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502Y1 - 하체 운동기 - Google Patents

하체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502Y1
KR200330502Y1 KR20-2003-0020659U KR20030020659U KR200330502Y1 KR 200330502 Y1 KR200330502 Y1 KR 200330502Y1 KR 20030020659 U KR20030020659 U KR 20030020659U KR 200330502 Y1 KR200330502 Y1 KR 200330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groove
outer diameter
ho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 석 우
Original Assignee
기 석 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 석 우 filed Critical 기 석 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5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9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knee jo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체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중앙 영역에 입설된 가스실린더 내부에 로드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로드 상부로 돌출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가스쇼바가 삽입되는 받침부재; 상기 로드 상부에 돌출된 상기 가스쇼바를 푸쉬레버로써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승하강운동장치; 시트부재를 롤링 및 언롤링을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언록킹부재가 구비된 롤링수단; 및 상기 수평보강부재 저면부와 등받이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힌지수단, 젖힘지지수단 및 젖힘수단으로써 등받이부재가 외측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고, 회동이 지지되며, 젖힘이 강제적으로 지지되는 등받이젖힘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시트부재의 승하강운동이 가능하고, 롤링운동을 할 수 있으며, 등받이부재에 대한 젖힘(회동)과 젖힘에 대한 지지력 및 등받이부재를 강제적으로 외측방으로 젖힘을 지지하게 되는 등 다양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어 상체를 바르게 교정하여 허리가 유연해지게 되고, 척추 및 골반이 바르게 되어 요통의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허벅지 및 무릅을 강화시켜 관절염의 예방 및 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하체 운동기{The lower part of the body sporting goods}
본 고안은 하체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동기를 구성하고 있는 시트부재의 승하강 및 롤링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등받이부재의 젖혀짐 운동이 자유롭도록 하여 사용자의 척추, 골반 및 무릅관절을 단련시키고,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각 부위에 적합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타입의 운동기구가 제작되는 것이다. 이러한 운동기구는 팔, 다리, 허리, 상,하체 및 전신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각 제작되어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이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인체의 각 부위에 대한 단련 및 필요한 근육을 강화시키게 되었던 것이다.
여기서는 인체의 중심인 허리부위를 중심으로 허리 및 다리로 이루어지는 하체부위를 단련시키기 위한 운동기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종래 하체 운동기구는 다리 및 허리를 단련시키기 위한 운동기구가 각각 제작되어 있어 구입하여 사용시 경제적인 부담과 이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이의 사용시 사용자에 대한 힘이 많이 들게 되어 체력이 약한 노약자, 환자들의 물리치료 및 재활운동에는 적합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하체 운동기의 시트부재에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적은 힘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운동, 골반운동 및 승하강운동이 가능하고, 허리의 젖혀짐 운동이 자유로운 하체 운동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상부 중앙 영역에는 가스실린더가 입설되고, 상기 가스실린더 내부에 로드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로드 상부로 돌출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가스쇼바가 삽입되는 받침부재; 상기 로드가 수직으로 삽입 고정되는 수직테이퍼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테이퍼공과 연통되게 수평나사공이 형성된 수직연결부재와; 상기 수직연결부재 상부 중앙 영역에 입설된 중심축과; 상기 수직연결부재 상부 외경에 대칭되게 형성된 제 1,2수평날개부재와; 상기 제 1,2수평날개부재 사이의 상기 수직연결부재 외경에 형성된 수평보강부재와; 상기 수평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가스쇼바를 동작시키는 푸쉬레버로 이루어진 승하강운동장치; 상기 승하강운동장치의 중심축과 시트부재의 시트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재를 롤링 및 언롤링을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언록킹부재가 구비된 롤링수단; 및 상기 수평보강부재 저면부와 등받이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힌지수단, 젖힘지지수단 및 젖힘수단으로써 등받이부재가 외측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고, 회동이 지지되며, 젖힘이 강제적으로 지지되는 등받이젖힘장치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운동기의 전체적인 구조가 도시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운동기의 전체적인 구조가 도시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운동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운동기의 회전부재를 도시한 저면도.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운동기의 승하강운동을 도시한 동작상태 단면도.
도 6a,6b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운동기의 롤링운동을 도시한 동작상태 단면도.
