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084B1 -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재질로형성되는 장식물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재질로형성되는 장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084B1
KR100675084B1 KR1020050041125A KR20050041125A KR100675084B1 KR 100675084 B1 KR100675084 B1 KR 100675084B1 KR 1020050041125 A KR1020050041125 A KR 1020050041125A KR 20050041125 A KR20050041125 A KR 20050041125A KR 100675084 B1 KR100675084 B1 KR 100675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ecoration
building
concrete
stee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782A (ko
Inventor
정상택
Original Assignee
정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택 filed Critical 정상택
Priority to KR1020050041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084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장식물과 상기 장식물을 형성하는 방법과 상기 장식물을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장식물 중 대형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장식물은, (1) 외부를 향하는 제1 벽과, (2)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당접하는 제2 벽과, (3)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2 벽 사이에 배치되며 경량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중간 부재를 포함하고, (4)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2 벽은 강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강선은 상기 제2 벽 외부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식물은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공정과는 별도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건축물은 별도로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고, 본 발명에 의한 장식물은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제공되는 철재 슬리브와 철근 배근과 상기 장식물의 상기 강선을 연결하여 상기 장식물을 상기 외벽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건축물, 장식물, 외벽, 대형, 경량콘크리트

Description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장식물{Architectural Ornament with a Concrete Being Plac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도 1은 일반적인 건축물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을 제작하기 위한 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외형에 상보적인 형상이 형성된 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제1 벽을 형성하기 위한 강선이 배치된 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연결부재가 형성된 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제1 벽이 형성된 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중간 부재가 형성된 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제2 벽을 형성하기 위한 강선이 배치된 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제2 벽이 형성된 틀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이 설치되는 건축물의 외벽을 도시한 건축물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이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이 설치된 건축물의 정면도.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장식물과 상기 장식물을 형성하는 방법과 상기 장식물을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장식물 중 대형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반적인 생활 수준의 향상과 동시에 주거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건축물의 외관에 있어서 다양한 장식 등을 통해 건축물의 가치를 높이고 주거 환경을 아름답게 꾸미고자 하는 일반인들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외벽에 장식물을 설치하여 이와 같은 건축물 수요자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외부 마감 공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종래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될 수 있는 장식물은 이와 같은 외부 마감 공법의 한계에 의해 그 크기가 극히 제한되어서 건축물의 심미감은 건축물의 전체적인 구조 등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건축물의 외벽에 대형 장식물을 설치하게 되면 건축물의 심미감이 건축물의 전체적인 구조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장식물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게 되어 더욱 다양한 형태의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소위 RC조 구조물 또는 RC조 건축물의 경우 거푸집 탈영 후 면처리에 의한 마감처리가 단조로와 주거 환경이 다양하지 못하게 되었고, 공동 주택의 경우 소위 갱폼 또는 대형 거푸집 시공을 위한 리브에 의한 외부 문양을 다양화하거나 대형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는 리브가 돌출될 수 있는 정도에 한계가 있고, 나아가 대형 거푸집으로 형성할 수 있는 리브의 모양에 한계가 있어 건축물의 외벽 마감에 의한 주거 환경의 다양화 등의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 일반적으로 외부 마감 공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널리 사용되었던 미장, 페인트 도색 등은 균열 및 외부 마감 부재의 탈락 등 하자 발생이 일어나 건축물 시공자 측의 미간 손실 및 재보수로 인한 비용 발생, 안정성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대형 장식물을 제공하여 단조로운 주거환경을 더욱 다양하게 하여 수요자들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건축 공법과 건축물 외벽에 장착되는 장식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장식물은, (1) 외부를 향하는 제1 벽과, (2)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당접하는 제2 벽과, (3)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2 벽 사이에 배치되며 경량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중간 부재를 포함하고, (4)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2 벽은 강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강선은 상기 제2 벽 외부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식물은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공정과는 별도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건축물은 별도로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고, 본 발명에 의한 장식물은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제공되는 철재 슬리브와 철근 배근과 상기 장식물의 상기 강선을 연결하여 상기 장식물을 상기 외벽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건축물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외벽에 리브를 추가하는 것에 비해 장식물의 형상을 대형화할 수 있고 정교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장식물은 이와 같이 건물의 외벽과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그 중량이 가벼운 것이 유리하고,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같이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2 