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998B1 - 자동급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급수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6998B1 KR100676998B1 KR1020027010028A KR20027010028A KR100676998B1 KR 100676998 B1 KR100676998 B1 KR 100676998B1 KR 1020027010028 A KR1020027010028 A KR 1020027010028A KR 20027010028 A KR20027010028 A KR 20027010028A KR 100676998 B1 KR100676998 B1 KR 1006769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supply
- water
- time
- mode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7—Control by humidity of the soil itself or of devices simulating soil or of the atmosphere; Soil humidity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8—Plants or tre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01N33/246—Earth materials for water conten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1842—Ambient condition change responsive
- Y10T137/1866—For controlling soil irrigation
- Y10T137/189—Soil moisture sen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oi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w Control (AREA)
- Greenhouses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식물을 가능한한 자연에 가까운 상태로 건강하게 재배할 수 있는 동시에, 수분의 헛된 소모를 없앨 수 있는 자동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급수대상의 수분이 부족한 것을 수분량감지기에 의해 검출하고, 상기 검출에 대응하여 제1타이머부가 제1소정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제1소정시간내에 수분량감지기에 의해 수분이 충족된 것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 급수수단으로 급수하고, 상기 제1소정시간내에 수분이 충족한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제1타이머부를 초기화하는 자동급수 시스템이다.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에서는 별도 계측하는 제2소정시간의 경과후에 급수를 정지하거나, 또는 급수개시후에 수로에 설치된 유량계의 계측값이 미리 결정된 유량값에 도달하므로써 급수를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 토양, 수분, 타이머, 저수트레이, 유량계, 절환모드, 수분량감지기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식목봉(port)이나 식재매트(planting mat)에 의한 식재설비(植栽設備)에 있어서, 토양 등의 급수대상에 자동적으로 급수를 실행하는 자동급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로 급수대상의 수분의 유무를 검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자동적으로 급수를 실행하는 자동급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식목봉이나 식재매트에 의한 식재설비에서 토양 등의 급수대상에 급수를 실행하는 것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실개평 2-1705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토양중의 수분의 함유량을 대향하는 전극 사이의 저항에 의해 검출하여, 급수개시를 보고하는 램프나 부저가 설치된 식목봉이 있다.
그러나, 급수를 실행하는 사람이 장기부재 등인 경우, 램프 또는 부저에 의한 보고는 어떠한 급수에 대해서도 기여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식목봉을 사용해도 식물을 고사시켜버린다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식목봉에서는 특별한 급수방법 등에 대해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보고수단에 의한 보고에 대응하여 인위적으로 급수를 실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넓은 녹화지역 등의 경우에는 상당한 노력을 요하는 급수작업이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본실개소 62-16257호에 개 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으로 자동적으로 급수를 실행하는 자동급수 시스템이나; 일본실개평 5-486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토양중의 수분량을 검출하여 검출결과에 대해 자동적으로 급수를 실행하는 장치나; 예를 들어 일본실개소 61-7435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급수조에 식목봉을 장착하고, 상기 급수조내의 수분의 상한 및 하한상태를 검출하고, 수분이 하한치에 도달한 후 일정시간 경과후, 급수를 개시하는 자동급수 시스템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급수 시스템에서도 급수의 필요 및 불필요의 판단기준과, 실행해야 할 식물의 상태에 대해서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다수의 수분이 필요하게 되는 시기나, 수분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시기를 갖는 식물에 대해서도 모두 동일한 처리방식으로 급수를 실행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당한 수분이 필요한 시기에 맞추어 급수처리를 설정한 경우, 수분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시기에 다량의 수분이 급수되고, 이러한 다량의 수분은 뿌리부식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식물을 고사시켜 버린다는 불합리한 점이 발생한다. 또한, 여분의 수분을 급수하기 때문에, 배관비[수도비(水道費)]도 증가된다는 단점도 발생된다. 역으로, 수분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시기에 맞추어 급수처리를 설정한 경우는 많은 수분을 필요로 하는 시기에 거의 급수되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식물을 고사시켜 버린다는 단점도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량의 수분이 필요하게 되는 시기로서, 예를 들어 토양상에 절단 잔디(cut turf) 등을 식재하는 식재설비에서 토양상에 절단 잔디 들을 식재한 직후 등이 있다. 토양상에 절단 잔디를 식재한 직후는 잔디의 뿌리가 토양에 융합되지 않고, 또한 뿌리내림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절단 잔디의 뿌리와 토양과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잔디로서는 가장 약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수분이 부족하게 되어 고사되어 버릴 가능성이 높은 시기이며, 잔디의 뿌리를 토양에 빨리 정착시키기 위해 다량의 수분이 필요하게 된다.
역으로 수분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시기로서는 예를 들어 토양상에 절단 잔디 등을 식재하는 식재설비에서 토양에 절단 잔디의 뿌리내림 후 등이 있다. 토양에 절단 잔디가 뿌린내린 후에는 흡수력이 강한 상태이기 때문에, 가능한한 자연에 가까운 상태에서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과도한 급수에 의해 뿌리부식이 발생되거나 빈약한 잔디가 육성되어 버릴 가능성이 높은 시기이다. 그리고 보다 건강한 식물로 자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수분 스트레스(water stress)를 부여할 필요가 있으며, 설정된 기간에는 거의 급수할 필요가 없다.
식물의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본특개평 10-313675호에는, 인공토양에 잔디밭의 종(種) 또는 발육초기의 잔디밭을 배양하는 동시에, 상기 인공토양내의 수위를 고수위로 유지하고, 이어서 상기 잔디밭의 뿌리 성장과 함께 상기 수위를 낮추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특개평 10-313675호의 기술은 식물의 상태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수위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눈으로 잔디 뿌리의 육성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잔디밭의 상태를 수시로 감시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수위조절도 인위적으로 실행하며, 급수관리가 귀찮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인공토양은 상시 수분에 침입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성장한 잔디밭도 수 시로 수분을 흡수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빈약한 잔디밭으로 되어 버린다. 또한, 인공토양이 상시 수분에 침입하도록 수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거의 수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시기에도 수분을 급수할 필요가 있게 되므로, 수도비가 높아져버린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능한한 정확한 급수대상의 수분량의 검출하므로써, 식물의 상태에 대응하여 효율적으로 또한 가능한한 자연에 가까운 상태로 하여 급수관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건강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자동급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최소한의 급수로 식물을 확실하게 재배할 수 있으며, 가능한한 수분의 소모를 제거할 수 있는 자동급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적어도 급수대상의 수분이 부족한 것을 수분량감지기(a water content sensor)에 의해 검출하고, 이러한 검출에 대응하여 제1타이머부가 제1소정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제1소정시간내에 상기 수분량감지기에 의해 수분이 충족한 것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 급수수단으로 급수하고, 상기 제1소정시간내에 수분이 충족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 제1타이머부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자동급수 시스템은 급수대상의 수분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수분량감지기와, 상기 수분량감지기의 측정치에 대응하여 급수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수분량감지기에 의한 수분없음 이라는 검출결과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1소정시간을 계측하는 제1타이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타이머에 의한 제1소정시간의 계측종료 까지의 사이에 수분량감지기에 의해 소정량의 수분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급수수단에 급수개시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제1타이머에 의한 제1소정시간의 계측 종료까지의 사이에 수분량감지기로 소정량의 수분을 검출한 경우는 적어도 제어수단의 제1타이머부를 초기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급수대상에 급수가능한 급수수단과, 적어도 급수개시 조건이 다른 복수종류의 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모드에 대응하여 급수수단에 의한 급수실행 및 급수정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모드가 소정의 절환조건에 대응하여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급수대상은 예를 들어, 식물, 토양, 저수트레이내의 식물재배용 기구 등으로 하고, 후술의 수분량 검출 장소는 예를 들어 식물, 토양 저수트레이내 등의 식물재배용 기구 등으로 하며, 또한 급수 장소와 수분량 검출 장소는 필요에 따라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은 급수의 개시와 동시에 또는 급수개시후에 상기 수분량감지기에 의해 수분이 충족한 것을 검출하는 동시에, 제2타이머부로 제2소정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제2소정시간의 경과후에 급수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제어수단에 제2타이머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2타이머부는 급수개시 신호의 출력과 동시에 제2소정시간을 계측하고, 제2타이머부의 제2소정시간의 계측후에 급수수단에 급수정지 신호를 출력하고, 또는 상기 제2타이머부는 급수개시 신호의 출력후에 수분량감지기에 의해 수분을 검출하는 것으로 제2소정시간을 계측하고, 제2타이머부의 제2소정시간의 계측후에 급수수단에 대해 급수정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은 급수수단의 수로에 유량계를 설치하고, 급수개시후에 상기 유량계의 계측치가 미리 정해진 유량치에 도달하므로써 급수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급수수단과 급수대상의 사이의 수로에 유량계를 설치하는 동시에, 제어수단은 급수개시 신호의 출력후에 유량계에 의한 계측치가 미리 정해진 유량치에 도달하므로써, 급수수단에 대해 급수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한다. 유량치의 설정조건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경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은 급수대상이 하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진 경우 등에 있어서, 상기 수분량감지기를 필요 장소에 복수설치하고, 상기 급수대상의 수분이 부족하다는 검출결과를 표시하는 상기 수분량감지기가 소정 갯수로 되는 것에 의해 검출하고, 상기 제1타이머부가 제1소정시간을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급수대상이 복수로 이루어진 경우, 수분량감지기를 복수의 급수대상의 임의 장소에 임의 갯수 설치하고, 수분의 유무가 임의 갯수 설치된 수분량감지기 내에 미리 결정된 갯수의 수분량감지기에 기초하여 검출되게 하므로써, 수분의 유무가 판단되는 것이다. 임의 갯수 설치된 수분량감지기내의 미리 정해진 갯수는 자유롭게 설정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보다 양호하기로는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수분량감지기를 복수의 급수대상중에서 조건이 다른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급수대상은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수분량감지기에 의해 수분이 부족하다는 검출이 상기 블록 마다 실행되고, 수분부족이 검출된 블록에 급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급수대상은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수분량감지기에 의한 수분부족 이라는 검출이 상기 블록 마다 실행되고, 수분부족이 검출되므로써, 급수대상 전체에 대해 상기 블록 마다 미리 결정된 순서로 급수를 실행하고, 즉, 릴레이 방식으로 급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급수대상이 복수의 급수단위로 이루어지고, 하나 이상의 급수단위를 포함하는 복수의 블록으로 미리 분할되고, 블록 마다의 수분량감지기에 의한 검출결과에 대응하여, 급수수단이 수분부족이 검출된 블록에 급수개시 및 급수정지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으로부터 수분량감지기에 의해 수분부족이 검출된 결과에 대응하여, 급수수단이 급수대상 전체에 대해 블록 마다 미리 정해진 순서로 급수개시 및 정지를 실행하고, 이를 반복하도록 한다.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에서는 제1소정시간과 제2소정시간의 적어도 한쪽 또는 양쪽을 조건으로 하여 수동설정 또는 자동설정가능한 구성으로 하거나, 또는 제1타이머부와 제2타이머부를 하나의 타이머부로 하여 시간을 계측하는 구성으로 하거나, 또는 수분량감지기가 적어도 2개의 도전성 재료 사이의 전기저항에 의해 수분의 유무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는 제어수단에서 수분량감지기의 검출방식인 전기저항값을 조건으로 하여 수동설정 또는 자동설정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은 테스트모드로의 절환수단을 가지며, 상기 테스트모드는 급수개시로부터 급수정지까지의 사이클이 통상 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어수단에 테스트모드로의 절환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절환수단은 수분량감지기가 수분부족을 검출하고 있는 시간에 테스트모드로 절환가능하게 구성하고, 테스트모드시에는 급수개시로부터 급수정지까지의 1사이클의 시간 등을 통상 보다 짧게 설정하는 구성 등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으로서 테스트모드시에는 제1타이머부가 제1소정시간 보다 짧은 제3소정시간을 계측하고, 제3소정시간의 계측종료후에 급수수단에 급수개시 신호를 출력하여 급수하는 동시에, 급수개시 신호출력과 동시에 또는 급수개시 신호출력 후에 수분량감지기에 의해 수분이 충촉한 것을 검출하고, 이와 동시에 제2타이머부가 제2소정시간 보다 짧은 제4소정시간을 계측하여 제4소정시간의 계측종류후에 급수수단에 급수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급수를 정지한다.