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439B1 -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439B1
KR100677439B1 KR1020050018452A KR20050018452A KR100677439B1 KR 100677439 B1 KR100677439 B1 KR 100677439B1 KR 1020050018452 A KR1020050018452 A KR 1020050018452A KR 20050018452 A KR20050018452 A KR 20050018452A KR 100677439 B1 KR100677439 B1 KR 100677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base station
pag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693A (ko
Inventor
이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8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439B1/ko
Priority to CNB2006100033388A priority patent/CN100425096C/zh
Publication of KR20060098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2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wash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운용에 필요한 기능부만을 활성화 시켜 전류 소모를 최적화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운용에 필요한 제어명령과 호출 상대방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키보드부와; 상기 키보드부의 제어명령 신호와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를 최소의 기능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하도록 제어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명령신호가 입력되면 기저대역 디지털 방식으로 분석처리하는 디비비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상향변조하여 무선송신하며, 무선수신 신호는 하향변조하여 출력하는 고주파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디비비부와 고주파부 사이의 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처리하는 에이비비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 등으로 하여, 동일한 용량 배터리로 최소한의 전류만을 소모하므로, 운용시간이 늘어나 사용자의 신뢰도를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OPTIMIZATION CURRENT CONSUMPTION FOR MOBILE PHONE}
도1 은 종래 기술의 일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기능 구성도,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활성화 운용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페이징 신호와 명령신호 입력 타이밍 설명도,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키보드부 110 : 제어부
120 : 에이비비부 130 : 고주파부
140 : 디비비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대기상태의 절전모드에서 필요한 최소의 기능부만을 활성화 시켜 전류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특히, 절전모드에서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 수신 상태와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 입력상태를 구분하여 최소한의 기능부만을 활성화하므로 전류소모를 줄이고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는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가입 등록된 시스템의 해당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언제나 항상 직접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통신에 직접 운용되는 시간이 작고,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통신을 위하여 항상 휴대 및 대기하는 시간이 많아 이용률과 운용률이 낮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개발 제공되고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MS)의 부가서비스는, 기본 통신서비스 이외에 제공되는 것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접속, 발신자 확인, 비오디 서비스, 문자 또는 음성 또는 영상을 이용하는 메시지 전송, 무선 온라인 게임 등이 있고, 휴대단말기 제조사(MAKER)에서 개발 제공하는 전화번호부(PHONE-BOOK), 동영상 파일 관리, 음악파일 관리, MP3, 카메라, 전자계산기, 블루투스, 적외선통신 등등이 있으며, 계속 새로운 기능이 개발되고 추가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이동성이 보장되는 것으로, 크기와 무게와 부피를 최소한으로 하고, 배터리를 동작전원으로 사용하며, 상기 배터리의 무게와 크기에 제한이 있으므로, 출력 전류의 량이 제한되어 동작전원의 공급이 제한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정상 운용되지 않는 상태에서, 대기상태 운용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부가 전류를 소모하는 절전모드 설정으로 배터리 수명 연장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부가서비스 등을 위한 기능부 구성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배터리가 공급할 수 있는 전류의 량은 제한되므로, 각 기능부의 전류 소모를 제한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제한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의 일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활성화 운용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일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면, 키보드부(10)는 휴대단말기의 운용을 위한 각종 제어명령과 다이얼링 신호 등을 입력하고, 디비비부(DBB: DIGITAL BASE BAND)(20)는 입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며, 에이비비부(ABB: ANALOG BASE BAND)(30)는 입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고, 고주파부(40)는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이동통신의 고주파 신호로 상향변환하여 출력하므로 기지국(RAN)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운용 특성상, 기지국과 주기적인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현재 위치를 이동교환국에 등록하고, 기지국과 무선접속 및 통신에 필요한 각종 시 스템 운용 정보를 제공받고 갱신하며, 상기와 같이 주기적으로 기지국과 무선접속하는 채널을 페이징(PAGING) 채널이라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대기(STANDBY)상태에서 슬립모드(SLEEP MODE) 설정에 의하여 각 기능부가 최소한의 전류를 소모하는 절전상태로 운용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운용정보를 무선수신하는 경우와 사용자가 키보드부(10)를 통하여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고주파부(40)와 디비비부(20)와 에이비비부(30)가 활성화되어 시스템 운용정보 수신 처리 및 제어명령 입력 분석처리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키보드부(10)를 통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디비비부(20)의 기능만 필요하고, 상기 고주파부(40)와 에이비비부(30)의 기능은 필요하지 않으나, 활성화 시켜 전류를 소모하는 문제가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활성화 운용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운용되지 않는 대기상태에서 슬립모드의 절전상태로 운용되고(S10), 키보드부(10)로부터 제어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며(S20), 상기 판단(S20)에서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휴대단말기는 슬립모드 상태의 각 기능부를 정상 전류소모에 의한 활성화 상태로 설정 운용한다(S30).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과정(S30)의 운용이 완료된 경우 절전하는 대기상태로 복귀한 상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시스템 운용정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S40), 슬립모드의 각 기능부 절전상태를 정상 전류소모에 의한 활성화 상태로 운용한다(S50).
