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517B1 -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 - Google Patents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517B1
KR100673517B1 KR1020060100741A KR20060100741A KR100673517B1 KR 100673517 B1 KR100673517 B1 KR 100673517B1 KR 1020060100741 A KR1020060100741 A KR 1020060100741A KR 20060100741 A KR20060100741 A KR 20060100741A KR 100673517 B1 KR100673517 B1 KR 100673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er pipe
wall
assembly
fixing
til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100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6Foundations for supply conduits or other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류판을 관통하는 하수관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범위내에서 용이하게 선회할 수 있게하여 하수관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21)의 중앙부에 사각형 조립부(22)가 관통되고, 양쪽 가장자리면에는 서로 상반되게 조립돌기(24)가 형성되는 벽체(20)와, 완충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형성되는 몸체(31)의 일측은 에이치 파일(10)의 한쪽 삽입부(12)에 끼움되고, 타측은 벽체(20)의 조립돌기(24)와 대응되는 조립부(32)가 형성된 한쌍의 벽체조립가이드(30)와, 배면에는 반구형 축수부(421)가 구비된 조립부(42)가 돌출 형성되고, 조립부(42)의 내측에는 사각구멍(41)이 형성되는 한편, 조립부(42)의 양쪽 가장자리면으로 연설되는 고정부(44)에는 다수의 체결공(441)이 형성되어 체결구(45)로 벽체(20)의 전면과 배면 중앙에 상반되게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프레임(40)과, 몸체(51)의 내측 중앙부에는 구멍(52)이 천공되고, 몸체(51)의 양쪽 측면 중앙부에는 축핀(54)이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축핀(54)은 고정프레임(40)의 반구형 축수부(421)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한편, 축핀(54)을 중심으로 사각형 조립부(22)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선회 운동하는 틸팅부재(50)와, 틸팅부재(50)의 내측 구멍(52)으로 압입되게 끼워져 하수관(P)의 외주면으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 및 진동을 흡수 완화시키는 패킹부재(60)와, 틸팅부재(50)에 끼워진 하수관(P)이 상,하방향으로 과도하게 선회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벽체(20)의 조립부(22) 상,하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고정부(73) 가 체결구(74)에 의해 고정되는 한쌍의 스토퍼부재(70)와, 고정프레임(40)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되, 고정프레임(40)의 전면에 체결구(86)로 고정되는 고정판(81)이 형성되며, 고정판(81)의 중앙부에는 하수관(P)이 관통되는 홀(a)이 천공되는 한편, 상기 홀(a)에는 전면으로 부분 돌출되는 플렉시블 주름관(84)이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하수관지지부재(80)와, 플렉시블 주름관(84)의 내측으로 관통되는 하수관(P)을 체결하는 체결밴드(8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축 공사, 토류판, 플렉시블 주름관, 틸팅, 축핀

Description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Apartment house foundation work drainage member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의 구조를 나타낸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튜브를 이용한 건축공사용 토류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튜브를 이용한 건축공사용 토류판 구조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튜브를 이용한 건축공사용 토류판 구조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에이치 파일 12: 삽입부
20: 벽체 21: 몸체
22: 사각형 조립부 24: 조립돌기
30: 벽체조립가이드 40: 고정프레임
41: 사각구멍 42: 조립부
44: 고정부 45: 체결구
50: 틸팅부재 52: 구멍
54: 축핀 60: 패킹부재
70: 스토퍼부재 73: 고정부
74: 체결구 80: 하수관지지부재
81: 고정판 84: 플렉시블 주름관
86: 체결구 88: 체결밴드
100: 토류판 421: 반구형 축수부
441: 체결공 P: 하수관
a : 홀
본 발명은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류판을 관통하는 하수관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범위내에서 용이하게 선회할 수 있게하여 하수관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류판은 건축, 건설 공사에서 지하 흙막이공의 토압이나 수압을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영구 구조물로 사용되는 것도 있고 가설 구조물로 일시적 으로 사용된다.
