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162B1 - 보일러 - Google Patents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162B1
KR100676162B1 KR1020000055078A KR20000055078A KR100676162B1 KR 100676162 B1 KR100676162 B1 KR 100676162B1 KR 1020000055078 A KR1020000055078 A KR 1020000055078A KR 20000055078 A KR20000055078 A KR 20000055078A KR 100676162 B1 KR100676162 B1 KR 100676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line
raw water
sof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440A (ko
Inventor
카야하라토시히로
카와카미아키노리
와카애코이치
Original Assignee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0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연수기의 설치공간을 감축시켜 주기 위한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통체(3)와 연수기(5)를 근접한 상태로 일체로 배치하고, 상기 통체(3) 및 상기 연수기(5)를 베드(1)상에 배치한다. 원수탱크(9)로부터 상기 통체(3)에 이르는 급수라인(14)에 상기 연수기(5) 및 급수수단(13)을 마련하고, 상기 연수기(5)는 염수탱크(8) 및 수지통(7)을 구비하고, 상기 염수탱크(8)로부터 상기 수지통(7)으로 염수를 유하(流下)시켜 재생처리를 하는 것이다. 상방으로부터 상기 원수탱크(9), 상기 염수탱크(8), 상기 수지통(7)의 순서로 배치한다. 외장체(20)에서의 상기 염수탱크(8)의 상방이 되는 위치에 소금투입구(24)를 마련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 연수기, 베드, 통체, 원수탱크, 염수탱크

Description

보일러{Boil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우측면도로서, 우측외장체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에 마련된 연수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드 3 : 통체
5 :연수기 7 : 수지통
8 : 염수탱크 9 : 원수탱크
13 : 급수수단 14 : 급수라인
18 : 제1베드 19 : 제2베드
20 : 외장체 24 : 소금투입구
본 발명은 연수기(軟水器)를 일체구성시킨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보일러에는 통체내벽면에 물때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수기가 접속되어 있다. 이 연수기는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원수 중에 포함되는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 등의 경도분(硬度分)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상기 연수기는, 상기 보일러와는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수기에는 상기 연수기의 설치공간이, 상기 보일러에는 상기 보일러의 설치공간이 각각 필요하게 된다. 또한, 설치현장에서 상기 연수기와 상기 보일러의 사이는 급수관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그 시공공사가 필요하다.
또한, 수돗물은 상기 연수기와 직접 연결하는 것이 금지되어있기 때문에, 수돗물을 한번 원수탱크에 모으고, 그것을 가압탱크로 연수기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수기의 하류측에는 연수탱크, 급수펌프, 통체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고, 연수는 상기 연수탱크에 한번 모으고, 상기 급수보일러로 상기 통체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기기의 시공공사에 다대한 시간을 요함과 함께, 상기 연수기를 내압성이 높은 것으로 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수기의 설치공간을 감축시켜 주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통체 및 연수기를 베드상에 배치하고, 상기 통체 및 상기 연수기를 둘러싸는 외장체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제 1베드 및 제 2베드를 밀접한 상태로 상기 베드를 구성하고, 상기 제 1베드에 상기 통체를 마련하고, 상기 제 2베드에 상기 연수기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원수탱크로부터 상기 통체에 이르는 급수라인에 상기 연수기 및 급수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연수기를 상기 급수수단의 상류측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연수기가 염수탱크 및 수지통을 구비하고,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상기 수지통으로 염수를 유하(流下)시켜서 재생처리를 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한 6에 기재된 발명은, 상방으로부터 상기 원수탱크, 상기 염수탱크, 상기 수지통의 순서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염수탱크(8)의 상방이 되는 위치의 외장치(20)에 소금투입구(24)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는 통체 및 연수기를 근접한 상태로 일체로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통체가 베드상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연수기도 상기 베트상에 배치하면, 양자를 보다 콤팩트하게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드는, 상기 통체로서 제 1베드를 마련하고, 상기 연수기용으로서 제 2베드를 마련하며, 이들의 제 1, 제 2베드를 밀접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연수기는,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체의 상방에 배치된다. 상기 통체의 전방에는 제어용 전기회로 등의 부속기기를 배치하는 공간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공간을 상기 연수기의 설치공간으로서 이용한다.
