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319B1 - 화상형성기기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기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319B1
KR100676319B1 KR1020050004173A KR20050004173A KR100676319B1 KR 100676319 B1 KR100676319 B1 KR 100676319B1 KR 1020050004173 A KR1020050004173 A KR 1020050004173A KR 20050004173 A KR20050004173 A KR 20050004173A KR 100676319 B1 KR100676319 B1 KR 100676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ray body
cover
printed object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141A (ko
Inventor
여상철
Original Assignee
뷰티플라워닷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뷰티플라워닷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뷰티플라워닷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4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31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41J11/005Guides in the printing zone, e.g. guides for preventing contact of conveyed sheets with print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4Aprons or guides for the print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22Supply arrangements for webs of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17/26Webs supplied from trays or like supports attached to the machine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인쇄위치로 공급될 피인쇄물이 놓이는 트레이본체와; 트레이본체에 놓이는 피인쇄물을 덮도록 트레이본체에 결합되는 커버와; 트레이 본체에 놓인 피인쇄물을 정렬시킨 상태로,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가이드부재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공급, 급지, 리본, 인쇄, 가이드

Description

화상형성기기의 피인쇄물 공급장치{A printing media suppling apparatus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급지장치 30..트레이본체
33..커버 40..가이드수단
41..가이드부재 43..가이드바
43a,43b..이동방지턱 50..장금수단
51..너트부재 55..볼트부재
60,70..미끄럼 방지수단 61,71..금속볼
62..자석 63,75..보호커버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폭의 피인쇄물을 공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빔 프린터, 복사기, 잉크젯 프린터 등과 같은 화상형성 장치는 인쇄기 본체의 어느 금속볼 인쇄될 피인쇄물, 예컨대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금속볼 구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를 분사시켜서 용지(P)의 일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트헤드를 갖는 잉크 카트리지(1)를 구비한다. 상기 잉크 카트리지(1)는 가이드샤프트를 따라 좌, 우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캐리어(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잉크카트리지(1)는 캐리어(2)에 의해 왕복 이동되면서, 급지트레이(3)로부터 공급되는 용지(P)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상기 급지트레이(3)에 놓여진 하나 이상의 용지(P)는 피딩롤러(5)의 구동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1)의 하측을 통과하도록 이동된다. 상기 피딩롤러(5)는 백업롤러(10)와 접촉된 상태로 미도시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피딩롤러(5)와 백업롤러(10) 사이로 진입된 용지(P)가 피딩롤러(5)의 회전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동되면서 일면에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P)는 배출롤러(8)에 의해 미도시된 배지 트레이로 배출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지트레이(3)는, 예를 들어, A4용지와 같이 소정 규격용지에 적합하도록 그 좌우 폭이 미리 결정되어 출시된다.
따라서, A4용지 이외의 규격용지나, 비규격용지 등에 인쇄할 경우에는 급지트레이(3)의 어느 한 쪽에 치우치게 놓은 후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통상의 용지와는 달리 비교적 길이가 길고, 두께가 두꺼운 피인쇄물, 예를 들어 화분이나, 화환 등에 쓰이는 리본에 소정 글씨, 로고 및 문양 등을 인쇄할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리본의 경우에는 그 사용상의 특성상, 길이가 길고, 폭이 좁다. 따라서, 리본을 상기와 같이 A4용지에 규격화된 급지트레이에 놓고 공급할 경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놓더라도 공급되면서 비뚤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리본에 화상을 인쇄할 경우의 특성상, 리본을 공급방향으로 진행시키면서 인쇄하다가, 반대방향으로 소정 거리 다시 이동시킨 다음 다시 인쇄하는 과정을 갖게 된다. 이 경우, 길이가 길고, 두꺼운 리본이 급지트레이에서 그냥 미끄러짐으로서, 원하지 않는 위치에 인쇄가 이루어지는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리본에 인쇄를 할 경우, 리본의 사행이나 미끄러짐 등으로 인하여 많은 인쇄 불량품이 발생되기 때문에, 생산적인 측면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피인쇄 물을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는, 인쇄위치로 공급될 피인쇄물이 놓이는 트레이본체와; 상기 트레이본체에 놓이는 피인쇄물을 덮도록 상기 트레이본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트레이 본체에 놓인 피인쇄물을 정렬시킨 상태로,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트레이 본체에 상기 피인쇄물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트레이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사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너트부재 및 볼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본체에는 상기 너트부재 및 볼트부재가 체결된 상태로 이동시 간섭되지 않게 가이드하는 장공이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선을 가지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측에 위치되는 회전손잡이;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잠금수단이 지지되며, 상기 트레이본체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커버에 덮인 상태로 상기 피인쇄물을 접촉하여 정렬 및 가이드하는 가이 드바;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트레이본체에는 상기 가이드몸체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몸체의 하측에는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리브가 돌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커버와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의 틈으로 상기 피인쇄물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방지턱이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이동방지턱은 한 쌍이 마련되며, 그 각각은 상기 커버의 양단 각각에 접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단부 쪽에 각각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커버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커버와 