즉, 우리 나라의 토지 이용실태는 주로 대도시에 집중되고, 가용 토지의 부족으로 인해 도심지의 고층화와 고밀도화는 가속되고 있는 실정이며, 고층화 및 고밀도화된 토지의 이용에 따라 지하 구조물의 규모가 커지면서 인근 건축물과의 근접 시공이 불가피하게 되어 지하 구조물의 터파기 공사시에 인접한 도로의 침하를 비롯하여 주변 건물의 기울어짐과 균열 및 붕괴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로 인한 재산상의 손실을 비롯하여 민원의 다발과 민형사상의 분쟁으로 많은 사회적인 문제가 발생되고 있음에 따라 지하 굴착시의 토류벽 가시설 공사에 대한 공법과 부재의 선정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종래의 목재 토류판은 지하 굴착공사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매입 설치된 인접하는 에이치 파일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형태로서, 비공사 구역의 지반을 안정화시키고 발파 굴착으로 인한 돌 및 흙의 비산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건설 자재이다.
종래에는 흙막이 가시설 말뚝을 소정의 간격으로 박는 흙막이 가시설 말뚝 설치단계와, 일정 심도로 굴착하는 굴착단계와, 굴착된 토벽의 흙막이 가시설 말뚝의 경간을 확인하고 목재 토류판을 톱으로 절단하여 위에서 아래로 또는 비스듬히 흙막이 가시설 말뚝 사이에 넣고 수평으로 설치하여 다수개의 목재 토류판을 적층하는 목재 토류판 설치단계와, 다시 일정 심도까지 굴착하는 굴착단계와, 굴착된 토벽의 흙막이 가시설 말뚝의 경간을 확인하고 목재 토류판을 톱으로 절단하여 비스듬히 흙막이 가시설 말뚝 사이에 넣고 수평으로 설치하여 이미 상측에 설치된 목 재 토류판의 하부로 밀어 올려 설치하는 목재 토류판 설치단계와, 일정 깊이의 굴착과 목재 토류판의 설치가 끝난 후 토압의 지지를 위해 흙막이 가시설 말뚝을 가로지르는 띠장과 대향하는 띠장의 지지를 위한 버팀대를 설치하는 보강재 설치단계와, 상기의 단계를 반복하면서 토류판을 시공하여 지하 구조물의 완성후 아래에서부터 위쪽의 순서로 흙을 되메우기할 때에 목재 토류판을 해체하는 목재 토류판 해체단계와, 해체된 흙막이 가시설 말뚝과 목재 토류판의 공간에 흙메움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흙막이 가시설은 토류판과 토류판 사이에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지하수가 토류판 사이의 간극과 토류판을 통해서 새어 나오므로 인해 인근 지하수두가 낮아져 인근 건물의 지반 침하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토류판은 목재로 제작되므로 강도가 저하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토류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휨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비나 눈이 오는 경우 수분을 흡수하여 자체 중량이 증가하게 되고, 공사가 장시간 오래되는 경우 목재로 된 토류판이 부식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재활용성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굴토된 지하 공간의 측벽으로부터 새어 나오는 지하수 등을 토류판을 통해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류판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류판을 관통하는 하수관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범위내에서 용이하게 선회할 수 있게하여 하수관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굴토된 지하 공간의 측벽 전방에 소정의 간격으로 입설되는 에이치 파일(10)의 양쪽 삽입부(12)에 지하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공사용 토류판(100)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100)은 몸체(21)의 중앙부에 사각형 조립부(22)가 관통되고, 양쪽 가장자리면에는 서로 상반되게 조립돌기(24)가 형성되는 벽체(20)와,
완충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형성되는 몸체(31)의 일측은 에이치 파일(10)의 한쪽 삽입부(12)에 끼움되고, 타측은 벽체(20)의 조립돌기(24)와 대응되는 조립부(32)가 형성된 한쌍의 벽체조립가이드(30)와,
배면에는 반구형 축수부(421)가 구비된 조립부(42)가 돌출 형성되고, 조립부(42)의 내측에는 사각구멍(41)이 형성되는 한편, 조립부(42)의 양쪽 가장자리면으로 연설되는 고정부(44)의 체결공(441)에 결합되는 다수의 체결구(45)에 의해 상기 벽체(20)의 전면과 배면 중앙에 상반되게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프레임(40)과,
몸체(51)의 내측 중앙부에는 구멍(52)이 천공되고, 몸체(51)의 양쪽 측면 중 앙부에는 축핀(54)이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축핀(54)은 고정프레임(40)의 반구형 축수부(421)에 조립되어 축핀(54)을 중심으로 사각형 조립부(22)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선회 운동하는 틸팅부재(50)와,