또한, 상기 보일러는 원수보일러를 구비하고 있고, 이 원수탱크로부터 상기 통체에 이르는 급수라인에 상기 연수기와 급수펌프 등의 급수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수기 및 상기 급수수단을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연수기, 상기 급수수단의 순서로 배치하면, 상기 연수기는 상기 급수수단의 흡입측에 설치됨과 함께, 압력으로서 상기 원수탱크의 수두차(水頭差)에 의한 압력만이 작용하기 때문에 내압성이 낮은 것으로 만들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연수기는 수지통 및 염수탱크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수지통 내에는 이온교환수지가 수용되며, 한편 상기 염수탱크 내에는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기 위한 염수가 모아져 있다. 또한, 상기 연수기는 바람직하 게는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상기 수지통으로 수두체에 의해 염수를 유하시켜 재생처리를 하는 것을 이용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염수의 공급수단을 특별히 마련할 필요가 없음과 함께, 상기 연수기전체의 구성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수탱크, 상기 염수탱크 및 상기 수지통은, 상하방향에서 상방으로부터 원수탱크, 상기 염수탱크, 상기 수지통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들의 각 기기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게 되며, 전체를 보다 슬림하고 설치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수탱크는 상기 염수탱크의 측방으로 병렬상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그 외에, 상기 통체 및 상기 연수기를 둘러싸도록 케이싱 등의 외장체를 마련한 경우는, 이 외장체의 상기 염수탱크의 상방이 되는 위치에 소금투입구가 마련되며, 이 소금투입구을 통하여, 염수를 생성하기 위한 소금을 상기 염수탱크 내로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소금투입구는 통상은 개폐두껑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소금을 투입할 때에 열도록 되어 있다. 투입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소금투입구는 상기 외장체의 전방측 외장체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장체는 반드시 상기 통체 및 상기 연수기를 둘러싸는 전후좌후의 전체면에 마련할 필요는 없고, 적어도 일면에 마련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연수기를 상기 통체와 일체로 배치하여 그 설치공간을 감축시켜줄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와 바꿔넣을 때에도, 설치공간을 크게 할 필요가 없고, 용이하게 교체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수기는 미리 상기 통체에 배관으로 접속한 구성으로 출하할 수 있으며, 설치현장에서의 시공공사의 수고를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그 외에, 상기 구성에 따르면,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의 가압펌프와 연수탱크가 불필요하게 되며, 간단하고 콤팩트한 구성이 되며, 설치현장에 있어서의 시공공사의 수고를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도 1은 우측면설명도이며, 도 2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는 베드(1)상의 거의 중앙부에 가대(2)를 통하여 통체(3)가 마련되며, 이 통체(3)의 상부에 버너(4)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드(1)상의 전방부에는 연수기(5)가 지지부재(6)를 통하여 마련되어 있고, 상기 통체(3)와 상기 연수기(5)가 상기 베드(1)상에 일체로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통체(3)와 상기 연수기는 근접한 상태에 배치되어 있으며, 보일러의 설치공간을 감축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연수기(5)는 수지통(7) 및 염수탱크(8)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통(7)내에는 이온교환수지가 수용되어 있으며, 한편 상기 염수탱크(8) 내에는 상기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기 위한 염수가 모아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연수기(5)는 수두차에 의해 상기 염수탱크(8)로부터 상기 수지통(7)에 염수를 유하시켜 재생처리를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수기(5)의 상방에는 원수탱크(9)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원수탱크(9), 상기 염수탱크(8) 및 상기 수지통(7)은 상하방향에서 상방으로 상기 원수탱크(9), 상기 염수탱크(8), 상기 수지통(7)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원수탱크(9)와 상기 수지통(7)의 상부는, 원수라인(10)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염수탱크(8)와 상기 원수라인(10)의 중간은 염수유하라인(11)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지통(7)의 하부와 상기 통체(3)는 연수라인(12)로 접속되어 있다. 