상기 트레이본체 사이에 놓인 피인쇄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수단은, 상기 피인쇄물과 상기 트레이본체 사이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인쇄물에 접촉 가능한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트레이본체 쪽으로 밀착되게 상기 가동부재에 힘을 제공하여 상기 피인쇄물에 소정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가이드수단의 이동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구름운동 가능한 금속볼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복수의 금속볼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수용홀이 상기 가이드수단의 이동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트레이본체의 배면에 상기 금속볼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트레이본체의 배면에는 상기 자석을 수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리브가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금속볼을 상기 트레이본체 쪽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금속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이탈방지용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커버와 상기 보호커버 각각에는 서로 로킹결합되는 로킹돌기와 로킹홈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상기 가동부재가 움직임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수용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가동부재를 덮도록 상기 커버의 외측에 결합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와 상기 커버 각각에는 서로 로킹결합 및 분리되는 로킹돌기와 로킹홈이 서로 대응되게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이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트레이본체 사이로 이동시,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트레이본체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와 상기 보호 커버 사이에는 소정갭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피인쇄물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리본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는, 인쇄위치로 공급될 피인쇄물이 놓이는 트레이본체와; 상기 트레이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피인쇄물의 정렬시키고,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트레이본체에 상기 피인쇄물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트레이본체에 대해 밀착시키도록 서로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와 볼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본체에는 상기 너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공이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트레이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인쇄물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피인쇄물이 상기 트레이본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수단은, 상기 트레이본체의 상부에 구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피인쇄물 쪽으로 가압하여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커버에 형성된 수용홀에 수용되는 금속볼을 포 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트레이본체의 배면에 설치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커버에 형성된 수용홀에 수용되는 금속볼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커버의 외측에 설치되는 보호커버에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20)는 트레이본체(30)와, 트레이본체(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33)와, 상기 트레이본체(30)에 놓이는 피인쇄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가이드수단을 고정시키는 잠금수단(50) 및 미끄럼 방지수단(6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피인쇄물로서는 폭이 비교적 좁고 길이가 긴 리본(R)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트레이본체(30)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잉크젯 프린터에 트레이(3)를 대신하여 교체 가능한 것으로서, 복사기나, 레이저 프린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도 선택적으로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본체(30)는 상면에 상기 리본(R)이 놓이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 베이스판(31)과, 상기 베이스판(31)의 양 테두리에 소정 두께로 마련된 측벽들(32)을 가진다. 상기 측벽들(32) 사이의 거리에 의해 피인쇄물의 폭의 한계가 결정된다. 상기 베이스판(31)와 측벽들(32)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판(31)에는 상기 가이드수단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슬릿(31a)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가이드슬릿(31a)은 리본(R)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판(31)에는 상기 잠금수단(5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장공(31b)이 형성된다. 이 장공(31b)은 가이드슬릿(31a) 보다는 큰 폭을 가짐으로서, 상기 잠금수단(50)과 베이스판(31)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공(31b)은 두 가이드슬릿(31a)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커버(33)는 상기 베이스판(31)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측벽들(32)에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 커버(33)는 트레이본체(30)에 정렬된 리본(R)의 상태를 사용자의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버(33)는 본드와 같은 접착제에 의해 트레이본체(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커버(33)는 미도시된 나사나 후크부재 등을 포함하는 결합수단에 의해 트레이본체(3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33)에는 급지장치(20)의 사용시 주의사항이나, 안내문구 등이 인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트레이본체(30)의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슬릿(31a)을 따라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40)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재(40)는 외부로 노출되게 트레이본체(30)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몸체(41)와, 가이드몸체(4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버(33)와 트레이본체(30) 사이에 개재되는 가이드바(43)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몸체(41)는 대략 사각형의 플레이트형상을 가진다. 이 가이드몸 체(4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슬릿(31a)에 삽입되는 복수의 가이드리브(41a)를 가진다. 이 가이드리브(41a)는 대략 가이드슬릿(31a)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슬라이딩 방향으로는 소정 길이를 가진다.