도 7a,7b,7c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운동기의 등받이젖힘장치를 도시한 동작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운동기의 시트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8의 A-A선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B-B선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운동기의 등받이부재에 진동수단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운동기의 진동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C-C선 확대 단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D-D선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부재 2 : 시트판
10 : 받침부재 12 : 가스실린더
13 : 로드 14 : 가스쇼바
20 : 승하강운동장치 22 : 수직테이퍼공
24 : 수평나사공 26 : 수직연결부재
27,28 : 제 1,2수평날개부재 27a : 평탄면
29 : 수평보강부재 29a : 환형홈
30 : 중심축 40 : 푸쉬레버
42 : 나사부 44 : 누름부
44a : 절단부 46,140 : 손잡이부
48,150 : 파지부 60,620,720 : 완충부재
61 : 결합공 61a : 경사부
62,650 : 베어링부재 63,660 : 베어링시트부재
64 : 안착홈 65 : 단차홈
67 : 하우징부재 70 : 언록킹부재
71 : 경사홈 71a : 축삽입공
72,73 : 상,하부밀착부 73a : 경사면
74 : 환형밀착홈 75 : 회전부재
77 : 파지부재 80 : 등받이젖힘장치
81 : 안착돌부 82 : 끼움장홈
83 : 등받이부재 84 : 등받이프레임
86 : 힌지공 87 : 회동공
88 : 힌지볼트 89 : 힌지너트
90 : 나사공 91 : 슬롯공
92 : 롱-볼트 93 : 체결너트
94 : 밀착시트 95 : 압축스프링
96 : 고정캡 100 : 조절너트부재
110 : 조절나사공 120 : 젖힘부재
130 : 안착부 200 : 프레임부재
210 : 만곡돌부 220 : 돌출부
300,420 : 쿠션부 320 : 외장부
500 : 진동수단 520 : 결합홈
540 : 진동모터 560 : 하부케이스
580 : 상부케이스 600 : 베어링하우징부재
610 : 단차안착홈 630,740 : 제 1,2하우징부재
631,741 : 단차끼움홈 632,742 : 삽입홈
640 : 단차축 670,760 : 고정너트
700 : 롤링부재 710 : 롤링홈
750 : 롤링축 751 : 롤링부
A : 롤링수단 B : 힌지수단
C : 젖힘지지수단 D : 젖힘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운동기는 크게 받침부재(10), 승하강운동장치(20), 롤링수단(A) 및 등받이젖힘장치(8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10)는 저면부에 다수의 이동수단이 구비되고, 상부 중앙 영역에 입설된 가스실린더(12)와, 가스실린더(12) 내부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로드(13)와, 로드(13) 상부로 돌출되도록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로드(13)를 동작시키는 가스쇼바(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운동장치(20)는 로드(13)가 삽입되는 수직테이퍼공(22)이 하부 중앙 영역으로부터 수직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수직연결부재(26)의 수직테이퍼공(22)과 연통되게 수직연결부재(26) 외경에 수평나사공(24)이 형성된 수직연결부재(26)와, 수직연결부재(26) 상부 중앙 영역에 입설되고, 3단으로 단차진 중심축(30)과, 수직연결부재(26) 외경 양측에 일체로 대칭되게 형성된 제 1,2수평날개부재(27)(28)와, 제 1,2수평날개부재(27)(28) 사이의 수직연결부재(26) 외경에일체로 형성된 수평보강부재(29)와, 수평나사공(24)에 수평으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가스쇼바(14)를 동작시키는 푸쉬레버(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푸쉬레버(40)는 수평나사공(24)에 체결되는 나사부(42)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가스쇼바(14)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누르게 되는 누름부(44)가 일체로 형성되며, 후단에는 손잡이부(46)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누름부(44)는 원형의 양단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절단부(44a)가 형성되어 가스쇼바(14)의 상단과 절단부(44a)의 간격만큼 간격이 유지되고, 절단되지 않은 외경이 가스쇼바(14)의 상단을 누르게 되어 로드(13)가 눌러지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부(46)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부(48)가 압입 고정된다.
한편, 제 1,2수평날개부재(27)(28) 저면부에는 팔걸이지지대(50)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팔걸이지지대(50) 상부에는 팔걸이(52)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된다.
상기 롤링수단(A)은 중심축(30)의 중앙 영역 외경에 끼워지는 결합공(61)이 형성된 우레탄 재질의 완충부재(60)와; 중심축(30)의 중앙 영역 외경에 끼워지는 베어링부재(62)와; 베어링부재(62)가 안착되어 롤링운동을 하게 되는 베어링시트부재(63)와; 완충부재(60) 외경이 안착되는 안착홈(64)이 하부 내경에 형성되고, 안착홈(64)과 연통되게 베어링시트부재(63)가 삽입되는 단차홈(65)이 상부 내경에 형성되며, 시트부재(1) 저면부의 시트판(2)에 상부가 고정된 하우징부재(67)와; 수직연결부재(26)의 상부에 안착되는 동시에 중심축(30) 하부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시트부재(1)의 롤링상태 및 언롤링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언록킹부재(70)로 이루어진다.
이때, 완충부재(60)는 하우징부재(67)의 안착홈(64)에 삽입되는 제 1스냅링(60a)에 의해 하부로의 이탈이 방지되고, 베어링부재(62)는 중심축(30) 상부 외경에 삽입되는 제 2스냅링(62a)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며, 베어링시트부재(63)는 하우징부재(67)의 단차홈(65)에 삽입되는 제 3스냅링(63a)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완충부재(60)의 결합공(61)은 적어도 1/2정도가 경사지게 경사부(61a)가 형성되어 롤링운동시 부드러운 느낌을 갖게 된다.
상기 언록킹부재(70)는 중심축(30) 하부 외경에 삽입되는 축삽입공(71a)이 중앙 영역에 관통 형성되고, 하우징부재(67) 저면부가 맞닿게 되는 경사홈(71)이 형성된 상부밀착부(72)와; 수직연결부재(26) 상부와 제 1,2수평날개부재(27)(28) 상부 양측 상부의 평탄면(27a)에 밀착되고, 수평보강부재(29)의 환형홈(29a)에 선택적으로 밀착 삽입되는 하부밀착부(73)와; 하부밀착부(73) 사이에 형성되어 수직연결부재(26) 상부에 밀착되는 밀착환형홈(74)으로 이루어진 회전부재(75); 회전부재(75)의 일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체결되어 회전부재(75)를 회전시키기 위한 파지부재(77)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부밀착부(72)의 경사홈(71)에 하우징부재(67)의 저면부가 맞닿게 되면, 시트부재(1)가 언롤링이 상태가 유지되고, 하부밀착부(73) 사이의 밀착환형홈(74)이 수직연결부재(26) 상부 외경에 밀착되고, 이와 동시에 하부밀착부(73) 일측이 수평보강부재(29)의 환형홈(29a)에 삽입되면, 시트부재(1)가 롤링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하부밀착부(73)에는 상호 어긋나게 경사면(73a)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회전부재(75)의 회전시 하부밀착부(73)가 수평보강부재(29)의 환형홈(29a)으로부터 용이하게 벗어나게 된다.