상기 틸팅부재(50)의 내측 구멍(52)으로 압입되게 끼워져 하수관(P)의 외주면으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 및 진동을 흡수 완화시키는 패킹부재(60)와,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는 처마모양의 돌출부(72)가 형성되어 상기 틸팅부재(5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하수관(P)이 과도하게 선회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40)의 상,하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고정부(73)가 체결구(74)에 의해 고정되는 한쌍의 스토퍼부재(70)와,
상기 고정프레임(40)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되, 고정프레임(40)의 전면에 체결구(86)로 고정되는 고정판(81)이 형성되며, 고정판(81)의 중앙부에는 하수관(P)이 관통되는 홀(a)이 천공되는 한편, 상기 홀(a)에는 전면으로 부분 돌출되는 플렉시블 주름관(84)이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하수관지지부재(80)와,
상기 플렉시블 주름관(84)의 내측으로 관통되게 끼워지는 하수관(P)을 고정되게 체결하기 위해 선단부 체결되는 체결밴드(8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의 구조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튜브를 이용한 건축공사용 토류 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튜브를 이용한 건축공사용 토류판 구조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튜브를 이용한 건축공사용 토류판 구조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굴토된 지하 공간의 측벽 전방에 소정의 간격으로 입설되는 에이치 파일(10)의 양쪽 삽입부(12)에 지하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몸체(21)의 중앙부에 사각형 조립부(22)가 관통되고, 양쪽 가장자리면에는 서로 상반되게 조립돌기(24)가 형성되는 벽체(20)와,
완충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형성되는 몸체(31)의 일측은 에이치 파일(10)의 한쪽 삽입부(12)에 끼움되고, 타측은 벽체(20)의 조립돌기(24)와 대응되는 조립부(32)가 형성된 한쌍의 벽체조립가이드(30)와,
배면에는 반구형 축수부(421)가 구비된 조립부(42)가 돌출 형성되고, 조립부(42)의 내측에는 사각구멍(41)이 형성되는 한편, 조립부(42)의 양쪽 가장자리면으로 연설되는 고정부(44)에는 다수의 체결공(441)이 형성되어 체결구(45)로 벽체(20)의 전면과 배면 중앙에 상반되게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프레임(40)과,
몸체(51)의 내측 중앙부에는 구멍(52)이 천공되고, 몸체(51)의 양쪽 측면 중앙부에는 축핀(54)이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축핀(54)은 고정프레임(40)의 반구형 축수부(421)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한편, 축핀(54)을 중심으로 사각형 조립 부(22)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선회 운동하는 틸팅부재(50)와,
틸팅부재(50)의 내측 구멍(52)으로 압입되게 끼워져 하수관(P)의 외주면으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 및 진동을 흡수 완화시키는 패킹부재(60)와,
틸팅부재(50)에 끼워진 하수관(P)이 상,하방향으로 과도하게 선회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벽체(20)의 조립부(22) 상,하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고정부(73)가 체결구(74)에 의해 고정되는 한쌍의 스토퍼부재(70)와,
고정프레임(40)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되, 고정프레임(40)의 전면에 체결구(86)로 고정되는 고정판(81)이 형성되며, 고정판(81)의 중앙부에는 하수관(P)이 관통되는 홀(a)이 천공되는 한편, 상기 홀(a)에는 전면으로 부분 돌출되는 플렉시블 주름관(84)이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하수관지지부재(80)와,
플렉시블 주름관(84)의 내측으로 관통되는 하수관(P)을 체결하는 체결밴드(88)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벽체(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21)의 내측에 중앙부에는 소정의 크기로 되는 사각형 조립부(22)가 천공되고 양쪽 가장자리면에는 서로 상반되게 조립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벽체조립가이드(30)는 완충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형성되는 몸체(31)의 일측단은 에이치 파일(10)의 한쪽 삽입부(12)에 끼워 맞춤되듯이 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벽체(20)의 조립돌기(24)와 대응되는 조립부(32)가 형성되어 에이치 파일(10)에 상기 벽체(20)가 조립될 수 있도록 양족에 마주하도록 고정되게 조립된다.