벽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는 경량 콘크리트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벽은 고강도 제치장 콘크리트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장식물을 제작하는 방법은, (1) 상기 장식물의 외부 형상의 적어도 일부와 상보적인 면이 형성되는 틀을 제작하는 단계와, (2) 상기 틀에 강선을 설치하는 단계와, (3) 상기 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슬리브를 설치하고 상기 강선과 연결하는 단계와, (4) 상기 장식물의 외부를 향하는 면을 형성하는 제1 벽을 콘크 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는 단계와, (5) 상기 제1 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에 비해 가벼운 경량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중간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6) 물끊기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7) 상기 장식물이 설치되는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당접하는 제2 벽을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는 고강도 제치장 콘크리트로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는 칼라 안료가 배합된 콘크리트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장식물의 외부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1 벽을 착색된 콘크리트로 구성할 수 있어 본 발명에 의한 장식물에 의한 미감 형성을 더욱 고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장식물을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하는 방법은, (1) 상기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골조 공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상기 외벽에 철재 슬리브를 설치하는 단계와, (2) 상기 장식물의 상기 외벽에 당접하는 면 외측으로 연장하는 강선을 상기 철재 슬리브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건축물의 외벽과 별도로 상기 장식물을 별도의 틀에서 제작하고, 장식물의 제2 벽을 구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면 상기 건축물의 상기 장식물을 설치할 외벽에 상기 틀을 세워 상기 제2 벽과 상기 건축물의 상기 외벽이 당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장식물의 상기 외벽에 당접하는 면 측으로 연장하는 강선을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형성된 철재 슬리브와 연결하여 상 기 장식물을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대형 장식물과 상기 장식물을 제작하는 방법, 상기 장식물을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건축물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건축물(20)에는 대형 장식물이 설치되지 못하여 외부 마감이 단조롭고 건축물의 외형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어 환경 미화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특히 매우 유사한 건물들이 복수 개 건축되는 아파트 등의 경우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대형 장식물과 상기 장식물을 형성하는 방법 및 상기 장식물을 상기 외벽에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0에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이 설치되는 건축물의 외벽을 도시한 건축물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20)의 외벽(2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이 설치되기 위한 철재 슬리브(221)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장식물은 상기 건축물(20)과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장식물을 형성할 때 연결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건축물(20)의 외벽 골조 공사 때 제공되는 슬리브(221)와 상기 연결 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건축물(20)의 외벽(22)에 상기 장식물을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한 대형 거푸집의 시공시 외벽의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리브의 돌출에 한계가 있어, 외벽에 대형 장식물이 설치되기 곤란하였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 록, 대형 장식물을 건축물과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은 상기 건축물과 분리되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장식물을 제작하는 과정에 대해서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을 제작하기 위한 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을 제작하기 위한 틀(100)은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장식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벽(101)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틀(100)의 바닥면에는 후에 상기 장식물의 형상과 상보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소성 가공이 가능한 주형 부재(300)를 상기 장식물의 외벽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한다. 상기 주형 부재(300)는 바람직하게는 스티로폴계 등의 단열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외형에 상보적인 형상이 형성된 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틀(100)의 상기 주형 부재(300)에 장식물의 외형과 상보적인 형상(400)을 형성한다. 이러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거푸집의 형성 또는 종래 주물을 제작하기 위한 주형을 제작하는 과정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상보적인 형상(400)을 형성하고 난 후에는 상기 장식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상기 장식물이 완성된 이후에 상기 주형 부재(300) 및 상기 틀(100)을 상기 외벽과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주형 부재(300)의 면에 코팅을 하는 면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면처리는 비닐 계통 부재를 상기 주형 부재(300)와 상기 상보적인 형상(400)에 도피하는 과정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보적인 형상(400)에 별도의 무늬 등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제1 벽을 형성하기 위한 강선이 배치된 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틀(100)의 상기 주형 부재(300)에 상기 장식물의 외형과 상보적인 형상(400)을 형성한 이후에는 상기 장식물의 외벽을 견고히 하도록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되는 외벽의 인장력을 증대 시키기 위한 강선(500)을 배치한다. 상기 강선(500)은 통상의 콘크리트 건축물을 건설하기 위한 철근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연결부재가 형성된 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장식물은 완성된 후에 건축물의 외벽에 제공되는 슬리브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510)를 연결하도록 구성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 부재(510, 520)를 앞서 설명한 강선(500)에 연결한다. 