수직통공(341)의 폭과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즉, 돌출편(340)의 수직통공(341)은 언록킹걸림편(230)의 회동각도를 수용할 정도의 길이와 폭을 유지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트부재(1)에 편안하게 앉아 등받이부재(84)에 등을 기댄 다음, 체중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외측방으로 기대게 된다.
그러면, 하우징(24) 내부 양면에 수평회동축(8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회동지지판(82)이 수평회동축(81)을 중심으로 후면영역이 외측으로 젖혀지게 되고, 수평회동축(81)의 후면 내부에 체결 고정되며, 젖힘지지수단(C)으로써 외측방으로의 회동(젖혀짐)이 지지되는 등받이프레임(83)이 외측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젖힘지지수단(C)을 구성하고 있는 밀착시트(92), 내측돌출부(23)의 끼움홈(23a) 및 회동지지판(82)의 후면 영역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고, 체결너트(95)로써 회동지지판(82) 상부 위치에 체결 고정된 롱-볼트(94)로써 지지되며, 내측돌출부(23)의 끼움홈(23a)에 외부로 돌출되게 개재되고, 외측면에 밀착시트(92)가 밀착된 압축스프링(90)이 압축되면서 등받이프레임(84)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압축스프링(90)의 압축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롱-볼트(94)의 머리부(94a)에 체결된 볼트(96)로써 체결 고정된 고정캡(97)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롱-볼트(9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체결너트(95)에 체결되면서 밀착시트(92)에 의해 압축스프링(90)이 압축된다. (도 10참조)
반대로, 고정캡(97)을 회전시키면, 롱-볼트(94)의 체결력이 완화되어 압축스프링(90)의 압축력이 완화되는 것이다.
한편, 도 9a에서와 같이 상기한 젖힘언록킹수단(D)을 동작시켜 회동지지판(82)에 록킹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회동레버(3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레버(330) 외주연의 회동구(3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회동구(350) 외경 양단의 걸림단턱(351)(352)중 좌측의 걸림단턱(352)이 하우징(24) 내부의 걸림돌편(355)에 걸려 처음상태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회동구(350)의 돌출편(34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돌출편(340)의 수직통공(341)과 언록킹걸림편(230)의 연결공(360) 사이에 끼워진 수평이동로드(370)가 좌측으로 수평 이동되어 복귀된다.
이때, 수평이동로드(370)의 선단과 돌출편(340) 전면과 수직돌편(232)의 후면 사이에 삽입된 제2스프링(380)이 복귀된다.
이와 동시에 수평이동로드(370)에 연결공(360)으로써 삽입되어 연결되고, 고정편(220) 일측의 체결볼트(210)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언록킹걸림편(230)이 체결볼트(21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언록킹걸림편(230)의 걸림부(231)가 록킹부(100)에 밀착됨으로써 록킹상태가 유지되어, 회동지지판(82) 및 등받이프레임(83)이 젖혀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11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등받이부재(84) 전면의 허리부위에 보조등받이부재(400)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편안하게 받치게 된다.