또한, 가이드몸체(41)는 가이드바(43)보다는 큰 폭을 가짐으로서, 가이드바(43)에 의해 정렬되어 이동 가이드되는 리본(R)은 일부분이 상기 가이드몸체(41)의 위쪽을 덮은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리본(R)이 가이드부재(40)와 트레이본체(30) 사이의 틈으로 끼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43)는 가이드몸체(41)와 일체로 형성되며, 커버(33)와 트레이본체(30)의 사이에서 실질적인 리본(R)의 정렬 및 가이드기능을 하게 된다. 이 가이드바(43)의 양단부 각각에는 제1 및 제2이동방지턱(43a,43b)이 커버(33)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이동방지턱(43a,43b)은 리본(R)이 가이드부재(40)와 커버(33) 사이의 틈으로 끼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이동방지턱(43a,43b)은 커버(33)의 상면보다는 높거나 같게 돌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이동방지턱(43a,43b)은 가이드부재(40)의 이동시 커버(33)의 양단을 따라 이동을 안내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커버(33)의 양단에 접촉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이드부재(40)는 공급될 리본(R)의 폭에 따라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소정 폭의 리본(R)을 정렬시키고 안내하는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어야 한다.
상기 잠금수단(50)은 가이드부재(40)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거나, 이동 가능한 상태로 해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잠금수단(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본체(30)와 가이드부재(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51)와, 볼트부재(55)를 구비한다, 너트부재(51)는 트레이본체(30)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볼트부재(55)는 손잡이부재(56)의 하단에 너트부재(51)의 나사공에 결합되는 나사부(53)가 연결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볼트부재(55)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몸체(4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이드몸체(41)에는 나사부(53)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부재(51)는 장공(31b)의 주위에 형성된 돌출리브들(31d) 사이에 개재되어 이동가능하며, 돌출리브들(31d)에 의해 그 회전이 억제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부재(55)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서, 너트부재(51)와의 체결력이 강화되거나 느슨해짐으로서, 가이드부재(40)의 잠금 및 해제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너트부재(51)와 볼트부재(55)가 연결된 상태에서도, 가이드슬릿(31a)과 나란하게 형성된 장공(31b)을 따라서 잠금수단(50)이 안내되므로, 가이드부재(40)의 왕복이동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미끄럼 방지수단(60)은 트레이본체(30)에 놓인 리본(R)이 의도하지 않은 방향 및 거리만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수단(60)은 트레이본체(30)의 상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 바람직하게는 금속볼(61)과, 금속볼(61)을 트레이본체(30) 쪽으로 가압되게 힘을 제공하는 밀착부재(62)를 구비한다.
상기 금속볼(61)과 트레이본체(30) 사이로 리본(R)이 통과하며, 리본(R)은 금속볼(61)에 눌려서 마찰력을 받게 됨으로서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미끄러지지 않 게 된다. 상기 금속볼(6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부재(40)의 이동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 상기 커버(33)에는 금속볼(61)이 구름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홀(33a)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밀착부재(62)는 일 실시예로서, 트레이본체(30)의 배면에 금속볼(61) 각각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 자석(62)은 금속볼(61)을 끌어당기는 자기력을 제공함으로서, 금속볼(61)이 리본(R)에 밀착되도록 한다. 트레이본체(30)의 배면에는 상기 자석(62)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리브(35)가 형성된다. 이 지지리브(35)는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서, 그 개방된 쪽을 통해 자석(62)을 끼워 넣거나 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홀(33a)에 수용된 금속볼(6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커버(63)가 더 마련된다. 이 보호커버(63)는 커버(33)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커버(33)에는 로킹돌기(65)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보호커버(63)에는 로킹돌기(65)에 대응되는 로킹홈(63a)이 형성된다. 즉, 상기 로킹홈(63a)에 로킹돌기(65)가 삽입되도록 보호커버(63)를 커버(33) 상부에 놓은 상태에서, 보호커버(63)를 일측으로 소정 거리 밀게 되면, 로킹홈(63a)의 절개부에 로킹돌기(65)가 억지 끼워져 결합된다.
물론, 상기 로킹돌기(65)와 로킹홈(63a)은 서로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또한, 커버(33)에 슬라이딩용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커버(63)를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보호커버(6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는 금속볼(61)에 대응되는 돔형상을 가지며, 테두리는 커버(33)에 밀착되는 플레이트형상을 가진다.
또한, 보호커버(63)는 금속볼(61)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금속볼(61)과 소정갭(G)을 갖는 높이를 가진다. 상기 갭(G)은 가이드부재(40)의 가이드바(43)의 두께(T)보다 큰 것이 좋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40)를 이동시킬 때, 금속볼(61)이 소정 높이 들림으로써, 가이드부재(40)가 금속볼(61)의 하측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금속볼(61)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수단(70)이 개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수단(70)으로는 가동부재로서의 금속볼(71)과, 밀착부재(73)를 구비한다. 상기 금속볼(71)은 앞서 설명한 금속볼(61)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진다.