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에서는 제3소정시간과 제4소정시간의 적어도 한쪽 또는 양쪽을 조건으로 하여 수동설정 또는 자동설정 가능한 구성으로 하거나, 또는 제어수단에 보고수단을 설치하거나 제어수단을 별도로 설치한 보고수단과 접촉가능한 구성으로 하거나, 또는 제어수단에 적어도 제어수단의 제어내용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설치하고, 상기 기억부는 정전시에 기억내용을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또는 제어수단에 출력수단을 설치하거나 제어수단을 별도로 설치한 출력수단과 접속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내용을 인쇄출력가능하게 구성하거나, 또는 제어수단에 급수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자동급수나 수동으로 실행하는 수동급수를 설정가능한 급수방법 설정수단을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은 급수대상이 예를 들어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식물재배 컨테이너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저수트레이내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은 상기 저장트레이의 저면 상방으로 수분량감지기 적재대를 설치하고, 상기 수분량감지기 적재대상에 수분량감지기를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에서 복수종류의 모드에, 수분량감지기에 의한 수분량 검출 장소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의 유무를 판정하고, 필요수분량이 없음 으로 판정된 경우에 급수를 실행시키는 제1모드와: 감지기에 의한 수분량 검출장소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의 유무를 판정하고, 필요수분량 없음 으로 판정한 경우에 타이머부에 의한 소정의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상기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이 종료된 후에 급수를 실행시키는 제2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에서 복수종류의 모드에, 소정의 급수간격 시간마다 급수를 실행시키는 제1모드와, 감지기에 의한 수분량 검출장소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의 유무를 판정하고, 필요수분량 없음 으로 판정한 경우에 타이머부에 의한 소정의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상기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이 종료된 후에 급수를 실행시키는 제2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에서 복수종류의 모드에, 소정의 제1급수간격 시간마다 급수를 실행시키는 제1모드와, 상기 제1급수간격 보다 긴 소정의 제2급수간격 마다 급수를 실행시키는 제2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에서 복수종류의 모드에, 감지기에 의한 수분량 검출장소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의 유무를 판정하고, 필요수분량 없음 으로 판정한 경우에 타이머부에 의한 소정의 제1스트레스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상기 제1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이 종료된 후에 급수를 실행시키는 제1모드와, 상기 감지기에 의한 수분량 검출장소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의 유무를 판정하고, 필요수분량 없음 으로 판정한 경우에 타이머부에 의한 제1스트레스 시간 보다 긴 제2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상기 제2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이 종료된 후에 급수를 실행시키는 제2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종류의 모드에, 급수수단에 급수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에서 소정의 절환시간을 계측하고, 적어도 상기 절환조건의 하나를 상기 절환시간의 계측종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소정의 절환모드를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후 소정의 절환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절환시간의 계측종료에 의해 모드가 절환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에서 식물의 생육상태를 표시하는 소정의 검출값을 검출하고, 적어도 상기 절환조건의 하나를 상기 검출값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자동급수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설정된 시기를 갱신하는 카렌더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절환조건의 하나를 카렌더부가 갱신하는 시기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모드를 카렌더부의 시기에 대응하여 기억설정하고, 소정 시기의 변경에 대응하여 모드가 절환되게 한다.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에서 복수종류의 모드내에, 소망의 모드를 임의로 선택하여 실행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을 사용하므로써, 가능한한 정확하게 토양 등의 급수대상의 수분량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분량 검출 결과에 대응하여 또는 식물의 상태에 대응하여, 효율적으로 가능한한 자연에 가까운 상태로 하여 급수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한한 자연에 가까운 상태로 식물 등을 재배할 수 있게 되고, 가능한한 수분의 소모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저장트레이상에 적재대를 설치하고, 이러한 적재대에 수분량감지기를 설치하므로써, 수분량감지기가 수분없음 상태를 검출하고, 이때 소량의 강우에 대해서는 수분없음의 검출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식물을 고사시켜버리는 불합리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에 기억부를 설치하고, 타이머 작동중에 정전 등이 발생한 경우도 발생시의 카운트값을 기억하고, 정진 복구시 기억된 카운트값으로부터 카운트를 재개하도록 구성하므로써, 장시간 급수되지 않는 상태, 또는 장시간 급수되어버리는 상태 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식물을 고사시켜버리는 불합리를 해 소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모드로 절환가능한 구성으로 하므로써, 시공시 또는 시공종료시에, 자동급수 시스템 전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지의 여부를 단시간에 인식할 수 있으며, 보다 고품질의 자동급수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급수대상의 수분을 수분량감지기에 의해 검출하고, 수분없음 등 수분이 부족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 제1소정시간을 제1타이머로 계측하고, 제1타이머가 제1소정시간의 계측종료 까지의 사이에 수분없음 등 수분이 부족한 상태를 유지한 경우에, 급수개시 신호를 출력하여 급수수단으로 급수하기 때문에, 제1소정시간의 사이에 식물에 스트레스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자연에 가까운 상태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제1소정시간내에 수분 있음 등 수분이 충족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작동중인 제1타이머가 초기화되기 때문에, 강우 등에 의해 수분이 보급된 경우 등에는 새로운 급수를 할 수 없게 되고, 이것은 뿌리썩음 방지에 지대한 역활을 하는 동시에, 수분을 헛되지 사용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에서 급수개시 신호의 출력 등에 의한 급수와 동시에, 또는 급수가 개시된 후에 새로이 수분량감지기에 의해 수분 있음 등 수분이 충족한 상태를 검출하는 동시에, 제2소정시간을 제2타이머로 계측하고, 제2소정시간의 경과후에 급수수단에 급수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등에 의해 급수를 정지할 수 있으며, 급수시에 미리 정해된 수분량만을 급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수분을 헛되이 사용하지 않게 된다. 또한, 유량계에 의한 유량의 측정값이 소정값에 도달했을 때에 급수를 정지하는 등에 의해서도 미리 정해진 수분량 만을 급수할 수 있어, 수분을 헛되지 사용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수분량감지기를 필요 장소에 복수설치하고, 급수대상의 수분이 부족한 일정값을 표시하는 수분량감지기가 미리 정해진 소정갯수로 되기 때문에, 제1타이머부가 제1소정시간을 계측하므로써, 보다 정확히 수분의 유무의 검출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식물을 고사시킬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수분량감지기를 적어도 2개 설치하고, 예를 들어 음지와 양지, 지붕있는 장소와 지붕없는 장소, 급수수단에 가까운 장소와 먼 장소 등의 조건이 다른 장소에 설치하므로써, 보다 정확한 수분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지붕이 있는 장소 등은 맑은 날씨에는 음지 근처의 급수대상내의 수분의 감소량이 적지 않고, 다량의 수분이 존재하며, 역으로 지붕이 없는 장소 등은 양지 근처의 급수대상내의 수분의 감소량이 많으며, 소량이거나 수분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또한, 우천시는 지붕이 있는 경우에는 수분이 저장되기 어렵기 때문에, 급수대상내의 수분량이 지붕이 없는 장소 보다 적게 되어 버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건이 다른 장소에 설치하므로써, 정확한 수분량의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에서는 급수대상을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급수개시 및 정지를 블록마다 실행하므로써, 수분을 필요로 하고 있는 블록에만 수분을 급수할 수 있어 수분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블록으로 분할된 급수대상에 순차적으로 급수를 실행하므로써, 전체적으로 일괄적으로 급수하는 것 보다 수압저하를 일으키지 않으며, 확실하게 수분의 급수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에서는 제1소정시간과 제2소정시간의 적어도 한쪽을 조건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설정가능하게 하므로써, 제1소정시간은 계절, 식물의 재배장소, 위도, 경도 등에 대응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제2소정시간은 식물의 재배면적 등에 의해 설정할 수 있으며, 식물에 보다 적합한 재배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동시에, 어떠한 곳에서도 식물을 재배할 수 있으며, 또한 수분을 헛되이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제1타이머와 제2타이머를 하나의 타이머부로 구성하므로써, 제어수단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설치장소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에서는 도전성 재료 사이의 전기저항값에 기초하여 수분량감지기로 수분량의 검출을 실행하고, 이러한 전기저항값을 조건으로 하여 수동이나 자동설정가능하게 구성하므로써, 급수대상의 설치장소 등의 습도 등을 고려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의 희망에 적합한 식물재배를 본 시스템 만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에서는 테스트모드로의 절환수단을 설치하고, 예를 들어 수분량감지기에 의해 수분부족을 검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테스트모드로 절환하고, 제1소정시간 보다 짧은 제3소정시간을 계측하여, 제3소정시간의 계측종료와 동시에 급수수단에 대해 급수개시 신호를 출력하고, 급수개시 신호출력과 동시에 또는 급수개시 신호 출력후에 수분량감지기에 의해 수분의 있음 등을 검출하는 동시에, 제2소정시간 보다 짧은 제4소정시간을 계측하고, 제4소정시간의 계측종료와 동시에 급수수단에 대해 급수정지 신호를 출력하므로써, 시공종료시 또는 시공중에 단시간에 급수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에서는 제3소정시간과 제4소정시간의 적어도 한쪽을 조건에 의해 수동설정 또는 자동설정하므로써, 시공 사람수 등에 대응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작동인식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에서는 제어수단에 예를 들어 표시부나 경보부 등의 보고수단을 설치하므로써, 자동급수 시스템의 동작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동시에, 시스템의 동작결과를 파악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오동작 등을 한눈에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에서는 제어수단에 기억부를 설치하고, 이러한 기억부를 정전시 등의 이상시에 기억내용을 지지가능하게 하고, 복구시 지지된 내용으로부터 재개하도록 구성하므로써, 제1소정시간 또는 제2소정시간이 이상하게 길게 되거나 짧게 된다는 불합리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뿌리썩음이나 수분 부족에 의해 식물이 고사되어 버린다는 불합리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내용을 인쇄물 등으로 출력가능하게 구성하므로써, 제어수단의 동작결과를 파악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오동작 등을 한눈에 인식할 수 있는 동시에, 설정내용도 한눈에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에서는 식물재배 컨테이너의 하방에 설치된 저수트레이내 공간을 급수대상으로 하고, 저수트레이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수분량감지기 적재대에 수분량감지기를 적재하므로써, 보다 정확한 수분량을 검출할 수 있으며, 식물재배 컨테이너로부터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먼지 등에 있는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에서는 급수개시조건이 다른 복수종류의 모드를 미리 정해진 절환조건에 대응하여 절환할 수 있으며, 수분량 검출 장소에 대한 필요수분량의 유무를 감지기 등에 의해 검출하고, 필요수분량 없음 등의 수분량부족을 검출한 경우에, 급수대상에 급수를 개시하는 제1모드와, 필요수분량의 유무를 감지기 등에 의해 검출하고, 필요수분량 없음 등 수분 부족을 검출한 경우에, 소정의 스트레스 시간을 타이머부로 계측하고, 타이머부가 스트레스 시간계측을 종료한 후에 급수를 개시하는 제2모드를 설정하고, 제1모드와 제2모드를 미리 정해진 절환조건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구성으로 하므로써, 다량의 수분이 필요한 시기에는 제1모드가 작동되고, 수분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는 시기에는 제2모드가 작동될 수 있으며, 식물을 고사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가능한한 자연에 가까운 상태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급수대상이 건조상태로 되지 않게 하는 급수간격 시간 등과 같이 미리 정해진 급수간격 시간마다 급수를 실행하는 제1모드와, 수분량 검출장소의 필요수분량의 유무를 감지기의 검출에 기초하여 판정하고, 필요수분량 없음 으로 판정한 경우에 소정의 스트레스 시간을 타이머부로 계측하고, 타이머부가 스트레스 시간계측을 종료한 후에 급수를 개시하는 제2모드를 설정하고, 이러한 제1모드와 제2모드를 미리 정해진 절환조건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절환하도록 구성하므로써, 상기와 같이 다량의 수분이 필요한 시기에는 제1모드가 작동되고, 수분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는 시기에는 제2모드가 작동될 수 있어, 식물을 고사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가능한한 자연에 가까운 상태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급수대상이 건조상태로 되지 않게 하는 급수간격 시간 등과 같이 미리 정해진 제1급수간격 시간마다 급수를 실행하는 제1모드와, 예를 들어 급수대상이 건조상태로 되어도 관련이 없는 시간 간격 등 상기 제1시간 보다 긴 설정의 제2급수시간 간격마다 급수를 실행하는 제2모드를 설정하고, 이러한 제1모드와 제2모드를 미리 정해진 절환조건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절환하도록 구성하므로써, 상기와 같이 다량의 수분이 필요한 시기에는 제1모드가 작동되고, 수분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는 시기에는 제2모드가 작동될 수 있어, 식물을 고사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가능한한 자연에 가까운 상태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기 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저렴하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수분량 검출장소의 필요수분량의 유무를 감지기의 검출에 기초하여 판정하고, 필요수분량 없음 등의 수분부족을 검출한 경우에 소정의 제1스트레스 시간을 타이머부로 계측하고, 타이머부가 제1스트레스 시간계측을 종료한 후에 급수수단에 의한 급수를 개시하는 제1모드와, 수분량 검출장소의 필요수분량의 유무를 판정하고, 필요수분량 없음 등의 수분부족으로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1스트레스 시간 보다 긴 소정의 제2스트레스 시간을 타이머부로 계측하고, 타이머부가 제2스트레스 시간계측을 종료한 후에 급수수단에 의한 급수를 개시하는 제2모드를 설정하고, 이러한 제1모드와 제2모드를 미리 정해진 절환조건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절환하도록 구성하므로써, 상기와 같이 다량의 수분이 필요한 시기에는 제1모드가 작동되고, 수분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는 시기에는 제2모드가 작동될 수 있어, 식물을 고사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가능한한 자연에 가까운 상태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상기 복수종류의 모드에 급수수단에 급수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실행하지 않는 모드(급수를 일체 하지 않는 무급수모드)를 갖는 구성으로 하므로써, 예를 들어 실외에 부설한 잔디 등의 휴면기에 대응하는 겨울 등에는 무급수모드를 실행하여, 수도요금을 더욱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수분 공급방식이 다른 모드의 절환 또는 선택, 모드 자체의 설정을 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종류나 설치장소 등 다양한 조건에 대응하여 모드선택이나 모드 자체의 설정을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자동급수 시스템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의 전원을 넣으면, 초기상태로 기억된 절환모드가 실행되고, 절환모드를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만 비절환모드를 선택하여 절환 및 비절환을 선택하는 구성이나, 역으로 초기상태로서 기억된 비절환모드가 실행되고, 절환모드를 실행하는 경우에만 절환모드를 선택하여 절환 및 비절환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드 절환조건을 예를 들어 잔디의 경우에 잔디가 뿌리내릴 수 있는 시간이나 기간 등, 소정모드를 선택한 후의 소정시간이나 소정시간 경과후로 하므로써, 양호한 식물의 육성에 이바지하는 동시에, 시스템 자체를 간략화할 수 있고, 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절환조건의 소정시간은 조작부, 절환부, 절환모드 선택부 등을 거쳐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기에 적합하며, 예를 들어 자동적으로 초기상태로 절환모드가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소정시간을「0」으로 설정하므로써, 비절환모드를 선택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카렌더부에 기억되어 갱신되는 시기에 대응하여 실행모드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하므로써, 식물의 상태에 보다 잘 대응하여, 적절한 급수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절환조건으로서, 식물의 생육상태의 검출에 기초하여 절환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식물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제어수단으로 적절한 급수처리의 판단을 내릴 수 있으며, 보다 확실한 급수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의 상태의 검출로서는 예를 들어 토양상에 절단 잔디를 적재하여 재배하는 방식이며, 잔디의 뿌리내림 상태의 검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예를 들어 절단 잔디와 토양 사이의 압력감지기 등을 설치하거나, 토양중의 성분(약산성)을 검출하므로써, 뿌리내림 상태를 파악하는 등 적절한 검출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전체구성도.