고정프레임(40)은 상기 벽체(20)의 사각형 조립부(22)의 내측으로 끼워 맞춤 되도록 배면으로 부분 돌출되는 조립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42)의 내측에는 그 보다 작은 크기로 되는 사각 구멍(41)이 설치되고 조립부(42)의 양쪽 가장자리면으로 연설되는 고정부(44)의 체결공(441)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체결구(45)에 의해 상기 벽체(20)의 전면과 배면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반되게 고정되는 한쌍으로 구성된다.
틸팅부재(50)는 몸체(51)의 내측 중앙부에 하수관(P)이 관통되는 구멍(52)이 천공되고, 몸체(51)의 양쪽 측면 중앙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되는 축핀(54)이 축착되어 상기 축핀(54)을 고정프레임(40)의 조립부(42) 중앙에 형성되는 반구형 축수부(421) 내측에 끼워지도록 조립하여 상기 축핀(54)을 중심으로 사각형 조립부(22)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선회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패킹부재(60)는 상기 틸팅부재(50)의 내측 구멍(52)으로 압입되게 끼워져 하수관(P)의 외주면으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 및 진동을 흡수 완화시키도록 구성되고 있다.
스토퍼부재(70)는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는 처마모양의 돌출부(72)가 형성되어 상기 틸팅부재(5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하수관(P)이 과도하게 선회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프레임(40)의 상,하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고정부(73)가 체결구(74)에 의해 고정된다.
하수관지지부재(80)는 상기 고정프레임(40)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고정판(81)의 내측 중앙부에 하수관(P)이 관통되는 구멍이 천공되고, 상기 구멍에는 전면으로 부분 돌출되는 플렉시블 주름관(84)이 소정의 길이만큼 연설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40)의 전면과 배면부에 다수의 체결구(86)에 의해 고정된다.
체결밴드(88)는 상기 플렉시블 주름관(84)의 내측으로 관통되게 끼워지는 하수관(P)을 고정되게 체결하기 위해 선단부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 결합된 본 발명은 먼저 굴토된 지하 공간의 측벽 전방에 에이치 파일(10)을 소정의 간격으로 박는 다음 일정 심도로 굴착한 다음 제작된 토류판(100)의 양단부가 인접하는 에이치 파일(10) 사이의 삽입부(12) 사이에 끼워지도록 조립한 후 앵커볼트(30)로 고정시킨다.