즉, 한쌍의 보조등받이(410)(420)를 수직연결대(430)로써 적정 높이로 가이드레일(450)(460)에 고정한 다음, 가이드레일(450)(460)의 가이드홈(440)으로써 수평연결대(47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고, 수평연결대(470) 양단의 고정브라켓(480)으로써 등받이프레임(84) 상에 체결 고정하게 되면, 보조등받이부재(4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보조등받이(410)(420)는 인체의 허리부위에 밀착되어 허리부위를 양측에서 편안하게 감쌀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형상은 꽃잎, 나뭇잎, 하트 등 다양하게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도 14에서와 같이, 받침부재(10)를 구성하고 있는 받침대(12) 하부에 구비된 이동수단(A)은 다기능 의자의 사용시 사용자가 시트부재(1)에 앉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이, 받침대(12) 하부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케이스(500) 양측의 수평슬롯공(510)에 회전축(610)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회전롤러(60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수평슬롯공(510)을 따라 상방으로 축 이동을 하게 되고, 고정케이스(500) 하부에서 수평슬롯공(510) 영역까지 관통 형성된 수직장홈(520)에 삽입되고, 상부에 압축스프링(540)이 개재된 수직고정핀(530)의 환형안착홈(531)에, 회전축(610)이, 압축스프링(540)의 탄성력으로써 걸려지게 되어 회전롤러(600)가 회전 하지 않게 됨으로써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시트부재(1)에 일어나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이 회전롤러(600)로부터 이탈되어, 회전축(610)의 외경이, 수직고정핀(530)의 환형안착홈(531)으로부터 이탈되고, 수직고정핀(530) 상부에 안착되고, 수직장홈(520)에 끼워진 압축프링(540)이 복귀됨으로써 회전롤러(600)로써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15에서 도시된 내용은 도 14의 이동수단(A)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시트부재(1)에 앉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이, 받침대(12) 하부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케이스(500) 양측의 수평슬롯공(710)에 회전축(720)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회전롤러(700)로 전달됨에 따라 수평슬롯공(710)을 따라 상방으로 축 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평슬롯공(710)에 끼워진 회전축(720)이, 고정케이스(500) 상부에서 수평슬롯공(710) 영역까지 관통 형성된 수직장공(730)에 삽입되고, 상부에 압축스프링(750)이 개재된 수직고정핀(740)의 환형안착홈(741)에, 압축스프링(750)의 탄성력으로써 걸려지게 되어 회전롤러(700)가 회전하지 않게 됨으로써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시트부재(1)에 일어나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이 회전롤러(700)로부터 이탈되어, 회전축(720)의 외경이, 수직고정핀(740)의 환형안착홈(741)으로부터 이탈되고, 수직고정핀(740) 상부에 안착되고, 수직장공(730)에 끼워진 압축프링(750)이 복귀됨으로써 회전롤러(700)로써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내용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편안하게 등을 기대게 되는 등받이부재(84) 전면의 허리부위에 구비된 보조등받이부재(400)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이는, 보조등받이(410)(420)의 후면에 수직연결대(430)로써 적정 높이로 각각 연결되고, 가이드홈(440)이 형성된 가이드레일(450)(46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평연결대(470)를 등받이부재(84)에 직접 체결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연결대(470) 양측의 고정브라켓(480)으로써 등받이부재(84)의 후면에 체결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수평연결대(470)를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로써 등받이부재(84)에 체결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부재에 대한 승하강운동이 가능하고, 시트부재에 대한 각도롤링운동을 록킹 및 언록킹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으며, 등받이부재에 대한 젖힘(회동)과 외측으로의 젖힘에 대한 지지력을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어, 상체를 바르게 교정하여 허리가 유연해지게 되고, 척추 및 골반이 바르게 되어 요통의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허벅지 및 무릎을 강화시켜 관절염의 예방을 할 수 있고, 특히 회음부와 엉덩이 부위의 뼈(관골)에 대한 자극을 극대화한 마사지를 하게 됨으로써 회음부 및 허리, 고관절, 요추 운동으로 성인 남녀들의 정력증강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4)

  1. 하부에 이동수단을 갖는 받침대 상부에 입설된 가스실린더와; 상기 가스실린더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로드와; 상기 로드 상부로 돌출되도록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가스쇼바로 이루어진 하부부재로 구성된 다기능 의자에 있어서,
    상기 로드(16) 상부가 삽입되는 수직공(22a)이 관통 형성된 외측돌출부(22)가 형성되고, 끼움홈(23a)이 형성된 내측돌출부(2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스쇼바(18)를 동작시키기 위한 가스쇼바동작부재(30)가 구비된 하우징(24)과; 상기 하우징(24) 상부에 체결 고정된 하우징케이스(27)로 이루어진 승하강운동장치(20);