도2는 제1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
도3은 제1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에 대한 제어수단 및 급수수단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4는 제1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으로 급수된 경우의 타임챠트.
도5는 제1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으로 급수되지 않는 경우의 타임챠트.
도6은 제2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에 대한 제어수단 및 급수수단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7은 제2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으로 급수되는 경우의 타임챠트.
도8은 제2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으로 급수되지 않는 경우의 타임챠트.
도9는 제3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
도10은 제3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출력수단에 의한 자동급수 시스템 제어 연간내용에 관한 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제3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출력수단에 의한 설정내용을 확인하는 표.
도12는 제4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을 도시한 전체구성도.
도13은 제4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
도14는 제4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에 대한 제어수단 및 급수수단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15는 제5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
도16은 제5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출력수단에 의한 자동급수 시스템 제어 월간내용에 관한 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17은 제5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출력수단에 의한 설정내용 확인표.
도18은 제6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구성설명도.
도19는 제6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시스템블록도.
도20은 제6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제어수단에서 수시로 처리하는 검출 어드레스 및 검출시각 기억처리의 플로우챠트.
도21은 제6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에 대한 제어수단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22는 제6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에 대한 급수수단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23은 본 발명의 테스트모드의 제1실시예의 플로우챠트.
도24는 본 발명의 테스트모드의 제2실시예의 플로우챠트.
도25는 저수트레이에 수분량감지기 적재대를 설치한 경우의 구성도.
도26은 도25의 수분량감지기 근처의 확대단면도.
도27은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시공완성시를 도시한 일부확대사시도.
도28은 제7실시예에 대한 급수제어처리의 전체적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29는 본 발명에 따라 타이머부에 의한 급수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의 제어수단 및 급수수단의 급수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30은 본 발명에 따라 유량계에 의한 급수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의 제어수단 및 급수수단의 급수처리의 플로우챠트.
도31은 제7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전체 흐름을 도시한 타임챠트.
도32는 제8실시예에 대한 급수제어처리의 전체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33은 제8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타임챠트.
도34는 제9실시예에 대한 급수제어처리의 전체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35는 제9실시예의 제어수단에 대한 절환모드 미선택시의 처리를 도시한 플 로우챠트.
도36은 제9실시예의 제어수단에 대한 카렌더부의 시기=1의 경우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37은 제9실시예의 제어수단에 대한 카렌더부의 시기=2의 경우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38은 제9실시예의 제어수단에 대한 카렌더부의 시기=3의 경우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타이머부에 의한 급수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의 처리수단 및 급수수단의 급수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유량계에 의한 급수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의 제어수단 및 급수수단의 급수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식물재배 컨테이너를 적재한 저수트레이내 공간을 급수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급수대상을 식물재배 컨테이너내의 토양으로 하는 경우 등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1 내지 도11 및 도25와 도26은 본 발명의 급수대상이 하나인 경우의 실시예이고, 도1 내지 도5는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1은 제1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을 도시한 전체구성도, 도2는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 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거의 상자형의 식물재배 컨테이너(10)가 저수트레이(20)에 적재되어 있는 저면관개형(bottom face irrigation type) 식물재배 유니트에 급수를 실행하는 것이다. 저수트레이(20)를 설치하므로써, 급수후나 자연강우가 있었던 경우에 일정량의 수분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급수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식물재배 컨테이너(10)는 평면도시하였을 때,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서, 측면(11)에 내향의 오목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상방을 향하는 개구부가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저면(12)에는 정점부에 흡수구멍(12b)이 천공되어 있는 흡수 볼록부(12a)와 이러한 흡수 볼록부(12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다리부(12c)가 설치되며, 그 내부에 배치된 토양(13)에 식물(14)이 심어져 있다. 토양은 예를 들어 절단 잔디 등의 식물이 미리 심어져 있을 때의 토양과, 별도 식물재배 컨테이너(10)에 충진된 토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토양 이외의 육성재로 할 수도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식물재배 컨테이너(10)를 복수 부설한 경우, 내향의 오목부(11a) 사이 저수트레이(20)상에 공간부(33)가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부(33)에 수분량감지기(41)와 제어수단(42)을 연결하는 유선 또는 급수파이프(43a) 등을 개재시킬 수 있어, 미관이 수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상면이 개방된 저수트레이(20)는 주로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높이가 식물재배 컨테이너(10)의 측면(11) 보다 낮은 측면(21)과 저면(22)으로 구성되며, 저면(22)상에는 수분량감지기(41)가 배치되며, 내부에는 40a를 수면(水面)으로 하는 수분(40)이 저수되어 있다. 또한, 수분량감지기(41)는 저수트레이(20)내에 설치되어 수분량 검출장소로 하고 있지만, 이는 예를 들어 토양 등에 수분량감지기(41)를 설치하는 경우 보다, 자동급수시스템을 작동할 때 사용하는 식물재배 유니트 등의 수분량을 검출하는 기준으로서, 높은 정확성과 안정성을 갖는 수분량 검출값을 얻기에 적합하지만, 토양 등 다른 부분을 수분량 검출장소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저수트레이를 갖지 않는 식물재배 용기 등의 경우에 토양중에 감지기를 설치하는 구성 등을 적절히 채용할 수도 있다.
식물재배 컨테이너(10)가 저수트레이(20)의 저면(22)상에 적재된 상태에서는 저수트레이(20)의 측면(21)의 상단은 식물재배 컨테이너(10)의 다리부(12c)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리부(12c)에 의해 적재된 식물재배 컨테이너(10)의 저면(123)과 저수트레이(20)에 저장되는 수분의 수면(40a)과의 사이에, 임시로 수면(40a)이 상한수위로 된 경우에서도 필히 공기층(31)이 형성되도록 되어있다. 공기층(31)에 의해 후술하는 통수겸용 통기구멍으로부터 식물재배 컨테이너(10)내로의 통기가 용이하게 실행되고, 뿌리썩음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흡수볼록부(12a) 보다 돌출된 다리부(12c)에 의해, 저수트레이(20)의 측면(21) 정점 보다 식물재배 컨테이너(10)의 저면(12)이 높은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흡수볼록부(12a)의 정점부와 저수트레이(20)의 저면(22)과의 사이에 공간부(32)가 형성되어 있다. 흡수볼록부(12a)의 정점부에 형성된 흡수구멍(12b)으로부터 저수트레이(20)내의 수분을 세모관형상에 의해 식물재배 컨테이너(10)내에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이며, 소위 저면관개형의 식물재배 유니트이다.
그리고, 상기 저수트레이(20)내에 저수된 수분(40)은 식물재배 컨테이너(10) 의 흡수구멍(12b)으로부터 빨아올리고, 식물재배 컨테이너(10)내의 토양(13) 및 식물(14)에 수분(40)을 급수하는 구성이다. 제1도에는 생략되었지만, 식물재배 컨테이너(10)의 저면(12)에는 배수 및 통기를 위한 구멍이 예를 들어 복수개 천공되어 있고, 상기 구멍에 의해 식물재배 컨테이너(1)내의 잉여의 수분을 저수트레이(20)내로 이송할 수 있는 동시에, 공기층(31)으로부터 공기를 식물재배 컨테이너(10)내의 토양(13)에 이송할 수 있고, 식물의 뿌리썩음을 방지할 수 있다.
저수트레이(20)의 저면(22)상에 설치된 수분량감지기(41)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42)에 인터페이스(I/F)를 거쳐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어수단(42)은 급수수단(43)의 급수파이프(43a)의 급수를 제어하는 전자밸브(43b)에 인터페이스(I/F)를 거쳐 유선으로 접속되고, 전자밸브(43b)의 개폐는 제어수단(42)으로 제어된다. 상기 급수파이프(43a)는 수원(水原)으로부터 저수트레이(20)내에 수분(40)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그 선단에 있는 급수구는 저수트레이(20)내로 향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급수 시스템에 대한 제어수단(42)과 수분량감지기(41) 및 전자밸브(43b) 등의 접속은 유선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으로 할 수도 있다.
수분량감지기(41)의 검출부(41a)는 적어도 2개로 이루어진 전극체(도전성 재료)를 소정간격 개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전극체 사이에 전기를 흘렸을 때의 저항값으로 수분량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수분이 어느 정도 존재할 때에는 전극체 사이의 저항값이 작아지게 된다. 한편, 수분이 적어지게 되면, 공기로 절연되기 때문에, 전극체 사이의 저항값이 크게 된다. 그리고, 전극체 사이의 저항값이 일정값에 도달하거나 이를 초월한 경우에 수분이 부족한 상태를 검출하는 동시에, 일정값에 도달하거나 또는 이를 초월하지 않는 경우에 수분이 부족한 상태를 검출하고, 수분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검출의 판정은 수분량감지기(41)의 측정값을 제어수단(42)이 취득하여 제어수단(42)에 의해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수분량감지기(41)에는 필요수분량을 검출할 수 있는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분량 유무의 검출은 전극체 사이의 저항값이 소정의 기준 상한저항값에 도달한 경우에 수분량 없음 으로 검출하고, 소정의 기준 하한저항값에 도달한 경우에 소정 수분량 있음으로 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또는 기준 상한저항값 및 기준 하한저항값 으로서 동일의 기준저항값을 사용하는 이외에, 상기 기준 상한저항값, 기준 하한저항값에 예를 들어 별도 2개의 상한 및 하한의 기준저항값을 설정하여 사용하고, 수분량 없음을 검출한 후 기준 하한저항값에 도달할 때까지의 급수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기준 상한저항값이나 기준 하한저항값은 적절한 필요값으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일정값은 후술하는 제어수단(42)의 설정부(42b)에서 필요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일정값을 600㏀ 으로 설정한 경우, 설정된 600㏀에 도달하거나 또는 이를 초월하면, 수분부족을 검출하고, 급수수단(43)으로 급수되거나 또는 강우 등에 의해 수분이 보급되면 전극체 사이의 저항값이 작아지고, 600㏀ 보다 작게 되면 수분이 충족한 것을 검출한다. 상기 일정값으로 수분부족을 검출하기 위한 일정값과 수분충족을 검출하기 위한 일정값을 각각 달리 설정해도 좋고, 예를 들어 600㏀ 과 500㏀으로 설정해도 좋다. 이러한 설정에 의해, 수분부족 상태로부터 소정량의 수분이 급수되거나 강우에 의해 보급되지 않으면, 필요량의 수분을 확실하게 보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어수단(42)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CPU(42a)에 설정부(42b), 타이머부(42c), 표시부(42d), 필요사항을 기억하는 램(RAM) 또는 롬(ROM)이 접속된 것이며, CPU(42a)에 접속된 인터페이스(I/F)를 거쳐 각각 수분량감지기(41) 및 급수수단(43)에 접속되어 있다.
설정부(42b)는 제어수단(42)으로 필요한 내용을 설정하는 부분으로서, 수분량감지기(41)의 저항값과 비교하는 일정값, 후술하는 제1소정시간 및 제2소정시간 등 여러가지 설정을 실행하는 부분이다. 타이머부(42c)는 CPU(42a)의 지시로 소정시간의 계측을 실행하는 부분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후술하는 제1소정시간을 계측하는 제1타이머부와 제2소정시간을 계측하는 제2타이머부를 포함하고 있다. 표시부(42d)는 타이머부(42c)의 동작상황 등 필요한 내용을 표시하는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LED, 액정화면 등이며, 표시부(42d)에 동작내용을 수시로 표시하므로써, 자동급수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한눈에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42)에는 보고수단을 설치하고,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 보고하도록 해도 좋다.
급수수단(43)은 급수파이프(43a)로 수분을 공급하고, 공급파이프(43a)에 설치된 전자밸브(43b)로 급수를 제어하는 것이다. 급수수단(43)의 전자밸브(43b)는 인터페이스(I/F)를 거쳐 제어수단(42)의 CPU(42a)에 접속되어 있고, 전자밸브(43b)의 개폐시에는 급수수단(43)에 의한 급수의 개시 및 정지는 제어수단(42)으로 제어된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자동급수 시스템으로 자동급수 처리를 실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은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에 대한 제어수단 및 급수수단의 처리를 표시하는 플로우챠트, 도4는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으로 급수되는 경우의 타임챠트, 도5는 상기 자동급수 시스템으로 급수되지 않는 경우의 타임챠트 이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42)의 CPU(42a)가 초기화되어 있는 상태에서(S101), 수분량감지기(41)의 검출부(41a)가 전극체 사이의 저항값을 연속하여 또는 소정시간 마다 등으로 계측하고, 검출결과인 상기 저항값은 수분량감지기(41)로부터 초기화된 CPU(42a)에 입력된다. 상기 CPU(42a)는 저항값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저항값이 입력된 것을 인식하면, CPU(42a)는 입력된 저항값과 설정부(42b)로 설정된 소정의 일정값과의 비교를 실행한다.
상기 저항값과 상기 일정값을 비교한 결과, 저항값이 일정값을 초과하거나 저항값이 일정값에 도달한 경우에는 타이머부(42c)의 제1타이머부가 작동하여 제1소정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S103). 한편, 저항값이 상기 일정값을 초과하지 않거나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새로이 입력된 저항값과 상기 일정값의 비교를 반복한다(S102).
상기 제1타이머부가 제1소정시간의 계측을 종료할 때까지의 사이, 수분량감지기(41)로부터 새로이 계측된 저항값이 입력되어, 상기 일정값의 비교가 연속하여 실행되고, 제1소정시간내에 입력된 저항값과 상기 일정값을 비교한 결과, 각각의 저항값이 상기 일정값을 초과하거나 각각의 저항값이 일정값에 도달하고 있는 한, 제1소정시간의 계측 및 새로운 저항값과 상기 일정값의 비교를 계속 실행하고, 입력된 저항값이 상기 일정값을 초과하지 않거나 저항값이 일정값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1타이머부는 제1소정시간의 계측을 정지하는 등 제어수단(42)이 초기화된 상태에서 보고처리가 실행되고, 상기 제1소정시간의 계측종료 까지 실행된다(S104).