이 연수라인(12)에는 급수펌프 등의 급수수단(13)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원수라인(10) 및 상기 연수라인(12)에 의해, 상기 원수탱크(9)로부터 상기 통체(3)에 이르는 급수라인(14)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수라인(12)에는 상기 급수수단(13)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제 1체크밸브(15) 및 제 2체크밸브(16)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수라인(12)의 일부, 상기 염수유하라인(11) 및 상기 원수라인(1)은 예를 들어 수지로 성형된 한 개의 용기 내에 칸막이를 마련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고, 유로구성체(17)(점선으로 도시)로서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유로구성체(17)는 상기 수지통(6) 및 상기 염수탱크(7)와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제 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런데 이 제 2실시예에서는 상기 베드(1)를 제 1베드(18)와 제 2베드(19)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베드(18)상에는 상기 통체(3)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 2베드(19)상에는 상기 연수기(5)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1베드(18) 및 상기 제2베드(19)는 밀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베드(18) 및 상기 제 2베드(19)는 적절한 연결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연수라인(12)도 그 중간에서 적절한 연결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내는 제 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도,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런데, 이 제 3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체(3) 및 상기 연수기(5)를 둘러싸도록 상기 베드(1)의 4변을 따라서 외장체(20)를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외장체(20)는 전방측외장체(21), 우측외장체(도시생략), 좌측외장체(22) 및 후방측외장체(23)의 4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측외장체(21)에 운전스위치 등의 조작부와 액정표시화면 등의 표시부(도시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장체(20)는 상기 전방측외장체(21), 상기 우측외장체 및 상기 좌측외장체(22)의 3개의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전방측외장체(21)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측외장체(21)와 상기 통체(3)의 사이에는 상기 연수기(5)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방측외장체(21)에는 상기 염수탱크(8)의 바로 상방이 되는 위치에 소금투입구(2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소금투입구(24)에는 개폐두껑(25)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개폐두껑(25)은 그 전방면측 하단부를 중심으로 거의 수직한 상태로부터 거의 수평한 상태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염수탱크(8) 내로 염수를 생성하기 위한 소금을 보충할 때에는 상기 개폐두껑(25)을 열고, 상기 소금투입구(24)로부터 상기 염수탱크(8)내로 용이하게 소금을 투입할 수 있으며, 소금투입의 작업성이 뛰어나다. 도면에서 점선은 상기 개폐두껑(25)의 개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 외에, 도 6에 의거하여 상기 연수기(5) 및 상기 원수탱크(9)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원수탱크(9)에는 원수공급라인(26)이 접속되어 있고, 이 원수공급라인(26)은 수도 등으로부터 연장하여 끌어온다. 그리고 상기 원수탱크(9)내에는 보급수량을 제어하는 볼탭(ball tap)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지통(7)내에는 이온교환수지(28)가 한 쌍의 수지유출저지부재(29, 29)에 협지된 형태로 수용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염수탱크(8) 내에는 망상부재(30)의 위에 펠렛트상의 소금(31)이 다수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염수탱크(8) 내의 하반부에는 상기 이온교환수지(28)를 재생하기 위한 염수가 모아져 있다.
