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221B1 -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221B1
KR100678221B1 KR1020060025881A KR20060025881A KR100678221B1 KR 100678221 B1 KR100678221 B1 KR 100678221B1 KR 1020060025881 A KR1020060025881 A KR 1020060025881A KR 20060025881 A KR20060025881 A KR 20060025881A KR 100678221 B1 KR100678221 B1 KR 100678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key
detected
input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원
윤현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5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동시에 다수의 키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 그 입력된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키 입력이 감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면 감지된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위에서의 두 가지 경우에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는 이유는 다수의 키가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를 외부에서의 잘못된 키 입력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키 입력 감지 이후부터 일정 시간 내에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는 않는 경우에는 키 입력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키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휴대단말기는 대기 상태에서 프로세싱 상태로 바뀌며 키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단말기, 키, 보정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KEY INPUTTING IN MOBILE TEMINAL}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처리하는 제어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내부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프로세싱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제어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및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외형이 소형화 및 슬림화되고 있고, 대중화의 코드에 따라 바형,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특히 바형이나 플립형의 경우 키가 외부로 노출되기 쉬우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외부로부터의 잘못된 키 입력이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로, 특히 종래의 휴대단말기는 키 입력을 감지하면 바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종래의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100단계에서 키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에서 110단계에서 외부로부터 키 눌림이 발생하면 120단계에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130단계에서 키 눌림이 해제되면 다시 100단계로 돌아간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하여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2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처리하는 제어흐름도이다. 200단계에서 종래의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외부로부터의 키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이다. 210단계에서 제어부는 키패드를 스캔하여 키 눌림을 검사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키 입력을 감지한 경우에만 220단계를 수행한다. 220단계에서 제어부는 감지된 키 입력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230단계에서 제어부는 키 테이블을 스캔하여 키 눌림 해제가 되는지를 검사하여 키 눌림이 해제된 경우 200단계로 돌아가 일련의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한편, 키가 외부에 노출된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옷 주머니, 가방, 지갑 등 에 보관 중 사용자가 키를 누르지 않아도 외부압력 등에 의해 의도되지 않은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살펴보면 종래에는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바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른 동작이 일어나게 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키가 외부에 드러난 바 타입의 휴대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동작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홀드(Hold)기능을 가진 키를 하드웨어적으로 두는 방법이 사용하기도 했었으나 이는 입력 키의 증가와 사용상의 불편함이 많아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면서 사용자가 키를 누르지 않아도 외부압력 등에 의해 의도되지 않은 키 입력이 발생하면 이를 대처할 효과적인 수단이 제공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의도된 입력과 외부로부터의 잘못된 키 입력을 구분하여 잘못된 키 입력을 실행하지 않기 위한 키 입력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키를 구비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동시에 다수의 키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키를 구비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키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키 입력 감지 이후부터 일정 시간 내에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키 입력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켜 상기 키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키 입력이후부터 일정 시간 내에 다른 키 입력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키 입력이 계속 감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는 과정과,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 될 때까지 상기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키 입력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켜 상기 키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요약한다. 본 발명에서의 휴대단말기는 여러 키가 동시에 눌리는 경우를 외부로부터의 잘못된 키 입력으로 판단한다. 이를 위해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외부로부터의 키 입력이 있는 경우 키 입력 이후부터 일정 시간 내에 다른 키 입력이 있는지를 감지한다. 여기에서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키 입력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켜 이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반면에 동시에 여러 키 입력이 감지되면 감지된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키 입력을 보정할 수 있다. 즉, 의도하지 않은 키 입력에 대해서는 그 키 입력을 무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내부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의도되지 않은 키 입력을 보정하기 위해 동시에 다수의 키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그 입력된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키 입력이 감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더라도 감지된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키 입력 감지 이후부터 일정 시간 내에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즉, 한 번에 한 키 씩 입력되는 경우를 사용자에 의한 올바른 키 입력으로 판단하여 키 입력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그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여기에서 키 입력 이벤트란 키 입력 메시지와 같은 것으로 휴대단말기는 키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프로세싱 상태로 넘어가 통화, 동영상 등의 기능을 처리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제어부(300), 키 입력부(310), 표시부(320), 메모리(330), 베이스밴드 처리부(340), RF부(350) 및 음성 처리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어부(300)는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및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휴대단말기의 각 부분을 제어함과 아울러 잘못된 키 입력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를 담당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키를 눌 렀는지와 그 누름을 해제하였는지에 대한 값을 기록하고 있는 키 테이블을 주기적으로 스캔함으로써 키 입력이 있는지를 감지한다. 여기에서 제어부(300)는 동시에 다수의 키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를 외부로부터의 잘못된 키 입력이라고 판단하여 그 입력된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300)는 키 입력이 있는 경우 바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고 키 입력 이후부터 일정 시간을 키 입력을 보정하기 위한 시간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의 의도하지 않은 키 입력은 사용자 옷, 가방, 지갑 등에서 다수의 키들이 동시에 눌려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제어부(300)는 설정된 일정 시간 내에 여러 키가 눌려짐을 감지함으로써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는 계속 대기 상태로 머물러 있게 되고 잘못된 키 입력에 대응하는 잘못된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키 입력부(310)는 숫자 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300)에 출력한다. 즉, 키 입력부(310)는 구비된 각종 키 입력에 따라 그 고유의 키 입력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300)는 출력된 신호가 어떠한 키 입력에 따른 키 입력 신호인지를 키 테이블을 통해 검사하여 그 결과에 따라 해당 키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한편 키 입력부(310)의 키는 휴대단말기의 바형,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중의 어떤 형태인가에 따라 외부로 드러나는 정도가 다를 수 있으며 슬림화된 휴대단말기에 대한 요구가 높아질수록 키 입력부(310)의 키는 외부로 더 드러날 수밖에 없다.