즉, 상기 휴대단말기는 운용되지 않는 상태에서 절전모드로 설정되고, 키보드부로부터 제어명령이 입력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신호가 수신되면, 각 기능부를 활성화 시켜 정상 전류소모 상태에서 운용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휴대단말기는, 키보드부(10)를 통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상태에서, 디비비부(20)의 기능이 필요하지만, 고주파부(40)와 에이비비부(30)가 함께 활성화되어 정상적인 전류를 소모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소모전류를 최소화하는 슬립모드 운용상태에서,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와 키보드부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경우를 구분하여 필요한 기능부만이 활성화 상태로 동작하므로 전류소모를 최소화하는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운용에 필요한 제어명령과 호출 상대방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키보드부와; 상기 키보드부의 제어명령 신호와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를 최소의 기능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하도록 제어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명령신호가 입력되면 기저대역 디지털 방식으로 분석처리하는 디비비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상향변조하여 무선송신하며, 무선수신 신호는 하향변조하여 출력하는 고주파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디비비부와 고주파부 사이의 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처리하는 에이비비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제어부에 의하여 최소기능부가 전류를 소모하는 대기상태에서 기지국의 페이징신호를 수신할 주기인지를 판단하는 초기과정과; 상기 페이징 신호 수신 주기이면, 각 기능부를 활성화 운용하여 페이징 신호의 수신 처리를 완료하고 절전모드를 설정하는 페이징 과정과; 상기 페이징 과정의 제어부는 키보드부로부터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비비부를 활성화 운용하여 입력처리 완료하는 명령신호 과정과; 상기 명령신호 과정의 제어부에 의하여 최소전류를 소모하는 절전모드를 운용하고 기지국의 페이징신호 무선수신 주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반복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페이징 신호와 명령신호 입력 타이밍 설명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를 설명하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운용에 필요한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호출 상대방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키보드부(100)와,
상기 키보드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 신호와 무선입력되는 페이징신 호를 각각 최소화 운용되는 활성화 기능부에 인가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부를 감시하여 키보드부(100)로부터 명령신호가 인가되면 디비비부(140)를 활성화 제어하여 명령신호를 입력하고, 고주파부(130)에 의하여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를 무선수신하면, 고주파부(130)와 에이비비부(120)와 디비비부(140)를 활성화 제어하여 페이징 신호를 무선수신하고 분석처리하여 운용하는 동시에,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 수신 완료 후의 시간을 계수하여 다음 주기의 페이징 신호 수신주기까지 절전모드를 운용하고, 상기 절전모드 주기 동안에 키보드부(100)로부터 명령신호가 인가되면 디비비부(140)를 활성화 제어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제어에 의하여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고주파부(130)가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를 무선수신하는 경우 활성화 제어되어 하향변조된 페이징 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모뎀 신호로 입력 분석하고, 디비비부(140)에 정합 출력하는 동시에, 각 기능부의 동작전류를 출력하는 에이비비부(12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제어에 의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상향변조하여 무선송신하며, 무선수신 신호는 하향변조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를 주기적으로 무선수신하는 경우, 활성화 제어되어 페이징 신호를 입력하고 하향변환하여 에이비비부에 출력하며 에이비비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는 상향변환하여 기지국에 무선송신하는 고주파부(13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하고 제어에 의하여 기저대역 명령신호를 입력하며 디지털 방식으로 분석처리하는 것으로, 키보드부(100)가 제어명령을 인가하는 경 우, 활성화 제어되어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로 입력 분석하고 각종 운용정보를 처리하여 표시부에 출력 표시하는 디비비부(140)가 포함되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단말기가 구비되는 기능을 운용하지 않는 경우, 휴대단말기가 대기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 기능부에 해당 최소 전류를 공급하는 절전모드(SLEEPING MODE)를 설정하고, 각 기능부를 감시하며 특히, 고주파부(130)와 키보드부(100)를 감시하여 해당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