이어서, 제1소정시간의 사이에, 연속하여 입력된 저항값이 모두 상기 일정값을 초과하거나 일정값에 도달하고, 제1소정시간의 계측이 종료된 경우에는(S105), 급수수단(43)의 전자밸브(43b)를 개방상태로 하는 급수개시 신호가 CPU(42a)로부터 출력되고(S106), 상기 CPU(42a)의 제어로 타이머부(42c)의 제2타이머부가 제2소정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S107). 급수수단(43)에 대해서는 급수개시 신호의 입력(S201)에 의해 전자밸브(43b)가 개방되고, 급수파이프(43b)에 의한 저수트레이(20)내로의 급수가 개시된다(S202).
제2소정시간의 계측이 종료되어 제2타이머부의 동작이 종료되면(S108), CPU(42a)는 전자밸브(43b)를 폐쇄상태로 하는 급수정지 신호가 CPU(42a)로부터 출력되고, 초기화상태로 되돌아간다(S109). 상기 급수정지 신호의 입력(S203)에 의해, 전자밸브(43b)는 폐쇄상태로 되고, 급수파이프에 의한 저수트레이(10)내로의 급수가 정지된다(S204). 상기 처리는 자동적으로 반복되어 실행되며, 저수트레이(20)로의 급수가 자동적으로 관리된다.
상기 처리에 있어서, 급수되는 경우의 타임챠트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저항값이 일정값을 초과한 상태로 되는 제1타이머부가 작동개시되어, ON 상태로 되고, 제1소정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제1소정시간 경과후에 제1타이머부가 OFF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1타이머부가 OFF 상태로 되는 동시에, 급수개시 신호가 일순 ON 상태로 되어 제2소정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제2소정시간의 계측중에는, 급수된 수분으로 수분량감지기(41)로 계측하는 저항값이 상기 일정값을 초과하지 않게 된다. 이어서, 제2소정시간의 계측의 종료되어 제2타이머부가 OFF 상태로 되는 동시에, 일순 ON 상태로 되어 급수정지 신호를 출력하고, 급수수단(43)이 OFF 상태로 되어 급수를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급수되지 않는 경우의 타임챠트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저항값이 일정값을 초과한 상태로 되면 제1타이머부가 작동개시되어 ON 상태로 되고, 제1소정시간을 계측개시한다. 그리고, 제1소정시간의 계측종료 까지의 시간에 저항값이 상기 일정값을 초과하지 않게 되고, 제1타이머부가 OFF 상태로 되어 계측을 종료한다. 이것은 일단 수분이 부족한 것을 검출하지만, 제1소정시간 계측중에 강우, 또는 인위적인 급수 등이 실행된 경우이다.
상기 제1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을 사용하므로써, 수분량감지기(41)에 의해 수분이 부족한 상태를 검출하며, 제1소정시간을 계측하고, 수분이 부족한 제1소정시간의 스트레스를 식물에 대해 부여할 수 있고, 가능한한 자연에 가까운 상태로 건강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제1소정시간의 계측중에 강우 등으로 수분이 부족한 상태가 해소된 경우에는 급수를 중지할 수 있고, 뿌리썩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중지 및 제2타이머부의 제2소정시간 계측에 의한 급수시간의 설정 및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급수를 할 필요가 없고, 식물재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1소정시간과 제2소정시간의 양쪽 또는 적어도 한쪽을 설정부(42b)로 설정하는 구성에 의해, 식물의 종류나 설치장소, 환경에 대해 식물에 보다 좋은 환경을 만들어줄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희망을 입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소정시간을 1주일 등으로 길게 설정하고, 제2소정시간을 급수대상의 크기에도 의하지만, 1시간 정도로 짧게 설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소정시간을 계측하고, 제2소정시간의 경과후에 급수를 정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어 급수파이프(43a)로 이루어진 수로에 유량계를 설치하고, 급수개시후에 상기 유량계의 계측값이 미리 정해진 유량값에 도달하거나 이를 초월하므로써 급수를 정지하는 등의 구성으로 하여도, 소정량의 급수가 확실하게 실행되어 양호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급수파이프(43a)내의 유량을 유량계의 계측값에 기초하여 적산하고, 소정의 적산유량에 기초하여 전자밸브(43b)를 폐쇄상태로 하여 급수를 정지하는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대해 상기 제1실시예와는 다른 장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6내지 도8은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6은 제2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에 대한 제어수단 및 급수수단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고, 도7은 자동급수시스템으로 급수되는 경우의 타임챠트, 도8은 자동급수 시스템으로 급수되지 않는 경우의 타임챠트 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기본적으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지만, 타이머부(42c)의 제2타이머부의 작동개시 시기를 다르게 한 실시예이다. 즉, 제어수단(42)으로 급수개시 신호를 출력하고(S106), 그후에 수분량감지기(41)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저항값을 순차적으로 상기 일정값과 비교하고, 급수에 의해 필요의 수분량이 확보되어 입력된 저항값이 상기 일정값을 초과하지 않거나 도달하지 않았을 때(S110), 즉 확실하게 급수되는 것을 인식한 후에 제2타이머부가 작동을 개시하여 제2소정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S107).
따라서, 타이머챠트에서는 도7에 도시한 급수되는 경우에 제1타이머부가 정지되어 제1소정시간의 계측이 종료된 후에도 제2타이머부는 작동되지 않고, 입력된 저항값이 상기 일정값을 초과하지 않았을 때에 제2타이머부가 작동되어 제2소정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있고, 제1타이머부의 계측종료 시기와 제2타이머부의 계측개시 시기에 타임 러그가 발생되고 있다. 도7 및 도8의 타임챠트 이외의 특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제2실시예를 사용하므로써, 급수파이프(43a)내에 수분이 잔존하는 경우와 잔존하지 않는 경우로, 급수된 수분량이 다른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확실하게 저수트레이(20)내에 필요량만큼의 급수를 할 수 있다. 즉, 급수파이프(43a)내에 수분이 잔존하지 않는 경우는 급수대상까지에 수분이 도달하기 까지의 시간을 필요로 하고, 역으로 급수파이프(43a)내에 수분이 잔존하는 경우는 급수대상까지에 수분이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이에 기인한 급수량의 오차를 없앨 수 있으며, 급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9 내지 도11은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도9는 제3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 블록도, 도10은 자동급수 시스템의 출력수단에 의한 자동급수시스템 제어 연간내용에 관한 장부, 도11은 자동급수 시스템의 출력수단에 의한 설정내용 확인표 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에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2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구성에, 제어수단(42)에 대해 CPU(42a)에 기억부(42e)가 접속되는 동시에, CPU(42a)는 다시 인터페이스(I/F)를 거쳐 출력수단(44)의 프린터(44a)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수단(42)은 별도의 출력수단(44)에 접속되어 있지만, 제어수단(42)과 출력수단(44)을 일체로 할 수도 있다.
기억부(42e)는 제어수단(420에 의한 제어내용을 수시로 기억하는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타이머부(42c)에서의 계측중에 정전 등이 발생한 경우와 그 시점에 대한 계측상황을 기억하고, 정전이 회복된 후에 정전시의 계측상황으로부터 다시 카운트가 실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소정시간의 계측중에 정전이 발생된 경우는 제1소정시간의 계측상황을 기억하고, 정전복구후에 상기 계측상황으로부터 제1소정시간의 계측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정전시에 제1소정시간의 카운트가 초기화되어 급수되지 않은 시간이 장기간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소정시간에 대해서도 상기 구성에 의해, 급수되는 시간이 장기간으로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출력수단(44)의 프린터(44a)는 기억부(42e)에 기억된 내용이나 설정부(42b)에서 설정된 내용 등을 출력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수단(42)이 연간 실행된 제어내용의 상세에 관한 장부나,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급수 시스템의 설정내용을 프린트 아웃한 설정내용 확인표를 출력할 수 있다.
도10의 연간 제어내용표에는 일시와 제어내용이 기재되어 있고, 제어수단(42)이 초기화되기 까지의 동작을 1동작으로 하여 구별하여 인쇄되고, 또한 설정내용이 자동이나 수동으로 변경된 경우에 그 변경일시와 변경내용이 인쇄되어 출력되기 때문에, 자동급수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연간을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장부에서는 예를 들어 1998년 1월 14일 오전9시 5분에 제1타이머부가 작동을 개시하고, 1998년 1월 18일 오후 8시 34분에 초기화되어, 1998면 1월 18일 오후 8시 30분경 비가 내렸거나 인위적으로 급수된 것이 인식된다.
또한, 도11의 설정내용 확인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정시간은 2종류 설정되고, 5월 1일과 11월 1일에 제1소정시간의 자동절환이 실행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겨울과 여름에 식물에 스트레스를 부여한 간격을 변화시키고 있다. 제2소정시간은 1종류 설정되어 있다. 또한 수분량감지기(41)로 얻은 저항값과 비교하는 일정값인 저항값으로서 600㏀이 설정되고, 취득 저항값이 600㏀ 이상인 경우에 제1소정시간의 계측이 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급수방법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인위적으로 급수하고 싶지 않은 경우는 수동설정으로 하므로써 식물재배를 즐겁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내용을 인쇄출력하므로써, 설정내용 등을 잊은 경우 등에도 한눈에 즉시 설정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간 제어내용 장부와 설정내용 확인표를 비교하므로써, 제어수단(42)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내용이나 설정내용 등은 표시부(42d)에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또는 상기 연간 제어내용 장부 및 설정내용 확인표의 레이아웃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인쇄내용도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상이 발생한 때의 일시나 이상 내용 등을 인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설정내용도 단지 실시예에 한정된 것으로서, 여러가지 설정이 가능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2내지 도14의 제4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복수부설된 저수트레이(20)에 급수를 실행하는 것으로서, 도12는 자동급수 시스템을 표시하는 전체구성도, 도13은 자동급수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 도14는 자동급수 시스템에 대한 제어수단 및 급수수단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본 실시예의 저수트레이(20)는 평면투시하였을 때, 상부가 개방된 상자체이고, 측면(21)의 상단부에는 단면이 자물쇠형의 폭이 좁은 연결부(23a)와 폭이 넓은 연결부(23b)가 각각 2개씩 설치되고, 저수트레이(20)를 복수 병렬시켜 부설하는 경우에, 한쪽의 저수트레이(20)의 폭이 좁은 연결부(23a)의 상부에 다른쪽 저수트레이(20)의 폭이 넓은 연결부(23b)를 덮어서 연결한 상태로 부설가능한 구성이다. 그리고, 폭이 좁은 연결부(23a) 및 폭이 넓은 연결부(23b)의 거의 상단 중앙에서 대향하는 적어도 한쌍의 연결부(23a, 23b)에는 오목부(23c)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유수경로로 형성되고, 일정방향으로 유수가능한 구성이다.
도12에서는 수도나 저수탱크 등의 수원과 접속되어 도중에 전자 밸브(43b)가 설치된 급수 주파이프(431a)가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급수 주파이프(431a)와 접속 된 다공질인 급수 분기파이프(432a)가 저수트레이(20)상에서 상기 유수경로와 직교하는 상방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자밸브(43b)의 설치장소는 급수 주파이프(431a)와 접촉된 급수 분기파이프(432a)측이어도 좋고, 양자의 접속부분을 근처에 설치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급수 분기파이프(432a)의 다수의 구멍으로부터 유출된 수분이 가장 상방의 저수트레이(20)에 급수되고, 이러한 저수트레이(20)내에 수분이 저장되고, 하방에 위치되는 유수용 오목부(23c)를 넘어가는 순차하방의 저수트레이(20)로 급수되고 있기 때문에, 급수되지 않는 저수트레이(20)를 없앨 수 있다. 즉, B의 부설면에 볼록부가 존재되어 있다해도, A로부터의 유수경로가 D나 G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A로부터의 수분은 D나 G로 우회하지 않고, 확실하게 B로 공급되며, 그후 C로 급수된다. 이에 의해 전체의 저수트레이(20)에 확실하게 급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오목부(23c)로부터 유수방향을 한쪽방향으로 규제하고, 다공질 관에 의한 급수를 전체의 저수트레이(20)내에 남김없이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부설된 저수트레이(20)상의 임의 장소에 예를 들어 4개 정도의 임의 갯수의 수분량감지기(41)를 설치하고, 이들 수분량감지기(41)는 유선을 거쳐 제어수단(42)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수단(42)은 전자밸브(43b)에 접속되어 있다. 수분량감지기(41)내의 소정갯수를 설정값으로 하여 설정하면, 제어수단(42)에서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득한 저항값이 일정값을 초과하는 수분량감지기(41)의 갯수가 설정값을 초과하거나 설정값 이상으로 된 경우(S111), 제1타이머부가 작동하여 제1소정시간을 계측하고(S103), 제1소정시간의 계측종료 까지의 사이에, 취득한 저항값이 일정값을 초과하는 수분량감지기(41)의 갯수가 설정값을 초과하거나 설정값 이상인 상태를 유지한 경우에는(S112), 급수개시 신호를 출력하고(S106), 제2타이머부가 작동하여 제2소정시간을 계측한다(S107).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정확한 수분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으며, 보다 확실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제4실시예의 제2타이머부의 작동시기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급수개시 신호출력후에 취득한 저항값이 일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수분량감지기(41)의 갯수가 미리 결정된 갯수에 도달하는 동시에 개시하도록 해도 좋고, 상기 결정된 갯수도 임의로 설정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해, 급수파이프(43a)내의 수분의 유무에 관계없이, 필요량만큼의 급수를 식물에 대해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4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제5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15는 제5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 도16은 자동급수 시스템의 출력수단에 의한 자동급수 시스템제어 월간내용에 관한 장부, 도17은 자동급수 시스템의 출력수단에 의한 설정내용 확인표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와 함께, 제어수단(42)에서 CPU(42a)에 접속된 기억부(42e)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CPU(42a)를 인터페이스(I/F)를 거쳐 출력수단(44)의 프린터(44a)에 접속하고 있다. 프린터(44a)에 의한 출력내용도 제3실시예에서처럼 제어내용 월간장부나 도17의 설정내용 확인표로서 좋지만,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내용의 월간장부를 출력 하도록 해도 좋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제6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8 내지 도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서, 도18은 자동급수 시스템의 구성설명도, 도19는 자동급수 시스템의 시스템 블록도, 도20은 자동급수 시스템의 제어수단에서 수시로 처리되는 검출 어드레스 및 검출시 그 기억처리의 플로우챠트, 도21은 자동급수 시스템에 대한 제어수단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22는 자동급수 시스템에 대한 급수수단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상기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저수트레이(20)를 부설하는 경우인 것으로서,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내지 제6블록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저수트레이(20)가 복수부설되고, 각각의 블록은 하나 또는 복수개 부설된 저수트레이(20)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 3개의수분량감지기(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 주파이프(431a)가 홀수개의 블록과 짝수개의 블록으로 협지된 상태로 배치되고, 각각의 블록의 상방에는 급수 주파이프(413a)로부터 분기된 급수 분기파이프(432a)가 배치되며, 각각의 블록에 각각 급수를 실행하는 급수 분기파이프(432a)에는 각각 전용의 전자밸브(43b)가 설치되어 있으며, 급수 주파이프(431a)로부터 전자밸브(43b)를 거쳐 급수 분기파이프(432a)로 도입되고, 블록 마다 급수가능한 구성이다.