여기서, 상기 원수탱크(9), 상기 염수탱크(8) 및 상기 수지통(7)을 접속하는 급수배관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원수탱크(9)와 상기 수지통(7)의 상부가 제 1개폐밸브(32)가 마련된 상기 원수라인(10)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원수라인(10)에서의 상기 제 1개폐밸브(32)의 상류측에는 압력센서(3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압력센서(33)는 상기 원수(10)의 압력을 검출하여 상기 원수탱크(9) 내의 원수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다. 즉 미리 설정된 재생시각이 되었을 때, 단수 등에 의해 상기 원수탱크(9)내가 비워지면, 그것을 상기 압력센서(33)로 검출하여 상기 이온교환수지(28)의 재생처리를 하도록 제어하고, 단수 등이 해소되어 상기 원수탱크(9)내가 원수로 채워지면, 그것을 상기 압력센서(33)로 검출하여 상기 이온교환수지(28)의 재생처리를 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수지통(7)의 하부와 상기 통체(3)(도 6에서는 도시생략)가 상기 연수라인(12)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수라인(12)에 있어서의 상기 제 1체크밸브(15)의 상류측에는 제 2개폐밸브(3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수라인(10)에 있어서의 상기 제 1개폐밸브(32)의 상류측으로부터 분기시킨 바이패스라인(35)이 상기 연수라인(12)에서의 상기 제 2개폐밸브(34)와 상기 제 1체크밸브(15)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라인(35)에는 제 3개폐밸브(3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수라인(10)과 상기 바이패스라인(35)의 접속부로부터 분기시킨 부원수(副原水)라인(37)이 상기 수지통(7)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부원수라인(37)에는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4개폐밸브(38) 및 제 1오리피스(39)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염수탱크(8)에는 제 5개폐밸브(40)가 마련된 상기 염수유하라인(11)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염수유하라인(11)의 하류측단부는 상기 부원수라인(37)에서의 상기 제 4개폐밸브(38)와 상기 제 1오리피스(39)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염수유하라인(11)은 상기 부원수라인(37)을 통하여 상기 수지통(7)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원수라인(37)과 상기 염수유하라인(11)의 접속부로부터 분기시킨 보충수라인(41)이 상기 염수탱크(8)의 보충수부(4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보충수라인(41)에는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6개폐밸브(43) 및 제 2오리피스(44)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충수라인(41)의 상류측단부는 상기 부원수라인(37) 및 상기 원수라인(10)을 통하여 상기 원수탱크(9)에 접속되어 있다.
그 외에, 상기 수지통(7)의 상부에는 제 1배수라인(45)이 접속되어 있고, 이 제 1배수라인(45)에는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7개폐밸브(46) 및 제 3오리피스(47)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수라인(12)에서의 상기 제 2개폐밸브(34)의 상류측에 있어서, 제 8개폐밸브(48)가 마련된 제 2배수라인(49)을 접속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제 2배수라인(49)은 상기 연수라인(12)의 일부를 통하여 상기 수지통(7)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수탱크(9)에는 제 1오버플로우라인(50)이 마련되며, 상기 염수탱크(8)에는 제 2오버플로우라인(51)이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제 1배수라인(45) 및 상기 제 2배수라인(49)의 하류측단부는 상기 수지통(7)보다 상방에서 대기에 개방되어 있다. 이 것은 후술하는 세정공정 등에서 단수 등에 의해 상기 원수탱크(9)내가 비어 있어도 상기 수지통(7)내가 물로 채워진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수지통(7)내로 공기가 들어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 개폐밸브는 상기 염수탱크(8)와 상기 수지통(7)의 사이의 상기 각 개폐밸브는 상기 염수탱크(8)와 상기 수지통(7)의 사이의 공간에서 같은 높이로 병렬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하나의 구동수단(도시생략)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라인은 수지성형한 한 개의 용기내에 칸막이를 마련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염수탱크(8) 및 상기 수지통(7)을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5)에 있어서의 처리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수기(5)의 처리공정은 통수공정, 역세(逆洗)공정, 재생공정, 압 출공정, 세정공정 및 보충수공정의 각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원수를 연수로 만드는 처리는 상기 통수공정에서 행해지며, 미리 설정된 상기 이온교환수지(28)의 재생시기가 되면, 상기 역세공정으로부터 상기 보충수공정까지의 일련의 재생처리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역세공정으로부터 상기 보충수공정까지의 각 공정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 의거하여 시간제어된다.