일 예로, 제어부(110)에 의하여 감시되는 키보드부(100)로부터 휴대단말기를 운용하는 제어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전류를 소모하지 않는 절전모드의 대기상태인 디비비부(140)에 동작전류를 공급하여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키보드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신호를 디비비부(140)에 전송하며, 상기 디비비부(140)는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처리 또는 운용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키보드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은 휴대단말기의 기본 기능인 이동통신 기능이거나, 또는, 부가서비스로 구비되는 다양한 기능 중에 하나를 운용하는 명령신호가 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보드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신호를 디비비부(140)에서 입력 분석하여 해당 운용을 완료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를 다시 최소기능부가 최소의 전류를 소모하도록 하는 대기상태의 절전모드를 설정 운용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제어부(110)의 감시를 받는 고주파부(130)가 기지국이 전송하는 페이징신호를 무선수신하는 경우, 절전모드 운용에 의하여 대기상태로 운용중인 상기 고주파부(130)와 에이비비부(120)와 디비비부(140)에 동작전류를 공급하여 활성화 운용하고, 상기 고주파부(130)는 정상상태 운용에 의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수신되는 페이징 신호를 에이비비부(120)에 인가하고, 상기 에이비비부(120)는 증폭, 하향변환 및 복조 등의 기저대역 아날로그 처리를 하여, 상기 디비비부(140)에 인가하며, 상기 디비비부(140)는 기저대역의 해당 디지털 처리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운용에 의한 통신서비스 운용 정보 등을 분석 운용상태로 설정한다.
상기 기지국은 소정의 주기에 의하여 이동통신 시스템 망의 운용정보를 페이징 신호로 전송하므로,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주기마다 고주파부(130)를 포함하는 에이비비부(120)와 디비비부(140)를 활성화 시켜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여야 하고, 상기 키보드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신호는 사용자에 의하여 불규칙하게 인가되는 것이므로, 언제 입력될지 모르는 신호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키보드부(100)를 통하여 휴대단말기의 운용을 직접 제어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에 관계없이 해당 주기의 시간이 되면, 기지국이 전송하는 페이징 신호를 활성화된 고주파부(130)를 통하여 수신하고, 에이비비부(120)와 디비비부(140)를 통하여 분석 및 운용처리를 완료하여야 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기지국의 신호를 고주파부(130)가 수신하는 경우에 절전모드로 운용되는 휴대단말기의 고주파부(130)와 에이비비부(120)와 디비비부 (140)에 동작전류를 공급하여 활성화 운용하고, 상기 키보드부(100)로부터 휴대단말기를 직접 운용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면 대기상태의 디비비부(140)에 동작전류를 공급하여 활성화 상태로 운용한다.
상기 제어부(110)의 고주파부(130)를 통하여 무선수신 입력하는 페이징 신호와 키보드부(100)를 통하여 입력하는 명령신호의 수행 타이밍도를,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시간 t0은, 고주파부(130)에 의하여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이고, 시간 t1은 기지국이 반복되는 다음 순서의 페이징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소요되는 주기시간이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10)는, 고주파부(130)를 제어하여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를 t0 시간에 수신하고, t2 시간 지난 상태에서 키보드부(1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명령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t3 시간에 의하여 상기 명령신호를 입력하여 해당 분석 및 처리하며, t4 시간 경과한 후에, 즉, 총 t1 시간 경과한 후에 다시 기지국이 전송하는 페이징 신호를 무선수신하여 입력한다.