상기 연결 부재(510, 520)는 상기 장식물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리브(510)와 상기 슬리브(510) 내부에 제공되는 강선(520)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강선(520)은 외벽에 제공되는 슬리브를 통해 건축물의 벽면을 형성하는 철근 배근과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제1 벽이 형성된 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장식물의 상기 제1 벽(600)은 콘크리트를 타설 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연결 부재(510, 520)는 상기 장식물이 완성된 후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제공되는 슬리브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벽(600) 외부로 연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벽(600)은 상기 장식물의 외부로 향하는 면을 구성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 등에 견딜 수 있도록 고강도 제치장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벽(600)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제1 벽(600)에 색채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칼라 안료를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중간 부재가 형성된 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벽(60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소정의 두께로 타설한 후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에는 상기 장식물의 전체 중량을 경량화하기 위하여 중간 부재(700)를 타설한다. 상기 중간 부재(700)는 상기 제1 벽(60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에 비해 중량이 가벼운 경량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량 콘크리트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장식물이 배치되는 건축물의 외벽은 단열 시공이 불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단열 시공이 불필요하게 되며, 단열재 등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건축 설계에 있어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중간 부재(700)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물끊기 작업을 하고, 물끊기 작업을 위한 지수판을 설치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식물은 설치의 편의 또는 미관을 위하여 복수 개로 분할하여 형성한 후 상기 건축물에 설치 될 수 있는데, 또 제2의 장식물과 연결되는 장식물에는 상기 제2의 장식물과의 연결 부분에 면처리를 한다. 이 경우 장식물과 제2 장식물 사이의 이음 간격은 3mm 이내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제2 벽을 형성하기 위한 강선이 배치된 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식물에는 상기 장식물이 설치되는 상기 건축물의 상기 외벽에 당접하는 제2 벽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 벽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1 벽과 마찬가지로 고강도 제치장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 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상기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서 상기 중간 부재(700)가 타설된 면에 강선(750)을 배설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강선의 배설은 앞서 제1 벽을 형성하기 위한 강선의 배설과 대동소이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의 제2 벽이 형성된 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벽을 타설하여 양생하고 나면, 본 발명에 의한 장식물이 완성된다.
한편, 상기 장식물이 완성된 이후에는 상기 제2 벽이 상기 장식물이 설치될 건물의 외벽을 향하도록 상기 틀을 기립시킨 후,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형성된 슬리브를 통해 상기 장식물의 상기 연결 부재(510, 520)를 상기 건축물의 상기 슬리브 내부로 삽입하고, 상기 슬리브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건축물의 철근 배근과 상기 연결 부재(510, 520)의 상기 강선을 연결하여 상기 장식물을 상기 건축물의 상기 외벽에 설치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이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 형상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면도는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상기 장식물이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으로, 상기 장식물과 상기 건축물을 횡으로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으로 절단한 단면 역시 이와 대동소이 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식물(10)은 외부를 향하는 제1 벽(600)과, 건축물(20)의 외벽(22)에 당접하는 제2 벽(800)과, 상기 제1 벽(600)과 상기 제2 벽(800)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700)와, 상기 제1 벽(600)과 상기 제2 벽(800)을 연결하며 상기 제2 벽(800)의 외부로 연장하는 강선(520)을 포함하는 연결 부재(510, 5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벽(600)과 상기 제2 벽(800)은 상기 장식물이 소정의 강성을 가지도록 제치장 콘크리트 등과 같은 중량이 무거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1 벽(600)과 상기 제2 벽(800)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부재(700)는 상기 제1 벽(600) 또는 상기 제2 벽(800)보다 가벼운 경량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장식물(10)의 중량이 가볍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식물(10)이 설치되는 건축물(20)의 외벽(22)에는 외벽을 형성하는 골조 공사를 시공할 때 철재 슬리브(221)를 미리 형성한다. 상기 슬리브(221)에는 상기 건축물을 형성하기 위한 철근 배근이 그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식물에는 상기 철재 슬리브(221) 내부에 배치되는 철근 배근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510, 520)가 제공되어, 상기 철근 배근과 상기 연결 부재(510, 520)를 구성하는 강선(520)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한다. 이때 시공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장식물(10)이 설치되는 상기 건축물(20)의 외벽(22)은 상기 건축물(20)의 내부 공간에서 용접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부(221)가 상기 외벽(22)을 개구(開口)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장식물(10)의 상기 연결부재(520)와 상기 외벽(22)의 상기 슬리브(221) 내부의 철근 배근을 연결한 후에는 상기 개구(開口)된 외벽(22)을 마감하기 위하여 무수축 시멘트(900) 그라우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이 설치된 건축물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건축물과 달리 본 발명에 의한 대형 장식물(10)이 설치된 건축물(20)은 그 장식물(10)의 형태, 색깔, 크기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종래 아파트 등 동일한 구조의 건물들이 배치되는 공간의 단조로움을 해결하여 조형미를 극대화시키고 환경을 미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전술한 실시예 또는 도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내지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장식물, 장식물을 제작하는 방법, 장식물을 건축 물의 외벽에 설치하는 방법에 따르면, 종래 건축물의 외벽에 대형 장식을 형성할 수 없어서 발생하였던 건축물의 단조로움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장식물에 있어서,
    외부를 향하는 제1 벽과,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당접하는 제2 벽과,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2 벽 사이에 배치되며 경량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중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2 벽은 강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강선은 상기 제2 벽 외부로 연장하는,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장식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은 고강도 제치장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장식물.