한편, 파지부재(77)는 회전부재(75) 일측면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부(77a)와, 나사부(77a) 후단에 단차지게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77b)로 이루어진다. 이때, 손잡이부(77b)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부(78)가 압입 고정된다.
상기 등받이젖힘장치(80)는 수평보강부재(29) 저면부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중앙 영역에 안착돌부(81)가 돌설된 끼움장홈(82)과, 끼움장홈(82)의 안착돌부(81)에 상부면이 안착되고, 힌지수단(B)으로써 외측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며, 젖힘지지수단(C)으로써 외측방으로의 회동(젖혀짐)이 지지되고, 상부에 등받이부재(83)가 구비된 등받이프레임(84)과, 수평보강부재(29) 타면 양측에 구비되어 등받이프레임(84)을 외측방으로 강제적으로 젖힘을 지지하는 젖힘수단(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수단(B)은 수평보강부재(29) 일면 양측에 대응되게 관통 형성된 힌지공(86)과, 힌지공(86)과 대응되게 등받이프레임(84)의 일면에 관통 형성된 회동공(87)과, 힌지공(86)과 회동공(87)을 통하여 삽입되는 힌지볼트(88)와, 힌지볼트(88)에 체결되어 등받이프레임(84)을 지지하는 힌지너트(8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젖힘지지수단(C)은 안착돌부(81)에 형성된 나사공(90)과, 나사공(90)과 대응되게 등받이프레임(84)에 형성된 슬롯공(91)과, 슬롯공(91)을 통하여 나사공(90)에 타측이 체결되는 두무볼트로 이루어진 롱-볼트(92)와, 롱-볼트(92) 일측이 돌출되게 삽입되고, 일면에는 롱-볼트(92)가 체결되는 체결너트(93)가 고정된 밀착시트(94)와, 등받이프레임(84)의 저면부와 밀착시트(94)의 타면 사이에 개재되어 등받이프레임(84)을 지지하는 압축스프링(95)과, 밀착시트(94)의 일면에 고정되어 압축스프링(95)을 압축 및 해제시키는 고정캡(9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젖힘수단(D)은 수평보강부재(29) 타면에 설치되고, 끼움장홈(82)과 연통되게 조절나사공(110)이 형성된 조절너트부재(100)와, 조절너트부재(100)의 조절나사공(110)에 체결되어 등받이프레임(84)을 강제적으로 외측방으로 젖히게 되는 젖힘부재(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젖힘부재(120)는 조절나사공(110)에 체결되어 등받이프레임(84) 상면에 안착되어 누르게 되는 안착부(130)와, 안착부(130) 일단에 단차지게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140)와, 손잡이부(140) 외주연에 압입 고정되는 파지부(1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안착부(130)는 직경의 1/2을 절단하여 절단면(130a)이 형성되고, 이 절단면(130a)이 등받이프레임(84)의 상면에 밀착되면, 등받이프레임(84)이 외측으로 젖혀지지 않은 상태가 되고, 외경이 상면에 밀착되면 절단면(130a)의 직경만큼 등받이프레임(84)이 외측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시트부재(1)는 상부가 엉덩이 부위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전방 중앙 영역에는 회음부(요도부위)가 닿도록 만곡돌부(210)가 형성되며, 후방 양측으로는 엉덩이부위의 뼈(관골)가 닿게 되는 돌출부(220)가 형성된 프레임부(200)와; 프레임부(200)를 감싸게 되는 쿠션부(300)와; 쿠션부(300)의 외주면을 완전히 감싸 은폐시키는 외장부(3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쿠션부(300)는 탄력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외장부(400)는 섬유 또는 레자 등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재(83)는 사용자가 등을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형성된 프레임부(400)와; 프레임부(400)를 감싸게 되는 쿠션부(420)와, 쿠션부(420)의 외주면을 감싸게 은폐시키는 외장부(440)로 구성된다. 이때, 쿠션부(420)는 탄력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외장부(440)는 섬유 또는 인조가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부재(1)와 등받이부재(83)의 쿠션부(300)(420)에는 다수의 진동수단(500)이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와 등부위에 대한 마사지 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
상기 진동수단(500)은 쿠션부(300)(420)의 적정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520)과, 결합홈(520)에 안착되고, 내부에 진동모터(540)가 설치되는 하부케이스(560)와, 하부케이스(560)에 나사 체결되어 진동모터(540)를 보호하게 되는 상부케이스(580)로 이루어진다.
이때, 진동모터(500)은 시트부재(1)에는 3개정도, 등받이부재(83)에는 2개 정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진동모터(540)는 미도시된 콘트롤러에전선으로 각각 연결되어 속도, 시간 및 동작되는 개수 등이 제어되고, 콘트롤러는 미도시된 리모콘으로 무선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6 도시된 내용은 도 1 내지 도 12의 하체 운동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들은 시트부재(1)를 동작시키는 수단 및 시트부재(1)의 롤링상태 및 언롤링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언록킹부재(70)는 동일하고, 롤링시키는 수단이 상이한 것이다.
먼저, 도 13 및 도 14를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직연결부재(26) 상부 영역에는 내경에 단차안착홈(610)이 형성된 원통형의 베어링하우징부재(600)가 입설된다.