상기 도4에서 t2 + t3 + t4 = t1 시간이 되고, 상기 t1 시간은 일정하게 고정된 시간값이고, 상기 t2, t3, t4 시간은 불규칙한 시간값이다.
즉, 상기 t0 시간 동안에,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고주파부(130)와 에이비비부(120)와 디비비부(140)가 활성화 상태로 제어되어 기지국이 전송하는 페이징 신호를 무선수신 및 분석 처리완료하고, 상기 t3 시간 동안에는 상기 디비비부(140)가 활성화 제어되어 키보드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신호를 입력 분석 처리 및 수행 완료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는, 절전모드로 운용되는 대기상태에서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와 제어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각각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부에 동작전류를 공급하므로, 소모전류의 크기를 최소로 하고,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 제어부에 의하여 최소기능부가 전류를 소모하는 대기상태에서 기지국의 페이징신호를 수신할 주기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제어부에 의하여 휴대단말기가 운용되지 않는 상태에서 최소 기능부를 활성화 동작시켜 최소 전류를 소모하는 대기상태로 설정 운용하는 과정(S100);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기지국이 무선전송하는 페이징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초기과정과,
상기 초기과정에서 페이징 신호 무선수신 주기이면, 각 기능부를 활성화 운용하여 페이징 신호의 수신 처리를 완료하고 절전모드를 설정하는 것으로, 제어부(110)에 의하여 각 기능부에 동작전류를 공급하고 활성화 상태로 운용하며 고주파부(130)를 제어하여 기지국의 페이징신호를 무선수신하고, 에이비비부(120)와 디비비부(140)를 제어하여 페이징 신호를 분석처리 완료하는 과정(S120); 상기 제어부(110)에 의하여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 수신과 분석 처리를 완료한 상태에서 최소 기능부를 활성화시켜 최소 전류를 소모하는 대기상태의 절전모드를 설정 운용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지는 페이징 과정과,
상기 제어부는 키보드부로부터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비비부를 활성화 운용하여 입력처리 완료하는 것으로, 상기 페이징 과정의 제어부(110)에 의하거나 상기 초기과정에서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제어부(110)에 의하여 키보드부(100)로부터 휴대단말기를 운용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40); 상기 키보드부(100)의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디비비부(140)를 활성화 제어하여 명령신호를 입력하고 분석 처리를 완료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지는 명령신호 과정과,
상기 명령신호 과정의 제어부에 의하여 최소전류를 소모하는 절전모드를 운용하고 기지국의 페이징신호 무선수신 주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제어부(110)에 의하여 키보드부(100)로부터 명령신호의 입력 및 분석 처리를 완료한 상태에서 최소 기능부를 활성화시켜 최소 전류를 소모하는 대기상태의 절전모드를 설정 운용하는 과정(S160); 상기 제어부(110)에 의하여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를 수신할 반복적인 주기가 되었는지 판단하고, 주기가 되지 않았으면 상기 명령신호 과정으로 궤환하고 주기가 되었으면 상기 초기과정으로 궤환하여 페이징 신호를 갱신 수신하는 과정(S170)으로 이루어지는 반복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는, 휴대단말기가 이동통신과 부가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최소한의 기능부가 최소한의 전류를 소모하는 절전모드의 대기상태를 설정운용하고(S100), 각 기능부를 감시한다.
상기 감시상태의 제어부(110)는, 상기 고주파부(130)를 통하여 기지국이 무선전송하는 페이징 신호가 무선수신되는지 판단하고(S110), 상기 페이징 신호를 무선수신하는 경우, 고주파부(130)를 포함하여 에이비비부(120)와 디비비부(140)를 대기상태로부터 동작전류가 공급되어 정상전류를 소모하는 활성화 상태로 운용하고, 상기 기지국이 무선전송하는 페이징 신호를 활성화된 고주파부(130)에 의하여 무선수신하고 활성화된 에이비비부에 의하여 검출, 증폭, 하향변환, 복조 등으로 아날로그 신호처리하며, 상기 활성화된 디비비부(140)에 의하여 해당 디지털 처리 및 운용을 완료한다(S120).