  3.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장식물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의 외부 형상의 적어도 일부와 상보적인 면이 형성되는 틀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틀에 강선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슬리브를 설치하고 상기 강선과 연 결하는 단계와,
    상기 장식물의 외부를 향하는 면을 형성하는 제1 벽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에 비해 가벼운 경량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중간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물끊기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장식물이 설치되는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당접하는 제2 벽을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장식물을 제작하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는 고강도 제치장 콘크리트인,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장식물을 제작하는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는 칼라 안료가 배합된 콘크리트인,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장식물을 제작하는 방법.
  6.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장식물을 상기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골조 공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상기 외벽에 철재 슬리브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장식물의 상기 외벽에 당접하는 면 외측으로 연장하는 강선을 상기 철 재 슬리브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장식물을 설치하는 방법.
KR1020050041125A 2005-05-17 2005-05-17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재질로형성되는 장식물 KR100675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125A KR100675084B1 (ko) 2005-05-17 2005-05-17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재질로형성되는 장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125A KR100675084B1 (ko) 2005-05-17 2005-05-17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재질로형성되는 장식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782A KR20060118782A (ko) 2006-11-24
KR100675084B1 true KR100675084B1 (ko) 2007-01-29

Family

ID=3770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125A KR100675084B1 (ko) 2005-05-17 2005-05-17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재질로형성되는 장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0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335B1 (ko) 2016-07-18 2017-02-06 구본준 부조장식 벽면형성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335B1 (ko) 2016-07-18 2017-02-06 구본준 부조장식 벽면형성방법
WO2018016801A1 (ko) * 2016-07-18 2018-01-25 구본준 부조장식 벽면형성방법
US10339842B2 (en) 2016-07-18 2019-07-02 Bon Joon Ku Method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decoration on wall surface, and three- dimensional decoration formed us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782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8396B (zh) 轻质建筑隔热块体及其建筑方法
KR20060127632A (ko) 멀티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슬래브구조체
US5937601A (en) Simulated brick chimney block
KR100675084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며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재질로형성되는 장식물
KR101060401B1 (ko) 건물 내 외벽 장식용 경량 ds몰딩 제조방법
KR20140008905A (ko)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0830535B1 (ko) 일체형 건축외장몰딩의 제조방법
KR20010044332A (ko) 건축물의 장식재 및 그 장식재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20070091088A (ko) 목재 패널 황토 벽체
CN207846841U (zh) 绿色建筑先浇胶凝装饰面一体成型装配式混凝土墙板
KR100362356B1 (ko) 장식블록의 성형방법
KR100519616B1 (ko) 양각문양이 형성된 콘크리트 칼라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169732Y1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
CN106320662A (zh) 建筑外墙装饰超宽混凝土线条施工方法
KR100763242B1 (ko) 건축물의 내,외장 장식용 몰딩조형물 및 그 제조방법
CN212866682U (zh) 一种装饰一体化预制水磨石楼梯
CN107020697B (zh) 装饰块料面层的形成方法
CN213654467U (zh) 一种pvc预制混凝土围墙
KR100336962B1 (ko) 조립식 방갈로
KR100223958B1 (ko) 구조물용 부재
KR20010097575A (ko) 철판으로 한옥기와를 제조하는 방법
KR102227404B1 (ko) 건물 장식 벽체와 이러한 장식 벽체의 제조방법
CN220768524U (zh) 一种免拆模板固定装置
EP1900887A1 (en) Light weight brick
KR200311267Y1 (ko) 건물 외벽 치장용 샌드위치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