상기 밀착부재(73)는 금속볼(71)을 리본(R) 쪽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73)인 것이 좋으면,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압용 코일스프링인 것이 좋다. 이 탄성부재(73)는 커버(33)의 상부에 결합되는 보호커버(75)의 내측에 지지된다. 상기 보호커버(75)는 탄성부재(73)를 지지하는 기능이외에도, 상기 보호커버(63)와 마찬가지로 금속볼(71)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물론, 이 보호커버(75)도 미도시된 로킹돌기 및 로킹홈을 포함하는 로킹수단에 의해 커버(3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에 따르면, 이동가능한 가이드부재를 트레이본체에 설치함으로서, 다양한 폭을 가지는 피인쇄물 각각에 대응하여 안정된 정렬 및 가이드를 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리본과 같이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피인쇄물의 경우에는 가이드부재에 의해 일측으로 밀착되어 정렬된 상태로 가이드됨으로서, 공급시 사행이 발생하지 않아 인쇄에러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잠금수단에 의해 가이드부재를 견고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에도 가이드부재가 위치가 이동되지 않으면서 리본을 안정되게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수단으로서, 금속볼과 밀착부재를 구비함으로서, 리본이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리본의 미끄러짐에 의한 인쇄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리본에 인쇄를 할 경우, 안정되게 정렬 및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인쇄불량률을 낮출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0)

  1. 인쇄위치로 공급될 피인쇄물이 놓이는 트레이본체와;
    상기 트레이본체에 놓이는 피인쇄물을 덮도록 상기 트레이본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트레이 본체에 상기 피인쇄물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 본체에 놓인 피인쇄물을 정렬시킨 상태로,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잠금수단이 지지되며, 상기 트레이본체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상기 커버에 덮인 상태로 상기 피인쇄물에 접촉하여 상기 피인쇄물을 정렬 및 가이드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트레이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사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너트부재 및 볼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본체에는 상기 너트부재 및 볼트부재가 체결된 상태로 이동시 간섭되지 않게 가이드하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너트부재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선을 가지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측에 위치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커버와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의 틈으로 상기 피인쇄물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방지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트레이본체 사이에 놓인 피인쇄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수단은,
    상기 피인쇄물과 상기 트레이본체 사이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인쇄물에 접촉 가능한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트레이본체 쪽으로 밀착되게 상기 가동부재에 힘을 제공하여 상기 피인쇄물에 소정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가이드수단의 이동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구름운동 가능한 금속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복수의 금속볼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수용홀이 상기 가이드수단의 이동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트레이본체의 배면에 상기 금속볼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본체의 배면에는 상기 자석을 수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물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리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KR1020050004173A 2005-01-17 2005-01-17 화상형성기기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KR100676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173A KR100676319B1 (ko) 2005-01-17 2005-01-17 화상형성기기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173A KR100676319B1 (ko) 2005-01-17 2005-01-17 화상형성기기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377U Division KR200380115Y1 (ko) 2005-01-17 2005-01-17 화상형성기기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141A KR20060084141A (ko) 2006-07-24
KR100676319B1 true KR100676319B1 (ko) 2007-02-01

Family

ID=3717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173A KR100676319B1 (ko) 2005-01-17 2005-01-17 화상형성기기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3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510B1 (ko) * 2006-10-23 2013-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정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기기
KR101305040B1 (ko) * 2012-01-27 2013-09-06 김진국 리본 인쇄용 프린터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141A (ko) 200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556B2 (en) Inkjet carriage unit,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091445A (ja) 給紙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US84693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otatable sheet feed unit
US6896363B2 (en) Discharge device of medium and liquid emitting apparatus having the discharge device
US85737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recording head for ejecting liquid droplets
US7988268B2 (en) Ink tube non-contact image forming apparatus
US88882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09738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76319B1 (ko) 화상형성기기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EP3562679B1 (en) Printhead tangent adjustment mechanism
KR100395539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헤드 위치조절 장치
US4468143A (en) Device for the mounting of a printing head and for the mounting and guidance of an ink ribbon for a printer
KR200380115Y1 (ko) 화상형성기기의 피인쇄물 공급장치
JPH07112853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給紙・排紙装置
JPH11322141A (ja) 画像形成装置のロール記録媒体
JPH05208744A (ja) 給紙装置
JP2013063526A (ja) 画像形成装置
JP4725332B2 (ja) 記録ヘッド位置決め構造及び記録装置
EP0666181A1 (en) Ribbon cassette from which a supply reel or a take-up reel can be pulled out, and a thermal transfer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ribbon cassette
JP5605116B2 (ja) 記録装置
JP3741203B2 (ja) モータ位置決め装置
KR100395534B1 (ko) 프린터의 용지폭 조절가이드 장치
JP3061571B2 (ja) 給紙カセット
JP2006198936A (ja) ベルト駆動装置
KR100360024B1 (ko) 용지카세트 위치결정장치를 갖는 사무자동화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