급수수단(43)의 전자밸브(43b)는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I/F)를 거쳐 제어수단(42)의 CPU(42a)에 접속되고, 블록 마다의 저수트레이(20)상에 임의갯수로 미리 설치된 수분량감지기(41)의 검출부(41a)도 CPU(42a)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수분량감지기(41), 제어수단(42), 급수수단(43), 출력수단(44) 이외의 다른 구성은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제어수단(42)에서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시로 각 수분량감지기(41)로부터 취득한 저항값과 수분부족 및 충족의 기준으로 되는 일정값을 비교하고(S301), 상기 저항값이 일정값을 초과하거나 이에 도달된 때에 대상의 블록번호 및 블록내의 어떤 위치의 수분량감지기(41)인가를 인식하기 위한 대상 수분량감지기(41)의 번호를 어드레스로 하여 기억부(42E)에 기억하는 동시에(S302), 각 블록 마다 저항값이 상기 일정값을 초과하거나 이에 도달된 검출부(41a)의 대상 수분량감지기(41)의 갯수를 인식하여 기억부(42e)에 기억한다(S303).
블록 마다에 기억된 상기 저항값이 일정값을 초과하거나 이에 도달된 수분량감지기(41)의 갯수가 미리 결정된 설정값을 초과하거나 이에 도달된 경우(S304), 설정값에 도달된 블록번호(k) 및 시각(B)을 기억부(42e)에 기억한다(S305). 이러한 블록번호(k)가 기억된 경우에도, 수시로 다른 블록번호로 상기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값에 도달된 경우에 그 블록번호 및 도달된 시각을 기억한다.
이어서, 설정값에 도달된 블록번호(k) 및 시각(B)이 기억부(42e)에 기억된 경우(S401), 제1소정시간(H)과, 현재의 시각(G)으로부터 블록번호(k)의 블록이 설정값에 도달된 시각(B)을 뺀 시간(D)과의 편차를, 구한 시간(C)으로서 기억부(42e)에 기억하고(S402), 제1타이머부에서 시간 C=H-(G-B)=H-D 를 계측한다(S403).
시간(C)의 계측종료 까지의 사이에, 블록번호(k)내에서 저항값이 상기 일정값에 도달한 수분량감지기(41)의 갯수가 미리 결정된 설정값 이하로 되거나 설정값 보다 적은 경우(S404), 기억되어 있는 블록번호(k)와 시각(B) 및 제1타이머의 작동에 의한 시간(C)의 계측이 초기화되어(S405, S406), 다시 기억부(42e)에 설정값에 도달한 블록번호 및 시각이 기억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S404의 확인은 시간(C)의 계측이 종료될 때까지 실행한다(S407).
그리고, 시간(C)의 계측종료 까지의 사이에, 블록번호(k)내에서, 저항값이 상기 일정값을 초과하거나 이에 도달된 수분량감지기(41)의 갯수가 미리 결정된 설정값 이하이거나 이보다 작은 경우, 제1블록으로부터 제6블록까지의 순차 급수를 실행하기 때문에, 제M급수개시 신호로서 제1급수개시 신호를 출력한다(S408). 여기서, M은 블록번호에 대응하며, 제1블록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급수를 개시하기 위한 신호내용으로서, 제M급수개시 신호는 제M블록의 전자밸브(43b)를 개방하기 위한 신호이며, M의 초기값은 제1블록을 표시하는 1 이다.
제M급수개시 신호로서 제1급수개시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M회째로서 1회째의 제2타이머부가 제2소정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S409), 제2타이머부에 의한 제2소정시간의 계측이 종료되면(S410), 제M급수정지 신호로서 제1급수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제M블록의 전자밸브(43B)를 폐쇄시킨다(S411).
상기 처리는 제1블록으로부터 제6블록까지 순차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M이 최대값(본 실시예에서는 6)에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412), M이 최대값에 도달된 경우는 초기화하여(S413), 기억부(42e)에 새로이 수분량감지기(41)의 저항값이 일정값에 도달한 갯수가 설정값으로 도달된 블록 및 시각이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M이 최대값에 도달되지 않는 경우, M=M+1 처리를 실행하고(S414), 다시 제M급수개시 신호를 출력하는 처리로 되돌아가서, 급수개시 신호 및 급수정지 신호의 출력처리를 M=최대값으로 되는 횟수까지 반복한다.
제어수단(42)으로부터 출력된 제M급수개시 신호가 입력된 급수수단(43)은(S501), 제M전자밸브(43b)를 개방하여 급수를 실행하고(S502), 제M급수정지 신호의 입력에 의해(S503), 개방되어 있는 제M전자밸브(43b)를 폐쇄하여 급수를 정지한다(S504). 이러한 처리는 M이 최대값에 도달될 때까지 반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른바 릴레이방식으로 급수처리를 실행하는 실시예이며, 복수의 블록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내에서, 수분량감지기(41)의 취득한 저항값이 일정값으로 된 경우, 또는 취득한 저항값이 일정값으로 된 수분량감지기(41)의 갯수가 설정값에 도달한 경우 등에, 전체의 블록에 대해 순차적으로 급수를 실행한다. 따라서, 부설면적이 넓은 경우에도 수원으로부터의 수압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으며, 확실하게 각각의 블록에 대해 급수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급수대상의 블록에 대한 블록에서는 하나의 블록이 수분부족으로 인식된 경우에도 모든 급수대상인 전체의 블록에 대해 순차적으로 급수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의 구성 등을 이용하므로써, 블록내의 수분량감지기(41)의 취득한 저항값이 일정값으로 된 경우, 또는 블록내의 취득한 저항값이 일정값으로 된 수분량감지기(41)의 갯수가 설정값에 도달한 경우 등에, 설정값에 도달한 대상 블록에 대해서만 급수개시 및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미리 대상 블록으로 된 블록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블록번호 및 발생시각을 기억하고, 우선순위에 대응하여 시간 C=H-(G-B) 를 연산하므로써, 각각의 블록마다 급수개시 및 급수정지를 실행한다.
제6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소정시간의 계측개시시기를, 수분량감지기(41)에 의한 저항값이 상기 일정값에 도달하지 않는 등에 의해 수분이 충족상태로 된 것이 인식된 때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 단위로 급수의 제어 및 관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광대한 부설면적을 갖는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급수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에 테스트모드로의 절환수단을 설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23은 테스트모드의 제1실시예의 플로우챠트, 도24는 테스트모드의 제2실시예의 플로우챠트 이다.
테스트모드를 갖는 자동급수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제어수단(42)의 설정부(42b)에 의해 테스트모드로의 절환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테스트모드에 의해 시공시 또는 시공종료시에 자동급수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3의 테스트모드에서는 미리 취득한 저항값이 상기 일정값을 초과하거나 이에 도달한 수분량감지기(41)가 있고, 수분이 부족한 상태가 검출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S601), 설정부(42b)에 의해 테스트모드로 절환한다(S602). 이러한 절환과 동시에, 제1타이머부에서 제1소정시간 보다 짧은 예를 들어 10분 정도의 제3소정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S603), 제3소정시간의 계측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S604), 종료시에는 급수개시 신호를 급수수단(43)에 대해 출력한다(S605). 급수수단(43)에서는 급수개시 신호가 입력되고(S701), 전자밸브(43b)를 개방하여 급수를 개시한다(S702).
그리고, 제어수단(42)에서는 급수개시 신호의 출력과 동시에, 제2타이머부에서 제2소정시간 보다 짧은 예를 들어 5분 정도의 제4소정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S606), 제4소정시간의 계측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S607), 종료시에는 급수수단(43)에 대해 급수정지 신호를 출력한다(S608). 급수수단(43)에서는 급수정지 신호가 입력되고(S703), 전자밸브(43b)를 폐쇄하여 급수를 정지한다(S704).
또한, 도24의 테스트모드에서는 미리 취득한 저항값이 상기 일정값을 초과하거나 이에 도달한 수분량감지기(41)가 있고, 수분이 부족한 상태가 검출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S601), 설정부(42b)에 의해 테스트모드로 절환한다(S602). 이러한 절환과 동시에, 제1타이머부에서 제1소정시간 보다 짧은 예를 들어 10분 정도의 제3소정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S603), 제3소정시간의 계측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S604), 종료시에는 급수개시 신호를 급수수단(43)에 대해 출력한다(S605). 급수수단(43)에서는 급수개시 신호가 입력되고(S701), 전자밸브(43b)를 개방하여 급수를 개시한다(S702).
그리고, 제어수단(42)에서는 급수개시 신호의 출력후에, 새로이 취득한 저항값이 상기 일정값을 초과하거나 이에 도달한 수분량감지기(41)가 있고, 수분이 충족상태 또는 수분부족 해소상태가 검출된 경우에는(S609), 제2타이머부에서 제2소정시간 보다 짧은 예를 들어 5분정도의 제4소정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S606), 제4소정시간의 계측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S607), 종료시에는 급수수단(43)에 대해 급수정지 신호를 출력한다(S608). 급수수단(43)에서는 급수정지 신호가 입력되고(S703), 전자밸브(43b)를 폐쇄하여 급수를 정지한다(S704).
상기 제3소정시간 및 제4소정시간도 설정부(42b)에 의해 설정가능하지만, 상기 실시예의 시간이라면, 15분으로 자동급수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자동급수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자동급수 시스템의 응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25 및 도26의 구성은 상기 전체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25는 저수트레이에 수분량감지기 적재대를 설치한 경우의 구성도, 도26은 도25의 수분량감지기 근처의 확대단면도 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저수트레이(20)의 저면(22)상에 수분량감지기 적재대(24)가 설치되고, 저수트레이(20)내의 수분량감지기 적재대(24)상에 수분량감지기(41)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수단(42)이 수분량감지기(41)와 급수파이프(43a)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밸브(43b)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은 상기와 동일하며, 도면부호 40a는 저수트레이내의 수면을 도시한다.
수분량감지기(41)를 적재대(24)상에 적재하므로써, 저수트레이(20)내에 들어가는 먼지 등의 영향에 따른 수분량감지기(41)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설면의 오목볼록부로 저수트레이(20)의 변형이 있는 경우나, 만일 저수트레이 저면(22)의 오목볼록부중 오목부에 수분량감지기(41)를 설치한 경우에도 수분의 유무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적재대(24)를 설치하므로써,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40a)이 하강하고, 수분량감지기(41)가 적재되어 있는 적재대(24)에 수면(40a)이 도달된 때에 수분부족 상태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수분이 완전히 비어 있기 전에 자동급수 시스템이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적재대(24)를 설치하므로써, 소량의 강우가 있는 경우에도, 수분부족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대상이 저수트레이(20)로 구성되었을 때, 저수트레이(20)상에 식물재배 컨테이너(10)를 적재하고, 이를 부설면에 복수 부설한 경우 등에, 소량의 강우에서도 식물재배 컨테이너(10)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저수트레이(20)내에 수분이 들어갈 수 있으며, 이러한 소량의 수분에 대해서는 수분부족 상태의 인식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식물을 고사시키지 않게 된다.