이때 토류판(100)은 내측 중앙부에 사각형 조립부(22)가 천공되고 가장자리에는 조립돌기(24)가 형성되는 벽체(20)의 전면과 배면 중앙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프레임(40)을 고정되게 조립하고, 상기 고정프레임(40)에는 축핀(54)을 중심으로 사각형 조립부(22)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선회 운동하는 틸팅부재(50)를 조립하고, 상기 고정프레임(40)의 상,하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한쌍의 스토퍼부재(70)를 고정하여 상기 틸팅부재(5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하수관(P)이 과도하게 선회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프레임(40)의 전면과 배면부에 다수의 체결구(86)에 의해 고정되는 한쌍의 하수관지지부재(80)를 조립하여 전면으로 돌출되는 플렉시블 주름관(84)의 내측으로 하수관(P)을 관통되게 조립한 후 체결밴드(88)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하나의 단위 조립체를 이용한다.
상기 단위 조립체 즉, 토류판(100)은 벽체(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조립돌기(24)와 대응되는 조립부를 갖는 완충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형성된 벽체조립가이드(30)를 양쪽에 조립한 상태에서 에이치 파일(10)에 조립되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하면 토류판을 관통하는 하수관은 틸팅부재에 의해 지지된 채축핀을 기점으로 상,하 반향으로 선회가 가능하게 되어 토류관을 관통하는 하수관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사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프레임(40)에 조립되는 축핀(54)을 중심으로 사각형 조립부(22)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선회 운동하는 틸팅부재(50)에는 외부 충격 및 진동을 흡수 완화시키는 패킹부재(60)가 조립되고, 상기 틸팅부재(5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하수관(P)이 과도하게 선회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40)의 상,하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고정되는 한쌍의 스토퍼부재(70)가 구비되어 하수관(P)이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굴토된 지하 공간의 측벽으로부터 새어 나오는 지하수 등을 차단하는 토류판을 관통하는 하수관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범위내에서 용이하게 선회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 주름관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축핀을 기점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선회가 가능하도록 된 틸팅부재가 함께 구비되고 있어 하수관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류판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굴토된 지하 공간의 측벽 전방에 소정의 간격으로 입설되는 에이치 파일(10)의 양쪽 삽입부(12)에 지하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에 있어서,
    몸체(21)의 중앙부에 사각형 조립부(22)가 관통되고, 양쪽 가장자리면에는 서로 상반되게 조립돌기(24)가 형성되는 벽체(20)와,
    완충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형성되는 몸체(31)의 일측은 에이치 파일(10)의 한쪽 삽입부(12)에 끼움되고, 타측은 벽체(20)의 조립돌기(24)와 대응되는 조립부(32)가 형성된 한쌍의 벽체조립가이드(30)와,
    배면에는 반구형 축수부(421)가 구비된 조립부(42)가 돌출 형성되고, 조립부(42)의 내측에는 사각구멍(41)이 형성되는 한편, 조립부(42)의 양쪽 가장자리면으로 연설되는 고정부(44)에는 다수의 체결공(441)이 형성되어 체결구(45)로 벽체(20)의 전면과 배면 중앙에 상반되게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프레임(40)과,
    몸체(51)의 내측 중앙부에는 구멍(52)이 천공되고, 몸체(51)의 양쪽 측면 중앙부에는 축핀(54)이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축핀(54)은 고정프레임(40)의 반구형 축수부(421)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한편, 축핀(54)을 중심으로 사각형 조립부(22)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선회 운동하는 틸팅부재(50)와,
    틸팅부재(50)의 내측 구멍(52)으로 압입되게 끼워져 하수관(P)의 외주면으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 및 진동을 흡수 완화시키는 패킹부재(60)와,
    틸팅부재(50)에 끼워진 하수관(P)이 상,하방향으로 과도하게 선회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벽체(20)의 조립부(22) 상,하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고정부(73)가 체결구(74)에 의해 고정되는 한쌍의 스토퍼부재(70)와,