먼저 상기 통수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제 1개폐밸브(32), 상기 제 2개폐밸브(34) 및 상기 제 4개폐밸브(38)가 개방상태이며, 다른 개폐밸브는 폐쇄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급수수단(13)이 가동하여 상기 원수탱크(9)내의 원수를 흡인하면, 원수는 상기 원수라인(10) 및 상기 부원수라인(37)을 지나서 상기 수지통(7)내에 유입하고, 상기 수지통(7)내를 하향으로 흐른다. 그리고, 상기 이온교환수지(28)의 작용에 의해 원수중의 마그네슘이온과 칼슘이온 등의 경도분이 제거되어 연수가 되며, 이 연수는 상기 연수라인(12)을 지나서 상기 통체(3)에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 부원수라인(37)에 상기 제 1오리피스(39)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염수유하라인(11)에서의 상기 제 5개폐밸브(40)가 고장과 먼지끼임 등에 의해 개방상태에서 닫히지 않게 되어도 상기 염수탱크(8)내의 염수가 상기 수지통(7) 및 상기 연수라인(12)을 경유하여 상기 통체(3)로 유입하는 일이 없다. 즉, 상기 제 1오리피스(39)가 유통저항이 되기 때문에, 상기 부원수라인(37)내의 원수는 수두차에 의해 상기 염수유하라인(11)을 경유하여 상기 염수탱크(8)내로 유입하고, 상기 염수라인(11)을 염수가 유하하는 일이 없다. 상기 염수탱크(8)내로 유입한 원수는 상기 제 2오버플로우라인(51)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역세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제 2개폐밸브(34), 상기 제 3개폐밸브(36) 및 상기 제 7개폐밸브(46)가 개방상태로 되며, 다른 개폐밸브는 폐쇄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원수탱크(9)내의 원수가 수두차에 의해 유하하며, 상기 원수라인(10)으로부터 상기 바이패스라인(36) 및 상기 연수라인(12)을 지나서 상기 수지통(7)내로 하부로부터 유입한다. 그리고, 원수는 상기 수지통(7)내를 상향으로 흐르며, 상기 이온교환수지(28)의 층을 풀은 상태로 하고, 상기 제 1배수라인(45)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 3개폐밸브(36)는 이하의 각 공정에서는 계속하여 개방상태로 되어 있으며, 도중에서 상기 통체(3)에 급수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 대응하기 위하여 원수를 상기 바이패스라인(35)을 경유하여 상기 통체(3)로 급수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의 각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제 3개폐밸브(36)는 개방상태로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재생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제 5개폐밸브(40) 및 상기 제 8개폐밸브(48)가 개방상태가 되며, 다른 개폐밸브는 패쇄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염수탱크(8)내의 염수는 수두차에 의해 유하하고 상기 염수유하라인(11)을 지나서 상기 수지통(7)내로 유입하고, 상기 이온교환수지(28)를 재생한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제 4개폐밸브(38) 및 상기 제 8개폐밸브(48)가 개방상태가 되며, 다른 개폐밸브는 폐쇄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원수탱크(9)내의 원수가 수두차에 의해 유하하고, 상기 원수라인(10) 및 상기 부원수라인(37)을 지나서 상기 수지통(7)내로 유입하고, 상기 수지통(7)내의 염수를 상기 이온교환수지(28)로부터 분리된 경도분과 함께 상기 제 2배수라인(49)을 통하여 외부로 압출한다. 여기서 상기 부원수라인(37)에는 상기 제 1오리피스(39)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원수는 상기 수지통(7)내를 천천히 흘러서 염수를 확실하게 압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정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제 1개폐밸브(32), 상기 제 4개폐밸브(38) 및 상기 제 8개폐밸브(48)가 개방상태가 되며, 다른 개폐밸브는 폐쇄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원수탱크(9)내의 원수가 수두차에 의해 유하하고, 상기 원수라인(10) 및 상기 부원수라인(37)으로부터 상기 수지통(7)내로 유입하고, 상기 이온교환수지(28)를 세정하여 상기 수지통(7)내에 잔류하는 염수 및 경도분을 상기 제 2배수라인(4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압출공정과 비교하면 상기 원수라인(10)으로부터도 상기 수지통(7)내로 원수가 유입하므로, 원수는 상기 수지통(7)내를 비교적 빠르게 흐른다.
그 외에, 상기 보충수공정에서는, 상기 제 1개폐밸브(32), 상기 제 4개폐밸브(38) 및 상기 제 6개폐밸브(43)가 개방상태가 되며, 다른 개폐밸브는 폐쇄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원수탱크(9)내의 원수가 수두차에 의해 유하하고, 상기 원수라인(10), 상기 부원수라인(37) 및 상기 보충수라인(41)을 지나서 상기 염수탱크(8)내의 상기 보충수부(42)에 소정량 유입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상기 이온교환수지(28)의 재생처리가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수기를 통체와 일체로 배치하여 그 설치공간을 감축시켜 줄 수 있다.