수분량감지기 적재대(24)의 형상 및 구성은 적절한 것이지만, 접착제 등으로 용이하게 저수트레이 저면(22)에 접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수분량감지기 적재대(24)를 저수트레이(20)와 상이한 형태로 소형의 저수트레이로 하면 바람직하며, 이러한 소형 저수트레이내에 수분량감지기(41)를 적재하여 소형 저수트레이내의 수분 유무를 검출하므로써, 소형 저수트레이의 측벽에서 먼지 등이 자주 칩입할 가능성이 낮게 되어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수의 저수트레이(20)를 부설하고, 각각의 저수트레이(20)상에 식물(14)이 재배되고 있는 식물 재배 컨테이너(10)를 부설하고, 최외측에 연석(curbstone)(51) 등을 설치하므로써, 급수관리를 용이하게 적절하게 할 수 있으며,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녹화지역(5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망의 식물재배 컨테이너(10)로 통상적으로는 식물(14)이 식재되는 장소에 우드 데크(wood deck)(52) 또는 라이트(53) 등을 설치하므로써, 미관이 우수한 녹화지역(5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라이트(53)나 제어수단(42)과 수분량감지기(41)를 결합하는 유선 또는 급수파이프(43a) 등의 선 종류는 모두 저수트레이(20)상에서 또한 식물재배 컨테이어 측면(11)의 내측을 향하는 오목부(11a) 사이, 또는 저수트레이(20)상에서 연석(51)과 식물재배 컨테이너 측면(11)의 내측을 향하는 오목부(11a) 사이에 수납되기 때문에, 한층 우수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은 각각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와 같은 확장 및 변형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급수대상을 저수트레이(20)로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식물재배 컨테이너(10)내의 토양(13)으로 해도 좋고, 또는 동물 등의 식수를 제공하기 위한 접시 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유선으로, 수분량감지기(41)와 제어수단(42), 제어수단(42)과 전자밸브(43b) 사이를 접속하고 있지만, 무선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의 식물재배 컨테이너(10) 및 저수트레이(20)의 형상, 구성, 갯수, 기능 등 또는 급수수단(43), 제어수단(42), 수분량감지기(41) 등은 각각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내의 범위라면 모두 포함된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물에 대해서만 자동급수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지만, 액체비료나 이들의 혼합액이어도 무방하며, 액체 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제어수단(42)[특히, 설정부(42b)]를, 적어도 관리자와 유지보수자만 사용할 수 있도록 로킹해도 좋고, 그 언로킹방법은 기어나 카드, 암호번호입력, 지문판정, 음성판정 등 여러가지가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출력수단(44)으로 출력되는 정보 등은 전화선, 무선 등을 거쳐 컴퓨터 등으로 수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므로써, 이격된 장소에서도 제어수단(42)의 동작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설정내용도 컴퓨터 등으로 설정내용을 송신하는 것으로 설정가능한 구성으로 하므로써, 이격된 장소에서 설정내용의 변경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제7실시예의 전체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28은 제7실시예에 대한 급수제어 처리의 전체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29 및 도30은 타이머부 또는 유량계에 의한 급수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의 제어수단 및 급수수단의 급수 처리를 표시한 플로우챠트, 도31은 제7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전체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이다.
제7실시예에서 제어수단(42)은 상기 실시예의 시스템의 구성 이외에 예를 들어 필요한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부, 절환모드 또는 비절환모드의 선택을 실행하는 절환모드 선택부, 필요에 따라 설정사항의 절환 등을 실행하는 절환부 등이 CPU(42a)에 접속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28에 도시된 급수제어 처리에서는 먼저 제어수단(42), 수분량감지기(41), 급수수단(43) 등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전원을 입력하고(S801), 절환모드 선택부에 의해 절환모드 또는 비절환모드의 선택을 실행한다(S802). 절환모드 또는 비절환모드의 선택구성은 적절하며, 예를 들어 절환모드 또는 비절환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로 선택하거나, 또는 절환모드를 실행하는 소정시간으로 0시간을 설정한 경우에 비절환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에 의해, 절환모드 또는 비절환모드의 어느 쪽이 선택되는 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을 실행한다(S803). 또한, 모드선택의 방식은 초기상태 설정 등에 의해 상이하지만, 비절환모드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 절환모드가 실행되도록 하고, 비절환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만 비절환모드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비절환모드를 선택한 경우는 제1모드가 개시되고(S804), 타이머부(42c)가 소정의 절환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S805). 상기 절환시간은 예를 들어 절환모드를 실행하는 소정시간으로서 설정된 시간이다. 그리고, 절환시간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806), 절환시간 사이로부터 수분량감지기(41)의 취득 저항값과 램(RAM) 이나 롬(ROM) 등의 기억부에 설정된 기준저항값과의 비교를 연속하여, 또는 소정시간 간격 마다 실행하고, 수분량감지기(41)의 저항값이 기준저항값에 도달한 경우나 이를 초월한 경우에 필요수분량 없음을 검출하고, 수분량감지기(41)의 저항값이 기준저항값에 도달하지 않거나 이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 필요수분량 있음을 검출한다(S807).
필요수분량 있음이 검출된 경우에는 다시 절환시간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S806), 필요수분량 유무의 검출처리를 실행하고(S807), 필요수분량의 유무의 검출처리를 절환시간이 종료할 때까지 실행한다. 한편, 필요수분량 없음이 검출된 경우에는 급수처리를 실행한다(S808). 상기 급수처리는 예를 들어 소정의 급수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또는 유량계의 계측값에 기초하여 제어수단(42)으로 적산한 적산유량이 소정의 상한값에 도달할 때까지 실행한다.
타이머부(42c)로 계측하고 있는 소정의 절환시간이 종료되면(S806), 절환시간을 초기화하고(S809), CPU(42a)의 제어에 의해 기억부에 설정된 제2모드를 개시한다(S810). 본 실시예에서는 필요수분량 없음을 검출한 경우에는 수분처리가 종료된 후에 다시 소정의 절환시간의 계측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806), 급수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시간에는 소정 절환시간의 종료의 판정(S806), 및 필요수분량의 유무의 검출처리(S807)를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드선택에 의해 비절환모드를 선택하고, 비절환모드를 선택하여 판정한 경우에도(S802, S803), 제2모드를 개시한다(S810).
즉, 소정의 절환시간 사이, 또는 소정의 절환시간내의 급수개시 시각 까지의 시간과 급수시간을 가산한 시간의 사이에서는 제1모드가 실행되고, 필요수분량 없음을 검출한 경우에는 소정의 급수처리를 실행하여, 제1모드중에는 상기 판정이나 급수처리 들을 반복실행한다. 또한, 제1모드에서 급수중에도 수분량감지기(41)에 의해 필요수분량의 유무검출을 실행하고, 필요수분량 있음 으로 검출된 시점에서 급수를 정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으며, 또한 절환시간을 우선하여 도중에서 급수를 정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2모드가 개시되면, 수분량감지기(41)에서 취득한 저항값에 의해 필요수분량의 유무판정을 연속해서, 또는 소정시간 간격마다 실행하고(S811), 필요수분량 없음 으로 검출한 경우에는 타이머부(42c)에 의해 소정의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을 실행한다(S812). 또한, 제2모드의 필요수분량은 제1모드의 필요수분량과 다른 수분량으로서, 기준저항값을 설정해도 좋다.
상기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중에는 제어수단(42)에서 저항값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의 유무판정을 연속해서, 또는 소정시간 간격마다 실행하고(S813), 필요수분량 있음 으로 검출한 경우에는 타이머부(42c)에 의해 계측중의 스트레스 시간을 초기화하고(S814), 다시 필요수분량의 유무판정으로 되돌아간다(S811). 이것은 실외에 식물재배 유니트를 설치한 경우 등에, 스트레스 시간중의 강우에 의해 수분 없음 상태로부터 수분 있음 상태로 절환되고, 이렇게 절환된 후에 급수하는 것은 수분을 헛되이 소모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스트레스 시간중에 필요수분량 없음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이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하고(S815),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이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필요수분량의 유무판정으로 되돌아가고(S813),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이 종료되어 스트레스 시간중에 필요수분량 없음 의 상태를 유지한 경우에는 타이머부(42c)에서 계측한 스트레스 시간을 초기화하여(S816), 급수처리를 실행한다(S817). 상기 급수처리는 예를 들어 소정의 급수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또는 적산유량이 소정 상한값에 도달할 때까지 실행된다. 상기 급수처리가 종료된 후에는, 다시 필요수분량의 유무판정으로 되돌아간다(S811). 즉, 제2모드에서는 수분량감지기(41)를 이용하여 필요수분량 없음 으로 판정하면,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이 시작되고, 스트레스 기간중에 필요수분량 없음의 상태를 유지한 경우에만 급수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급수처리를 소정의 급수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실행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부(42c)에 의해 소정 급수시간의 계측에 기초하여 제어를 실행한다. 도29의 경우에는 제어수단(42)으로부터 급수개시 신호를 급수수단(43)에 대해 출력하고(F1), 급수수단(43)의 전자밸브(43b)에 급수개시 신호가 입력되고(G1), 전자밸브(43b)가 개방되어 급수가 개시된다(G2). 한편, 제어수단(42)은 급수개시 신호출력후에 타이머부(42c)에 의해 급수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F2), 소정의 급수시간이 종료할 때까지 급수시간의 계측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F3), 소정의 급수시간이 종료되면 급수수단(43)에 대해 급수종료 신호를 출력하고(F4), 타이머부(42c)에서 계측한 급수시간을 초기화한다(F5). 급수수단(43)에서는 상기 급수종료 신호가 전자밸브(43b)에 입력되고(G3), 전자밸브(43b)를 폐쇄하여 급수를 종료한다(G4).
또한, 상기 급수처리를 적산급수량이 소정의 상한유량값에 도달할 때까지 실행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계에 의한 소정의 적산유량에 기초하여 제어를 실행한다. 도30의 경우에는 제어수단(42)으로부터 급수개시 신호를 급수수단(43)에 대해 출력하고(F11), 급수수단(43)의 전자밸브(43b)에 급수개시 신호가 입력되고(G11), 전자밸브(43b)가 개방되어 급수가 개시된다(G12). 한편, 제어수단(42)은 유량계에 의해, 급수개시 신호출력후에 급수파이프(43a)내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측정 및 적산하고(F12), 적산유량이 소정상한값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F13), 소정상한값에 도달했을 때에 급수수단(43)에 대해 급 수종료 신호를 출력하고(F14), 적산한 유량값을 초기화한다(F15). 또한, 급수수단(43)에서는 상기 급수종료 신호가 전자밸브(43b)에 입력되고(G13), 전자밸브(43b)를 폐쇄하여 급수처리를 종료한다(G14).
상기 유량계를 설치하므로써, 타이머부(42c)에서 제어하는 경우 보다 확실한 값으로서 급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건물의 상황이나 시간 등에 의해 수도꼭지로부터의 유량이 다른 경우에도 오차없이 적절한 유량의 급수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타임챠트에 대해 도3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전체로서는 제어수단(42)의 전원을 ON 으로 하여 절환모드를 선택하면, 제1모드를 개시하여 절환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제1모드중에 수분량감지기(41)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 없음을 검출하면, 급수개시 신호의 출력으로 급수수단(43)이 급수를 개시하는 동시에, 적산유량 또는 급수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또한, 급수개시후에 수분량감지기(41)까지 수분이 도달되므로써, 수분량감지기(41)와 제어수단(42)으로 필요수분량 있음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수분량감지기(41)와 제어수단(42)에 의한 필요수분량 유무의 판정처리는 정지하고 있다. 또한, 적산유량값이 상한값에 도달하거나 급수시간의 계측이 종료되면, 급수종료 신호를 출력하여 급수가 종료된다. 이상을 제1모드중에 반복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절환시간의 계측이 종료되면, 제2모드로 절환된다. 제2모드중에 수분량감지기(41)의 저항값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 없음을 검출하면, 소정의 스트레스 시간을 계측한다. 상기 스트레스 시간 계측중에 필요수분량 없음이 유지되지 않으면, 스트레스 시간이 초기화(간략화)되고, 또한 수분량감지기(41)에 의한 필요수분량 없음이 유지되면 급수개시 신호를 출력하여 급수수단(43)이 급수를 개시하는 동시에, 유량계에 의한 유량의 계측 또는 급수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또한, 급수개시후에 수분량감지기(41) 까지의 수분이 도달하므로써, 수분량감지기(41)와 제어수단(42)에서 필요수분량 있음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수단(42)에 의한 필요수분량 유무판정 처리는 정지되어 있다. 또한, 적산유량값이 상한값에 도달하거나 급수시간의 계측이 종료되면, 급수종료 신호를 출력하여 급수가 종료된다. 이상을 제2모드중에 반복실행한다.
제7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을 사용하므로써 하기와 같은 경우에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식물재배 유니트를 부설면에 시공한 직후 등에 식물로서 절단 잔디를 사용한 경우는 상기 절단 잔디가 토양에 뿌리내리지 못하고, 절단 잔디의 뿌리와 토양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잔디로서는 더욱 약한 상태(고사되기 쉬운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일 때는 수분을 다량 필요로 하는 시기로서, 가능한한 빨리 뿌리내리게 하고, 잔디가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시기에 급수처리를 제7실시예의 제1모드로 실행하므로써, 잔디의 뿌리내림을 빨리 할 수 있다. 또한, 뿌리내림 후의 잔디는 제2모드로 자동절환되도록 구성하므로써, 보다 자연에 가까운 상태로 잔디를 육성할 수 있게 되고, 건강한 잔디를 재배할 수 있다. 즉, 절환모드 선택부에 의해 시공 직후에는 절환모드를 선택하지 않고, 절환시간을 잔디가 뿌리내리려는, 예를 들어 2주후에 제2모드로 되도록 설정하므로써 상기와 같은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식물재배 유니트의 자동급수 시스템에 대한 제8실시예에 대해 상기 실시예와 다른 장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32 및 도3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도시하며, 도32는 급수제어 처리의 전체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33은 제8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타임챠트 이다. 식물재배 유니트의 구성, 저수트레이(20)내에 급수하는 구성 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모드중 및 제2모드중 함께 수분량 검출장소에서 수분량감지기(41)로 취득하는 저항값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의 유무를 판정하고, 필요수분량 없음을 검출한 경우에는 타이머부(42c)로 소정의 제1스트레스 시간, 제2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소정의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종료 까지의 사이에 필요수분량 없음의 상태가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 급수를 실행하는 구성이다. 제1모드중의 스트레스 시간인 제1스트레스 시간에는 예를 들어 3일의 비교적 짧은 시간으로 설정하고, 제2모드의 스트레스 시간인 제2스트레스 시간에는 예를 들어 7일의 비교적 긴 시간을 설정하고, 급수개시 조건을 다르게 하므로써, 예를 들어 잔디의 뿌리를 빨리 토양에 뿌리내려 건강한 잔디를 육성할 수 있다.
즉 도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42)의 전원을 ON 으로 하여 절환모드 또는 비절환모드의 선택을 실행하고(S801, 802), 절환모드 또는 비절환모드중 어느 한쪽을 선택했는지를 판정한다(S803). 비절환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제2모드를 개시하고(S810), 절환모드를 선택한 경우는 제1모드를 개시한다(S804). 제1모드의 개시에 의해 절환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S805), 상기 절환시간이 종료되기 까지의 사이에, 수분량감지기(41)의 검출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의 유무를 판정하고(S806, S807), 필요수분량 없음 으로 판정한 경우에만 타이머부(42c)로 제1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S818).