    상기 하우징케이스(27)과 시트부재(1) 하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재(1)에 대한 롤링 및 언롤링을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언록킹부재(60)가 구비된 롤링수단(B); 및
    상기 하우징(24) 내부 양면에 수평회동축(8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24) 후면으로 돌출되는 회동지지판(82)과; 상기 회동지지판(82) 후면 내부에 체결 고정되고, 젖힘지지수단(C)으로써 외측방으로의 회동(젖혀짐)이 지지되는 등받이프레임(83)과; 상기 하우징(24) 전면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프레임(83)의 외측방으로 젖힘을 언록킹시키기 위한 젖힘언록킹수단(D)으로 이루어진 등받이젖힘장치(8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쇼바동작부재(30)는
    상기 하우징(24) 일면에 관통 형성된 수평공(31);
    상기 수평공(31)과 대응되게 끼움공(32a)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돌출부(23) 상부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편(32);
    상기 수평공(31)과 상기 끼움공(32a)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회전레버(33);
    상기 회전레버(33)의 외주연에 축고정되고, 스토핑부재(35)로써 회동이 언록킹되는 회동받침구(34);
    상기 회동받침구(34) 상부 영역과 상기 외측돌출부(22)의 수직공(22a)에 삽입된 가스쇼바(18)를 동작시키는 회동링크(40); 및
    상기 회동링크(40) 후면 영역의 상기 하우징(24) 내부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38)에 개재되어 회동링크(40)의 회동을 수직으로 지지하게 되는 지지스프링(39);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부재(35)는
    상기 하우징(24) 일면에 형성된 나사공(36a);
    상기 나사공(36a)에 수평을 유지하여 체결 고정되는 수평체결구(36b);
    상기 수평체결구(36b)의 선단 내경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된 스토핑볼(36c);
    상기 수평체결구(36b) 내부에 개재되어 상기 스토핑볼(36c)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스프링(36d); 및
    상기 수평체결구(36b) 후단 내경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36d)을 지지하게 되는 지지볼트(36e);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링크(40)는
    상기 회동받침구(34) 상부에 전면 영역이 안착되는 안착부(41);
    상기 안착부(41) 후면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4)의 일면과 상기 내측돌출부(24) 사이에 수평축(43)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출설된 지지회동구(44) 사이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부(45); 및
    상기 지지부(45)의 후면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외측돌출부(22)의 수직공(22a)에 근접되도록 위치된 누름부(46);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수단(B)은
    상기 시트부재(1) 하부 중앙 영역에 체결 고정되고, 하부 중앙 영역에는 베어링롤링홈(50a)이 형성된 롤링돌출부(50)가 형성되며, 상부 중앙 영역에는 완충홈(51a)이 형성된 완충돌부(51)가 일체로 형성된 롤링케이스(52);
    상기 베어링롤링홈(50a)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적정 각도로 회전롤링 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케이스(27) 상부의 관통공(27a) 외주면에 고정된 롤링베어링(54);
    상기 하우징케이스(27)의 관통공(27a)과 상기 롤링베어링(54)의 내경을 통과하여 삽입된 고정볼트(55);
    상기 고정볼트(55)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고정볼트(55)를 상기 하우징케이스(27)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56);
    상기 고정볼트(55) 상부 외주연에 압착고정되고, 상기 완충돌부(51)의 완충홈(51a) 내부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된 우레탄 재질의 완충부재(57); 및
    상기 하우징케이스(27) 상부와 상기 롤링돌출부(50) 사이에 밀착되어 상기 시트부재(1)의 롤링상태 및 언롤링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언록킹부재(6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57)는
    상기 완충돌부(51)의 완충홈(51a)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부(57a); 및
    상기 지지부(57a) 상부 영역의 양단이 적정 각도로 테이퍼진 경사부(57b);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부재(60)는
    상기 하우징케이스(27)의 후면 단부으로부터 관통공(27a) 영역으로 대응되게 연장 형성되고, 단차가이드홈(64a)이 형성된 가이드(64); 및
    상기 단차가이드홈(64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선단에는 상기 롤링베어링(54) 하부 외경에 선택적으로 안착 및 이탈되는 록킹장공(66)이 형성되고, 후부 영역에는 파지장공(67)이 형성된 록킹차단판(68);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젖힘지지수단(C)은
    상기 내측돌출부(23)의 끼움홈(23a)에 외부로 돌출되게 개재된 압축스프링(90);
    상기 압축스프링(9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착시트(92);