    고정프레임(40)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되, 고정프레임(40)의 전면에 체결구(86)로 고정되는 고정판(81)이 형성되며, 고정판(81)의 중앙부에는 하수관(P)이 관통되는 홀(a)이 천공되는 한편, 상기 홀(a)에는 전면으로 부분 돌출되는 플렉시블 주름관(84)이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하수관지지부재(80)와,
    플렉시블 주름관(84)의 내측으로 관통되는 하수관(P)을 체결하는 체결밴드(8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
KR1020060100741A 2006-10-17 2006-10-17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 KR100673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741A KR100673517B1 (ko) 2006-10-17 2006-10-17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741A KR100673517B1 (ko) 2006-10-17 2006-10-17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517B1 true KR100673517B1 (ko) 2007-01-25

Family

ID=38014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741A KR100673517B1 (ko) 2006-10-17 2006-10-17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5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09B1 (ko) 2007-12-03 2008-05-06 (주)창민기술단 상하수도관 매설용 토류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6760A (ja) * 1992-10-23 1994-05-17 Nippon Supiide Shiyoa Kk 横断管を有する掘削溝の土留工法及び土留支保工
JP2000178975A (ja) 1998-12-14 2000-06-27 Nippon Flaekt Kk スライド型土留装置及びスライド型土留板
KR100584075B1 (ko) 2006-02-22 2006-05-29 주식회사 포스에이씨 종합감리 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 기초 공사용 토류판의 구조
KR100593297B1 (ko) 2006-04-05 2006-06-28 (주)원건축사사무소 수송관 통로용 건축물의 기초공사용 토류판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6760A (ja) * 1992-10-23 1994-05-17 Nippon Supiide Shiyoa Kk 横断管を有する掘削溝の土留工法及び土留支保工
JP2000178975A (ja) 1998-12-14 2000-06-27 Nippon Flaekt Kk スライド型土留装置及びスライド型土留板
KR100584075B1 (ko) 2006-02-22 2006-05-29 주식회사 포스에이씨 종합감리 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 기초 공사용 토류판의 구조
KR100593297B1 (ko) 2006-04-05 2006-06-28 (주)원건축사사무소 수송관 통로용 건축물의 기초공사용 토류판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09B1 (ko) 2007-12-03 2008-05-06 (주)창민기술단 상하수도관 매설용 토류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075B1 (ko) 공동 주택 기초 공사용 토류판의 구조
EP3521514B1 (en) Permanent prefabricated braced wall
KR100659599B1 (ko) 폭 조절과 배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토류판
KR101149895B1 (ko) 터널 필라부 보강블록
KR100599245B1 (ko) 건축기초 공사용 측토압 버팀용 토류판 구조
KR100966148B1 (ko) 지반밀착형 압력식 쏘일 네일 구조 및 이에 의한 지반보강공법
KR101807551B1 (ko) 수밀성이 우수한 차수 플레이트 엄지말뚝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차수 공법
KR100698758B1 (ko) 네일보강 합벽식 옹벽 및 그 구축방법
KR100521076B1 (ko) 흙막이용 패널
KR20110098597A (ko) H형강 가이드 프레임
KR100627403B1 (ko) 고무튜브를 이용한 건축공사용 토류판 구조
KR101386275B1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2220613B1 (ko) 자립식 옹벽 시공방법
KR100673517B1 (ko) 건축공사 현장의 하수관 통과용 토류판
KR100533609B1 (ko) 배수가 용이한 건축용토류판
KR102079964B1 (ko) 개량형 조적지지 보수 보강 구조
KR100533612B1 (ko)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건축용토류판
KR101851279B1 (ko) 강판을 연속하여 연결한 저심도 흙막이 차수 공법
KR100575107B1 (ko) 옹벽지지를 위한 소일-네일링의 체결구조
KR101861684B1 (ko)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
KR200258921Y1 (ko) 흙막이용 벽체 패널의 설치구조
KR100657654B1 (ko) 복수개의 앵커삽입홀이 형성된 에이치형 파일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KR100637899B1 (ko) 교각 직접 기초 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AU2010257353B2 (en)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and anchor bolt installation ji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3