Claims (9)

  1. 통체(3) 및 연수기(軟水器)(5)를 베드(1)상에 배치하고, 상기 통체(3) 및 상기 연수기(5)를 둘러싸는 외장체(20)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베드(18)와 제 2 베드(19)를 근접한 상태로하여 상기 베드(1)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베드(18)상에 상기 통체(3)를 마련하고, 상기 제 2 베드(19)상에 상기 연수기(5)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원수탱크(9)로부터 상기 통체(3)에 이르는 급수라인(14)에 상기 연수기(5) 및 급수수단(13)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5)를 상기 급수수단(13)의 상부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5)가 염수탱크(8) 및 수지통(7)을 구비하고, 상기 염수탱크(8)로부터 상기 수지통(7)으로 염수를 유하시켜서 재생처리를 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6. 제 5항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상기 원수탱크(9), 상기 염수탱크(8), 상기 수지통(7)의 순서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탱크(8)의 상방이 되는 위치의 외장체(20)에 소금투입구(24)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8. 삭제
  9. 삭제
KR1020000055078A 1999-09-24 2000-09-20 보일러 KR100676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71079? 1999-09-24
JP27107999A JP3580191B2 (ja) 1999-09-24 1999-09-24 ボイ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440A KR20010030440A (ko) 2001-04-16
KR100676162B1 true KR100676162B1 (ko) 2007-01-31

Family

ID=1749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078A KR100676162B1 (ko) 1999-09-24 2000-09-20 보일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580191B2 (ko)
KR (1) KR100676162B1 (ko)
CN (1) CN1165717C (ko)
TW (1) TW4496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9809A (zh) * 2020-03-27 2020-07-24 山东省特种设备检验研究院潍坊分院 一种锅炉给水控制系统
CN115304126A (zh) * 2022-04-12 2022-11-08 浙江苏泊尔热水器有限公司 软水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81A (ja) * 1989-06-09 1991-01-21 Canon Inc 画素密度変換装置
JPH11104635A (ja) * 1994-11-30 1999-04-20 Miura Co Ltd 軟水器
JPH11118287A (ja) * 1997-10-16 1999-04-30 Miura Co Ltd 真空冷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81A (ja) * 1989-06-09 1991-01-21 Canon Inc 画素密度変換装置
JPH11104635A (ja) * 1994-11-30 1999-04-20 Miura Co Ltd 軟水器
JPH11118287A (ja) * 1997-10-16 1999-04-30 Miura Co Ltd 真空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440A (ko) 2001-04-16
TW449653B (en) 2001-08-11
CN1289913A (zh) 2001-04-04
CN1165717C (zh) 2004-09-08
JP3580191B2 (ja) 2004-10-20
JP2001087760A (ja) 2001-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4724B2 (ja) イオン交換装置の制御方法
JP4748425B2 (ja) 水処理機器
CN203728657U (zh) 无压力罐的反渗透净水设备
KR100676162B1 (ko) 보일러
JP2009160585A (ja) イオン交換装置
JP6221865B2 (ja) イオン交換装置
CN101535190A (zh) 水净化装置
US3126335A (en) Water softener
JP2008055392A (ja) 軟水装置
KR200446599Y1 (ko) 복층 고도 여과기
KR101096864B1 (ko) 유수분리장치
JP3800224B2 (ja) ボイラ
CN2808268Y (zh) 液体过滤器
JP4158294B2 (ja) 軟水器
CN112062314A (zh) 一种养殖场废水处理装置
KR20090076285A (ko) 복층 고도 여과기
JP2012166135A (ja) イオン交換装置
CN206337220U (zh) 一种全自动电脱盐反冲洗系统
WO2019167552A1 (ja) 薬剤供給装置
CN212548446U (zh) 一种污水处理用石英砂复合过滤装置
JP2001087758A (ja) 軟水供給装置
CN100448505C (zh) 液体过滤器
RU234775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ой воды
JP2004239605A (ja) ボイラ
CN114291944B (zh) 一种地下水库分质分流排水系统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