    상기 밀착시트(92), 상기 내측돌출부(23)의 끼움홈(23a) 및 상기 회동지지판(82)의 후면 영역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되는 롱-볼트(94);
    상기 롱-볼트(94)에 체결되고, 상기 회동지지판(82) 상부에 위치되는 체결너트(95); 및
    상기 롱-볼트(94)의 머리부(94a)에 볼트(96)로써 체결 고정되어 상기 압축스프링(90)을 압축 및 해제시키는 고정캡(97);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젖힘언록킹수단(D)은
    상기 회동지지판(82)의 전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록킹부(100);
    상기 록킹부(100) 후방 영역의 상기 하우징(24)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해제부(110);
    상기 록킹부(100)와 상기 해제부(1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부(100)와 상기 해제부(110)에 선택적으로 걸려 상기 등받이프레임(83)의 젖혀짐을 언,록킹시키기 위한 언록킹걸림부재(200); 및
    상기 언록킹걸림부재(200)와 상기 하우징(2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언록킹걸림부재(200)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부재(3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걸림부재(200)는
    상기 록킹부(100)와 상기 해제부(200) 사이에 체결볼트(210)로써 체결 고정된 고정편(220); 및
    상기 고정편(220) 하부에 위치되어 일측의 상기 체결볼트(210)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외측에는 상기 록킹부(100)와 상기 해제부(110)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는 걸림부(231)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수직돌편(232)이 형성된 언록킹걸림편(23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300)는
    상기 하우징(24)의 타면에 관통 형성된 수평통공(310);
    상기 수평통공(310)과 대응되게 끼움통공(321)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돌출부(23) 상부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출편(320);
    상기 수평통공(310)과 상기 끼움통공(32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회동레버(330);
    상기 회동레버(330)의 외주연에 축고정되고, 외주연에 수직통공(341)을 갖는 돌출편(340)이 형성되며, 외주연 양단에 걸림단턱(351)(352)이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4) 내부에 형성된 걸림돌편(354)(355)에 걸리게 되는 회동구(350);
    상기 회동구(350)의 수직통공(341)과 대응되게 상기 언록킹걸림편(230)의 수직돌편(232)에 형성된 연결공(360);
    상기 수직통공(341)과 연결공(360) 사이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수평이동로드(370); 및
    상기 수평이동로드(370)의 선단과 상기 돌출편(340) 후면 사이의 상기 수평이동로드(370) 외경 및 상기 돌출편(340) 전면과 상기 수직돌편(232)의 후면 사이에 개재된 제1,2스프링(380)(381);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83) 상부에 구비되는 등받이부재(84) 전면의 허리부위에는 보조등받이부재(400)를 구비하되,
    상기 보조등받이부재(400)는
    허리부위에 밀착되어 감쌀 수 있도록 제작된 보조등받이(410)(420);
    상기 보조등받이(410)(420)의 후면에 수직연결대(430)로써 적정 높이로 각각 연결되고, 가이드홈(440)이 형성된 가이드레일(450)(460);
    상기 가이드레일(450)(46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평연결대(470); 및
    상기 수평연결대(470)의 양측에 고정되어 등받이부재(84)의 후면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브라켓(48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A)은
    상기 받침대(12) 하부에 체결 고정된 고정케이스(500);
    상기 고정케이스(500) 양측으로 관통 형성된 수평슬롯공(510);
    상기 고정케이스(500) 하부에서 상기 수평슬롯공(510)을 관통하여 상부 영역까지 형성된 수직장홈(520);
    상기 수평슬롯공(510)에 회전축(610)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한쌍의 회전롤러(600);
    상기 수직장홈(520)에 삽입되고,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610) 외경에 안착되는 환형안착홈(531)이 형성된 수직고정핀(530); 및
    상기 수직고정핀(530)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수직장홈(520)에 끼워지는 압축스프링(54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14. 제 1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A)은
    상기 받침대(12) 하부의 상기 고정케이스(500) 양측으로 관통 형성된 수평슬롯공(710);
    상기 고정케이스(500) 상부에서 상기 수평슬롯공(510) 영역까지 형성된 수직장공(730);
    상기 수평슬롯공(710)에 회전축(720)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한쌍의 회전롤러(700);
    상기 수직장공(730)에 삽입되고,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720) 외경에 안착되는 환형안착홈(741)이 형성된 수직고정핀(740);
    상기 수직고정핀(740)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수직장공(730)에 끼워지는 압축스프링(750); 및
    상기 수직장공(730) 상부 내경에 압입되어 상기 압축스프링(750)을 지지하게 되는 압입고정캡(76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의자.