표시부(3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aganic Light Emitting Diodes)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LCD 또는 OLE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키 입력부(310)의 역할과 같이 터치스크린의 눌림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300)로 출력한다. 그리고 표시부(320)는 제어부(300)에 의해 키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실행된 후 구성된 화면을 제어부(300)의 제어 하에 출력한다.
메모리(330)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및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롬은 제어부(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램은 제어부(3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하며, 플래시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베이스밴드 처리부(340)는 제어부(300)와 RF부(35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3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RF부(350)로 인가한다. 그리고 베이스밴드 처리부(340)는 RF부(35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00)에 인가한다. RF부(350)는 기지국과 RF(Redio Frequency)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RF부(35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IF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340)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340)로부터 입력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에 송신한다.
음성 처리부(360)는 마이크 및 스피커와 접속되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PCM(Plu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하여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300)에 출력한다. 그리고 음성 처리부(360)는 제어부(3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PCM복호화(Decoding)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360)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거나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데 있어서 스피커의 음량과 마이크의 이득을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조절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프로세싱 상태로 넘어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동시에 다수의 키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와 키 입력이 감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 감지된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키 입력 감지 이후부터 일정 시간 내에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키 입력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400단계에서 휴대단말기는 대기 상태이다. 대기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키 입력 혹은 외부로부터의 키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키 눌림 값이 있는지에 대해 키 테이블을 스캔한다. 410단계에서 휴대단말기는 일정 시간 동안 감지된 다른 키 입력이 없는 경우 키 입력 메시지와 같은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다시 말하면 키 입력 이벤트는 키 입력을 감지할 때 바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키 입력을 계속 감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키 입력이 감지된 이후부터 일정 시간 동안 다른 키 입력이 없을 경우에 발생하며 상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에서 후술한다. 키 이벤트가 발생하면 420단계에서 휴대단말기는 프로세싱 상태가 되어 키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그리고 430단계에서 휴대단말기는 설정된 시간이 초과할 경우 410단계로 돌아가 전술한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키 입력이 감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면 감지된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반면에 키 입력 감지 이후부터 일정 시간 내에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키 입력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500단계에서 제어부(300)는 키 입력이 감지되는지를 검사하면서 키 입력을 대기한다. 여기에서 키 입력을 대기함은 휴대단말기가 대기 상태(400)에서 외부로부터의 키 입력을 기다리는 것을 말한다. 510단계에서 외부로부터의 키 눌림이 있으면 520단계에서 제어부(300)는 그 키 눌림에 대응하는 키 입력을 일정 시간 동안 활성화한다. 제어부(300)는 530단계에서 키 입력이 활성화되는 일정 시간 내에 다른 외부로부터의 키 눌림이 발생하면 540단계에서 발생된 키 눌림들에 대응하는 키 입력들을 비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550단계에서 사용자가 누르고 있는 비활성화된 키들에 대해 사용자가 손을 띄어 키 눌림 해제한 경우 다시 500단계로 돌아가 전술한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활성화된 키 입력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바로 발생시키지 않고 일정 시간 더 두는 이유는 그 일정 시간 내에 다른 키 입력이 들어올 경우 감지된 키 입력들을 비활성화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어부 (300)는 비활성화된 키들에 대해서 대기 상태(400)로 가기 이전에는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510단계에서 키가 눌려진 경우에도 이에 해당하는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키 입력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560단계에서 제어부(300)는 키 입력이 활성화된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에도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570단계에서 키 입력에 대응하는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키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휴대단말기는 대기 상태(400)에서 빠져나와 키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프로세싱 상태(420)로 진입하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숫자 키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화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메뉴 키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뉴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그리고 580단계에서 제어부(300)는 키 이벤트를 발생시켰던 키 입력을 사용자가 키 눌림 해제하는 경우 대기 상태(400)로 돌아간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휴대단말기에서 잘못된 키 입력을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제어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키 입력이 감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기전에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면 감지된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키 입력 감지 이후부터 일정 시간 내에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는 않는 경우에는 키 입력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600단계에서 제어부(300)는 외부로부터의 키 입력을 대기한다. 610단계에서 제어부(300)는 키 테이블을 스캔하여 키 눌림을 검사함으로써 키 입력을 감지한다. 