그리고, 베어링하우징부재(600) 외경에는 우레탄 재질의 완충부재(620) 내경이 삽입되고, 완충부재(620)의 외경은 시트판(2) 저면부에 고정된 제 1하우징부재(630)의 하부 내경에 형성된 단차끼움홈(631)에 밀착되게 삽입되어 제 4스냅링(620a)으로써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제 1하우징부재(630)의 단차끼움홈(631)과 연통되게 삽입홈(632)이 상부 내경에 형성되고, 단차끼움홈(631)과 삽입홈(632)을 통하여 단차축(640)이 삽입되고, 단차축(640)의 하부 외경에는 베어링부재(650)가 제 5스냅링(650a)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베어링부재(650)는 베어링하우징부재(600)의 단착안착홈(610)에 안착되어 제 6스냅링(660a)으로써 고정된 베어링시트부재(660)에 밀착됨으로써 시트부재(1)가 롤링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단차축(640) 상부에는 고정너트(670)가 체결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고정너트(670)는 제 1하우징부재(630)의 삽입홈(632)에 밀착되게 위치되고, 고정너트(670)와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하여 단차축(640)의 상부 외경 영역이 절단된다.
한편,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연결부재(26) 상부 영역에는 상부 중앙 영역에 롤링홈(710)이 형성된 롤링부재(700)가 입설된다.
그리고, 롤링부재(700) 외경에는 우레탄 재질의 완충부재(720) 내경이 삽입되고, 완충부재(720)의 외경은 시트판(2) 저면부에 고정된 제 2하우징부재(740)의 하부 내경에 형성된 단차끼움홈(741)에 밀착되게 삽입되어 제 7스냅링(740a)으로써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제 2하우징부재(740)의 단차끼움홈(741)과 연통되게 삽입홈(742)이 상부에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롤링축(750)이 삽입된다. 이때, 롤링축(750)의 하단에는 롤링부재(700)의 롤링홈(710)에 삽입되어 롤링운동을 하게 되는 원형의 롤링부(751)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고정너트(760)가 체결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고정너트(760)는 제 2하우징부재(740)의 삽입홈(742)에 밀착되게 위치되고, 고정너트(760)와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하여 롤링축(750)의 상부 외경 영역을 절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부재(1)의 쿠션부(300) 및 외장부(320) 상부에 편안하게 앉은 다음, 등받이부재(83)의 쿠션부(420)와 외장부(440)에 등을 기대고, 팔걸이지지대(50) 상부의 팔걸이(52)에 팔을 기대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의 회음부(요도부위)가 프레임부재(200) 전방 중앙 영역의 만곡돌부(210)가 외부에 감싸진 외장부(320)에 의해 닿게 되고, 엉덩이 부위가 자연스럽게 얹혀지면서 양측 엉덩이 부위의 뼈(관골)가 돌출부(220)에 닿게 된다.
이때, 시트부재(1)는 롤링수단(A)의 중심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수직연결부재(26)와 하우징부재(67) 사이에 밀착되는 언록킹부재(70)에 의해 록킹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a,5b에서와 같이 수직연결부재(26)의 수직테이퍼공(22)과 연통되게 수직연결부재(26) 외경의 수평나사공(24)에 수평으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 푸쉬레버(40)의 손잡이부(46) 외주면에 압입 고정되는 파지부(48)를 파지하고, 이를 일측방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수평나사공(24)에 체결된 나사부(42)가 수평나사공(24)을 따라 회전하게 됨에 따라 푸쉬레버(40) 선단의 누름부(44)가 가스쇼바(14)의 상단을 누르게 되어 로드(13)가 동작됨으로써, 즉 저면부에 다수의 이동수단이 구비된 받침부재(10) 상부의 가스실린더(12)로부터 신장되어 하체 운동기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구성중 받침부재(10)를 제외한 구성품들이 승하강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시트부재(1)에 앉아 있는 상태, 즉 사용자의 체중으로 시트부재(1)를 누르고 있게 되는 상태에서는 로드(13)가 동작되지 않게 되나, 사용자가 시트부재(1)에 일어나게 되면 상승하게 되고, 앉게 되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운동을 반복적으로 진행하게 되면 사용자의 무릅관절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시트부재(1)의 승하강운동을 중단하기 위해서는 수직연결부재(26)의 수직테이퍼공(22)과 연통되게 수직연결부재(26) 외경의 수평나사공(24)에 수평으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 푸쉬레버(40)의 손잡이부(46) 외주면에 압입 고정되는 파지부(48)를 파지하고, 이를 일측방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수평나사공(24)에 체결된 나사부(42)가 수평나사공(24)을 따라 회전하게 됨에 따라 푸쉬레버(40) 선단의 누름부(44)가 로드(13) 상단으로부터 이탈되어 로드(13)의 동작이 중단된다.
이때, 누름부(44)에는 원형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부(44a)가 형성되어 있어 가스쇼바(14)의 상단과 절단부(44a)의 간격만큼 그 간격이 유지되어 가스쇼바(14)가 동작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승하강운동은 상기한 바와 같은 롤링수단(A)의 언록킹부재(70)를 록킹시킨 상태에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언록킹부재(70)를 해제시킨 상태에서도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도 6a,6b에서와 같이 롤링수단(A)의 중심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수직연결부재(26) 상부에 안착되어 있는 언록킹부재(70)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즉, 회전부재(75) 일측면에 나사 체결된 파지부재(77)의 손잡이부(77b) 외주면에 압입 고정되는 파지부(78)를 파지한 다음, 이를 일측방(좌우측 중 어느 일측방)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수직연결부재(26) 상부와 제 1,2수평날개부재(27)(28)의 평판면(27a)에 길이 방향으로 면접촉으로 밀착된 상태의 하부밀착부(73)가 일측방으로 회전하면서 일측의 하부밀착부(73)가 수평보강부재(29)의 환형홈(29a)에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하부밀착부(73) 사이에 형성된 환형밀착홈(74)이 수연결부재(26) 상부에 안착된다.