제1스트레스 시간계측중에, 다시 수분량감지기(41)의 검출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의 유무를 연속해서, 또는 소정시간 마다 판정하고(S819), 필요수분량 있음 으로 판정한 경우는 타이머부(42c)로 계측중의 제1스트레스 시간을 초기화하고(S820), 다시 절환시간의 계측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으로 되돌아간다(S806). 또한, 제1스트레스 시간중에 필요수분량 없음의 상태를 유지한 경우는(S821), 타이머부(42c)의 제1스트레스 시간을 초기화하고(S820), 급수처리를 실행하여(S808), 상기 급수처리의 종료후에는 다시 절환시간의 계측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의 판정으로 되돌아간다(S806). 절환시간이 종료하기 까지의 사이에 상기 처리가 반복실행되고, 소정의 절환시간의 계측이 종료되면, 타이머부(42c)의 절환시간을 초기화하여 제2모드로 이행한다(S806, S809, S810).
제2모드를 개시하면(S810), 필요수분량 있음의 여부를 수분량감지기(41)의 검출에 기초하여 연속해서, 또는 소정시간 간격 마다 판정하고(S811), 필요수분량 없음 으로 판정한 경우에만 타이머부(42c)로 제1스트레스 시간 보다 긴 제2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S823). 제2스트레스 시간계측중에 다시 필요수분량의 유무를 연속해서 또는 소정시간 간격 마다 판정하고(S813), 필요수분량 있음 으로 판정한 경우는 타이머부(42c)로 계측중의 제2스트레스 시간을 초기화하고(S824), 다시 필요수분량의 유무의 판정으로 되돌아간다(S811). 또한, 제2스트레스 시간중에 필요수분량 없음의 상태를 유지한 경우는(S825), 타이머부(42c)의 제2스트레스 시간을 초기화하고(S826), 급수처리를 실행하고(S817), 다시 필요수분량의 유무판정으로 되돌아간다(S811). 급수처리의 내용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자동급수 시스템 전체의 동작은 도33의 타임챠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42)의 전원을 ON 으로 하여 절환모드를 선택하므로써 제1모드를 개시한다. 제1모드중에 수분량감지기(41)의 검출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 없음을 판정하면 소정의 제1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제1스트레스 시간중에 필요수분량 없음의 사태가 지속되지 않으면, 제1스트레스 시간이 초기화된다(도시않음). 또한, 제1스트레스 시간중에 필요수분량 없음의 상태가 유지되면, 급수개시 신호를 출력하여 급수수단(43)이 급수를 개시하는 동시에, 유량계에 의한 유량의 계측 또는 급수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유량계에 의한 적산유량값이 상한값에 도달하거나 급수시간의 계측이 종료되면, 급수종료 신호를 출력하여 급수수단(43)에 의한 급수가 종료된다.
그리고, 상기 절환시간의 계측이 종료되면, 절환시간을 초기화하여 제2모드로 절환된다. 제2모드중에 수분량감지기(41)의 검출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 없음의 판정결과를 얻으면, 소정의 제2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제2스트레스 시간중에 필요수분량 없음이 유지되지 않으면, 제2스트레스 시간이 초기화된다(도시않음). 또한, 제2스트레스 시간중에 필요수분량 없음이 유지되면, 급수개시 신호를 출력하여 급수수단(43)이 급수를 개시하는 동시에, 유량계에 의한 유량의 계측 또는 급수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유량계에 의한 적산유량값이 상한값에 도달하거나 급수시간의 계측이 종료되면, 급수종료 신호를 출력하여 급수수단(43)에 의한 급수가 종료된다. 이상을 제2모드중에 반복실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스트레스 시간 등의 스트레스 시간이 다른 설정 또는 각각의 스트레스 시간마다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설치장소나 환경, 식물의 종류에 대응하여 다양한 스트레스 시간을 부여할 수 있고, 사용자의 희망에 잘 부합되는 자동급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식물재배 유니트의 자동급수 시스템에 대한 제9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상이한 장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34 내지 도38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로서, 도34는 급수제어 처리의 전체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35는 절환모드 미선택시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36 내지 도38은 각각 카렌더부의 시기=1, 2, 3의 경우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이다. 제9실시예는 예를 들어 식물재배 유니트 등을 실외에 설치한 실시예로서, 급수를 모두 실행하지 않는 무급수의 제3모드의 시기에 대응하여 설정하고, 이른바 제3모드가 종료하기 까지의 시간을 전체로 하여 급수간격 시간으로 하는 것이지만, 그 사용형태는 적절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수단(42)에 카렌더부를 포함하고, 카렌더부로 현재 일시(적어도, 월)을 확인가능하고, 카렌더부의 일시에 대응하여 모드를 절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동시에, 절환모드 선택부로 절환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제1모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모드 실행후에 절환되는 모드를 카렌더부에 의해 결정하는 것으로서, 시동직후 등은 제1모드를 실행하도록 구성하고, 그 후에는 계절 등의 시기에 대응하여 모드가 절환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42)의 전원을 ON 으로 하여 절환모드 선택부에 의해 모드선택을 실행하고(S801, 802), 절환모드 또는 비절환모드의 한쪽이 선택되었는지를 판정한다(S803). 비절환모드를 선택한 경우는 A로 이행하고, 절환모드를 선택한 경우는 제1모드를 개시하고(S804), 타이머부(42c)로 소정의 절환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S805). 상기 절환시간의 계측이 종료되기 까지의 사이에, 수분량감지기(41)의 검출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의 유무판정을 연속하여, 또는 소정시간 간격마다 반복실행하고(S806, S807), 필요수분량 없음 으로 판정한 경우에만 급수처리를 실행한다(S808). 상기 절환시간의 계측이 종료되면, 타이머부(42c)로 계측되어 있는 절환시간을 초기화한다(S806, S809).
상기 절환시간의 초기화 후에는 CPU(42a)가 카렌더부의 시기를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모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34에 있어서, 카렌더부에 기초하여 시기=시기 1로 판정한 경우는 B로 이행하고(S827), 상기 시기=시기 2로 판정한 경우는 C로 이행하고(S828), 상기 시기=시기 3으로 판정한 경우는 D로 이행한다(S829). 또한, 상기 실시예의 모드중이라도, 절환모드 선택부에서 비절환모드를 선택하면, 제어수단(42)은 소정처리내의 비절환모드 처리로 이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A는 이행된 경우는 도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드를 개시하고(S810), 제2모드가 개시되면 수분량감지기(41)의 검출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의 유무판정을 연속해서, 또는 소정시간 간격마다 실행하고(S811), 필요수분량 없음을 검출한 경우에는 타이머부(42c)에 의해 소정의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S812). 상기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중에도 필요수분량의 유무판정을 연속해서, 또는 소정간격 마다 실행하고(S813), 필요수분량 있음 으로 판정한 경우는 타이머부(42c)로 계측중의 스트레스 시간을 초기화하고(S814), 다시 필요수분량의 유무판정으로 되돌아간다(S811). 스트레스 시간중에 필요수분량 없음을 유지한 경우는(S815), 타이머부(42c)로 계측한 스트레스 시간을 초기화하고(S816), 급수처리를 실행한다(S817). 상기 급수처리는 예를 들어 소정의 급수시간이 경과하기 까지, 또는 유량계의 계측에 의한 적산유량이 소정의 상한값에 도달하기 까지 실행하고, 상기 급수처리가 종료된 후에는 다시 필요수분량의 유무판정으로 되돌아간다(S811).
상기 B로 이행된 후에는, 도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제1모드를 개시하고(S830), 카렌더부에 의해 시간이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고(S831), 시기의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수분량감지기(41)의 검출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의 유무판정을 실행하고(S832), 필요수분량 없음의 판정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만 급수처리를 실행한다(S833). 한편, 카렌더부에 의한 시간의 변경이 있었던 경우에는, 카렌더부의 시기=시기 2의 경우는 C로 이행하고(S834), 상기 시기=시기 3의 경우는 D로 이행한다(S835).
상기 C로 이행한 후에는 도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제2모드를 개시하고(S836), 카렌더부에 의해 시기가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고(S837), 시기의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수분량감지기(41)의 검출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의 유무판정을 실행하고(S838), 필요수분량 없음의 판정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만 소정의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S839), 상기 스트레스 시간중에 필요수분량 없음의 상태가 유지된 경우에만(S840, S841), 스트레스 시간을 초기화하여 급수처리를 실행하고(S842, S843), 필요수분량 없음의 상태가 유지된 경우는 타이머부(42c)의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을 초기화하여(S844), 다시 카렌더부의 시기가 변경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으로 되돌아간다(S837). 카렌더부의 시기의 변경이 있었던 경우에는 카렌더부의 시기=시기 1의 경우는 상기 B로 이행하고(S845), 상기 시기=시기 3의 경우는 D로 이행하도록 되어 있다(S846).
상기 D로 이행된 후에는, 도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모드를 개시하고(S847), 카렌더부에 의해 시기가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시기변경이 있기 까지 반복실행하고(S848), 상기 시기변경이 있었던 경우는 카렌더부의 시기=시기 1의 경우는 B로 이행하고(S849), 상기 시기=시기 2의 경우는 C로 이행한다(S850).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사용하므로써 1년중 전체의 수분관리를 자동급수 시스템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되고, 예를 들어 3월 등의 잔디 생육시에는 제1모드를 실행하고, 4월부터 10월 등의 잔디에 대해서는 제2모드를 실행하므로써, 자연에 보다 가까운 상태로 재배하고, 11월부터 2월 등의 잔디 휴면기에는 제3모드를 실행하므로써, 자연강우 및 어느정도 저수트레이(10)내 또는 토양중에 저장된 수분만으로 잔디의 생명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필요최소한의 수분에 의해 양호한 잔디관리 등 식물생육 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시기 1은 3월인 것을 의미하고, 시기 2는 4월부터 10월, 시기 3은 11월부터 2월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각각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해, 예를 들어 녹화지역을 형성하여 복수의 수분량감지기(41)를 사용하는 경우, 전체의 저수트레이(20)내 혹은 임의의 저수트레이(20)내에 수분량감지기(41)를 설치하는 구성, 예를 들어 복수의 수분량감지기(41)중 적어도 하나의 수분량감지기(41)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 없음을 검출한 경우에 필요수분량 없음 으로 판정하고, 또한 복수개중 임의 갯수의 수분량감지기(41)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 없음을 검출한 경우에 필요수분량 없음 으로 판정한다.
또한 제9실시예의 제3모드는 무급수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트레스 시간이 제7실시예 및 제8실시예의 제2모드중의 스트레스 시간 보다 긴 시간인 제3스트레스 시간을 계측하여 제어하는 구성, 또는 예를 들어 제2모드중의 급수간격 시간 보다 긴 시간인 제3급수간격 시간을 계측하므로써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이 경우는 제3모드중에 실내에서도 어느 정도의 수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로서, 예를 들어 제7실시예를 전제로 하는 제9실시예의 경우, 제1모드중에는 수분량감지기(41)에 의해 급수개시를 제어하고, 제2모드중에는 제1스트레스 시간에 의해 급수개시를 제어하고, 제3모드중에는 제3스트레스 시간에 의해 급수개시를 제어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제9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로서, 제1모드중에는 급수간격 시간에 의해 급수개시를 제어하고, 제2모드중에는 스트레스 시간에 의해 급수개시를 제어하고, 제3모드중에는 제3급수간격 시간 또는 제3스트레스 시간에 의해 급수개시를 제어하는 구성 등이 가능하다.