KR1020050040701A 2005-05-16 2005-05-16 다기능 의자 KR100678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701A KR100678653B1 (ko) 2005-05-16 2005-05-16 다기능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701A KR100678653B1 (ko) 2005-05-16 2005-05-16 다기능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177A KR20060118177A (ko) 2006-11-23
KR100678653B1 true KR100678653B1 (ko) 2007-02-05

Family

ID=3770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701A KR100678653B1 (ko) 2005-05-16 2005-05-16 다기능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555B1 (ko) * 2010-01-13 2012-02-29 정대훈 다기능 의자
WO2011087264A2 (ko) * 2010-01-13 2011-07-21 Jung Dae-Hoon 다기능 의자
KR101134572B1 (ko) * 2010-07-02 2012-04-13 안현구 슬라이딩식 골반 교정용 좌판을 구비한 의자
KR101930837B1 (ko) * 2016-08-18 2018-12-19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경동 가능한 체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673A (ko) * 1993-07-27 1995-02-16 히사다 히또시 의자
KR200292591Y1 (ko) 2002-07-29 2002-10-28 이세환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KR200304619Y1 (ko) 2002-12-14 2003-02-17 김태철 의자의 좌판 및 등판지지용 브라켓
KR20030018438A (ko) * 2001-08-28 2003-03-06 이종환 회전의자의 작동레버 설치구조
KR200300249Y1 (ko) 1997-12-24 2003-05-1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회전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673A (ko) * 1993-07-27 1995-02-16 히사다 히또시 의자
KR200300249Y1 (ko) 1997-12-24 2003-05-1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회전의자
KR20030018438A (ko) * 2001-08-28 2003-03-06 이종환 회전의자의 작동레버 설치구조
KR200292591Y1 (ko) 2002-07-29 2002-10-28 이세환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KR200304619Y1 (ko) 2002-12-14 2003-02-17 김태철 의자의 좌판 및 등판지지용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177A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4596B2 (ja) 腹部運動装置
US6716144B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7789463B2 (en) Chair which is used in waist enhancement
US20040033873A1 (en) Exercise device
JP2010511425A5 (ko)
WO2006079256A1 (fr) Chaise avec réglages dorsal et lombaire
WO2005118078A1 (ja) 腹部腰部諸筋トレーニング器具
MX2011010470A (es) Un dispositivo deslizable para ejercicio abdominal.
EP4112134B1 (en) Chair
KR100678653B1 (ko) 다기능 의자
KR101441290B1 (ko) 근력운동 및 마사지 의자
KR101424386B1 (ko) 허리 회전 운동기구
KR101477957B1 (ko) 체간 운동장치
KR200463833Y1 (ko) 복근운동기구
KR101838104B1 (ko) 의자형 기립 보조기
KR101134572B1 (ko) 슬라이딩식 골반 교정용 좌판을 구비한 의자
CN106974465A (zh) 四姿态办公椅
CN214286552U (zh) 锻炼装置
KR100785438B1 (ko) 상체근육 트레이닝 머신
JP6317662B2 (ja) 立ち上がり補助器具および自立歩行支援装置
KR102120008B1 (ko) 웨이트 운동기구의 개량형 의자 어셈블리
KR200308616Y1 (ko) 하체 운동기
KR200330502Y1 (ko) 하체 운동기
KR200330570Y1 (ko) 전신 운동기
KR100877083B1 (ko) 복근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