이때, 하우징부재(67)의 저면부와 회전부재(75)의 상부밀착부(72) 상부가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상부밀착부(72)의 경사홈(71) 깊이만큼 간격이 발생되어 시트부재(1)가 롤링운동을 하게 되는 데, 이러한 시트부재(1)의 롤링각도는 경사홈(71)의 깊이만큼 발생되고, 이 각도는 약 11°정도가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트부재(1)에 앉은 사용자가 허리(골반)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시트부재(1) 저면부의 시트판(2)에 상부가 고정된 하우징부재(67)의 단차홈(65)에 제 3스냅링(63a)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되는 베어링시트부재(63)의 내주면이, 중심축(30)의 상부 중앙 영역 외경에 제 2스냅링(62a)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는 베어링부재(62) 외주면을 따라 롤링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부위(골반)가 자연스럽게 움직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중심축(30)의 중앙 영역 외경에 결합공(61)으로써 삽입되고, 제 1스냅링(60a)에 의해 하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며, 하우징부재(67)의 안착홈(64)에 삽입된 우레탄 재질의 완충부재(60)가 중심축(30)의 외경을 따라 재질의 특성상 찌그러지면서 그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이때, 완충부재(60)의 결합공(61)은 적어도 1/2정도가 경사지게 경사부(61a)가 형성되어 롤링운동시 부드러운 느낌을 갖게 된다.
그 다음으로 롤링운동을 중단하기 위해서는, 롤링수단(A)의 중심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수직연결부재(26)와 하우징부재(67) 사이에 밀착되어 있는 언록킹부재(70)를 록킹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즉, 회전부재(75) 일측면에 나사 체결된 파지부재(77)의 손잡이부(77b) 외주면에 압입 고정되는 파지부(78)를 파지한 다음, 이를 일측방(좌우측 중 어느 일측방)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수평보강부재(29)의 환형홈(29a)에 삽입된 일측의 하부밀착부(73)가 환형홈(29a)으로부터 이탈되면서 환형밀착홈(74)이 수직연결부재(26) 상부로 이탈된다. 이에 따라 하부밀착부(73)가 수직연결부재(26) 상부와 제 1,2수평날개부재(27)(28)의 평판면(27a)에 길이 방향으로 면접촉으로 밀착됨으로써 록킹상태가
이때, 하부밀착부(73)에는 상호 어긋나게 경사면(73a)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회전부재(75)의 회전시 하부밀착부(73)가 수평보강부재(29)의 환형홈(29a)으로부터 용이하게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도 7a,7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부재(1)에 편안하게 앉아 등받이부재(83)에 등을 기댄 상태에서 체중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외측방으로 기대게 된다.
그러면, 수평보강부재(29) 저면부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중앙 영역에 안착돌부(81)가 돌설된 끼움장홈(82)의 안착돌부(81)에 상부면이 안착되며, 상부에 등받이부재(83)가 구비된 등받이프레임(84)이 힌지수단(B)에 의해 외측방으로 회동(젖혀짐)되고, 젖힘지지수단(C)에 의해 외측방으로 회동(젖혀짐)이 지지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평보강부재(29) 일면 양측의 힌지공(86)과 대응되게 등받이프레임(84)의 일면에 관통 형성된 회동공(87)을 통하여 삽입되고, 힌지너트(89)로써 체결된 힌지볼트(88)를 중심으로 등받이프레임(84)이 외측방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부의 등받이부재(83)가 회동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허리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등받이프레임(84)의 저면부와 밀착시트(94)의 타면 사이에 개재되어 등받이프레임(84)을 지지하는 압축스프링(95)이 압축되면서 등받이프레임(84)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젖힘지지수단(C)의 압축스프링(95) 압축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등받이프레임(84)의 슬롯공(91)을 통하여 수평부강부재(29)의 안착돌부(81)에 형성된 나사공(90)에 체결되는 두무볼트로 이루어진 롱-볼트(92) 일측이 돌출되게 삽입되고, 일면에 롱-볼트(92)가 체결되는 체결너트(93)가 고정된 밀착시트(94) 일면의 고정캡(96)을 우측방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밀착시트(94) 일면에 고정된 체결너트(93)가 롱-볼트(92)를 따라 우측방으로 체결되어 등받이프레임(84)의 저면부와 밀착시트(94)의 타면 사이에 개재된 압축스프링(95)이 압축되어 등받이프레임(84). 반대로 고정캡(96)을 회전시키면, 등받이프레임(84)의 저면부와 밀착시트(94)의 타면 사이에 개재된 압축스프링(95)의 압축력이 완화되는 것이다.
한편, 도 7c에서와 같이 수평보강부재(29) 타면에는 젖침수단(D)이 구비되어 등받이프레임(84)을 강제적으로 외측방으로 젖힘을 지지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평보강부재(29) 타면의 조절너트부재(100)의 조절나사공(110)에 체결된 젖힘부재(120)의 손잡이부(140) 외주연에 압입 고정되는 파지부(150)를 파지하고 일측방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젖힘부재(120)의 안착부(130)가 조절너트부재(100)의 조절나사공(110)을 따라 일측방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안착부(130)의 절단면(130a)이 등받이프레임(84) 상면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안착부(130)의 외경이 등받이프레임(84) 상면을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압축스프링(95)이 압축되면서 등받이프레임(84)이 외측방으로 강제적이 젖혀지게 된다.