그리고 키 입력이 감지되면 620단계를 수행하고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600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620단계에서 제어부(300)는 감지된 키 입력을 일정 시간 동안 활성화한다. 630단계에서 제어부(300)는 620단계에서 키 입력을 활성화하는 일정 시간 내에 키 테이블을 스캔하여 다른 키 입력이 있는지를 감지한다. 여기에서 제어부(300)는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면 640단계를 수행하고,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경우 660단계를 수행한다. 640단계에서 제어부(300)는 감지된 키 입력들을 비활성화시킨다. 비활성화된 키들은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휴대단말기는 비록 610단계에서 키 입력이 있더라도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650단계에서 제어부(300)는 키 테이블을 스캔하여 감지된 키 입력들에 대한 키 눌림 해제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키가 업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모든 키 입력들이 키 눌림 해제된 경우에만 600단계로 돌아가 일련의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한편 630단계에서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660단계에서 제어부(300)는 키 입력에 대응하는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키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대기 상태(400)에서 빠져나와 프로세싱 상태(420)가 되며 키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키 입력 후 일정 시간 내에 다른 키 입 력이 있으면 눌린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키 입력 이벤트에 대한 프로세스를 실행하지 않게 되므로 잘못된 키 입력을 보정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잘못된 키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배터리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키를 구비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동시에 다수의 키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장치.
  2.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키를 구비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키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키 입력 감지 이후부터 일정 시간 내에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키 입력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켜 상기 키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키가 외부에 노출된 바형(Bar Type) 휴대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장치.
  4.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키 입력 이후부터 일정 시간 내에 다른 키 입력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키 입력이 계속 감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지 않는 과정과,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 될 때까지 상기 다른 키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키 입력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켜 상기 키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부에 키가 노출된 바 타입(Bar Type) 휴대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방법.
KR1020060025881A 2006-03-21 2006-03-21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78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881A KR100678221B1 (ko) 2006-03-21 2006-03-21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881A KR100678221B1 (ko) 2006-03-21 2006-03-21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8221B1 true KR100678221B1 (ko) 2007-02-02

Family

ID=3810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881A KR100678221B1 (ko) 2006-03-21 2006-03-21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22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99574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Operating According to Detection of Environmental Light
JP2009518919A (ja) 発呼中のキーロックを有する電子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555311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EP2119203B1 (en) Battery saving selective screen control
US200600466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activating a keypad lock
US20090170553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put interface auto-lock thereof
KR20060094991A (ko) 이어 마이크를 이용한 단축 다이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KR100678221B1 (ko)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7110320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52098A (ko) 센서를 이용한 전류소모최소화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휴대전화기
CN104980568A (zh) 电子装置的来电控制系统及其来电控制方法
CN101616499A (zh) 无线通讯装置及其操作方法
KR100605820B1 (ko) 피디에이 기능과 폰 기능을 구비한 피디에이폰에서사용자데이터 보호방법
KR100226222B1 (ko) 이어-마이크 접속 감지를 통한 자동 착신전환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KR200202271Y1 (ko) 긴급통화버튼을 갖는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KR100617851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에 의한 발신 방법
JP2013030915A (ja) 電子機器
JP2010226378A (ja) 携帯通信端末
KR10114435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00025427A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분실 시 콜백장치 및 그 방버뵤
KR100819292B1 (ko) 휴대단말기에서 호 발생을 알리는 장치 및 방법
KR100846243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키입력 처리 방법
JP2014033330A (ja) 携帯端末装置
TWI465099B (zh) 無線通訊裝置及其操作方法
KR1008890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