상기 제어부(110)는 페이징(PAGING) 신호 수신 및 해당 처리를 완료한 후에 활성화된 고주파부(130)와 에이비비부(120)와 디비비부(140)를 전류소모하지 않는 절전모드의 대기상태로 설정 운용한다(S13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페이징 과정에 의하여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 및 해당 처리를 완료하거나 또는, 상기 초기과정에서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상기 키보드부(100)로부터 휴대단말기를 제어운용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지를 비교 판단한다(S140).
상기 키보드부(100)의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절전모드의 대기상태로 설정된 디비비부(140)에 정상 동작전류를 공급하여 활성화하고, 상기 키보드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신호를 해당 디지털 처리하여 운용처리를 완료한다(S150).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단말기가 제어명령을 입력하지 않는 동시에 페이징(PAGING)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휴대단말기의 최소 기능부가 동작하여 최소의 전류를 소모하는 절전모드(SLEEP MODE)의 대기상태(STANDBY STATUS)로 설정 운용하고(S160), 상기 고주파부(130)가 기지국이 전송하는 페이징 신호를 수신할 소정의 주기시간이 되었는지 판단하고(S170), 상기 주기 시간이 되지 않았으면, 상기 명령신호 과정(S140)으로 궤환하며, 상기 주기 시간이 되었으면, 상기 초기과정(S110)으로 궤환하여 기지국이 전송하는 페이징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휴대단말기는, 정상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최소한의 기능부가 최소한의 전류를 소모하는 절전모드(SLEEP MODE)의 대기상태로 설정 운용되고, 키보드부(100)를 통하여 사용자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명령 입력 및 분석에 필요한 디비비부(140)를 활성화시켜 상기 명령신호를 분석 처리 완료하고,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무선수신하는 주기인 경우는 고주파부(130)와 에이비비부(120)와 디비비부(140)를 활성화하여 해당 처리를 완료한다.
즉, 상기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상태와 페이징 신호를 입력하는 각각의 상태에서 소모하는 전류가 상이한 동시에 최소한의 전류를 소모하도록 하므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키보드부를 통하여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경 우, 디비비부를 활성화 동작시키고, 다른 기능부는 대기상태를 유지하므로, 불필요한 기능부의 활성화에 의하여 전류 소모가 발생하지 않고 전류소모를 줄이어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동일한 용량 배터리를 이용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만을 소모하므로, 운용시간이 늘어나 사용자의 신뢰도를 제고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휴대단말기의 운용에 필요한 제어명령과 호출 상대방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키보드부와,
    상기 키보드부의 제어명령 신호와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를 최소의 기능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하도록 제어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명령신호가 입력되면 기저대역 디지털 방식으로 분석처리하는 디비비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상향변조하여 무선송신하며, 무선수신 신호는 하향변조하여 출력하는 고주파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디비비부와 고주파부 사이의 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처리하는 에이비비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비비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활성화 제어되고, 상기 고주파부가 무선수신하여 하향변조한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입력 분석하며, 상기 디비비부에 정합 출력하고, 각 기능부에 동작전류를 출력하며,
    상기 디비비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활성화 제어되고, 상기 키보드부의 신호와 각종 운용정보를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로 입력 처리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활성화 제어되고, 기지국의 무선수신된 페이징 신호를 하향변환하여 에이비비부에 출력하며, 상기 에이비비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는 상향변환하여 기지국에 무선송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기능부를 감시하며, 키보드부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디비비부를 활성화 제어하여 입력하고, 주기적으로 고주파부와 에이비비부와 디비비부를 활성화 제어하여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를 무선수신하여 분석 운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 수신 후, 시간을 계수하여 다음 페이징 신호 수신주기까지 절전모드를 운용하고, 상기 절전모드 주기 동안에 키보드부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디비비부를 활성화 제어하여 입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6. 휴대단말기 제어부에 의하여 최소기능부가 전류를 소모하는 대기상태에서 기지국의 페이징신호를 수신할 주기인지를 판단하는 초기과정과,
    상기 페이징 신호 수신 주기이면, 각 기능부를 활성화 운용하여 페이징 신호의 수신 처리를 완료하고 절전모드를 설정하는 페이징 과정과,
    상기 페이징 과정의 제어부에 의하여 키보드부로부터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비비부를 활성화 운용하여 입력처리 완료하는 명령신호 과정과,
    상기 명령신호 과정의 제어부에 의하여 최소전류를 소모하는 절전모드를 운용하고 기지국의 페이징신호 무선수신 주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반복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방법.