이때, 안착부(130)는 직경의 1/2이 절단되어 절단면(130a)이 형성되고, 이 절단면(130a)이 등받이프레임(84)의 상면에 밀착되면, 등받이프레임(84)이 외측으로 젖혀지지 않은 상태가 되고, 외경이 상면에 밀착되면 절단면(130a)의 직경만큼 등받이프레임(84)이 외측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시트부재(1)의 전방 중앙 영역에 형성된 만곡돌부(210)가 사용자의 회음부(요도부위) 닿게 되어 회음부에 대한 자극을 가하게 되어 롤링운동시 그 효과를 배가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시트부재(1) 후방의 양측으로는 엉덩이 부위의 뼈(관골)가 닿게 되는 돌출부(220)가 형성되어 있어 양측 엉덩이 부위의 뼈를 자극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트부재(1) 및 등받이부재(83)에 구비된 다수의진동수단(500)을 순차적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즉, 리모콘을 조작하여 콘트롤러에 전선으로 연결된 시트부재(1)의 진동모터(540)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쿠션부(300)의 결합홈(520)에 삽입된 하부케이스(560) 내부에 삽입되고, 하부케이스(560)에 나사 체결된 상부케이스(580)에 의해 보호되는 진동모터(540)가 동작된다. 이에 따라 만곡돌부(210) 및 돌출부(220)에 진동력이 전달되어 사용자의 회음부(요도부위) 및 엉덩이 부위의 뼈(관골)에 대한 자극을 극대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등받이부재(83)에 구비된 다수의 진동수단(500)을 리모콘의 조작으로 콘트롤러에 전선으로 연결된 시트부재(1)의 진동모터(540)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쿠션부(420)의 결합홈(520)에 삽입된 하부케이스(560) 내부에 삽입되고, 하부케이스(560)에 나사 체결된 상부케이스(580)에 의해 보호되는 진동모터(540)가 동작된다. 이에 따라 등받이부재(83)의 프레임부(400), 쿠션부(420) 및 외장부(440)에 진동력이 전달되어 사용자의 등부위에 대한 자극 및 마사지 효과를 극대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시트부재(1) 및 등받이부재(83)에 구비된 다수의 진동수단(500)의 진동모터(540)는 사용자의 선택적인 리모콘 조절에 의해 속도, 시간 및 동작 개수 등이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내용은 도 1 내지 도 12의 하체 운동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들은 동작수단은 동일하고, 시트부재(1)를 롤링시키는 수단이 상이한 것이다.
먼저 도 11 및 도 12를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트부재(1)에 편안하게 앉은 사용자가 허리(골반)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시트부재(1) 저면부의 시트판(2)에 상부가 고정된 제 1하우징(630)의 단차끼움홈(631)과 삽입홈(632)을 통하여 삽입되는 단차축(640) 하부 외경에 제 5스냅링(640a)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는 베어링부재(650) 외주면이, 수직연결부재(26) 상부 영역에 입설된 베어링하우징부재(600)의 단차안착홈(610)에 안착되어 제 6스냅링(650a)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는 베어링시트부재(660) 내주면을 따라 롤링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차축(640) 상부와 삽입홈(632)에 위치된 고정너트(670)로써 상호 체결된 제 1하우징부재(630)가 롤링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베어링하우징부재(600) 외경에 내경이 삽입되고, 외경이 제 1하우징부재(630) 하부 내경의 단차끼움홈(631)에 제 4스냅링(630a)으로써 이탈이 방지되게 삽입된 우레탄 재질의 완충부재(620) 내경이 베어링하우징부재(600)의 외경을 따라 롤링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완충부재(620)는 재질의 특성상 찌그러지면서 그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너트(670)는 제 1하우징부재(630)의 삽입홈(632)에 밀착되게 위치되고, 고정너트(670)와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하여 단차축(640)의 상부 외경 영역이 절단된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시트부재(1)에 앉은 사용자가 허리(골반)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시트부재(1) 저면부의 시트판(2)에 상부가 고정된 제 2하우징(630)의 단차끼움홈(741)과 삽입홈(742)을 통하여 삽입되는 단차축(750) 하부 외경의 롤링부(751) 외주면이, 수직연결부재(26) 상부 영역에 입설된 롤링부재(700)의 롤링홈(710) 내주면을 따라 롤링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단차축(750) 상부와 삽입홈(742)에 위치된 고정너트(760)로써 상호 체결되는 제 2하우징부재(740)가 롤링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롤링부재(700) 외경에 내경이 삽입되고, 외경이 제 2하우징부재(750) 하부 내경의 단차끼움홈(741)에 제 7스냅링(740a)으로써 이탈이 방지되게 삽입된 우레탄 재질의 완충부재(720) 내경이 롤링부재(700)의 외경을 따라 롤링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완충부재(720)는 재질의 특성상 찌그러지면서 그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너트(760)는 제 2하우징부재(750)의 삽입홈(742)에 밀착되게 위치되고, 고정너트(760)와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하여 롤링축(750)의 외경 영역이 절단된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6의 롤링수단은 언록킹부재(70)를 사용하여 시트부재(1)의 롤링상태 및 언롤링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시트부재에 대한 승하강운동이 가능하고, 시트부재에 대한 롤링운동을 록킹 및 언록킹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으며, 등받이부재에 대한 젖힘(회동)과 젖힘에 대한 지지력 및 등받이부재를 강제적으로 외측방으로 젖힘을 지지하게 되는 등 다양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어 상체를 바르게 교정하여 허리가 유연해지게 되고, 척추 및 골반이 바르게 되어 요통의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허벅지 및 무릅을 강화시켜 관절염의 예방을 할 수 있고, 특히 시트부재와 등받이부재에 진동수단을 구비하게 됨으로써 회음부와 엉덩이 부위의 뼈(관골)에 대한 자극을 극대화시키고, 사용자의 등에 대한 마사지를 하게 됨으로써 회음부 및 허리, 고관절, 요추 운동으로 성인 남녀들의 정력증강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3)