제9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로서, 제1모드중에는 제1급수간격 시간에 의해 급수개시를 제어하고, 제2모드중에는 제2급수간격 시간에 의해 급수개시를 제어하고, 제3모드중에는 제3급수간격 시간에 의해 급수를 제어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제8실시예를 전제로 하는 제9실시예의 경우, 제1모드중에는 제1스트레스 시간에 의해 급수개시를 제어하고, 제2모드중에는 제2스트레스 시간에 의해 급수를 제어하고, 제3모드중에는 스트레스 시간에 의해 급수를 제어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제9실시예의 주요한 제어내용, 특히 제1모드 또는 제2모드의 제어내용은 제7실시예의 내용을 채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모드중에는 급수간격 시간에 의해 급수개시를 제어하고, 제2모드중에는 스트레스 시간에 의해 급수개시를 제어하고, 제3모드중에는 무급수로 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모드중에는 제1급수간격 시간에 의해 급수개시를 제어하고, 제2모드중에는 제2급수간격 시간에 의해 급수개시를 제어하고, 제3모드중에는 무급수로 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8실시예를 채용한 경우, 제1모드중에는 제1스트레스 시간에 의해 급수개시를 제어하고, 제2모드중에는 제2스트레스 시간에 의해 급수개시를 제어하고, 제3모드중에는 무급수로 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의 급수간격 시간 또는 스트레스 시간은 임의이며, 급수가 필요한 시기에는 이러한 시간을 짧게 설정하고, 급수가 그다지 필요하지 않는 시기에는 이들 시간을 길게 설정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카렌더부의 시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7실시예 및 제8실시예를 완전한 실외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잔디의 휴면기는 시스템의 전원을 차단하므로써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제2모드 그대로 할 수도 있다. 또한, 3월 초순 등에 유지보수를 실행하고, 다시 제어수단(42)의 전원을 ON 으로 하여 절환모드를 실행상태로 하고, 잔디의 성장을 빨리 할 수도 있다. 또한 제7내지 제9실시예에 의해, 시공 직후의 잔디 뿌리내림을 빨리 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 시스템의 대상으로 하는 식물(14)은 잔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식물(14)을 대상으로 하며, 다양한 식물(14)에 대해 다양한 설정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절환모드 선택부의 비절환모드 선택시 제2모드를 실행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정에 의해 제1모드만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비절환모드의 선택시 제2모드를 실행하는 것은 시공 직후 등에서는 없는 식물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자동급수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뿌리내린 식물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또는 인위적으로 급수를 실행하고 있던 식물에 대해 본 자동급수 시스템을 사용한 경우 등은 이미 식물(14)이 토양에 충분히 적합하게 되어 있고 또한 뿌리를 내리고 있기 때문에, 제1모드를 실행할 필요가 없으며, 이러한 경우등을 가정하여 각각의 실시예를 기재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 모드의 절환을 제7실시예 및 제8실시예 등은 절환시간의 계측종료에 의해, 또한 제9실시예 등은 시기에 의해 실행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토양내에 약산성을 검출하는 감지기를 설치하고, 잔디의 뿌리내림 상태를 검출하므로써 절환해도 좋고, 절단 잔디를 적재하는 경우에 토양과 절단 잔디 사이에 압력감지기를 설치하여, 이 압력 감지기에 의해 잔디의 뿌리내림 상태를 검출하여 절환해도 좋으며, 본 발명의 감지기는 수분량감지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잔디의 뿌리내림 상태를 검출하여 절환할 수 있는 방식을 채용하므로써 보다 정확한 모드의 절환 시기를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제9실시예와 같이 무급수 또는 무수량이 적은 제3모드를 사용하는 경우는 시기에 따른 절환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급수수단으로서는 다공질 관의 급수파이프를 사용하거나, 또는 간단한 급수파이프를 사용하고 있으나, 또는 스프링쿨러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제9실시예에서 제3모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제3모드까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식물의 종류 등에 대응하여 제4 이상의 모드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절환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제어수단(42)은 전원을 ON 으로 하여 절환모드 선택부에 의해 절환 또는 비절환모드의 선택을 실행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히 절환모드 선택부에 의해 비절환모드를 선택한 경우 이외는 전원을 ON 으로 하여 자동적으로 초기설정하여 절환모드를 실행하는 구성, 또는 역으로 절환모드 선택부에 의해 절환모드를 선택한 경우 이외는 전원을 ON 으로 하여 자동적으로 초기설정으로 하여 비절환모드를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들어 초기설정으로서, 절환시간을 2주간으로 설정하고 있는 경우에, 예를 들어 상기 절환시간을「0」으로 변경설정하므로써, 비절환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구성으로 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7실시예 및 제8실시예에서는 급수가 종료되기 까지의 사이, 수분량감지기(41)의 검출에 기초하여 필요수분량의 유무판정을 실행하지 않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급수처리중이어도 수분량감지기(41)에 의한 필요수분량의 유무판정을 실행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는 예를 들어 도39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의 처리(F21-F26: G21-G24), 또는 도40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의 처리(F31-F36: G31-G34)를 급수처리중에 실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필요수분량의 유무판정 결과는 급수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구성으로 하므로써 수분량감지기(41)에 의한 필요수분량의 유무판정을 실행하는 기간에 관한 프로그램[수분량감지기(41)에 의한 필요수분량의 검출을 실행하지 않는 기간의 설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안전성이 높은 자동급수 시스템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9)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적어도 급수대상의 수분부족을 수분량감지기(a water content sensor)에 의해 검출하고, 상기 검출에 대응하여 타이머부는 수분부족의 상태에 따라 식물에 수분부족 스트레스를 제공하는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중 수분충족이 검출되지 않았을 때, 스트레스 시간의 경과후, 급수수단에 의해 수분이 공급되고,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중 수분충족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타이머부가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 시스템.
- 급수대상에 급수가능한 급수수단과, 적어도 급수개시 조건이 다른 복수종류의 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급수수단에 의한 급수실행 및 급수정지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상기 모드가 소정의 절환조건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절환되고, 상기 복수종류의 모드는 수분량감지기에 의해 수분량 검출 장소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수분부족/수분충족을 판정하고, 수분부족으로 판정한 경우에 급수를 실행시키는 제1모드와; 수분량감지기에 의한 수분량 검출 장소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수분부족/수분충족을 판정하고, 수분부족으로 판정한 경우 타이머부에 의해 식물에 수분부족상태에 따른 수분부족 스트레스를 제공하는 소정의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중 수분량감지기에 의해 급수대상의 수분상태를 계속 검출하고,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중 수분충족이 검출되지 않았을 때, 스트레스 시간의 경과후, 급수수단에 의해 급수를 실행하고,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중 수분충족이 검출되지 않았을 때, 타이머부를 초기화하는 제2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 시스템.
- 급수대상에 급수가능한 급수수단과, 적어도 급수개시 조건이 다른 복수종류의 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급수수단에 의한 급수실행 및 급수정지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상기 모드가 소정의 절환조건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절환되고,상기 복수종류의 모드는 제1모드와; 수분량감지기에 의한 수분량 검출 장소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수분부족/수분충족을 판정하고, 수분부족으로 판정한 경우 식물에 수분부족에 따른 수분부족 스트레스를 제공하는 소정의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중 수분량감지기에 의해 급수대상의 수분상태를 계속 검출하고,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중 수분충족이 검출되지 않았을 때, 스트레스 시간의 경과후, 급수수단에 의해 급수를 실행하고, 스트레스 시간의 계측중 수분충족이 검출되지 않았을 때, 타이머부를 초기화하는 제2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모드의 스트레스 시간의 길이는 제1모드의 시간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 시스템.
-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분량감지기에 의한 적어도 급수대상의 수분부족의 검출이 스트레스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 시스템.
-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수분량감지기가 급수대상의 필요한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급수대상의 수분부족은 수분부족을 검출하는 수분량감지기의 갯수가 설정된 갯수와 같거나 이를 초과한다는 것에 따라 판정되며, 급수대상의 수분충분은 수분부족을 검출하는 수분량감지기의 갯수가 설정된 갯수와 같거나 이보다 적다는 것에 따라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 시스템.
-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는 설정된 절환시간 동안 실행되고, 절환시간 경과후 제2모드로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 시스템.
-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들은 수분을 공급하지 않는 무급수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 시스템.
-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설정시기를 갱신하는 카렌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환조건중 적어도 하나는 카렌더부가 갱신하는 시기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 시스템.
-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스트모드로 절환하는 테스트절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테스트모드는 스트레스 시간 보다 짧은 스트레스 시간을 계측하며, 급수개시로부터 급수정지까지의 사이클은 통상의 사이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025155A JP4783485B2 (ja) | 2000-02-02 | 2000-02-02 | 自動給水システム |
JPJP-P-2000-00025155 | 2000-02-02 | ||
JPJP-P-2000-00252225 | 2000-08-23 | ||
JP2000252225A JP4903931B2 (ja) | 2000-08-23 | 2000-08-23 | 自動給水システ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72242A KR20020072242A (ko) | 2002-09-14 |
KR100676998B1 true KR100676998B1 (ko) | 2007-01-31 |
Family
ID=26584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7010028A KR100676998B1 (ko) | 2000-02-02 | 2001-01-25 | 자동급수 시스템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805147B2 (ko) |
EP (1) | EP1252816A4 (ko) |
KR (1) | KR100676998B1 (ko) |
WO (1) | WO200105636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97113B2 (en) * | 2004-01-20 | 2006-08-29 | Norman Ivans | Irrigation unit including a power generator |
GB0601391D0 (en) * | 2006-01-24 | 2006-03-01 | Mckenna Malachi C | Sump Action Plant Waterer |
KR20080095572A (ko) * | 2007-04-25 | 2008-10-29 |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 화분의 급수시스템 및 급수제어방법 |
JP2009081177A (ja) * | 2007-09-25 | 2009-04-16 | Nec Electronics Corp |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半導体チップ及び半導体装置 |
US20160366843A1 (en) * | 2008-05-06 | 2016-12-22 | George Evans | Liquid irrigation system |
WO2010017577A1 (en) * | 2008-08-09 | 2010-02-18 | Senviro Pty Ltd | Water management system |
US8191307B2 (en) * | 2009-10-21 | 2012-06-05 | Rain Bird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harvested water irrigation |
US8539369B2 (en) | 2010-01-06 | 2013-09-17 | La Crosse Technology, Ltd. | Central monitoring and measurement system |
US9202252B1 (en) | 2010-03-31 | 2015-12-01 | SWIIM System, Ltd. | System and method for conserving water and optimizing land and water use |
JP6290873B2 (ja) * | 2012-06-04 | 2018-03-07 | ソウル バイオ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ul Viosys Co.,Ltd. | 野菜および果物のホルメシス誘導装置 |
SI2953446T1 (sl) * | 2013-02-08 | 2021-12-31 | Rockwool International A/S | Naprava in metoda za merjenje pogojev za rast rastline |
US9593874B2 (en) * | 2013-02-15 | 2017-03-14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Ice mold for bottleneck |
US10206343B2 (en) * | 2015-10-27 | 2019-02-19 | Ewersmith Enterprises, Llc | Nutrient delivery system |
GB201612456D0 (en) * | 2016-07-15 | 2016-08-31 | Mcnestry Martin | Plant watering system and method of watering plants |
NL2023598B1 (en) * | 2019-08-01 | 2021-02-23 | Connected Tech B V | A method of providing an optimal watering cycle of a plant |
KR20210057626A (ko) * | 2019-11-12 | 2021-05-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물 재배장치 및 그의 급수 방법 |
US11422524B2 (en) | 2019-12-09 | 2022-08-23 | Katerina LUNG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lant maintenance and communication alerts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27630B2 (ja) * | 1978-07-26 | 1984-07-06 | 松下電工株式会社 | 自動散水装置 |
JPS5927630A (ja) | 1982-07-07 | 1984-02-14 | エヌ・ベ−・フイリツプス・フル−イランペンフアブリケン | チユ−ナ |
JPS6182216A (ja) * | 1984-09-29 | 1986-04-25 | Naohiko Akatsuka | 自動給水装置 |
JPS6174359U (ko) | 1984-10-24 | 1986-05-20 | ||
US4755942A (en) * | 1985-05-17 | 1988-07-05 | The Standard Oil Company | System for indicating water stress in crops which inhibits data collection if solar insolation exceeds a range from an initial measured value |
JPS6216257U (ko) | 1985-07-16 | 1987-01-30 | ||
JPH0217054U (ko) | 1988-07-20 | 1990-02-02 | ||
US5621669A (en) * | 1990-07-27 | 1997-04-15 | Bjornsson; Eyjolf S. | Moisture sensor probe and control mechanism |
JPH053731A (ja) * | 1991-06-26 | 1993-01-14 | Kitz Corp | 水耕栽培等の給液方法 |
JPH054862U (ja) | 1991-07-15 | 1993-01-26 | エムシージヤパン株式会社 | 植物への自動給水装置 |
AU1700495A (en) * | 1994-02-17 | 1995-09-04 | Waterlink Systems, Inc. | Evapotranspiration forecasting irrigation control system |
JPH0965776A (ja) | 1995-08-31 | 1997-03-11 | Nagano Kogyo Kk | 水田灌水システム |
DE29619766U1 (de) * | 1996-11-13 | 1997-02-20 | Kilger, Erich, 82110 Germering | Pflanzengießanlage |
JP3872166B2 (ja) | 1997-05-15 | 2007-01-24 |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 芝生の育成方法及び芝生育成用ユニット |
JPH1132600A (ja) * | 1997-07-17 | 1999-02-09 | Yazaki Corp | 土壌色管理灌水システム |
US6145755A (en) * | 1999-07-23 | 2000-11-14 | Feltz; Louis V. | Supplemental irrigation programmer |
US6402048B1 (en) * | 2000-01-26 | 2002-06-11 | Galen Collins | Accurate horticultural sprinkler system and sprinkler head |
-
2001
- 2001-01-25 KR KR1020027010028A patent/KR10067699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1-25 EP EP01948916A patent/EP1252816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1-01-25 US US10/169,761 patent/US680514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1-25 WO PCT/JP2001/000478 patent/WO200105636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252816A1 (en) | 2002-10-30 |
WO2001056367A8 (fr) | 2002-07-18 |
US20030000573A1 (en) | 2003-01-02 |
WO2001056367A1 (fr) | 2001-08-09 |
US6805147B2 (en) | 2004-10-19 |
EP1252816A4 (en) | 2005-09-21 |
KR20020072242A (ko) | 2002-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6998B1 (ko) | 자동급수 시스템 | |
US11026372B2 (en) | Plant growth system | |
CN103766198B (zh) | 灌溉控制系统 | |
US11039584B2 (en) | Plant growth control system | |
CN204350778U (zh) | 一种多模式自动浇花装置 | |
US11006590B2 (en) | Moisture monitoring system with internet of things devices | |
CN103518590B (zh) | 一种基于作物需水量测量的自动灌溉控制方法及控制系统 | |
KR20190013073A (ko) | 일체형 스마트 작물 관리 모듈 | |
KR100864475B1 (ko) | 순환식 수경재배용 배액 전극법 관수시스템 및 그수경재배방법 | |
CN104381044A (zh) | 一种自动翻土智能花盆 | |
JP2006345761A (ja) | 土壌への灌水方法及び灌水装置 | |
CN108293857A (zh) | 一种智能花卉养殖养护系统 | |
Okoye et al. | Using arduino based automatic irrigation system to determine irrigation time for different soil types in nigeria | |
JP4783485B2 (ja) | 自動給水システム | |
CN206978289U (zh) | 一种基于Arduino的智能浇花系统 | |
JP6110984B1 (ja) | 潅水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 |
JP2548975Y2 (ja) | 種苗用自動灌水装置 | |
JP4903931B2 (ja) | 自動給水システム | |
JP4959888B2 (ja) | 自動給水システム | |
CN206963563U (zh) | 多路自动浇花系统 | |
CN204733708U (zh) | 一种苗木培植基地自动控制灌溉系统 | |
JPH0529019Y2 (ko) | ||
Flynn | Crop water data leads to smarter irrigation | |
Parkes et al. | Irrigation scheduling measurements and predictions in Shaanxi, North-West China | |
ITPN960008A1 (it) | Contenitore per coltivazioni di vario gene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