  7. 삭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과정은,
    상기 초기과정의 제어부에 의하여 각 기능부에 동작전류를 공급하고 활성화 상태로 운용하며 고주파부를 제어하여 기지국의 페이징신호를 무선수신하고, 에이비비부와 디비비부를 제어하여 페이징 신호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기지국의 페이징 신호 수신 분석을 완료한 상태에서 최소 기능부를 활성화하는 대기상태의 절전모드를 설정 운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명령신호 과정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키보드부로부터 명령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키보드부의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디비비부를 활성화 제어하여 입력하고 분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과정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키보드부로부터 명령신호 입력을 완료한 상태에서 최소 기능부가 활성화되는 대기상태의 절전모드를 설정 운용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기지국 페이징 신호 수신 주기가 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명령신호 과정으로 궤환하고, 주기가 된 경우는 상기 초기과정으로 궤환하여 페이징 신호를 갱신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방법.
KR1020050018452A 2005-03-05 2005-03-05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및 방법 KR100677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452A KR100677439B1 (ko) 2005-03-05 2005-03-05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및 방법
CNB2006100033388A CN100425096C (zh) 2005-03-05 2006-02-05 移动通信终端的消耗电流最优化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452A KR100677439B1 (ko) 2005-03-05 2005-03-05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693A KR20060098693A (ko) 2006-09-19
KR100677439B1 true KR100677439B1 (ko) 2007-02-02

Family

ID=3694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452A KR100677439B1 (ko) 2005-03-05 2005-03-05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7439B1 (ko)
CN (1) CN100425096C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3110A (ja) * 1999-05-21 2000-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録画再生装置
JP4320920B2 (ja) * 2000-05-31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2003209616A (ja) * 2002-01-15 2003-07-25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7295857B2 (en) * 2002-10-30 2007-11-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cquisition in power save mod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2004153756A (ja) * 2002-11-01 2004-05-27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693A (ko) 2006-09-19
CN100425096C (zh) 2008-10-08
CN1829358A (zh) 200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2141A (en) Mobile terminal having user-actuated pager mode
US7366131B2 (en) Power sav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03297B1 (ko) 휴대폰의 전원절약방법
KR10156149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방법
KR10135903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메일 폴링 방법 및 장치
US201101195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portable terminal
KR100684318B1 (ko) 휴대단말의 슬립모드 구동방법 및 휴대단말의 슬립모드를위한 기지국의 통신방법
KR20130046497A (ko) 휴대 단말기의 대기 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장치
KR100677439B1 (ko)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최적화 장치 및 방법
KR2005002382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저전력모드 수행 방법
JP3826753B2 (ja) 携帯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936583B1 (ko) 휴대단말기의 음영지역 동작전원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0595586B1 (ko) 휴대단말기의 전원 절약장치 및 방법
KR20000041312A (ko)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절약 장치 및그 방법
CN100397930C (zh) 便携终端的显示部消耗电源节约装置及其方法
KR10109422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KR100452844B1 (ko) 절전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44463A (ko) 무선 단말기의 전원 제어 방법
KR2002006996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절약 방법 및 장치
KR1005567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페이징 주기 설정 방법
KR20040033685A (ko) 휴대폰 엘시디 화면 제어방법
KR20050089927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51562B1 (ko) 무선전화기의소비전력절약장치및방법
KR1006935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슬롯 모드 제어 방법
CN104853416A (zh) 一种非连续通信方法、相关设备以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