  1. 상부 중앙 영역에는 가스실린더(12)가 입설되고, 상기 가스실린더(12) 내부에 로드(13)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로드(13) 상부로 돌출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가스쇼바(14)가 삽입되는 받침부재(10);
    상기 로드(13)가 수직으로 삽입 고정되는 수직테이퍼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테이퍼(22)과 연통되게 수평나사공(24)이 형성된 수직연결부재(26)와; 상기 수직연결부재(26) 상부 중앙 영역에 입설된 중심축(30)과; 상기 수직연결부재(26) 상부 외경에 대칭되게 형성된 제 1,2수평날개부재(27)(28)와; 상기 제 1,2수평날개부재(27)(28) 사이의 상기 수직연결부재(26) 외경에 형성된 수평보강부재(29)와; 상기 수평나사공(24)에 체결되어 상기 가스쇼바(14)를 동작시키는 푸쉬레버(40)로 이루어진 승하강운동장치(20);
    상기 승하강운동장치(20)의 중심축(30)과 시트부재(1)의 시트판(2)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재(1)를 롤링 및 언롤링을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언록킹부재(70)가 구비된 롤링수단(A); 및
    상기 수평보강부재(29) 저면부와 등받이프레임(84) 사이에 구비된 힌지수단(B), 젖힘지지수단(C) 및 젖힘수단(D)으로써 등받이부재(83)가 외측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고, 회동이 지지되며, 젖힘이 강제적으로 지지되는 등받이젖힘장치(8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레버(40)는
    상기 수평나사공(24)에 체결되는 나사부(42)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상기 가스쇼바(14)의 상단을 선택적으로 누르게 되며, 길이 방향으로 절단부(46a)가 형성된 누름부(44)가 일체로 형성되고, 후단에는 외주면에 파지부(48)가 압입된 손잡이부(46)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수단(A)은
    상기 중심축(30)의 중앙 영역 외경에 끼워지는 결합공(61)이 형성된 완충부재(60);
    상기 중심축(30)의 중앙 영역 외경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삽입되는 베어링부재(62);
    상기 베어링부재(62) 외주면이 내주면에 안착되어 롤링운동을 하게 되는 베어링시트부재(63);
    상기 완충부재(60) 외경이 이탈이 방지되도록 삽입되는 안착홈(64)이 하부 내경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64)과 연통되게 상기 베어링시트부재(63)가 삽입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삽입되는 단차홈(65)이 상부 내경에 형성되며, 상기 시트부재(1) 저면부의 시트판(2)에 상부가 고정된 하우징부재(67); 및
    상기 수직연결부재(26)의 상부에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중심축(30) 하부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시트부재(1)의 롤링상태 및 언롤링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는 언록킹부재(7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60)의 결합공(61)은 그 길이가 적어도 1/2정도가 경사지게 경사부(6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부재(70)는
    상기 중심축(30) 하부 외경에 삽입되는 축삽입공(71a)이 중앙 영역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재(67) 저면부가 맞닿게 되는 경사홈(71)이 형성된 상부밀착부(72)와, 상기 수직연결부재(26) 상부와 상기 제 1,2수평날개부재(27)(28) 상부 양측 상부의 평탄면(27a)에 밀착되고, 상기 수평보강부재(29)의 환형홈(29a)에 선택적으로 밀착 삽입되는 하부밀착부(73)와, 상기 하부밀착부(73) 사이에 형성되어 수직연결부재(26) 상부에 밀착되는 밀착환형홈(74)으로 이루어진 회전부재(75); 및
    상기 회전부재(75)의 일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체결되어 회전부재(75)를 회전시키기 위한 파지부재(77);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75)의 하부밀착부(73) 양측에는 상호 어긋나게 경사면(73a)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B)은
    상기 수평보강부재(29) 일면 양측에 대응되게 관통 형성된 힌지공(86);
    상기 힌지공(86)과 대응되게 상기 등받이프레임(84)의 일면에 관통 형성된 회동공(87);
    상기 힌지공(86)과 상기 회동공(87)을 통하여 삽입되는 힌지볼트(88); 및
    상기 힌지볼트(88)에 체결되어 상기 등받이프레임(84)을 지지하는 힌지너트(89);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젖힘지지수단(C)은
    상기 수평보강부재(29) 저면부의 끼움장홈(82) 중앙 영역에 돌설되고, 나사공(90)이 형성된 안착돌부(81);
    상기 나사공(90)과 대응되게 상기 등받이프레임(84)에 형성된 슬롯공(91);
    상기 슬롯공(91)을 통하여 상기 나사공(90)에 타측이 체결되는 롱-볼트(92);
    상기 롱-볼트(92) 일측이 돌출되게 삽입되고, 일면에는 상기 롱-볼트(92)가 체결되는 체결너트(93)가 고정된 밀착시트(94);
    상기 등받이프레임(84)의 저면부와 상기 밀착시트(94)의 타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등받이프레임(84)을 지지하는 압축스프링(95); 및
    상기 밀착시트(94)의 일면에 고정되어 상기 압축스프링(95)을 압축 및 해제시키는 고정캡(96);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
  9. 제 1항 또는 제 8에 있어서, 상기 젖힘수단(D)은
    상기 수평보강부재(29) 타면에 설치되고, 끼움장홈(82)과 연통되게 조절나사공(110)이 형성된 조절너트부재(100); 및
    상기 조절나사공(110)에 체결되어 등받이프레임(84) 상면에 안착되어 누르게 되는 안착부(130)와, 상기 안착부(130) 일단에 단차지게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140)와, 상기 손잡이부(140) 외주연에 압입 고정되는 파지부(150)로 이루어진 젖힘부재(12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
  10.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1)는 전방 중앙 영역에 회음부가 닿도록 만곡돌부(210)가 형성되고, 후방의 양측으로는 엉덩이부위의 뼈가 닿게 되는 돌출부(220)가 형성된 프레임부재(200);
    상기 프레임부재(200)를 감싸게 되는 쿠션부(300); 및
    상기 쿠션부(300)의 외주면을 완전히 감싸 은폐시키는 외장부(32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
  11. 제 1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1)와 상기 등받이부재(83)의 쿠션부(300)(420)에는 다수의 진동수단(500)을 구비하되,
    상기 진동수단(500)은 상기 쿠션부(300)(420)의 적정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520);
    상기 결합홈(520)에 안착되고, 내부에 진동모터(540)가 설치되는 하부케이스(560); 및
    상기 하부케이스(560)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진동모터(540)를 보호하게 되는 상부케이스(58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
  12.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결부재(26) 상부 영역에는 내경에 단차안착홈(610)이 형성된 베어링하우징부재(600)가 입설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부재(600) 외경에는 완충부재(620) 내경이 삽입되며,
    상기 완충부재(620) 외경은 상기 시트판(2) 저면부에 고정된 제 1하우징부재(630)의 단차끼움홈(631)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제 1하우징부재(630)의 단차끼움홈(631)과 연통되게 상부 내경에는 삽입홈(632)이 형성되며,
    상기 단차끼움홈(631)과 상기 삽입홈(632)을 통하여 단차축(640)이 삽입되어상부가 고정너트(670)로써 상기 삽입홈(632) 내부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단차축(640)의 하부 외경에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베어링부재(650)가 삽입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부재(600)의 단차안착홈(610)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삽입된 베어링시트부재(660) 내주면에 그 외주면이 안착되어 롤링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
  13.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결부재(26) 상부 영역에는 상부 중앙 영역에 롤링홈(710)이 형성된 롤링부재(700)가 입설되고,
    상기 롤링부재(700) 외경에는 완충부재(720) 내경이 삽입되며,
    상기 완충부재(720)의 외경은 상기 시트판(2) 저면부에 고정된 제 2하우징부재(740) 하부 내경의 단차끼움홈(741)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 2하우징부재(740)의 단차끼움홈(741)과 연통되게 삽입홈(742)이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단차끼움홈(741)과 상기 삽입홈(742)을 통하여 롤링축(750)이 삽입되어 그 상부가 고정너트(760)로써 상기 삽입홈(742) 내부에 체결 고정되고, 하단에 형성된 롤링부(751)가 상기 롤링부재(700)의 롤링홈(720) 내부에 안착되어 롤링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
KR20-2003-0020659U 2003-06-16 2003-06-30 하체 운동기 KR20033050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827 2003-06-16
KR20030018827 2003-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502Y1 true KR200330502Y1 (ko) 2003-10-22

Family

ID=4941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659U KR200330502Y1 (ko) 2003-06-16 2003-06-30 하체 운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5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06408A (ja) * 2020-06-24 2022-01-13 美津濃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器具
JP7378519B2 (ja) 2022-02-24 2023-11-13 美津濃株式会社 出力装置及びトレーニング用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06408A (ja) * 2020-06-24 2022-01-13 美津濃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器具
JP7024012B2 (ja) 2020-06-24 2022-02-22 美津濃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器具
JP7378519B2 (ja) 2022-02-24 2023-11-13 美津濃株式会社 出力装置及びトレーニング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8047B1 (en) Exercise device
CN108606520B (zh) 向用户提供上提力的椅子
EP2438894B1 (en) Transfer and mobility device
AU2003202912A2 (en) Passive motion apparatus providing a controlled range of motion
JP2009540871A (ja) 腰の強化に使用される椅子
CA2630508C (en) Spinal therapy apparatus
JP7375048B2 (ja) 体重を利用して抱擁支持、減圧、固定、脊椎保護および脊椎矯正を達成するための多機能ヘルスケアシート装置
AU2008336270B2 (en) Antigravity muscle exerciser and methods of using same
US5294176A (en) Sexual device for handicapped men
JP4980462B1 (ja) 旋回運動補助具
KR200330502Y1 (ko) 하체 운동기
KR100678653B1 (ko) 다기능 의자
JPH0441856Y2 (ko)
KR200330570Y1 (ko) 전신 운동기
KR101936671B1 (ko) 회전근개 재활운동 장치
CN219423235U (zh) 一种脊柱肌力训练装置
JP3188137U (ja) 腰痛緩和椅子
KR100407093B1 (ko) 다목적 운동 기구
CN215535745U (zh) 一种偏瘫康复用辅助设备
JP2013078445A (ja) 手動式移動車
KR200360274Y1 (ko) 다기능 의자
KR101538407B1 (ko) 상지 근력 강화 보조 장치
KR20160003856U (ko) 누워서 하는 만보 운동기구
US20070049474A1 (en) Training apparatus
JP4332798B2 (ja) 腰臀部揉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